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담자의 무의식 자원을 활용한 상담 사례 연구 : Milton H. Erickson이론을 중심으로

        한현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담에서 일반적으로 만날 수 있는 내담자가 일상생활 및 대인관계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문제들을 Milton H. Erickson이론을 통하여 자신의 개별적이고 독특한 무의식 자원을 이끌어 내어 활용하도록 도움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추구하여 스스로 조화로운 삶을 추구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불어 Milton H. Erickson이론에 근거를 둔 상담이 효과적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무의식 자원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둘째, 일상생활 및 대인관계에서 내담자의 무의식 자원이 어떻게 활용되는가? 셋째, Milton H. Erickson이론에 근거한 상담이 유용한가?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의 상담사례 연구로 자발적 의사표현을 한 성인 연구 참여자 3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부터 2018년 2월까지 6회기 내외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객관성을 위하여 사전-사후로 삶의 목적검사, 자아정체감검사, 자아존중감 검사를 진행하여 연구 참여자의 변화를 파악하고 상담성과 질문지를 통하여 상담의 효과를 검토하였으며, 연구의 객관성,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자 삼각검증법, 동료검증 및 슈퍼비전을 받았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rickson이론을 통해 연구 참여자(사례1,2,3)들은 주 호소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다양한 무의식적인 자원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사례1,2,3)들은 자신의 무의식적인 자원을 찾고 체험하게 됨으로써 의식적인 통제를 넘어 경험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의미를 부여하였으며 일상생활과 대인관계 측면에서 긍정적이고 자연스러운 변화를 이루어냈다. 셋째, Erickson이론 중 Yes-set, ARE모델, 혼란기법, 심상훈련, 자기최면 등의 상담을 통해 연구 참여자(사례1,2,3)들은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의의와 목적을 높이고 자아정체감을 찾았으며, 스스로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졌다. 즉, 주호소문제가 해결되고 상황에 대한 대처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원만한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회복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잘 알려지지 않은 Erickson이론을 중심으로 내담자의 무의식적 자원을 이끌어내고 활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진행된 개인상담 사례연구이며, 개인상담에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상담현장에서 내담자의 무의식을 만나고 무의식 자원을 찾고 활용함에 있어 트랜스상태를 유도·활용하였다는 점은 중요한 의의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성인 연구 참여자 3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것이기에 다소 한계점이 있으나 대상의 연령, 성별, 증상 및 지역적 특성, 집단상담 등으로 확대되어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ed to help clients who have problems in everyday life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they usually resolve in counseling. The Ericksonian approaches help the troubled client to draw from and utilize his or her individual and unique unconscious resources. Then, they can solve their problems and make positive changes so that they can live a harmonious life without further treatment.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study sheds light on whether this type of counseling, based on the Milton H. Erickson’s theories, is effectiv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unconscious resources available to the client to solve the problem? Second— How does the client utilize their unconscious resources in their daily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 Is there an effective result based on using Ericksonian theory? A case study in qualitative research is one of the research methods used to achieve this goal. Three participants voluntarily participated about six times from December 2017 to February 2018.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d pre and post tests of purpose-in-life, ego-identity scale, and self-esteem scale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study and determine changes in the client. In order to secure the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the researcher received investigator triangulation, peer examination and supervision, and administered questionnaires regarding the counseling’s effectiveness when the counseling was comple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Ericksonian theory, participants (cases 1, 2, and 3) were able to find their own unconscious resources in solving the main appeal problem. Second: Participants (cases 1, 2, and 3) were able to find and experience their own unconscious resources. And, beyond conscious control, they gave a new interpretation and meaning to their experience, and made positive and natural changes in terms of daily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rd: Via the Erickson theories, purpose-in-life-test scores were improved, and ego-identity and self-esteem scores were improved through consultation using Yes-set, ARE model, confusion technique, image training and self-hypnosis. These scores show the participants' positive changes and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In other words, the problem was solved,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situation was improved,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maintained and restored. This case study of personal counseling derives and utilizes the unconscious resources of the client, centered on Ericksonian theory, which is not well known in Korea. Also, it investigated the usefulness of Ericksonian approaches. Although the study is limited by its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ir willingness to obtain positive outcomes, the counseling effects based upon Erickson's theories were proven. It is hoped that the follow-up study will extend the subjects' number, age, sex, symptom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include group counseling, etc. In addition, it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outcome that the trance state was induced and utilized in finding and utilizing the unconscious resources of the clients during counseling.

