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대 울산중산동세력에 대한 연구

        한미애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study on the ancient force of Jungsan-dong, Ulsan Han Mi Ae Department of History and culture Graduate school Ulsan University That about 70 ‘states’ had been formed in the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eriod of Three Hans is verified through the literature record. Among these ‘states’, it is considered that powerful ‘the state of Saro’, ‘the state of Baekje’ and ‘the state of Guya’ grew into Silla, Baekje and Gaya afterward. In the time before the ancient country was formed, various ‘states’ were establishing the systematic relations one another and maintaining the lateral position. However, the force which secured the economic strength by having a grip on the production and controlling the circulation, as suppressing nearby forces and winning the political power, gradually becomes to grow into the potent force. Although various forces which were constituting ‘the state’ could be explained by the unit of settlement, it is difficult to grasp it with the settlement which was investigated till now. Thus, it is thought that through the massive tomb site which was most often confirmed, it could grasp their existence. The tomb site has a very close relevance to the settlement and generally, the tomb site is located in the place which the remains of settlement are confirmed. The remains in Jungsan-dong, Ulsan for which the force of Jungsan-dong, Ulsan created were constru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2nd century to the 7th century A.D. and not only the ancient tomb but also the settlement and the vestige of the production were confirmed diversely. Seeing the facts that remains were formed on a large scale and that it was maintained for a long time, it could be seen as a cultural area which had communal characteristic or as the influential central force in the region. It is considered that by the location in which remains were formed or the aspect that was confirmed through the vestige, the force of Jungsan-dong was the one among the core forces which constituted the state of Saro. The study on the force of Jungsan-dong, Ulsan was carried out with the remains as the center, a study on the burial system which received attention at that time of excavation. It was focused on lightening the origin and the transition of Silla’s burial system which was the one of matters of primary concern for the archeologic academia by analyzing the tomb with coffin that was confirmed in this place. Afterward, the tomb with coffin which was confirmed in Jungsan-dong has been becoming the object of analysis which could not be omitted for the study on the tomb of coffin in Yeongnam region. For the studies which are carried out lately, a fact that takes note of the force of Jungsan-dong that formed the remains is distinguishing. It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taking an interest to the force for the first time, but seeing that it was used attendantly to conduct a study on other forces; it is not that it was covered thoughtfully. For this study, through the remains of Jungsan-dong, Ulsan in the second to seventh century in which the force of Jungsan-dong had been formed and developed, to try to investigate about what the characteristic of force which had lived in this place was and about what relationship they had established with Silla and had grown up is the objects. In the introduction, it notified the critical mind in which became to conduct a study on the force of Jungsan-dong through organizing the history of study and explained the flow for description of thesis. In the second chapter, it examined the topography in which the force of Jungsan-dong had been located and the remains which were confirmed in and around it. In the whole area of Jungsan-dong, as the resources are abundant and the traffic routes of land and sea routes are secured, the transportation of supplies is very advantageous. It is considered that this natural environment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a thing that the force of Jungsan-dong grew up. Moreover, it could tell that the force of Jungsan-dong made Dalcheon forge which was located in the place that was 4km from Jungsan-dong remains as the base for the growth. And through the force of Hwangseong-dong which was located in the inner part of Gyeongju, it could grasp the relation between two groups. In the third chapter, on the basis of second chapter, it examined about what characteristic the force of Jungsan-dong had and about how the relation between the force of Jungsan-dong and Silla changed with the course of time. As the one of forces which constituted the state of Saro, it was establishing a very close relation with Silla from the early time. As to a thing that strong force appears among regional forces which are the same status and it grows up as the ancient country by consolidating them, the iron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Jungsan-dong force was a force which produced the iron and furthermore, by using the advantageous traffic routes, they accumulated the wealth through being in control for the circulation of iron. By such a reason, it has the high grade of rank