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작업치료사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인식, 교육요구도, 실천사항의 관계

        최요한 東新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1871

        <초 록> 작업치료사들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인식, 교육요구도, 실천사항의 관계 최요한 동신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지도교수 : 오 명 화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의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인식, 교육요구도, 실천사항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광주·전남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256명을 대상으로 2018년 8월 6일부터 9월 17일 까지 건강보험 수가에 대한 인식, 교육요구도, 실천사항에 관한 설문을 자가 기입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작업치료사들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진료비 삭감률에 대해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75.0%로 대체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요구도는 교육이 ‘필요하다’라고 나타났으며, 작업치료 행위료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실천사항은 ‘대체로 못한다’고 나타났으나 ‘경과기록지에 내용을 잘 기록하고 있다’라는 항목은 실천수준이 ‘보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요구도와 실천사항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요구도와 실천사항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5)를 보였지만, 상관계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건강보험수가에 관한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건강보험수가에 대한 인식과 아울러, 건강보험수가 관련 실천사항 수행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미디어선교

        최요한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근현대 시대로부터 폭발적으로 진행된 문명의 급속한 발전은 사회적 존재인 인간사회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욕구를 더욱 확장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커뮤니케이션은 비단 사회, 국가, 단체에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에게까지 막대한 영향력을 끼친다.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중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는 것이 미디어다. 미디어는 사회의 변화, 인간관계의 변화를 주도할 뿐 아니라 인간의 변화까지 이끌고 있다는 견해들이 나오고 있다. 전적인 동의는 어렵지만 분명한 것은 그 어떠한 집단과 개인까지도 미디어의 영향에서 무관하거나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이다. 미디어는 인간과 인간 상호간의 관계를 증진시키는 도구이다. 또한 근본적으로 봤을 때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며, 이것을 통해 하나님께 더욱 가까이 나갈 수 있으며, 하나님과 깊은 영적 교제를 나눌 수 있게 되기도 하다. 그렇지만 소통의 도구인 미디어가 중세시대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이미지의 산물인 성상과 성화의의 부정적 결과로 인해 하나님의 은총의 선물이라 보기 보단, 무조건적 거부나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는 경우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그 결과 문자에 지나치게 편향되는 방향성을 띠게 되었다. 물론 그러한 경향이 산업사회에 있어 선교에 폭발적인 역할을 감당했지만 이미지와 감성 중심의 포스트모던사회에 들어와서는 오히려 단점이 되는 상황이 되었다. 포스트모던사회는 우리 교회에게 선교적인 위기를 당면케 하며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통찰을 요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포스트모던이라는 현 시대의 배경 사상에 대한 바른 이해와 포스트모던의 특징에 기인하여 필요를 요청하는 미디어에 대한 바른 이해는 작금의 교회와 선교에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져야 하는 과제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 사상에 대한 바른 이해와 선교신학자들의 견해, 미디어에 대한 이해와 선용이전에 이뤄져야 하는 성경적 세계관의 정립, 뉴미디어의 선교적 현황의 파악과 미디어의 결합을 통한 선교의 모델 개발을 제안함으로 개인과 교회 나아가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위에 실현되는 선교사역에 이르기까지 유익한 결과를 기대했다. 미디어선교에 대한 바른 이해와 활용을 위해서는 시대의 사상과 문화, 흐름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통찰을 가지고 그 시대가 요하는 미디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강력한 미디어에 대한 성경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바른 선교관을 이루어 미디어의 홍수 속에 쓸려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독교의 영향력을 극대화 시켜 소극적으로는 교회안의 교육과 성장으로부터 적극적으로는 열방을 향한 선교에 이르기까지 ‘하나님이 허락하신 선물인 미디어’를 풍성히 누릴 수 있게 되기를 소원한다.

