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옥외광고물 정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최동기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옥외광고물의 홍수로 인해 도시미관이 저하되고 있는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즉, 우리나라 옥외광고물 정책의 문제점, 관련 제도의 합리성, 정책주체 및 정책 대상 집단의 능력과 의욕, 시민과 언론의 관심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옥외광고물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우선, 옥외광고물 중 건물부착 간판광고물과 관련된 제도를 검토하였다. 둘째, 정책주체의 정책추진 능력과 의욕을 분석하였고, 그 능력과 의욕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셋째, 도시경관과 관련된 시민단체의 활성화와 언론의 비판적 보도역할을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옥외광고물 정책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해 본 결과 보다 효율적이고 아름다운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옥외광고물 정책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옥외광고물관리 제도개선으로 강력한 규제의 법제화를 위한 도시경관 보전의 의무조항 신설, 옥외광고물관리를 도시계획에 예속시켜 도시계획으로 규제함으로서 계획된 도시미관 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정책주체에 대한 변화요구로서 각 지방자치단체별 옥외광고물 관리를 위한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인력을 보강하고 옥외광고물 관리 수요에 적극 대처하며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아름다운 간판문화의 유도행정을 선도할 필요가 요구된다. 셋째, 정책 대상 집단인 광고주와 광고업자는 행정주체인 정부와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상호간에 강력한 파트너쉽이 요청된다. 광고주는 정부의 선진화된 광고시책에 호응하는 광고물을 부착하고, 광고업자는 불법 광고물정비에 적극 협조하며, 높은 전문지식 함양으로 아름다운 간판문화 향상을 선도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광고업자의 자격제도를 한층 더 강화하여 옥외광고업의 등록제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시민단체와 언론의 기능 제고이다. 즉, 언론은 우리나라의 어지러운 간판문화를 끊임없이 비판하고 외국 등의 선진사례나 전문가의 정보를 소개하며, 시민단체는 시민의사를 집결시킴으로서 우리나라 옥외광고물 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해 나간다면 선진화된 간판문화를 정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옥외광고물 정책은 일반시민, 시민단체, 관계 전문가, 언론 등 다양한 행위자들과 신뢰와 협력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면 성공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러한 행위자들의 형태를 결정짓는 제도와 시스템에 대한 이해없이는 문제해결이 어렵기 때문에 합리적인 형태의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하여 제도와 사람의 역동적인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정책 결과들이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of townscape deterioration that is caused by outdoor billboard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policy, That is to say, the problem of Korean outdoor billboard policy, the rationality of related policies, the subject of policy and the ability and will of targeted subject groups, and the interests of citizen and the press have been analyzed so that it can suggest the improvement policies. In this study, firstly, the institution related to signboards that are attached to the building is considered. Secondly, the drive power and the will of policy subject have been analyzed, and the method that encourage them are concerned. Thirdly, the activation of civic groups related to the townscape and the critical report of the press have been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ffective policies for beautiful town scape a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duty articles for strict legislation have been newly established by policy improvement of outdoor billboard, and the management of outdoor billboard is subordinated to the city plan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planned town scape. Second, as the change demand of policy subject, the department for management of outdoor billboard by each local government has been established so that it can actively cope with the management demand and the demand of inducement for righteous signboard culture are needed by reinforcing of staffs. Third, strong partnership is needed between advertisers or advertising agents and administrative subjects based on the mutual confidence. Advertisers should place an advertisement that complied with the advanced advertising policy of government and advertising agents should cooperate with the maintenance of legal advertisement and should lead the improvement of signboard culture by high expertise knowledge cultivation. Therefore, the qualification of advertisers should be intensified and the registration system for outdoor billboard work is needed. Fourth, the function of civic group and the press should be considered. That is to say, chaotic signboard culture should be consistently criticized and foreign or advanced cases should be introduced so that it can combine the opinion of citizen by civic group and suggest the improvement method, furthermore, settle the advanced billboard culture. As stated above, the policy of outdoor billboard cannot succeed unless citizen, civic groups, related experts, the press cooperate and form the mutual confidence. Therefor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dynamic relation between system and human by applying the new institutionalism because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without the understanding the institution and system. Moreover, the renovation policy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ctively applied to the local government as well as the government.

