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한영산회상의 해금가락 비교연구

        한지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Not only the studies on Yeongsanhoesang currently playing in North Korea but also the prior comparative studies on South and North Korea Yeongsanhoesang are very rare. Regarding this issue, this paper would like to compare South and North Korea Yeongsanhoesang, and the study was particularly focused on Haegeum melody. The study was analyzed based on a comparative study of the types of South and North Korea Yeongsanhoesang, meaning, the structure of movement, the number of rhythm, the same melody, and similar melody. The result of the study drawn from the abov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Yeongsanhoesang in South Korea court music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including Hyeonak Yeongsanhoesang, Pyongjohoesang, Gwanak Yeongsanhoesang , and Folklore pungryu of private Yeongsanhoesang is being promulgated, and there are local Hyangje Julpungryu and Personal pungryu of masters. North Korea Yeongsanhoesang which is a large instrumental serial song in the form of a suite widely played in our country during the Middle Ages, and it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ir self-reliance ideology. North Korea's traditional music is called 'Ethnic Music, and has completely improved 'Ethnic Musical Instrument'. It made many changes in tone and the range, and especially criticized a thick voice. North Korea Yeongsanhoesang is divided into three musical pieces; mingan-ryeongsan, dosi-ryeongsan, and gungjung-ryeongsan. North Korea ‘Yeongsanhoesang’ shows that the three pieces have been arranged together. Second, the number of rhythm and the structure of movement South and North Korea Yeongsanhoesang are 4chapter 17rhythm of the ‘Sang-Ryeongsan’ Gugak Center, and 4chapter 35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Jungnyeonsan’ is 5chapter 18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5chapter 38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Seryeongsan’ is 4chapter 28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4chapter 14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Garakdeori’ is 3chapter 10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4chapter 35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Sanghyeondodeuri’ is 3chapter 10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4chapter 35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Sehwanip’ is 7chapter 72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6chapter 70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Hahyeondodeuri’ is 4chapter 26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2chapter 18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Yeombuldodeuri’ is 4chapter 51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5chapter 51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Taryeong’ is 4chapter 32rhythm for both the Gugak Center and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Gunak’ is 4chapter 48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3chapter 48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Gyemyeongarak-dodeuri’ is 1chapter 42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3chapter 43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Yangchung-dodeuri’ is 7chapter 64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1chapter 55rhythm of the North Korea. The structure of movement ‘Woojogarak-dodeuri’ is 7chapter 35.5rhythm of the Gugak Center, and 4chapter 44rhythm of the North Korea. Therefore, a difference between structure of move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Yeongsanhoesang is recognizable.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movement according to the division by chapter and structure of movementaccording to the melody are different. Third,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 of South and North Korea Yeongsanhoesang melody by focusing on the Haeguem, Of the total number of 35rhythm of the Bonpungryu, the same melody didn't appear, 3rhythm of the similar melody appeared, and 32rhythm of the different melody appeared. Of the total number of 288rhythm of the janpungryu, 6rhythm of the same melody appeared, 70rhythm of the similarmelody appeared, and 203rhythm of the different melody appeared. Of the total number of 141.5rhythm of the dwitpungryu, 41.5rhythm of the same melody appeared, 35rhythm of the similar melody appeared, and 56rhythm of the different melody appeared. In other words, the same melody of Bonpungryu is 0%, the similar melody is 8.5%, and the different melody is 91.5%. The same melody of janpungryu is 2%, the similar melody is 24%, and the different melody is 70%. The same melody of dwitpungryu is 29.3%, the similar melody is 24.7%, and the different melody is 39.5%. The melody progress of the entire instrument is very similar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but the different melody shows much more with the comparative result by focusing on Haeguem melody. The different melody has the greatest percentage among Bonpungryu, janpungryu, and dwitpungryu. Especially, the same melody doesn't exist in Bonpungryu. The similar melody in dwitpungryu has a greater percentage than Bonpungryu, and janpungryu. Therefore, many changes have made in the process while arranging the Bonpungryu, which is a slow piece, in North Korea Overall, this study shows that the general difference by comparing Haegeum melody of South and North Korea Yeongsanhoesang. 현재 북한지역에서 연주되고 있는 영산회상에 관한 연구 뿐 만 아니라 남, 북한의 영산회상을 비교 연구한 선행연구들은 매우 희소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남·북한영산회상의 가락을 비교하고자 하며, 특히 해금 가락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남·북한영산회상의 종류 및 의의, 분장구조, 장단 수, 동일 가락과 유사 가락 및 상이 가락의 비교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 궁중의 영산회상은 세 가지로 나눠지며, 현악영산회상, 평조회상, 관악영산회상이 있다. 그리고 민간 영산회상의 민간풍류가 전승되고 있으며, 지역의 향제 줄풍류와 명인들의 개인풍류가 있다. 북한의 령산회상은 중세기 우리나라에서 널리 연주된 조곡형태의 큰 기악 연쇄곡이며, 그들의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발전하였다. 북한의 전통음악은 ‘민족음악’이라고 부르며 ‘민족악기’를 전면적으로 개량하였다. 음색, 음역에 많은 변화를 꾀하였고 특히 탁성을 비판하였다. ‘령산회상’은 민간령산, 도시령산, 궁중령산의 세 악곡으로 구분된다. ‘령산회상’은 이 세 가지 악곡을 모두 합쳐서 편곡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남·북한영산회상의 장별 구분 및 장단 수는 ‘상령산’, 국악원 4장의 17장단, 북한 4장의 35장단이다. ‘중령산’의 분장은 국악원 5장의 18장단, 북한 5장의 36장단이다. ‘세령산’의 분장은 국악원 4장의 28장단, 북한 4장의 14장단이다. ‘가락덜이’의 분장은 국악원 3장의 10장단, 북한 4장의 35장단이다. ‘상현도드리’의 분장은 국악원 3장의 10장단, 북한 4장의 35장단이다. ‘세환입’은 국악원 7장의 72장단, 북한 6장의 70장단이다. ‘하현도드리’는 국악원 4장의 26장단, 북한 2장의 18장단이다. ‘염불도드리’ 는 국악원 4장의 51장단 북한 5장의 51장단이다. ‘타령’은 국악원과 북한 모두 4장의 32장단이다. ‘군악’은 국악원 4장의 48장단, 북한 3장의 48장단이다. ‘계면가락도드리’는 국악원 단악장으로 42장단, 북한 3장의 43장단이다. ‘양청도드리’는 국악원 7장의 64장단, 북한 단악장의 55장단이다. ‘우조가락도드리’는 국악원 7장의 35.5장단 북한 4장의 44장단이다. 따라서 남·북한영산회상의 분장구조가 매우 상이함을 알 수 있다. 덧붙여서 장별 구분에 따른 분장구조와 선율에 따른 분장구조는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남·북한영산회상의 가락을 해금 중심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본풍류의 총 장단 수 35장단 중 동일가락은 나타나지 않았고, 유사가락은 3장단, 상이가락은 32장단으로 나타났다. 잦풍류의 총 장단 수 288장단 중 동일가락은 6장단, 유사가락은 70장단, 상이가락은 203장단으로 나타났다. 뒷풍류의 총 장단 수 141.5장단 중 동일가락은 41.5장단, 유사가락은 35장단, 상이가락은 56장단으로 나타났다. 즉, 본풍류의 동일가락 0%, 유사가락 8.5%, 상이가락 91.5%이다. 잦풍류의 동일가락은 2%, 유사가락 24%, 상이가락 70%, 뒷풍류의 동일가락 29.3%, 유사가락 24.7 %, 상이가락 39.5%로 나타났다. 악기 전체의 가락 진행은 남북한의 가락이 매우 유사하지만 해금가락중심으로 비교한 결과 상이가락이 훨씬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본풍류, 잦풍류, 뒷풍류에서 상이가락이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특히, 본풍류에서는 동일가락이 나타나지 않는다. 뒷풍류는 본풍류와 잦풍류에 비해 동일가락과 유사가락이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따라서 북한에서는 느린 악곡인 본풍류의 편곡과정에서 중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상으로 남·북한영산회상의 해금가락을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상이함을 알 수 있다.