      •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자본이 서비스회복, 서비스품질, 고객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요한 영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서비스현장에서는 이례적인 서비스실패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간과하여 관계단절이나 고객이탈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지만, 서비스제공자와 불만고객이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할 때 서비스실패는 새로운 마케팅의 기회로 전환되며, 불만고객과 서비스제공자의 관계 또한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다. 고객관계관리(CRM) 측면을 고려해본다면 조직으로부터의 간접적인 관리방식보다는 종업원 스스로의 직접적(individual support)이며 자율적인 관리방식(self-management)이 더욱 장기적이며 전략적인 서비스회복 대안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뛰어난 서비스재량행위를 통해 스스로 직무에 대해 만족할 수 있는 종사원은 동료들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이직률과 결근률이 감소되어 궁극적으로 조직의 입장에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종업원의 직무만족은 물론 기업 성과의 선행요인으로 조직구성원 개인수준의 심리적 자본(psychological capital)을 중요한 변수로 고려해보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러한 심리적 자본은 조직구성원들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의지와 방법에 관하여 희망적이고, 현실적으로 긍정적인 결과에 도달하는데 낙천적이며, 그들의 업무 환경에서 긍정적인 차이를 만들 수 있는 자신감을 가지고, 좌절로부터 곧 회복하고자 하는 탄력성 등의 4가지 특성으로 이론적 근거를 형성하고 있다. 심리적 자본은 개인마다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구성원의 강한 심리적 자본이 구축될 경우 보다 높은 동기부여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에서 다루어야 할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아직 국내에서는 심리적 자본의 연구가 초기단계이기는 하나 그동안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자본으로 인식하지 못한 측면이 매우 많은 관점에서 구성원 개인의 심리적 강점을 자본화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조직유효성과의 인과관계를 폭 넓게 연구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정작 불만고객을 직접 관리하고 서비스실패를 슬기롭게 극복하는 현장종사원의 내재적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며, 서비스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변수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변수들 간의 다양한 상관관계를 검증하는 확장된 연구노력이 절실히 요구되어지는 시점이다. 연구결과, 서비스실패상황에서의 종업원의 심리적 자본은 서비스회복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성공적인 서비스회복의 결과는 종업원이 지각하는 서비스품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마지막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종업원은 고객과의 관계형성에 더욱 몰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직업 정신이다. 따라서 서비스기업들도 직원들을 전문가로 양성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그들의 행동적 측면만을 강조하는 서비스교육이 아니라 그들의 직업에 대한 투철한 가치관을 형성시키고 심리적 요인들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정신 태도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사고의 전환은 심리적 자본을 쌓음으로서 가능할 수 있으며 고객과의 갈등과 위기 속에서도 자신의 관리는 물론이고 문제를 회피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리라 여겨진다. 서비스실패를 기회로 전환시킬 수 있는 종업원의 긍정적인 사고나 서비스신념이야 말로 호텔이 양질의 서비스를 생산하기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 중의 하나임을 본 연구는 주장하고 있다.

      • 사료 내 감태분말과 생균제의 첨가 및 혼합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면역능력 및 맹장 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

