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서울 아트 클러스터 지역 상권 활성화 현상

        홍준표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서울 아트 클러스터 지역 상권 활성화 현상 스마트 폰의 보급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확산은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촉발시키고 있다. 특히, 도시 환경의 변화는 물리적 요인과 사회·경제적 인간 활동이 동시에 투영되어 다층적 변화를 일으킨다는 측면에서 그 현상이 복잡하다. 본 연구는 서울의 아트 클러스터(art-culture cluster) 지역을 중심으로, 스마트 폰과 블로그로 대표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이 어떻게 서울의 도시 상권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지역은 서울의 삼청동길, 가로수길, 상수동길 그리고 경리단길이며 이들 지역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있는 전문가 및 방문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와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도시의 상권 변화가 어떠한 관계성을 가지며, 이러한 현상의 함의는 무엇인지를 논한다.

      • 준고온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저온 파괴 특성

        홍준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WMA 포장은 친환경적 공법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 조기교통개방 등의 이점을 지니고 있어 앞으로의 발전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 이 WMA는 기존 HMA 혼합물에 비해 낮은 온도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강도 면에 취약성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따라서 WMA 콘크리트에 대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WMA 콘크리트의 저온 특성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WMA 콘크리트는 제조온도 차이 때문에 생기는 골재와 바인더의 결합력 차이 때문에 저온에서의 시차열 수축 영향이 HMA 콘크리트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점이다. 또한 이 차이는 사용된 재료 (준고온화 첨가제, 개질재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가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저온하에서 WMA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 휨 강도, 파괴인성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WMA 콘크리트의 저온 파괴 특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In this study, low temperature fracture characteristics of the warm-mix asphalt (WMA) concrete together with the hot-mix asphalt (HMA) concrete were evaluated at -5 ∼ -35℃. Three WMA additives, Evotherm (E), Wax compound (W) and Sasobit (S), were used, and two polymers, LVM and SBS were used as modifiers. A total of 12 binders were used for preparing WMA and HMA concretes using 13mm dense-graded aggregates. The indirect tensile strength (St), flexural strength (Sf) and fracture toughness (KIC) of WMA concretes were evaluated at -5, -15, -20, -25, -35℃ and coMPared with those of HMA concretes. Based on the analyses and evaluation,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The peak values of fracture toughness,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WMA concretes were observed at –15 ∼ -20℃, but those values were reduced below those temperatures. This is an indication, although showing some difference with HMA concretes, that WMA concretes were affected by the damage of differential thermal contraction (DTC) between aggregate and asphalt matrix at low temperature. 2. The fracture toughness and other strength of normal WMA concretes were observed to be similar level to those of HMA. Those values of polymer-modified WMA concre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olymer-modified HMA concretes at low temperatures. This means that WMA process is better practice than HMA process, and WMA concrete is superior material than HMA concrete at low temperatures. 3. The low-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WMA concrete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of HMA. This result is contrast to the high-temperature characteristics evaluation. The reason why WMA concrete was better than HMA might be that the binder of WMA would be less aged during mixing process than the binder of HMA. Therefore, the WMA binder would have better resistance to DTC damage than HMA binder would have at low temperatures. 4. In coMParison of polymers, LVM and SBS, the LVM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SBS. This is may be because the LVM contained LDPE and EPDM which have higher flexibility at lower temperatures. Since the low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WMA concretes were affected by WMA additive in addition to polymer, WMA additive and polymer combination was found to be important. 5. W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other additive in tensil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This finding is opposite to some studies’ observations which classifying the wax as a weak material at low temperatures.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wax could be strong at low temperatures if it was used together with bio-oil and other wax. 6. In correlation analyses of KIC and tensile strength, KIC and flexural strength, the normal WMA concretes showed R2 values being 0.79 and 0.56, respectively, which can be considered as good correlations. Since HMA and WMA PMA showed lower R2 values, i.e., 0.4 or so, it wa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KIC has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in general. Since this study used only one aggregate and asphalt binder, the material variability was not considered. Therefore, if a similar result is obtained using various materials at the same low temperatures, fundamental analyses should be performed to find out why WMA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HMA. Also, based on this study results, if further research were performed for selecting better materials against DTC, superior materials as a modifier and additive at high and low service temperatures could be suggested. It will be a good information proving appropriate polymer and/or WMA additives for given temperature conditions.