among the forces which constituted the state of Saro. Over the time, as the core force of the state of Saro developed the power and changed to Silla, the force of Jungsan-dong became the object for the management and control by Silla. It is incorporated into the production system for the iron of Silla and seeing that the charcoal kiln with side window is discovered in bulk in Maegok-dong, it produces the iron which is a large amount than before. In the time that the organization of region of Silla is completed afterward, it becomes that the production of iron was transferred to Yangsan region and Jungsan-dong as the production force of iron becomes disappeared. Seeing that in the border spot between Gyeongju and Ulsan, Gwanmunseong is fortified and the remains which have the patriotic characteristic are established, the whole area of Jungsan-dong has the military and defensive characteristics and becomes to play the role as the gateway to Silla. 국 문 요 약 고대 울산중산동세력에 대한 연구 한미애 삼한시대 한반도 남부지방에는 70여개의 ‘국’이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을 문헌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국’ 중 유력한 ‘사로국(斯盧國)’, ‘백제국(伯濟國)’, ‘구야국(狗倻國)’은 이후 신라, 백제, 가야로 성장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고대국가가 형성되기 이전시기에는 각 ‘국’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수평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점차 생산을 장악하고 유통을 통제하여 경제력을 확보한 세력이 주변세력들을 누르고 정치적 권력을 차지하면서 유력세력으로 성장해 나갔다. ‘국’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세력들은 취락단위로 설명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 조사된 취락만으로는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장 많이 확인된 거대한 고분군을 통해서 이들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고분군은 취락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취락유적이 확인되는 곳은 대부분 고분군이 위치하고 있다. 울산중산동세력이 조성한 울산중산동유적은 A.D 2~7세기의 오랜 기간에 걸쳐서 축조되었고, 고분뿐만 아니라 취락, 생산유구가 다양하게 확인된다. 대규모로 유적이 형성된 점, 오랜 시간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중산동세력은 공동체적 성격을 가지는 하나의 문화권이나 영향력을 가지는 지역 중심 세력으로 볼 수 있다. 유적이 형성된 위치나 유구에서 확인되는 양상으로 보아 중산동세력은 사로국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세력 중 하나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울산중산동세력에 대한 연구는 유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특히 발굴 당시 주목 받았던 묘제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이곳에서 확인된 목곽묘를 분석하여 고고학계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였던 신라묘제의 기원과 변천을 밝히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후 중산동에서 확인된 목곽묘는 영남지역 목곽묘 연구에서 빠질 수 없는 분석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적을 형성한 중산동세력에 주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중산동세력에 대해 처음으로 관심을 가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다른 세력을 연구하기 위해 부수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깊이 있게 다루어 진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중산동세력이 형성되고 발전했던 2~7세기의 울산중산동유적을 통해 이곳에 살고 있던 세력의 성격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이들은 신라와 어떤 관계를 맺고 발전해 나갔는지 살피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론에서는 중산동유적과 세력에 대한 연구사 정리를 통해 중산동세력에 대해 연구하게 된 문제의식을 밝히고, 논문의 서술 흐름에 대해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중산동세력이 위치하고 있는 곳의 지형과 주변에서 확인된 유적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산동일대는 자원이 풍부하고, 육로와 해상과 같은 교통로가 확보되어 있어 물자의 수송이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자연환경은 중산동세력이 성장하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산동유적과 4km 떨어져 위치하는 달천철장은 중산동세력이 성장기반으로 삼았던 것을 알 수 있다. 경주내부에 위치하는 황성동세력을 통해서는 두 집단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을 토대로 중산동세력이 가지는 성격이 무엇이며, 시기가 변함에 따라 중산동세력과 신라와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중산동세력은 사로국을 구성하는 세력 중 하나로 신라와는 이른 시기부터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같은 위계를 가지는 지역 세력들 사이에서 유력세력이 등장하고, 그들을 통합하여 고대국가로 성장함에 있어 철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중산동세력은 철을 생산하는 세력이었고, 또한 유리한 교통로를 이용하여 철 유통을 장악하고 부를 축적하였다. 그런 이유로 중산동세력은 사로국 구성 세력들 중에서도 높은 위계를 가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사로국의 중심세력이 힘을 키우게 되고 신라로 변화하면서 중산동세력은 신라의 관리와 통제의 대상이 되었다. 신라의 철 생산체계에 편입되고, 매곡동에서 측구부탄요가 다량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전 보다 많은 양의 철을 생산했다. 이후 신라의 지방정비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철 생산은 밀양이나 양산지역으로 옮겨지게 되고, 철 생산세력으로서 중산동은 없어지게 되었다. 중산동일대는 경주와 울산의 경계지점에 관문성이 축성되고 호국적 성격을 지니는 유적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보아 군사?방어적 성격을 가져 신라 관문으로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 한국과 일본 국·공립 미술관의 기획전시 비교연구

        한미애 同德女子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performed to define the advisable duty and function of the public museums, eventually, to make an advance on our cultural status and identity of contemporary museums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pecial exhibitions. Museums are essential compon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and history, especially the public museums serve as an indicator noticing the level of cultural policy and spirit, furthermore, culture is taking more significant role in modern era; culture is affecting a great deal and it became a standard for deciding the identity, the confidence and the identity of a country, and even it is affecting various industrial fa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profound research on culture. Many policies