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치성향에 따른 스포츠선수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 차이

        허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포츠선수는 경기력과 외모 등 외형적인 요소들에 의해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고, 스포츠팬들은 이런 이미지를 통해서 선수에 대한 태도를 가지게 된다. 선수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는 단순히 외형적인 요소에 의해서만 생기는 것이 아니라 그 선수가 가지고 있는 개인적인 특성들에 의해서도 형성되는데, 정치성향은 개인을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특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정치성향이 정치성향을 띄는 선수와 사회공헌활동의 정치성향에 따라 선수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사전조사를 통해 선수의 정치성향 시나리오 조작 검증을 실시했고, 선수의 정치성향 시나리오와 기부 시나리오를 각각 진보와 보수로 나누어 2*2로 조합하여 총 4가지 유형의 설문을 제작했다. 각 시나리오 제시 후 선수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를 측정했다. 총 318명이 설문에 참여했으며, 기술통계분석, 일원·이원 분산분석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정치성향은 선수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에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 둘째, 개인의 정치성향과 일치하는 선수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는 더 긍정적이다. 셋째, 기부는 개인과 선수의 정치성향에 관계없이 긍정적인 행동으로 인식된다. 넷째, 진보 성향이 강한 집단은 보수 성향 집단보다 다른 정치성향의 선수에 대해 더 배타적인 입장을 갖는다. 본 연구는 정치성향을 이용하여 선수에 대한 이미지와 태도를 파악한 최초의 시도로써 그 학문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선수의 정치성향을 팀 및 선수에 대한 마케팅 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image of an athlete is formed based on his or her performance as well as personal aspects such as appearance while sport fans form attitudes about the athlete based on their images. However, an athlete’s image and fans’ attitudes are not based entirely on external characteristics. Rather, how an athlete is perceived by fans can also be influenced by the athlete’s inherent aspects. Political orientation is one of the most inherent features that people use to both display as well as make inferences about others. Furthermore, athletes are often involved in many donation activities that can, in themselves, carry a particular political orient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alignment or misalignment of an individual’s political orientation with the athlete’s political orientation and charitable activity’s political orientation affect the perceived image and attitude regarding the athlete. A pilot study was conducted as a manipulation check to confirm that the athlete’s political orientation was adequately inferred by participants.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with a 2 (progressive donation activity vs. conservative donation activity) X 2 (progressive athlete vs. conservative athlete) experimental design. Data was collected from 318 participants through random selection an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political orientation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to test for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st groups. First, the athlete’s image and attitud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cipants’ personal political orientation groups. Secondly, participants’ evaluation of the image and attitude is more positive when the participant’s and athlete’s political orientation is aligned. Thirdly, the donation activity is perceived as a positive act regardless of the athlete’s political orientation. Lastly, the strong progressive group reported the least favorable perceptions about the athlete when their political orientation was misaligned with their own. This study is the first to utilize political orientation in a sport setting. Moreover, the current study holds practical relevance by displaying that political orientation could be a factor to be used as a marketing tool for sport teams and athletes.

      •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 연구

