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NEIS 기반 개별화교육계획의 활용 실태 및 인식 조사 : 일반학교를 중심으로

        한승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NEIS가 2002년 구축된 이래로 부처 간 정보시스템 연계 및 대국민서비스 확대가 이루어졌으며, 법제도 변경 사항을 반영하여 정보 기반 교육정책을 제공하는 등 모든 교육행정 정보가 전자적으로 연계 및 처리되고 있다. NEIS의 도입으로 인하여 교사들의 업무 간소화 및 진행의 효율성, 종이문서의 감소, 업무 분산 및 의사소통 기회 확대와 같은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NEIS의 도입 이후 특수교육에서 대표적으로 필요로 하는 교무업무시스템 특성인 개별화교육계획(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또한 NEIS 상에 개발되었다. 특수학교의 경우 개별화교육을 포함한 NEIS 교무업무시스템을 활용하여 학교생활기록부를 전산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일반학교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되는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학교 현장에서 NEIS 기반 개별화교육계획이 원활히 운영되지 않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EIS 기반 개별화교육계획이 특수학교에서 자리 잡은 것처럼 일반학교에서도 공식적인 정보공유 체제로 확립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나아가 NEIS를 통합교육의 플랫폼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 구현을 위하여 전국 통합학급 담임교사 99명과 일반학교 특수교사 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 통합교육 현장에서 NEIS 학생생활기록부 기록에 대한 NEIS 기반 개별화교육계획의 활용도가 저조하였다. 일부 학교에서는 이중결재의 문제가 있거나, 통합학급 담임교사와 개별화교육계획 플랫폼이 일원화되어 있지 않은 양상이 드러났다. 둘째, 일원화된 공식적 개별화교육계획 플랫폼에 대한 필요성이 나타났다. 개별화교육계획의 수립, 평가관리 영역이 이원화되어 있기에 교사들이 다단계의 불필요한 절차를 거치고 있었다. 셋째, NEIS 기반 개별화교육계획 시스템 활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1)개별화교육계획의 이중결재에 따른 결재문서의 이중관리 문제, (2)특수교육대상학생의 다양한 요구 및 특성에 맞는 개별화교육을 수립하기에 제한적인 NEIS의 기능 및 양식. 위의 결과를 통해 NEIS 기반 개별화교육계획은 현재 일반학교 현장에서 특수교사-통합학급 담임교사 간의 정보 공유, NEIS 학생생활기록부 기록, 통합교육에의 적용 등의 측면에서 활용도가 낮음이 드러났으며 개선점을 밝힐 수 있었다. 이는 NEIS 기반 개별화교육계획 활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일원화된 개별화교육계획 플랫폼이 필요하다는 권기홍(2015)의 선행연구와도 일치한다. 본 연구의 제언으로 첫째, NEIS 기반 개별화교육계획의 낮은 통합교육 활용도에 관하여 일반학교 현장의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담임교사에 대한 심도 있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통합학급의 완전통합 학생에 대한 별도의 인식 및 실태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표본 조사의 한계점이 있으므로 정확한 실태 및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전수 조사 또는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 5·16광장에서 여의도공원으로 : 공간사의 관계적 재구성

