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南 北韓 에너지 交流 및 協力에 관한 硏究

        한상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북한 주민들은 최소한의 생활조차 유지하기 힘들 정도의 에너지난에 시달리고 있다. 사회주의권 붕괴에 따른 원조감소와 장기채굴에 따른 탄광갱도 심부화 등으로 전력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북한은 낙후된 인프라 개선을 위한 경제력의 한계를 절감하고 중국, 러시아 등과 새로운 자원개발에 착수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부심 중이다. 하지만 북핵 해결 전 전면적 지원불가방침을 고수하는 미국의 대북정책 등으로 인해 국제적 고립상태가 지속되는 한 북한의 에너지난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현 시점에서 북한경제에 필요한 것은 빈곤의 늪의 악순환 고리를 끊는 에너지공급대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방안으로 전력산업, 석유 및 가스, 석탄산업, 청정개발제도 CDM (Clean Development Mechanism) 사업에 의한 대북 에너지협력 등 4개의 사업을 제시하고 각 사업들의 추진과제들을 분석, 평가하였다. 기존 전력설비의 개보수 사업은 북한 전력산업의 이해를 증진시켜 전력분야 뿐만 아니라 남북 에너지부문의 중장기 협력 사업을 추진하는 토양을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당장의 투자수익보다는 장기적 전략에서 사업 참여가 바람직할 것이라고 보았다. 석유 임가공 협력은 북한의 정유시설 보수와 필요한 석유제품의 공급을 위해 단기에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을 제시했으며 러시아 천연가스 도입은 도입선·도입원 다변화를 통한 에너지원 확보하고 북한과의 경제협력 활성화 및 남·북·러 협력체제 구축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필요성을 제시했다. 북한의 무연탄은 북한의 주 연료 원으로 석탄증산이 현 북한 에너지난 해결의 가장 큰 과제이며 남한의 자본과 기술을 투입, 북한 석탄광 개보수 및 현대화를 통한 증산사업 협력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기후변화협약의 온실가스 거래 매커니즘의 하나인 CDM 사업은 남과 북이 모두 편익이 나타나는 협력방안임을 언급하였다. 에너지 부문이 갖는 다양한 연관성으로 북한과의 에너지협력은 단일 에너지 프로젝트 시행보다는 포괄적 투자가 필요하고 대북 에너지협력을 위해서는 북한 내 남한의 에너지인프라 투자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되고 남과 북의 에너지협력은 프로젝트별 협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보다는 남북 상설기구를 만들어 지속적인 협의 하에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았다.

      • 고효율 태양전지를 위한 p-Type CdTe막의 Cu Doping에 따른 광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상규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CdCl_(2)와 CuCl_(2)를 첨가한 p-type CdTe막은 Coating and Sintering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CdCl_(2)량 1wt%를 첨가한 경우 CdTe막의 전기 비저항은 소결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CdCl_(2)량이 6wt%, 11wt%로 증가함에 따라 CdTe막은 소결온도의 증가에 따라 완만한 감소를 보였기에 CdCl_(2)는 소결촉진제로 작용했다는 것을 알았다. 각각 다른양의 CdCl_(2)를 함유하는 CdTe막은 700℃에서 소결했을 경우 막의 미세구조는 개선되었고 저항은 CdCl_(2)의 양이 많을 수록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CdCl_(2)는 소결촉진제로만 작용하지 않고 CdTe막에 대해 Donor 로써도 작용했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온도에 따른 광투과도 값과 전기전도 활성화 에너지값을 측정함으로써 입경에서의 완전공핍 현상을 관찰했고 C-V Measurement를 통해 이것을 설명할수 있었다. Dopant인 CuCl_(2)첨가시 250ppm까지 저항이 감소하다가 그 이상에서 Self-Compensation에 의해 다시 저항이 증가했다. A p-Type CdTe Films that contained CuCl_(2) and CuCl_(2) were prepared by coating and sintering. For the sintered CdTe films that contained 1wt% of CdCl_(2) before sinter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decreases sharply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and the resistivity depends on the sintering temperature for the sintered CdTe films that contained 1wt%, 6wt% and 11wt% of CdCl_(2). This fact conbined with the observed microstructures indicates that the CdCl_(2) acts as a sintering aid. For the specimens which contained various amounts of CdCl_(2) before sintering and were sintered at a high temperature(700℃), the microstructures are improved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increases with the amounts of CdCl_(2).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dCl_(2) acts not only as a sintering aid but also a dopant source of donor (Cl) during the sintering of CdTe films. From the analysis of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dark conductivity and C-V measurement, it can also be concluded that all the grains are depleted of carriers by the trapping centered at grain boundaries. The electrical resistivity decreases with increasing amounts of CuCl_(2) up to 250ppm due to Cu-doping during sintering

