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천지현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경제성장과 함께 기술과 교통 등의 발달로 산업구조가 산업화 시대에서 정보화 시대로 변화하였다. 이로 인해 산업화 시대에 운송, 생산, 교통, 저장, 가공, 제조업 등 주류를 이루었던 산업시설들이 본래의 용도와 기능을 상실하여 유휴화 되고, 도시에서 그대로 방치되고 버려지는 현상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유휴시설은 도시 미관을 저해시키고, 주변지역 쇠퇴의 원인이 되는 등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었다. 식물학 용어인 리좀은 들뢰즈와 가타리의 저서 <천개의 고원>에서 수목적체계의 리좀을 인용한 철학적 개념이다. 리좀은 모든 점이 열려있고, 시작과 끝, 중심이 없고 새로운 연결 접속을 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리좀의 특성을 유휴시설의 재생공간에 적용했을 때, 복합시설에 리좀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어 다양한 공간이 서로 다르지만 연결 접속되어 있고, 한 공간에서 어느 공간으로 연결 가능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공유 공간, 공공 공간 등에 대한 리좀적 분석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고, 복합문화공간이 여러 공간 중에서 리좀적 특성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는 점을 보아 복합문화공간과 리좀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리좀적 특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휴시설의 재생공간에 리좀적 특성이 나타남을 보아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리좀적 특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리좀의 특성을 추출하여 리좀적 특성을 접속성, 결합성, 다양성, 비위계성, 비연속성으로 도출하였다. 첫째, 접속성은 이질적인 두 공간이 나란히 병치 되었을 때를 의미하고, 둘째, 결합성을 이질적인 요소가 복수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이라고 정의 하였다. 셋째, 비위계성은 구조상으로 비위계적이고 이질적인 선들은 다양한 방향과 흐름으로 교환하고 상호 교차하여 복수성과 수평적인 구조를 갖는다. 또한, 모든 개체는 고정되지 않아 다양한 구성과 가능성을 만들고 지속적으로 변한다. 넷째, 다양성은 리좀은 예상할 수 없는 다양한 방향으로 뻗어서 확장되고, 기존 공간에 또 다른 다양체를 만들기도 하고 접속하여 새로운 구성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다양체는 주체도 객체도 갖지 않고 이러한 개체는 무한정으로 접속하며 사건과 행위를 만들어 다양한 구성이 된다고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연속성을 이용자들의 이동과 행위에 따라 중심의 위치가 계속해서 변화하면서 생기는 특성이라고 정의하였다. 재생공간을 활용한 유휴시설 중 복합공간은 공간과 공간이 병치되어 연결되고 다양한 지점에서 접근 가능하며, 복수적인 공간으로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들의 행위가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공간의 특징이 나타난다. 한편, 리좀적 공간은 이용자들의 우연한 선택에 의해 다양하고 불확정적인 경로를 갖고, 개별적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공간 구조를 가지는 걸로 나타나 유휴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의 복합시설과 리좀적 특성 접속성, 결합성, 비위계성, 다양성, 비연속성과 유사한 부분을 연결 지을 수 있었다. 따라서 리좀의 개념으로 볼 때 유휴시설로 재생된 공간을 해석하여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휴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 중 복합문화공간, 복합상업공간에 리좀적 특성이 반영되어 공간의 계획에 있어 참고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함에 의의를 가진다. 분석의 대상이 된 사례는 최근 5년 이내에 개관한 사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는데, 사례의 개수와 범위의 한계로 인해 지속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along with economic growth, the industrial structure transformed from the industrial age era to the information age. As a result, in the industrial era, industrial facilities, which were the mainstream of transportation, production, transportation, storage,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lost their original purposes and functions and became idle, and at the same time a phenomenon was observed in which they were abandoned in cities. These idle facilities undermined the aesthetic values of the city and has risen as a social problem, causing the decline of surrounding areas. The term rhizome, derived from a botanical term, is a philosophical concept citing the rhizome of the arboreal system in Deleuze and Guattari's book <A Thousand Plateaus>. The rhizome is open to all points, has no beginning, no end, and no center,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making new connections. When these characteristics of rhizomes are applied to the regeneration space of idle facilities, the rhizome’s characteristics are well shown in the complex facility, so that various spaces are connected while different,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from one space to any other space. Through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a rhizome analysis was conducted on shared space and public space, and considering that, among various spaces, the complex cultural space has similar characteristics to rhizome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rhizome. Nevertheless, research on the rhizom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rhizome 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regeneration spaces of idle facilities, and therefore, we intend to seek ways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By analyzing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rhizome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rhizomes were extracted, and rhizom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as connectivity, cohesiveness, diversity, non-hierarchy, and discontinuity. First, connectivity means when two heterogeneous spaces are juxtaposed side by side, and second, connectivity is defined as a characteristic in which heterogeneous elements combine in plural. Third, non-hierarchical structure is when non-hierarchical and heterogeneous lines exchange and intersect in various directions and flows to have a plural and horizontal structure. In addition, all objects are not fixed, creating various configurations and possibilities and constantly changing. Fourth, due to variability, rhizome expands in various unpredictable directions, creating another manifold in the existing space or connecting to it to create a new composition. In addition, manifolds are defined that has neither a subject nor an object, and these entities are indefinitely connected to create events and actions to form various configurations. Lastly, discontinuity was defined as a characteristic that occurs when the position of the center continues to change according to the movement and actions of users. Among the idle facilities using the regeneration space, the complex space is juxtaposed and connected, accessible from various points, and can be composed of multiple spac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a space is shown in which users' actions can be freely perform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hizome space has various and indeterminate paths due to the coincidental selection of users, and has a spatial structure that is individually juxtaposed side by side, it was possible to connect similar parts to the complex facility of the regeneration space using idle facilities and the rhizome characteristics of connectivity, cohesiveness, non-hierarchy, diversity, and discontinuity. Therefore, in terms of the rhizom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space regenerated as an idle facility to suggest a direction. In this study, among the regeneration spaces using idle facilities, the rhizom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complex commercial space, and thu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referenced in space planning. Cases subject to analysis were analyzed based on cases opened within the last 5 years, and continuous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due to limitations in the number and scope of cases.