        한승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5·16/여의도광장이 여의도공원으로 변화하기까지의 역사적 과정을 공간정치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5·16광장은 여의도 개발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직접 지시로 인해 조성되었고, 오랜 기간 국가 및 도시의 대표적인 관제 행사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공간에 부여되는 의미가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광장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건들은 정치권력의 역사로 환원되어 서술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5·16/여의도광장이 정치권력을 가시화하기에 적합한 스펙터클 공간으로 기능해 왔던 특수성 때문이다. 그러나 광장과 공원은 다양한 권력과 행위자들의 관계 속에서 사회-공간적 의미를 갱신해 왔다. 또한 광장의 공간정치적 의미가 탈색되어 시민들의 녹색 쉼터인 공원으로 재탄생한 과정은 결코 절대적인 권력 작용의 결과가 아니었다. 특정한 주체의 권력 행사에 한정된 공간의 의미화는 5·16/여의도광장과 여의도공원의 사회문화적 구성 과정에 관여한 사건 및 행위자들의 공간적 실천과 역사를 비가시화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비판적 권력 이론과 사회-공간 이론의 관점에 입각하여 국가의 공간으로 이해되어 왔던 광장의 공간사를 관계적으로 재구성했다. 이를 통해 광장이라는 공간-시간과 결부된 권력‘들’의 층위와 공간적 실천을 수행한 사회영역 및 행위자 각급의 다중스케일적 구성 및 관계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러한 관점을 기반으로 이 연구는 광장과 공원을 다룬 당대 정부(들)의 공식 기록물, 비공식 기록물, 연구 자료, 신문 기사 등의 문헌을 검토했다. 문헌들의 검토와 재배치를 통해 규명하고자 설정한 질문은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5·16/여의도광장은 어떠한 권력관계가 교차하는 공간이었는가? 둘째, 광장에서 교차하는 사회영역들은 무엇을 목표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광장에 나타났는가? 셋째, 광장에서 교차하는 사회영역들과 행위자들은 어떠한 사회-공간적 의미를 만들어 냈는가? 그리고 그것이 광장의 공원화와 어떻게 연결되는가? 1987년 민주화 이전까지의 광장은 관제 행사, 종교 행사, 미디어 이벤트, 그리고 문화/여가 생활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이 시기의 광장은 시민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문화/여가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일상-여가’의 차원과 ‘비일상-(관제)행사/이벤트’의 차원이 공존하는 권력관계의 각축장, 즉 ‘자유로서의 억압 공간’이었다. 당시 광장에 자유와 억압이라는 모순이 공존했던 까닭은 정치권력이 스스로와 긴밀하게 관계 맺은 사회영역들이 광장에서 드러날 수 있게끔, 정치적 암흑기에 시민들이 자유로운 방식으로 운집할 수 있게끔 허가하는 강력한 주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1987년 도래한 민주화는 ‘자유로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공간, 동시에 분출하는 공간으로 여의도광장의 공간적 특수성을 바꾸어 놓았다. 1988년부터 1997년 공원화 착공 이전까지의 광장은 시민사회의 적극적인 정치적 실천으로 구성된 사회운동의 공간이었다. 사회운동의 주체로 등장한 농민과 노동자는 진보 성향을 띤 정치권력 및 언론권력과의 연합을 통해 대항 세력의 운동 진영을 구축했고, 광장에 배태되어 있던 기존의 정치적 성격을 전유했다. 이 과정에서 여의도광장은 시민의 정치적 의제 표현 장소로 새롭게 의미화되었다. 하지만 사회운동으로부터 추동된 시민-광장정치의 성격은 광장의 공원화로 인해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못했다. 여의도공원은 광장에 부여되었던 집합적 연대 공간의 의미가 탈색되는 방식으로, 즉 광장에 기입되어 있던 사회-공간적 의미가 흐려지는 방식으로 탄생했다. 이에 이 연구는 여의도공원을 ‘망각으로서의 억압 공간’이라 명명한다. 물론 여의도광장의 공원화를 ‘특정 주체의 독단적 결정에 의한 결과’로 환원하여 해석할 수는 없다. 여의도광장/공원을 둘러싼 초국가-국가-도시-로컬 스케일의 행위자들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기반해 여타/상위 스케일 행위자와 복합적인 관계를 맺고, 공원화 과정에 개입했기 때문이다. 여의도공원의 탄생은 다채로운 공간적 역동의 결과였다. 5·16광장에서 여의도공원으로의 변화 과정은 자유와 억압의 긴장 속에서 다양한 권력관계, 사회영역의 각축과 연대가 이어지는 과정과도 같았다. 이 연구는 5·16/여의도광장이 ‘누구의 것도 아니었음’을, 그러나 동시에 다양한 사회영역들이 첨예한 각축을 벌인 공간이었음을 드러냈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또한, 기존 여의도 공간사 연구에 부재했던 문화연구의 방법을 접합하여 총체적이고 관계적인 방식으로 5·16/여의도광장의 권력관계를 풀어내는 공간사 기술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근현대의 세부적인 사회사적 맥락에 5·16/여의도광장이라는 사회-공간적 층위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기존 연구/작업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ical process of 5·16/Yeouido Square becoming Yeouido Park from a spatial-political perspective. Created under the direct order of President Park Chunghee during the development of Yeouido, 5·16 Square has long been utilized as a representative event space for national and city control. Despite the different meanings assigned to the space over time, the series of events that took place in the square have been reduced to a history of political power, as it served as a spectacle space specifically designed to make political power visible. However, the meaning of the space limited to the exercise of power by a particular actor is problematic in that it invisibilizes the spatial practices and histories of the events and actors involved in the socio-cultural construction of 5·16/Yeouido Square and Yeouido Park. The square and park have been spaces that continually renew their socio-spatial meanings through interactions between various powers and actors. The transformation of the square's spatial-political meaning, discolored and reborn as a park ― a green shelter for citizens ― was never solely influenced by a specific or absolute power. Based on these questions, this study relationally reinterprets the spatial history of the square, 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space of the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power theory and socio-spatial theory. In doing so, it sought to identify the layers of power and the multi-scalar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 of the social sectors and actors who performed spatial practices in the space-time of the square.