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승마기구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최아영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승마기구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최아영 지도교수 : 조운수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물리치료학과 본 연구는 승마기구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와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실내 운동프로그램의 일환으로써 승마기구 훈련이 임상에서 활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20명 중 추적조사 전에 1명이 퇴원하여 총 19명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대조군은 작업치료, 운동치료를 하루에 1회씩 받았으며, 실험군은 하루에 1회씩의 작업치료, 운동치료 외에 승마기구 훈련을 받았다. 승마기구 훈련은 6주 동안 주 3회, 1회 당 30분씩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몸통근 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해 근전도를 측정하여 RMS값을 구하였고, 정적균형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Romberg test를 시행하는 동안 움직인 COP 이동거리를 측정하였다. 동적균형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안정성 한계를 측정하고 TUG test를 시행하였다. 집단 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기간 별 비교를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Bonferroni 방법으로 사후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몸통근 활성도의 훈련 전·후 차이 값에 대한 집단 간 비교에서 승마기구 훈련군이 대조군보다 배곧은근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1). 기간 별 비교에서 배곧은근은 훈련 전보다 훈련 후 및 훈련 종료 2주 후에 각각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p<.05), 척추세움근(p<.01)과 뭇갈래근(p<.05)은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둘째, 정적균형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COP 이동거리를 측정한 결과, 눈 감고 선 자세의 기간 별 비교에서 훈련 후가 훈련 전보다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5). 셋째, 동적균형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안정성 한계를 측정한 결과, 기간 별 비교에서 훈련 후가 훈련 전보다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p<.05), 훈련 종료 2주 후에도 훈련 전보다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1). 또한 TUG test를 실시한 결과, 기간 별 비교에서 훈련 전과 비교해 훈련 후와 훈련 종료 2주 후에서 각각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승마기구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와 균형에 유의한 향상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승마기구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균형을 향상시키는 재활프로그램으로서 임상적 가치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탄소 나노튜브, Nafion, 코발트 포르피린이 수식된 전극에서 산소의 전극촉매 환원 연구

        최아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산성 수용액에서 비 수식 전극의 산소 환원 전위는 -0.5V ~ -0.6V에서 관찰된다. 코발트 포르피린들과 CNT와 Nafion을 작업전극(GCE, GE)에 수식한 후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CV), 회전 원판 전극법(Rotating Ring Disk Electrode, RDE)와 회전 고리-원판 전극법(Rotating Ring Disk Elcetrode, RRDE)을 사용하여 산성 용액 하에서 산소 환원의 전극촉매 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여러 종류의 코발트 포르피린들을 합성하고, CNT를 구입했다. 모두 수용액에 소수성으로 전극에 수식 후 사용할 수 있다. 전극에 코발트 포르피린들을 수식할 경우 산소의 환원전위는 양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코발트 포르피린들과 Nafion과 CNT들을 함께 수식했을 때 큰 양의 환원 전위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사용한 다섯 개의 코발트 포르피린들과 CNT들 중 Co(Ⅲ)(TTMPP)와 SWCNT를 수식하였을 때 가장 큰 촉매효과( 0.16 V)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촉매들은 수용액 속의 산소를 효과적으로 4전자 환원에 의해 물(H2O)로 환원시켰다.