        최요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해조류 내에는 칼슘을 비롯한 무기질과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식품, 의약품, 비료, 사료,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본 시험에 이용한 감태 또한 다른 해조류와 마찬가지로 항산화, 면역조절, 세포손상 억제, 항염증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해조류 연구의 대부분이 인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가축의 사료첨가제 이용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태분말의 이유자돈 사료첨가제로서 가치를 규명해 보고자 이유자돈 사료 내 첨가하여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소장 내 융모의 형태학적 변화, 혈중 IgG, IgA 및 IgM 농도, 맹장 내 미생물 균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감태의 적정 첨가수준 도출과 생균제의 단독 및 복합 첨가와의 비교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1. 사료 내 감태분말의 첨가수준이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맹장 내 미생물 균총, 소장 내 융모의 형태학적 변화, 혈중 IgG, IgA 및 IgM에 미치는 영향 감태분말의 첨가수준이 이유자돈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유자돈 (Landrace × Yorkshire × Duroc, 28±1일령, 7.08±0.15kg) 240두를 공시하여 4처리 5반복 (반복당 12두)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시험기간은 PhaseⅠ (d 0~14)과 PhaseⅡ (d 15~28)로 나누어 총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0%), 감태분말첨가 0.05, 0.10 및 0.15%로 총 4처리구로 나누어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NRC (2012)에 제시된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으며 가루형태로 급여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채식 시켰으며, 기타 첨가제나 약품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사양관리는 본 연구실의 관행에 준하였다. 시험 결과 감태분말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간 일당 증체량과 사료요구율 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영양소 소화율 또한 PhaseⅠ과 PhaseⅡ 기간 모두 건물, 에너지 및 단백질의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맹장 내 미생물 균총 변화에서는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Lactobacillus spp.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 < 0.05), Clostridium spp. 와 E. col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소장 내 융모의 형태학적 변화조사 결과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십이지장과 회장의 융모길이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 < 0.05), 십이지장과 회장의 융모길이와 융와깊이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혈중 IgG, IgA 및 IgM 변화 결과에서는 감태분말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IgG, Ig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시험 2. 사료 내 감태분말의 단독첨가와 생균제의 혼합첨가가 이유자돈의 성장, 영양소 소화율, 맹장 내 미생물 균총, 소장 내 융모의 형태학적 변화, 혈중 IgG, IgA 및 IgM에 미치는 영향 감태분말의 단독첨가와 생균제의 복합첨가시 이유자돈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유자돈 (Landrace × Yorkshire × Duroc, 28±1일령, 7.04±0.23kg) 240두를 공시하여 4처리 5반복 (반복당 12두)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으며, 시험기간은 PhaseⅠ (d 0~14)과 PhaseⅡ (d 15~28)로 나누어 총 4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T1, Control), 감태분말 첨가구 (T2, Ecklonia cava powder 0.15%), 생균제 첨가구 (T3, Probiotics 0.30%), 복합 첨가구 (T4, Ecklonia cava powder 0.15%+Probiotics 0.30%)로 총 4처리구로 나누어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로 NRC (2012)에 제시된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도록 배합하였으며 가루형태로 급여하였다. 시험사료와 물은 자유채식 시켰으며, 기타 첨가제나 약품은 일체 사용하지 않았다. 사양관리는 본 연구실의 관행에 준하였다. 사양시험결과 PhaseⅠ에서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일당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PhaseⅡ에서는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p < 0.05),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사료요구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p < 0.05). Overall에서 일당증체량이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p < 0.05), 생균제 첨가구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영양소 소화율분석 결과 PhaseⅠ에서 생균제 첨가구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건물과 에너지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p < 0.05),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PhaseⅡ에서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건물과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며 (p < 0.05), 생균제 첨가구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 (p < 0.05). 맹장 내 미생물 변화 분석결과 복합 첨가구와 생균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Lactobacillus spp.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 < 0.05),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E. col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소장 내 융모의 형태 변화조사 결과 생균제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십이지장과 회장의 융모길이가 유의적으로 길어졌으며 (p < 0.05),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공장의 융모길이가 유의적으로 길어졌다 (p < 0.05). 융와깊이 변화결과 복합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십이지장과 회장이 유의적으로 깊었으며 (p < 0.05),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회장의 융와깊이가 깊어졌다 (p < 0.05). 혈중 IgG, IgA 및 IgM 변화 결과 PhaseⅡ에서 감태분말 첨가구와 복합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IgG와 Ig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 < 0.05), 감태분말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IgM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Ecklonia cava powder, probiotics or their combination on growth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nutrients, serum immunoglobulins, cecal microbiota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weanling pigs. In Exp. 1 a total of 240 weaned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4 pens per treatment with 15 pigs in each pen). The dietary treatments included a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 (control), 0.05 0.10 and 1.5 % Ecklonia cava powder.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a meal form for 2 phases (d 0~14, phase I and d 15~28, phase II). Pigs fed increasing dietary concentrations of Ecklonia cava powder had linear improvement (p < 0.05) in overall average daily gain (ADG), feed conversion ratio (FCR) and ATTD (d 14 and d 28) of DM, GE and CP. At d 14 and 28, dietary increasing levels of Ecklonia cava powder linearly increased (p < 0.05) serum IgG and IgA concentrations. At d 28, pigs fed increasing dietary concentrations of Ecklonia cava powder had greater (linear, p < 0.05) Lactobacillus spp. and fewer (linear, p < 0.05) cecal Clostridium spp. and E. coli. On d 28, there was a significant linear effect (p < 0.05) of Ecklonia cava powder on the villus height and villus height: crypt depth (VH:CD) of the duodenum and ileum of pigs have been observed. The results suggest that Ecklonia cava powder had beneficial effects on weanling pigs growth performance, ATTD of nutrients, cecal microbiota, serum immunoglobulins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Exp. 2 a total of 240 weaned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s on the basis of BW. There were 5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with 12 pigs in per pen. Dietary treatments included basal diet without any antimicrobial (CON) and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15 % Ecklonia cava powder (T1), 0.30 % multimicrobe probiotics (T2) and combination of 0.15% Ecklonia cava powder and 0.30% probiotic (T3). Pigs fed T1, T2 and T3 diets had greater (p < 0.05) overall ADG and ATTD (d 15~28) of DM and CP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Moreover, pigs fed T2 and T3 diets had greater (p < 0.05) FCR and ATTD of GE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At d 28, pigs fed T3 diets had greater (p < 0.05) Lactobacillus spp. and fewer E. coli population in cecal digesta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Cecal digesta population of Lactobacillus spp. and E. coli was not different (p > 0.05) among pigs fed CON, T1 and T2 diets. At d 28, pigs fed T1 and T3 diets had greater (p < 0.05) concentration of serum immunoglobulins (IgG, IgA and IgM)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At d 28,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of the duodenum and ileum were greater (p < 0.05) in pigs fed T2 and T3 diets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Also,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of the jejunum were greater (p < 0.05) in pigs fed T1, T2 and T3 diets than that of pigs fed the CON diet.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 Ecklonia cava powder had potential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but combination of Ecklonia cava powder and probiotics more effective.

