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암 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허영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암 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소진과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소재 4개의 대학병원 암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2년 10월2일부터 10월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소진, 감정노동,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사후검증, ANOVA,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1. 소진 정도는 6점 중 평균 3.18점, 감정노동 정도는 평균 5점 중 3.29점, 사회적 지지정도는 5점 중 평균 3.30점으로 나타났다. 2. 소진의 정도에 차이를 보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연령(F=15.55, p<.001), 결혼여부(t=4.93, p<.001), 교육정(F=3.80, p=.011), 총 근무경력(F=7.58, p<.001), 직위(F=6.72, p<.001), 연봉(F=13.47, p<.001), 평균 담당 환자 수(F=10.85, p<.001) 이직을 생각한 경험(t=3.49, p=.001), 병동 만족(F=13.21,p<.001)로 나타났다. 3. 소진과 감정노동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r=.58,p<.001), 소진과 사회적 지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49, p<.001). 5.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정노동(β=.43), 연령(β=-.29), 사회적 지지(β=-.29), 병동 만족도(β=-.15)로 나타났으며, 55%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는 암 병동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병원 만족도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암 병동 간호사의 감정 노동을 줄이고 사회적 지지를 높임으로써 소진을 예방하고 완화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강의 소성경화 방정식 개발과 내빙 선박에의 적용

        허영미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는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로 인해 얼음으로 덮여있던 북극해가 부분적으로 녹으면서 북극해항로가 열리기 시작하였다. 6년 이상 된 두꺼운 얼음들이 줄어들고 1년 정도 얇게 얼었다가 녹는 얼음지대가 많아졌다. 그 결과 부분적으로 바닷길 이용이 가능해지고, 두꺼운 얼음은 얇아져 쇄빙선을 이용한 항해도 가능하게 됐다. 그러나 북극항로의 운항에는 선박과 선박간의 충돌, 빙산과의 충돌, 빙하중에 의한 손상의 누적, 저온에 의한 강재의 취성화로 인한 재료의 파단 등의 많은 위험요소가 따른다. 극지역에서 선박운항은 일반해역보다 짧은 가시거리로 인해 운항 선박 간 혹은 빙산과의 충돌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다. 그에 따라 빙해역에서 유류의 유출은 대단히 큰 환경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극지역 저온환경에서의 빙해선박의 충돌사고에 대한 안전성 평가기술의 필요성이 크다. 구조물의 소성변형과 파단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기하학적인 형상과 아울러 재료적 거동 특성이 정확히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의 국내외 연구는 주로 구조 배치에 많은 관심을 가진 것이 사실이며 현재 사용되는 선박구조물용 강재의 소성 및 파단 특성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조차 거의 수행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구조물의 정적 해석과는 달리 구조물이 충격하중을 받을 때, 항복응력, 소성경화 그리고 구조물의 파단 변형률은 변형률 속도에 민감하다. 그러므로 충격 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해석 시 변형률 속도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형률 속도 구성 방정식을 소개하고, 소성경화에 관하여 소개한다. 또한, 빙해역 운항선박의 외판에 사용되는 DH 및 EH 강재에 대한 저온 인장 실험을 통하여 북극해항로 환경조건(-30°C ~ -50°C) 에서의 재료의 기계적 물성치를 확보하기 위한 저온 소성구성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인장실험으로 얻을 수 있는 강재의 물성치를 정리하고 회귀 분석하여 Lidwik 소성경화 구성방정식의 기본데이터, 즉 소성변형률 경화지수 및 강도계수를 추정할 수 있는 식을 제안한다. 이로써 저온 소성구성 방정식에서 요구하던 상온 인장실험을 수행하지 않고 상온에서의 항복응력만으로 북극해항로 환경조건에서의 재료의 기계적 물성치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민덕기(2011)가 수행한 저온 인장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여 식을 검증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신동완(2010)이 수행한 실험의 수치해석을 통하여 식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민덕기(2011)는 Kujala(1991)와 Hanninen(2003)이 조사한 발틱해역 운항선박 손상사례를 비선형 수치해석으로 실선에서의 중앙부 판 손상을 재현해 보았다. 손상을 유발한 하중을 추정하고 다른 연구자들의 결과와 비교하여 Ranki의 식(1986)과 Hayword의 식(2001)이 많은 오차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Ranki(1986)와 Hayword(2001)가 제안한 식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상용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통하여 그 경향을 나타내었다.

