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메탄 가스 환원법을 이용한 산화주석 환원 및 수소 제조에 관한 연구

        한태양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investigated the reduction of SnO2 and generation of syngas (H2, CO) using not only methane (CH4) but also hydrogen (H2) or a mixed gas of methane and hydrogen as a reducing gas. The gas reduction of SnO2 has been proposed as a highly efficient method for recovering Sn from SnO2 containing industrial wastes. First, when methane was used as a reducing gas, SnO2 was reduced to Sn successfully. Through a combination of thermodynamic simulation and experimental confirmation, we found that the recovery rate of Sn, and the molar ratio of H2/CO in the product gas, increased as a function of the supplied-CH4/SnO2 ratio. A mixture of H2 and CO, which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ducing SnO2 using methane, can be further utilized as a syngas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fuels through the Fisher-Tropsch process. When methane was used as a reducing gas, carbon was formed by the decomposition of methane on the reduced Sn surface, and the amount of generated carbon increased as the amount and time of supply of methane increased. The results of methane reduction confirm that high quality and purity Sn can be easily recovered from SnO2 containing industrial wastes by direct solid-gas reduction. However, when hydrogen was used as a reducing gas, carbon was not generated. High purity of Sn of 99.8% and high recovery rate of Sn of 93% were obtained under all conditions (using methane, hydrogen and mixed gas of methane and hydrogen). The effects of reducing gas species and gas mixing ratio on the purity and recovery of S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hydrogen was somewhat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urity and recovery rate of Sn than methane. Under the condition of mixing 1 mole of methane and 1 mole of hydrogen, a product gas having H2/CO value of 2, which is known to be most useful as syngas, was obtained.

      •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탐지시스템

        한태양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저가형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재를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열화상 카메라와 RGB 카메라가 탑재된 화재 탐지 카메라와 이와 연동 가능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개발한 화재 탐지 시스템은 열화상 영상과 RGB 영상을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영상을 모니터링하고 화재 발생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한다. 화재를 탐지하기 위해 화재 탐지 카메라는 입력받은 열화상 영상에서 화재 후보 영역을 추출하여 시계열 분석을 하고 화재 후보 영역의 주변온도를 계산하여 화재 인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개발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실내에서 상용 제품인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불꽃감지기와 비교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화재탐지시스템은 화재탐지 시간은 약 5.76초였으며 탐지 정확도는 96%이었다. 키워드 : 열화상 카메라, 화재탐지, 영상처리

      • 마이크로크기 액적의 거동 제어를 통한 액적-점핑 응축 성능 증진

        한태양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enhancement of the efficiency of condenser surfaces would reduce consumption of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because the efficiency of the systems exploiting the condensation of vapor depends on the efficiency of the condenser surfaces. The condensates on the surfaces act as thermal resistance during the condensation, so the efficiency of surfaces is closely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condensates. When a condenser surface is superhydrophobic, micro-condensates can jump up from the surface due to the low adhesion energy between the condensates and the surface. Therefore, the jumping-mode condensation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including electronic hot-spot cooling, water/energy harvesting, and dehumidification. However, the relatively low heat flux of jumping-mode condensation, which is attributed to the flooding limitation of the superhydrophobic surfaces, is the bottleneck of applications, so enhancing the efficiency of jumping-mode condensation is a significant step toward commercialization of the applications.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jumping-mode condensation. Biphilic surfaces combining superhydrophobic and hydrophilic surfaces have been suggested to increase the growth rate and number density of condensed droplets. The energy barrier for the heterogeneous nucleation of condensation is lower in the hydrophilic area than in the superhydrophobic area, so nucleation is promoted by hydrophilic patterns on a superhydrophobic surface.