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청소년기 대인외상경험이 있는 폭식장애경향 성인 여성을 위한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홍채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기 대인외상경험이 있는 폭식장애경향 성인 여성을 위한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한 후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그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은 자기관리, 인지적 재구성, 이미지 재구성, 이완훈련 및 스트레스 대처훈련이며,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은 자기관리, 자기감찰, 인지적 재구성, 이완훈련, 스트레스 대처훈련이다. 연구대상은 두 단계로 선별하였다. 1차는 대인외상경험 체크리스트 5점 이상, BULIT-R 88점 이상의 중복 기준에 해당되는 20∼30대 여성을 선별하였다. 2차는 면접 및 심상 면접을 실시하여 최종 선별된 성인 여성 21명을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한 비교집단 및 무처치 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임의 배정하였다. 회기진행은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 120분씩 총 10회기(10회기 중 개별 3회기는 개인당 약 50분 내외 소요)를 실시하였고,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 12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사전, 사후 및 3개월 추후 검사와 내용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대인외상경험과 폭식장애경향 관련 변인을 섭식, 인지(내용, 과정), 정서 및 행동의 네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 동기 척도와 섭식 행동 척도, 역기능적 신념(SDBT), 부정적 자동적 사고(ATQ-N), 자아존중감(RSS), 정서조절곤란(DERS), 우울(BDI), 상태-특성 불안(STAI), 상태-특성 분노(STAXI-K), 스트레스 대처방식(SCSC)의 척도들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섭식 변인인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동기⋅행동과 하위요인인 섭식동기, 섭식행동에서 실험집단인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는 전체 척도와 하위요인 모두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비교집단인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는 하위요인인 섭식행동에서만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인지 변인 중 인지 내용인 역기능적 신념,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서 실험집단은 역기능적 신념과 부정적 자동적 사고 모두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비교집단은 부정적 자동적 사고에서만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 다른 인지 변인 중 인지 과정인 자아존중감에서 실험집단만이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실시 후 정서 변인인 정서조절곤란, 우울, 상태-특성 분노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우울의 경우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또 다른 정서변인인 상태-특성 불안은 실험집단만이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실시 후 행동 변인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정서완화적 대처 중 문제중심적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서완화적 대처는 실험집단만이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섯째, 프로그램 종결 3개월 후 실시한 추후검사에서 전체 변인 모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전-사후-추후검사에서 실험집단만이 전체 변인 모두에서 유의한 효과를 유지 혹은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청소년기 대인외상경험이 있는 폭식장애경향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폭식 증상의 감소를 위한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구성, 개발하였다는 것이며, 특히 폭식 증상의 감소를 위하여 폭식에만 초점을 맞춘 선행연구들과는 차별적으로 대인외상경험과 폭식 모두를 이미지 재구성으로 다루어주며 대상자의 폭식 증상 감소뿐만 아니라, 관련 변인들까지도 효과적으로 변화시켜 그 효과를 유지시켰다는 점이다. 이는 곧 이미지 재구성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폭식장애경향자들의 심리적 건강을 되찾는 데 유망한 치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incorporating imagery rescripting for female adults with binge eating tendencies who had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in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then to compare its effects with a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The components of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incorporating imagery rescripting are self-management, cognitive restructuring, imagery rescripting, relaxation training and stress-coping training, while the components of the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re self-management, self-monitoring, cognitive restructuring, relaxation training, and stress-coping train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in two steps. In the first screen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meeting the dual criteria of 5 points or higher in the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checklist and 88 points or higher in the BULIT-R were selected. In the second screening, a total of 21 female adults were selected after conducting an interview and imagery interview with the female adults selected in the first screening. These research part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in equal number of people: an experimental group implementing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corporating imagery rescripting; a comparison group implementing a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a static group placed under a controlled condition without any treat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incorporating imagery rescripting was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each lasting 120 minutes (3 sessions out of 10 sessions take about 50 minutes per person). For the comparison group, a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was implemen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0 sessions, each lasting 120 minutes.