초 저 전압 강하와 빠른 정착 시간을 갖는 디지털 피드백 방식의 저 전력 LDO 레귤레이터의 설계
천지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Normal, Boost, Retention의 3가지 동작 모드를 가진 디지털 피드백 방식의 LDO를 제안한다. CMOS 55nm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다. 입력 전압 범위는 0.8~1.5V이고, 입력 전압이 1V 일 때 출력전압 범위는 0.746V ~ 0.956V 이다. 비교기와 PMOS Switch Array, Digital Controller를 사용하여 전압을 레귤레이션하며, 비교기는 SAR 타입과 Flash 타입으로 구성되고 Normal, Boost 모드에서 사용된다. Normal 모드 일 때 정착 시간은 60us, Boost 모드 일 때 30us로써 Boost 모드를 동작 시켰을 때 2배 빠르다. Retention 모드는 Clock신호를 ‘OFF’하여 Digital Controller와 비교기를 ‘OFF’ 함으로써 최소한의 PMOS만 동작시켜 전류 소모를 16uA에서 4uA로 1/4배 감소시켰다. 이 때 전류 효율은 최대 99.996% 이다. 그리고 비교기의 출력으로 PMOS를 제어하기 때문에 PMOS가 Fully turn on, off되는 구조로써, PMOS가 Fully turn on 일 때 최소한의 RON값을 가지므로 44 mV의 초 저 전압 강하를 가지며, 이 때 전력 효율은 최대 93% 이다. 라인 레귤레이션은 11.4mV/V이고, 입력전압 0.8V부터 레귤레이션되며, 부하 레귤레이션은 8mV/mA이며, 5mA까지 레귤레이션된다.
정서적 불안정성과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ffective lability and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men an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5 married men and women in Korea. Participants responded the affective lability scale-short form,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marital satisfaction scale, and modified PANAS scale. Data from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correlation analy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model using 355 data,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ducted a mediating role between affective labi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coupl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of 68 couples in order to analyze the magnetic effect and counterpart effect,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en were men’s affective lability and women’s fulfillment of relatedness.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omen were women's fulfillment of relatedness, competence and men’s fulfillment of competence.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aily data of 24 married couples in order to study emotional ups and downs that experienced in life, emotional ups and down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arital satisfaction. However,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arit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ducted a mediating role between affective labi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for men and women were different. This indicates tha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uld be met to promote marital satisfaction, and that discriminatory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gender are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남녀의 정서적 불안정성과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기혼 남녀 355명이었으며 정서적 불안정성 척도-단축판,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 수정된 PANAS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는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55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부부의 정서적 불안성과 결혼만족도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68쌍의 부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남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자의 정서적 불안정성과 남자의 관계성 욕구 충족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자의 관계성 욕구 충족, 자율성 욕구 충족과 남자의 자율성 욕구 충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제 삶 속에서 부부가 경험하는 정서기복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4쌍의 부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서기복은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결혼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과 결혼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정서적 불안정성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과 남자와 여자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기본 심리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함은 물론 성별에 따른 차별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천지현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Christian poetries have the Christian factors in the sides of poets' imagination, sense of values and themes and are created on the basis of Christian theology. That is, Christian poetry means a typified work with the religious experience and aesthetic value. Like this, that religion creates the works of a new content and form combined by a style of literature is originated in that the man pursued the absolute as the only being. Park Du-Jin expressed the eternal life and truth, the providence of God, history and as ideal for the Christian God in the religious faith. The Christian consciousness found in poetries of Park Du-Jin are implemented into four. Firstly, it is an earthly paradise. He express the consciousness that they want to recover nature which God created the beginning of the world as poetries. He show the Christian ideal as the providence of God and the Christian ideal through the absolute relative things. we can know the expressions of the praise and yearning of the created nature are the most fundamental material in the Christian poetries. Secondly, it is the consciousness of salvation. It can divide into a cross and the resurrection consciousness, the reincarnation and judgment consciousness, and end and salvation consciousness. We can look around about the Christian belief in there. The poetry through the above mentioned materials is expressed a conviction and desire about religion faith of God and eternal love of human being God. Thirdly, it is a prayer consciousness. A prayer connect God and me. We demand belief to the absolute being about the heaven and the eternal life. Therefore, the poetry showed that he form a friendship with God through a prayer. Lastly, it is belief consciousness to God. It pursues the life of blessing and joy, escaping from darkness and frustration with the motif of liberation and salvation, the Exodus given to Israeil. It is expressed by the poetry of creative life as the liberal man. In the end, Park Du-Jin is based on the religion belief and idealize an adamant faith as the poetry.