        허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을 통해서 민족문학사를 대리보충하는 젠더적 독법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정전화된 한국소설사를 재구하고 분과화된 여성문학의 장을 확장하였다. 한국소설사에서 남성성은 보편주체이자 성맹적인 것으로, 성적 억압의 중추이거나 가부장제 자본주의, 식민지 제국주의의 표상으로 간주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남성성 역시 구성된 젠더라는 점을 밝히며 다양한 남성성/들의 수행성에 주목함으로써 남성성을 탈구축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1950년대 한국사회가 호전적 남성성을 호명하는 반공주의의 배면에 이에 대항하는 젠더 수행성을 생산하고 있다는 데 기인한다. 해방 이후 한국사회는 식민지배로 인해 거세된 남성성을 회복하고, 민족국가를 재건하기 위해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요청하였다. 탈식민이 군사화된 청년이라는 젠더화된 방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과잉 남성성은 한국전쟁을 통해 가시화된 적의 존재가 치안국가를 촉발하였기 때문이다. 이 치안국가는 과잉 남성성을 국가로 회수하는 과정에서 젠더 규범의 변화를 가져온다. 생존을 위해 여장을 선택한 청년들과 여성동성사회를 건설한 여성국극배우들은 1950년대의 젠더 규범이 다양한 ‘되기’의 과정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1950년대의 남성 젠더 수행성을 염상섭, 정비석, 손창섭의 소설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1950년대 문단을 대표하는 남성작가들로, 당대성을 배경으로 연애와 결혼, 가족과 국가의 문제를 재현하였다. 염상섭은 의사 장남의 결핍된 남성성을 통해 멜랑콜리의 미학을 보여주었다. 통속성에의 함몰로 일컬어지는 1950년대 염상섭 소설은 역전된 삼각관계를 통해 남성주체의 몸을 거래한다. 청년들은 소비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연애 수행을 통해 교환관계를 가시화하고, 이 과정에서 남성주체들은 경제력을 가진 여성주체들에 의해 대상화된다. 이러한 남성성은 부계 공동체의 약화로 이어진다. 가부장들은 아내를 의심하고, 아내들은 젊은 남자와 연애하며 자본을 증여한다. 가부장을 부정하고 극복해야 할 남성주체는 기존의 연인과 새로운 연인 사이에서 갈등하며, 가족 건설을 유예하고 미국으로의 탈출을 상상한다. 이러한 ‘아닌 것이 아님’의 부정성은 ‘해방의 아들’을 대신한 의사 장남들의 세계이다. 국가와 사회는 이들을 가부장으로 호명하지만, 의사 장남은 가부장이 되는 것을 주저하고 망설인다. 이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이라는 규범적 허구를 폭로하는 젠더 수행성이다. 남성주체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이미 탈구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남성성을 부정할 수 없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들은 세대 교체도, 민족국가도 교착된 상태에서 세계의 불완전성을 증언한다. 정비석은 남성 애국자의 형상을 통해서 양가적 남성성을 보여줌으로써 남성성의 복수성을 재현하였다. 정비석 소설의 이상적 남성주체들은 문자화된 몸으로 플라토닉한 사랑을 추구한다. 이들은 한글, 자유, 시 등 문자를 통해 사랑을 발견하고, 지고지순한 순교자적 사랑을 완성한다. 이는 ‘눈물’과 ‘고백’이라는 여성성의 수행을 통해 완성된다. 이는 남성 안의 소문자 자아의 존재를 폭로한다는 점에서 남성 히스테리로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남성 젠더의 연애 수행은 생산의 현장으로 이어진다. 과학자들로 이루어진 영웅들의 남성동성사회는 국가와 민족의 발전을 위해 자신의 사랑을 후속세대에게 양보한다. 생산현장에서 세대 교체를 실천하는 것이다. 이들은 프로파간다와 민족 그 자체로 형상화되어 계몽의 메시지를 전달한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요구하는 자유투사, 산업전사, 민족문화의 수호자 등이 되기 위해 남성주체는 자아를 비우고 기표를 패러디한다. 그 결과 이들의 낭만적 사랑은 사실상 무성애적 관계가 되고, 이들의 가족은 더 이상 재생산이 불가능한 영역에 놓인다. 순결한 남성동성사회는 오히려 그 규범을 지나치게 잘 이행하여 주체를 탈존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비석의 남성주체는 소문자 자아를 억압하고 이데올로기 그 자체가 되어야 했다. 즉 고결한 남성성을 수행하기 위해 자아를 텅 빈 기표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패러디와 연기를 통해 획득하는 남성성이라는 남성성 수행의 양가적 측면을 보여준다. 손창섭은 남성성의 비수행을 통해서 괴물적 희생양을 서사화하였다. 손창섭의 남성주체들은 이성애에 대한 공포를 드러낸다. 이는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언제든 남성을 거세할 수 있다고 상상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여자를 무서워하는 청년들은 이웃 사랑에 대한 윤리를 실천하는 주체들이기도 하다. 청년들은 이웃의 기이하게 일그러진 얼굴을 바라보고 사랑함으로써 주체와 이웃 사이의 비식별역을 가시화한다. 이성애를 거부하는 이들의 동성애적 욕망은 동성사회성을 성애화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국적(國賊)으로 형상화되는 범죄자, 동성애자 등의 남성주체는 동성사회를 동성애적 사회로 만들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중심축을 뒤흔든다. 또한 형제들 사이의 연대나 이성애적 가족질서와 같은 정상성의 세계는 폭력으로 귀결된다. 남성주체는 끊임없이 결혼을 요구받지만, 이들은 결혼을 유예하거나 거부함으로써 가부장으로서의 남성성을 부정한다. 이들에게 가족은 불공정한 교환관계이고 희생양을 낳을 뿐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예외 상태에서 손창섭의 ‘잉여’들은 정주하지 못하고 민족국가 밖을 떠돌며, 망국을 상상한다. 이는 가족장치의 질서에 균열을 내는 것이기도 하다. 군인도, 남편도, 아버지도 되지 않는 국적으로서의 남성성을 가시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희생양이지만 국가질서를 내파한다는 점에서 괴물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 비국가적 연대가 보여주는 공존의 가능성은 이들이 윤리적 책임감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직접적 군사주의와 국민에 대한 폭력적 예속으로 실존을 의심받는 시대에 어떻게 남성성을 재구성해야 할지에 답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염상섭, 정비석, 손창섭의 세 작가는 남성 젠더의 미수행을 통해 결핍된 남성성을, 규범의 수행을 통해 양가적 남성성을, 규범의 비수행을 통해 부정된 남성성을 체현하였다. 이들의 소설은 남성 젠더의 수행을 통해 남성성을 재구성함으로써 민족국가의 상상을 내파하고 새로운 젠더 규범이라는 감각의 재분배를 가져온다. 