      • 보강 피드백을 사용한 체중부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고유감각과 균형, 보행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아영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보강 피드백을 적용한 체중부하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고유감각과 균형, 보행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최아영 지도교수 : 조운수 남부대학교 대학원 통합의학과 물리치료전공 본 연구는 스마트 신발을 사용해 보강 피드백을 적용한 체중부하 훈련을 뇌졸중 환자에게 시행하였을 때 고유감각, 균형, 보행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의 유무를 알아보고, 보강 피드백을 사용한 체중부하 훈련이 임상적으로 환자들에게 신체적, 기능적, 심리적인 요소들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타당한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뇌졸중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 24명을 실험군 12명과 대조군 12명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훈련 중 실험군에서 1명, 대조군에서 2명이 탈락하여 총 21명이 본 실험에 참여를 완료하였다. 실험군의 경우 보강 피드백을 적용하기 위해 스마트 신발을 착용하고 훈련을 시행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보강 피드백은 제공받지 않은채 훈련을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훈련은 6주 동안 주 3회, 1회 당 30분씩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고유감각을 알아보기 위해 위치감각에 대한 관절각도 재현방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균형측정 장비를 통해 COP 이동거리와 안정성 한계를 측정하였다. 보행을 알아보기 위해 속도, 분속수, 걸음거리, 시-공간적 보행 대칭성 지수를 알아보았고, 삶의 질 평가도구를 통해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유감각의 경우 엉덩관절 굽힘-폄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엉덩관절 벌림-모음에서 또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둘째, 균형의 경우 눈 감고 선 자세의 정적균형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동적균형에서 또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보행의 경우 시-공간적 보행 대칭성 지수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효과 크기는 매우 큰 수준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질의 경우 실험군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스마트 신발을 사용해 보강 피드백을 적용하여 체중부하 훈련을 시행한 결과 엉덩관절 고유감각 증진과 동적 균형능력, 대칭적인 보행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강 피드백을 적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마트 신발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임상적으로 환자들에게 신체 기능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더 다양한 방식의 피드백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 임상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도슨트 운영 프로그램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아영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rt gallery is a place where meaning and historical value of art are discussed, and deal with visual images in aesthetic and educational aspects. It is not only a place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art but also experience and getting educated in art. Basically, the space called art gallery is a place where numerous images exist. Simply look and appreciate these numerous images can be a wonderful experience. However, if one obtains accurate information on these images and understands the historical meaning and value of them, the effect will be doubled. Especially, it is difficult to appreciate modern art without explanation or education. Modern art, which is conceptual and also expresses the artists’ discussion on art or other wide variety of issues, requires explanations, reviews, and education. Therefore, many art galleries actively utilize Docent program to more efficiently educate and provide appropriate appreciation opportunities for visitors. Visitors also utilize Docent program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n art works. However, systems for Docent programs that are utilized by many visitors in today’s Korea art world are not well established. The reason is that Docent program has not been in the country for long enough to settle yet. Even though Docent programs educate visitors in close proximity, research has not been actively carried out for their importance. The current writing reviewed the present status and conditions of the Docent program, which is one of education function of art galleries,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it.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Docent program operation of Seoul Gallery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Docent selection process and education programs in operation were closely reviewed. Currentl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lects Docents, then provides a ‘Docent Training Program’, and then provides education for each exhibition. Such education courses as above that are offered at the Seoul Gallery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the current on-site status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e review, improvement plans for the Docent operation program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ere suggested. First, segmentation of Docent operation program: Currently, Docent operation program offers education through one course of training program, and it is designed for adult visitors. However, as the Seoul Gallery ope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has different exhibition directions for Gwacheon, Seoul, and Deoksugung Gallery. Gwacheon Gallery focuses on senior and emerging artists, Seoul Gallery features