      • 해양플랜트용 HSLA 후판강의 FCAW와 SAW 열영향부 미세조직 및 저온 인성 특성

        최동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Deep sea floor and extreme cold regions require higher structural safety of offshore platforms due to low temperature and high sea water pressure as well as fatigue loads caused by extreme winds. Metal materials increase the strength by preventing dislocation movement due to defects such as micro vacancy existing in internal of the crystal lattice at low temperature. Eventually, the lower the temperature,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rittle fracture of materials. Therefore,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must be secured for offshore platforms used in low temperature regions. For this, steel materials require alloy design with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and the thickness of steel plates is gradually being developed thicker. In addition, optimization of the corresponding welding technology is also required. TMCP is often used to manufacture high strength thick steel plates. This uses controlled rolling and accelerated cooling technology, which leads to the formation of fine grain size and increases the strength and toughness by forming a large amount of low temperature transformation microstructure. However, the micro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 base metal are change during welding by the high heat. Especially, thick steel plates are multi-layer welding and the structure of the heat affected zone is very complex and formed various microstructures by subsequent heat, so changes in properties occur more severely,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more difficult to ensure sufficient toughness in HAZ at low temperature. Recently, studies on developed thick steel plate and welding with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have been studied as offshore platforms. However, study using actual welding of the 100 mm and 80 mm thickness base metal is still absence. In this study, steel plate with the thickness of 100 mm for yield strength 460 MPa grade and the thickness 80 mm for yield strength 500 MPa grade were fabricated by using TMCP for offshore platforms, and multi-layer welding was performed by FCAW and SAW processes. So the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microstructure of the HAZ was observed, and charpy impact test and CTOD test were performed at low temperature. These resul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s for microstructure in welded and CVN impact absorbed energy and CTOD properties with each specimen. Therefore, characteristics of low-temperature toughness of the fabricated thick steel plates was identified to data base. The formation of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microstructure is difficult and increases coarse quasi-polygonal ferrite due to cooling rate decreases as the distance increases from fusion line. However,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microstructure in HAZ is easy to form in the low heat input with FCAW process because it has a faster cooling rate than high heat input such as the SAW process. Plastic deformation and ductile fracture occurred at low temperature in fine acicular of 1~5 µm grain size and quasi-polygonal ferrite of 5~10 µm grain size regions. In addition, low-temperature transformation microstructure in HAZ is advantageous to form at quarter thick (1/4 t) than middle thick (1/2 t) due to fast cooling rate to the heat input 7.5 kJ/cm for multi-layer with FCAW process. The average vickers hardness of HAZ was similar as the heat input and position of thickness, while CG close to FG, which has high hardness and impact