are needed to make the abstract idea of culture more concrete. Among them vitalizing the public museums can be very important for its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travel industry; it is also a indispensable element to strengthen 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o create more advanced image of the country in the long run -- museums are holding the whole cores of the country, including the hardware, software, contantsware and humanware of the culture. The identity of museums should be defined by inspecting such various aspects as financial stability, objectivity on handling the collection, cooperation with other institutes, and audience service; a museum could be a desirable example if all of the elements are sustainable and fulfilling its publicity. It is claimed that marketing theory should be applied to operating a museum to reduce the waste on the government budget, therefore, public museums ought to exert for more active and customized exhibits, more professional research program, more systematic promotion & public relation plan to provide more advanced cultural service, which ultimately can let the museum have its validity and prestige. Presenting a lively and constant exhibition is most important to achieve this goal. Exhibition is the fundamental role of a museum, also it is the essence of its activity that consists of research and interpretation. Among them, customized exhibition is no doubt the most efficient means of showing the museum's character and the aim to the public. However the public museums in Korea are under somewhat difficult condition and could hardly seem to perform its role successfully. At first it is due to the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 of museums and the art in comparison with the western one, and another reason comes with the excessive regulation and administration. Of course it is no good making excuses putting the ideal cases of the western. Therefore this study is performed to examine the key element in the current condition in Korea: customized exhibitions, which not only represents the museum's character, the aim, and the attitude to the public, but also is a essential activity of a museum. In the beginning, several analysis was given to inspect current status of the public museums in Korea by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foundation, operating status, afterward the research on the customized exhibitions of the public museums was performed. The result yielded several problems, and they were dealt with comparison to Japanese cases. There lied distinct difference and similarity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fore it was very efficient for developing this study to research the public museums and their customized exhibitions in each country. The result said that the exhibitions in Korea didn't have any concrete purpose or concept, and the number of the customized exhibitions was not enough to show the museum's characteristics. Exhibitions on the art, calligraphy and craft were presented but they were under the qualification for being customized exhibitions. Also most of the exhibitions lasted at best 30 days, which is unreasonable considering the cost and the efforts to prepare them. In contrast, the exhibitions in Japan presented a number of exhibitions introducing foreign works recognized in the history of the art, and this was done by a complete preparation and plan to reduce the cost.(eg. co-host exhibition or exhibition tour) With this analysis, an ideal solution for customized exhibitions can be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cases of the customized exhibitions will be analysed, in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whole image of our culture and defining the appropriate role and the social function of public museums. This research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planing and promoting an exhibition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as well as for further study on this subject - seeking alternative counterplan. 미술관은 사회와 역사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필연적 제도이며 한 국가의 문화 정책과 의식을 가늠하고자 할 때 우선적 지표를 나타냄과 동시에 문화적 상징체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나아가 2000년을 전후하여 급진적으로 발전한 지식기반 및 정보화 사회를 배경으로 문화산업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문화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한 나라의 문화 지표는 국가 전체의 신임도와 경쟁력을 결정짓고 그 결과 각종 산업에까지 직ㆍ간접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경제 논리가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한 국가의 정체성을 총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문화의 핵심기관인 미술관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전문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우선되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ㆍ일 국립미술관의 기획전시 비교 연구’ 라는 주제를 통하여 특히 한국의 국ㆍ공립미술관들이 문화적 상징체로서 기능을 다하고, 나아가 세계 문화교류의 중심 현장으로서 그 역동적 역할을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발전적 방안 모색과 제안을 목적으로 일본의 국ㆍ공립미술관에서 열렸던 기획전시들을 우리의 전시들과 비교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우선 기반이 되는 한ㆍ일 국ㆍ공립미술관의 개념과 정책을 분석 했다. 