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including official government documents of the time, unofficial documents, research materials, and newspaper articles that focused on squares and parks. Through the review and reorganization of the literature, this study set out to answer three questions. First, what were the intersecting power relations in 5·16/Yeouido Square; second, what did the intersecting social sectors aim for and how did they manifest in the square; third, what kind of socio-spatial meanings did the intersecting social sectors and actors create in the square and how does it connect to the parkification of the square? Prior to the democratization in 1987, the square was an axis of power relations where the dimensions of ‘daily life and leisure’ and ‘non-daily life and events’ coexisted, where citizens could enjoy their cultural and leisure life relatively freely, or ‘freedom as oppression’. The contradictions of freedom and repression coexisted in the square at that time because the political power was a powerful actor that allowed the social sectors that were closely related to itself to be visible in the square, and allowed citizens to assemble in a free manner during the political dark ages. However, the democratization in 1987 transformed Yeouido Square into a space of experimentation or eruption of the ‘possibilities of freedom’. From 1988 to 1997, before its parkification, the square was a space for social movements that consisted of active political action by civil society. This study found that farmers and workers, who emerged as the main actors of the social movement, established a movement camp of opposing forces through their alliance with the progressive political and media power, and appropriated the existing political character of the square. In this process, Yeouido Square was redefined as a place for the expression of citizens’ political agendas. However, the nature of civic and square politics driven by social movements did not last long due to the parkification of the square, and Yeouido Park came to mean ‘a space of repression as oblivion’. This is because Yeouido Park was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the meaning of collective solidarity space given to the square was discolored, thus blurring the socio-spatial meaning written on the square. The spatial actors surrounding Yeouido Square/Park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parkification through complex and intricate relationships. This study traces the process of (multi-)scale actors, ranging from transnational, national, urban, and local, intervening in the parkification process through coalitions and angles with other/upper scale actors based on their own interests, resulting in the current Yeouido Park. The process of space transformation from 5·16 Square to Yeouido Park was a process of various power relations, social sectors, and solidarity in the tension between freedom and op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reveals that 5·16/Yeouido Square ‘belonged to no one’, but at the same time, it was a space where various social sectors were at sharp odd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is study overca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work by attempting a spatial history technique that unravels the power relations of 5·16/Yeouido Square in a holistic and relational manner by combining the methods of cultural research, which were absent from existing spatial history studies of Yeouido Square, and inserting the socio-spatial layer of 5·16/Yeouido square into the detailed socio-historical context of the modern era.