      • 네일샵 근무환경에 따른 종사자들의 건강자각증상이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현주 경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젊음과 아름다움, 미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네일 미용 서비스업은 괄목할 만한 발전을 거듭하며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네일 미용 종사자들의 경우 네일 제품 속 유해화학물질로 인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지고 동료와의 갈등, 고객과의 접촉으로 유발되는 문제들로 인해 높은 스트레스에 노출되고 있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줄어들어 효율적인 직무수행이 어려워진다. 또한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개인뿐 아니라 조직 구성원에도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직무스트레스 대처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네일 미용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네일 제품의 유해화학물질에 따른 건강자각증상을 파악하고 근무환경을 개선시켜 네일 미용 종사자들의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고 업무의 효율성과 성과를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은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40대 네일 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8년 4월 25일부터 2018년 5월 31일까지 총 3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4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Ver 21.0과 AMO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25∼29세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의 경우 전문대 재학 및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경력은 3년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직책의 경우 직원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네일샵 근무시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데 환기시설이 가장 중요한 작업환경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네일샵의 실내공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네일 재료 속 유해화학물질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셋째, 네일 미용종사자들은 직무스트레스 항목 중 감정노동의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느끼고, 직무만족도 항목 중 직업의식 및 동료와의 관계에서 높은 직무만족도를 보였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자각증상,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차이를 본 결과 연령에 따라 건강자각증상 및 직무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Duncan의 사후검정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에 대한 자각증상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무만족도 항목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 건강자각증상 및 직무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Duncan의 사후검정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건강자각증상을 더 많이 느끼며, 학력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합리적 보수체계의 확립과 적절한 작업환경 시스템을 구축하여 네일 미용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네일 미용 산업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근무경력에 따라 건강자각증상 및 직무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Duncan의 사후검정 결과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건강자각증상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으나 기술의 숙련도 및 임금의 상승으로 인해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건강자각증상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 역시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네일 제품 속 유해화학물질의 올바른 사용법과, 네일샵의 환기 시설 개선에 대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네일 미용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근무시간 단축, 휴무일 연장 등 작업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네일 미용 산업이 꾸준히 발전하기 위해서 소비자들과 네일 미용 종사자들에게 네일 미용이 미적인 만족도를 주는 것과 더불어 건강하고 안전하다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앞으로 친환경 네일 제품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뒷받침해 주며, 향후 네일 산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With growing needs for youth and beauty, the nail care industry is seeing remarkable development and advances. However, nail technicians are exposed to health risks due to harmful chemicals in nail care products and are exposed to high stress due to problems such as conflicts with colleagues and close contact with customers. Elevation of job stress lowers job satisfaction, thereby hindering efficient job performance. Furthermore, job stress may have serious adverse impact not only on the individual but also on othe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calling for appropriate coping measures for job stres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ubjective health symptoms among nail technicians according to their work environment and harmful chemicals in nail care products, ultimately to help promote their health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and performance by improving their work environment. Nail technicians in their 20s-40s living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were studied from April 25, 2018 to May 31, 2018. From 350 questionnaires that were distributed, 340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the SPSS Ver 21.0 and AMOS ver 21.0 softw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greatest number of participants were aged between 25-29 years, and many participants were currently attending or graduated from a community college. Most participants had a career of below three years and were employees in terms of job position. Second,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in creating a pleasant work environment was having a good ventilation system, and the greatest number of participants stated that indoor air quality in nail salons is mostly affected by harmful chemicals in nail care products. Third, among job stress components, nail technicians were most vulnerable to stress from emotional labor, and among job satisfaction components,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Fourth,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subjective health symptom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relation to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health symptoms and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age, and Duncan test revealed that subjective health symptoms increase with age. Furthermore, level of job satisfaction increased with ag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health symptoms and job stress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Duncan test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ymptoms increase with level of education, and that job stress increases with level of educ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reasonable compensation system and pleasant work environment system to increase nai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and facilitate the advances of the nail industry. Subjective health symptoms and job satisfaction also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career. Duncan test confirmed that subjective health symptoms increased with length of career, but job satisfaction increases with length of career due to the elevation of proficiency of skills and wage. Fifth, subjective health symptoms directly affected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direc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rrect handling of harmful chemicals in nail care products and need for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rove ventilation in nail salons. Furthermore, nail technicians should have reduced work hours and more number of days off to in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Finally, to consistently advance the nail industry, it is important to instill a perception among consumers and nail technicians that nail care not only gives aesthetic satisfaction but also is safe and healthy. We hope that our findings support the need fo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nail care products an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advance of the nail industry.