      •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최요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A초등학교 2학년 학생 2개 학급(50명)을 대상으로 1학급씩 나누어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총 10회기로 구안하여 주 2회씩 5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의 유아․초등 저학년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Windows 18.0에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를 사용하여 통계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집단원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게임중독 경향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행동특성의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 게임지향적 생활, 금단과 정서경험 모두에서 실험집단의 변화가 통제집단의 변화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원들의 경험보고서와 상담자의 관찰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을 줄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을 위하여 그들의 특성과 요구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학급경영에 활용될 수 있다는데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 유형별로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모용 척도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아동용 척도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부모와 연계한 게임중독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후의 효과를 검증한다면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온라인 시대 교회의 복음전도

        최요한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코로나 전염병의 위협으로 인하여 교회의 대면 모임이 어려워진 상황 속에 한국교회가 예수의 명령인 복음 전도를 어떠한 방법으로 지혜롭게 교회의 사명을 다할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지난 150년 동안 한국교회는 엄청난 부흥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부흥 뒤편에는 교회가 세상을 섬기며 서로 연합하고 복음 전도에 힘썼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교회는 세상의 지탄의 대상이 된 듯하다. 특히 코로나19 시초에 바이러스의 전파지 또는 온상지라는 이미지가 교회에 붙게 되기도 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은 복음전도의 문도 닫게 만들었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온라인 시대에 효과적인 교회의 복음전도는 어떠해야 하며, 온라인과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을 통해 복음전도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연구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시대의 온라인 복음전도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온라인 교회에 대한 사례분석과 청년 세대의 온라인 교회에 대한 인식을 심층 면담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사역의 현황과 오프라인 사역과 비교한 장단점을 분석하였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온라인 시대에 교회의 복음전도는 어떠해야 하는지 비대면 중심의 전도와 환대 공동체로 교회가 제시해야 할 공간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시대 교회의 복음전도를 통해 영성공동체가 미래 사회에서도 지속적으로 구현되고 한국교회를 둘러싼 다양한 위기와 도전을 극복하는데 기여하는 기초자료가 된다는 의의가 있다.