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pre-, post-, and 3-month follow-up tests and content analysis. Variables related to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and binge eating tendenc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domains—eating, cognitive (content, process),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and were measured using scales for negative emotion-induced eating motive and eating behaviors, dysfunctional beliefs(SDBT), negative automatic thinking(ATQ-N), self-esteem(RSS), emotional dysregulation(DERS), depression (BDI), state-trait anxiety(STAI), state-trait anger(STAXI-K), and stress coping style(SCSC).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program implemen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implemented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corporating imagery rescripting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scores in the eating variable of negative emotion-induced eating motive/behaviors and its subfactor of eating motive and eat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implemented a traditional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scores only in the subfactor of eating behavior. Second, after program implemen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scores in cognitive contents such as dysfunctional beliefs and negative automatic thinking among the cognitiv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scores on in negative automatic thinking. In the cognitive process of self-esteem, among other cognitive variables,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after program implemen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both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scores in emotional variables such as emotional dysregulation, depression, and state-trait anger. In particular,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observed in depression, indicating that the implemented therapy was more effective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mparison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trait anxiety, among other emotional variables,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urth, after program implemen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both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in problem-focused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among three stress coping styles of behavioral variables, while on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scores in emotion-alleviating coping. Fifth, in the follow-up test conducted 3 months after program complet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 all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pre-, post-, and follow-up tests indicated that maintaining significant effects or making continuous changes in all the variables take place on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structed and developed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incorporating imagery rescripting for the reduction of binge eating symptoms targeting female adults with binge eating tendencies who had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 in their childhood and adolescence.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ly on binge eating to reduce binge eating symptoms, this study covered both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and binge eating with imagery rescripting to demonstrate the reduction of binge eating symptoms as well as effective changes and maintenance of such changes in related variables for the target group. The results demonstrat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incorporating imagery rescripting can be a promising treatment for people with binge eating tendencies in restoring their psychological health.

      • 저채도-무채색 범위 제품의 색 속성이 소비가치에 미치는 영향 : 자동차 외장색채를 중심으로

        홍채영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소비사회의 소비자는 제품의 물리적 속성뿐만 아니라 제품의 이미지 등 감성적 측면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그 중 제품의 색채는 소비자의 감성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케팅 기법으로 각광받는 요소이다. 다양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저관여 제품보다는 고관여 제품군의 제품색채를 선택하는 경우 개인의 선호색 보다는 제품 특성을 고려한 색채를 선택하는 경향을 띄게되는데 이는 대표적인 고관여 제품인 자동차의 외장색채에서 무채색이 선호되는 경향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색채는 중량감, 경연감 등의 심리적 효과를 지님으로써 이는 제품 색의 색 속성이 제품의 내구성 등 제품 속성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보았을 때 소비자의 제품색채 선택 과정은 소비가치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제품색채 분야에서의 소비가치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동차 외장색채를 연구 대상으로 소비자의 제품색채 선택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소비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본 뒤 색 속성과 소비가치 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소비가치 이론을 제품색채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논거를 구축하고자 소비가치 이론, 자동차 외장색채, 색 속성에 관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계획된 2차례의 실증조사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두 단계의 실증조사의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의 조사1에서는 소비자가 자동차 외장색채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소비가치가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이를 조사하는데 사용된 측정변수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자동차 외장색채 선택 요인과 관련한 4가지 소비가치 유형을 사용하였다. 