      •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Op.19 연구 : 샤크의 시집 <연꽃잎>에서 발췌한 여섯 개의 노래 연구

        한현주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요약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Op.19 -샤크의 시집 <연꽃잎>에서 발췌한 6개의 곡의 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음 악 학 과 한 현 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는 19세기와 20세기 음악의 중심에 있던 작곡가로서, 후기 낭만음악의 거장으로 불린다. 그가 활발히 활동하던 19세기 말, 유럽에서는 격변의 시대를 맞아 후기 낭만주의가 시작된다. 슈트라우스의 작품을 비롯한 이 시대의 가곡들은 낭만 시대와 같이 감정 표현에 역점을 두면서도 반음계적인 진행과 자유로운 낭송, 끊임없는 조바꿈 등으로 기존의 것에 대한 반항심을 표출하였다. 슈트라우스는 전대 유명시인의 시와 함께 당대 비주류 시인들의 시도 두루 다루었고, 후기에는 페르시아나 중국의 번역시로도 작곡을 하였다. 그 중 Op.19는 당대의 비주류 시인에 속했던 아돌프 프레드리히 폰 샤크 (Adolf Friedrich Graf von Schack, 1815~1894)의 작품을 소재로 만들어졌다. 샤크는 시인이자 번역가, 역사학자, 미술품 수집가로 다방면에서 활동했던 사람이다. 슈트라우스는 샤크의 시집 <연꽃잎 Lotosblätter> 중 5편과 그 이전에 발간된 시집 <시들 Gedichte>에서 1편의 시를 각각 발췌해 6곡으로 묶어 연가곡 Op.19를 만들었다. 이 연가곡은 그의 작곡활동 시기상 비교적 초기인 1888년에 작곡되었으나, 복잡한 화성과 급격한 조성의 변화 등을 사용하여 구체적 상황이나 감정을 묘사한 부분이 많이 발견된다. 1번곡부터 6번곡까지 사춘기, 청년, 장년, 중년, 노년의 사랑을 순차적으로 자연에 빗대어 표현한 것도 이 작품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 논문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Op.19’를 분석한 것이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생애, 예술관과 가곡 그리고 샤크의 생애와 작품 및 ‘Op.19’의 작품연구를 다루었다.

      • 이모티콘 표정 지각 : 전역적 처리와 세부특징 기반 처리

        한현주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표정은 사람들이 타인의 정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실제 얼굴이 아닌 이모티콘을 통한 표정의 소통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모티콘은 정서(emotion)와 아이콘(icon)의 합성어로 얼굴의 눈, 코, 입 등과 같은 세부특징들을 간략하게 만든 시각적인 형태를 말한다. 간략한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표정을 성공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이모티콘을 사용한 다수의 표정 지각 연구들이 수행되었다(예, Fallshore & Bartholow, 2003). 이 연구들은 이모티콘과 실제 얼굴의 표정 지각이 동일한 기제를 통해 처리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이 가정이 이모티콘과 실제 얼굴을 직접 비교하여 검증된 경우는 매우 부족하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이모티콘을 실제 얼굴로 대체하는 얼굴 자극으로 사용했을 뿐, 이모티콘 자극 자체에 초점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지 않았다. 이에 이모티콘 표정에 대한 처리 기제를 확인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표정 처리 기제에 대한 대표적인 두 가지의 가설로, 첫 번째는 세부특징 기반 처리 가설이 있다. 세부특징 기반 처리는 먼저 얼굴의 눈, 코, 입 등의 세부특징들을 각각 처리한 후, 그 결과들을 근거로 얼굴의 표정을 지각한다는 주장이다. 두 번째로 전역적 처리 가설이다. 전역적 처리는 각각의 세부특징들의 정보처리 보다는, 세부특징들의 위치 관계성(예, 두 눈 간의 거리)과 같은 전반적인 배열 정보를 통하여 지각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실제 얼굴에서 전역적 처리를 통해 표정지각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이모티콘의 표정지각 기제에 대해서는 일부의 연구들은 전역적 처리 가설을, 다른 일부의 연구들은 세부특징 기반 처리 가설을 지지하는 등 아직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이모티콘 표정지각 기제에 대한 논란은 첫 째, 실제 얼굴과 이모티콘의 표정지각 기제 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연구들이 매우 부족하고, 둘 째, 연구에 사용된 이모티콘 자극이 특히 그 정교함(세부특징들의 복잡한 정도)의 측면에서 통일되지 않았던 점들이 그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표정지각 처리 기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제 얼굴 자극을 사용하여, 이모티콘의 표정지각과 직접적으로 비교하였으며, 또한 이모티콘 세부특징의 정교함 정도가 미치는 영향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실제 얼굴 자극과 두 개의 이모티콘 자극을 사용하여, 표정 식별 과제를 실시하였다. 사용된 두 개의 이모티콘 자극은 그 정교함 정도에서 상이하였다. 한 조건의 이모티콘은 눈, 코, 입 등의 세부특징들이 단순한 선분으로만 표현되었으며(단순 이모티콘), 다른 한 조건의 이모티콘은 얼굴의 세부특징이 실제 얼굴 수준만큼 정교하게 표현(정교 이모티콘)되었다. 제시되는 얼굴 혹은 이모티콘은 다섯 개의 표정(분노, 공포, 행복, 슬픔, 놀람) 중 하나의 표정을 짓고 있었다. 표정지각의 기제를 확인하기 위해 세부특징들(눈, 코, 입)이 배치된 위치를 조작하였다. 세부특징을 원래의 정위치에 배치시키거나(정배열 조건), 정위치가 아닌 잘못된 곳에 위치시켜(오배열 조건) 제시하였다. 정배열 조건에서 오배열 조건에서보다 높은 표정 식별율을 보인다면 전역적 처리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반대로 정배열과 오배열 조건 간의 표정 식별율이 유의한 차이가 없거나 오배열 조건에서 높은 표정 식별율을 보인다면, 세부특징 기반 처리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 결과, 이모티콘의 정교함 수준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발견되었다. 단순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정배열 조건과 오배열 조건 간의 식별 정확율 차이가 유의하지 않아 세부특징 기반 처리 가설을 지지하였으나, 정교 이모티콘의 경우에는 정배열 조건의 수행이 유의하게 높아 전역적 처리 가설을 지지하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실제 얼굴 자극의 경우에도 정배열과 오배열 조건 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제 얼굴 자극의 특징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눈, 코, 입을 제외한 볼, 이마와 같은 모든 정보를 제거하여 제시하였고, 이와 같은 특성이 전역적 처리를 방해했을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모티콘의 표정 처리 기제가 세부특징들이 얼마나 정교하게 표현되었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확인하고자 연구 2를 실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이모티콘 자극 내의 정교함에 따라 표정지각 처리 기제가 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모티콘의 세부특징의 정교함을 조작하였다. 연구 1에서 사용되었던 단순 이모티콘을 0%로 정교 이모티콘을 100%로 규정한 후, 합성 기법을 사용하여 이모티콘의 세부특징이 순차적으로 정교해지는 다섯 단계의 자극을 제작하였다. 연구 1과 동일한 방법 및 절차로 실험을 한 결과, 이모티콘의 세부특징 정교함의 증가에 따라 정 배열과 오배열 간의 표정 식별 정확율의 차이값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지는 못하였다. 