      • Enterococcus faecalis bacteriophages improve bioavailability and therapeutic efficacy of levodopa in MPTP-induced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홍준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Despite intensive research over the past 20 years, pharmacological means that selectively modulate specific bacterial species or population in intestinal microbiota have not yet been developed.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lytic bacteriophages killing Enterococcus faecalis (E. faecalis) of which tyrosine decarboxylase (TDC) converts levodopa (L-dopa) to dopamine (DA) that cannot cross the blood-brain barrier in the 1-methyl-4-phenyl-1,2,3,6-tetrahydropyridine (MPTP) mous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PD). Daily administration of bacteriophage cocktail (4 X 1010 PFU/200 l/day) of PBEF62, PBEF66 and PBEF67 infecting E. faecalis, and E. faecalis cells (2 X 109 CFU/200 l/day) with 2-h interval was started one day before MPTP injection and lasted for 13 days using an oral zonde. L-dopa was also administrated daily for 12 days. Relative abundance of E. faecalis cells and bacteriophages in the feces were decreased gradually for 8 h and 12 h, respectively, and then washed away. While the administration of E. faecalis cells completely inhibited restoration effect of L-dopa on MPTP-induced behavioral impairments assessed by Y-maze, cylinder and rotarod tests, the bacteriophage cocktail administrated prior to the cells eliminated the effect. While plasma and brain concentrations of DA were reduced in L-dopa & E. faecalis-treated mouse compared with L-dopa-treated mouse, co-administration of bacteriophage cocktail with the cells did not change those concentrations, which means that the bacteriophages selectively removed E. faecalis cells and their TDC activities in the mouse gastrointestinal tract. Taken together, bacteriophage cocktail targeting E. faecalis can be a useful L-dopa adjunct for the treatment of PD. 지난 20년에 걸친 집중적인 연구에도 불구하고 장내 미생물군에서 특정 개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약리학적 수단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MPTP에 의해 유발된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마우스 모델에서 레보도파를 도파민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소인 tyrosine decarboxylase (TDC)를 만들어내는 Enterococcus faecalis (E. faecalis)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용균성 박테리오파지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MPTP를 주입하기 하루 전날부터 E. faecalis를 감염시키는 박테리오파지 (PBEF62, PBEF66 및 PBEF67) 칵테일 (4 X 1010 PFU/200 μl/day)과 E. faecalis 세포 (2 X 109 CFU/200 μl/day)를 2시간 간격으로 존데를 이용하여 매일 경구 투여했고, 총 13일간 지속되었다. 레보도파는 MPTP 주입과 동시에 12일 동안 매일 투여하였다. 마우스의 대변 내 E. faecalis세포와 박테리오파지의 상대적 풍부도는 각각 투여 후 8시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했고, 점차적으로 씻겨 나갔다. E. faecalis 세포의 투여는 rotarod, cylinder 및 Y-maze 실험으로 평가된 MPTP 유발 행동 장애에 대한 레보도파의 회복 효과를 완전히 억제한 반면, 경구 투여된 박테리오파지 칵테일은 E. faecalis의 치료 억제 효과를 예방했다. 혈장 및 뇌에서의 도파민 농도는 레보도파가 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레보도파와 E. faecalis가 함께 처리된 마우스에서 감소되었지만, E. faecalis세포와 박테리오파지 칵테일의 병용 투여는 이러한 농도를 변화시키지 않았으며, 이는 박테리오파지가 선택적으로 E. faecalis 세포를 제거하고 마우스 위장관에서의 TDC의 활성 역시 감소시켰음을 의미한다. 종합하면 E. faecalis 박테리오파지 칵테일의 정밀한 미생물 제거 효능은 경구 투여된 레보도파가 뇌로 흡수되기 전에 장 내에서 대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이는 주된 파킨슨병 치료제인 레보도파의 효과적인 보조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同期 驅動形 移動로봇의 自律走行을 爲한 經路計劃과 位置測定 技法에 關한 硏究