absorbed energy, formed large number of dimples on fractured specimens, and plastic deformation appeared clearly, respectively. The average impact absorbed energy of the weld was WM 101 J, CG 256 J and SC 213 J for the 1/4 t position and WM 97 J, CG 334 J and SC 237 J for the 1/2 t position at -40 ℃. The stretch zone observed on the fractured CTOD CG specimens has a large plastic region at the crack tip, which increases the crack opening displacement, and fracture toughness is advantageous with δ 0.25 mm or more. While, the addition of added alloy elements was effective to form fine precipitates at grain boundaries and increasing yield strength over 500 MPa for 80 mm thick steel plate. However, in case of lots secondary phases with brittle and spherical inclusion were included, impact absorbed energy was low at low temperature because it is acted to crack propagation path. In case of the heat input 7.5 kJ/cm, the average impact absorbed energy of the weld was WM 86 J, CG 101 J and SC 14 J for the 1/4 t position and WM 74 J, CG 206 J and SC 61 J for the 1/2 t position at -40 ℃. Therefore, the fracture toughness was low due to the occurred of brittle fractures, which resulted in cleavage and secondary cracks in fracture plane and a unit crack path similar to the effective, respectively. 심해저 및 극한지는 낮은 온도와 높은 해수 압력뿐만 아니라 극심한 풍랑에 의한 피로하중으로 인해 해양플랜트용 구조물의 안전성이 더욱 높게 요구된다. 금속 재료는 저온에서 결정 격자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인 미소한 공공과 전위의 이동이 저지되어 강도 증가를 동반하게 되고 결국 온도가 낮아질수록 재료는 취성 파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저온 지역에 사용하는 해용플랜트용 구조물 재료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철강 재료는 고강도와 고인성을 갖는 합금 설계가 요구되고 강재의 두께는 점차 두꺼운 판재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에 상응하는 용접기술의 최적화도 필요하다. 고강도의 후판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TMCP가 최적이며 이는 제어압연과 가속냉각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미세한 결정립 크기를 형성하도록 유도하고 저온 변태조직을 다량으로 형성시켜 강도와 인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필수적으로 필요한 용접공정을 거치면서 높은 용접 열에 의해 영향을 받아 모재의 조직과 물성이 변화된다. 특히 후판강은 다층 용접을 해야 하므로 반복적인 열 영향을 받은 부분은 매우 복합적이고 다양한 조직을 형성하게 되어 물성 변화가 더욱 심하다. 최근 고강도와 고인성을 갖는 후판강의 필요성에 따라 강재와 용접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두께 100 mm와 80 mm 모재를 실제 용접한 시험재를 이용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TMCP 공법을 이용하여 항복강도 460 MPa급의 100 mm두께와 500 MPa급의 80 mm두께의 후판강을 제조하였고 FCAW와 SAW로 다층 용접한 HAZ부의 저온 변태 미세조직을 관찰하였다. 이들의 미세조직과 CVN 충격 흡수에너지와 CTOD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파괴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해당 강재의 저온 인성에 대한 특성을 DB화 하였다. 용융선에서 거리가 증가할수록 냉각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저온 변태 조직의 형성이 어려워지고 조대한 QPF가 증가한다. 하지만 입열량이 낮은 FCAW는 냉각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HAZ에는 저온 변태 조직 형성이 용이하다. 1~5 µm 크기의 미세한 AF와 5~10 µm 크기의 QPF가 많고 저온에서 소성 변형을 일으켜 충격 흡수에너지가 높고 연성 파괴가 일어났다. 또한 FCAW 입열량 7.5 kJ/cm로 100 mm두께의 다층 용접에서 1/4 t 위치는 중심부 1/2 t보다 냉각속도가 빠르므로 저온 변태 조직 형성이 용이하다. 입열량과 두께 위치에 따라 HAZ의 평균 경도는 유사하였으나 FG에 가까운 CG는 경도와 충격 흡수에너지가 가장 높고 파면에 다수의 딤플을 형성하여 소성 변형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40 ℃에서 용접부의 평균 충격 흡수에너지는 1/4 t위치의 경우 WM 101 J, CG 256 J, SC 213 J이였고 1/2 t위치의 경우는 WM 97 J, CG 334 J, SC 237 J로 나타났다. CTOD CG파면에 나타난 stretch zone은 균열 선단에서 소성 변형 크기가 커서 균열 개구 변위를 증가시켰고 δ 0.25 mm이상으로 파괴 인성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한편 미량 합금 원소 첨가는 입계에 미세한 석출물이 형성되어 80 mm두께 강재의 항복강도를 500 MPa이상으로 향상시키는 데 유효하였다. 하지만 경한 구상의 입자를 갖는 2차상들을 많이 포함한 경우는 균열 전파 기점으로 작용하여 저온에서 충격 흡수에너지에 불리하게 작용했다. 입열량 7.5 kJ/cm일때 -40 ℃에서 평균 충격 흡수에너지는 1/4 t위치의 경우 WM 86 J, CG 101 J, SC 14 J이였고 1/2 t위치의 경우는 WM 74 J, CG 206 J, SC 61 J로 나타났다. 파면에 벽개면과 2차 크랙을 유발하고 유효결정립 크기와 비슷한 단위 균열 길이를 나타내는 취성 파괴가 일어나 파괴 인성이 낮았다.