      • 판형 열교환기의 공진 열전달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상규 國民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열교환기는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가 존재하며 그 중에서도 가정용 에어컨과 자동차의 엔진 냉각시스템 및 실내 공조시스템 등에 고밀도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판형 열교환기는 고밀도 열교환기(compact heat exchanger)의 일종으로, 현재 냉동시스템의 증발기와 응축기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판형 열교환기를 이용한 열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판형 열교환기의 열전달계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열전달 향상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냉각유체의 유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밀도의 열교환기가 사용되는 현재의 열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적절치 않다. 최근 유동공진(flow resonance)을 이용한 열전달의 향상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질적으로 불안정성을 내포한 유체유동에 교란을 발생시켜 와류를 형성시키고 와류가 가지고 있는 고유흐름 주파수(natural shedding frequency)와 일치하는 주기적인 외력이 가해지면 유동공진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유동공진 현상을 이용하면 낮은 레이놀즈수의 유동에서도 대류 열전달계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동공진 현상을 응용하여 상용 판형 열교환기에 맥동을 가진했을 때 열전달과 압력강하 특성을 알아보았다. 판형 열교환기의 주요 인자인 세브론각(chevorn angle)과 플레이트 피치(plate pitch)가 변함에 따라 열전달 향상과 압력강하 특성을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다. 또한 판형 열교환기의 형상이 변함에 따라 유동공진의 주파수 대역이 어떻게 분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각 판형 열교환기의 유동공진 주파수의 검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정상유동시에는 세브론각이 플레이트 피치보다 열전달 향상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맥동유동에서는 플레이트 피치가 넓을 때 좁은 경우보다 열전달 향상비가 증가하였다. 동일조건에서 세브론각이 변할 때 열전달 향상비는 큰 차이가 없었고, 세브론각이 크고 플레이트 피치가 넓은 경우, 열전달 향상비가 최대값이 되었다. 또한 맥동유동에서는 플레이트피치와 세브론각에 상관없이 질량유량이 증가할수록 열전달 향상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정상요동과 맥동유동 조건에서 모두 질량유량이 증가할수록 압력강하량이 증가하였다. 정상유동에서는 세브론각이 플에이트 피치보다 압력강하량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맥동유동에서는 동일 세브론각에서 플레이트 피치가 좁아지면 압력강하량이 상승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플레이트 피치가 좁고 세브론각이 큰 경우의 압력강하량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유동공진 주파수 검증 실험을 통해서 맥동유동에서 가진된 맥동주파수에 의한 열전달의 향상은 유동공진 현상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밝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판형 열교환기에서 최대 열전달 향상을 보인 맥동주파수와 고유흐름 주파수는 거의 일치하였다. 본 연구영역 내에서 판형 열교환기의 세브론각과 플레이트 피치의 변화에 따라 내부구조가 변하였을때 유동공진 주파수의 범위는 10~15 Hz로 나타났다. Heat transfer enhancement of three types of brazed plate heat exchangers has been evaluated experimentally. The effects of flow resonance in a plate heat exchanger on the heat transfer rate and pressure drop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range of mass flow rates in detail. The problem is of particular interest in the innovative design of a plate heat exchanger by flow resonance. The results obtained indicate that both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pressure drop are increased as mass flow rate is increased, as expected. It is also found that the heat transfer enhancement i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plate pitch, while the heat transfer is decreased with a decrease in the chevron angle. Pressure drop i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plate pitch and with a decrease in the chevron angle. Heat transfer enhancement in the plate heat exchangers is maximized by flow resonance and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present plate heat exchangers is found to be a range of 10~15 Hz. To investigate flow resonance frequency, it is used to self-sustained oscillating method. In this study,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enhancement is caused by flow resonance effect.