contemporary art and on-sit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while Deoksugung Gallery focuses on modern art. As such, since the focus of exhibition is different, Docents should be trained by segmentalized education so that Docents specialized in specific area can be trained. At present, Docents are working with adults only. But, if Docents are enabled to work with children or the elderly, explanations that increase visitors’ understanding can be offered. second, strengthening of education: On-site Docent management experiences made the investigator aware of many things to be desired. Language-use competency is as important as knowledge in art history in Docent activities. However, even Docents with many years of activity, the ability to deliver information or meaning of art works to visitors in clear language was largely inadequate. It appears that sustained management and strengthening the education in linguistic competence or command of language and vocabulary are needed. Third, sustainability and expertise in Docent management is needed. Relationship with Docent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y are not gallery staff but volunteers. Because they are not gallery staff but volunteering personnel, their sense of belonging may be relatively weak unlike gallery staff. Therefore, for them to carry out their Docent activities as an important member of gallery, a series of devices that can instill pride and self-esteem is needed. Also, professionalism should be developed through continuing managemen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in place so that they have in-depth understandings and art-history knowledge as well a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using correct language. Fourth, Improved treatment of Docents: Docents are people who carry out jobs that should be done by gallery employees without compensation. Supports for Docents by providing more benefits and trainings are needed so that they do higher level of activities. The present writing reported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for Docent operation program. Future directions are suggested using a case of Seoul Gallery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미술관이란 곳은 미술작품의 의미와 그 미술사적 가치를 논하며 심미성과 교육적 측면에서 시각 이미지를 다루는 곳이다. 미술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곳이자 경험하고 교육 받는 곳이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미술관이란 공간은 수없이 많은 이미지들이 존재하는 곳이다. 이 많은 이미지들을 그저 바라보고 감상하는 것만으로도 물론 훌륭한 체험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 이미지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 미술사적 의미와 가치 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면 그 효과는 더욱 배가될 것이다. 특히나 현대미술은 설명이나 교육 없이 제대로 감상되기가 어렵다. 개념적이며 작가들의 미술에 대한 혹은 매우 다양한 문제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현대미술은 그만큼 작품에 대한 설명, 평론,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그래서 많은 관람객들은 미술관 역시 보다 효과적으로 관람객들을 교육시키고 올바른 감상의 기회를 갖도록 도슨트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미술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관람객은 도슨트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 미술계에서 수많은 관람객들이 이용하는 도슨트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는 온전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다고 본다. 그 이유는 아직 도슨트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 정착한 시간이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관람객을 최접점에서 교육시키는 업무인 도슨트 프로그램이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이에 대한 연구 현황도 아직까지 그 연구는 활발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 글은 미술관의 교육기능 중 하나인 도슨트 프로그램의 현황과 실태, 그리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에 대해 조망하였다. 그 중에서도 국립현대미술관의 서울관의 도슨트 운영 프로그램 현황을 중심으로 도슨트 선발과정을 비롯, 진행되는 교육프로그램을 상세히 살펴보았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은 도슨트를 선발한 후 ‘도슨트 양성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이후 전시별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진행되는 위와 같은 교육 과정 및 실제 현장에서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국립현대미술관 도슨트 운영 프로그램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도슨트 운영프로그램의 세분화다. 현재 도슨트 운영프로그램은 한 가지 과정의 양성프로그램을 통해 교육을 제공하며 성인관람객을 대상으로 활동을 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서울관이 개관하면서 국립현대미술관은 과천관과 서울관, 덕수궁관이 지향하는 전시방향이 다르다. 과천관은 원로와 신진작가, 서울관은 현대미술, 현장제작설치를 위주로 다루며 덕수궁관은 근대미술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렇듯 지향하는 전시방향이 다른만큼 세분화된 교육으로 분할하여 도슨트들을 교육시켜 한 분야의 전문가 도슨트를 육성할 수 있도록 하며 현재 도슨트들은 성인만을 대상으로 하여 활동을 하고 있는데 어린이나 어르신 등 분화된 도슨트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면 관람객의 이해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해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교육의 강화이다. 현장에서 도슨트 관리를 하다 보니 아쉬운 점들이 있었다. 도슨트 활동에 있어서는 미술사적인 지식 못지 않게 언어 사용능력이 중요하다. 하지만 다년간의 활동을 한 도슨트라 할지라도 관람객들에게 미술작품의 정보나 의미 등을 명확한 언어로 전달하는 능력들이 대부분 미흡했다. 지속적인 관리와 언어전달 능력 내지 언어와 어휘의 구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본다. 세 번째, 도슨트의 관리의 지속성 및 전문성이 요구된다. 