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창의성과 선호 놀이 유형간의 관계

        한미숙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유아의 창의성과 선호놀이 유형간의 관계 유아교육전공 한미숙 지 도 교 수 이경화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이 놀이 활동 중에 선호하는 놀이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고, 유아의 놀이행동을 관찰하여 기록한 후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유아의 창의성과 선호놀이 유형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는데 이는 향후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에 도움이 될 것이라 여겼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실시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의 창의성 수준에 따라 선호놀이 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창의성과 선호놀이 유형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중에서 3개 기관을 무선 선정하고 재원중인 유아들 가운데 6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창의성 검사(이경화, 2012)와 놀이행동을 관찰기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창의성 수준에 따른 선호 놀이 유형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s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 창의성은 인지적 놀이(r=.568**)에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사회적 놀이(r=.606**)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 창의성 점수가 높은 유아는 사회적 놀이에 적극 참여하며, 상대적으로 인지적 놀이는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형창의성 점수 수준 차이에서 선호놀이 유형과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창의성 성격과 창의성 능력은 비 참여 행동과 인지적 놀이 유형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사회적 놀이 유형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놀이와 사회적 놀이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r=-.993**)가 나타나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Preferred Play Type of Young Childre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n Mi-suk Supervised by Prof. Lee Kyung-Hw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ccording to a preferred play type among play activities. It carried out creativity test, observed and recorded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 and then analyzed relationship. Through the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referred play type was confirmed. This was considered to be likely conducive to forming a program for developing creativity henceforth. It carried ou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ccording to this objective and identified this. Research problem 1. Will there be difference in a preferred play type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creativity level? Research problem 2. Which correlation will there be betwee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referred play typ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elected 3 institutions among child care centers where ar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mong young children who are attending, 61 people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Creativity test(Lee kyung-hwa, 2012) and play behavior were observed and record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analyzed by calculating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confirm correlation with a preferred play type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creativity level. Linguistic creativ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 cognitive play(r=.568**)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social play(r=.606**), thereby having indicated to have influence. Young children with high score in linguistic creativity could be known to positively participate in social play and not to relatively prefer cognitive play. Also, it was indicated that there is almost no statistical correlation with a preferred play type in the difference of score level in figural creativity. In conclusion, young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and creative ability were shown to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non-participation behavior and cognitive play type and to have ver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tatistically with social play type. Finally,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play and social play was indicated to be very high correlation(r=-.993**), thereby having been identified to be very significant.

      • 종교간 대화에 관한 신학적 소고 : 시대적 맥락에 따른 연구

        한미숙 서강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세계화로 인해 다문화, 다종교 현상 등 어느 시대보다도 다원성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정보의 신속한 공유와 용이한 왕래는 상호 불가분의 관계에 놓이게 한다. 외형적으로나마 세계가 하나로 향하고 있는데, 이러한 현 시대적 상황은 종교간 대화가 필수적인 요인으로 나타나고 세계 평화를 위한 그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 그리스도교는 계시종교로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설파하면서 모든 사람을 향한 하느님의 보편적인 구원의지를 밝히고 있다. 본 소고는 교회사적 고찰을 통해 초기 교회가 주변세계의 다양한 민족들과 가졌던 대화의 씨앗에서부터 제 2차 바티칸 공의회가 여러 문헌들을 통해 공식적으로 인정한 종교간 대화에 이르기까지 이웃종교인들의 구원의 가능성이 교회 내에 항시 내재되어 왔음을 규명한다. 따라서 “교회 밖에 구원은 없다”는 공리가 시대적 맥락 안에서 왜곡된 채 규정되었음을 그 변천사를 통해 밝힌다. 그리고 현대의 다원성 안에서 종교간 대화를 통해 신학적 입장을 정리하는 종교신학이 다원주의에로 전환하지 않고, 그리스도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아우르는 그리스도교의 본질을 유지하며 어떻게 미래에 대화신학을 전개할 수 있을지 그 신학적 기초와 구체적 실천방안을 제시한다. In the 21st century, due to global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phenomenon, plurality appears more remarkably than ever before, and the simultaneous sharing of information coupled with easier travel brings us into a mutually inseparable relationship. This would seem -at least in appearance- to be heading for One World, this current historical situation reveals the interreligious dialogue as an essential element and it's role for global peace is incessantly growing. Christianity declares the salvation of God for all the people as a religion of revelation that preaches the fulfillment of the kingdom of God, universal through Jesus Christ. This treatise through an historic consideration of the Church, shows that from early church on a seed of dialogue with the various people in the surrounding world spanning through to the 2nd Vatican Council officially approved interreligious dialogue through a number of documents, has always held the innate possibility of salvation of the "Religious Neighbours" in the Church. Thus, it clarifies through the changing times that the axiom "there is no salvation outside the Church" has been distorted by historical circumstances. Additionally, in the plurality of current time, the theology of religion, which intends to take the theological position through the interreligious dialogue proposed the concrete action plans with theological basis on how to develop the dialogue in the future while preserving the identity of Christianity that embraces th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f Christ without turning to pluralism.