즉, 한국과 일본의 국ㆍ공립 미술관의 일반적 개념과 역사와 그 발전 과정에서 파생된 역할과 운영체제, 전문 인력 제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국립미술관과 공립미술관의 차이를 분류하여 정책과 제도를 분석하고, 학예사 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두 번째는 한국과 일본의 국ㆍ공립 미술관의 기획전시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기획전시의 역할, 운영, 예산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기획전시는 미술관의 교육ㆍ수집ㆍ홍보 등 여러 가지 활동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활동이며, 그 중에서도 미술관의 성격과 취지를 대외적으로 홍보하는 데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인 수단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전시담당자 역할의 중요성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한국의 국ㆍ공립 미술관은 현실적인 여건 상 제 역할을 충실히 해내고 있다고 말할 수 없다. 그것은 여러 차례 지적되었던 것처럼 서양의 예와는 판이하게 다른 미술관의 역사와 현실 때문이기도 하고, 행정직 중심의 인력 운용과 불필요하게 규제가 많은 행정 제도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한 현실에서 이상적인 이론만 앞세워 대안 없는 비판과 비현실적인 제언을 거듭하는 것도 미술관의 발전에는 걸림돌이 될 뿐이다. 그러므로 세 번째에서는 이러한 한국 국ㆍ공립 미술관의 현실을 감안하고 이와 같은 배경에서 바람직한 기획전시란 과연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기존의 기획전시를 면밀히 조사하였다. 여기서는 한국 국ㆍ공립 미술관의 현실을 파악하기 위한 수단으로 우선 한국의 주요 국ㆍ공립 미술관의 설립 배경과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고, 기존 기획전시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한 다음에, 같은 맥락에서 일본의 사례를 분석했다. 이처럼 기획전시를 방법론으로 삼아 한국과 일본 국ㆍ공립 미술관의 기획전시 사례를 비교 분석한 이유는 두 나라의 미술관 현실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이 극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한국 국ㆍ공립 미술관은 정체성과 설립 취지가 분명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정책적으로 설립된 경우가 통상적이어서 각 미술관의 특성에 부합되는 기획전시 사례가 미흡하고, 각종 미술대전ㆍ공예대전ㆍ서예대전 등 기획전시라고 분류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전시도 기획 전시로 개최된 것이 드러났다. 단발성 전시가 많아서, 기획전시를 위해 많은 예산과 노력을 들인 것을 감안한다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도 드러났다. 반면 일본의 국ㆍ공립 미술관은 미술사적으로 이미 검증된 외국, 특히 유럽과 미국의 작품을 위주로 한 전시가 많아서 전시의 주제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하지만 이 경우 철저한 사전준비와 공동주최ㆍ순회전시, 전시 기간의 장기화 등을 통해 경제적인 낭비 요소를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시도는 긍정적인 면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마지막 부분에 이르러 양국 국ㆍ공립 미술관의 기획전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토대로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전시유형으로 미술관의 정체성확립, 주제의 다양화, 미술관 네트워크의 강화, 관람객과 소통을 위한 전시 기획의 예를 들어 제시하였으며, 유사기관 연관체제 구축과 민간단체 후원의 활성화의 필요성 및 전문적인 전시 기획자가 가져야 할 자세와 미래의 기획자상(像)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기획전시를 통한 국ㆍ공립 미술관의 위상 정립과 사회적 역할 규명에 접근할 수 있고, 또한 관람객과 소통을 위한 기획 전시의 일차적 단계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술관 제도가 안고 있는 유ㆍ무형의 문제점 아래에서 전시 기획을 하는 실무자들을 위한 자료가 될 뿐 아니라, 발전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지표를 제시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韓美愛 전북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ganization all interaction should ideally be based on mutual trust; an essential factor in maintaining any organization's effectiveness. This study is to reveal how leadership and trust influence the organization's effectiveness through individual psychological processes. For the study I have divided leadership into three categories, charisma,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Conditional Reward. Trust has also been divided into three two category, Knowledge and Identification based Trust, Calculus-based Trust. To find out how each type of leadership and each type of trust influ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find out any differences between each type of leadership and each type of trust in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study we can find out what is the key factor influencing the trust of a subordinate to his supervisor and show by enhancing this trust how the organization can achieve effectiveness. For this study, I first performed the literate research and based on the research I performed the practical research. The copies of questionaries were distributed to five public corporation and 245 copies were returned. Among these, excluding those answered insincerely, data from 220 copies of questionaries were used for analysis. SPSS 10.0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analytical tools. The results and their mean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is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and trust. The study shows that Charisma influences positively to both Knowledge and Identification based Trust and Calculus-based Trust of subordinate to his supervisor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Conditional Reward does not influence positively to trust of subordinate to his supervisor. The second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nowledge and Identification based Trust of subordinate to his supervisor influence positively Affective commitment. Thus Calculus-based Trust of subordinate to his supervisor influence positively Affective and Continuance commitment. The means that attaining trust form subordinate contributes to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 that the supervisor should make efforts to maintain and enhance trust of his subordinate. The last,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that Knowledge and Identification based Trust partially mediated between Charisma and Affective Commitment, Calculus-based Trust partially mediated between Charisma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Calculus-based Trust partially mediated between Charisma and Continuance Commitment.