단순 이모티콘에서 정교함가 증가함에 따라, 낮은 단계에서는 정배열과 오배열 조건간의 차이가 증가하였으나, 정교함 정도가 중간 이후 단계에 도달하면, 더 이상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 1의 결과와 합치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지만, 이는 실험 절차에서의 한계점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표정지각 처리 기제가 제시된 자극의 유형(얼굴 혹은 이모티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아닌, 주어진 자극의 세부특징 정교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표정 지각 기제에는 전역적 처리와 세부특징 기반 처리 과정 모두가 개입되며, 배열 정보뿐 아니라 세부정보의 정보도 표정 지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 -일가정갈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현주 경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 일가정갈등,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분석과 이들 관계에서 일가정갈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여 뷰티서비스산업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전문적인 인적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에 기여 하고자 하는 것이다. 서울 및 5대 광역시와 경상북도에서 뷰티서비스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20-50대 뷰티산업종사자 4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은 SPSS 28.0, AMOS 26, SPSS Macro 28.0을 이용 하였다. 실증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일가정갈등의 관계에서 일향유는 WFC(직장가정갈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일몰입과 일강박은 FWC(가정직장갈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조직몰입 간 관계에서 일강박과 일향유는 가치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냈고, 일몰입과 일강박은 소속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중독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일몰입과 일향유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FWC(가정직장갈등)는 소속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WFC(직장가정갈등)는 삶의 질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은 일중독과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은 일몰입, 일강박, 일향유와 조직몰입 및 삶의 질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뷰티산업종사자들의 일가정갈등의 완화를 위해 근무환경 처우 개선 및 유연한 조직문화의 구축, 전문적인 교육의 확장 및 기회를 제공, 서비스 품질의 표준화의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뷰티산업종사자들이 최적의 근무환경에서 즐겁고 여유롭게 일하며, 일가 가정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시켜 조직몰입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aise the efficiency of beauty service industry management and contribute to the effective manag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work-family conflic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and verifying the mediator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The research investigated 400 beauty industry workers in their 20s to 50s living in Seoul, five major metropolitan cities,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used SPSS 28.0, AMOS 26, and SPSS Macro 28.0 for the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empirical testing is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work-family conflict, work enjoy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FC, and work involvement and inner drive to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WC.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ner drive to work, and work enj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value commitment, and work involvement and inner drive to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hip commitmen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workaholism and quality of life, work involvement and work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home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W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embership commitment.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quality of life, WFC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ixth, it was analyzed that the work-family conflict of beauty industry worker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aholism,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Combining the results above, the work-family conflict of beauty industry workers was shown to mediate the relationships among work involvement, inner drive to work, work enjoy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It is to present the need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treatment, the establishment of flexible organizational culture, expansion, and provis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and opportunity, and establishment of service quality standardization to alleviate the work-family conflict of the beauty industry workers. Through the improvement, the beauty industry workers will be able to engage in their optimum working environment pleasantly and comfortably and aim for an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quality of life by minimizing the conflict between work-family.

