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엘리뇨 현상과 한국의 지역별 강수량 분포의 관계

        홍준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well known that the anomalies that arise in the tropical Pacific during particular years have fsr-reaching implications and that they are among the major climatic variations of these 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fcts of El Nin~o on the distribution of regional Precipitation of Korea. Monthly precipitation for the period of 1972-1996 at 46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The years of EI Nin~o, La Nin~a were determined after the JMA (Japan Meteorology Agency)-SST (Sea Surface Temperare) Index Value developed by Nun~ez et al.(1995) Because of the regional differences of precipita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orography and variance of annual precipitation, the standardized anomaly was calculated to compare the variation of precipitatio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El Nin~o, La Nin~a and normal years. In EI Nin~o year,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ncreased more than 40 percent for the period of rainy season such as April, May, June, September and October. The rate of increase is much great (90 percents) during winter months (November, December and February) and August. However, the increase of rainfall in August is related with Changma, and typhoon. The duration of typhoon is longer in the EI Nin~o year than in normal year, on the other hand, it is shorter in the La Nin~a year. On the contrary the rainfall decreased in february, July and August in whole area in La Nin~a years. Drought Is less frequent in El Nin~o year, but high frequency in La Nin~a year. Nevertheless, El Nin~o and La Nia year is a net of discontinuous phenomena, There is a necessity of accumulated data of these events for systematic study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EI Nin~o and La Nin~a on the regional precipitation of Korea.

      • 개혁주의 '찬양신학'의 가능성

        홍준석 총신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세기 후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예배의 형태가 다양해져 가고 있다. 전통적인 ‘말씀’과 ‘성례’ 위주의 예배의 모습에서 ‘찬양’과 ‘경배’가 주로 행해지는 소위 ‘열린 예배’로 변모하고 있다. 이런 흐름과 함께 찬양의 모습과 장르도 이전과는 사뭇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찬송가의 주제는 ‘송영’, ‘경배’, ‘찬양’, ‘성부’, ‘성자’, ‘성령’, ‘그리스도인의 삶’ 등 믿음 생활 전반을 아우르는데 비하여, ‘열린 예배’에서 주로 불리는 곡들은 ‘그리스도’, ‘성도의 열정’, ‘기쁨’ 등의 신앙생활 일부에만 초점 맞추고 있다. 실제로 80~90년대에는 한 교회 안에서 연세 드신 성도님들과 청년들이 함께 예배할 때에 선호하는 찬양의 장르가 달라 갈등을 빚기도 했었다. 교회 어른들은 전통으로 내려온 찬송가와 찬양대의 성가 정도만을 교회 안에서 인정했다. 이에 비해 젊은 세대는 미국에서 흘러들어온 역동적인 복음성가와 CCM에 큰 관심을 가졌고 교회 안에서 행해지기를 원했다. 이러한 갈등이 한 동안 교회 안에서 계속되다가 언제부터인지 ‘열린 예배’가 평일 집회나 부흥회의 개념이 아닌 주일 예배의 한 모습으로 도입되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난 요즘, 보수 진영의 많은 교회에서도 대예배 중 전자 기타, 드럼, 신디사이저 등을 활용하는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이 연주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에는 복음성가와 CCM이 터부시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난 오늘날 복음성가와 CCM을 예배 중 연주하는 것이 긍정적인 시도로 혹은 필수불가결한 시대적 요청으로 평가되는 역전의 현상을 목격하고 있다. 즉, 이러한 시도를 세대 간의 선호하는 찬양 장르의 차이를 극복하고, 전통 예배와 열린 예배를 나눔으로써 해결하려는 긍정적인 시도로 보는 것이 대세가 되었다. 그러면 ‘이러한 현상에 대해 신학도와 예비 목회자로서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인가?’ 또한 ‘과연 무비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이러한 시도가 신학적으로 옳고 타당한 것인지’에 대한 질문은 꼭 필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참된 예배란 무엇인가?’와 ‘온전한 찬양은 어떤 것인가?’라는 두 가지 질문은 해석학적 순환관계에 있고, 이러한 순환관계의 고리를 무시한다면 그 예배와 찬양은 목적을 잃어버린 무의미한 것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종교 개혁시대 개혁주의 신학자들을 살펴보면 철저히 자신이 추구하는 신학에 입각한 각각의 찬양에 대한 관점을 피력했고, 실제 목회에서도 이 관점을 적용했다는 사실을 교회사 속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한국 교회에서 찬양에 대한 신학적 입장은 애매모호하다. 이와 더불어 CCM 논쟁은 잠정적으로 ‘열린 예배’ 측의 판정승으로 기우는 양상까지도 보여진다. 과거에 교회 어른들은 CCM에 대해 반대하면서 권위적인 태도로 일관했다. 논리적이거나 학문적인 접근 보다는 CCM 자체를 터부시하는 감정적인 비판 행태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젊은이들은 지속적으로 교회 안과 밖에서 CCM에 대한 열정을 불태웠고, 결국 시간이 흘러 이러한 젊은이들이 교계와 신학계에 자리를 잡게 되자 감정적으로 뿐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CCM 논쟁은 불필요한 것이라는 헤게모니(Hegemony)가 한국 교회의 찬양을 움켜쥐고 있다. 그러면 이러한 경향에 대한 개혁주의 신학을 하는 우리는 어떤 태도를 견지해야 하는 것일까? 이런 경향을 무비판적으로 따르거나 방관하는 것은 신학도로서 옳은 것일까?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문화적, 음악학적 관점과 더불어 성경 신학, 조직 신학, 교회사의 다각적인 측면에서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중소기업 임직원의 정보 보안 정책 준수에 미치는 주요 인자 연구 -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