      • 유럽연합과 국내정치 : 통합에 대한 회원국 국민의 선호를 중심으로

        한미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udy argues that when policy issues arising from the integration process of the European Union are discussed at the domestic level of the member states, political leaders form their interest related preferences to the people through three dimensional of power. This puts the people's choices at risk in the future integration process of the European Union. Its purpose is to demonstrate this through case analysis and present it as a new framework for analysis applicable to theoretical studies of European integration by observing power from an expanded perspective. The European Union, which was launched in 1993 by the Maastricht Treaty and is now a member of 28 countries, has faced many crises. In particular, the European Union's financial crisis triggered by Greece's financial crisis was dealt a severe blow to the European Union to discuss the eurozone's economic crisis. As the EU strengthened its common destiny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its members' problems soon became a problem. Why does the European Union want to continue to integrate, despite this crisis? What could have been the reason for the European Union to continue? This study starts with this problem conscious.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ECSC), which was formed in 1952 as an integrated entity that jointly manages the production and sale of coal and steel, is an integrated entity of economic character, but from an international political point of view, can be recognized as a political entity that can be described as a concept of power. The study, therefore, aims to focus on power as a factor influencing the integration of the European Union.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European Union is a national form,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new type of organiz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 making it an attractive target for many scholars. Various theories of integration have been studied on the causes of integration, purpose and goals of integration, changes in the integration process, and governance methods. However, power focused research is lacking because the European Union is recognized as being created for power distribution.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fine power from the existing concept to the expanded view, and to observe the European Union's integration cases. Three examples are provided for analysis. It will consist of the cases of France's refusal to ratify the European constitution in 2004, Greece's economic crisis in 2009, Hungary and Poland's refusal to accept refugees in 2017, and European Union's violation of fundamental values. The three examples of this study were not an individual national issue, but a common problem with the European Union and member states that could pose a threat to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uropean Union. This process analyzes the occurrence of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parties in the case, the process of eliciting solutions, the formation of three-dimensional power and the exercise of power, the formation of preferences and the mechanism of power operation. This ensures that three dimensional of power can be used as an appropriate analytical concept in European Union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three dimensional of power when three examples are viewed from the three dimensional perspective. The subject of power is not determined, but anyone in the European Union can be the subject of power. In the three cases of the study, the subjects of the power exercise were variously identified as the governments of the member states, the media, the financial institutions of the United States, pro-European political forces within the member countries, and anti-European political forces. Through the exercise of three dimensional of power, they formed a deliberately manipulated preference for their own benefit to those in power. According to these observations, the method of grasping the powers of three dimensional vision proposed by Lukes helps to understand the European Union. The 1993 Maastricht Treaty discussed various issues surrounding European integration and ratified the 'European Constitution' to support the legal status of the euro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euro in 1999, to resist resistance and to establish a political structure. Due to the social controversy over the status of the European Constitutional Treaty, in 2005 the people of France and the Netherlands rejected the ratification of the European Constitution by referendum and prevented the political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European Union. This unfinished European integration has not been able to cope with the division of the member states in the common problem of 'refugees' since 2016. Especially after the eurozone financial crisis in Greece, the European Union faced economic problems such as recession and increase in unemployment. This has resulted in a policy shift in the direction of Member States to reduce tightening policies and welfare, to expand the social immigration sentiment, and to the politics of the far-right party taking advantage of these social problems. The fact that social integration is difficult due to the accumulation of economic problems, political instability, and increasing social unrest has resulted in the shaking of a common European value base. Since all of these crisis cases are organically linked, this study presents each representative example of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economy. The seque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presents