이는 Sheth, Newman 그리고 Gross(1991)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구성한 실용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혁신적 가치로 각 소비가치 유형은 3개의 세부속성을 포함하여 총 1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이 12항목은 실용성, 관리 용이성, 경제성, 고급감, 사회적 소속감, 과시성, 심미성, 쾌락성, 조화성, 혁신성, 독특성, 호기심 유발 등으로 자동차 외장색채의 선택 요인을 추출한 뒤 각 속성의 성질과 부합하는 소비가치 유형에 포함시켜 선정하였다. 두 번째 단계의 조사2에서는 피험자에게 자동차 외장색채 컬러샘플을 제시하고 앞서 설명한 4가지 소비가치 유형과 12항목의 세부 속성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때 사용한 컬러샘플은 저채도색과 무채색 범위로 제한하였다. 저채도색은 무채색과 유사한 감성을 지님으로써 색채에 대한 배경지식 없이는 무채색으로 보여질 수 있으나 이는 유채색의 범위로 무채색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외장색채에서 무채색이 선호되는 경향과 관련하여 저채도 범위의 색이 무채색과 차별되는 감성을 지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두 범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소비자는 자동차 외장색채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감정적 가치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며 실용적 가치가 유사한 수준으로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으로는 사회적 가치, 혁신적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4가지 소비가치 유형 전체에서 2.50 이상의 평균을 보임으로써 소비자가 자동차 외장색채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4가지 소비가치를 모두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정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에 비해 사회적 가치와 혁신적 가치는 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가치 유형의 세부 속성별 중요하게 고려하는 순서는 실용성> 쾌락성> 심미성> 관리 용이성> 조화성> 경제성> 고급감> 혁신성> 사회적 소속감> 호기심 유발> 독특성> 과시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험자 특성에 따라 중요하게 고려하는 소비가치에 대한 통계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심미성과 혁신성의 항목이, 연령대의 차이에서는 관리 용이성, 고급감, 사회적 소속감, 조화성, 혁신성, 독특성. 호기심 유발의 항목이, 월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에서는 과시성과 독특성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하지만 색채 관련 직종 여부의 차이에 따른 결과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채도-무채색 범위 색 속성과 자동차 외장색채의 소비가치 간의 관계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 색상과 순색도의 차이에서는 전체 12항목 중 4항목, 3항목만이 도출된 것에 비해 흑색도의 요인에서는 전체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됨으로써 명도의 식별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보았을 때 무채색과 저채도색은 뚜렷하게 구별되지는 않으나 일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임으로써 저채도색-무채색에 따른 소비가치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다섯째, 컬러샘플의 색 속성을 구체적인 색값으로 변환하여 색값과 소비가치 간의 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7개의 항목에서 설명력 70% 이상을 갖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 7항목은 실용성, 경제성, 고급감, 사회적 소속감, 혁신성, 독특성, 호기심 유발 등으로 전체가 명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도의 영향을 받는 항목으로는 실용성이, 색상의 영향을 받는 항목으로는 혁신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그동안 제품색채 관련 연구들에서 디자인 관점의 감성만이 도출된 결과와는 달리 제품 구매 과정에서 현실적으로 고려되는 소비자 관점의 감성에 대해 색 속성 간의 정량적 관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지며 제품색채 분야에서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예측하기에 용이한 소비가치 이론을 적용시킨 기초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외장색채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제품색채에 대한 소비가치를 파악하였으나 이를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제품색채 분야에 소비가치 이론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무채색과 유사한 감성을 띄는 저채도색이 소비가치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갖는다는 사실을 통해 소비자의 감정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써 저채도색을 제안하는 바이다.

      • B형간염바이러스(HBV) 만성보유자에서 간암 외 악성종양의 발병위험

        홍채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B형간염바이러스(HBV)는 간암의 주요 발병 원인 중 하나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지금까지 B형간염바이러스가 간암 외 다른 악성종양도 일으키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한국인 HBV 만성보유자들에서 간암 외 다른 악성종양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지 평가하기 위해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데이터베이스 (2002년 1월 1일 ~ 2013년 12월 31일)에 등록된 20세 ~ 69세 성인남녀 중 선정/제외기준에 따라 최종 선정한 대상자를 HBV 비보유자 그룹과 HBV 만성보유자 그룹, 총 2 그룹으로 분류한 후 악성종양 발병 위험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HBV 만성보유자 그룹에서의 발병위험을 Cox 비례위험회귀모형을 이용하여 Hazard ratio(HR)와 95% 신뢰구간을 함께 구하였다. 연구대상자 534,375명을 총 3,822,539 person-year 동안 추적 관찰하였고 (추적기간 중앙값 7.9년), 추적 기간 중 악성종양이 발생한 연구대상자는 총 18,870명이었다. 연령, 성별, 체질량지수, 흡연상태, 음주습관, 소득분위, 거주지역, 동반질환지수로 보정했을 때 간암 외 악성종양 중 HBV 만성보유자 그룹의 발병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악성종양은 림프/조혈조직암 [HR 2.37 (95% CI 1.85, 3.03)], 식도암 [HR 1.74 (95% CI 1.06, 2.84)], 담낭암 [HR 1.62 (95% CI 1.12, 2.34)], 췌장암 [HR 1.44 (95% CI 1.02, 2.05)], 위암 [HR 1.35 (95% CI 1.18, 1.54)], 폐암 [HR 1.23 (95% CI 1.01, 1.50)], 갑상샘암 [HR 1.19 (95% CI 1.04, 1.35)] 순서로 나타났다. HBV 만성보유자들은 HBV 비보유자에 비해 간암뿐만 아니라 간암 외 악성종양의 발병위험도 높았다. HBV 만성보유자가 흡연 경험이 있는 경우 흡연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HBV로 인한 간장 외 악성종양 발병위험의 크기가 더 크게 증가했지만, 실제로 흡연이 HBV 만성보유자에서 간암 외 악성종양의 발병위험을 더욱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HBV 만성보유자의 간암 외 악성종양 발병위험에 대해 한국인을 대상으로 평가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Function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Tips and Tubers