        홍준표 仁荷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구동 메커니즘에 따른 적절한 제어 운동 방정식이 필요하며, 자율적인 이동을 위해서는 경로 계획과 이동 중에 로봇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 구동형 이동 로봇의 제어를 위한 운동 방정식, 주어진 지도 내의 목표 지점으로의 최적 경로 생성과 경로 추적을 위한 경로 계획, 그리고 이동 로봇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균등·군집 몬테카를로 위치 측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동기 구동 방식은 어느 방향으로나 이동이 가능한 홀로노믹 특성을 가지며, 유사 특징을 갖는 전방향 바퀴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며 최근 들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기 구동형 로봇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운동 방정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동기 구동 방식의 로봇에 적용하기 위한 운동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이동 로봇이 자율적으로 목표 지점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환경 지도와 경로 계획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동 로봇의 자율 주행을 위한 광역 경로 계획과 국부 경로 계획을 제안하였다. 광역 경로 계획기는 목표 지점까지 이동하기 위해 개선된 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굴곡이 적은 최적의 경로를 생성한다. 국부 경로 계획기는 로봇의 주행 중에 실행되며, 수립된 광역 경로를 추종하면서 예상치 못한 장애물을 효율적으로 회피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동적 윈도우 기법과 더불어 현재까지 이동 로봇의 위치 추정을 위해 사용되어온 칼만 필터를 이동하는 장애물에 적용함으로써 장애물의 위치와 이동 방향을 예측하여 충동을 회피하는 국부 경로 추적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장류 주행 이동 로봇은 광역 경로를 신뢰적으로 추종하기 위하여 주행 중에 자신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측정해야만 한다. 최근 들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몬테카를로 위치 측정 기법은 확률적 표현으로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와 불확실한 장애물을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기존의 몬테카를로 위치 측정 기법은 예상치 못한 장애물과 윳한 형태로 구성된 환경 내에서 측정 오류를 자주 발생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균등 분포와 군집 관리 기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몬테카를로 위치 측정 기법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는 균등·군집 몬테카를로 위치 측정 기법을 제안하였다. 동기 구동형 이동 로봇을 이용한 실제의 주행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근사 운동 방정식에 의한 이론적 궤적과 실제의 주행 궤적이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주어진 변환 속도와 회전 속도로 제어되는 로보의 이동궤적에 대한 추저깅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경로 계획 모의실험을 통해 동적 윈도우 기법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최대 20cm/s의 속도로 움직이는 장애물을 23.5cm의 여유 거리를 두고 주행한 반면, 칼만 필터 기법을 혼합하여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최대 30cm/s의 속도로 움직이는 장애물을 2.84cm의 여유 거리를 두고 주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동 로봇의 위치 측정 실험을 통해 총 73회 반복된 위치 측정에서 기존의 몬테카를로 위치 측정의 평균 주행 속도가 12.8ms로 측정된 반면, 균등·군집 관리 몬테카를로 위치 측정의 평균 주행 속도는 9.3ms로 측정되었다. 또한 기존의 몬테카를로 위치 측정 기법이 위치 측정에 실패하는 동일 환경에서 균등·군집 몬테카를로 기법은 올바른 위치 측정의 결 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제안된 동기 구동형 이동 로봇을 위한 근사 운동 방정식, 광역 경로 계획, 국부 경로 계획, 그리고 동적 윈도우와 칼만 필터를 이용한 장애물 회피 기법은 이동 로봇의 자율 주행을 위한 경로 추적에 효율적인 제어 기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균등·군집 몬테카를로 위치 측정 기법은 다양한 이동 로봇의 위치 측정을 위해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t is necessary to have an appropriate motion equition which accords with its driving mechanism to control a mobile robot and it is vital for self steering to have a proper path planning and current location tracking technique.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 motion equation to control synchro drive mobile robot, a path plan to compute and track the best path to given destination and a technique utilizing uniform distribution and cluster management based Monte Carlo localization to have track current position of moving robot. Synchro driving has the holonomic characteristic, and the device can move to any direction. Its simpler design compare to omni-directional wheel which gas similar characteristic makes it widely utilized in recent days. To control a synchro drive robot, a proper motion equation is necessary.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 practical motion equation for actual synchro drive robot application. An environmental map and a path planning are vital for a mobile robot to reach given destination. In this study, a global and local path planning method is proposed for robot's self steering. The global path planner utilized an improved A* shortest path searching algorithm to provide best pathway with minimum irregularity. The local path planner tracks the planned global path and provieds effective evasion capability for unpredicted obstacles.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 local path tracking method, applying Kalman filter to moving obstacles to enhance the traditional dynamic windows method to evade dynamic obstacles by predicting their positions and moving directions. It is necessary to perform rapid localization on given map to ensure the correct global path tracking. Widely used Monte Carlo localization method calculated robot's position by utilizing probability. It is suitable to outline various forms and unpredictability of obstacles. However, this method produces rather occasional errors with unpredicted obstacles and in environments with many similarities.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uniform·cluster Monte Carlo localization method utilizing uniform distribution and cluster management to the enhanced method. Ti has been confirmed by actual driving test theoretical pathway is identical to actual navigation pathway and it has been also confirmed that the robot's pathway controlled by given velocity and angular velocity is traceable. Simulation showed that robot with dynamic window method only could evade obstacles with the maximum velocity of 20cm/s in 23.5cm apart. However, with Kalman filter applied dynamic window method produced 28.4cm distance apart with obstacles with maximum velocity of 30cm/s. In the localization test which was repeated 73 times resulted as following. The average process time of original Monte Carlo localization was 12.8ms. The proposed cluster management Monte Carlo localization resulted 9.3ms. Also the proposed method resulted correctly in the cases where orginal method failed. We hav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approximated motion equation, global path planning, local path planning, obstacle evasion method utilizing dynamic window with Kalman filter applied for synchro driving mobile robot are effective method for controlling self navigation. We have also confirmed that uniform·cluster localization method is applicable to various mobile robots in need of localization.