the questions on research, the purpose of research, methods and composition of thesis. Chapter 2 presents a theoretical discussion and framework for analysis. Theoretical discussions describe the framework as a tool to attempt specific conceptual definitions and to analyse the cases presented in the study after a review of developments and differentiation in the European Union theory. Chapter 3 - Chapter 6 attempts a case analysis using the analysis frame. Chapter 7 concludes by explaining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describing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s the European Union is an international political phenomenon, power is an important concept that cannot be overlooked, and it was judged that observing the power relationship from various and expanded perspectives in the European Union, where various actors participate in the political system, is an important task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uropean Union. This study, which observed the formation of preference by power as a new framework of analysis to explain the social, economic, political, cultural tensions and conflicts that accompanied the process of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European Union, It is worth studying to try new explanations as a procedural approach. 이 연구는 유럽연합의 통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책적 이슈가 회원국의 국내적 차원에서 논의될 때, 정치지도자가 국민들에게 3차원적 권력을 통해 자신들의 이익과 관련한 선호를 형성한다고 주장한다. 이로 인한 국민들의 선택이 향후 유럽연합의 통합 과정에서 위기로 작용한다. 연구는 유럽연합 내 권력이 존재한다고 전제하고, 통합의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기와 현상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한다. 이를 사례 분석을 통해 증명하고, 확장된 시각으로 권력을 관찰함으로서 유럽통합의 이론적 연구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분석틀로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3년 마스트리히트 조약에 의해 유럽연합(EC)으로 출범되어 현재 28개국이 가입된 유럽연합은 그 동안 많은 위기에 봉착하였다. 특히 그리스의 금융위기로부터 촉발된 유럽연합의 금융위기는 유로존의 존폐위기를 논할 만큼 큰 타격을 입었다. 유럽연합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공동운명이 강화되면서 회원국의 문제는 곧 유럽연합의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위기를 겪으면서도 유럽연합은 왜 통합을 지속하고자 하는가?, 유럽연합이 지속될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1952년 석탄과 철강의 생산 및 판매를 공동으로 관리하는 통합체로 탄생한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 :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는 경제적 성격의 통합체이지만 국제정치적 관점에서는 권력의 개념으로서 설명할 수 있는 정치적 통합체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유럽연합의 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권력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유럽연합 내에 권력은 존재할까? 유럽연합 혹은 회원국은 유럽연합 내에서 권력을 가질 수 있는가? 권력이 통합을 지속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을까? 유럽연합은 국가의 형태라고 단정하기 어렵고, 기존의 국제기구와도 다른 새로운 형태의 조직으로 인식되어 많은 학자들에게 매력적인 분석대상이 되었다. 통합의 원인, 통합의 목적과 목표, 통합과정에 따른 변화, 통치 방식에 대한 다양한 통합이론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유럽연합이 권력 분배를 위해 생성된 존재로 인식되기 때문에 권력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개념에서 확장된 시각으로 권력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유럽연합의 통합 사례를 관찰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한 사례로 세 가지 사건을 제시한다. 2004년 프랑스의 유럽헌법 비준 부결 사례, 2009년 그리스 경제위기 사례, 2017년 헝가리와 폴란드의 난민수용거부 및 유럽연합의 근본가치 위반 사례로 구성된다. 위의 세 가지의 사례는 한 개별 국가차원의 문제가 아닌 유럽연합의 통합과 발전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유럽연합과 회원국 공동의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책을 모색하였던 사례들이다. 이 과정에서 사례의 당사자 간에 긴장과 갈등의 발생, 해결책을 도출하는 과정, 3차원적 권력 형성 및 권력 행사, 선호의 형성과 권력 작동 매커니즘 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3차원적 권력이 유럽연합의 연구에서 적절한 분석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검증한다. 분석 결과, 세 가지의 사례를 3차원적 시각으로 바라볼 때 3차원적 권력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권력의 주체는 정해진 것이 아니며, 특히 유럽연합 차원에서는 누구든지 권력행사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이 연구의 세 가지 사례에서도 권력행사의 주체는 회원국 정부, 언론, 미국의 금융기관, 회원국 내 친유럽연합적 정치세력, 반유럽적 정치세력 등으로 다양하게 파악되었다. 이들은 3차원적 권력 행사를 통해 권력행사의 대상자에게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의도적으로 조작된 선호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관찰결과에 따라, 룩스가 제시한 3차원적 시각의 권력 파악 방식은 유럽연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1993년 마하스트리트 조약을 계기로 유럽통합을 둘러싼 다양한 쟁점이 토론되었고, 1999년 유로화의 도입 전후로 유로의 법적 지위를 뒷받침하며, 저항에 대응하고, 정치적 구조를 확립하는 ‘유럽헌법’비준이 추진되었다. 유럽헌법 조약의 지위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 속에서 2005년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국민들은 국민투표로 유럽헌법의 비준을 기각시키며 유럽연합의 정치적, 사회적 완전한 통합을 저지하였다. 이러한 미완의 유럽통합은 2016년 이후 ‘난민’이라는 공동의 문제 해결에서 회원국 간 분열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그리스발 유로존 금융위기 이후, 유럽연합은 경기침체와 실업의 증가 등과 같은 경제적 문제에 직면하였다. 이는 회원국이 긴축정책과 복지를 축소하는 방향으로의 정책전환을 야기하였고, 사회적으로 반 이민정서를 확대하고,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이용하는 극우정당의 약진이라는 정치적 이슈를 초래하였다. 경제적 문제들이 산적하고, 정치적 불안정이 지속되며, 사회적 불안이 증가하면서 사회적 통합이 어려운 현실은 유럽 공동의 가치 기반을 흔들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위기 사례는 모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도 정치, 사회・문화, 경제의 대표적인 각각의 사례를 제시한다. 이 연구의 구성순서는 다음과 같다. 제 1장은 서론으로 연구에 관한 문제제기,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과 논문의 구성을 제시한다. 제 2장은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을 제시한다. 이론적 논의로는 유럽통합이론에 발전과 분화에 관한 검토를 진행한 후 구체적인 개념 정의를 시도하고, 연구에 제시된 사례를 분석할 도구로서 분석틀을 설명한다. 제 3장 - 제 6장은 분석틀을 이용한 사례분석을 시도한다. 마지막 제 7장은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설명하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하며 결론을 맺는다. 유럽연합은 국제정치현상이기 때문에 권력은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개념이고, 다양한 행위자가 정치제도에 참여하는 유럽연합에서 다양하고 확장된 시각에서 권력관계를 관찰하는 것은 유럽연합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작업으로 판단하였다. 유럽연합이 통합하여 발전하는 과정에서 수반하는 사회・경제・정치・문화적 긴장과 갈등, 이로 인한 통합의 위기를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분석틀로 권력에 의한 선호 형성을 관찰한 사례 분석은 유럽통합에 대한 과정적 접근으로서 새로운 설명을 시도하는데 연구의 가치가 있다.