      • Horseradish peroxidase의 안정화를 위한 신규 공융용매의 개발

        한지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Enzyme utilization in industrial processes represents a sustainable approach; however, the intrinsic instability of enzymes in water-soluble states poses a formidable challenge. Current methods, such as the use of organic solvents or ionic liquids for enzyme stabilization, are not only environmentally unfriendly but also entail toxicity. Consequently,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olvents. This study focuses on the synthesis of 11 deep eutectic solvents (DESs) to evaluate their efficacy as stabilizing agents for horseradish peroxidase (HRP). A distinctive feature of this investigation is the application of trimethylamine-N-oxide (TMAO), a known protein stabilizer, as a novel DES solvent. The experimental findings reveal that the DES formulated with betaine and TMAO, utilizing triethylene glycol (TG) as a hydrogen bond donor (HBD), emerges as a superior cosolvent for stabilizing HRP. Storage of HRP in 10% betaine-TG (BTG) and TMAO- TG (TTG) DES aqueous solutions demonstrates consistent activity across a broad pH range (4.0 to 8.0), indicating exceptional pH stability. Furthermore, HRP in BTG and TTG solutions exhibits remarkable thermal stability at 25℃, boasting a half-life of 6.7 and 7.2 times longer than that in free buffer, respectively. Intriguingly, the use of DES as a cosolvent surpasses the performance of a simply mixed solvent of BTG and TTG, extending the half-life by 1.6 times, emphasizing the pivotal role of DES formation. Solvatochromic parameter analysis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characteristic changes during the DES formation process. Extended melting times of up to 3 hours correlate with a decrease in dipolarity/polarizability (π*) values and an increase in hydrogen bond acidity (α) values.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results indicate an elevated peak temperature attributed to DES formation. Examining the impact of DES on HRP's structural changes, soret band analysis establishe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terations in heme structure and HRP stability. Circular Dichroism (CD) spectroscopy further uncovers a connection between reduced α-helix in HRP's secondary structures and enzyme inactivation. Given the limited existing studies on betaine and TMAO-based DES, this research anticipates that the observed correlations will inform and guide future investigations into enzyme stabilization, encompassing various enzymes and DES formulations. Keyword : Horseradish Peroxidase(HRP), stability, Deep eutectic solvents, Betaine, Trimethylamine-N-oxide, Solvatochromic parameters 효소를 사용하는 방식은 산업적으로 친환경적인 방식이지만 수용성 상태에서 사용할 때는 안정성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효소의 안정화는 중요한 사안이다. 효소의 안정화 방식 중 하나인 유기용매나 IL을 조용매를 쓰는 방식은 유독하고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으로 신규용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1종류의 Deep eutectic solvent(DES)를 제조하여 horseradish peroxidase(HRP)에 대한 안정화 조용매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DES는 유기용매보다 유독하지 않으며 IL보다 경제적이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 연구에서는 trimethylamine-N-oxide(TMAO)를 신규 DES 용매로 개발하였다. 단백질 안정화 물질인 betaine과 TMAO를 기반으로 한 DES를 이용해 HRP를 안정화한 실험을 진행한 결과, triethylene glycol(TG)를 hydrogen bond donor(HBD)로 제조한 DES는 HRP의 안정화에 가장 탁월한 조용매로 나타났다. 10% Betaine-TG(BTG), TMAO-TG(BTG) DES 수용액에 저장된 HRP는 pH 4.0-pH 8.0조건에서 안정적인 활성을 나타내 우수한 pH 안정성을 보였다 25℃에서 유리완충액에서보다 반감기가 각각 6.7배, 7.2배 긴 안정성을 가졌다. 또한 BTG, TTG 각각의 성분을 단순 혼합해 조용매로 사용했을 때 보다 DES를 사용한 경우 각각 1.6배 긴 반감기를 가져 DES 형성 자체의 중요성이 나타났다. DES의 형성하는 과정에서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solvatochromic parameter를 분석하였다. DES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DES의 용융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3시간까지 쌍극성/분극성을 나타내는 π* 값은 감소하였고 수소결합을 주는 능력(hydrogen bond acidity) α값은 증가했다. DES의 열 전이를 보기 위해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수행해 수소결합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피크가 높은 온도에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DES가 HRP의 구조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위해 soret band와 Circular Dichroism (CD) spectroscopy를 측정하였다. Soret band 분석을 통해 DES에 따른 heme 구조의 변화와 활성적 안정성에 대한 유의한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CD spectroscopy를 통해 HRP의 2차구조 중 α-helix의 감소가 HRP의 불활성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직 betaine과 TMAO 기반 DES에 대한 연구가 적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신규 DES 형성과정에 따른 물리 화학적 특성과 효소의 구조적, 활성적 안정성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해 향후 다양한 효소와 DES를 이용한 안정화 연구에 적용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 정당방위 요건 중 '상당성'에 관한 판단기준 : 최근 5개년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한지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 형법 제21조 제1항에서는 “현재의 부당한 침해로부터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法益)을 방위하기 위하여 한 행위는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는 벌하지 아니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에 대한 현재의 부당한 침해가 전제된 뒤, 이를 방위하기 위한 행위라 하더라도 ‘상당성’ 요건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라면 그 행위는 처벌받게 된다. 이처럼 정당방위 적용 순서에 있어 ‘상당성’에 대한 판단에 대한 순서는 이미 자기 또는 타인의 법익이 부당한 침해에 놓여있다는 것이 인정된 상태 다음에서야 비로소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결국, 형법 제21조 제1항의 규정에서 ‘상당성’ 요건은 정당방위 규정 자체를 무력화(無力化)시키는 가장 상위기준인 셈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상당성’ 개념 자체가 추상적이고, 불확정적이며 또한 가치판단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그 문언 자체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에 대한 파악이 쉽지 않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법관의 주관적인 해석에 기대어 개별 사례별로 파악하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판례가 위 ‘상당성’ 개념에 관한 구체적인 의미 제시 및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당방위를 보도하는 언론에서는 대부분 “법원이 정당방위를 인정하는 데 엄격하고, 인색하며, 소극적이기 때문에 국민들이 억울한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라고 하며, 국민들 또한 약 76% 정도가 법원의 판결에 관한 부정적인 판단을 하고 있었다. ‘침해-방위’의 상황이 종료된 이후에야 비로소 제3자인 법관의 사후적인 판단에 의거하여 자신의 행위가 상당성의 여부에 포섭되는지 그 여부를 알게 되는 구조 속에서 법치국가원리에 의거한 명확성의 원칙을 따라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각 개개의 법률이나 혹은 법조항의 성격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형사법이나 국민의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법률에 있어서는 불명확한 내용의 법률용어는 제한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불명확한 용어의 사용이 불가피할 경우 최소한의 용어의 개념정의, 한정적 수식어의 사용 등을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자의적인 해석이 될 소지를 봉쇄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정당방위 상황에서의 ‘상당성’의 인정 및 부정의 여부는 곧 형사처벌과도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해당 조문의 해석에 있어 자의적인 법관의 주관이 제한되지 않을 경우 자칫 위법한 침해로부터 자신을 방위할 권리가 축소되고, 피해자가 가해자가 되는 국면을 맞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민의 실질적인 인권보장에 있어 부당한 결과를 낳을 가능성 또한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최근 5개년(2019, 2020, 2021, 2022, 2023) 우리나라의 형사상 정당방위 판결 5,588건을 살펴본 뒤 현재 판례는 정당방위 요건 중 ‘상당성’에 관한 판단기준을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귀납론적 일반론(4단계)을 제시하고 이러한 판례의 판단기준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하고 현재 지금 이 시점에서 ‘상당성’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필자의 견해로 논지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Currently Korean Criminal Act Article 21, Paragraph 1 provides “An act which is performed in order to defend one's own or another person's legal interest from impending and unjust infringement shall not be punishable if there are reasonable grounds for that act.”