        홍준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전 세계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들었으며. 이러한 발전으로 기업의 업무 및 생산성 증대에 크게 이바지 하였다. 그러나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이면서 정보 보안 위험도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멜웨어, 랜섬웨어, 해킹 등 다양한 정보 보안 위협들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위협으로부터 사회 경제적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보안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보안 투자여력이 적은 중소기업들의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다. 그러므로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임직원들의 정보 보안 준수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정보 보안 사고 및 기술유출 사고는 정보 보안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 웨어가 잘 설치되어 있더라도 인적인 요소에 의해서 발생 할 수밖에 없다. 정보 보안의 인간 행동 관점은 정보 보안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정보 보안 관리에서 인간의 행동은 정보 보안 정책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정보 보안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중소기업 임직원의 정보 보안 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소기업 임직원들의 정보 보안 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선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 보안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중소기업의 임직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36명으로부터 응답받은 설문지를 바탕으로 구조 방정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중소기업 임직원들에게는 계획된 행동 이론의 인자들 보다는 보호 동기 이론의 인자들이 더 중요한 인자로 평가되었고, 습관과 예상되는 후회 인자가 정보 보안 정책 준수의 기여도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 중심 인자의 값을 줄이기 위해서는 반응 비용의 값을 줄이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 분석 결과는 ‘중소기업 임직원들은 정보 보안 정책의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리고, 부담이 되고, 비용이 많이 든다’라는 설문과 ‘조직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 정보 보안 정책을 위반할 수 있다’ 등 ‘상황에 따라 정보 보안 정책을 위반할 수 있다’라는 설문들을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업종별, 규모별, 임직원 수에 따라 정보 보안 정책 준수 인자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제안한다면 먼저, 습관과 예상되는 후회 인자가 중소기업 임직원들의 정보 보안 정책 준수에 대한 기여도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정보 보안 정책의 준수를 위하여 월간회의 시 또는 임직원 대상 간담회, 또는 법정 의무 교육에 앞서 중소기업 구성원들에게 정보 보안 정책 준수의 필요성에 대해 적극 알려야 할 것이고, 회사 차원에서 정보 보안 정책의 규정, 규칙, 가이드를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수립하고 임직원들이 정보 보안 정책 규정을 잘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반응비용과 감정중심의 대처가 정보 보안 정책 준수에 대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의 임직원 대상으로 정보 보안 정책 준수를 위한 교육과 모의훈련을 정기적으로 비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정보 보호 정책 준수에 대해 의지를 확고히 하여야 하며, 정보 보호 정책 준수에 따른 결과를 전후 비교하여 준수 능력에 대한 중소기업 임직원의 신뢰성과 자신감, 확신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차원에서 운영하는 기술보호 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보안 전문지식과 보안투자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는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중소기업의 보안 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정부에서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는 기술보호 콘텐츠, 기술보호지침 및 가이드, 보안 전문가 상담, 보안설비 구축비용 지원 등을 활용한다면 단기간에 정보 보안 정책 준수 의식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made the world a single network and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business and productivity of companies. However, as a single network, the risk of information security is increasing. Various information security threats such as malware, ransomware, and hacking are emerging, and many social and economic damages are occurring from these threats. In particular, the risk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at lack security experts and have little security investment capacity is increasing. Therefore, for SMEs, it is important for employees to comply with information security. Information security accidents and technology leakage accidents are caused by human factors even if hardware and software for information protection are well installed. The human behavioral perspective of information security is a very important field in information security research. In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human behavior is influenced by ISP(Information Security Policy).