      • 사회복지시설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간의 지적능력 비교

        한미애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ntal processing composite of institutionalized and home-reared children. 40 institutionalized childrens of 6 welfare facilities in Daejeon were examined and 40 middle class home-reared children were recruited to be compared. They can be 2 group by age-that is, 3-year-olds and 4-year-olds. Children's mental processing composite were composed of sequential processing scale, simultaneous processing scale and achievement scale in this study. Mental processing composite was measured by K-ABC (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Mun et al, 1997).

      • KDAC regulates glycolytic reprogramming in cancer

        한미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KDAC은 주로 세포질에 존재하는 탈 아세틸화 효소로써 세포 내 여러 단백질을 조절한다. 단백질의 조절을 통해 세포 사멸, 세포 주기 조절, 암 세포 진행에 관여한다고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여러 암에서 KDAC은 발현 수준에 따라 암 환자의 부정적 혹은 긍정적인 예후를 예측하는 인자로써 확인된다. 암에서 KDAC의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자궁경부암에서 KDAC의 기전은 잘 연구되지 않았다. 암 세포의 대사 재프로그램은 정상 세포와 구별 짓는 특징 중 하나다. 암 세포는 정상세포에 비해 높은 수준의 당 흡수 및 해당과정을 유지하여 암 세포 진행을 지지한다. 해당과정을 조절하는 많은 효소들이 암세포에서 과 발현되어 당 의존성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당 결핍 혹은 해당과정 조절 인자들의 억제는 암세포의 생존에 있어서 치명적이다. 이는 항암치료의 전략으로써 잘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여전히 부작용은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제기된다. 이 연구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에서 증가된 당 의존성 과정에 KDAC이 관여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먼저, 암 세포에서 KDAC의 결핍은 낮은 농도의 당 혹은 해당과정 조절 효소 Hexokinase 2를 억제하는 2-Deoxy-D-glucose 처리에 의해 감소된 생존율을 나타냈다. 또한 KDAC이 결핍된 암 세포는 당이 박탈된 상황에서 Hexokinase 2의 단백질 수준이 증가되었다. 이 결과는 KDAC이 해당과정 관련 효소를 조절하여 암 세포의 대사 재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당 박탈과 KDAC 억제를 병행한 항암치료가 새로운 전략이 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DAC is an enzyme that removes the acetyl group attached to the amino acid lysine (Figure 1). It is primarily located in the cytoplasm and known to be involved in DNA mismatch repair, cell autophagy, cell cycle regulation, and cancer progression [1-4]. KDAC regulates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gastric cancer [5], whereas low levels of KDAC indicate a poor prognosis in lung cancer, and the enzyme is involved in tumorigenesis in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6]. In cervical cancer, KDAC inhibits invasion and metastasis by downregulating matrix metalloproteinase 2 and 9 and affects cell migration [7]. Cancer cells reprogram their metabolism to support a rapid rate of proliferation [8-11], the well-known "Warburg effect" reported by Otto Warburg in 1920. In contrast to normal cells, cancer cells favor metabolism via glycolysis, and pyruvate obtained through glycolysis is converted to lactate even under aerobic conditions [12]. The elevated glucose metabolism is required to provide sufficient amounts of metabolic intermediates to support anabolic processes, such as nucleic acid, lipid, and protein synthesis in the rapidly dividing cancer cells (Figure 2) [13, 14]. Increased glycolysis in cancer cells is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several factors, such as hexokinase 2, cMyc, hypoxia-inducible factor 1 (HIF1) [15-17]. Overexpressed Hexokinase 2 has been found in several cancers with increased glucose uptake. HK2 mediates the first step in glycolysis, producing glucose 6-phosphate by phosphorylating glucose [18-20]. HK2 maintains a gradient of concentration of glucose into the cells and promotes the initiation of the pathway [21]. Cell proliferation and glycolysis are increased through the oncogenic pathway upstream from cancer cells [22, 23]. The oncogene cMyc and HIF1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glycolytic flux in cancer [9, 24, 25]. cMyc is known to regulate the process by directly activating sugar genes under normal oxygen conditions [26]. In normal cells, cMyc expression and function are known to be regulated by mitotic signals. In the absence of positive regulatory signals, cMyc transcription is reduced and protein levels are lowered, whereas cMyc function is always increased in cancer cells [23]. cMyc stimulates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cell cycle, growth factor, translation initiation, etc. and inhibits the expression of other tumor suppressor genes [26]. HIF-1α is expressed at higher levels in cancer cells than in than normal cells, is important for the Warburg effect, and is a promising therapeutic target in cancer [25, 27, 28]. Normally, HIF-1α is activated by hypoxia or low oxygen concentration as a transcription factor and activates several genes [26]. Intratumoral hypoxia and genetic alterations can lead to HIF-1α overexpression, which has been associated with increased patient mortality in several cancer types [29]. In addition to its stabilization under hypoxic conditions, HIF-1α can also be activated under normoxic conditions by oncogenic signalling pathways [30]. HIF-1α activates the transcription of genes that are involved in the crucial aspects of cancer biology, including angiogenesis, cell survival, glucose metabolism, and invasion [23].