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nucleation site using the biphilic surfaces has great potential to delay flooding in high supersaturation conditions. Using an electric field is also an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jumping-mode condensation. The jumping droplets are positively charged by the formation of the electric double layer at the droplet–surface interface, so applying an electric field can prevent jumping-droplet return. Next, micro/nano hierarchical structured surfaces can promote droplet jumping. The nucleation density is increased in the hierarchically structured surfaces due to the increased heat transfer area and the decreased nucleation energy barrier at the corner of the microstructures, so the number of coalescence events of the condensed droplets is increased. Furthermore, the condensed droplets can move up to the top of the microstructures spontaneously due to the Laplace pressure gradient. This expulsion reduces the adhesion energy between the droplets and the surface due to the minimized liquid–solid contact area. These studies have shown the enhanced efficiency of the jumping-mode condensation, however the efficiency can be increased further. The jumping-mode condensation only can be applied to low supersaturation conditions due to the flooding limitation. Furthermore, the nucleation energy barrier is high on superhydrophobic surfaces because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s is high, so the nucleation rate is low on the superhydrophobic surfaces. In this condition, the number of the coalescence events of the condensed droplets is low due to the long distance between the condensed droplets, delaying the coalescence-induced jump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new superhydrophobic surface inducing in-plane motion of the condensed droplets to promote the coalescence-induced jumping. To find a method inducing the in-plane motion of the droplets, the droplet behavior inside a V shape was investigated and a model was develop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ttability of the V shape and the droplet behavior. The model predicted that a superhydrophobic V shape can induce the in-plane motion, and the prediction was validated experimentally. Based on this understanding, a new superhydrophobic surface having the superhydrophobic V shapes was designed. The surface induced the spontaneous motion of condensed droplets in parallel with the substrate, then the droplets gathered in a certain area. The spontaneous in-plane motion accelerated the contact between the droplets, promoting the coalescence-induced jumping.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superhydrophobic surface, the proposed surface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alescence-induced jumping by ≥ 17 times and increased the cumulative volume of jumping droplets by ~ 1.8 times. On the developed surface, spontaneous depinning motions of the condensed droplets inside the V shape was observed. In addition, a unique jumping mode, which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densation further, was discovered: Two droplets originating from a single nucleation site coalesced with each other and jumped up. In this study, the mechanism and the effect of the depinning motion and the unique jumping mode were analyzed. The understanding from the analysis will give insights into designing efficient condenser surfaces for various applications. 응축 현상은 발전소의 응축기와 열 교환기 그리고 담수화 설비 등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며, 응축 열전달 효율 증진은 이러한 산업의 효율 향상과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과거에는 100°C 이상의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응축시키는 것이 주를 이룬 반면에 최근에는 수분 포집 장치와 전자제품 열 관리를 위한 히트파이프 등에서 대기 온도와 비슷한 수준의 저온 증기를 응축시키는 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응축 표면을 개발하여, 저온 증기의 응축 효율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저온 증기의 응축 효율을 증진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응축면이 초소수성을 띠게 만들어서 액적-점핑 응축 모드를 구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응축 과정에서 응축면 위의 응축액들은 열저항 역할을 하며, 표면과 응축액 사이의 접착에너지가 낮을수록 응축액이 쉽게 제거되기 때문에 응축 열전달 효율이 높다. 