. Therefore even if there is a current unfair infringement on the legal interests of oneself or others first, if the act to defend it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s for ‘Reasonbleness’, the act will be punished. In this way, the order of judgment of ‘Reasonbleness’ in the order of application of self-defense is made only after it is already recognized that the legal interests of oneself or others are in unfair infringement. Therefore it can be regarded as the highest standard that can neutralize the self-defense regulation itself. However the concept of 'Reasonableness' itself is an abstract, indeterminate, and value judgment concept,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what the statement itself means. Therefore realistically, we have no choice but to rely on the judge's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 each case individually. However, the unfortunate thing is that the precedent does not provide a specific meaning or judgment standard regarding the concept of ‘Reasonableness’, so most media reporting on selfꠓdefense say, “The court is strict and stingy in recognizing self-defense because they are passive, unfair situations are occurring for the people,” and about 76% of the people also had negative judgments about the court’s ruling. Only after the "Infringement-Defense" situation ends, we need to follow the principle of clarity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in a structure in which we rely on the post-judgment of a third party, a judge to know whether our actions are included in the significance or not. In other words there may b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law but legal terms with unclear content need to be limited in criminal law or laws where public interests are at odds. If the use of terminology is unavoidable, the minimum conceptual definition of terms, use of limited modifiers, etc.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overall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arbitrary interpretation. The reason is that the recognition or denial of 'Reasonableness' in a self-defense situation is strongly linked to criminal punishment so if the arbitrary subjectivity of judg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evant provisions is not limited, it may be illegal. This is because the possibility of unfair results in the actual guarantee of human rights of citizens cannot be ruled out, as the right to defend oneself from infringement is reduced and victims may become perpetrators. Therefore with this awareness in mind,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the past five years (2019, 2020, 2021, 2022, 2023) After examining 5,588 cases of criminal self-defense rulings in Korea, I present an inductive general theory (step 4) on how the current case law sets the criteria for judging ‘Reasonableness’ among the self-defense requirements. I would like to review the problems with the judgment standards of these precedents and conclude the argument with the author's opinion on how 'Reasonableness' should be interpreted at this point.

      • (A) diatom-based reconstruction of the paleoenvironmental changes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in Jeju Island, Korea

        한지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구 온난화 문제로 미래기후변화 예측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미래기후변화를 예측함에 있어 고기후 및 고환경의 복원은 핵심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기후는 일정한 주기로 반복적인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마지막 해빙기는 미래기후변화 예측에 중요한 시기인데, 이 시기의 기후 변화는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이며, 이러한 변화는 가까운 미래의 기후변화와 유사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주도 하논은 동아시아 계절풍과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지역이기 때문에 동아시아 고기후 및 고환경 복원에 있어 중요한 곳이다. 하논 지역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지형분석 및 화분분석을 통해 육상환경을 복원해왔다. 그러나 이 지역이 원래 호수지역이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호소환경을 포함하여 보다 자세한 고환경 및 고기후 복원에 유용한 규조분석을 사용하였다. 규조는 호수의 염도, 수심, 산성화, 영양상태, 수온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변화 지시종으로, 규조분석은 퇴적물 속에 남아있는 규조 미화석을 분석하여 조사하는 방법론이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규조분석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마지막 해빙기 동안의 하논 고호수의 수심, 영양상태, 부수성, 수온, 산성화 정도를 자세히 복원하였다. 10m코어 중, 마지막 해빙기에 해당하는 시기인(약 15,500 ? 8,000cal. yr BP) 90cm에서 250cm의 구간을 연구했다. 현미경 분석으로 규조를 동정하여 규조 다이어그램을 그렸으며, constrained incremental sum of squares cluster analysis를 통해 구분된 규조 구간(zone)으로 마지막 해빙기 동안의 하논 기후사건 시기를 정했다. 그 결과 Oldest Drays는 15,440 ? 14,670 cal. yr BP, Bølling-Allerød 초반부는 14,670 ? 14,180 cal. yr BP로 나타났다. 이어서 Bølling-Allerød는 14,180 cal. yr BP ? 12,810 cal. yr BP, Younger Dryas는 12,810 ? 12,150 cal. yr BP, Preboreal은 12,150 ? 10,440 cal. yr BP, and Boreal은 10,440 ? 7,980 cal. yr BP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후 시기 구분은 하논의 고기후를 연구한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규조 군집변화와 호소학적 과정(limnological process)를 고려하여 규조 다이어그램 결과를 도식화함으로써 하논 고호수의 영양 상태, 수심, 부수성, 수온, 산성화 정도를 복원하였다. 복원된 호소환경을 구간별로 살펴봄으로써 상대적인 환경변화를 복원하였고, 이를 주성분분석과 P:B 비율을 통해 검토하였다. 복원결과 마지막 해빙기 동안의 하논 고환경 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Oldest Drays에는 춥고 건조했다가 Bølling-Allerød가 시작되면서 점점 따뜻해지고 습윤해졌다. 이후 Younger Dryas때는 습윤했다 건조해지는 추운 날씨가 계속되었고, Preboreal때에는 점점 따뜻해지고 일시적으로 건조해졌으며, Boreal에 들어서 따뜻해지고 건조 또는 습윤해졌다. 규조분석을 통해 한국 담수지역의 고기후 및 고환경을 처음으로 복원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전체적인 기후 경향뿐 아니라 하논 고호수의 영양 상태, 수심, 부수성, 수온, 산성화 정도 등도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한반도 마지막 해빙기 동안의 고환경 및 고기후 복원에 유용한 새로운 방법론과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Reconstructing the paleoclimate/paleoenvironment has become more important as the predi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 becomes a more pressing issue. Future climate change can be predicted by reconstructing the paleoclimate of the past, as it reoccurs in a repeated cyclical fashion. In particular, the last deglaciation is the focus of much research these days because it consists of various climate shifts which may be similar to the future climate change triggered by global warming. Hanon maar paleolake, in the southern part of Jeju Island, is located in a geographically significant place that can provide the missing link to the paleoenvironment between Japan and China because the southern part of Jeju Island is influenced by the East Asia monsoon and the Kuroshio Current. However, only the morphology and terrestrial environment of Hanon maar has been researched so far,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anon maar paleoenvironment using another type of proxy data to observe it from a different angle. Because Hanon maar had been a paleolake until 500 years ago, diatom analysis is an appropriate methodology to reconstruct the paleoenvironment around Hanon paleolake; it provides information on lacustrine environmental changes. The aquatic environment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of Hanon maar paleolake in Jeju Island, Korea, has been reconstructed through diatom analysis. Diatom analysis is a methodology investigating diatom microfossils in sediments, which are phytoplankton with silicic valves. Diatoms are a good indicator of environmental changes; they provide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salinity, water depth, acidification, trophic status, water temperature, and so on. Among them, water depth, trophic status, saprobity, water temperature and the acidification of Hanon paleolake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has been reconstructed in detail based on the information derived from diatom analysis. The sediment core(HN-1) had been extracted and analyzed using diatom analysis. This study covers from 90 to 250cm in the 10 meter long core, which includes the last deglaciation(ca. 15,500 ? 8,000 cal. yr BP). After identifying diatoms by microscope analysis, diatom diagrams were constructed. The zones in the diagram were determined based on constrained incremental sum of squares cluster analysis, and climate events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in Hanon paleolake have been zoned: Oldest Dryas for 15,440 ? 