      • 폐쇄병동에 입원한 정신 질환자가 경험한 간호

        한미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re is an increase in population who suffer metal disorder in sudden changes of surrounding and complex structure of modern society, mental health gradually become a problem; as it needs more and more understanding of nursing requirement of the patient, its importance and necessity,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mental nurs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cus on understanding patients and providing them nursing intervention they need by describing nursing experienced by mental patients hospitalized in closed-ward with their view and real stories using daily life descriptio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hospitalized in special mental closed-ward, 3 patients in personal in-depth interview and 7 patients in focus group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from December 2005 to March 2006. At the same time, it was analyzed until data was saturated. Data was interpreted to main events and situational meaning of pattern through the process that analyze the study subject and situational meaning with 3 step analysis such as event, subject and application by Agar (1980). Finally, data was reconstructed by finding universal subject or summarizing the pattern and summarized those again, thereby describing thos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nursing experienced by mental patient hospitalized in closed-ward were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nursing. 1. In psychological nursing, it included being warmly received like a guest; being comforted; being understood; being respected; feeling warm heart; being treated with unconcern; being neglected; and receiving a cold reception. 2. In social nursing, it showed being protection; being legs; being restricted too much; receiving poor information; insufficient guide for future; receiving uncomfortable ward condition; and insufficient weekend activities. 3. In physical nursing, it involved immediate settlement of physical discomfort; assisting daily life performance; delaying the request; and neglecting personal and physical request. The mental nurse provides qualified nursing i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receiving nursing; for that, it is primarily necessary to understand how the nursing they experienced is and what nursing they ne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may help to understand how mental patients think about nursing of mental nurse in their view and to understand the type of nursing that is recognized positively or negatively. Especially, the point of qualitative psychological nursing that patients request is respect, understand and interest in the area of informal and common attitude and it shows that requests of social nursing was more than physical nursing. In addition, they experienced negative nursing rather than positive nursing; therefore, it indicates that they should be provided more considerable nursing. It may confirm the content of continuous education for providing qualitative nursing centering patients by mental nurse by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nursing patient experienced and it nurse provided on the basis of those results. ▶ Keyword: mental patient, mental nursing, daily life description method

      • 창의적 음악 표현력 향상을 위한 즉흥표현활동 지도 방안 연구

        한미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음악교육은 어린이들의 음악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작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창의적 학습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음악과의 교육과정 상위목표에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라고 기술되어 있으며 하위목표인 심동적 영역에서도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을 통한 창의성 계발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것은 음악적 표현 행위가 창의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흥표현활동은 창의적 표현력을 기르기 위한 한 방법으로 자신의 음악적 의도에 따라 음향을 즉흥적으로 조직 표현함으로써 창조의 순간을 체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양한 즉흥표현 활동은 아동들의 흥미와 능동적인 학습을 유발하여 음악을 심미적으로 체험하게 하고 바람직한 음악적 표현을 위한 탐색의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음악적 개념과 원리를 더욱 분명히 지각하게 하여 음악의 본질과 구조를 더 잘 이해하게 한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즉흥표현활동이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중요한 활동임을 인식하면서도 체계적인 지도 방법과 활동에 대한 안내가 미비하여 접근하기 어려운 활동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음악수업의 실태는 범주, 범창에 의한 기계적 모방 내지 녹음기의 재생된 음악을 반복해 듣고 배우는 활동으로 편중되고 있다. 음악 시간이 노래나 재미있게 많이 가르치고 악기로 정확하게 연주하게 하는 등의 지도로 그친다면, 아동들이 흥미는 있을지 모르나 이것은 단지 타인의 음악을 재생하는데 불과하며, 자기 자신의 내면적인 표현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다. 또한 아동들의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졌다 할지라도 표현의 원리와 방법을 모르고서는 만족할 만한 음악표현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것은 아동들의 학습 의욕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념별로 음악 표현의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한 후, 안내된 모방 활동을 통하여 음악적 개념과 원리를 인지하고 자신의 표현하고자 하는 음악적 욕구를 음악의 구조와 원리를 바탕으로 한 즉흥표현활동으로 접근시키고자 즉흥표현활동 학습을 단계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관련 문헌 및 연구 논문 등을 조사하여 즉흥표현 활동의 교육적 가치와 필요성을 고찰하고,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즉흥표현 영역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상에는 즉흥표현 활동이 창작 활동의 하나로 제시되어 있었으나 리듬 짓기, 가락 짓기, 다양한 음원으로 표현하기 등 막연하게 제시되어 기보법을 바탕으로 한 작곡활동인지 떠오르는 발상을 즉흥적으로 표현하는 활동인지 명확하지 않았으며 제재곡에 따라 나열식으로 제시되어 있어서 개념과 연계되고 단계적으로 심화되는 계열성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즉흥표현 활동을 개념별로 흥미 갖기, 안내된 모방활동, 즉흥표현활동으로 단계화하여 접근시키는 지도내용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 연구 과정으로는 각 학년 음악과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즉흥표현 