도슨트의 경우 미술관의 직원이 아니라 자원봉사자이므로 미술관과의 유대관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미술관의 정식 직원이 아니라 자원봉사를 하는 이들이기 때문에 직원들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소속감이 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이 미술관의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도슨트 활동을 해나가는데 있어서 자부심과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일련의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전문성을 키워야 할 것이다. 설명해야 하는 전시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와 미술사적 지식, 그리고 이를 언어로 전달하는 소통능력 등을 정확히 해나가도록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한다. 네 번째, 도슨트의 처우개선이다. 도슨트는 미술관이 직원으로 채워야 할 업무를 거의 무상으로 제공하여 주는 존재이다. 이들을 위해 더 많은 혜택과 교육을 제공하여 보다 높은 수준의 활동을 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도슨트 프로그램의 확대이다. 외국 미술관에서의 도슨트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타 기관에서 선행된 사례 중 훌륭한 내용의 것을 받아들이는 벤치마킹이 요구된다. 이 글은 도슨트 운영프로그램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다. 그 중에서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자원을 매개효과로 -

        최아영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심리적 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여 개인의 삶의 질과 조직의 효율적인 인적 관리를 통한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 향상과 치과위생사의 복리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 2022년 6월 16부터 6월 21일까지 서울·경기, 대전·충청, 광주·전라 지역에 소재한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직무만족, 조직몰입,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변수별 상관관계는 Pearson’s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심리적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이 주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고자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감정노동은 연령, 결혼 여부, 최종학력, 근무기관,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의사소통능력은 결혼 여부, 근무기관, 직위,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조직유효성의 하위 항목 중에서 직무만족도는 결혼 여부, 근무기관, 직위,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조직몰입은 연령, 결혼 여부, 최종학력, 근무기관, 직위, 근무시간,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심리적 자원의 하위 항목 중에서 자기효능감은 연령, 결혼 여부, 근무기관, 직위,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회복탄력성은 연령, 결혼 여부, 근무기관, 직위,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각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상관관계 수준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의 상관이 가장 높았고, 직무만족도와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조직몰입, 의사소통능력과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직무만족도,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조직몰입과 회복탄력성, 조직몰입과 자기효능감 순이었다(p<0.01). 조직유효성 하위 항목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회복탄력성(β=0.345, p<0.001), 의사소통능력(β=0.268, p<0.001), 자기효능감(β=0.222, p<0.001)이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adj.R2=50.8%). 조직유효성 하위 항목의 조직몰입은 의사소통능력(β=0.364, p<0.001), 자기효능감(β=0.224, p<0.001)과 회복탄력성(β=0.162, p=0.001), 연령이 낮을수록(β=0.126, p=0.018) 조직몰입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직위가 팀원일 경우(β=-0.170, p<0.002)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adj.R2=49.6%). 감정노동과 의사소통능력이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의사소통능력과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치과위생사의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심리적 자원(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조직 차원의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조직유효성(직무만족도,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20-30대 여성의 눈썹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최아영 경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30대 여성의 현재 눈썹과 이상적인 눈썹의 차이를 알아보고 현재 눈썹형태의 만족도와 눈썹관리행동 및 태도를 분석하고 눈썹화장의 전후 만족도를 비교하여 일반적 화장 행동 및 태도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눈썹화장 전 후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고 일반적인 화장 행동 및 태도와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눈썹화장 행동 및 태도요인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조사연구 방법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고 대구, 경산 지역에 거주하는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5.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문제의 규명을 위하여 분석방법으로는 각 점수분포의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산술평균, 교차분석,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을 실시하였고, F-test,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분산분석(ANOVA), 사후검증을 위해 Duncan -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현재의 눈썹 형태와 이상적인 눈썹형태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연스러운 눈썹과 둥근형 눈썹모양을 제외한 다른 형태의 눈썹모양을 가진 여성은 모두 자연스러운 눈썹을 원하고 있었고 눈썹 컬러는 진한 갈색과 검정색 눈썹을 제외한 진한 검정색, 갈색, 회색의 눈썹을 가진 여성이 모두 검정색 눈썹을 원하고 있었으며 눈썹과 눈썹 사이의 공간과 눈과 눈썹 사이의 공간이 어떤 형태이든지 대다수 여성이 보통의 공간을 가진 눈썹이 가장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눈썹 형태와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눈썹형태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눈썹 및 속눈썹의 화장 전 후 만족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났다. 그 중 눈썹과 속눈썹 숱에 대한 화장 후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반면 속눈썹 컬러의 만족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셋째, 눈썹화장 행동 및 태도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눈썹화장행동 및 태도요인은 눈썹화장 역할요인, 이미지 변화의 눈썹화장 영향력요인, 눈썹화장 후 이미지 변화요인, 눈썹문신요인, 연예인 영향요인, 눈썹관리 교육희망요인, 눈썹관리 자신감요인의 7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눈썹화장 역할요인이 설명력 29.91%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여지고 그 다음이 이미지 변화의 눈썹화장 영향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인 화장 행동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평소에 화장을 하지 않는 여성보다 화장을 하는 여성이 많았으며, 많은 여성이 사회 초년기에 눈썹화장을 시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장 시 아이라이너와 피부화장에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있었다. 