14,670 cal. yr BP, the beginning of Bølling-Allerød for 14,670 ? 14,180 cal. yr BP, ongoing Bølling-Allerød for 14,180 cal. yr BP ? 12,810 cal. yr BP, Younger Dryas for 12,810 ? 12,150 cal. yr BP, Preboreal for 12,150 ? 10,440 cal. yr BP, and Boreal for 10,440 ? 7,980 cal. yr BP. The time table of the climate shifts in Hanon maar which is reconstructed in this study corresponds with other studies of Hanon maar paleoclimate. The result of the diatom diagram was schematized to reconstruct the water depth, trophic status, saprobity, water temperature and acidification of the paleolake based on changes in the diatom assemblage and limnological processes. The reconstructed aquatic environment has also been drawn in the graph which outlined relative phase-dependent environment changes in the Hanon paleolake. Afterwards, the reconstructed environment based on the diatom diagram has been verified by the results of PCA and P:B ratio. The components of Axis 1, 2 and 3 and the value of P:B ratio were made into several graphs, and they were compar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meaning of each value such as trophic status, water depth and pH, the verification made the previously reconstructed lacustrine environment revised. Overall, Hanon maar paleoenvironment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has changed as follows: cold and dry for the Oldest Dryas, increasing temperatures and moisture for the Bølling-Allerød, cold and wet-dry for the Younger Dryas, an increase in temperatures and temporarily drier for the Preboreal, and warm and dry/wet for the Boreal. This was the first time a paleoenvironment of Korean freshwater zone was constructed using diatom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itself is meaningful. Furthermore, this study reconstructed trophic status, water depth, saprobity, water temperature and acidification of Hanon paleolake by diatom analysis. In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paleo-lacustrine environment of Hanon maar paleolake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using diatom analysis, and it provided a new proxy data for the paleoenvironment/paleoclimate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龍樹 『中論』의 正見에 관한 연구

        한지우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accurate view on the concept of interdependent arising(緣起) suggested as a core subject in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one of the greatest commentaries on the Buddha's discourse and buddhist scriptures. The concept of interdependent arising is a significant discourse and viewpoint about nature, its phenomena and dharma(法), regarding as a fundamental doctrine since the early stage of Buddhism. It would be impossible to accomplish the true Buddhahood, perfect purification (Nirvana) without understanding entirely the concept of interdependent arising. However, it had been changed since it came to the age of early Buddhist schools(部派佛敎). Many arbitrary explanation of interdependent arising were too rampant to be judged which one is right or not. Furthermore, the situation became worse. Some Buddhism scholars studied its doctrines without knowing interdependent arising, others tried to grasp the thoughts in Buddhism while distorting the true meaning of interdependent arising. Considering it as a dangerous situation, that could be brought to the collapse of Buddhism, Nagarjuna established the accurate view on dharma(法) and nature, defining interdependent arising as the middle way of eightfold-negation in his grand work and commentaries,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Including the criticism toward distorted thoughts of early Buddhist schools, this book aims eventually to recover the fundamental spirit of Buddha.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by Nagarjuna can be evaluated as one of the greatest commentaries on interdependent arising. The study on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couldn't be proceeded without correlative thinking about the theory of interdependent arising. Kaccāyanagotta-sutta(『迦旃延經』), one of buddhist scriptures in the early age, explains that understanding correctly interdependent arising would be identical to Accurate view among Noble eightfold path. D. J. Kalupahana regarded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as one of the most excellent commentaries of Kaccāyanagotta-sutta. His point of view can be remarkable to be taken for understanding the core thoughts in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Different from D. J. Kalupahana's opinion, it is easy to find that the real meaning of the core thoughts in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was frequently distorted and lopsided by western scholars. They defined that the accurate view in the text of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is only equivalent to 'undifferentiated cognition(無分別智)', considered exclusively as the method of eliminating insatiable desires inside of human being. Otherwise, they tried to grasp its meaning in the relation with nihilism and visional idealism. These opinions are not correct to be acceptable. The accurate view on interdependent arising dealt significantly in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has four aspects of meanings that should be concerned. First of all, it intends to criticize severely and annihilate rampant conceptual proliferation. Such belief that every existence could be fixed constantly and everlasting permanently should be eliminated because this is a typical one of conceptual proliferation. There is another example such as negative nihilism that everything is vain and nothing matters, but it should be the one to be overcome. Secondly, it puts an emphasis on getting back up again into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accurate view on interdependent arising suggested by buddha himself at his period. Interdependent conditions, referred as '緣' are not defined as fixed and independent substance, but considered as transient being similar to immateriality and emptiness of existence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substance used in western philosophy. Thirdly, it not only focuses on various dogmatism imprisoned by language and concepts in order to overcome their illness, but also makes a great effort to establish the right cognition and viewpoint about nature. Many buddhist scholars claimed that the thoughts in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are entirely related with the criticism on dogmatism with language and concept, but they had a lopsided idea possible to be distorted from the true meaning of eightfold-negation as middle way. Negation was taken as a comprehensible way for the purpose of establish the true cognition. Fourthly, it has the significance incomparable to any other methods presented in buddhist scriptures. This commentary indicates practical and realistic ways to get through the obstacles inside of human nature, desires and self-awareness. Accurate view based on eightfold-negation as middle way is a sort of passage to accomplish the goal of the true Buddhahood, perfect purification(Nirvana). However, in Buddhism, there is no division between a means and an end. Therefore, Nirvana and Accurate view based on eightfold-negation as middle way couldn't be separate into two steps. Most of all, Both a means and an end should not be reached in the ideal sphere or superiority world such as world of Idea, but be realized in the present time and space. This is the core intention presented in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and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for Nagarjuna to explain the accurate view on interdependent arising in his text.