      •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 및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현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ADHD 성향의 아동의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 및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실시한 ADHD 성향의 아동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이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ADHD 성향의 아동으로 구성된 '통제집단 I' 과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정상아동으로 구성된 '통제집단 II' 과 비교하여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사회적 기술이 증진되었는지 살펴보았고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정서지능과 실행기능,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유치원 교사의 추천을 받은 만 4, 5세의 아동에게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 K-CBCL(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K-WPPSI(한국 유아용 웩슬러 지능검사)를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I , II 에 적합한 아동 18명을 선발하였다. 선별검사 도구에 의한 선별된 ADHD 성향의 아동 12명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I 로 6명씩 우선 배정하였고 정상아동 6명을 통제집단 II 로 선정하였다.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정서지능, 사회적 기술, 실행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아동의 담임교사에 의한 정서지능 평가, 연구자에 의한 실행기능 검사, 교사와 어머니에 의한 사회성 기술평정체계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사전, 사후 정서지능 평가, 실행기능 검사, 사회성 기술평정체계에 대하여 SAS를 사용하여 집단(3)×검사시기(2)의 반복 측정이 있는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검사시기의 상호작용이 유의한 경우 단순주효과분석에 의해 사전, 사후검사에서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들 간의 차이와 각 실험집단, 통제집단 I, 통제집단 II 의 사전, 사후검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ADHD 성향의 아동의 정서지능, 실행기능,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I 보다 정서지능 총점 및 4가지 정서지능 하위영역에서 높았고, 정서지능 총점 및 정서지능 I 영역, II 영역, III 영역 점수에서 통제집단 II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둘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I 보다 실행기능의 '낮과 밤 과제', '양과 사자 과제', '마그넷 과제', '깃발과제' 에서 통제집단 I 보다 높았고, '낮과 밤 과제', '마그넷 과제' 에서 통제집단 II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셋째, 정서지능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I 보다 교사와 부모가 평가한 사회적 기술의 '자기통제', '과다활동' 에서 통제집단 I 보다 높았고, 교사가 평가한 '자기통제', '과다활동', 부모가 평가한 '자기통제' 에서 통제집단 II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정서지능 프로그램이 ADHD 성향의 아동의 정서지능, 실행기능, 사회적 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executive function and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with ADHD propens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children, who are the ages of four and five and evaluated as having ADHD symptom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I & 11), and each group consisted of six children. Th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 and II by matching scores on the K-WPPSI, Conners Abbreviated Parent-Teacher Questionaire, K-CBCL. The experimental group had 12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sessions for 3 months. To analyze the data, two-way ANOVAs with a repeated measure(testtime) and simple main effect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rated by teachers than the control group I and did similar with the control group II. Th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 on executive function tests and did similar with the control group II. The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on the social skills of the SSRS rated by teachers and parents than the control group I and did similar with the control group II. In conclusi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executive function and social skills of the children with propensity of ADHD.

      • 벨리댄스운동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현주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12 weeks belly dance on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lipids in middle-aged woman. For this experiment, 14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CON) group and the belly dance exercise(BDE) group, each consisting of 7 members. Belly dance exercise program was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 of 60 minutes /day, 4 days /week for 12weeks. Health-related fitness and blood lipids of all subjec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12 week program. All data were express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y using SPSS program,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usre. Significance was set at the α=.05. Back streng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in BDE group, and BDE group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back streng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endurance, soft lean mass, WHR, trunk flexion, body weight, fat mass and percent body fat within and between groups. BM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in CON group after 12 weeks. TG and T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in C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DL-C, LDL-C within and between groups. In summary, when the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application of belly dance exercise could improve the level of back strength in middle-aged wo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