눈썹 정리는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본인이 직접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대인 관계에서 얼굴을 가장 먼저 보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의 얼굴형을 고려하여 눈썹화장을 하고, 잡지를 통해 눈썹화장의 정보를 가장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화장행동 및 태도에 따라 눈썹화장 전 후 만족도의 차이를 보였다. 평소 화장을 자주하거나 거의 매일하는 여성, 눈썹정리를 매일하고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로 눈썹화장을 하는 여성이 눈썹화장 후 만족도가 높았고 평소 화장을 자주, 거의 매일하고 눈썹화장을 일찍 시작한 여성, 수입과 월가계수입이 많을수록 속눈썹화장 후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인구통계적 특성 중 수입과 월 가계수입에 따라 눈썹화장 전 후 만족도에 차이를 보였는데. 수입이 많을수록 화장 후의 눈썹에 만족하였고, 월 가계의 수입이 많을수록 화장 후의 속눈썹에 만족하고 있었다. 일곱째, 화장행동 및 태도별 눈썹화장 행동 및 태도 요인차이를 분석한 결과, 평소에 화장을 자주 하는 여성일수록 눈썹화장 시작시기가 늦을수록 눈썹화장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눈썹정리를 자주 하는 여성, 얼굴 중 눈썹을 가장 먼저 보고 눈썹화장이 이미지 변화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 여성, 유행을 고려하여 눈썹화장을 하고 눈썹화장으로 지적이고 적극적인 이미지를 기대하는 여성, 피부 관리실에서 눈썹화장의 정보를 얻는 여성이 눈썹화장행동 및 태도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눈썹화장 행동 및 태도 요인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고학력자 일수록 수입과 월 가계수입이 많을수록 눈썹화장행동 및 태도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아홉째, 눈썹화장 전 후 만족도와 눈썹화장 행동 및 태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눈썹화장 전 만족도에는 눈썹관리 자신감요인이, 눈썹화장 후 만족도에는 연예인 영향 요인이, 속눈썹 화장 전 만족도에는 눈썹화장 역할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y investigating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t eyebrows of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and the ideal eyebrows, analyzing their satisfaction about the present eyebrow shapes and eyebrow care behavior and attitude and comparing their satisfaction after-and-before eyebrow make-up,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fferences of women's satisfaction before-and-after eyebrow make-up according to the general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and demographic features while verifying differences of eyebrow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factor according to their general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and demographic features. As for the methods of investigation for the study,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aiming at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residing in the areas of Daegoo and Gyeongsan, and SPSS 15.0 for Windows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data. As for the analysis method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s, arithmetic mean, cross tabulatio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rried out to find out the tendency of each score distribution, and F-test, factor analysis and ANOVA were carried out along with Duncan-test and regression analysis for post-hoc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btain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t eyebrow shapes and the ideal eyebrow shapes was that all the women who had other shapes of eyebrow, except natural eyebrows and round-shaped eyebrows, wanted to have natural eyebrows. About the eyebrow color, all the women who had dark black, brown or grey eyebrows, except dark brown or black eyebrows, wanted to have black eyebrows. No matter what shape was in the space between the eyebrows or between the eye and the eyebrow, the majority of women wanted to have eyebrows with normal space most, which show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sent eyebrow shape and the eyebrow shape they ideally wanted to have. Secondly, it was found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before-and-after putting on make-up for eyebrows and eyelashes, out of which the satisfaction after putting on make-up for eyebrows and eyelashes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bout the color of eyelashes. Thirdl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yebrow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factors was as follows: the eyebrow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factor was classified into 7 kinds of factors such as eyebrow make-up role factor, eyebrow make-up influence factor of image change, image-change factor after eyebrow make-up, eyebrow tattoo factor, entertainer-influence factor, eyebrow-care education desire factor and eyebrow-care confidence factor. The eyebrow make-up role factor was found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ith 29.91% of explanatory adequacy, followed by the eyebrow make-up influence factor of image change as the second most significant factor. Fourthly, wi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general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ore women putting on make-up than women not putting on make-up most of the time, and a great many of women