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HIF-1α overexpression and patient mortality have been shown in cancers of the brain, breast, cervix, oropharynx, ovary and uterus [29]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the reprogrammed cancer cell glucose metabolism has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31, 32]. For example, treatment with 2-deoxy-D-glucose (2-DG) inhibits HK2-induced apoptosis of cancer cells [33, 34]. Methyl pyruvate is a lipophilic molecule that penetrates into the mitochondria and contributes to ATP synthesis [35]. Methyl pyruvate is intracellularly located and lowers pH, although it is less efficient than pyruvate [36]. Treatment with exogenous pyruvate in breast, normal lung fibroblasts, and ovarian cancer cells inhibits cell proliferation [37]. CRISPR/Cas9 is a molecular technique that can modify, delete, or insert a target gene [38, 39]. Double nickase plasmid is composed of a pair of plasmids with nicked single strand DNA, not double strand breaks, formed by D10A mutation of Cas9 nuclease (Figure 3). It has a sequence complementary to each single strand sequence in the target DNA. Nicking the target single strand DNA results in a double stranded break [40, 41]. One of the plasmids expresses GFP and the other one expresses puromycin, so the transfection efficiency can be confirmed by measuring GFP expression after plasmid transfection into the target cells. The cells transfected with puromycin can subsequently be selected. In this study, I show that KDAC affects the viability of cervical cancer cells undergoing glucose deprivation. HeLa cells deficient in KDAC were more sensitive to glucose deprivation than those with KDAC normal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ncer therapy combining cervical cancer cell therapy with glucose metabolism therapy and KDAC inhibition may be a promising new strategy.

      •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 및 가족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 가족체계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미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 가족 구성원의 역할과 변화가 가족기능을 향상시키며 궁극적으로 현재의 문제를 제거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가족체계이론에 준거하여 체계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개념들을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이론적 틀을 구성하고 통합시켜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건강한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의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가족체계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개념들을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적용시 통합이 가능한가이며 둘째, 가족체계이론을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장애아동가족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C시에 거주하고 있는 지적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첫 단계는 장애아동과 장애아동부모를 각각 주 1회, 10주간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고, 첫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두 번째 단계로 장애아동과 장애아동부모를 함께 주 2회, 5주간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 후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을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여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에 대하여 얻어진 주요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지적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 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 지적장애아동은 자아존중감,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가족탄력성, 자립생활, 사회적기술, 대인관계, 주의집중 그리고 적응행동 수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있었으며, 지적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 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립생활, 사회적기술, 그리고 대인관계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있었다. 지적장애아동과 지적장애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 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사후값을 사전값으로 적용하여 지적장애아동 가족에게 가족체계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개념들을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실시 한 결과, 지적장애아동은 자기효능감, 가족탄력성, 자립생활 그리고 적응행동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있었으며, 지적장애아동 부모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가족탄력성, 사회적기술, 대인관계, 그리고 적응행동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가족체계이론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개념들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적용하였을 때 그 효과가 강화되거나 지속되었으며, 원예치료에서 이론의 틀로써 통합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지적장애아동 가족 구성원에게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은 물론이고 지적장애아동 가족체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밝혀졌다. 이는 현재 임상이나 교육현장에서 지적장애가족 프로그램으로써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음이 증명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 가족의 잠재되어 있는 문제에 대한 예방차원은 물론이고 현재 장애가족 내의 문제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며, 미래의 장애인복지실천으로서도 매우 유용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