      •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EMF기반 커뮤니티 서비스 모델링

        최요한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는 다양한 장치들이 존재하고 각각의 장치들은 단순한 기능뿐 아니라 복잡한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장치들과 서비스들이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고, 이들의 협력관계가 상황정보(context)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복잡한 컴퓨팅 환경을 이룬다. 이를 위해서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서비스의 정적 및 동적인 서비스 합성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서비스 합성의 목적, 필요한 서비스 목록, 상황 규칙, 협업 절차, 그리고 열거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바이스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에 대해 효과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정보에 따라 수립된 커뮤니티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서비스들의 협력관계를 효과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는 시각 도구로서 커뮤니티 합성기를 제안한다. 커뮤니티 모델은 유비쿼터스 지능 공간에서의 서비스 협업 모델로서, 이를 기반으로 XML 문서로 커뮤니티 템플릿을 기술하고 이를 해석하여 실행 시간에 커뮤니티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유비쿼터스 지능 공간의 장치들과 서비스들이 매우 다양하고 그의 협력관계가 복잡하기 때문에 전문가조차도 XML 문서로 기술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이클립스에서 제안하고 있는 EMF(Eclipse Modeling Framework)를 이용하여 메타 모델 정보를 바탕으로 접근성 높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는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직관적인 모델링을 위한 커뮤니티 모델에 대한 모델링 표기법으로 CMN(Community Modeling Notation)을 정의하고, OCL(Object Constraint Language)을 이용하여 커뮤니티 모델의 협업 규칙의 실시간 모델링 검증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어, 커뮤니티 목표, 필요한 서비스 목록과 이들의 협력관계를 분리하여 모델링 할 수 있도록 계층화된 서비스 아키텍처를 제안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개발 프로세스를 수립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커뮤니티 합성기를 u-Home 도메인의 모델링에 적용하여 다양한 서비스의 협력관계를 직관적으로 모델링하고, 분리된 모델의 재사용으로 새로운 협업 절차를 쉽게 정의할 수 있음을 보인다. In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ere are various devices which can provide complex services as well as simple functions. These devices and services may cooperate to achieve a specific goal, so their collaborative relationship supports a complicated computing environment in which the run-time context changes dynamically. For the realization of ubiquitous computing, the key methodology is to support static and dynamic service composition and to effectively model information about the goal of service compositions, required services, situation rules, collaboration procedures, devices which can provide specified services. In this paper, we develop a graphical modeling tool, Community Composer, which enables to effectively model collaboration rules of services for a community goal derived from the run-time context. Based on the community model which is a service collaboration model in a ubiquitous smart space, we can describe community templates in the XML form and organize communities in the run-time from the templates. However, it is not easy for even experts to describe these templates because devices and services are very diverse and their collaborative relations are very complicated in a ubiquitous smart space. Therefore, we propose a design method to provide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high accessibility using meta-model information from EMF (Eclipse Modeling Framework). Moreover, we define CMN (Community Modeling Notation) as an intuitive community modeling notation, and propose a method to support the run-time modeling validation for collaboration rules of a community by using OCL (Object Constraint Language). Then, we present a layered service architecture to separately model community goals, required services and their collaboration rules, and establish a development process for this architecture. Finally, we apply our Community Composer to u-Home domain modeling, and we show that users can intuitively model collaboration relations of various services and easily define new collaboration procedures by reusing separated models.