started to put on make-up for eyebrows in the early social career stage. In addition, they were found to spend the most time putting on make-up for eyeliner and facial skin. It was also found that in the most cases, they took care of eyebrow care for themselves about once a week, and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 it was the face that they saw most when they met someone new. Finally, considering their facial shape, they put on make-up for eyebrows, and it was found that they got the most information about eyebrow make-up through magazines. Fifthly, there was som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before-and-after putting on eyebrow make-up, depending on their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Women, who put on make-up most of the time or almost every day or did eyebrow-care every day and put on eyebrow make-up in their favorite style, showe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As they put on make-up frequently or almost every day, started putting on eyebrow make-up early in their career life, or had high incom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ey showed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after putting on eyelash make-up. Sixthly, depending on the incom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out of the demographic features, they showed differences of satisfaction before-and-after eyebrow make-up. The more they had income,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yebrows after putting on make-up, or the more they had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mor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yelashes after putting on make-up. Sixthly, wi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eyebrow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factor in each category of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more frequently they put on make-up most of the time, or the later they started putting on eyebrow make-up in their social career life, they spent more time putting on eyebrow make-up. As women did eyebrow-care frequently, saw the eyebrows first out of the facial parts, believed that eyebrow make-up will play an important role for image change, put on eyebrow make-up in consideration of the latest trend, expected intelligent and active images with eyebrow make-up or obtained information about eyebrow make-up at the skin-care center, they showed a high degree of eyebrow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factor. Eighthly, wit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eyebrow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factor, it was found that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educated they were, or the more they had incom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higher degree they showed about the eyebrow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factor. Ninthly,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atisfaction before-and-after eyebrow make-up and the eyebrow make-up behavior and attitude we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eyebrow-care confidence factor had mos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before eyebrow make-up, while the entertainer influence factor had on the satisfaction after eyebrow make-up, and the eyebrow make-up role factor had on the satisfaction before eyelash make-up.

      •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따라잡기 성장 향상을 위한 영양 지침의 개선

        최아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o determine the effect of modified total parenteral nutrition(TPN) regimen and modified enteral nutrition(EN) regimen on the growth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VLBWI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VLBWIs who were born and admitted t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October 2010 to April 2014 alive at the time of discharge. VLBWIs we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 period 1;before TPN and EN modification (n=37), period 2;after TPN modification and before EN modification (n=50), period 3;after TPN and EN modification (n=33). TPN modification included early aggressive higher protein and lipid support. EN modification included higher protein and calories intakes. Result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periods were similar. Compared to period 1, significantly greater gain in weight at PCA 40 weeks (P-value 0.000) and greater gain in height at PCA 40 weeks (P-value 0.009), and greater gain in head circumference at PCA 40 weeks (P-value 0.013) in period 2 and period 3. Incidence of weight EUGR at PCA 40 week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eriod 1 78.1% vs. period 2 43.2% vs. period 3 39.4%, P-value 0.009). Incidence of head circumference EUGR 40 week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eriod 1 73.9% vs. period 2 36.8% vs. period 3 27.3%, P-value 0.002). No incidence change of any complications such as NEC, BPD, ROP, IVH, PVL. Conclusion Early aggressive parenteral nutrition and intake of higher protein and calorie are advantageous for growth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without any complication.