      • 생활지도에서 교사의 역할에 관한 요구 분석 : 교사 자신의 현실인식과 미래요구를 중심으로

        최동기 우석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활지도 담당자로서의 교사의 일반적 역할에 대해 허락은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첫째, 인간형성자로서 청소년의 현실적 모습을 마땅히 되어야할 ㄷㅇ위적 모습으로 변화시키면서 잠재된 소질과 가능성을 최대한 그리고 최적의 모습으로 계발 시킬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유익한 지식과 학문의 전달자로서 맡은 영역에 대해 해박한 지적 성취가 있어야 한다. 지식전수가 없는 학교교육은 무의미하다. 셋째, 교육예술가로서 직관력, 창의성, 미적감각과 뜨거운 정열 및 정교한 기술을 복합시켜 인간조형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로서 자신과 학생 및 담당교사와 시대적 상황에 대하여 평생학습자이어야 한다. 남이 가르치는 자, 스스로 배우기를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는 평범한 원리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학교에서 생활지도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이유는 전반적으로 생할지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전문적 훈련을 받은 생활지도교사가 매우 부족하고, 필요한 시설이나 교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아직한국화되어 있지 못한 것이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교사의 업무량이 많아 생활지도에 관한 이해와 협조가 부족함을 들 수 있으며, 더우기 학급의 수용학생이 너무 많아서 개인적인 접촉의 기회가 적고, 대학 준비교육의 치중으로 말미암아 전인적 교육이 경시되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각급 학교간 또는 사회기관과의 유기적 연결이 잘 되어 있지 못하며, 궁극적으로는 교육재정의 부족으로 충분한 환경조성이 잘 되고 있지 못함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활지도 활동에 대한 남·여중학교 교사의 현실인식과 미래 요구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교사들의 생활지도에 대한 새로은 인식전환을 위한 방안 개발에 도움을 줄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현실인식과 미래요구는 어떠한가? 1-1 전체 교사의 현실인식은 어떠한가? 1-2 전체 교사의 미래요구는 어떠한가? 1-3 전체 교사의 현실인식과 미래요구의 차이는 어떠한가? 2. 교사의 성별에 따라 생활지도에 대한 현실인식과 미래 요구는 어떠한가? 2-1 남·녀 교사의 현실인식에 있어서의 차이는 어떠한가? 2-2 남·녀 교사의 미래요구에 있어서의 차이는 어떠한가? 2-3 남·녀 교사의 현실인식의 차이와 미래요구의 차이 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학교구분별 생활지도에 대한 현실인식과 미래요구는 어떠한가? 3-1 남·녀중학교 교사의 현실인식에 있어서의 차이는 어떠한가? 3-2 남·녀 중학교 교사의 미래요구에 있어서의 차이는 어떠한가? 3-3 남·녀 중학교 교사의 현실인식의 차이와 미래요구의 차이사이에는 어떠한 차이가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 전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남자중학교 3개교와 여자중 학교 4개교에 근무하는 교사 280명(남중 120, 여중 160)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나, 238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 중 189명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나, 238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중 189명의 설문지를 표집하여 자료화하였다. 설문지의 조사기산은 1996년 9월 16일부터 9월 23일 까지 친분관계가 있는 교사들이 소속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본 연구의 선행연구자들 조사연구자료를 참고하였으며, 남·여중학교 생활지도 담당 교사들의 조언을 얻어 본 연구자가 개발한조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배부·수집된 설문지는 남·여 학교별 문항에 다양한 자료로 얻어진 결과를 요구도 수준에 따라 5단계 척도로 처리하였으며, 통계분석은 일반적인 경향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빈도수와 백분율 평균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는 전주시에 소재한 남·여 중학교에 재직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전국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 디젤 미립자 필터 관리가 디젤 차량 배출가스 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최동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high fuel efficiency, low fuel cost and rapid increase outdoor recreations, diesel vehicles have been on the rise in Korea. However, air pollution from particulate matters emissions which can cause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the human body such as airways, lung, cardiovascular organs, brain, etc., has become a continuous social problem for diesel vehicles. Currently, diesel vehicles in korea are obligated to be equipped with emission reduction devices in accordance with atmosphere environment regulations, and various government policies, such as equipment of emission reduction devices and subsidized incentives to scrap early are being implemented only for old diesel vehicles. This study presents the maintenance guidance by analyzing how to post-manage soot and ash accumulated inside the diesel particulate filter at the auto repair shop. The effect on the current vehicle emission inspec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internal damage due to aging and poor maintenance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is also presented.

