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쿠마 켄고의 건축 공간에서 나타나는 일본의 전통적 경계 개념을 적용한 공공청사 휴게공간 디자인

        최현의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Kuma Kengo says “Strong person who can make buildings is limited” in ‘Weak Architecture,’ his book. That is, the user gets controls from the provider, ‘strong person,’ after losing freedom in formats called architecture having been constructed by ‘powerful person.’ Thus, he insists that ‘weak architecture’ ‘defeated architecture’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demander, that is user, rather than architecture for controlling means of the provider. The user in the building gets restrictions from strong tectonic property and materiality as well as intended forms of ‘strong person’ in this way. Behavior or programs is not decided by physical elements in the space, and forms in the space are not clear, so potentiality of space where various possibilities could occur is necessary. ‘Japanese traditional boundary’ makes ‘conscious boundary’ composed of non-tectonic property and non-materiality together with ambiguity intentionally. By conscious boundary, the boundary is created in spite of ‘vacancy’ while recognizing and perceiving something. Regarding such Japanese traditional boundary, Kuma Kengo explains by making classification like ‘ambiguous boundary of internal and external,’ ‘soft boundary,’ ‘everyday and non-everyday boundary,’ ‘associated boundary,’ and ‘landscape boundary.’ Such concept of boundary is the concept of being founded from Japanese traditional lifestyle, and the logic on boundary by Kuma Kengo could be seen at the logic of Ito Teiji who is architect critic and private house researcher too. This study tried to deduce further clear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traditional boundary by comparing these two logics. The elements of boundary appeared in logics of two persons in common are ‘eaves’ and ‘toenmaru.’ Eaves protect outer wall and toenmaru by the roof which is projected to outside. Toenmaru is the extended floor from inner floor, and does not belong to insider or outside. Ito Teiji said eaves like ‘space of gray color’ as ‘space of connection,’ ‘space of process,’ and Kuma Kengo ‘gray zone.’ Two expressions mean ‘ambiguity’ with same meaning. Properties of connecting inside and outside are contained in the ambiguity of not belonging to inside or outside. ‘Unstructured’ boundary could be looked up in Japanese houses. In Japanese houses, ‘moyougae:もようがえ’ is made constantly which separate the wall and decoration without fixing by modifying variable elements after constructing pillars, and then restoring them. This method is available because whole construction is not made perfectly. 'Nonphysical boundary’ is the boundary which is formed with physically weak materials such as fabric, paper, bamboo. These materials transmit light and display shadows, so let happenings on the other side recognized. This plays roles of contradictory 2 kinds such like separating inside and outside while it does not block perfectly. Like this, it was confirmed that Japanese traditional boundary lies in ‘conscious boundary’ composed of ‘ambiguity,’ ‘non-tectonic property,’ ‘non-materiality’ from logics of two persons. This project proposed a resting space design of public office which represented past power and was authoritarian, conservative. From the public office having been designed by functionalism system to do tasks and controls, public servants