      • 소규모 공공건축공사의 건설사업관리용역 대가기준 적정성에 관한 연구

        한상규 남서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vises construction technology control law to construction and technology promotion law completely in May 2015. There is a problem that services costs are less appropriated by slightly illogical services costs calculation method related to pricing guide of construction management before revision. To resolve this, pricing guide of construction management is revised by cost plus a fee method, so actualization of services costs is possible. However, against expecta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services costs of small-scale construction work whose total cost of construction is low and construction period is short are too highly appropriated. First, when the construction period is regular, services costs of small-scale construction work whose total cost of construction is low are appropriated hardly less services costs of construction work whose total cost of construction is high, services costs of construction work whose total cost of construction is low exceed total cost of construction, and an over-ratio is too highly appropriated, so a problem that services costs of small-scale construction work are too highly appropriated is drawn. Second, in case of construction work whos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 when construction period increases stage by stage, services costs do not increase at a steady rate, so a case of short construction period shows higher increase than a case of long construction period, and when construction period increases, the increase decreases, so it is drawn to appropriate services costs of short construction work illogically. To solve these problems, two kinds of opinions are drawn through brainstorming and consultation meeting of experts related to construction management, and an analysis is conducted to verify realistic applicability and validity of two improvement proposals. First, in comparison with the present pricing guide, it is bounded to apply a suggestion to apply percentage of construction cost method to small-scale construction work, because services costs are too lowly appropriated and construction period is not reflected. Second, in case that total cost of construction is low among problems analyzed by this study, a suggestion to post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ician once a week reduces a services costs rate in comparison with total cost of construction that is more appropriated markedly, and resolves the problem that services costs exceed total cost of construction. In case of small-scale construction work whose total cost of construction is low and construction period is short, if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ician is posted once a week when is a crucial time among construction processes, it is judged that integrity of building is not hurted,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ician is posted once a week, so number of input manpower needed to construction management is reduced, and then direct personnel expenses, overhead expenses, and engineering fee are reasonably reduced, so the researcher suggests an improvement proposal of reasonable construction management pricing guide about small-scale construction work. Key Words : Construction Management, Pricing Guide, Construction and Technology Promotion Law 2014년 5월 국토교통부는 건설기술관리법에서 건설기술진흥법으로 전면 개정하였다. 개정 전 건설사업관리 대가기준과 관련하여 다소 불합리한 용역비 산정방식으로 용역비가 과소 계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실비정액가산방식으로 건설사업관리 대가기준을 개정하여 용역비의 현실화를 가능케 하였다. 하지만 예상과는 다르게 총공사비가 낮고 공사기간이 짧은 소규모 건설공사에 대한 용역비가 너무 높게 계상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총공사비가 작은 소규모 건설공사에서의 용역비가 공사기간이 일정한 경우 총공사비가 큰 건설공사의 용역비와 거의 같게 계상이 되고, 총공사비가 적은 건설공사의 용역비가 총공사비를 초과하고, 초과되는 비율이 너무 높게 책정 되는 등 문제점으로 보아 소규모 건설공사의 용역비가 너무 높게 계상되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공사기간이 짧은 건설공사의 경우 공사기간이 단계별로 증가할 때마다 용역비가 일정한 비율로 상승하지 않아 공사기간이 긴경우보다 짧을 때 더 높은 상승폭을 보이고 점차 공사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그 폭이 줄어들어드는 점으로 보아 공사기간이 짧은 경우의 용역비가 불합리하게 계상되고 있음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건설사업관리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회의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두 가지 의견을 도출하였고 두 가지 개선방안의 현실적인 적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소규모 건설공사에 공사비요율방식을 적용하자는 제안은 현행 대가기준과 비교해볼 때 용역비가 너무 적게 계상되고, 공사기간이 반영되지 않아 적용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둘째, 건설사업관리 기술자 주1회 배치 제안은 본 연구에서 분석한 문제점들 중 총공사비가 낮은 경우 과대계상 되던 총공사비 대비 용역비 비율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용역비가 총공사비를 초과하던 문제점이 해소되었다. 총공사비가 작고, 공사기간이 짧은 소규모 건설공사의 경우 건설사업관리 기술자를 주1회 건설시공과정 중 중요시점에만 배치하여도 건축물의 건전성을 해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되어 지며, 건설사업관리 기술자를 주1회 배치하여 건설사업관리에 필요한 투입인력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그에 따른 직접인건비, 제경비, 기술료 등을 적정하게 감소시켜 소규모 건설공사에 대한 적정한 건설사업관리 대가기준 개선방안을 제안 하였다. 키워드 : 건설사업관리, 대가기준, 건설기술진흥법, 실비정액가산방식