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ways to improve the information security of SMEs by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ISP compliance of SME employees. This study selected factors that influence the ISP compliance of SME employe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a research to improve the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For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for executives and employees of SMEs, and the data received from 436 people was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shows that the factors of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were evaluated as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the planned behavior theory for SME employees, and shows that the habit and expected regret factors have grea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ISP. In order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ISP, it is necessary to make it a habit to perform tasks according to the ISP, and to make the employee regret if the ISP is not followed.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emotion-centered factor has a very large negative effect on th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reduce the value of the emotion-centered factor, it is necessary to decrease the value of the response cost factor and increase the value of the response efficacy factor.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data show that the questionnaires on the emotion-centered factor, like it is time-consuming, burdensome, and expensive for SME employees to comply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ISP, and the questionnaires on the response cost factor, like it is OK to violate the ISP if no harm is done, were answered as normal or yes. In addition, the values ​​of factors related to compliance with the ISP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business, size, and number of employee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since the habit and expected regret factors contribute to the ISP compliance of SME employees very large, SME employees should be actively informed about the necessity of complying with ISP in monthly meetings with employees or legal compulsory training. At the company level, the regulations, rules, and guides of ISP should be established, and employees should be well aware of these regulations, rules, and guides and practice them habitually, and they should regret it if they do not follow them. Second, in SMEs,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centered coping had a very significant effect on compliance with the ISP. SMEs should strengthen their commitment to complying with the ISP by regularly conducting training and mock training to comply with the ISP for employees. Also, the reliability, confidence, and certainty of SME executives and employees in the ability to comply with ISP should be reinforc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compliance with the ISP. Lastly, by actively utilizing the technology protection support system operated by the govern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curity level of SMEs that lack security expertise and security investment capacity with little effort and cost. If the technology protection content, technology protection guidelines and guides published regularly by the government, consultation with security experts, and support for the cost of building security facilities are utilized, it will be possible to raise the level of compliance with ISP in a short period of time.