      • 영어교과서의 과업중심듣기 자료 분석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허영미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 7차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에 준해 제작된 현행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를 과업중심의 듣기를 분석하여 새로운 교과서에 제시된 과업중심의 듣기가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과업중심의 듣기가 적절히 제시되어 있는지를 알아본다. 또한 교과서 분석결과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걸맞는 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 중에서 5종을 선정하여 과업중심의 듣기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분석기준은 Peterson(1991)의 과업중심 듣기유형을 기준으로 하여 Richards(1983)의 과업중심 듣기유형과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하나의 기준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업중심의 듣기과정 중 의미에 중점을 둔 하향식 과정이 가장 높은 분포를 보이고, 뒤이어 언어의 형태에 중점을 둔 상향식 과정과 상호활동을 중심으로 한 상호작용식 과정의 분포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강조하는 과업중심 듣기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상호작용식 과정이 가장 낮게 나옴으로써 과업중심의 듣기가 잘 반영되지 않았다고 하겠다. 둘째, 대체적으로 과업중심이 듣기가 몇몇의 항목에 집중적인 분포를 보이면서 과업중심의 듣기유형이 제한적이어서 학습자들의 흥미와 관심을 가지는데 미흡하다는 결론이 나왔고, 보다 다양한 과업중심의 듣기유형이 요구된다. 셋째,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달성해야 할 제 7차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3학년 듣기 성취기준을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반영하지 않았으므로 새로운 교과서가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 외국어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언어 숙달 단계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듣기 과업을 제시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과업을 수행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과업중심 듣기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여 과업중심의 듣기를 실질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함이고, 앞으로도 학습자료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hich are currently being used match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7th Curriculum and include listening tasks and activities defined by this study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According to the result, this study provided teaching materials and lesson plans to teach listening tasks effectively. To achieve this purpose, five different types of current textbooks were selected at random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the standpoint of listening purpose and listening activity. Each textbook has been analysed by the principle suggested by Peterson(1991), Richards(1983) and the 7th English Curriculum.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Listening tasks are focused on a top-down process, understanding the whole meaning, rather than an interactive process, focusing on task activity. Second, Listening tasks are very limited, emphasiz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rather than the process of expression. Third, On the whol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listening which are suggested in the 7th Curriculum are not properly realized in the textbooks, so new textbooks don't exactly reflect the purposes and contents of the 7th Curriculum.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more diverse and systematic listening task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language proficiency stage of the students,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the goal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Listening activities in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into tasks which promote various kinds of communicative activities from understanding to interacting. It also presents a listening teaching plan so that the students may be helped in the listening class. These methods and techniques are thought to help the students with listening to English with more and more confidence. Task-based lesson plans as well, Introducing task-based textbooks c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language competence.