이는 1950년대 문학의 정치적 가능성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 젠더 수행성을 통해서 여성문학의 젠더적 전환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남성성을 성적 억압의 중추이자 적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남성성 역시 탈구축된 젠더임을 밝힐 수 있었다. 이는 대문자 여성이 없는 것처럼, 남성 역시 우연적이고 반복적인 수행을 통해 구성된 역사적 담론 구성체라는 점을 바탕으로 젠더 연구로서의 남성성 연구를 본격화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1950년대 한국소설의 남성성을 수행을 통한 주체의 구성뿐만 아니라 미수행, 비수행을 통한 주체의 탈구축까지 고찰함으로써 ‘젠더 허물기’의 문학적 가능성을 살폈다. 남성성의 소설사를 젠더의 눈으로 유표화함으로써 남성 작가의 작품을 헤게모니적 남성성이라는 지배적 허구에 관한 텍스트로 읽어낸 것이다. 이를 통해 1950년대 염상섭, 정비석, 손창섭 소설의 수행성/들은 남성성을 허무는 과정이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문자 남성이라는 소설사의 보편적 주체를 비헤게모니적 주체로 만들었다. 이는 그동안 민족문학사의 전사로 여겨져 온 1950년대 소설을 새로운 정치의 장으로 발굴해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남성주체의 형상을 발굴하고, 이 형상이 근대성과 길항하는 양상을 통해 삶의 새로운 형태들을 발명하는 감성적 분배를 밝힘으로써 미학적 정치성을 획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염상섭의 신문연재소설, 정비석의 대중소설, 손창섭의 비실존주의 소설 등 제도화 · 정전화되지 않은 1950년대 소설의 문학적 가능성을 재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de-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modern Korean novels in the 1950s. By analyzing male performativity, a gendered reading could be suggested that supplements the universal and objective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masculinity has been regarded as a general, scientific, and gender-blinded subject. In the field of women's literature, masculinit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sexual oppression, patriarchal capitalism, or imperialism. This paper aims to explain male gender as a complex historical discourse and examine male performativity. Doing male gender means making gender discussion turn from women's literature to a broader field of literature. With the Cold War, hostile masculinity spread through 1950's South Korean society.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and the Korean War, Korean society had a divine goal to recover the castrated masculinity of the Joseon colonial period. The interpella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was to rebuild a nation by militarized masculinity. In this environment, to become a soldier meant being a proper citizen. Therefore, women automatically became second-class citizens. This gendered over-masculinity was reinforced during the postcolonial movement. People wanted to have a great father and a well-governed family. Lee Seung-man's concept of "Uni-nationalism" was built on the identification of family and nation. In this unification,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hegemonic father-figure. Therefore, over-masculinity integrated the Lee regime with the security of anti-communism. This dynamic caused cracks in gender norms. The appearance of transgenders, such as drag queens(kukkuk) and female transvestites, was welcomed. It was a unique situ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mass culture and shows freedom of gender in 1950s. Yeom Sang-seop showed a melancholic aesthetic of semi-heir's impoverished masculinity. In his novels, young men trade their bodies for economic gain in inverted love triangles. They represent the political economy of love through the exchange of love in capitalist society. During this process, male subjects are objectified by women with financial means. Patriarchs suspect their wives are romantically involved with young men. This weakened patriarchy created the concept of "heirs melancholia." Semi-heirs hesitated to succeed the father's role. They chose not-to-choose marriage. They did not become engaged, andthenarrativeendswithanopening . The incomplete narrative indicates hesitation of choice. Male performativity reveals that the hegemonic fiction of masculinity has gone. People already know that hegemonic masculinity is dislocated, but they cannot deny it. They are stuck with an impasse in terms of masculinity. Jeong Bi-seok represents the binal masculinity of male patriots. His ideal male subjects pursue martyred platonic love with a signified