who execute public administration work get job stresses owing to physical environment which is not free. This study makes a design where resting could be gotten individually and work with outside could be progressed freely as a resting space that can resolve such job stresses. In relation with design methods, this study applied ‘conscious boundary’ like Japanese traditional boundary. Though domain property was established by making the boundary with unconstructed, nonphysical elements after breaking regulated norms through ambiguity, it can be changed anytime because of not being fixed. This study suggested a space where the place is changed by users’ participation instead of not being controlled by physically strong space likewise, and various possibilities could occur in the changes. 쿠마 켄고는 그의 저서 ‘약한 건축’에서 “건축물을 만들 수 있는 ‘강자’는 한정되어 있다.”라고 말한다. ‘강자’에 의해 지어진 건축이라는 형식 안에서 사용자는 자유를 잃고 ‘강자’, 즉 공급자에게 통제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공급자의 통제 수단으로써 건축이 아닌 수요자, 즉 사용자를 위한 ‘약한 건축’, ‘지는 건축’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렇게 ‘강자’의 의해 형식뿐만 아니라 구축성과 물질성에 의해서도 건축물 안의 사용자는 제약을 받는다. 그렇기에 공간 안에서 물리적인 요소로 인해 행위 또는 프로그램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공간 안의 형식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가능성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의 잠재성이 필요하다. ‘일본의 전통적인 경계’는 의도적으로 모호성과 비구축성, 비물질성으로 이루어진 ‘의식적인 경계’를 만든다. 의식적인 경계는 어떤 것을 인식하거나 자각함으로, 공간이 ‘비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계가 생성된다. 이러한 일본의 전통적인 경계를 쿠마 켄고는 ‘내·외부의 모호한 경계’, ‘부드러운 경계’, ‘성스러움과 속됨, 화려함과 소박함의 경계 요소, ‘연상의 경계’, ‘풍경 속의 경계’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경계의 개념은 일본의 전통 생활방식에서 찾은 개념으로 쿠마 켄고의 경계에 대한 논리는 일본의 건축 평론가이자 일본의 민가 연구자인 이토 테이지의 논리 속에서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두 논리를 비교 고찰하여 좀 더 명확한 일본의 전통적인 경계의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두 사람의 논리 속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경계의 요소는 ‘처마’와 ‘툇마루’이다. 처마는 바깥으로 돌출된 지붕으로 외벽과 툇마루를 보호한다. 툇마루는 내부 바닥에서 연장된 바닥으로 내부도, 외부도 아닌 공간이다. 이토 테이지는 처마를 ‘연결의 공간’, ‘과정의 공간’으로 이를 두 사람은 ‘회색의 공간’이라고 명명하였다. 여기서 ‘회색의 공간’이란 흑도 백도 아닌 ‘모호성’을 의미한다. 내부도 아닌 외부도 아닌 모호함 속에서 내부와 외부를 연계하는 속성이 담겨있다. ‘비구축적’인 경계는 일본의 주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일본의 주택은 기둥만 축조하고 벽과 장식은 가변적인 요소로 조작하여 고정화 하지 않은 채 분리하였다가 다시 복원하는 ‘모요가에(もようがえ)’가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이는 완벽하게 구축되어지지 않기에 가능하다. 여기서 ‘비물리적’인 경계는 직물, 종이, 대나무와 같이 물리적으로 약한 재료로 형성하는 경계이다. 이러한 재료는 빛을 투과하고 그림자를 연출하여 반대편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인지하게 한다. 경계는 분리시키면서도 내부와 외부를 완벽히 차단하지 않는, 모순 된 두 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두 사람의 논리에서 일본의 전통적인 경계는 ‘모호성’과 ‘비구축성’, ‘비물질성’으로 이루어진 ‘의식적인 경계’임을 확인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과거 권력을 표상하고, 권위주의적이며 보수적이었던 공공청사의 휴게 공간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업무 수행과 통제를 위해 기능주의 시스템으로 설계되어진 공공청사는 자유롭지 않은 물리적 환경으로 인해 공공행정업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은 직무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러한 직무스트레스를 해소 할 수 있는 휴게 공간으로서 개인의 휴식을 취하거나 자유롭게 외부인과의 업무를 진행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하였다. 디자인 방법으로는 일본의 전통적인 경계와 같이 ‘의식적인 경계’를 적용하였다. 모호함으로 정해진 규범을 깨고 비구축적이며 비물질적인 요소로 경계를 만들어, 영역성은 확립하지만 고정화하지 않아 언제든지 변화 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물리적으로 강한 공간에 의해 행위가 통제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참여로 인해 변화하고 그 변화 속에서 다양한 가능성이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LMI기반 퍼지 제어 기법을 이용한 이동로봇의 궤도 추적에 관한 연구