      • 한·중간 수출경쟁력 비교우위 분석 : 양국간 제조업을 중심으로

        홍준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자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정책 추진으로 수출상품의 형태도 노동집약적 제품과 함께 자본집약적 제품의 비중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한국·중국간 수출 경합상품이 과거의 경공업제품에서 이제는 우리의 주력 수출품목이라고 할 수 있는 기계류, 전기·전자부문에까지 이르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의 이러한 수출경쟁력 강화는 대외수출에 중요한 비중을 두고있는 우리에게 위협요소가 아닐 수 없다. 특히, 중국은 일본, 미국과 함께 3대 무역대상국이자 최대 무역수지 흑자국으로 자리잡고 있는 효자 수출시장이기 때문에 중국 상품의 경쟁력 강화는 중국 내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 한국의 수출 증대에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韓·中間 輸出競爭關係를 비교분석 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분석으로 첫째, 중국의 세계시장으로의 편입이 가속화되는 과정에서 자국상품의 수출경쟁력이 크게 강화되고 있음을 감안하여 한국·중국간 품목별 對미·일 시장에서의 수출점유율을 비교해 보았다. 이 결과, 1990년 이후 중국의 수출은 한국을 추월하였으며, 수출 상품구조에 있어서도 점차 고도화되는 추세를 보여 한국의 주력 상품군의 수출비중도 조만간 중국보다 뒤쳐질 처지에 놓이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顯示選好比較優位指數와 貿易特化指數를 이용하여 韓·中間 35개 제조업 부문별(SITC 분류기준) 수출경쟁력을 검토해 본 결과, 한국은 중국에 비해 점차 수출경쟁력이 열세를 보이는 품목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전자, 기계류 등 자본집약적인 산업에서 조차 중국에게 추월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중간 수출경쟁력 분석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수출경쟁력을 결정하는 임금, 금리, 물가, 환율 등 다양한 가격변수를 검토해 보았다. 이 경우에도 한국이 중국에 비해 가격경쟁력 면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는 것은 물가수준에 한정되어 있어 전반적으로 한국의 수출경쟁력이 중국에 비해 크게 열세에 놓여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중국의 가격경쟁력 우위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중국의 全세계 수출시장에서의 점유율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여진다. 결국 한국은 정책적으로 한·중간 수출경쟁관계 분석에 기초하여 나타난 수출 경쟁 우위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경쟁구도를 재편제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the comparative advantage in export manufacturing sectors of Korea and China. To achieve this objective, first, I present China's current condition and compared Korean and Chinese export sectors to U.S and Japanese market. Second, I utilize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and Trade Specialization Index of Korea and China. Third, I made some empirical study on several regression equations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wage, interest rate, price, exchange rate and export.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over the years Korea has been increasingly at a disadvantage in most manufacturing sectors and price variable, compared with China. This kind of condition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Therefore, Korea will need to stabilize the above mentioned price variabl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export industries.

      • Gasification 슬래그 해석을 고려한 가스화기 최적운전 연구

        홍준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Using 3D CFD placing an emphasis on the slag outlet for the smooth operation of the Shell-type gasifier was a study of the optimal operation considering the slag analysis. It is introduced ash/char particle capture sub-model for slag analysis. The O2/Coal ratio and steam/coal ratio of optimal driving conditions was derived through comparison analysis of ash composition, temperature distribution, cold gas efficiency and slag capture depositions about various O2/Coal ratio and steam/coal ratio targeting sub-bituminous coal.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O2/Coal ratio, cold gas efficiency was reduced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increased. slag capture depositions were increased until O2/Coal ratio 0.83, but after increased up to 0.83, slag capture depositions were maintained at the constant level. As Steam/Coal ratio was increased when increasing Steam/Coal ratio on the basis of O2/Coal ratio 0.83, cold gas efficiency was increased,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decreased and slag capture depositions were maximum to Steam/coal ratio 0.5. So O2/Coal ratio and Steam/Coal ratio of the gasifier optimal operating condition was derived to each 0/83, 0.05 considering the slag analysis.