      •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조직 적합성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

        한승지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조직 적합성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조직 적합성과 직무열의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 <연구문제 2>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조직 적합성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공공기관(준정부기관, 공기업, 기타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독립변인인 개인-조직 적합성 4문항, 종속변인 직무열의 9문항, 매개변인 공공봉사동기 16문항, 인구통계학적 변인 8문항, 총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조사를 위해 2021년 11월 12일부터 11월 14일까지 총 3일간 온라인으로 400부의 설문을 배포하였고 그 결과 336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설문에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33부를 제외한 유효 설문지 30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조사 자료는 첫째, 본 연구에서 활용된 조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Cronbach’s α값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조사된 주요변인들의 기초통계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개인-조직 적합성과 직무열의, 공공봉사동기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독립변인인 개인-조직 적합성과 종속변인인 직무열의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개인-조직 적합성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검증절차에 따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소벨 검증(sobel test)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절차로 도출된 본 연구문제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조직 적합성은 직무열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조직 적합성과 매개변인 공공봉사동기의 관계에서 독립변인 개인-조직 적합성은 매개변인 공공봉사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기관 구성원의 개인-조직 적합성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개인-조직 적합성과 직무열의 관계에서 공공봉사동기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의 보람과 어려움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승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the basic datas for the operation of effective small-sized classes and the support of low-career teachers by taking a deeper look at the achievements and difficulties of low-career teachers in classes of public kindergartens, focusing on Gyeonggi Province,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efficient consolidation of small-sized classes of public kindergarten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are the rewards of a low-career teachers in small-sized classes of public kindergarten classes? 2. What are the difficulties of a low-career teachers in small-sized classes of public kindergarten classes? To that end, the researcher has interviewed 4 low-career teachers managing small-sized classes of public kindergarten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six times each from November 2018 to February 2019. In addition to this, the researcher made use of field notes and reflective journals for the data analysis. Datas gathered in this paper are analyzed using open coding, categorization, the confirmation of category, which is three-phases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through this research. First, it has been clear that low­skilled teachers felt paid off in terms of managing the curriculu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eacher development, and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s. These low­career teachers felt rewarded with child guidance in their curriculum, relationships with faculty members and parents of childre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extension of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er development, and addressing their duties and managing facilities in running the kindergartens. Second, it has turned out that low­skilled teachers have difficulties managing the curriculu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teacher development, and the management of kindergartens. These low­skilled teachers find it difficult to cope with child guidance in their curriculum, relationships with faculty members and parents of childre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extension of their professionalism in teacher development, and addressing their duties and managing facilities in running the kindergartens. On the basis of these conclusions, the researcher could find the rewards and difficulties of low-career teachers managing small-sized classes of public kindergartens. Such findings are expected for government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small-sized classes in public kindergartens, support low-career teachers at the national level, and furth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ocial efforts to support low-career teachers in the small-sized classes of public kindergarten.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의 보람과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효과적인 소인수 학급의 운영과 저경력 교사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의 효율적인 통폐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의 보람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2월까지 경기도 지역의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 4명을 대상으로 각 6회씩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로 근무하면서 느낀 보람과 어려움에 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 외에도 현장노트, 반성적 저널 등을 수집하여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의 세 단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자료들을 부호화하고 유형화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들의 보람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육과정 운영 측면, 대인관계 측면, 교사 발달 측면, 유치원 운영 측면에서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육과정 운영 측면으로는 교육활동과 유아 생활 지도에서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 측면에서는 교직원들과의 관계와 학부모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발달 측면으로는 전문성 신장에서 보람을 느끼고 있었으며, 유치원 운영 측면에서는 업무 처리에서와 시설‧설비 관리에서 보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들의 어려움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육과정 운영 측면, 대인관계 측면, 교사 발달 측면, 유치원 운영 측면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교육과정 운영 측면으로는 교육활동과 유아 생활 지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인관계 측면에서는 교직원들과의 관계와 학부모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발달 측면에서는 전문성 신장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운영 측면에서는 업무 처리에서와 시설‧설비 관리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의 보람과 어려움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을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며, 더 나아가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 저경력 교사를 지원하는 사회적인 노력의 방향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 『Talk to her』 : 독립 장편영화 <Talk to her>의 프로덕션디자인 연구

        한승지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Film is a representative visual media and the narrative building through a storytelling is the foundation for it, but also visual image is deeply involved in a completion of the film. Visualization helps a narrative of the film and expresses its atmosphere, emotion, or connotative sense. The composition of a picture is closely connected with mise en scene, and a production desig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building of mise en scene. The production design holds an important plac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reative building of mise en scene and its visualizing work. Focused on the feature film <Talk to her>, this thesis would additionally look at a process of the main character’s growth, working out with girls in his youth and relationship with himself, and analyzes and searches the whole contents and processes of the visualization of the film. First, this thesis briefly looked at the ego and self-identity, and after preparing its rationale by examining a connection between them and relationship, mentioned concepts deriving process of production design through scenario analysis of <Talk to her>, divided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into characters, space and props, and departmentalized and analyzed them. The characters, space and props are important factors forming mise en scene, and to analyze these factors can be presented as a basis for designing an external style of the film and an implication of the scenario. And this study found out a function communicating meanings of factors of mise en scene in <Talk to her> from searched and analyzed contents. This study would analyze a young man’s picture that he establishes self-identity, and overcomes transition period of his life through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oduction design. A production designer should focus on how he/she could express visually a scenario, but more important thing is validity of the scenario analysis and the visual statement that fits its directing intention. The feature film <Talk to her> focused on the approach of mise en scene that could effectively visualize the subject from these directing analyses and theories. The methods through this study would be a way that makes possible more effective visualization through the production designer’s various visual approaches.