        홍채영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components, physiological activities, skin whitening, and wrinkles effect of sweet potato tips and tubers. The cultivar used in the experiment were sweet potato tips (Hayanmi, Pungwonmi, and Juhwangmi) and tubers (Sinjami and Juhwangmi) which are known to contain large amounts of lutein, β-carotene, and anthocyanidin. Antioxidant activity of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value of 3245.75 mg AAE/g and 1510.48 mg AAE/g, respectively in ‘Pungwonmi' tips. ACE inhibitory activity ranged between 47.72% in 'Sinjami' tubers and 62.25% in ‘Pungwonmi' tips at extract concentration of 10 mg/mL.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vaule of 78.81% in ‘Pungwonmi' on the tips and was highest vaule of 62.93% in ‘Juhwangmi' on the tubers. In particular, ‘Pungwonmi' tips most effectively inhibited intracellular ROS level oxidative stress induced HepG2 cell. Nitric oxide (NO) inhibitory activity was highest value of 18.35% in ‘Pungwonmi' tips. Wound healing assay result confirmed the wound healing ability by checking the level at which the scratch was recovered after creating a scratch on the ARPE-19 cell. In the 100 µg/mL treatment, 'Sinjami' showed 75% wound healing effect. As for the wrinkle improvement effect, positive control showed 65% activity, whereas tips and tubers showed low effect with less than 10%. As for the skin whitening effect, ‘Pungwonmi' tips showed 63% activity at 10 mg/mL, which was as effective as 71% of vitamin C (1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weet potato tips and tubers can be used to develop functional food materials with physiological activity. It also suggests that sweet potato tips and tubers can be used as whitening cosmetics material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could increas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weet potato tips and tubers, and use a beneficial material for health such as anti-hypertension, anti-diabetes, hepatoprotectiv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eye function effect, skin whitening, and wrinkle effect.

      • 초가공식품 섭취에 따른 영양지식과 건강식행동에 관한 연구

        홍채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NOVA 식품분류체계는 건강과 안녕을 증진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공공정책과 효과적인 행동을 창출하고 비만과 식생활 관련 질환을 예방하기 통제하기 위하여 식품이 겪는 산업 가공의 성격, 범위 및 목적에 따라 식품을 분류하는 체계이다. 그 중 초가공식품은 대부분 산업적 기술과 공정에 의해 생성된 가공원료로 제조된 식품으로 섭취 비율이 높을수록 WHO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총 지방과 포화지방, 당류 등의 영양섭취 권고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 영양 지식과 성인 영양지수를 통한 식사행동, 식사의 질, 영양상태 수준이 초가공식품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만 20~59세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17일부터 2024년 4월 19일까지 온라인으로 진행하였으며, 모든 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초가공식품의 섭취빈도, 영양지식 점수, 영양지수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초가공식품의 섭취빈도와 영양지수간의 강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p<.001), 영양지식 점수와 영양지수간의 상관관계가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이에 대하여 영양지식과 건강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초가공식품의 섭취빈도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본 결과, 초가공식품 섭취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P<.05) 초가공식품 섭취가 높아질수록 영양지식 수준이 건강식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초가공식품 섭취빈도에 따라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남성은 초가공식품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집단에서 20.5%, 여성은 초가공식품을 가장 적게 섭취하는 집단에서 19.8%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p<.01). 또한 성인 영양지수는 초가공식품을 가장 적게 섭취하는 집단의 점수가 높았고(p<.001) 영양지식 점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영역별로 살펴보면 초가공식품을 가장 적게 섭취하는 집단에서 식품 관련 지식 점수(p<.01)와 첨가물 관련 지식 점수(p<.01)가 높게 나타났다. 그룹 Ⅰ 미가공 또는 최소가공식품의 평균 섭취빈도가 일주일에 2.6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룹 Ⅲ 가공식품, 그룹 Ⅱ 가공조리재료, 그룹 Ⅳ 초가공식품 순서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그룹 Ⅳ 초가공식품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일주일에 0.2회 더 섭취하고(p<.05), 연령대에 따라서는 그룹 Ⅰ 미가공 또는 최소가공식품에서 20, 30, 40대보다 50대의 섭취율이 더 높았으며(p<.001), 그룹 Ⅲ 가공식품에서는 50대가 30대보다 더 섭취하고 있음(p<.05)을 나타났다. 식품군별 NOVA 식품분류체계에 따른 에너지 섭취량 차이를 비교한 결과, 초가공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에너지 섭취량이 증가하고p<.001), 집단별 NOVA 식품분류체계에 따른 에너지 섭취율은 그룹 Ⅰ 미가공 또는 최소가공식품, 그룹 Ⅳ 초가공식품 순서대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열량을 제외한 주요 영양소 섭취량을 비교한 결과, 초가공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탄수화물, 당류,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 트랜스지방, 콜레스테롤, 나트륨 섭취량이 증가한다(P<.01). 초가공식품 구매에 관련된 문항을 살펴본 결과, 초가공식품 구매시 식품표시 정보를 확인한다고 응답한 비율보다 확인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30% 더 높았고, 영양정보 표시를 확인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확인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보다 19% 더 높았다. 초가공식품 구매시 고려 요소는 ‘맛’, ‘가격’, ‘품질 및 신선도’ 순서대로 고려한다. 