내용을 추출하여 재구성하고, 리듬, 가락, 셈여림, 빠르기, 음색의 즉흥표현활동 내용을 단계화 하여, 흥미 갖기에서는 개념별로 음악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면서 표현의 흥미와 즐거움을 갖도록 구성하였고, 안내된 모방활동에서는 음악적 요소와 원리를 인지하고 모방을 통해 표현해 봄으로써 표현의 방법과 원리를 터득하게 하며, 즉흥표현활동에서는 자신의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와 발상을 직접 다양한 방법을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즉흥표현활동의 단계적 접근을 통해 학생들은 음악 표현에 능동적인 자세를 보였으며 노래부르기와 악기 연주 기능이 다소 모자란 학생들도 음악 시간을 즐거워하고 자신의 다양한 생각들을 표현하려는 모습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음악적 표현력을 높일 뿐 아니라 창의적인 심성을 함양하고, 음악의 아름다움을 발견하며 음악적 성장을 가져오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각 학년의 음악 수업에서 학년 수준이나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게 제시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보다 발전적이고 현장에서 지도하기에 어려움이 없는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지도방법과 활동안내에 대한 교과서 계발연구가 이뤄져서 현장에서 적용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지게 되었다. Modern music education emphasizes the creative learning activity, which can stimulate musical imagination and promote creative activity. The aim of music education is to cultivate musicality and originality through the variety of music activity. Furthermore, the affective field, which is a secondary aim of the music curriculum, focuses on developing creativity through singing, playing instruments, composition and appreciation. This means musical activities should be performed creatively. The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y is a method which can cultivate creative expression. Therefore, students can experience creativity by organizing sound according to an improvised musical intention. Furthermore, various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ies cause students' interest and active learning, so students can understand the music structure and essence by perceiving the concept and principals of music, by experiencing the music aesthetically, and by offering the chance of investigation of the musical expression. Teachers recognize that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creativity. However, these are considered to be difficult activities, because the systematic guiding principle is insufficient. Moreover, the actual music lesson puts too much emphasis on technical imitation and tape recorded music which can be listened to and learned repeatedly. If teachers teach joyfully and inspire students to play the instruments correctly, the students may take interest. However, this just teaches students to produce others' music, so they do not satisfy their own creative impulse. Furthermore, students can not exercise their creative impulse without knowing the guiding principles and methods, even though students have the desire for expression. This might cause students to abandon the learning desi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ystematic teaching methods for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ies so that students may sustain interest and motivation. Afterwards, students should be able to recognize musical concepts and principles, and students will apply their creative impulse to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ies, which are based on musical structure and principles. This study investigates some related research, considers educational value and the necessity of the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y, and analyzes the place of improvised expression in the curriculum. The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y in the curriculum represents one of the composing activities, but it is not explained clearly. Namely, it is presented as an exercise for composing rhythm, composing melody, and for various expressions of sound. It is vague whether it is a composing activity based on music notation or an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y in which ideas occur naturally. This study attempts to establish the teaching content by organizing the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y into three categories: inspiring interest, guiding imitated-activity, and engaging in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y. This study evaluates content by analysing the curriculum and textbook of each grade, and organizes the improvised expression of rhythm, melody, and tone systematically. Furthermore, in evaluating the inspiring of interest, this study presumes that students can readily understand the concept of music, and can sustain interest and enjoyment. In guiding imitated-activity, the students recognize music by various factors and principles, and realize the expression of methods and principles through imitation. In engaging in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y, this study understands students' own intentions and ideas to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It is the intention of this study that students show active attitudes in music expression through the systematic access of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ies, and that students who lack skill in singing and playing the instruments will still enjoy the music lesson and try to express their various idea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ents will promote their creativity and discover the beauty of the music, as well as develop their musical expression through these activities. This study describes practical activities which are usable in the lesson according to the level and grade of students. It is hoped that systematic follow-up studies on improvised expression activity will continue in order to achieve a teaching program which has no difficulty in teaching and developing the textbooks' methods and the teachers' guiding activities.