        최현의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Wheeled mobile robot has different mobility and steerability which determined by type of wheel and its arrangement. Generally wheeled mobile robot's dynamics are nonlinear and various control methods have studied to control the mobile robot efficiently. In this paper, a trajectory tracking control system for 2-wheeled mobile robot is proposed using LMI(Linear Matrix Inequality) based fuzzy control method. For this, firstly, a nonlinear system model of mobile robot is derived as a combined form of linear sub systems by using T-S fuzzy modeling method. Secondly, applying Lyapunov stability condition to the derived fuzzy nonlinear model and solving the resultant LMI's, obtained are the control gains of state feedback controller for each linear sub system which stabilize the overall trajectory tracking control system. Also, some computer simulations using Simulink and experimentations using P3DX mobile robot are execut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rajectory tracking control system. The results show that T-S fuzzy control method is a efficient means for controlling a nonlinear system and the proposed trajectory tracking control system can be used usefully for the autonomous navigation of a wheeled mobile robot.

      • 프리미엄 PB 브랜드의 가치제안 요소가 브랜드 애착을 매개로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 : 이마트 피코크를 중심으로

        최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오프라인 유통업체 대형 할인점 3사의 PB(Private Brand)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소비침체, 경기불황과 각종 규제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 유통업체들이 자체 브랜드 상품을 통해 침체기를 돌파하려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저렴한 상품이라는 소비자의 PB에 대한 인식이 최근 들어 일반 제조업체(NB) 상품에 못지 않은 품질 경쟁력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를 통해 오프라인 유통업체는 PB 제품의 고급화 및 구색 다양화를 통해 온라인 유통업체 방어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PB의 고급화 다양화는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와 PB 브랜드 제품에 대한 인식 변화, 1인 가구의 증가 등의 여러 사회적 변화를 통해 PB 시장의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유통업체는 프리미엄 PB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고 경쟁적으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리미엄 PB 브랜드의 현황 파악과 프리미엄 PB 브랜드의 확대 현상에 대해 알아보고 프리미엄 PB가 가지는 브랜드의 가치제안 요소들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브랜드 애착과 재구매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이마트의 프리미엄 PB인 ‘피코크’를 인지하고 사용해본 경험이 있는 234명 중 2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분석 방법으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마트의 ‘피코크’의 가치제안 요소(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자아 표현적 가치)가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마트 장보기 주 고객 대상인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높은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가설에 대해서는 성별에 따른 가치제안 요소, 브랜드 애착, 재구매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가치제안 요소와 브랜드 애착의 경우 정서적 가치, 자아 표현적 가치, 기능적 가치 순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애착과 재구매의 경우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가치제안 요소가 재구매 의도의 경우 정서적 가치, 기능적 가치, 자아 표현적 가치 순으로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가치제안 요소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브랜드 애착의 매개역할에 있어 기능적 가치와 정서적 가치는 재구매 사이에서 부분 매개 역할을 하고 자아 표현적 가치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분석된 연구를 통해 경쟁 브랜드와의 우위 확보를 위해서는 가격 대비 가치와 품질 경쟁력은 기본으로 하고 나를 표현 할 수 있는 다양한 구매 요소를 통해 프리미엄 PB에 대한 가치를 제안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 및 1인 가구 증가 등 향후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소비, 구매 트렌드를 반영한다면 프리미엄 PB 제품은 더 큰 매력으로 소비자에게 다가 갈 것이다. 본 연구가 치열한 유통업체 프리미엄 PB 시장에서의 마케팅 전략을 점검해 볼 수 있는 작은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향후 유통업체 PB와 관련된 다양하고 실증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기업은 물론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공하기를 바란다. Big three supermarkets face intense competition for the Private Brand(PB). They continue to expand the retailer-branded portfolio to overcome the economic recession and various government regulations. A few years ago, consumers viewed private labels meant low price, however, consumers now view private labels as being good in quality as national brands. Traditional supermarkets expect to compete against e-commerce giants through premium private brands which deliver superior quality with more product selections. The sales of private brands have surged in response to changes in shopping trends and lifestyle such as an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retailers take premium private labels as their future growth engine and strengthen the product assortment. This research examines the rise of premium private labels by indicating the value proposition and its impact on brand attachment and repurchase inten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31 out of 234 people who have experienced 『Peacock』, the premium private label from E-mart. In addition, the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to verify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The following summarizes how E-mart private brand’s value proposition elements (fictional, emotional, and self-expression values) positively affect consumer’s brand attachment. First, gender difference does not influence value proposition elements, brand attachment, and repurchase even though the hypothesis suggests that women tend to be more affected than men. Second, the value proposition element and brand attachment were found to be correlated in order of emotional, self-expression, and functional value. Brand attachment and repurchase are also found to have a static correlation. Third, the value proposition element has a high impact on repurchase intention in order of emotional, functional, and self-expression value. Fourth, the value proposition elements verify the intermediary role of repurchase and brand attachment,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s the role of repurchase and sub-parment, and self-expression value as the full intermediary. The research reveals that premium private labels should provide a self-expressive factor as well as price and quality factors in order to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 over other national brands. Also, private premium will grow larger if it reflects consumer lifestyle changes such as an increase in single-household, shopping pattern, and so on. Retailers may be able to evaluate their premium private label marketing strategies from this research. The future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premium private labels will benefit both corporates and consumers in the future.