body. Through tears and confessions, male subjects achieve male respectability by performing a female role. This could be a sign of male hysteria, which reveals a female ego in a male body. Jeong chooses male heroes, such as a spy, an industrial worker, and a guardian, to represent national culture. He constructs a male homosociety for industrial heroes, who give up their love for the nation. He parodies the male role that does not produce children. The pure homosociety adheres to its norms too well, so that their masculinity becomes ex-istent. Son Chang-seop represents a monstrous male scapegoat not-doing masculinity. Son's male characters are afraid of female sexuality. They feel castrated when women approach them. A draft evader and homosexuals made the homosociety become homosexual. They disturb the heteronormativity. The sons deny masculinity by refusing to marry. They regard family as an unfair exchange system. Therefore, Son's "surplus" characters have no permanent residence, and they imagine national ruin. They become nomadic subjects and destroy national govermentality. Son depicts masculinity not as a soldier, husband, or a father. This non-national citizen community, however, shows responsibility toward neighbors. They search for ways to co-exist within the politics of the exception-state. This is the answer to the re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a time of military-centered gover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study of male performativity. Due to the marked dominance of males literary history, it is possible to make male authors' works the “dominant fiction.” However, by considering doing and not-doing gender, the deconstruction of masculinity in modern Korean novels of the 1950s could have a politicalaesthetic as male performativity. I t could thereby reconstruct the canonized novels of 1950's Korean literature and open up the possibility of the gendered view of masculinity.

      • 193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모성담론 연구

        허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93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모성담론을 통해 여성주체형성과 모성담론 사이의 관계를 살펴봄과 동시에 여성작가의 텍스트 속에서 이데올로기가 내면화되는 과정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30년대는 엘렌 케이의 자유연애론과 모성보호론 등이 일본을 통해 조선에 유포되고 많은 수의 작가들이 모성에 관한 서사를 발표하여 사회의 중심적인 논의로 부각시킨 시기이다. 이 시기 발표된 여성작가들의 모성담론 역시 여성을 억압과 규제로부터 해방시키고, 여성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고 평가받아 왔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경향은 여성작가의 모성담론 역시 모성 이데올로기와 갈등, 타협하고 그에 순응하는 등의 복합적인 양상을 드러낸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1930년대 여성작가의 모성담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 장의 A항은 여성작가가 바라본 모성 이미지를 확인한 것이다. 여성이 스스로를 바라보는 시선을 통해 이데올로기의 내면화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B항은 모성담론이 가족공간과 굴절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마지막 C항은 A와 B항에서 도출된 분석을 바탕으로, 여성주체와 모성 이데올로기가 맺고 있는 관계를 서사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각 장을 토대로 30년대 여성작가의 모성담론의 특수성을 도출한 것이 Ⅴ장이 된다. Ⅱ장은 강경애의 『어머니와 딸』을 통해서 공적 영역의 주체인 영웅이 되기를 희망하고, 이를 위해 모성을 거부하는 서사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옥은 가족 /내/에서 봉준의 어머니 역할을 수행하면서 언어를 획득하지 못한 채로 침묵하는 모성성을 드러낸다. 고향집은 옥과 봉준을 모자(母子)이자 부부(夫婦)로 만드는 공간이기에 타락한 가족공간을 해체하고 가족 /외/ 공간을 지향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옥은 가족을 해체하고 이데올로기에 투신한다. 그녀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라는 숭고한 대상이 완전하다는 환상을 믿음으로써 주체를 형성한다. 옥이 남성적 영웅으로 거듭나는 동안, 어머니는 주체로서 독립하는 딸의 뒤에서 침묵을 지켜야 한다. 여성의 성장과 해방의 서사 속에는 어머니의 자리가 없는 것이다. 여성은 이데올로기라는 환상의 호명을 통해서 주체가 되고, 이를 위해 어머니를 거부하는 딸이 되어야만 한다. Ⅲ장은 이선희의 『여인명령』을 통해 ‘어머니’가 되기 위해 죽음으로써 신화적 모성이 되는 여성인물의 서사를 보여준다. 주인공 숙채는 전문학교를 다니는 신여성으로 백화점, 감옥, 술집 등 도시를 산책하는 ‘거리 위의 여성’이다. 이런 숙채의 전복성을 포장하고 있는 것은 수동성이다. 그리고 수동성은 ‘아이에게 가능한 완전을 주기 위해’ 죽음을 선택하는 매저키즘적 여성성으로 심화된다. 이때 그녀가 죽음을 선택하면서까지 지키고자 했던 것은 완전한 ‘어머니’라는 환상이다. 숙채는 모성 이데올로기 속의 상징적 의미를 획득하기 위해서 열녀로 죽음으로써 ‘어머니’가 되고, 이 ‘어머니’라는 기표는 숙채를 독립한 인격체이자 여성주체로 만든다. 