      • 歸脾湯이 C57BL/6 Mouse에 Stress負荷 後 血中 Hormone 및 Immune Response에 미치는 影響

        한미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Stress is known to influence the immune function via an effect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wibitang water extract (KBT) on the immune function in C57BL/6 mice stressed by immobilization, we evaluated the changes in the contents of serum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the cell viability and subpopulation of thymocytes and splenocytes, as well as the phagocytic activity of macrophages. KBT decreased the serum level of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in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In addition, KBT enhanced the cell viability of thymocytes and splenocytes de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Also KBT decreased DNA fragmentation of thymocytes and splenocytes in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KBT decreased the population of thymic CD4 cells and CD8 cells increased by immobolization stress, and increased the population of B220 cells de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and decreased the population of Thy1 cells in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KBT enhanced the production of γ-interferon and IL-2 decreased by immobilization stess. Also, KBT enhanced the phagocytic activity de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and enhanced the level of nitric oxde decreased by immobilization str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BT may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tress via suppression of serum histamine and corticosterone level and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 찰나의 짜임을 통한 시·공간 확장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한미숙 국민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udy aims to analyze and establish a modeling form expanded with time and space of a momentary time (Moment), which is an extremely short time, that is within the borders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s well as in the borders of emotion and logical reasoning. Today, people are suppressed by a full-scale contagious disease, the Pandemic due to COVID-19, and are living a life no one is familiar with and has never expected. People now adapted to the situation and are living in a post-COVID era. As the end does not seem to be visible, every minute and second of the people's lives is significant. In this high-tech world with climate changes, everyone is fighting for survival and is in a life-and-death situation. While living in a chaotic world, the researcher continuously raised a question about what an individual can do in such a chaotic world. The whole world has already entered a new era in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ly,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he standards on the basic values are changing, making how one lives his life more important. Just as the world is constantly changing, the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e changing time and expanding space on the artwork rather than using the existing orders and started to plan the expansion of general ideas and reasons. Based on the contradicting yet fundamental and existential questions between the changing values within the decentralized world without clear borders and the eternity of a moment,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new expansion expression method to analyze the artwork made with unique innovation accumulated from the mind and body. First, the fundamental factor that leads to the expansion of time and space is obtaining a personal voice of the researcher despite living a finite life in line with the time and uncertainty and hope found in every individual and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infinite expansion that goes across the eternal life unfolds the artwork in various ways to sustain the finite existence. Thereafter, the researcher pursued a creation method of new things for every moment to change, rotate, and recreate the artwork endlessly, showing the artwork going towards the future time. Therefore, the double-sidedness of finite beings that desire infinite time are linked to temporality and spatiality and reinterpreted the time theory of Husserl and Deleuze by substituting the values in the artwork. The completion of the predictability is a must in evaluating artworks. However, the study tries to examine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the artwork closely from philosophical, social, cognitive scientific, and formative perspectives, which is away from the universal standards of interpreting the process of creation. The key subjects of the study that are to be defined newly are artworks made between 2016 and 2021, and the sensible transformation process naturally formed in the extended expansion will be analyzed. Thereafter, the details and forms deriv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re used to