      • Coupled quantum dot 구조에서의 광학적 특성 연구

        최동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studied spin states of CdSe quantum dot (QD) coupled with diluted magnetic semiconductor (DMS) QD by steady state photoluminescence (PL) and time resolved PL (TRPL). Spin states of coupled QD systems were analyzed probing circular polarized PL under external magnetic field. In case of CdSe QDs coupled with CdMnSe QDs, the band gap energies of CdSe and CdMnSe QD are close to each other and PL mainly originates from CdSe QD due to relatively low radiation efficiency of CdMnSe QD. The PL lifetime as well as the PL intens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magnetic field, which was explained by the change of spin up and down wave function. Circular polarization (CP) of CdSe QDs coupled with CdMnSe QDs was larger than that of CdSe single layer QD (SLQD) due to the coupling with DMS QDs. For CdSe QDs coupled with CdZnMnSe QDs, the PL peak energy of CdZnMnSe lies at a higher energy than that of CdSe QDs because of the incorporation of both Zn and Mn. The ground state of a CdSe (CdZnMnSe) QD was occupied by a spin up (down) electron under external magnetic field. It was found that the CP of the coupled system was larger than that of CdSe QD system due to the anti-ferromagnetic interaction.

      • 국내 수송용 LPG의 이용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최동기 고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1차 에너지 소비량은 2016년 기준으로 세계 9위이며 석유 비중이 42.7%에 달한다. 이 중 91.6%를 산업과 수송에서 소비되며 산업부문에서 약 5억 4,300만 달러, 수송부문에서는 약 3억 100만 달러의 석유제품을 소비한다. 본 논문의 관심 분야인 수송부문에서 사용되는 석유제품은 최종에너지 소비량의 약 12.2%를 차지하며 연료별로 휘발유, 경유, LPG가 있다. 2017년을 기준으로 경제성장과 더불어 자동차 등록대수도 1990년에 비해 약 6.6배 증가한 상황이다. 인구 2.3명 당 1대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도로 이동오염원의 47.4%가 자동차에서 발생한다. 도로이동오염원으로 발생하는 환경오염은 대기오염과 지구온난화가 있는데 근래에 들어서 대기오염이 극성을 부리자 수송부문에서 LPG자동차가 현실적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최대의 관심사인 액화석유 가스(LPG:Liquefied Petroleum Gas)는 석유의 최종 부산물로 화석연료 중 하나다. LPG는 국내 총 1차 에너지 수요의 약 3.3%를 차지하며 석유화학용 38.8%, 수송용 33.7%, 가정상업용 15.7%, 산업용 11.8% 등의 비중으로 소비된다. 화학구조상 탄소수의 수가 3~4개로 다른 석유제품보다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량이 현저히 낮다. 수송부문에서 탄소의 개수와 밀도는 엔진출력과 연비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데 친환경성을 인정받음에도 LPG자동차가 경유차보다 약 3km/L 연비가 낮고 출력이 다소 떨어져 구매자를 망설이게 한다. LPG자동차에서 체감되는 불편함을 충분히 상쇄하기 위해서는 LPG의 친환경성을 재고한 환경비용이 반영된 유류세 체계, 독립에너지원화, 네거티브 규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정책개선 노력은 원만한 국정과제 수행에 도움이 되며 정책결정자가 잘못된 정보로 잘못된 의사결정을 내리는 상황을 예방한다. 그리고 에너지 관련 정책은 지속 가능한 경제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데 의의가 있으며 국민의 안정적 생활과 더불어 복리와 삶의 질을 높이고 나아가서는 수소로의 에너지전환으로 겪게 될 시행착오와 충격을 보완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어 검토하여 추진할 필요가 있다.