      • 기독교 청년들의 우울증과 기독교 신앙과의 상관관계 연구

        최요한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기독 청년들의 우울증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조사를 바탕으로 기독 청년들에게 나타나는 우울증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는데 기독교 신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우울증으로 고통 중에 있는 이들을 돌봄에 있어서 인간을 총체적 상황에서 고려하여 청년들의 우울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교회가 그들에게 무엇을 제공해야 하는 것인지 제언한다. 더 나아가서 우울증 이외의 다양한 이상심리나 정신질환으로 고통 받는 현대의 많은 사람들에게 목회자들이 준비해야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우울증에 대한 이해, 우울증의 원인에 관한 이론, 기독교 청년들의 일상생활 우울증에 대하여 문헌연구를 하였다. 선행된 문헌연구를 기초로 하여 설문지를 통해 본 논문의 실제적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는 자료 분석에서 보았듯이 기독교 청년들의 우울증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신앙생활과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이를 극복하기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대응이 필요하다. 먼저 성경공부와 기도를 통해 그들의 영성의 깊이를 더해가야 하며, 청년회원들과의 교제를 통해서 주님의 사랑 안에서 하나 되어 그들의 아픔을 서로 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ishes to analyze theoretical basis and cause of the melancholia that appear to Christian young mans with investigation about melancholia of Christian young adult and the interrelation how Christian belief acts overcomes this. So, premise these who is among torment vaporously whether it is that to solve gloom of young mans considering mortality in general circumstance in attention church must offer something to them. Care of soul persons wish to supply basic data to prepare to modern many people suffering of various abnormal mentality or mental disease except the melancholia furthermore. I made a literature study about comprehension about the melancholia, doctrine about cause of the melancholia, everyday life melancholia of Christian young adult by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I made a practical study of paper seeing based on preceded literature study through questionnaire. By sequence of this study in everyday life than in data analysis as factor that exert melancholia effect of Christian young adult religious life and occurred works be. Need following confrontation serving to overcome this. First, need turn around each other their pain because is united in Lord's love with young adult through social intercourse as must add depth of their divine nature through Bible study and prayer.