define the time and space expansion method with concepts such as coexistence, compositeness, cross, and creation (Yang.Da.Gyo.Jeuk. 4C). Expansion is going beyond the current state and a journey for development. The efforts of the researcher in his childhood to escape from the systematic education method are well reflected in the artwork as a unique viewpoint and revealed in various ways of breaking the basic standards. Such an attitude is to overcome the anxiety of a unique yet weak character and can be seen as a clear will to develop into a whole self in every moment. The colorful characteristics of the drawings (mostly pen sketches), digital paintings, acrylic paintings, printings, sound, and graphic arts are to be analyzed, and the conclusion will be made after collecting the overall interpretation to check the expansion of the medium and exploration to calculate the possibilities. Additionally, the study will describe two Automatism, passive and proactive,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a new concept, the New Automatism, based on the automatism in the changing world to identify new routes of art and its future possibilities when combined with human and technology or machines in the lower level and combin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in the higher level. Through the convergence of the realistic space and the virtual space and the combination of various mediums, the efforts for the sustainable expansion of artwork creation can be seen. Like this, everything changes and flows. The uncertainty of finite beings present is affected and expanded by the infinite factors, which are time and space, showing the contradicting life that desires eternity endlessly in every moment. Therefore, the study aims to make a base for the reasons and standards and serve as a path to create a living history. At the same time, the endless and unique newness will trigger infinite possibilities and would open a new chapter in visual arts. 본 논문은 ‘찰나’라는 극히 짧은 시간 동안 맞물린 의식과 무의식 사이, 감성과 이성의 경계에서 시간과 공간으로 확장된 조형 표현을 분석하여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은 전 세계적으로 전염병이 대유행하는 팬데믹(Pandemic) 시대로 코로나-19(COVID-19)는 우리의 평범하던 일상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익숙하지 않은 억압된 낯선 체계로 점령하고야 말았다. 이미 일상생활이 되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접어든 지금. 도무지 끝이 보이지 않는 기약 없는 세상 속에서 우리에게 살아있는 1분 1초는 더욱 중요하게 여겨진다. 최첨단 시대 속 기후변화에 이르기까지, 짧은 순간 수많은 사람은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각자의 숨을 넘나들고 있다. 이렇게 혼란스러운 세상 속에서 개인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관해 연구자는 끊임없는 물음을 가져왔다. 이미 전 세계는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등 다양한 분야로부터 새로운 시대에 접어들었다. 근본적인 가치의 기준이 바뀌어 가고 있는 현재는 살아가는 과정 자체가 더욱 중요하게 다가온다. 이처럼 세상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흐름 속에서 연구자는 기존의 질서를 이끌고 가기보다는 작품에 가변적인 시간과 공간적 확장을 시도하며, 기존의 보편적 개념과 사유에 관한 확장을 도모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오늘날 경계가 흐려진 탈중심적인 세상에서 가치의 변화와 순간 속 영원을 포괄하는 모순적이지만 근본적인 실존적 물음을 바탕으로 새로운 전환점으로 나아가 확장된 표현법에 중점을 두어 연구자의 마음과 신체로부터 체화된 독특한 형식의 작품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시간과 공간확장을 지향하는 근본적인 요인은 개인과 사회에 내재한 불안과 희망 속에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유한한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시각예술에서 연구자만의 독자적인 고유 목소리를 획득하고자 함이다. 동시에 영원을 향한 세계로 이 시대를 가로질러 무한한 확장 방법으로 작품이 다양하게 펼쳐짐으로써 유한한 존재를 지속하기 위함이다. 그에 따라 연구자는 매 순간 새로운 생성을 추구하는 창작 방식에 이르러 작품을 끝없이 변화, 순환 그리고 재창작하며 미래의 시간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무한을 갈망하는 유한한 존재의 양면을 담은 시간성을 공간성과 연계해 후설과 들뢰즈의 시간론을 토대로 연구자의 작품에 대입하여 재해석한다. 특히 예측 가능함의 완결성을 가져야만 했던 작품의 보편적 기준에서 어느 정도 질서를 벗어나 정해진 궤도를 이탈하는 창작과정과 열린 작품의 해석 방식을 철학적, 사회적, 인지과학적, 조형적 방법으로 면밀하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새롭게 의미화되는 본 논문의 주요 연구 대상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작품을 토대로 확장된 전개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감각적 변형 과정을 분석한다. 그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도출된 내용과 형식을 연구자의 작품 개념으로 일컫는 양립, 다중, 교차, 즉흥인 양.다.교.즉(兩多交卽, 4C)으로 명명하여 시·공간 확장법을 정립한다. 확장은 기존에서 나아감, 발전 또는 모험의 여정이다. 연구자의 어린 시절 제도적 교육방식에서 탈피하고자 했던 몸부림은 작품에서 차별화된 관점을 부여하는 것으로 반영되어 본래의 틀을 깨는 다양한 시도로 발현되었다. 이러한 태도는 유일하면서도 유약한 존재의 불안을 극복하기 위함이며, 곧 매 순간 본인다움으로 거듭나기 위한 선명한 의지로 볼 수 있다. 그에 따라 매체의 확장과 열린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한 탐구로 연구자의 드로잉(주로 펜화 중심), 디지털 회화, 아크릴화, 판화, 사운드와 그래픽 영상의 다채로운 매체의 특징을 분석하고 총체적인 해석을 통해 수렴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연구자의 수동적, 능동적인 두 가지의 자동기술법(Automatism)을 기술하고, 이어서 급변하는 시대에 맞춰 자동기술법을 토대로 신자동기술법(New Automatism)이란 새 개념을 상정하여 낮은 단계인 인간과 기술 또는 기계와의 합작, 높은 단계인 인공지능(AI)과 인간의 협력으로 미래적인 가능성을 모색해 예술에서 열린 가능성으로 새 경로를 탐색한다. 그것으로 작품에서 생동감 있는 실제 공간과 가상 움직임의 융합, 다양한 매체의 결합을 동반해 지속 가능한 확장으로 작품창작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모든 것은 변하고 흐르는 것과 같이 순간을 살아가는 유한한 존재의 불확실성은 시간과 공간 안에 무한성으로 개입되어 확장한다는 설정을 하였다. 존재와 작품에서 영원성을 갈망하는 모순적인 삶처럼 순간 속에서 끝없이 펼쳐져 나간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연구자의 사유와 조형적 기틀을 마련하고 살아있는 역사를 만들어가는데 그 경로가 될 것이다. 동시에 끊임없이 차별화된 신선함으로 무한한 가능성을 촉발하여 유의미한 새로운 장을 열어가고자 한다.