      • 시민사회 리더십의 이론적 고찰 : 한국 시민운동에 대한 함의

        한상규 성공회대학교 NGO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민사회는 서구에서 계몽시대 이래로 신분제적으로 예속 받지 않는 자유로운 개인들의 결사체이며, 자신들의 권력을 소수에게 위임하여 국가를 구성토록 하는 정치적 주권의 소재지로 이해된다. 이리한 사회변동 요소와 함께 갈수록 심화되어 가고 있는 기술의 전문화, 기능과 직종의 다양화 추세 등으로 인해 리더가 그 조직 내에서 스스로의 적절한 리더십을 행사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오늘날 시민운동과 NGO 로 대변되는 시민사회는 이미 참여민주주의 실현과 정치개혁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NGO와 시민운동을 이끌어가는 실무자에 대한 세인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시민사회와 NGO 의 성장에 대하여 오랜 기간 민주화 격동기를 거치면서 시민사회의 자율적 참여 확대라는 시민역량의 강화측면으로 이해하는 경향 속에서 시민 사회와 NGO 의 성장에 주도적 역할을 해온 지도자 집단의 보통의 시민이라기보다는 전문사회활동가나 교수, 변호사 등 특정 엘리트집단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비판이 대두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런 리더십을 키우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일 수 있는가. 현재 사회에서 하고 있는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은 어떠한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대부분의 리더십 프로그램은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지도자의 자질양성 및 지도자와 팀원간의 활발한 의사소통 및 상당부분은 비슷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분야별로 다른 리더십을 키우는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힘들다. 분야별로 요구하는 지도자의 모습이 다른데 같은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각 분야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 따라서 향후의 연구과제로는 21세기에 한국에 맞는 특히 시민사회단체에 적합한 리더십의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에 따른 시민사회 지도자의 임무와 역할을 인식하도록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교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며, 이에 따른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연구가 요청된다. Civil society is understood as free individuals' association who are not subordinate by their social position since the enlightenment period in the West, and as the location of political sovereignty which entrust one's powers to a minority to make up a nation. Together with the above elements of social changes, the specialization of technology which is more an more deepen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functions and occupations are making a leader have difficulties in exerting his proper leadership within the organization he belongs to. Today represented with civil movements and NGOs, civil society has already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realization of participation democracy and the political reform. Thus, the corresponding NGOs and the executives who are leading the civil movements are becoming the focus of people's interest. There is a tendency that civil society and the growth of NGOs are understood as the expansion of voluntary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y passing through the democratic upheaval of long time in the aspect of the enhancement of civil capacity. With that, a criticism is emerging that the loader group who are playing dominant roles for the growth of both civil society and NGOs are a certain elites group including professors and lawyers rather than the common citizens. Then, what efforts can be given to growing the leadership? What are the leadership programs performed in the society now?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in this study, most of the programs currently being performed are of similar aspects. That is, most of the leadership programs are going toward the cultivation of leader's talents and the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leader and the members for purpose of accomplishing the goal of the organization. Considerable parts of the programs are going similarly. Rare are such programs that are training each different leadership by parts. As leader's aspects required in each part are different, the same programs are also seldomly seen. Then, it is most of all urgent to develop the programs fit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Future studies need to develop such leadership that is fit to Korea in 21st century, especially the civil society groups, to form an adequate environment to recognize the missions and roles of civil society leaders required by the new paradigm, to provide proper education for it, and to carry out continuous and extensive studies subsequent to the above things.