      •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경관조례 및 시민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최동기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경관 관련 조례 및 제도 분석과 도시경관관리에 대한 시민인식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지방자치단체의 바람직한 행정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론적 근거는 학술지와 석ㆍ박사 논문 및 단행본 등 문헌조사를 참고하였고 각종 법률 및 지자체 조례는 법제처 홈페이지와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수집ㆍ분석하였다. 그리고 김해시민을 대상으로 도시의 경관관리를 위한 주민의식조사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먼저, 도시경관 관련 조례 및 제도 분석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조례가 제정된 지방자치단체를 보면 2012년 11월 현재 광역자치단체는 17개 가운데 16개 시·도가, 기초자치단체는 229개 가운데 77개 시·군이 제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광역자치단체 경관조례는 대부분 총칙을 포함하여 경관계획, 경관사업, 경관협정, 경관위원회에 대한 조항을 다루고 있었다. 하지만 기초자치단체의 경관조례는 도시경관의 개선, 경관관리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활용, 경관상 시상, 경관시범마을 지정 등 지역별 특색에 맞도록 별도 조항이 마련되어 있었다. 한편 경상남도 기초지자체의 도시경관 관련 조직은 건축부서와 도시부서에서 경관업무를 병행하고 있어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경관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다음으로, 김해시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주민의식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김해시민들의 도시경관 중요성 인지도는 높았지만, 도시경관 만족도는 보통수준이었다. 그리고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이미지가 가장 좋았다. 김해시 경관을 훼손시키는 주요 요인은 ‘도심내 산재한 공장지대’와 ‘산지·구릉지의 공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시가지경관과 도로변경관을 도시경관을 형성하는 가장 중요한 경관자원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경관관리를 위해 시급하게 추진해야 할 행정적 과제는 ‘하천, 산지 및 구릉지, 문화재 등의 복원’과 ‘경관관리체계의 정비’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시경관관리에 대한 행정의 제도적 장치의 제정 및 운영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제도적 정비, 통합적인 경관행정을 위한 조직체계 구성, 경관관련 전담공무원의 전문성 제고, 실천적 도시경관계획 필요, 자연과 도시경관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권역 및 지구의 설정, 구릉지 경관의 보존, 역사적인 건축물 주변을 장기적?체계적으로 정비하는 계획이 필요하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중심 단어: 경관관리, 도시경관, 경관조례, 경관자원 ABSTRACT Study on the Local Government's Role in Urban Landscape Management Dong-Gi Choi (Advisor : Prof. Tae Kyun Lim, Ph. D.)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desirable role that the local government administration should serve in urban landscape management by analyzing the results of survey research concerning urban landscape management and an analysis of regulations and policies related to Korean urban landscape. Relevant literature, such as academic journals, master’s and doctorate theses, and books were researched for the theoretical basis, while various legal and local governments’ regulations were collected through the websites of the Office of Legislation and local governments. A survey research among the residents of Gimhae regarding urban landscape management was also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First,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regulations and ordinances related to urban landscape. Concerning local governments with legislated landscape regulations, the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in 16 out of the 17 cities and provinces, and basic local governments in 77 out of 229 cities and provinces have legislated landscape regulations as of November 2012. Also, the landscape regulations of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were mostly seen to deal with the terms of the landscape committee, landscape agreement, landscape businesses, and landscape plans, including general rules. However, additional terms were prepared in the landscape regulations of local governments to suit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use of guidelines and checklists for landscape management, awarding landscape prizes, and the appointment of demonstrative landscape villages. Professional and organizational landscape work is seen as difficult, because the architecture department and urban department simultaneously perform landscape work in the urban landscape organization of the Gyeongsangnam-do local governments. Next, the results of the Gimhae residents’ survey regarding urban landscape management are summarize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urban landscape was high among the residents of Gimhae, but satisfaction towards urban landscape was average. Percep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was the highest. ‘Factory areas scattered within the city’ and ‘factories in the mountainous and hilly regions’ were determined as the main factor adversely affecting the landscape of Gimhae. Furthermore, landscape in the city's old areas and landscape surrounding the road are viewed as the most important landscape resources in establishing urban landscape. Also, the ‘recovery of rivers, mountainous and hilly areas, and cultural assets’ and the ‘organization of a landscape management system’ were noted as administrative projects that must urgently be initiated for landscape management. Results of the analysis manifested the need for long-term and systematic organization of areas relevant to historical architecture, the preservation of hilly landscapes, setting of areas and regions for the combined management of natural and urban landscape, the need for a practical urban landscape plan, the promotion of the professionalism of landscape-specialist public servants, the composition of organizational systems for combined landscape administration, and institutional rearrangements, as directions for the enactment and operation of institutional devices for urban landscape management. Key Words: landscape management, urban landscape, landscape regulations, landscape resources.