      • Protective effect of Apigenin against ER stress-induced Apoptosis in HT22 Hippocampal Neuronal cells

        최아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s known be involved in neuronal cell death dur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s, Parkinson diseases, and cerebral ischemia. Apigenin, a bioactive flavonoid is shown to have anti-oxidant, anti-tumorigen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various cell types. In the present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the effect of apigenin on ER stress-induced apoptosis and action mechanism involved in murine HT22 hippocampal neuronal cells. Apigenin blocked apoptotic cell death of HT22 cells induced by ER stress inducers, thapsigargin (TG) and brefeldin A (BFA). Apigenin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unfolded protein response (UPR) proteins including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glucose response protein 78 (GRP78) and apigenin blocked phosphorylations of MAP kinase and eIF2-α. It was shown that TG or BFA increased cellular ROS accumulation as determined by DCFH staining analysis, and apigenin blocked TG- or BFA-induced ROS accumulation in these cells. Moreover, TG or BFA decrease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apigenin blocked this decrease in MM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igenin inhibits ER stress-induced apoptosis by reducing ROS accumulation,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CHOP induction in HT22 hippocampal neuronal cells. 본 연구는 샐러리, 사과 등에 많이 함유된 대표적인 flavonoid의 하나인 Apigenin이 ER stress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기전에 대한 연구이다. ER stress는 최근에 많은 인간질병과 관련하여 보고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당뇨병, 암, 알츠하이머 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우스 해마 신경세포에는 ER stress에 의해 세포사멸이 일어났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apigenin은 ER stress 관련 단백질인 CHOP, GRP78, GRP94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eIF2a의 phosphorylation을 억제하였다. 또한 ER stress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caspase-12와 caspase-3의 activation이 apigenin에 의해서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전의 연구에서 ER stress는 ROS (reactive oxygen spxcies) 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결론저긍로 미토콘드리아에 손상을 일으키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항산화제로 알려진 apigenin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항상화제인 apigenin은 ER stress에 의해서 증가된 ROS의 생성과 미토콘트리아의 손상을 감소 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apigenin은 마우스 해마 신경세포종에서 ES stress에 관여된 여러가지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프리다 칼로의 자화상 연구

        최아영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Frida Kahlo de Rivera (1907-1954)'s self-portrait "Diegona" (1949), one of the most popular works in South American art history, was traded at a Sotheby's auction in New York on November 16, 2021. The painting, which depicts the face of her husband Diego Rivera (1886-1957) with three eyes on her forehead, surpassed Diego's mural "Rivals" (1931)'s previous South American painting price of $9.8 million, auctioned in 2018). "Diego and I are paintings that summarize the passion and pain of Carlo," said Anna Di Stasi, Sotheby's director of Latin American art. "I can see tonight's result (over the value of my husband's painting) as the ultimate revenge," he said, but rather, Carlo's extraordinary talent and charm were ultimately proven." It is read that she is already on the level of a master who does not have to dwell on revenge against her husband. (Sung Soo-young, "Pain of a lifetime" goes beyond her husband...Frida Kahlo's 'South American Auction High,' Korea Economic Daily, 2021.11. ) Selling at a high price at the Sotheby's auction in the U.S. was recognized by her as a work. In the meantime, Frida was modifying Diego's wife, life of misfortune due to traffic accidents, and unique style of appearance and costumes rather than works. However, she expressed her unconscious self by borrowing traditional Mexican art with indomitable will in her life. This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world of her work to promote her reputation. There are various opinions about her work. Some say that her self-portrait pursues only the self-confession aspect, so she is not sympathetic to contemporary trends. It is evaluated that the focus was solely on the production of works by individual life. There is also a view that Frida is viewed as a helper and a female painter by her husband Diego because he did not have a formal art education. However, the researcher highly appreciates that Frida sublimated his physical and mental pain into art while embodying it in his work. She lived an unhappy and miserable life, but I think she created her own creative world of art with her own indomitable will. Frida's work symbolically implies many meanings. Her work is the cohesion of life, the result