      • 「천지왕본풀이」의 전승 양상 및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허영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천지왕본풀이」는 제주도 큰굿의 제차인 「초감제」의 소제차 「베포도업침」과 함께 불리는 본풀이로 혼합되었던 천지가 분리되고, 일월성신이 생겨나는 개벽의 과정과 천지왕이 지상국 부인과 결연하여 낳은 대별왕․소별왕이 경쟁을 통하여 이승과 저승을 다스리는 신이 되는 과정을 노래한 서사무가이다. 이 연구는 「천지왕본풀이」의 채록본 8편과 필사본 1편을 대상으로 이 무가의 전승 양상, 구조적 특징과 의미, 전승집단의 의식, 교육적으로 수용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천지왕본풀이」의 자료 분석을 통한 전승 양상을 살펴보면 순차 구조에 따라 전 전 단락을 포괄하여 10단락으로 나누어지며, 단락의 첨가, 탈락, 의미의 변질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기본형」은 9편 중 3편으로 구조가 안정적이다. 여기에 <부친 탐색담>, <수명장자 징치담>이 탈락되면 「변이형Ⅰ」으로 보고, <대별왕의 이승 정리담>이 첨가되면 「변이형Ⅱ」으로 본다. 서사단락의 유무와 관계없이 소별왕이 긍정적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채록본을 신화의 의미가 변질된 것으로 파악하여 「변이형Ⅲ」로 보았다. 대별왕 소별왕의 신직 획득을 중심으로 본 「천지왕본풀이」는 천지개벽―천지왕 결연―천지왕 업적―부친 탐색―공적―경쟁―신직 획득’ 의 순차구조를 가진다. 혼합되었던 천지가 개벽되고 만물이 생겨나는 천지개벽담, 혼란한 세상을 정리해 줄 이세(二世)를 얻기 위한 천지왕 결연담, 부정의 존재인 수명장자를 징치하는 천지왕 업적담, 부친 탐색담에서는 대별왕과 소별왕이 아버지를 찾기 위해 하늘로 올라감으로써 내면에 잠재된 신성을 확인한다. 복수(複數)로 존재하는 해와 달을 커다란 활로 조정하는 공적담, 이승을 차지하기 위하여 형제가 수수께기 내기와 꽃 피우기 내기를 하는 경쟁담, 속임수로 소별왕은 이승의 신이 되고 대별왕은 저승의 신이 되는 신직 획득담으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천지왕본풀이」에 나타나는 순환 구조는 지상계와 천상계의 순환, 시련과 극복의 순환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지상계와 천상계의 순환은 천지왕과 대별왕, 소별왕이 ‘천상계→지상계→천상계’로 순환하는데, 대별왕과 소별왕이 신이(神異)한 존재임을 증명해 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대별왕과 소별왕이 각각 저승과 이승의 신으로 좌정하게 되기까지는 ‘시련’과 ‘극복’이 반복적으로 교체되는 순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순환 구조는 미분적 상상과 순환 사고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한국인의 존재 근원에 대한 원본 사고에 의한 것이다. 이 무가에는 전승집단의 의식이 다양한 형태로 반영되어 있다. 본토의 창세신화를 향유한 집단들은 이승에만 관심을 가졌지만 이 서사무가를 향유한 집단들은 공간을 이승과 저승으로 분리하여 그 질서가 구현되는 과정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 신화는 굿거리에서 불리는 서사무가이므로 인간중심적 사고를 읽을 수 있었다. 전승집단들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지니고 굿을 통해 구원을 받고자 하였다. 수명장자와 소별왕의 행동을 보면서 욕심을 경계하고 남을 배려하라는 전승집단의 소박한 도덕률을 살필 수 있었다. 「천지왕본풀이」는 이 세상의 시원(始原)을 알려주는 서사무가로 지금도 굿거리에서 불리고 있어 이미 소멸되어 버린 본토의 창세신화와 달리 ‘살아있는 신화’로 그 가치가 크다. 「천지왕본풀이」는 앞에서 살펴본 전승집단의 의식과 함께 교육적으로 수용해 볼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문학적인 재미 외에도 교육에서 요구되는 문학의 효용성도 갖추고 있는 귀중한 문학작품이다.