      • 병원 보건관리자의 직무수행도,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미숙 제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보건관리자들의 일반적 특성,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수행도,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 의도 수준을 알아보고, 직무 수행도,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1월 17일부터 2월 17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전국 병원(30병상 이상)에 근무하는 보건관리자 12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주요 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병원 보건관리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수행도는 최종학력, 의료기관 종류, 상시 근로자수, 보건관리자의 총경력, 현 직장 경력, 소속부서, 승진 기회의 유무, 노동조합의 유무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직무스트레스는 승진 기회의 유무, 직무소진은 의료기관의 종류와 승진 기회 유무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직 의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연구대상자의 직무수행도와 이직 의도 간의 인과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3. 연구대상자의 이직 의도와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이직 의도는 직무스트레스(r=0.508, p=0.000), 직무소진(r=0.493, p=0.001)과 유의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다중회귀분석 결과,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나이(β=-.201, p=0.025), 최종학력(전문대 졸업을 기준으로 더미변수화) 대학원 졸업(β=.358, p=0.010)과 대학 졸업(β=.204, p=.030), 소속부서(안전보건부서를 기준으로 더미변수화) 기타부서(β=-.016, p=.044), 직무스트레스(β=0.398 p=.000), 직무소진(β=0241, p=.019) 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5.0%(F=5.316, p=.000)였다. 조사 결과는 병원에 종사하는 보건관리자의 이직 의도는 나이와 최종학력, 소속부서,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과 유의한 인과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이직 의도 있다고 유의하게 나온 결과와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이직 의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병원 보건관리자가 보다 더 나은 직장을 구하거나 또 다른 체험을 경험하기 위해, 또는 승진과 보상이 따르지 않은 점에서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승진 기회가 없고 보상이 부적절함으로 오는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인 소진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도 필요할 것이다. 나이가 어릴수록 이직 의도가 높다는 것은 보건관리자 직무에 대한 형식상 교육이 아닌 실제 현장에서의 실무에 대한 교육, 전문성 제고를 위한 경력개발제도와 경력 인정 기준과 범위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상시 근로자 수와 상관없이 혼자 업무 추진 과정에 발생하는 부담감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병원 보건관리자들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보다 안정적인 소속부서,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체계적인 제도와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긴장을 완화하고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정부 차원 및 조직 차원에서 도입하여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job performance,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health managers working in 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performance, job stress, and job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129 health managers working in hospitals (30 beds or more) across the country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7 to February 17, 2022, a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job performa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hospital health manag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final education,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number of regular workers, general career of health managers, current work experience, department of affiliation, opportunity for promotion, and existence of labor unions.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ence of promotion opportunity, and job burno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medical institution and the presence of promotion opportunit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urnover intention. 2.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subjects'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was not significant. 3.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the study subjects, turnover inten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0.508, p=0.000), job burnout (r=0.493, p=0.0010). 4.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β=-.201, p=0.025) is a factor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final academic background (dummy variable based on junior college graduation) graduate school graduation (β=.358, p=0.010) and college graduation(β=.204, p=.030), other departments among affiliated departments(dummy variables based on health and safety departments) (β=-.016, p=.044), job stress(β=0.398 p=.000), Job burnout (β=0241, p=.019). This significant variable was selected,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5.0% (F=5.316, p=0.000).