      • 다차원 배낭 문제를 위한 아이템별 셀프 어텐션 기반 강화학습

        최요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Knapsack Problem, one of the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s, involves objects with individual weights and values and a knapsack with a defined weight limit. The goal is to find a combination of items to place in the knapsack such that the total value of the items inside does not exceed the weight limit and their overall value is maximized. As an NP-hard problem, the Knapsack Problem has no known method for finding the optimal solution within polynomial time. Potential applications of solutions to this problem include logistics and warehouse management,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planning, resource allocation, and scheduling.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e Knapsack Problem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However, many proposed approaches are dependent on the number of items in the problem, requiring individual model training for each set of items. This paper proposes a Markov Decision Process and a neural network structure that exploits the scale-invariance of the Knapsack Problem and is independent of the number of items. First, the Knapsack Problem is modeled as a sequential decision-making problem; then, its state is defined in a matrix form rather than a vector. This state is divided into an unordered sequence with elements equal to the number of items and given as input to the Item-wise Self-Attention, which decides which item to select. The neural network model is trained using the Double DQN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Experiments are conducted with varying numbers of items and constraints. As a result, the method proposes and tests the performance of an approach applicable to the extended Multi-dimensional Knapsack Problem, independent of the number of items. The method's generalization performance, a key strength, is evaluated to demonstrate its scalability, reusability, and generality. Furthermore, it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related research methods is shown. 조합 최적화 문제 중 하나인 배낭 문제는 각각 무게와 가치를 가지는 물건들과 정해진 무게 제한이 있는 배낭이 있을 때, 배낭의 무게 제한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배낭 안에 있는 물건들의 총 가치가 최대가 되도록 배 낭에 넣을 물건의 조합을 찾는 문제이다. 배낭 문제는 NP-hard 문제로서 다항 시간 내에 최적해를 구하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은 문제이다. 이러한 배낭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물류 및 창고 관리, 제조 및 생산 계획, 자원 할당 및 스케줄링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최근 배낭 문제를 강화학습을 통해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여러 연구가 배낭 문제의 물건 개수에 종속적인 방법들을 제안하여 주어진 물건의 개수가 바뀔 때마다 개별적으로 모델을 학습해야 한다는 단점을 가졌다. 본 논문은 배낭 문제가 가지는 규모 불변 특성을 활용하여 물건의 개수 와 무관한 마르코프 결정 과정과 신경망 구조를 제안한다. 우선 배낭 문제를 순차적 의사결정 문제로 모델링한 다음, 배낭 문제의 상태를 벡터가 아닌 행렬 형태로 정의한다. 이 상태를 물건 개수만큼의 요소를 가진 순서가 없는 시퀀스로 분할하여 아이템별 셀프-어텐션에 입력으로 주어 어느 물건을 선택할지 결정한다. 여기에서 신경망 모델을 강화학습 알고리즘인 Double DQN으로 학습하고, 물건의 개수 및 제약 조건의 개수를 바꿔가며 실험을 진행한다. 결과적으로 배낭 문제를 확장한 문제인 다차원 배낭 문제를 물건의 개수와 관련 없이 학습 및 사용 가능한 방법을 제안 하고 실험을 통해 성능을 테스트한다. 추가적으로 제안하는 방법의 강점 인 일반화 성능을 테스트하여 해당 방법이 확장성, 재사용성, 일반성을 가지는 것을 보인다. 그리고 관련 연구의 방법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을 보인다.

      • 어노인팅미니스트리 사역의 활성화 방안 연구

        최요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어노인팅미니스트리 사역의 활성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오늘날, 현대적 음악을 사용하는 예배찬양팀은 다수의 한국교회 예배 순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일관성 없는 위치 선정, 예배 인도 자격 여부의 불투명, 예배찬양사역을 감당하는 데 있어서 그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이해는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현상은 목회자와 예배찬양 사역자들의 성경적, 신학적, 역사적 인식 부재로부터 기인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 인식에서 비롯된 본 논문은 현대 ‘예배찬양팀’의 올바 른 예배 사역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어노인팅미니스트리 를 모델로 한 실제적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예배찬양팀의 실천적 개혁 접근 근거와 실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국교회의 예배찬양팀으로 하여금 예배신학을 통한 예배 사역의 이해와 적용이 실행되길 기대한다. 더 불어 목회자의 예배찬양팀 활용 방법과 그 방식의 신학적 토대가 제공되길 바란다. 현대 ‘예배찬양팀’에 관한 정체성과 역할 측면은 성경적인 선 이해와 역사적 연구로 이해도를 높였다. 또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어노 인팅미니스트리의 예배신학 적용 사례를 통해 예배찬양팀의 실제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주력하였다. 이를 통해 올바른 예배찬양팀의 예배사 역과 함께 예배찬양팀 및 어노인팅미니스트리의 역사적, 신학적 성찰을 다 각화함으로써 건강한 예배찬양사역을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어노인팅미니스트리 사역의 활성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은 한국교회의 예배찬양사역팀의 긍정적 미래를 확보하는 것이다. 그러기에 본 단체의 성 찰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동시에 예배신학 적용을 통한 예배찬양사역의 발 전적 모델을 한국교회에 제안한다. 본 논문의 가치는 ‘찬양팀에서 예배찬양팀으로서의 전환’과 ‘경험중심 의 사역에서 예배신학중심의 사역으로 전환’ 연구를 어노인팅미니스트리 사 역에 실증화시켰다는 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