      • 산악회를 통한 원거리 안내등산의 시공간적 행태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허영미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limbing guides published on newspapers into yearㆍdayㆍseason so that we may identify different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based on their changes, and to draw out other external disturbances. Due to improving income levels, changes in leisure patterns, and further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more people started taking interest towards climbing, and the increasing demands for guided climbing programs with professional guides led to the gradual expansion of climbing sections in newspapers . These mountain climbing activities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spatial range, showing other various spatial distributions by season and day as well. According to the annual analysis of mountains introduced on the backside of the ‘Suburban Mt. series’are as followed. First, Years from 1993 to 2008 showed a constant increase, and in 1997, the amount decreased by 45 times than the year before due to the economic crisis that caused physiological distress among the citizens and decreased demands for climbing which resulted in this flinch. In the year of 2005, as 5-day work week policy was put into effect, many people found themselves with more leisure time, and people started taking more interest towards health issues, which led to more people with the desire to hike. This increased the numbers of guided climbing programs by 1,680 more programs being held than the year before. Out of the top 100 selections for mountains, Mt. Ji-ri came in 1st followed by Mt. Duk-yoo, Mt. Ju-wang, and Mt. So-baek. In addition, sorting by administrative districts which showed that the Kyung-nam province accounted for 10,672 times (42.3%), which is the highest proportion. Second, Climbing took place mostly on Sundays, 5 times higher than any other day of the week. As for Fridays, and Saturdays, the rate of day-climbing was relatively low due to the fact that 2 days-1 night, and 3 days-2 nights climbing programs accounted for the majority. Third, Observing the seasonal guided climbing frequency rate, the patterns of spatial distribution of hikers depended on the special feature of each seasons. We selected each mountains representing each region and analyzed some of the longitudinal changes. The results, as for Mt. Duk-yoo, development of highway to Jinju province from Daejun province led to a increase of guided climbing in that region by 105 times during the year of 2001. As for Kangwon province and SeoulㆍKyunggi province, Jeju islandㆍUelung island where day-climbing trips were literally impossible, starting from the year of 2001,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with better maintenance, more leisure time, etc. is increasing its rate. Changes in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through ‘guided climbing’ programs have been gradually expanding from Busan combined with IMF, or social phenomena such as the 5-day work policy, shortening of both distance and time through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creasing leisure time, etc. This shows that the society is developing a wider perspective, more interest towards ‘Mountain climbing’, and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for climbing, the numbers of guided climbing programs are increasing.

      • 유아 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이 수학교육인식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허영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 related to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rovid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parents' perceptions of math education and math teaching efficacy.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Research Question 1. What kind of impact does parental education related to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ve on perceptions of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mong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Research Question 2. What kind of impact does parental education related to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ve on math teaching efficacy for young children among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Research Question 3. What kind of internal changes do parents experience through parental education related to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clude 44 parents with young children aged from 3 to 5 attending A Kindergarten in Yongin, Gyeonggi Province.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22 par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Cultivat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with Mom," which was provided as parental education related to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t home. The control group also consisting of 22 parents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Experiments were conducted over six weeks. The research progressed in the order of first preliminary exam, six weeks of administration of "Cultivat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with Mom" that started on April 12, 2011, and secondary preliminary exam. The pre- and post-test results were put to t-test to examine the need, objectives and content of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e parents' math teaching efficacy. x² test was conducted to figure out effective learning methods in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inally, the information gathered during parental education was sorted out and analyzed to examine changes to parents' perceptions. Those research processes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activities of "Cultivat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with Mom" provided as parental education related to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parents' perceptions of need and objectives of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importance of its content. Second, the activities of "Cultivat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with Mom" provided as parental education related to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ositively increased the math teaching efficacy of the parent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Finally, as for internal changes of the par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Cultivat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with Mom" provided as parental education related to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ose parents experienced positive internal changes such as understanding that math is about thinking ability rather than simple problem solving, finding joy in creating various math plays