      • 국내 유통되는 인스턴트커피에 함유된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

        홍준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elucidate flavor compounds present in instant coffee preparations commercially available. For this purpose, collect flavor components from hot coffee drinks using Head 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HS-SPME) method, and identify those flavor compoudns by GC-MS/MS(Gas Chromatography-Mass/Mass) spectrometry. Analytical results showed that instant coffee preparations, commercially available ( 7 kinds from 3 company), contain pyrazines and furans as major flavor components, although their compositon and contents differed among them. Common major components with roasted or toasted flavor are methyl pyrazine belonging to a pyrazine, and pyridine, a pyridine. A major component with sweety fruit or caramel flavor is 3-furaldehyde belonging to a furan, and major components with ether flavor are 1H-pyrrole-2-carboxaldehyde and 1-methyl- pyrroles belonging to a pyrrole. In particular, pyrazine, 2,6-diethyl-, 2-furancarbox aldehyde, 5-methyl-, 4-hydroxypyridine, 1H-pyrrole and 1-(2-furanylmethyl)- were detected as components which were not found to be present in other coffee preparations. Meanwhile, flavor compound such as trimethyl-pyrazine was not detected. Based on these results, GC-MS/MS analysis employing Head Space-Solid Phase MicroExtraction(HS-SPME) will be utilized as a new method for quality control of commercial coffee products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