      • 대학 플립드 러닝 학습자가 인식하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성취 간의 관계 분석

        한승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 플립드 러닝 수업의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실재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플립드 러닝을 통한 학습경험 및 성취의 바탕이 되는 기제를 검증하고 학습효과를 최적으로 향상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국내외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플립드 러닝의 의미와 요소에 대한 정의를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플립드 러닝의 성과를 고취하기 위한 학습자의 인식이 반영된 변인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플립드 러닝 학습자를 대상으로 삼은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요인으로 구성된 학습자 변인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과 사회적 실재감을 외생변인으로, 온라인 사전학습에 대한 학습동기를 매개변인으로, 인지된 학업성취도를 내생변인으로 삼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권 소재 4년제 A대학교의 학부생으로, 320명 전원이 동일한 내용과 절차의 플립드 러닝 교과목을 수강 중이었다. 연구대상자에게 약 2주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결측치 처리 결과 317개의 유효한 자료를 토대로 구조방정식에 기반하여 측정모형과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가설에 의거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생변인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과 사회적 실재감은 모두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대해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둘째, 외생변인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과 사회적 실재감은 모두 학습동기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매개변인인 학습동기는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외생변인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과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동기를 매개할 때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 학습동기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선행연구에서 입증되었던 플립드 러닝의 핵심요소인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과 관계성 및 협동의 의미를 내포하는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통해서만 인지된 학업성취도와 의미있는 정적 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습자의 플립드 러닝의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단순한 인과관계를 넘어 수업의 전-중-후 요소를 아우르는 학습 관련 기제를 관여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발전하여 학습자가 인식하는 변인 간 관계의 바탕이 되는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의 여러 유형을 포함하고 질적 분석이 이루어지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baselines that underlie optimal mechanisms to enhance learners’ achievement and learning experience at flipped learning. Following the main purpose,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ived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social pres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at an undergraduate-level course that adopts flipped learning. Before statistical analyses,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in order to operationally define the core meaning and elements of flipped learning and select research variables. Learner variables were chosen from prior research results that had either proven meaningful structural relationship under the context of flipped learning or suggested features of certain variables that correspond with process of learning improvement in flipped lear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contains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social presence as exogenous variables, learning motivation as a mediator, and perceived achie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selected from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meaningful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320 undergraduate students at a four-year-course college ‘A’ in Seoul who all participate in the same form of a flipped learning course. An online survey with the previously mentioned scales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two weeks, resulting in a sample size of 317 without missing data. The results of analyse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exogenous variables,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social presence, did not show significant direct effect to perceived achievement. Second, both exogenous variables positively influenced learning motivation, the mediator. Third, learning motiva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rceived achievement. Lastly, both exogenous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effect to perceived achievement only when learning motivation was mediated. This proved statistically meaningful indirect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s a mediator between the exogenous and endogenous variables. The results imply that the learner variables that depict core elements of flipped learning,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and social presence, are statistically related with perceived achievement when learning motivation is mediated. This provides more than a simple causal relationship among learner variables, suggesting the effect of a mechanism that accommodates the whole system of flipped learning. Future studies that specify types of interaction and implement qualitative study may be necessary to examine meaningful details behi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earner variables in flipped learning.

      • A Comparative Study of the Proximal Distance Algorithm and the Primal Dual Hybrid Gradient method for Statistical Problems

        한승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에서는 제약조건에 선형연산자가 포함된 볼록 최적화 문제에 대한 근위 거리 알고리즘과 원시-쌍대 복합 경사법을 비교한다. 타 알고리즘들이 제약조건의 선형연산자로 인한 계산상의 어려움을 겪는데 비해, 두 알고리즘은 간단한 업데이트 식으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위 거리 알고리즘과 원시-쌍대 복합 경사법을 소개하고, 이들을 여러 통계적 문제들에 적용한 해답을 제시하고, 결과값을 비교하였다. 이 때, 원시-쌍대 복합 경사법의 최적해는 파라미터의 선택의 영향을 적게 받는 반면 근위 거리 알고리즘의 최적해는 파라미터가 부적절하게 선택될 경우 최적성이나 안정성을 잃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결과값을 통하여 원시-쌍대 복합 경사법이 뛰어난 성능을 보이며 근위 거리 알고리즘 또한 현존하는 알고리즘에 뒤지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thesis, we compare the proximal distance algorithm and the primal dual hybrid gradient methods for solving convex constrained problems with linear operators in constraints. Unlike other algorithms containing inner minimization subproblem, both algorithms can be applied with simple update rules. Algorithms are implemented and compared with existing software through six examples: linear programming, constrained least squares, estimating the closest kinship matrix, projection onto a second-order cone, low rank matrix completion,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partially ordered constraints. The solution of the proximal distance algorithm would lose optimality and stability when parameters are chosen inappropriately, while the output of the primal dual hybrid gradient methods is robust to the selection of parameters.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imal dual hybrid gradient methods usually outperform and the proximal distance algorithm is still competitive with existent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