      • 골다공증 척추에 적용가능한 개창형 골시멘트 주입용 척추경 나사못의 개발

        최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의학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고령화에 따른 노인층의 건강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골밀도가 감소한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에게는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한 고정 융합술은 실패할 확률이 높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사못의 고정력 향상을 위한 어떠한 형태적, 기술적 보완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골다공증 환자의 척추에 적용가능한 개창형 골시멘트 주입용 척추경 나사못 개발을 위한 설계요소 분석과 역학적 특성분석 평가를 수행하였다. 설계요소 분석은 이식물질 삽입이 가능하도록 개방형 구조, 나사산 종류, 삽입각도 등 다양한 설계변수를 적용하여 해부학적 임플란트 디자인 설계안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제시된 임플란트 디자인 설계안을 통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제품의 역학적 특성분석평가를 실시, ASTM F1717, ASTM F543 규격 기반의 압축, 인장, 비틀림, 인발 및 피로시험으로 역학적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역학적 성능을 확인하였다. 향후 골다공증 환자에게 적용되었을 때에도 제품의 안정성과 실질적인 유효성을 나타내는지 임상적 검토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due to the advancement of medicine and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the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due to aging are becoming social issue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with decreased bone density, fixed fusion using pedicle screws is more likely to fail. To overcome this problem, some formative and technical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the fixation of the scr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sign factors and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edicle screws for the infusion of modified cement into the spine of osteoporotic patients. The analysis of design element was able to suggest an anatomic implant design plan by applying various design variables such as open structure, thread type, insertion angle and so on to enable implantation of implantable material. The prototype was fabricated through the proposed implant desig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were evaluated, and mechanical tests were performed using ASTM F1717, ASTM F543, compression, tensile, torsion, pullout and fatigue tests. Clinical studies and studi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oduct is safe and effective when applied to future osteoporosis patients.

      •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운송 효율성 제고

        최현 한양대학교 공학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몇 년 전부터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또한, 2016년 초부터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4차 산업혁명이라는 붐이 일고 있다. 이에, 여러 비즈니스 분야에서는 발빠르게 대응을 준비하고 있으며, 물류 분야에서도 우위선점 또는 생존을 위하여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를 고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글로벌 인터넷 쇼핑몰 기업인 Amazon 조차도 물류혁신을 통하여 고객만족을 극대화 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28], 물류 전문 기업들도 비즈니스 성장에 사물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물류 기업이나 제조 및 유통 관련 기업들은 초기 투자비용에 대한 부담과 그 기대효과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도입을 위한 시도와 투자에 있어 다소 소극적인 자세로 대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비즈니스 상황에 대처할 방안의 일환으로 국내 유명 글로벌 전자제품 기업의 국내 물류 수배송 영역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을 실무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해답을 찾는데 기여가 되었으면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스마트 물류에 대하여 하나의 빅피처를 제시하였고, 실무 적용에 있어 솔루션 도입에 따른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도출 하였으며, 실험 결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운송 서비스에 대한 수준진단과 효과 분석의 사례를 만들었고, 유류비 시물레이션을 통하여 비용절감에 대한 기회를 검증 해 보았다. 이러한 검증을 통하여 사물인터넷을 물류 영역에 적용함에 있어 적용 규모와 방법에 따라 그 효과는 다소 차이가 있겠지만, 작은 분야부터라도 빨리 적용하고 고도화 하는 것이 그만큼 비즈니스 성장에 유리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청소년의 외상 경험과 정신화 능력이 품행장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