여성주체는 죽음을 통해 어머니의 자리를 획득하고 가족을 복원함으로써 모성 이데올로기와 타협하는 것이다. 이 과정은 ‘어머니’라는 대상 a에 대한 환상을 경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 완전무결한 어머니에 대한 환상은 상징적 의미를 가진 죽음을 통해서만 이룰 수 있다. 실제 살아있는 어머니는 사라지고, 이데올로기 속에서 신화가 된 어머니만 남게 되는 것이다. Ⅳ장은 최정희의 『삼맥』연작을 통해 순결한 어머니에 대한 강박이 제도화된 국가모성으로 변모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삼맥』의 여주인공들은 가부장이 부재하는 불완전한 결혼생활을 한다. 이들은 질서의 바깥으로 벗어난 더러운 어머니이기 때문에 회개하고 속죄함으로써 순결한 어머니로 복귀해야 한다. 질서를 어긴 여성들이 다시 복귀하기 위해서는 순결함에 대한 강박이 요구되고, 이는 자신의 아이들 뿐 아니라 주변의 아이들까지 보살피고, 기도하며 봉사하는 모습으로 이어진다. 이것이 가족의 범주를 제도로 확장한 어머니, 황국신민인 어머니이다. 여기에는 여성주체는 가족 속 어머니를 통해서만 국민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이 숨어 있다. 이 믿음은 순결한 어머니라는 환상을 토대로 진행된다. 내셔널리즘와 파시즘에서는 순수한 민족의 혈통을 유지하고, 내부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여성은 순결한 어머니여야만 한다. 은영, 선영, 연이는 순결한 어머니라는 국가담론에 순응하기 위해 자기를 절제하고 원죄를 반성하는 것을 통해 국민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최정희는 모성을 통해 국가담론에 순응한 것이다. Ⅴ장은 30년대 문학 장과의 연관성 속에서 여성작가들의 모성담론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30년대는 20년대의 급진적 여성해방론과 40년대의 전시담론 사이에서 과도기적 양상을 보이는 시기이다. 20년대가 모성을 부정함으로써 주체성을 확보하고자 했다면, 40년대는 모성을 통해서만이 여성이 주체가 될 수 있는 사회 장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30년대 여성작가들의 모성담론은 이 사이에서 점차 모성 이데올로기가 내면화되는 방향으로 운동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이 공적 영역의 주체가 되기 위해 사회가 요구하는 모성담론과 타협하거나 그를 내면화한 순응 서사를 생산해 내야만 했던 것이다. 강경애, 이선희, 최정희의 세 편의 장편 소설은 각각 30년대 초반, 중반, 후반의 문학 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성담론의 변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이데올로기 속에서 억압된 주체로라도 살아남기 위해 이데올로기를 수용해야만 하는 여성작가들의 내면풍경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는 여성작가의 장편 서사가 모성담론을 통한 여성주체의 확립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성주체가 공적 영역으로 진입하는 30년대 문학 장 속에서 여성작가들이 벌인 투쟁의 기록을 증언하는 것이다. 이때 모성담론은 거부되거나, 타협하거나, 순응하는 양상으로 모성 이데올로기와 조응하여 주체의 생존을 돕는 방식으로 활용된다. 이는 여성주체가 생존하기 위한 방식으로 동원된 모성담론이라는 환상을 파악하려고 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모성 이데올로기가 내면화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성작가들이 모성 이데올로기를 담론화함으로써 자신의 문학사적 위치를 마련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여성소설에 대한 긍정 일변도의 연구 풍토에서 벗어나서 보다 비판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30년대 여성문학의 변화 과정을 30년대 전체 문학 장의 영향력 하에서 고찰함으로써 이데올로기를 내면화하면서까지 생존하고자 했던 여성작가들의 역사를 증언하고 30년대 모성담론의 특수성을 밝혔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thesis aims to track down on the internalization of mothering ideology in the korean women's novel as well a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subject formation and mothering discourse. 30's is the time that mothering discourses had spreaded all over Korean society by the colonial government of Japan and the intellectual class. As a part of the study about Korean women's literature in the 30's, women authors' mothering discourses has been said that they liberated women from repression by the male society and represented feminine value. This tendency, However, overlook the fact that they struggled against, compromised and accepted the mothering ideology. This is the very reason to reconsider the mothering discourses. For this reason, the three major women writers' novels in the 30's are chosen. The study of this thesis is to approach the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story and discourse in order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subject formation and mothering discourses. Section A of each chapter is about the mothering imagery in which women writer observe mother herself. Section B is about aspects of direction of mother figures by means of space. Section C, in connection with section A and B, focuses on the narratives as a complex of internalization and struggle. Chapter Ⅱ examines the narrative of denied mothering by becoming hero from the subaltern. The female heroin choose to deconstruct the family and enter the official territory. She believes in the marxism and turn