      • 헤겔의 행위 개념 연구 : 『법철학』을 중심으로

        한지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Hegel’s theory of action in the Elements of the Philosophy of Right, where Hegel defines action as “the expression of the will as subjective or moral.” (§113) Intentional action is an activity performed by an agent to actualize her particular end. According to Hegel, the process through which an agent transforms an inner end into an actualized end is not a straightforward realization of a pre-established end and plan of action. Instead, as my rough plan of study evolves into a thesis with concrete contents through research, the end itself undergoes transformation through action. Hegel underscores that an end is concretized based on the agent’s understanding of the objective world. Since action takes place not within the agent’s mind but in the actual world, it can be successfully performed only when objective circumstances are adequately considered. Hegel emphasizes that a rational agent does not view the world arbitrarily; rather, she comprehends the circumstances and decides how to act based on objective and rational norms, shared with other rational agents. Hegel argues that, therefore, action cannot be merely a subjective activity. Based on objective and rational norms, other agents can interpret the agent’s intention from her action. In short, action is “the expression of the will” since it is not only a medium through which the agent actualizes her end but also a medium through which other agents, or even the agent herself, can apprehend the content of the agent’s will.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it explicates Hegel’s definition of action as “the expression of the will as subjective or moral.” Action is primarily an activity whereby the agent actualizes her subjective end in the objective world. This is a twofold process: the agent not only changes the objective world according to her inner end but also experiences that her end itself gets transformed. This feature of action allows the agent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her will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sublating the boundary of the inner and outer. Hegel’s expressivist conception of action effectively captures these complex aspects of action. Since only rational agents can recognize their end actualized in the objective world through their actions as their own in a proper sense, Hegel maintains that only rational agents can be involved in action proper. Moreover, this paper elucidates Hegel’s conception of intention. Hegel discusses the concept of intention with a focus on two aspects of action: proper descriptions of action and the value of action. The issue is that there are cases where what the agent regards as her intention and what other agents regard as her intention seem to diverge. However, Hegel argues that the two standpoints, namely, a subjective standpoint and an objective standpoint, are in a relationship of essential unity. Intention is essentially subjective in that it is established by the agent, but its content encompasses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elements. This is because an agent possesses insights into the meaning and value her action has in the objective world. Lastly, this paper explicates how subjective and objective standpoints can be in unity, based on Hegel’s concept of ethical life (Sittlichkeit), which serves as the normative foundation for performing and understanding action. In particular, Hegel’s retrospectivist view on action is elucidated. According to this view, full awareness of an action’s meaning and value can be gained after the action is performed, and the agent and other ethical agents interpret and react to it. Unlike other retrospectivist interpretations, my interpretation contends that this interpretive interaction can unfold in two ways: on one hand, the agent’s understanding of her action can be corrected through other agents’ interpretation of her action.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agent’s understanding of her action can stimulate change in the communal understanding of such action. In this way, action serves as a medium not only enhancing the agent’s understanding of her action but also stimulating the development of ethical norms. keywords : Hegel, Philosophy of Right, action, intention, act description, evaluation of action, retrospectivist view on action 본 논문의 목적은 『법철학』 속 헤겔의 행위 이론을 규명하는 것이다. 『법철학』에서 헤겔은 행위는 “주관적 혹은 도덕적인 것으로서의 의지의 표현(Äußerung)”(§113)이라는 정의를 제시하며 행위 개념에 관해 탐구한다. 의도적 행위는 기본적으로 행위자가 자신의 특수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행하는 활동이다. 그런데 헤겔에 따르면, 행위자가 행위를 통해 “내면적 목적”을 “실현된 목적”(§9)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은 단순히 머릿속의 구상을 그대로 현실에 옮겨놓는 형태로 진행되지 않는다. 마치 나의 머릿속에 있던 다소 개략적인 연구 구상이 글을 한 줄 한 줄 작성하는 과정에서 훨씬 구체적인 내용을 갖춘 논문으로 거듭나는 것처럼, 목적 자체가 행위를 통해 한층 구체적인 형태로 변화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여기서 헤겔은 목적이 객관 세계에 대한 행위 주체의 이해를 바탕으로 구체화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행위는 머릿속이 아니라 실제 세계에서 벌어지는 활동이기에, 그것은 반드시 객관적인 행위 상황을 고려할 때에만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주체들은 순전히 임의적인 자신만의 방식으로 세계를 바라보지 않는다. 그들은 다른 주체들과 공유하는 일정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기초하여 행위 상황을 판단하고 자신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로 실현할지를 결정한다. 헤겔은 바로 이 점 덕분에 행위는 순전히 주관적인 활동으로만 남지 않는다고 말한다. 타자들은 그들이 행위 주체와 공유하는 기준을 기초로 하여 주체가 행한 바만을 보고도 그의 행위 의도를 어느 정도 알 수 있다. 이처럼 행위는 주체가 자신의 목적을 세계에 실현하는 매개일 뿐만 아니라 다른 주체들이, 나아가 심지어 주체 스스로가 주체의 의지의 내용을 들여다보는 매개라는 점에서, “주관적 의지의 표현”이다. 본 논문에서 나는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헤겔의 행위 이론의 전모를 밝힌다. 우선 행위는 “주관적 혹은 도덕적인 것으로서의 의지의 표현”이라는 헤겔의 정의에 담긴 의미를 살핀다. 행위는 일차적으로 주체가 자신의 주관적 목적을 객관 세계에 실행하는 활동이다. 그런데 주체는 행위를 통해 객관 세계를 자신의 내면의 목적에 맞춰 변화시키기만 하지 않고, 자신의 목적 자체가 객관적인 사태들을 만나 변화되는 것을 경험한다. 따라서 행위를 통해 주체는 자신의 의지의 내용을 내면의 경계를 넘어 한층 보편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두 가지 방향성을 염두에 두기에 헤겔은 행위를 의지의 ‘표현’으로 정의한다. 이때 객관 세계에 실행된 자신의 목적을 온전히 ‘자신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는 자신의 행위의 타당성에 관한 사유를 전개할 수 있는 주체뿐이기에, 헤겔은 그러한 의미에서 이성적이고 도덕적인 주체만이 진정한 의미에서 행위한다고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헤겔이 행위 의도를 이루는 성분들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규명한다. 