      • 증기터빈 고중압로터 열적변형 곡직실험을 통한 굽힘량 개선

        한상규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까지도 운전 중인 터빈 로터가 어떠한 문제에 의해 발전정지 되고 Turning Gear의 고장으로 Turning이 불가능한 비상 상황이 발생 했을 때 케이싱 내 터빈이 아래로 휘는지 또는 위로 휘는지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열선반을 이용한 증기터빈 고중압 로터 열적굽힘 곡직방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자중에 의해서는 로터가 아래 방향으로 휘게 되는데 문헌에서는 이때 로터의 가운데 부분에 발생하는 Bending Stress가 3 MPa, 처짐량이 0.13 mm로 나와 있으며 유한요소해석 결과에서는 Bending Stress가 1.1 MPa, 처짐량이 0.04 mm 임을 확인하였다. 2. 가열로(Furnace) 또는 케이싱 내 상하부에 온도편차가 40℃ 발생할 때 유한요소해석 4.4.3에서는 상부로 4.3mm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그리고 실제 실험 5.5에서는 상부로 1mm 가량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 위의 1, 2번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해석적 결과와 실험적 결과의 변위나 응력값에 다소 차이는 있으나 경향성이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육중한 고중압터빈 로터(약15∼25Ton)가 자중과 케이싱 내 온도의 밀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구배의 영향 중 온도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온도가 2배 상승 시 열응력도 2배 상승한다. 4. 고온에서 잔류응력 풀림처리(Stress Relieving) 시 열적 변형량의 50%가 개선됨을 확인 하였다. 5. 또한 본 연구에서는 로터 하부에 발생하는 최대 인장응력이 항복응력을 초과 할 때 Rubbing에 의해 소성변형 된 열적굽힘이 발생한 로터를 곡직할 수 있다는 이론적 메커니즘을 정리하여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하였으며 실험 5.6에 열선반을 이용한 곡직절차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자의 경험상 실제 발전산업 현장에서는 아직도 이러한 열응력에 이해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가 이러한 산업계 회전기기들의 열적 거동을 이해하는데 다소나마 기여를 하리라 기대한다. Steam turbines is rotary machine that convert heat energy from steam into kinetic energy from a nozzle, which in turn acts on the blades of the rotor to turn into mechanical energy. This steam turbine consists of a rotor as a rotating part and a casing with a stationary part. The rotor is connected to several shafts as a coupling to rotate at a high speed of 3600 rpm and generate electricity from the generator. In order to prevent leakage loss and to maximize efficiency, fine clearance is kept between rotor and casing. If rubbing occurs for any reason, permanent bending damage occurs in rotor. In this study, the damage mechansim of steam turbine due to rubbing was analyzed and recover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olve the thermal bending problem as well. And we developed the rotor straightening procedure using the heat lathe.  The experiment was largely carried out in four ways: using the deflection by heat and weight, using the cooling effect, turning the rotor sufficiently after heat saturation, and cooling the rotor to room temperature at a high temperature. We have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50% of the thermal deformation can be improved by stress relaxation and that a very high tensile stress is generated when cooling from high temperature to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heat on the influence of heat and weight is more dominant through the change of the axis center line tr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