      • 저예산 영화의 제작 방식 연구 : <미국인 친구>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홍준석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have studied so far the ways for effective system that incorporates production, distribution, promotion and marketing of low budget movies. In addition, we studied the ways to generate income model through window diversification after the production. What a valuable try has been made for the last 10 year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was production of low budget film, which is also known as independent film, diversity film or art movie. The growth of such low budget film was noteworthy amidst qualitative increase in Korean movie. The success cases of low budget film implicates that the movies produced and distributed in minor area can be commercially accepted by viewers. Success of low budget film indicates that films of various contents and forms are accepted by viewers. And screening of unique and unusual movies in many theaters fits the purpose of multiplex theater and also proves that the movie culture has been diversified and matured. However, still problems are prevalent in the curren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reality of low budget movies. One of the reasons why low budget movie has not been developed includes absence of reasonable production system. Some ways can be sought after including public production support and improvement of production environment;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discussion on establishment of new system should be made along with an effort to improve a degree of completeness of the movies. We found out that what should come along is a planning ability that can encompass the entire production situation. Continuous increase in profit generated from planned movies affect foundation for the existence of various types of low budget movies and enriches the soil of the movie industry. To expand the planning ability, the planning workforce infrastructure specialized in low budget mov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it should integrate development of item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creening. The workforce is a specialist who can build up a master plan from planning to screening and is producer and film maker who are the major player in the movie production. A thorough preliminary planning process should be made by film directors and producers in order to minimize production cost and to make higher quality movies. And above all, we can’t deny that individual’s capability and will come before anything else in creating low budget movies. After wonderful planning and thorough preliminary preparation, a high wall of financing the production is waiting. What should be done with urgency in improving poor production environment is to come up with the measures to provide payment to staff members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government’s current policy support system. As a way to support the labor cost, it i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that producer, director, actor and other staff members cooperate in production and divide the profit after the production, which could reduce tax burden on producers and investors. And disadvantageous distribution and screening system to minor film groups is also a huge stumbling block for low budget movie from developing. Low budget movie is made on a small scale capital of an individual or support from film organizations or cultural organizations, which separates the films economically and psychologically. Most of the works are done by a director himself not a specialized team and it’s very difficult to show the movie on screen to the viewers once it is completed. Therefore, normally, the least amount of production cost is hardly recovered through screening. The fundamental way to break such a vicious cycle is to secure stable distribution network of low budget films. When a system is established that guarantees a recovery of minimum production cost through stable distribution network, whether it is institutional support or private capital, the production conditions for low budget movie will see a huge improvement and the potential of the entire domestic film industry will increase. As a way to profit diversification through stable distribution network, it is desperately required that government provides support and distribu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Of course it is also important for producers themselves to secure distribution network and theaters in the fast changing optional publication rights market. Produces can use an increasing number of various cultural spaces of local governments for screening in addition to existing art movie theaters as a way. And the way to unifying distribution and screening by public organizations should be studied in following researches. There are