행위 의도 개념에 대한 헤겔의 논의는 특정 사태를 주체에게 책임이 있는 행위로 귀속하는 ‘책임 귀속’의 문제와 행위의 옳고 그름을 평가하는 ‘행위 평가’의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행위를 바라보는 행위 주체 자신의 관점과 타자의 관점 사이의 관계가 문제가 되는데, 헤겔은 ‘주관적’ 관점과 ‘객관적’ 관점이라고 불릴 수 있을 두 관점이 내재적으로 통일을 이룬다고 본다. 그에 따르면 자신의 행위를 바라보는 주체의 관점을 보여주는 행위 의도는, 주관에 의해 정립되는 것이면서도 동시에 주관과 객관을 포괄하는 내용을 지닌다. 행위 주체는 첫째로 자신의 행위가 객관 세계 속에서 지니는 의미를 통찰하고, 둘째로 자신의 행위가 객관 세계 속에서 지니는 가치를 통찰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헤겔이 행위의 규범적 바탕이자 행위에 대한 상호 이해의 규범적 토대로 간주하는 인륜성에 기초하여, 위와 같은 주관적 관점과 객관적 관점의 통일이 현실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해명한다. 관련하여 특히 행위 규정에 관한 헤겔의 사후주의 테제의 내용과 의미를 규명한다. 사후주의에 따르면, 행위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완전한 이해는 행위 이후에 진행되는 인륜적 주체들 사이의 행위해석적 상호작용을 통해 달성된다. 이때 기존의 사후주의 해석에서 주장된 바와 달리, 주체들 사이의 행위해석적 상호작용은 일방향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전개된다. 사후적인 주관과 객관의 통일 과정은, 주체의 행위 이해가 타자들의 행위 해석에 의해 증진되는 방향으로 일어날 수도 있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행위는 주체의 의지를 발전시키는 매개가 될 뿐만 아니라 규범을 발전시키는 매개가 될 수 있다. 주요어 : 헤겔, 법철학, 행위, 행위 의도, 행위 기술, 행위 평가, 행위에 관한 사후주의

      • 노인의 난청 및 음악 감상 실태와 만족도 조사

        한지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의 난청 및 음악 감상 실태와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강원도 소재 노인기관 및 종교기관을 이용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이다. 설문지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보청기 착용 여부, 과거와 현재의 음악 활동 및 경험, 음악 감상 실태와 만족도, 그리고 노인성 난청을 위한 청각장애평가지수(KESHH)로 구성되었으며, 총 121부의 유효한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 결과, 첫째, 청력 손실을 인지하는 사람 중 실제 보청기를 착용하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청력 검사, 보청기에 대한 인식 개선, 적응 및 재활 프로그램, 자가 모니터링 등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음악치료 임상 환경에서는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는 노인에게도 청력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함을 강조한다. 둘째, 보청기 착용자와 미착용자 간의 차이 분석 시 난청 수준의 하위요인인 사회적인 영향에서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은 개인의 성격, 사회적 기술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좌우되므로 보청기 착용 여부가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 심리·정서적인 영향, 대인관계의 영향, 보청기에 대한 견해, 음악 감상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리·정서적, 대인관계, 보청기에 대한 견해에서는 개인의 특성과 신체적,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훈련 및 중재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음악 감상 만족도에서는 보청기의 음질이나 소리 전달 방식이 음악 감상 경험을 완전히 만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 보청기 착용자 중 70.6%가 음악 감상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더 나은 청각 환경을 위한 지원 및 중재 활동이 충분한 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난청 수준의 하위 요인은 음악 감상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난청 과 음악 감상 만족도의 관계가 복합적이며, 과거와 현재의 음악 활동 및 훈련 참여 여부, 개인 성향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면밀한 확인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노인 대상 임상에서 과거 음악 경험 정보 수집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노인의 난청 및 음악 감상 실태와 만족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난청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및 정책적 지원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음악을 활용한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aring loss and music listening status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older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use senior centers and religious institution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ring aid use, past and present musical activities and experiences, music listening practices and satisfaction, and the Korean Evaluation Scale for Hearing Handicap (KESHH), and a total of 121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first, that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hearing loss, a low proportion actually wore hearing aids. This suggests the need for hearing screening, increased awareness of hearing aids, adaptation and rehabilitation programs, and self-monitoring, and highlights the need for music therapy clinical settings to recognize that older adults who do not wear hearing aids may have hearing problems. Second,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hearing aid wearers and non-wear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impact as a subfactor of hearing loss level. This suggests that social interactions are influenced by many factors, including 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social skills, so the impact of hearing aid use may be relatively small.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emotional impact, interpersonal impact, views on hearing aids, and satisfaction with music listening. The psycho-emotional, interpersonal, and hearing aid views suggest the need for training and intervention activities that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while the music listening satisfaction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sound quality of the hearing aid or the way it delivers sound may not fully satisfy the music listening experience. However, in this study, 70.6% of hearing aid wearers had a need to listen to music,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explore whether support and intervention activities for a better hearing experience are sufficient. Third, the subfactor of hearing loss leve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usic listening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loss and music listening satisfaction is complex and needs to be further explored, taking into account a variety of factors, including past and present participation in musical activities and training, and personal preferences. In particular,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information about past musical experiences in clinical practice with older adults. By providing basic data on the prevalence and satisfaction of hearing loss and music listening in the elderl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social and policy support measures to address the problem of hearing loss, and suggests the need and direction for music-based intervention programs.