그리고 표면 위의 응축액들이 서로 접촉하여 하나로 뭉치는 과정에서 표면적이 감소하면서 여분의 표면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는데, 초소수성표면에서는 응축액과 표면 사이의 접착에너지가 매우 낮기 때문에 액적-뭉침 과정에서 발생하는 운동에너지가 접착에너지를 극복하여 응축액들이 표면 밖으로 점프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점프하여 제거되는 응축액들은 마이크로미터크기로 소수성표면에서 중력에 의해 제거되는 응축액의 크기(수 mm)보다 훨씬 더 작기 때문에 초소수성표면에서의 액적-점핑 응축의 효율이 소수성표면에서의 적응축보다 더 높다. 하지만 초소수성표면에서의 액적-점핑 응축 효율을 더 증진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액적-점핑 현상은 두 개 이상의 응축액들이 서로 접촉했을 때 발생하기 때문에 응축액들 사이의 간격에 의해 이탈 직경이 결정된다. 저온 증기 응축과 같은 낮은 열유속 조건에서는 응축 핵형성 밀도가 낮아서 응축액들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되며, 이 때 액적-점핑에 의해 제거되는 응축액들의 평균 크기(~30 μm)는 액적-점핑이 가능한 최소 크기(~6.5 μm)보다 훨씬 더 크다. 선행연구에서는 액적-점핑 이탈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 초소수성표면에 친수성물질을 패터닝한 혼합표면을 이용하여 응축 핵형성 밀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액적-점핑 응축 열전달 효율이 최대 2배 이상 증진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하였다. 하지만 혼합표면에서 친수성/초소수성 면적비가 증가할수록 표면과 응축액 사이의 접착력이 증가하여 액적-점핑 가능성이 감소하기 때문에 혼합표면으로 액적-점핑 응축 성능을 증진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액적-점핑 성능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응축 핵형성밀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응축액이 자발적으로 표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끔 유도해서 응축액들간의 접촉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미 자연현상을 통하여 응축액의 자발적인 이동에 의해 응축액들간의 접촉이 촉진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선인장 가시에서는 가시 모양의 비대칭성 때문에 응축액이 성장하면서 자발적으로 이동하는데, 이 때 이동하는 응축액은 주변의 다른 응축액과 접촉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에 다른 응축액들을 흡수하면서 빠르게 성장한다. 최근에는 선인장 가시의 비대칭성을 모사한 응축 표면이 개발되어, 응축액의 자발적인 이동 현상으로 수분 수집 성능이 크게 증진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선인장 가시에서 응축액이 자발적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표면의 접촉각이 약 90도 일 때 발생하기 때문에 액적-점핑을 구현하기 위한 초소수성표면(접촉각 150도 이상)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초소수성표면에서 응축액을 표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젖음성 이론을 이용한 모델을 개발하여 초소수성 V 모양 구조를 이용하면 응축액을 자발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하였다. 그리고 예측 결과를 바탕으로 초소수성 V 모양 구조를 배열한 새로운 초소소수성 응축 표면을 설계하였다. 이 표면에는 초소수성 V 모양구조가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크기의 응축액들을 자발적으로 이동시켜서 특정 영역에 모을 수 있도록 지그재그 구조가 배열되어 있다. 즉, 마이크로크기의 응축액들을 한곳으로 모아서 상호 접촉을 촉진시키고자 초소수성 지그재그표면을 설계하였다. 초소수성 지그재그구조 표면을 제작하기 위해 구리 기반의 마이크로/나노 이중구조 제작 기술을 이용하였다. 지그재그구조의 높이는 약 15 μm, 구조 간의 간격은 약 20 μm로 약 20 μm 크기의 응축액들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게 제작되었다. 가시화 실험을 통해 지그재그구조 표면과 기존 초소수성표면에서의 응축액의 거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그재그구조 표면에서 응축액들의 자발적인 이동 현상에 의해 액적-점핑이 촉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그재그구조 표면에서 액적-점핑 빈도가 1,600% 이상 증진되었고, 평균 액적 이탈 직경은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표면에서 제거되는 응축액들의 누적 체적을 비교한 결과, 지그재그구조 표면에서 단위시간당 누적 응축수량이 약 80%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나노 이중구조를 갖는 초소수성표면에서 응축액의 자발적인 이동 현상의 원리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젖음성 이론을 기반으로 모델을 개발하여 개발된 표면에서의 응축액의 탈착 현상을 설명하였고, 탈착 현상에 의한 액적과 표면사이의 접착력 감소 효과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표면에서 관찰된 독특한 액적-점핑 현상(하나의 핵형성 지점에서 생긴 응축액 두개가 서로 뭉쳐서 점프하는 것)을 켈빈 식(Kelvin’s equation)과 젖음성이론을 이용해서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소수성 지그재그표면을 개발하여 저온 증기의 응축 성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했을 뿐만 아니라, 이중구조 초소수성표면에서 액적-점핑 응축 현상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저온 증기 응축 효율을 더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Investigation of Bubble Induced Natural Convective Flow in 2-D Rectangular Pool for Ex-Vessel Debris Bed Coolability using PIV

        한태양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Nordic BWRs, severe accidents are managed using the wet cavity strategy, which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porous debris bed will formed on the cavity floor of containment due to the fuel coolant interaction (FCI). In this strategy, the long term coolability of the debris bed should be assures, to secure integrity of the containment from the over-pressurization and concrete ablation caused by molten-corium-concrete interaction (MCCI). Previous research revealed that natural convection affects debris bed form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debris bed coolability. Accordingly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how geometry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debris bed affect natural convection in the cavity pool, the natural convection in a 2D rectangular pool was measured at different side slope angle and air