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intention to turnover of health managers engaged in hospitals h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age, last educational background, work department, job stress, and job burnout. In particular,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significant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and the higher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r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to experience another experience, or to consider changing jobs. Measures will also be needed to solv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that do not have a promotion opportunity and compensation is inappropriate. The younger the age, the higher the intention to turnover, not the formal education for the health manager's job, but the criteria for the scope of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recogni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practical skills in the fiel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regular workers, the burde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work alone leads to job stress and exhaustion.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health managers, it is believed that a solution should be prepared by introducing a systematic system to reduce job stress and programs to alleviate physical, mental, and psychological tensions and increase resilience

      • 한국과 독일의 분단문학 비교 : 크리스타 볼프의 『나누어진 하늘』과 최인훈의 『광장』을 중심으로

        한미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문학의 사회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분단문학의 역할과 특히 동서독의 분단문학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우리의 분단문학에서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찰해보려는 데 그 연구 목적을 둔다. 분단이라는 역사적 체험을 공통적으로 지니고 있는 한국과 독일은 그 시대에 생산된 문학 역시 분단문제와 무관할 수는 없었다. 이로 인해 두 나라에 있어 '분단'은 다른 국가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문학적 주제가 되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분단문학의 개념을 분명히 하고, 독일과 한국의 분단문학의 전개과정을 고찰해 보았다. 두 나라의 분단문학의 전개과정은 문학창작에 큰 영향을 끼친 사건에 따라 각각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한국과 독일의 분단은 45년 이후 강대국의 분할 정책이라는 공통된 외부 요건에 의해 고착화되었다. 이렇게 분단의 시작이 같았던 독일과 우리나라는 그 과정 중에 전혀 다른, 혹은 비슷한 변화를 겪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두 나라의 대표적인 분단문학 작품으로 비슷한 시기에 출판된 크리스타 볼프의 「나누어진 하늘」과 최인훈의 「광장」을 비교분석하여 작품 속에 드러난 분단 상황과 극복의지를 좀더 구체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두 작품은 모두 창작시기가 60년대 전후의 정치·사회적 변혁기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베를린 장벽과 4·19혁명이라는 역사적인 사건의 시사성에 힘입어 더욱 주목을 받았다는 점이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작가 개인적인 체험의 차원에서는 볼프와 최인훈 모두 유년시절에 전쟁과 분단을 겪은 제 2세대에 속하며, 그 때문에 이데올로기적 대립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지녔다는 데 의의가 있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두 작품은 모두 회상구도로 되어 있으며 연대기적 서술이 해체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보였다. 이러한 기법은 독자와 작품간의 거리를 좁혀 주고, 분단의 문제와 그에 대한 주인공의 인식 과정을 독자 스스로 끌어낼 수 있도록 하려는 의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두 소설은 당시의 정치적·사회적 상황을 주인공의 지리적 이동, 즉 공간을 통해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체험과 현실의 압박이 주인공으로 하여금 자살을 시도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두 소설은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작품 속에서 그려지고 있는 여성의 역할과 이데올로기의 문제는 서로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우선 남성을 주인공으로 삼은「광장」에서 윤애와 은혜라는 두 여성이 타자로 머물러 있었다면, 여성이 주인공이 되는「나누어진 하늘」에서는 여주인공 리타가 사랑의 주체가 된다. 「광장」과 「나누어진 하늘」의 또 다른 공통된 줄기는 분단 이데올로기이다. 리타는 만프레드와는 달리 사회주의체제에 남기로 결심하고, 이명준은 자본주의도 사회주의도 아닌 중립국을 선택한다. 이 결말을 통해 두 작품은 분단의 원인 중 하나였던 이데올로기 문제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렇게 '분단'이라는 공통된 경험을 가지고 있는 독일과 우리나라의 분단문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대표작품으로 크리스타 볼프의 「나누어진 하늘」과 최인훈의 「광장」을 비교분석하였다. 어쨌든 독일은 우리나라와 달리 이미 통일을 이루었다. 그런데 통일 논쟁에 있어서 독일의 대부분의 지식인들이 통일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점이었다. 