at home with their children in their daily lives, forming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hildren and them through close interactions, and encouraging their children to take a happy attitude toward math. In short, the 22 parents of the experiment that participated in "Cultivat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with Mom" provided as parental education related to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got to understand that math education at home involving participation of both children and parents is very desirable for young children and realize that diverse mathematical exploratory activities in daily life are important in mat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ll thanks to the parental education, discarding their old negative perceptions of math and their low math teaching efficacy that they would never become good teachers for their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ey increased in the belief that they could become good teachers for their young children and accordingly in their math teaching efficacy, getting instructions about an array of practical activitie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이 부모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및 수학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유아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유아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유아 수학 교수에 대한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연구문제 3. 유아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을 통해 나타나는 부모의 내적 변화는 어떠한가 ?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용인 A유치원의 만 3세~ 만 5세 유아의 학부모 44명으로, 가정에서의 유아 수학교육에 관한 부모교육으로 실시된 “엄마와 함께 수학적 사고력 키우기”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모 22명은 실험집단으로 하였고, 참가하지 않은 학부모 22명은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은 6주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연구진행은 1차 사전조사 실시 후, 2011년 4월 12일부터 시작하여 6주간의 “엄마와 함께 수학적 사고력 키우기”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2차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 후에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유아 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 유아 수학 교육의 내용, 부모의 수학교수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고, 유아 수학교육의 효과적인 학습 방법에 대해서는 x²검증을 실시하였다. 부모의 인식 변화는 부모교육을 실시하면서 수집된 내용을 각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거쳐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 "엄마와 함께 수학적 사고력 키우기”활동은 부모들의 유아 수학교육에 대하여 유아 수학교육의 필요성 및 목적과 유아 수학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엄마와 함께 수학적 사고력 키우기”활동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수학 교수에 대한 효능감에 있어 긍정적인 향상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엄마와 함께 수학적 사고력 키우기”활동에 참여한 학부모들의 내적 변화를 살펴보면, 참여한 학부모들은 수학은 단순한 문제풀이가 아닌 사고력이라는 개념을 인식하였으며, 가정에서 자녀와 함께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수학놀이를 만들어 갈 수 있다는 기쁨을 알게 되었으며, 부모 -자녀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한 긍정적 관계 형성 및 자녀의 수학에 대한 즐 거운 태도를 갖게 할 수 있다는 긍정적 내적 변화를 경험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수학교육 관련 부모교육“엄마와 함께 수학적 사고력 키우기” 에 참여하였던 실험집단 22명의 학부모는 부모교육을 통하여 그동안 갖고 있었던 수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자신은 좋은 교사가 될 수 없을 거라는 낮은 수학교수 효능감에서 벗어나, 가정에서의 부모와 함께 행하여지는 수학 교육은 매우 유아들에게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유아 수학교육에서 중 요한 것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수학적 탐구활동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실제의 활동을 안내받음으로 해서 부모 스스로 좋은 교사 가 될 수 있다는 신념의 확대로 수학 교수 효능감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SNS기반 환경에서의 영어 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허영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English is not just something to be studied; it is becoming a global language. The perception of the English language is constantly changing because of globalization. These days English is used as a form of communication as well as basic knowledge. To communicate, we must learn the entirety of the English language. In Korea, we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us, English education is becoming a focal point in many Korean schools. Many parents have high expectations of schools to educate their students on the English language. To meet with educational standards, English language has been changed. In 2008, the English curriculum was nationally reversed. As the curriculum changed, the focal point in education reform was to improve writing ability. Speaking,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must be balanced in order for students to fully grasp and apply the language. Writing skills are taught to third graders during their second semester. The goal for third graders is to perfect writing, word arrangement, sentence formation, and filling in the blank. However, these are very simple skills; thus, the students are not being challenged enough. Most students have no interest in writing. This study was to solve this issue by integrating more interesting writing activities to increase the positive outcome of English education. So, I worked with 5thgrade students from K-Elementary School in the Gyeonngi province. Iimplemented SNS(SocialNetworkService) to teach writing. SNS is a online program.The teacher uploads a topic to the website and students writing about the given topic. I taught two groups:controlled and experimental.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SNS system to learn and the controlled group used textbooks.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test scores. Especially, in the areas of vocabulary scramble, best word choice, picture and word identification, and proper dialogue form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ir interest and confidence in writing. In my opinion, using SNS to educate students is a useful tool to make English a multi-faceted learning experience. English is taught three times a week, and I believe that is not enough time to let students firmly grasp any concepts. After much research, using SNS to revive the English education in Korea schools will bring out a positive effect. Furthermore, SNS is an easily accessible tool because it is an online program. All students have different learning abilities; thus, using SNS will allow students to have an opportunity to slowly take their time, work at their own pace and interact with their peers.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화&#8228;세계화 시대에 세계 공용어로서의 영어는 연구 대상의 학문 영역이나 특수한 소수만의 전유물이라는 관점을 넘어 의사소통하기 위한 수단 혹은 기본적인 소양으로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하나의 능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영어를 외국어로써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의 우리나라의 경우 영어교육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관심은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게 영어교육은 계속적으로 변화되어 왔다. 