of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 and was influenced by Mexican culture. In addition, through self-portrait, his experiences and emotions were buried in the work. Since then, the pain of miscarriage has been expressed realistically, and it has been expressed in its own language by comparing dolls or animals to surrealistically placing them together. Clezio, the author of Frida's autobiography, said, "Exposing external suffering, surrealists are enthusiastic about her because art was animalistic and natural impulses." Frida's evaluation of surrealism continues to be discussed, but researchers think her surrealistic expression is the world of Frida's work influenced by traditional Mexican culture. In conclusion, Frida's work not only expresses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experienced as a Mexican, but also opened the horizon of surrealism. It can be said that her work occupies an important place in art history in modern art.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study Frida's self-portrait as follows. In Chapter II, 'Life and Art of Frida' was classified into the early, mid, and late stage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hanging works by life cycle. Chapter III will analyze the process of Frida's sad and pathetic life until her self-portrait is born. Frida's self-portrait is a means of self-exploration and self-healing, starting with a sense of descent and root, and is based on traditional Mexican culture. In this regard, in detail, I would like to examine her husband Diego, who had an absolute influence on her art, her artistic spirit, Mexican history and culture, and surrealism and the Deface Network, one of her art forms. Chapter IV analyzes Frida's self-portrait and studies the location and meaning of art history. To this end, it is divided into a conventional self-portrait and a surreal self-portrait according to the form and content of the work, but its meaning and value are organized for each work. Finally, in the conclusion of Chapter IV,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opinions on future directions are presented. 최근 프리다 칼로(Frida Kahlo de Rivera, 1907~1954)의 대표작품 중 하나로 꼽히는 자화상 <디에고와 나>(1949)가 2021년 11월 16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소더비 경매에서 남미의 미술사상 최고가인 3,490만 달러(약 412억 7천만 원)로 거래됐다. 자신의 이마에 세 개의 눈을 가진 남편 디에고 리베라(Diego Rivera, 1886~1957)의 얼굴을 그려 넣은 이 그림은 디에고의 벽화 <라이벌들>(1931)이 갖고 있던 기존 남미 작품 최고가(980만 달러, 2018년 경매)를 뛰어넘었다. 소더비의 라틴아메리카 미술 분야 책임자인 안나 디 스타시는 "<디에고와 나>는 칼로의 열정과 고통을 요약한 그림"이라고 했다. 그는 "오늘 밤의 결과(남편의 그림 가치를 뛰어넘은 것)를 궁극의 복수라고 볼 수도 있다"라며, 하지만 그보다는 칼로의 비범한 재능과 매력이 궁극적으로 검증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녀는 이미 남편에 대한 복수에 연연할 필요 없는 한 차원 높은 거장의 경지에 올라 있다는 뜻으로 읽힌다. 성수영, “‘평생의 고통' 남편 넘어…프리다 칼로 '남미 경매 최고가'”, 한국경제신문, 2021.11.18. 미국 소더비 경매에서 높은 가격에 판매된 것은 그녀에게 있어서 작품으로서 인정받은 셈이다. 그동안 프리다는 디에고의 아내, 교통사고로 인한 불운의 삶, 독특한 스타일의 외모와 의상 등이 작품보다 그녀를 수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의 삶 속에서 불굴의 의지로 멕시코의 전통미술의 차용하며 무의식 속에서 표출된 자아를 표현하였다. 이로써 작품의 세계가 그녀의 명성을 알릴 수 있는 계기가 된 것이다. 그녀의 작품을 두고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 혹자는 그녀의 자화상이 자기 고백적인 면만을 추구하다 보니, 동시대의 사조들에 동조되지 못한다는 시각이다. 오로지 개인의 삶에 의한 작품 제작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평가이다. 또한 프리다가 정규미술 교육을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그녀의 남편인 디에고의 조력자와 여류화가로 보는 시각도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프리다가 자신의 육체적·정신적 고통을 작품에 구현하면서 예술로 승화하였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 그녀는 불행하고 참담한 삶을 살았으나, 그녀만의 불굴의 의지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탄생시켰다고 생각한다. 프리다의 작품은 상징적으로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녀의 작품은 삶의 응집체이자, 육체적․정신적으로 겪은 고통의 결과물이며, 멕시코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더불어 자화상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감정 등을 작품 속에 묻어나게 하였다. 이후 유산의 아픔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고, 인형이나 동물을 빗대어 자신과 함께 초현실적으로 배치시키며 자신만의 언어로 개성 있게 표현했다. 프리다의 자서전을 저술한 클레지오는 “외적인 고통을 노출시켜 그녀에게 예술은 동물성이었고 자연적 즉흥적인 충동이었기에 초현실주의자들은 그녀에게 열광한다”라고 하였다. 프리다의 초현실주의에 대한 평가는 논의가 현재도 계속되고 있지만, 연구자는 그녀의 초현실주의적 표현은 멕시코의 전통문화의 영향을 받은 프리다만의 작품세계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프리다의 작품은 멕시코인으로서 겪었던 사회적․문화적 배경을 표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초현실주의의 지평을 열어주었다. 그녀의 작품은 현대미술 속에서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프리다의 자화상을 다음과 같이 연구하고자 한다. 제 Ⅱ장에서는 ‘프리다의 삶과 예술’을 생애 주기별 작품 변화과정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로 구분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프리다의 슬프고 한스러운 인생 속에서, 그녀의 자화상이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프리다의 자화상은 자아탐구 및 자기치유의 수단이며, 혈통과 뿌리 의식으로부터 시작되고, 멕시코 전통문화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와 관련해 세부적으로 그녀의 예술에 절대적 영향을 끼쳤던 남편 디에고 리베라, 그녀의 예술 정신인 멕시코의 역사문화, 그녀의 예술 형식 중 하나인 초현실주의와 데페이즈망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제 Ⅳ장에서는 프리다의 자화상을 분석하고, 미술사적 위치와 의미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작품의 형식과 내용에 따라 구상적 자화상과 초현실적 자화상으로 구분하되 작품별로 그 의미와 가치를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제 Ⅴ장의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