본 연구를 통해 식품영양 지식과 식사행동, 식사의 질, 영앙상태 수준이 초가공식품의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초가공식품의 섭취 빈도는 건강식행동은 초가공식품의 섭취 빈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초가공식품에 대한 올바른 식품∙영양지식에 관한 정보를 반영한 영양교육을 통해 건강식행동을 개선 및 발전시키기 위한 제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NOVA food classification system is a system that classifies food according to the nature, scope, and purpose of industrial processing experienced by food in order to create reasonable public policies and effective actions to promote and protect health and well-being and to control obesity and diet-related diseases. Among them, ultra-formula products are mostly foods made from processed raw materials produced by industrial technology and process, and the higher the intake rate, the more negative the WHO does not meet the recommended standards for nutritional intake such as total fat, saturated fat, and sugars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dietary behavior, quality of meals, and nutritional level on the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 through food nutrition knowledge and adult nutrition index.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rom April 17, 2024 to April 19, 2024, with 400 adults aged 20 to 59, and all result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take frequency of ultra-processed foods, nutritional knowledge score, and nutritional index, there wa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ake frequency of ultra-processed foods and nutritional index (p<.001), and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score and nutritional index (p<.001). In this rega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intake frequency of ultra-processed foods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healthy dietary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ultra-processed food intak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P<.05), and the higher the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nutritional knowledge level on healthy dietary behavior (p<.001).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y dividing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men accounted for 20.5% of the group that consumed the most ultra-formula foods and women accounted for 19.8% of the group that consumed the least ultra-formula foods (p<.01). In addition, the adult nutrition index had a high score for the group that consumed the least amount of ultra-formula foods (p<.001), and the nutritional knowledge scor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but by area, the food-related knowledge score (p<.01) and the additive-related knowledge score (p<.01) were high in the group that consumed the least amount of ultra-formula foods. The average consumption frequency of unprocessed or minimally processed foods in group I was the highest at 2.6 times a week, followed by group III processed foods, group II processed cooking ingredients, and group IV ultra-processed foods. According to gender, in group IV ultra-processed foods, men consumed 0.2 more times a week than women(p<.05), and in group I unprocessed or minimally processed foods, people in their 50s had a higher intake rate than those in their 20s, 30s, and 40s (p<.001), and in group III processed foods, people in their 50s consumed more than those in their 30s (p<.05).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energy intake according to the NOVA food classification system by food group, the energy intake increases as the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increases, and the energy intake rate according to the NOVA food classification system by group was in the order of group I unprocessed or minimum processed foods, and group IV ultra-processed food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take of major nutrients excluding calories, the intake of carbohydrates, sugars, proteins, fats, saturated fats, trans fats, cholesterol, and sodium increases as the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increases (P<.0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questions related to the purchase of ultra-processed food, 30% more people said they did not check the food labeling information when purchasing ultra-processed food, and 19% more people said they did not check the nutritional information labeling. When purchasing ultra-processed food, the factors to consider are considered in the order of 'taste', 'price', and 'quality and freshness'.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s of food nutrition knowledge, meal behavior, meal quality, and level of honor on the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were confirmed. As for the frequency of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healthy food behavior affects the frequency of intake of ultra-processed food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a system to improve and develop healthy food behavior through nutrition education that reflects information on correct food and nutritional knowledge about ultra-processed foods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