      • 직업군인의 주거복지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최동기 한성대학교 국방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nalyzes housing welfare of occupational military people those who are executing important missions to protect the ROK amid of continuous nK military threats. This evaluation leads to provide ways to solve critical problems of welfare of occupational military people. In this study, to make it more realistic, I have studied aspects of occupational military people's “Culture”, “Environment”, “Morale and Social welfare”. Not only that, I have extended my study range, including his spouse and children as housing welfare benefiter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its effect. And through conceptual investigation about housing welfare and resident satisfaction, I have fully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concept of human rights beyond simple concept of social welfare. Additionally, I have confirmed that to enhance resident satisfaction, multiple variables such as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issues must not be neglected. Considering a fact of occupational military people's uniqueness, about 29.5% of solider tend to work in the area smaller than "Myun"(county) and 23.5% of solider are employed in poor working environment. On top of this matter, frequent moving, isolation, economic burden, and children's educational problems are crucial factors that many people tend not to prefer occupational military people as their vocation. To alleviate problems that come from the housing welfare, sincere efforts have been put in and as a result, in 2007, "Military welfare basic law" was amended to support the law. Based on "Military welfare basic law",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established "Military welfare basic plan"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efforts. Those efforts were very fruitful in certain area, however, there are much more rooms should to be filled. Unfortunately, nK is escalating level of military threats such as conducting nuclear bomb test, missile launch, publicly announce their new weapon systems, and defaming the ROK government. This situation is forcing the ROK government to spend their military budget on weapons for national defense rather than spending on housing welfare. Therefore, to effectively solve various housing welfare policy, I suggest 3 solutions of "Housing support method and its budget", "Housing environment and Education", and "Management of living place." First, in a perspective of "Housing support method and its budget", I believe current military policy, policy that gives billets to occupational military people, is reducing the commitment for occupational military people to purchase their own house. Also, considering change of demography in future and burden of managing military facility, I recommend to change the policy in such a way that increase own house ratio and reasonably spend housing welfare budget realistically. Second, in a perspective of "Housing environment and Education", I recommend to install a large scale of housing complex nearby civilian residential area. Additionally, I strongly suggest to allow customization of living facility in accordance with mission, number of family, gender of his children, and physical change.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that posed by frequent moving, I propose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his children. Thirdly, in a perspective of "Management of living place", I recommend to educate experts who are monitoring and analyzing military welfare status in regular base by using internet billet system. In order to use that internet billet, there is no doubt that internet billet system must be improved. In conclusion, if all those improvement suggestions are executed, opportunity of purchasing own house, and various of welfare benefits will come true in reality. These benefits help soldiers be more proud of their profession and decrease uncertainty of having own house in near future. At the end, we can expect occupational military people ready to execute their missions and sorely focus to defending the ROK. Key word : Housing welfare, occupational military people, Resident satisfaction, housing support, billet 본 연구는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상존하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국가방위라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직업군인들의 주거복지 실태를 분석하고, 주요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직업군인의 적용 범위는 복지 혜택을 직접적으로 수여받고 느끼는 배우자 및 자녀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문화, 환경, 사기・복지측면에서 직업군인들의 주거복지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주거복지, 