현재 우리나라 초등영어교육과정의 문자언어 지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하고 흥미로운 쓰기 활동이 제시되어야 하고 교과 수업 시수의 제약과 EFL이라는 영어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학습 장소를 교실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기타 공간으로 넓혀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자언어에 대한 경험 제공 및 언어자극에 대한 노출기회를 확대하고 다양하고 흥미로운 쓰기 활동을 제시하고자 SNS기반 학습 환경에서 영어 쓰기 활동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SNS기반 미투데이를 이용한 영어 쓰기 활동을 한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정의적 영역 중 자신감 및 흥미도가 교과서를 이용하여 쓰기를 한 비교집단의 학습자들에 비해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K 초등학교 5학년 학습자들로 실험집단 50명과 비교집단 50명으로 총 100명이다. 이 학습자들은 사전 동질성 검사 후 총 10주간의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 쓰기 및 SNS를 활용한 수업 등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SNS를 활용한 쓰기 학습 수업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 도구인 SNS의 특징과 종류를 분석한 후, 초등학교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미투데이를 연구도구로 선택하였다. 연구 첫 주에는 학습자들이 영어 쓰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미투데이 밴드를 개설하고, 밴드에 가입하기, 글 올리기, 댓글달기 등의 사용법을 학습자들과 연습하였다.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쓰기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밴드에 주제를 올리면 실험집단 학습자들이 댓글달기를 통해 영어 쓰기를 진행하였다. 또,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과 영어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의 향상을 측정하고자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영어 쓰기 능력 검사, 사전-사후 흥미도와 자신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후에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SNS 사용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의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이 SNS를 이용하여 영어 쓰기 학습을 한 후에 영어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것은 문장 고쳐쓰기의 경우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사후 쓰기 능력 검사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철자 배열하기, 그림보고 어휘쓰기, 그림에 맞는 어휘 골라쓰기, 보기에서 알맞은 어휘 골라쓰기, 대화문에 알맞은 어휘 쓰기 영역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SNS를 이용한 영어 쓰기 활동은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후 설문조사에서 SNS를 이용하여 영어 쓰기활동을 하는 것이 영어 쓰기 학습에 도움이 된다라고 82%의 학습자들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연구 이후에도 SNS를 사용할 의향을 묻은 설문에 그렇다라고 응답한 학습자가 72%였다. 이는 SNS를 이용하여 영어 쓰기활동을 하는 것이 영어쓰기 활동에 도움이 되나,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에는 영향이 없다고 학습자들이 생각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SNS를 활용한 학습이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영어쓰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SNS가 새로운 영어 쓰기의 장으로 교육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개개인의 차이를 존중하고 개별화된 배움의 기회가 보장되어 학습자 스스로 활동하고 협력하여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을 할 수 있는 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SNS의 특성과 잘 부합하면서도, 교실수업 내용과도 잘 융화된 새로운 교수법과 접근법이 필요함으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 매개효과

        허영미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과 임상수행능력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요인들의 모형을 검정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한 간호대학교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6년 6월 13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520부를 배부하였으며, 그중 잘못 표기되거나 연구에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18부를 제외한 502부를 최종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검정 및 가설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은 임상수행능력에 직․간접적으로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셀프리더십에도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판적 사고성향에는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하여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비판적 사고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수행능력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지만 비판적 사고성향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판적 사고성향은 임상수행능력에 직접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간호전문직관이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비판적 사고성향을 거쳐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중매개 효과로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은 중요한 매개변수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이 임상수행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있어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이중매개효과 검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전문직관을 바탕으로 한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leadership,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hrough precedent study and literature review and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by testing the model for each factor.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ourth-year students attending nursing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and they were instruct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period of survey was from Jun. 13, 2016 to Jun. 30, 2016 and a total of 52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mong which, 18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thought to be spelled wrong or inappropriate for our study. Finally, 502 copies were used for our final analysis. When it comes to data analysis, SPSS/Win 18.0 and AMOS 18.0 statistical program were used for hypothetical model goodness-of-fit test and hypothesis test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appeared that nursing professional values had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also had a direct impact on self-leadership, but had an indirect impac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y the medium of self-leadership.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self-leadership had a direct impac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did not have a direct impact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but had an indirect impact by the medium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had a direct impact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erefore, nursing professional values had an impact on self-leadership, which again had an impact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v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is is a dual mediating effect and appeared to have an impact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is suggests that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re important paramet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Taken together, to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by testing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the impact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s o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courses designed for cultivating self-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ased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