      • 건축물 화재사례 및 화재위험성 분석을 통한 국내 방화구획 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지우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easures to prevent fire spread by analyzing the path and causes of fire spread through the analysis of fire cases of major buildings in Korea. Therefore, the causes of fire spread were analyzed for Busan Wooshin Golden Suite in 2010, Goyang Terminal in 2014, Uijeongbu Daebong Green Apartment Fire in 2015, Jecheon Sports Center Fire in 2017, and Miryang Sejong Hospital Fire in 2018. The main causes of fire spread were analyzed as lack of compartments in staircases and hoistways, inadequate fire protection of the exterior wall openings, and inferior flame retardancy of fire doors and fire shutters. In the case of staircases and hoistways, measures should be taken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to the upper level through the compartments. In the case of the exterior wall opening, the fire risk analysis through SBI test showed that PVC windows and doors were damaged or dropped due to the insufficient fire protection performance of the window frames and glass. This occurred.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through the exterior wall opening,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standard of the equipment installed in the opening should be applied. In case of fire door and fire shutter, it is installed to partition all compartments. However, risks according to building use and design conditions are not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risk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diction of compartment temperature was expected to require 85 minutes of work facilities and 76 minutes of accommodations Therefore, in this study, to prevent fire spreading in case of building fire, a simple transplantation method for calculating fire resistance tim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use of compartment is presented, and it is presented as basic data for fire spread prevention.

      • 스트리트 퍼니처를 활용한 공공미술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지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pid advancemen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oday's modern society have enabled social activities in new forms of communication online through blog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 Those changes of the times have made it possible to lead a more convenient life free from the old time and space limitations, but indir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line via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dia are producing adverse effects including reduced human encounters and face-to-face conversation time between people, indifference in others, and impoverishment of human relations. People can never live, being separate from the society. It has become even more desperate to acquire the values and conventions of the community and internalize them within the social community out of online space. Public art is art of public nature. Since it includes the living space of community in the scene of art education beyond the concept of visible art, it seems to offer opportunities to solve problems faced by the society. The 21st century is called an era of culture in which culture and art makes up part of a nation's competitive edge as well as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keeping up with those changes of the times,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jointly announced "Total Plan for the 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founded the Korean Culture and Arts Foundation in 2004 to create and support an environment in which the entire nation could enjoy culture and art in daily life. Those measures have many aspects to correspond with public art, a representative area of art that allows people to see and feel art in life. Street furniture, in particular, has taken deep roots in human life as an essential element of urban life. There is an absolute shortage of specific researches in linkage with public art or cases of instructional plans for public art in high school art classes. There is no previous study on high school art education based on street furniture. This study thus set out to develop and apply instructional plans based on street furniture, analyze the results, and search for future directions of public art education based on street furniture in high school art classes so that public art lessons could be provided in an efficient manner. In an effort to achieve those purposes, the study employed the following methodologies: Chapter I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cases of art education based on public art and street furniture among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in the nation and explored the directionality of public art education; Chapter II covered the concepts, flows, types, and functions of public art and street furniture to set up a theoretical background; Chapter III identified the current applications and problems of public art in high school education by examining the main content of the introduction to the "Art Creation" subject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nd analyzing the units related to public art in the "Art Creation" textbook in order to find connections between high school art education and public art; Chapter IV developed instructional plans for public art based on street furniture, applied them to a group of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lesson results; and Chapter V made proposals of plans to vitalize public art education in high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nstructional plan for public art based on street furniture contained total five lessons, but only three of them were applied to actual classes, which may lead to some limitations with creating many educational values. The three lessons include "theoretical lesson," "individual creation sketch," and "planar expressions by the groups" and generat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students increased their understanding of and interest in public art and street furniture. Second, group works helped them increase their cooperative spirit and form the right social relationships. Finally, they developed in divergent thinking and creativity through activities of coming up with ideas. As a foundation stone,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facilitate active follow-up research on public art education based on street furniture in high school and make even the smallest contribution to the vitalization of public art in high school. 오늘날 현대사회는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하여 블로그(Blog)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등을 통해 온라인 공간속에서의 새로운 소통의 방식으로 사회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나 보다 편리한 삶을 가능하도록 실현시키지만 정보통신을 매개체로 한 온라인 공간 속 간접적인 인간관계로 인해 사람과 사람사이의 인간적인 만남이나 면대면 대화 시간은 줄어들고, 타인에 대한 무관심이나 인간관계의 피폐성을 비롯한 역기능적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간은 사회와 결코 분리되어 살아갈 수 없는 존재로서 온라인 공간을 탈피한 사회 공동체 속에서 공동체의 가치, 관습 등을 습득 하고 이를 내면화 하는 과정이 더욱 절실해 졌다. 공공미술은 공공적 성격을 갖는 예술로써 가시적인 미술의 개념을 넘어 공동체의 생활공간을 미술교육의 장으로 끌어들인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21세기는 정보사회인 동시에 문화·예술이 국가의 경쟁력이 되는 문화의 시대라 불려진다. 이러한 시대변화에 발맞춰 우리나라는 2004년 문화관광부와 교육인적자원부가 공동으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하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을 마련하여 전 국민이 일상적 삶 속에서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삶 속에서 예술을 보고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미술의 분야인 공공미술과 상응되는 부분이 많다고 여겨진다. 그 중에서 특히 스트리트 퍼니처는 도시의 삶 속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적인 요소로서 우리 삶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고등학교 미술수업에서는 공공미술과 연계하여 진행한 구체적인 연구나, 수업지도방안에 관련된 사례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스트리트 퍼니처를 활용한 고등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는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미술 수업이 효율적으로 지도될 수 있도록 스트리트 퍼니처를 활용하여 수업지도안을 개발, 적용해 보고 그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고등학교 미술수업에서의 스트리트 퍼니처를 활용한 공공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고찰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먼저, Ⅰ장에서 공공미술과 스트리트 퍼니처를 활용한 미술교육 사례에 대해 국내 발표된 학술지, 학위논문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공공미술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모색하였으며,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공공미술과 스트리트 퍼니처의 개념, 흐름, 유형, 기능 등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고등학교 미술교육과 공공미술의 연계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미술 창작’ 교과목 총론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미술 창작’ 교과서에서 공공미술 관련 단원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교육에서 공공미술 적용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Ⅳ장에서는 스트리트 퍼니처를 활용한 공공미술 지도방안을 개발하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수업 결과를 분석하였고,Ⅴ장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공공미술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해 보았다. 스트리트 퍼니처를 활용한 공공미술 수업 지도안은 5차시로 구안하였지만 실제 수업 적용은 3차시에 그쳤기 때문에 많은 교육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 3차시로 진행 된 수업은 ‘이론수업’, ‘개별 제작스케치’, ‘조별 평면 표현’으로 구성되며, 수업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미술과 스트리트 퍼니처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와 관심이 증진되었다. 둘째, 공동 작업을 통해 협동심이 증진되었고 올바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발상활동을 통해 확산적 사고와 창의성이 발달되었다. 본 연구를 초석으로 스트리트 퍼니처를 활용한 고등학교 공공미술 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라며, 본고가 고등학교 공공미술 활성화에 조금이나마 기여했기를 기대해 본다.