injection rates (AIRs). To simulate the natural convection in a flooded cavity pool, DAVINCI-2D facility which consists of acrylic pool and air injection system was developed. The simulated flow was visualized by particle image velocimetry (PIV) and shadowgraphy. From the visualized images, quantified data of the natural convection such as intensity of circulation flow, size of stagnant area, center position of the circulation flow, velocity profile, bubble volume, local void fraction, and bubble swarm width were measured. From the measured data, effects of the side slope angle and AIR were investigated. Also the measured data are provided in a data sheet for code validation. Furthermore the effect of bubble coalescence on drag force decrease is discussed. To quantify the effect of bubble coalescence, the product of bubble cross area and drag coefficient was compared between non-coalesced and coalesced bubble.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drag force decreases at the time of bubble coalescence. By the bubble coalescence effect, it is expected that initially flat debris bed (side slope angle is low) will promote formation of coolable debris bed. Because the debris bed which has lower side slope angle can make the natural convection stronger. 원자력 안전설계를 위한 기본 개념인 심층방호(Defense in depth)에서, 격납건물은 중대사고시 방사능 물질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한 최후의 방벽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방사능 유출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중대사고시 격납건물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만약 노심용융물이 격납건물 공동으로 누출되었을 때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고온의 노심용융물에 의한 콘크리트 삭마와 막대한 가스 발생에 의한 과압으로 격납건물의 건전성이 위협받게 된다. Nordic BWRs의 경우 중대사고 관리 전략으로써 격납건물 공동에 8-11 m 수위의 물을 채우는 ‘Wet cavity’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 경우, 격납건물 공동으로 누출된 노심용융물이 낙하하면서 물과 반응하여 파편화되고, 결과적으로 격납건물 바닥에는 보다 냉각에 유리한 다공성 파편 잔해층이 형성된다. 하지만 파편 잔해층이 형성된 이후에도 붕괴열이 계속 발생하기 때문에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파편 잔해층이 다시 용융되어 콘크리트 바닥과 반응함으로써 격납건물의 건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파편 잔해층의 냉각성은 잔해층의 기하학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기하학적 특성은 잔해층의 형성 과정에서 미리 쌓인 노심 용융물의 붕괴열에 의해 발생한 자연대류유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S. Yakush et al., 2009). 즉 파편 잔해층의 냉각성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중대사고시 적절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자연대류와 파편 잔해층 형성간의 관계를 이해하여 조건에 따른 파편 잔해층의 형상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DAVINCI 2-D 실험장치를 제작하여 층수된 격납건물 공동에서 파편 잔해층의 붕괴열로 인한 자연대류 유동을 모사하였고, 이것을 PIV와 Shadowgraphy 기법을 통해 측정하여 파편 잔해층의 특성(붕괴열, 경사도)이 자연대류유동의 강도(Velocity integral of circulation flow)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자연대류유동을 시뮬레이션 하는 코드의 검증을 위해, 자연대류 유동의 정량적인 특성(Velocity profile, stagnant area, center position of circulation flow, bubble swarm width, local void fraction of bubble swarm)을 측정하여 제공하였다. 공기주입유량(붕괴열)이 증가함에 따라, 수조 내부의 기포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공기주입유량 6-14 L/min 부근에서 순환유동의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파편 잔해층의 경사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조 내부의 기포량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순환유동의 강도가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공기주입유량 증가에 따른 기포무리의 폭(bubble swarm width)의 변화에서도 나타났고, shadowgraphy 영상을 통해 기포무리의 폭이 줄어들면서 기포의 뭉침이 많아지는 것을 관측하였다. 낮은 공기주입유량(~6 L/min)에서 상승하는 기포는 기포류(bubbly flow)의 거동을 보이다가,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포가 점점 많아지면서 기포들이 뭉치기 시작하고, 기포무리의 폭이 감소하였다(6-14 L/min). 그리고 파편 잔해층의 경사각이 증가함에 따라 기포무리의 폭이 좁아지면서 기포의 뭉침이 더 많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포의 뭉침(coalescence)이 순환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N개의 기포가 뭉침에 따른 기포의 단면적과 항력계수의 변화를 계산한 결과, 기포가 뭉칠수록 기포의 단면적과 항력계수의 곱(AcrossⅹCD)이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기포가 뭉치는 순간에는 기포와 물의 상대속도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면, 계산된 결과(AcrossⅹCD)를 통해 기포가 뭉치는 순간 기포의 항력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수조 내부의 기포량 증가와 기포무리 폭의 감소에 의해 뭉침 현상이 증가하고, 기포 뭉침은 기포의 항력을 감소시켜서 순환유동의 강도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포 뭉침 효과로 인해, 초기에 쌓인 파편 잔해층의 경사각이 낮을수록 자연대류로 인한 낙하 용융물 파편 퍼짐 현상이 촉진되어, 잔해층이 보다 평평하게 쌓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노외 노심용융물 파편 잔해층의 냉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파편 잔해층이 형성되는 초기에 잔해층을 잘 퍼지게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