into a male hero. But the awakening is so radical and repulsive that the narrative looks abstract. And to become the subject who fights for the class, she has to make the motherhood in herself silence and unseen. In chapter Ⅲ the mythical mother represents in the maternity space. She killed herself to be the 'Perfect Mother-the impossible objet a'. The female character wanders around the modern city where there are threats against her sexuality. After experiencing the fear of the outer world, she decide to come back home. It is a negotiation of a female subject who wants to be the part of Symbolic. She builds a home and make a family for her son. Becoming mother means becoming S as the psychological term. She has to die the symbolic way and follow the myth of motherhood to be S. Chapter Ⅳ looks into the institutionalized mothering in the enlarged family. Heroins are the 'dirty mothers' who have violated the moral and ethical regulation. As they hopes to be admitted as a member of a nation, they fixates on the purity which is a main idea of Nationalism and Fascism. This is the internalization of mothering ideology in 30's. These three novels are each dated from early, mid and late 30's. The earliest text in under the affects of 20's female authors and KAPF, so it could be radical and deny the motherhood. The second one is published after the disorganization of KAPF. It is in the way of Fascism in the late 30's. The last novel which was born from 1939 to 1941 shows the influence of mother ideology and national discourses. This reveals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in the 30's when New Women tried to enter the society. This thesis makes an experimental approach to the mothering discourses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female subject formation in the female literature. Thanks to the critical view, it can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ing ideology and female subject. In addition to this, it makes possible to characterize the 30's mothering discourses. The mothering discourses are under the Literature Field where the place is influenced by habitus.

      • 좌우 입력토크의 크기와 시간차를 이용한 근력보조휠체어 주행제어

        허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Push-rim Activated Power Assisted Wheelchair (PAPAW) is one of rehabilitation assistance device which combine the advantages of manual and powered wheelchair. PAPAW can reduce the user physical fatigue by measuring the user input torques applied to the wheelchair’s push-rims with sensors and generating the assistive driving torques with motors. Since PAPAW amplifies the user propulsion torques, the unbalanced user torques may result in the PAPAW driving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is paper, a new torque control scheme is proposed to improve the driving performance of PAPAW. For a PAPAW to maintain a straight driving direction, the same force must be delivered to both the right and left push-rims. However, humans typically have different strength in the right and left arms,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force uniformly at all times. As a result, the driving direction may need frequent corrections during the PAPAW operation. Toward this end, appropriate assist torques need to be generated to compensate for unbalanced propelling torques in order to maintain uniform direction in straight sections or to quickly turn the direction in curved sections. We propose a novel PAPAW driving control scheme that estimates the human driving intention by considering the temporal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torque signals as well as the proportion of both torques. Several computer simulation and driving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driving control scheme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method for straight and circular driving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