clear reasons why low budget movies should be produced actively an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m. With its free and bold creation activity breaking from commercial or public values, low budget movie has a huge potential to contribute a lot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film industry with diversity and abundance. And by pioneering new themes and genres, they could become a fundamental alternative to overcome difficult situations in a movie industry. Producers of low budget movies can produce various movies and also build up a foundation to enter the major stream. With their accumulated planning ability, experiences in creative work and workforce, they can produce various types of movies, which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ound and stable production system in the Korean film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when low budget commercial film with commercial planning power and art movies whose values are evaluated as they are coexist in the low budget film market and when they are mass produced, the foundation for generating more income will be established. For that matter, continuous policy supports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provided until the environment where low budget movies generate profit self-sufficiently is created and continuous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 should be made on them as a follow-up measure in the field and in the academia. 현재 저예산 영화들의 제작과 배급의 현실을 살펴보면 많은 문제점들이 산적해 있다. 지금까지 저예산 영화들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 중의 하나가 합리적인 제작시스템을 구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공적인 제작지원과 제작환경 개선 등 여러 방법들을 모색해 볼 수 있겠으나 가장 중요한 것은 새로운 제작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논의와 함께 저예산 영화들의 작품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동반 되었던 것이 바로 전체 제작상황을 아우를 수 있는 기획력임을 알 수 있었다. 기획된 영화들의 수익 창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다양한 저예산 영화들의 존재 기반을 닦고 영화산업의 토양을 풍성히 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획력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아이템을 개발하고 제작, 배급, 상영의 모든 과정을 통합하는 저예산 영화의 전문 기획인력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전문 기획인력이란 기획부터 상영까지의 마스터플랜을 세울 수 있는 능력 있는 전문가를 말하는데 그 중심에 서 있는 사람들이 바로 제작의 주체인 프로듀서와 감독이다. 제작비를 최소화 하고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감독과 프로듀서의 철저한 사전준비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저예산영화의 창작에 있어 개인의 역량과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다. 훌륭한 기획과 철저한 사전준비 이후에도 제작비 조달이라는 높은 장벽이 기다리고 있다. 정부의 현행 정책적 지원제도의 확충과 더불어 열악한 제작환경의 개선에 급선무인 것은 스텝의 인건비 지원방안이다. 인건비를 보조하는 방법으로는 제작자와 감독, 연기자, 스탭들이 협력하여 제작 후 수입의 분배를 나누는 동인제 방식의 제작을 전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며 제작사와 투자사에 대한 세제혜택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비주류 영화집단에 절대적으로 불리한 현재의 배급, 상영시스템 또한 저예산 영화가 활성화 되는 데에 상당한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저예산 영화는 개인의 소규모 자본이나 영화단체나 문화단체의 도움을 받아 제작을 하는 것으로서 경제적, 정신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대부분의 작업을 전문화된 팀이 나누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감독 자신이 보통 거의 모든 작업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설사 작업을 완성했다고 하더라도 그 영화를 스크린을 통해 관객들에게 보여주는 것이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영화 상영을 통한 최소한의 제작비 회수조차 힘든 상황이 되기 일쑤이다.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근본적으로 끊어 버릴 수 있는 것은 저예산영화들의 안정적인 배급망 확보이다. 제도적 지원이 되었든 아니면 민간자본의 영역이 되었던지 간에 안정적인 배급망을 통해 최소한의 제작비 회수만이라도 가능한 시스템이 정착이 된다면 저예산 영화의 제작여건은 크게 향상되고 이는 곧 국내 영화전반의 잠재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안정적인 배급망을 통한 수익다각화의 방법에서 일차적으로, 제작사 스스로 급변하는 부가판권시장의 유통망과 상영관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부차원에서의 배급, 마케팅 전략과 지원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기존의 예술영화 전용관 뿐 아니라 급증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문화시설 공간을 이용한 상영관 확보도 방법이 될 수 있고 공공기관에서 공동으로 배급, 상영을 일원화시키는 방법도 차후 연구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저예산 영화를 활발하게 생산하고 정부차원에서 지원해야 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상업성과 대중성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과감한 창작활동을 함으로서 한국영화산업이 보다 다양해지고 풍요롭게 발전하는 데에 이바지할 가능성이 지대하고 새로운 소재와 장르를 개척함으로서 이후 한국영화산업 전반의 시장성이 악화되었을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근원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저예산 영화의 제작주체들은 한편으로는 보다 다양한 영화를 양산해내고 또 한편으로는 주류 영화계로 진출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기 위한 창작의 경험을 쌓으면서 이들의 축적된 기획력과 인력 등이 향후 다양한 형태의 영화를 생산해 나갈 때 미래의 한국영화산업은 건강하고 안정적인 제작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저예산 영화 시장에서, 상업적 기획력을 가진 저예산 상업영화와 작품 자체의 가치가 평가 받을 수 있는 예술영화가 공존하며 다량생산 될 때 보다 많은 수익창출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저예산 영화가 자생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정부 및 지방자치기관의 꾸준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차후에 현장과 학계에서의 꾸준한 보강과 수정이 계속 진행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