주거만족도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통해서 주거복지가 단순 복지개념을 초월한 인권이 포함된 권리의 개념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사실과, 주거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사회, 경제, 문화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주거의 경험요소 등 다양한 고려상황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직업군인은 임무의 특성상 면 단위 이하의 취약지역(29.5%)에서 근무하고 있고, 노후 및 협소한 시설(23.5%), 잦은 이사에 따른 인간관계의 단절, 경제적 부담, 자녀의 교육문제 등은 직업군인들의 사기에 직접적인 악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군인을 직업으로서 선호하지 않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직업군인들의 주거복지에 관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은 수년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2007년 제정된「군인복지기본법」은 군인복지 개선을 위한 법적 근거가 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국방부는「군인복지기본계획」을 수립하여 점진적인 개선 노력을 추진하고 있고, 그 결과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지만 일부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큰 편이다. 더구나, 최근 북한의 핵실험, 미사일 발사, 신형 장비의 공개, 비난활동의 증가 등 군사적 위협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안보 상황은 복지여건 개선을 위한 예산의 증액을 제한시키고, 국방비를 방위력 개선 위주로 사용하도록 강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군인들의 주거복지 지원 정책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거지원 방법 및 예산’, ‘주거환경 및 교육’, ‘주거시설의 관리’ 등 3가지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주거지원 방법 및 예산 측면에서는, 현재의 군 관사지원 정책이 직업군인들의 주택 마련에 대한 의지를 결여시키고 있고, 향후 미래인구변화 추세 및 군 관리시설의 유지관리 부담 등을 고려하여 자가 보유율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고, 각종 비현실적인 주거복지 예산을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주거환경 및 교육 측면에서는, 일반인들과 문화 및 복지 교류가 가능하도록 일반인 주거공간과 근접한 곳에 대규모의 단지를 설치하고, 직업군인의 임무, 부양가족의 수, 자녀의 성별, 신체적 변화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주거시설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며, 잦은 이사로 인해군인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인식되는 자녀들의 교육여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군인 주거시설의 관리 측면에서는 인터넷을 활용한 주거관리 시스템의 개선과 이를 상시 확인, 감독하고 주기적으로 군인복지 실태를 분석하고 관리하는 전문 감사 인력의 확보 등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앞에서 제시된 여러 방안들이 시행될 경우, 직업군인들에게 주택 마련의 기회 제공 및 복지 혜택을 직접 체감하게 함으로써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미래 주거확보의 불확실성 등에 대한 불안을 해소시켜 본연의 임무인 국가방위에 전념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주거복지, 직업군인, 주거만족, 주거지원, 군 관사

      • SDS-PAGE 에서의 ion-pairing 시약을 이용한 단백질 염색 방법

        최동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numerous methods have been reported on the protein staining in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CBBR staining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at present. Here we describe a fast and sensitive Coomassie blue staining method for detection of proteins in polyacrylamide gels using an ion-pailing agent, tetraoctylammonium bromide (TOA). To increase sensitivity of protein staining, sodium dodecyl sulfate (SDS) in an electrophoresed gel was removed by washing with water for 5 min, and then the gel was stained in the mixed solution of 0.25%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 (CB) and 1% TOA (mixed up with 10 : 0.6 volume ratio). TOA inhibits the binding of CB to gel matrix by forming an ion-pairing complex, so not only increases the protein staining of CB but also helps background destaining ease. This staining method reduces the staining and destaining times to 50 min and decreases the detection limit to 25 ng of bovine serum albumin (BSA). In addition, this method produced protein staining patterns which was identical to the ones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CBBR stai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xed staining method can be a recommendable alternative for the defection of proteins on polyacrylamide gels. SDS-PAGE 에서 단백질 염색에 관한 여러가지 방법들이 보고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CBB 에 의한 염색 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SDS-polyacrylamide gel 상에서 분리된 단백질의 염색시 소요되는 시간과 감도 측면에서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고자, 연구자들이 가장 익숙해져 있는 CBBR을 사용하되 그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ion-pairing 시약으로 tetra octyl ammonium bromide(TOA)를 얻었다. BSA 일정량을 전기영동한 후 5분동안 gel을 물에 씻어서 SDS를 제거함으로써 destaining 시간을 줄였으며, 20분간에 걸쳐 0.25% CBBR-250 과 1% TOA 혼합액으로 염색한 경우 25ng 까지 band 가 확인 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혼합액에 의한 단백질 염색이 CBBR-250 에서 보다 4 배 정도 감도가 큼을 알 수 있었다. 0.25 - 12.5㎍ 범위에서 4 가지 정제된 단백질에 대한 염색 정도와 단백질 농도와의 관계를 비교한 결과 4 가지 단백질 모두 CBBR-250 염색에 비해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다. 또한 SDS-polyacrylamide gel 에 있어서 TOA 혼합액을 이용한 염색 방법은 실험에 사용된 모든 단백질에 대해 기존의 염색 방법과 동일한 염색 pattern 을 나타냈다. 따라서 개선된 염색 시약에 의한 단백질의 염색은 기존의 CBBR-250 염색법보다 감도 및 정량성면에서 우수하여 polyacrylamide gel 상에서의 단백질의 검지 방법으로서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