        최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경험한 외상사건 중 어떤 외상 유형이 청소년의 품행관련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정신화(mentalization)능력을 조절 변인으로 하여 청소년의 품행관련 문제를 예방가능한지 고찰하는 것이다. 아울러 외상 경험과 정신화 능력이 품행문제와 관련된다는 선행연구를 반영하여, 품행집단과 비 품행집단 간의 외상 경험과, 정신화 능력의 차이를 추가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외상 유형에 따른 정신화 능력 및 품행문제의 차이를 살펴보고, 외상 경험과 품행장애 성향간의 관계에서 정신화 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임상적 수준에서 유의한 정도의 품행문제를 보이는 청소년 집단과 품행문제를 적게 보이는 비 품행집단의 청소년 간에 외상 사건으로 인한 주관적 고통감 및 정신화 능력에서의 차이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3개 중학교 남녀 2, 3학년 339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 질문지, 정신화 질문지(MZQ), 한국판 단축형 공감척도(EQ-Short-K), 아동용 눈으로 마음읽기 테스트(C-RMET),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의 공격성과 비행척도를 실시하여 외상 경험, 정신화 능력, 품행문제를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t 검증 및 이요인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는 외상의 유형에 따라 대인 간 외상집단, 단순 외상집단, 비 외상집단으로 구분하여 정신화 능력 및 품행문제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정신화의 전반적 실패를 나타내는 거부적 자기조망, 정서인식의 어려움, 정신적 동등모드, 정서 통제의 어려움 및 타인을 성찰하는 공감 척도에서 대인간 외상집단이 비 외상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눈으로 마음읽기 과제의 경우 대인간 외상집단이 단순 외상집단에 비해 높은 수행을 보였다. 품행문제에 있어서는 대인간 외상집단, 단순외상 집단, 비 외상집단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로 정신화 능력이 외상과 품행장애 성향과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 탐색한 결과, 정신화 능력이 청소년의 과거외상에서 품행장애 성향으로 가는 경로에서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행집단과 비 품행집단의 비교에 관한 연구 2에서는 공감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확인되었다. 먼저 외상 경험에 의한 당시의 주관적 고통감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보면, 품행집단의 청소년들이 비 품행집단이나 전체집단의 청소년들보다도 유의하게 높은 평균을 보였다. 또한 공감을 제외한 정신화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품행집단이 비 품행집단에 비해 자기조망, 자기 인식 및 정서 조절, 유연한 사고 능력 등을 포괄하는 정신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눈으로 마음읽기 과제에서는 비 품행집단이 품행집단 청소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즉, 품행집단 청소년에 비해 비 품행집단 청소년이 타인의 정신 상태를 더 정확히 인식하는 걸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지금까지 정신화와 반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데 반해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대상의 범위를 넓혀 청소년의 정신화 능력 및 품행문제 간의 연관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정신화의 개념을 다차원적인 개념에서 세분화하고, 구체적인 조작적 정의를 내림으로써 선행 연구들이 알려주지 못했던 변수들의 기저에 놓여 있는 전체적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정신화 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정신화의 전반적 실패를 반영하는 정신화 질문지(MZQ), 타인에 대한 반영을 나타내는 공감척도(EQ-Short-K), 타인의 외적 특징을 토대로 정신화 하는 능력을 반영하는 눈으로 마음읽기 테스트(C-RMET) 등을 통해 정신화 능력을 다차원적인 면에서 측정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외상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정의하고, 대인 간 외상 경험이 정신화 능력과 품행문제에 가장 큰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는 대인 간 외상 경험에 대한 중요성 및 치료의 필요성을 환기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넷째, 본 연구는 품행장애 준 임상표본의 특성을 탐색하여 품행장애의 병전 증상이나 병리의 초기 진행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나아가 품행장애 성향 청소년의 외상 경험을 비교하고, 정신화 능력을 토대로 예방 및 조기개입의 단서를 제시했다는 데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umatic experience and mentalization on conduct disorder tendency in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in eighth-and ninth-grade boys and girls at three middle schools and a total of 329 were used in analysis. All participants were administered with the Trauma Experience Questionnaire, Mentalization Questionnaire(MZQ), Korean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Short Form(EQ-Short-K), Child version of Reading the Mind in the Eyes Test(C-RMET), and Korean-Youth Self Report(K-YSR)-externalizeing problem sc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Study 1,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terpersonal trauma group, simple trauma group,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ir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 The interpersonal trauma group tended to have higher refusing self-reflection, emotion awareness, psychic equivalence mood, regulation of affect and empathy than the control group. Also interpersonal trauma group tended to have a higher level of child eyes test than the simple trauma group. In addition, the two trauma groups showed a higher level of conduct problems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based on the mentalization theory,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mentalization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distress caused by trauma events and conduct disorder tendency. The results showed that mentaliza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pathway from subjective distress caused by trauma events to conduct disorder tendency. Thu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pports an understanding of metalizing as a protective factor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erience and conduct disorder tendency. Study 2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duct disorder tendency group and control group in all variables except empathy score. The conduct disorder tendency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ubjective distress caused by trauma events than the control group. Moreover, the conduct disorder tendency group display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s in MZQ than the control group. Also in child eyes test, the control group more accurately identified other people's mental states than the conduct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pathy between the conduc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tend the target to early adolescence. Relation between antisocial behavior and mentalization so for was conducted mainly on adults.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tended the subjects of research field to adolescents by addressing the relations between conduct disorder tendency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trauma events and mentalization. Secondly, this study confirms that mentalization is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relation the trauma experiences and conduct problems. It has important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nduct disorder tendency by enhancing mentalization abilities. Thirdly, this study defined the different types of trauma events and attested by the fact that interpersonal trauma events have a bad influence on mentalization ability and conduct problem. This means tha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trauma events and calls up the need for treatment. Finally, This study also provides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conduct disorder and clues of early interven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