      • 상수도관망 내 탁수 확산 모델 개발 및 사고 대응을 위한 제수밸브 위치 선정

        한지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수도관망 내에서 탁수사고가 발생할 경우 수도사업자는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히 출동하여 제수밸브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사고 발생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탁수가 확산된 범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므로 차단해야 하는 제수밸브를 정확히 선정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관망 내에서 탁수사고가 발생할 경우, 탁수가 확산되는 경향을 정량적으로 모의하기 위해 탁수 확산 기초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탁수사고 발생 시 탁수 피해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차단 필요 제수밸브를 선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과거에 수행한 플러싱 자료를 바탕으로 평상시와 플러싱 시 관로 내 유속 및 유량의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수리전단력 차에 의한 탈리속도(erosion rate)를 추정하는 탁질물질 탈리 모델을 개발하였다. 탈리속도와 수리전단력 차의 관계를 도출한 결과, 수리전단력 차가 5.0 N/m2 이하인 경우와 5.0 N/m2 초과인 경우 모델의 상관계수가 각각 0.74, 0.60으로 도출되는 것으로 나타나 독립변수가 종속변수를 잘 설명하는 모델이 개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모델을 활용하여 사고시 각 관로에서 수리전단력 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탁수의 농도를 정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축적기간에 따른 관로 표면적당 실제 물질축적량을 추정하는 탁질물질 축적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물질축적량은 평상시 평균 유속에 의해 차이가 날 것으로 판단하여 저유속관로, 중간유속관로, 자가세척유속관로의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저유속관로, 중간유속관로, 자가세척유속관로에서의 축적 모델의 상관계수는 각각 0.80, 0.83, 0.51로 도출되었다. 저유속관로 및 중간유속관로에서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를 매우 잘 설명하는 모델이 개발되었으나, 자가세척유속관로에서는 데이터 표본 수가 적으며, 데이터의 분포가 일관성을 띠지 않아 타 유속의 관로보다 상대적으로 상관계수가 작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해당 모델을 활용하면 관로별 물질의 축적량을 산정하여 관로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실제 상수도관망에서 탁수 확산을 모의하고 검증하기 위해 탁수가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시나리오는 크게 4가지로 시나리오 1(배수지에서 고농도 탁수 유출), 시나리오 2(배수지에서 저농도 탁수 유출), 시나리오 3(비상연계관로 사용), 시나리오 4(소화전 사용)로 구성하였다. 시나리오 1과 2의 경우에는 탁수가 주요분기점에 도달하는 시간이 사고 발생 시각에 따라 1시간 45분에서 4시간 10분까지 차이가 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어 시간대별 물사용량에 따라 탁수 확산속도가 달라짐을 확인하였으며, 사고발생시각 및 경과시간에 따라 차단해야 하는 제수밸브의 위치가 다름을 확인하였다. 시나리오 3과 4의 경우 개발된 탁질물질 축적 모델을 활용하여 각 관로 내 축적물질의 양을 추정하였으며, 탈리 모델을 활용하여 각 관로에서 사고시의 수리학적 변동에 의해 발생한 탁수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수도관망 내 탁수발생 시 탁수 피해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차단 필요 밸브 선정 방법론을 개발하였으며, 해당 방법론을 연구대상지역에 적용해본 결과 사고발생시각과 경과시간에 따른 탁수확산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확산범위에 따른 차폐구역을 설정함으로써, 차단해야 할 밸브를 정확히 선정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수도관망 내 탁수 확산 모델과 차단 필요 밸브 선정 방법론을 활용하면 수도사업자가 실제 발생 가능한 여러 유형의 사고를 사전에 모의하여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에 관로 내 수질사고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수질 조기 감시 체계(Contamination Warning System, CWS)와 연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실시간 운영자료와의 연계를 통해 더 정확한 차폐구역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event of a discolouration accident within the water distribution network, the water service provider needs to quickly respond and shut off control valves in order to minimize damage to the public. However, in reality, as time passes since the acciden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range which the discoloured water has spread, so there is a limit to selecting a control valves to be closure. Therefore, in this study, A basic model is developed which can quantitatively simulate the diffusion of discoloured water in the distribution network, and simulated the spread of discoloured water in the water distribution network by accident scenario using the developed model and pipe network analysis program. In addition, a methodology was proposed to select control valves to be closure to minimize the range of damage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of discoloured water spread by first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control valves in research area. Based on past flushing data, material erosion model is developed that estimates the erosion rate due to the hydraulic shear force difference generated by the fluctuation of the flow rate and velocity in the pipeline during normal times and during flush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model which hydraulic shear force is less than or equal 5.0 N/m2 is 0.74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model which hydraulic shear force is upper than 5.0 N/m2 is 0.60. Therefore models are confirmed that dependent variable can explain independent variable well. In addition, a material accumulation model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actual material accumulation per pipe inner surface area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period,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 material accumulation amount would differ depending on the average flow velocity in normal situation. The model was developed by dividing it into three group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accumulation models in the low-velocity pipe, medium-velocity pipe, and self-cleaning flow pipe were derived as 0.80, 0.83, and 0.51, respectively. In the low-velocity and medium-velocity pipelines, a model that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very well has been developed. It is consider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small. If the model is used,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in the maintenance of pipelines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material accumulated in each pipeline. In this study, scenarios in which discolouration can occur were selected to simulate and verify the diffusion of discoloured water in an actual water distribution system by applying the developed model. Scenarios are divided into four major scenarios: Scenario 1 (high-concentration discoloured water outflow from the reservoir), Scenario 2 (low-concentration discoloured water outflow from the reservoir), Scenario 3 (using an emergency connection pipe), and Scenario 4 (use of a fire hydrant). In the case of Scenarios 1 and 2, it was found that the time for discoloured water to reach the intersections can vary from 1 hour 45 minutes to 4 hours 10 minutes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accid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the control valve to be closure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accident and the elapsed time. For Scenarios 3 and 4, we estimate the amount of accumulated material in each pipeline using the developed material accumulation model, and we confirm that each pipeline can quantitatively identify the concentration of table water caused by the mathematical variation at the time of the accident. Next, we developed a method for selecting a shutoff control valve to minimize the damage range of discoloured water when discolouration occurs in the water supply network. As a result of applying the method to the research target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simulation of discoloured water spread according to the accident time and elapsed time, It was verified that the valve to be shut off can be accurately calculated by setting the segment according to the spread range. In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if the discoloured water spread model in the water distribution system and the method for selecting valves requiring shutoff are used, water service providers will be able to prepare countermeasures by simulating various types of accidents that may actually occur in advance. As the number of water quality accidents is increasing,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link with the Contamination Warning System (CWS), and it is judged that more accurate segments can be set by linking with real-time operation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