이 논쟁은 우리에게 몇 가지 교훈을 던져 주는데, 그것은 단순히 분단극복의 해결에만 신경 쓸 것이 아니라 어떤 주체에 의한, 어떤 형태의 통일이 진정한 의미의 통일이 되는지 생각해 봐야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우리의 분단문학에서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 또한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Die vorliegende Arbeit stellt die gesellschaftliche Funktion der Literatur in den Mittelpunkt und versucht durch die Analyse der Funktion der Literatur im geteilten Deutschland zu ero¨rtern, welche Rolle die koreanische Literatur im Hinblick auf die Teilung unseres Landes spielen sollte. Dieser Vergleich bietet sich an, weil Deutschland und Korea als geteilte La¨nder gemeinsame geschichtliche Erfahrungen haben, die sich selbstversta¨ndlich auch in der Literatur spiegeln. Die 'Teilung des Landes' ist dabei ein Thema, das in den Literaturen anderer La¨nder kaum zu finden ist. Die Untersuchungen beginnen mit einer genaueren Erkla¨rung des Terminus Teilungsliteratur und betrachten dann den Verlauf der Entwicklung dieser Literatur in den beiden La¨ndern. Dieser Prozess wird nach den politischen Ereignissen, die die literarische Arbeit stark beeinflusst haben, in drei Phasen geteilt. In beiden Fa¨llen ist die Teilung eine Folge des Zweiten Weltkrieges und des Ost-West-Konfliktes nach 1945, aber im weiteren Verlauf haben die beiden La¨nder trotz vieler A¨hnlichkeiten zum Teil ganz unterschiedliche Erfahrungen gemacht. Anhand der beiden Romane "Der geteilte Himmel" von Christa Wolf und "Der Platz" von Choi In Hoom werden die Teilung der La¨nder und der Wille zur U¨berwindung der Teilung dann konkreter behandelt. Diese beiden Werke wurden zum Gegenstand der vergleichenden Analyse ausgewa¨hlt, weil sie als reprasentative Werke gelten und etwa zum gleichen Zeitpunkt erschienen sind, und zwar in den Zeiten des politischen und gesellschaftlichen Umbruchs in den 60er Jahren. So haben diese Werke gerade wegen ihres engen Zusammenhangs mit wichtigen historischen Ereinissen, namlich mit dem Bau der Mauer in Berlin und mit der Revolution vom 19. 04. 1960 in Korea, besonders große Aufmerksamkeit erregt. Betrachtet man die perso¨nlichen Erfahrungen der Autoren, so geho¨ren Chista Wolf und Choi In Hoon zur zweiten Generation, die den Krieg und die Teilung des Landes in der Kindheit erfahren hat. Dass die beiden Autoren daher den ideologischen Gegensatz vergleichsweise objektiv betrachten konnten, ist fu¨r ihr Werk von Bedeutung. Formal sind beide Werke als Ru¨ckerinnerung gestaltet, bei der die Geschichte nicht mehr einfach chronologisch dargestellt wird. Diese den beiden Werken eigene Struktur tra¨gt dazu bei, dass die Distanz zwischen den Lesern und den Werken kleiner wird und die Leser die Probleme der Teilung des Landes und die Bewusstseinsvorga¨nge der Hauptpersonen besser begreifen ko¨nnen. Gemeinsam ist beiden Texten auch, dass die politischen und gesellschaftlichen Situationen der damaligen Zeiten durch Ortsvera¨nderungen, also auch durch ra¨umliche Strukturen verdeutlich werden. Schließlich erleiden die Hauptpersonen der Romane auch das gleiche Schicksal, da sie wegen der ra¨umlichen Trennungserfahrungen und wegen des Stresses der Wirklichkeit Selbstmord begehen. Aber trotz dieser Gemeinsamkeiten sind in den beiden Werken die Rolle der Frauen und die Ideologiefrage ganz unterschiedlich dargestellt worden. Im Werk "Der Platz", in dem ein Mann die Hauptperson ist, bleiben die beiden Frauen 'Yun Ae' und 'Eun Hye' ein Nicht-Ich. Aber im Werk "Der geteilte Himmel", im dem eine Frau die Hauptperson ist, ist die weibliche Hauptperson Rita das Subjekt der Liebe. Gemeinsam ist den beiden Werken natu¨rlich vor allem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r Ideologie, die die Teilung verursacht und verfestigt hat. In "Der geteilte Himmel" entschliesst Rita sich dazu, anders als Manfred weiterhin im sozialistischen System zu bleiben, weil sie den Glauben an das sozialistische Ideal nicht aufgeben will. In "Der Platz" pla¨diert Lee Myeong Jun fu¨r einen neutralen Staat, d.h. er glaubt weder an den Kapitalismus noch an den Sozialismus. Beide Werke fuhren so vor Augen, dass die U¨berwindung der Teilung ohne U¨berwindung des ideologischen Ausschließlichkeitsdenkens nicht erreichbar ist. Deutschland hat inzwische - dank gu¨nstiger weltpolitischer Konstellationen - die Vereinigung erreicht, wa¨hrend die politische und ideologische Spaltung hier in Korea fortdauert. Aber es ist bemerkenswert, dass die meisten deutschen Intellektuellen wahrend der Diskussionen u¨ber die Vereinigung des Landes sehr skeptische Reaktionen gezeigt haben. Das hat in Korea viele verwundert. Doch ko¨nnen wir durch diese Diskussionen einiges begreifen, das uns nu¨tzlich sein konnte. Es ist eben nicht nur wichtig, die Frage zu lo¨sen, wie man die Wiedervereinigung eines geteilten Landes politisch herbeifu¨hren kann, sondern es ist mindestens so wichtig, daruber nachzudenken, wie die getrennten Gesellschaften, d.h. wie die durch ihre jeweilige Gesellschaftsordnung gepra¨gten Individuen wieder zueinander finden ko¨nnen, welche Mittel dabei einzusetzen wa¨ren und welche Subjekte dabei leitende Funktionen ausu¨ben ko¨nnten. Und es fragt sich, ob die Literatur in diesem Zusammenhang nicht von ganz besonders wichtiger Bedeutung 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