광고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광고 언어를 활용한 표현 전략 지도
천지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학교에서의 쓰기 교육은 현재 매우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다. 내용도 많이 체계화되었고, 전문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쓰기 교육의 효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 언어를 활용한 쓰기 능력 신장에 목적을 두고 있다. 광고 언어를 언어 사용 기능의 실천적 자료로서 활용했다. 보다 흥미 있는 언어 사용 기능을 위해서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언어 현상에 대한 읽기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실제 광고 언어 자료를 통해서 규범을 정리하고 학생 개개인의 광고 언어에 대한 지식을 실제화했다. 광고 언어를 세분화하여 다양한 문장 유형 파악하기, 광고 언어 속에서 다양한 수사법 찾아보기, 새로운 어휘 창조 교육과 그 가능성 진단, 그리고 맞춤법, 띄어쓰기, 표준어 사용 등 규범 언어에 어긋난 표현을 찾아 국어의 쓰기 교육에서 지도해야 할 사항을 제시했다. 비판적 읽기 자료로서의 광고 문안은 어떤 광고 언어가 과장되고 진실성이 없는 것인가, 어떤 요소가 우리에게 호감을 주거나 불쾌감을 주거나 하는 것인지에 대해 비판할 수 있도록 했고 광고 언어를 통한 비판적 읽기를 통해서 우리 사회의 현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정해진 교과서가 아닌 열린 교재로서 소재의 다양성 측면에서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었다. 그리고 광고를 제작하는 교과서 단원을 제시했고 이 단원을 교수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광고 언어를 활용한 표현 전략 지도 방안’을 첨부했다. 좀더 학생 중심의 사고와 실용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대중 매체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광고 언어를 조직적으로 잘 지도함으로 바람직한 국어교육이 될 것을 기대한다.
초등학생의 학습접근양식에 따른 비유 만들기 특성, 대응 관계 이해도, 대응 오류,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천지현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이 연구에서는 ‘거름종이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원리에 대해 초등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특성과 대응 관계 이해도 및 대응 오류 유형, 비유 만들기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학습접근양식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른지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초등학교 4학년 92명을 선정하여 사전 검사로 학습접근양식 검사를 실시한 후, 비유 만들기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였다. 그 후, 비유 만들기 검사와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계적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보다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더 많은 수의 비유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든 비유 유형의 경우, 표현 방식(글, 그림, 글/그림)과 상황의 작위성(작위적, 일상적), 추상도(추상적, 구체적) 항목에서는 학습접근양식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비유와 목표 개념의 속성이 구조적 속성과 기능적 속성을 모두 공유하는 ‘구조적/기능적 비유’, 공유된 속성에 대한 부연 설명이나 비유의 제한점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부연 비유’, 목표물의 인과 관계에 대응되는 구조를 체계적으로 포함한 ‘고체계성 비유’를 더 많이 만드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유의미 학습접근양식을 지닌 학생들이 비유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적절한 비유를 선택하는 경우가 더 많았고, 자신이 만든 비유에 대한 대응 관계 이해도도 높아 대응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한번 이상의 대응 오류를 범하였다. 학습접근 양식에 관계없이 많은 학생들이 비유 만들기에 대해, 개념 이해와 기억 향상, 사고력 증진 등의 인지적 측면과 주의 집중, 친근감, 흥미나 호기심 유발 등의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유 만들기의 어려움, 많은 시간 소요, 대응 과정의 어려움 등과 같은 단점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바이나프틸 유도체를 이용한 OLED의 청색 발광 재료 합성과 소자 장치 특성
천지현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청색 발광 물질은 풀 칼러 디스플레이와 OLED 조명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OLED 기술은 풀 칼러 평면 패널 시장에서 상용화되었지만, 효율, 수명 및 색 순도를 포함해 여전히 더 나은 성능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binaphthyl유도체를 가진 청색 발광 물질인 4,4'6,6'-tetrabenzothiophenyl-2,2'-dimethoxy-1,1'-binaphthalene (5)를 Suzuki-Miyaura의 커플링 반응을 통해 라세믹 혼합물과 거울상 이성질체로 각각 합성하였다. 또한 열역학, 광학, 전기화학적 특성을 비교 측정하였으며, 이 물질을 청색 발광 재료로 사용해 OLED 소자로 제작했다. 다층구조의 소자는 ITO/NPB (40 nm)/5 (30 nm)/TPBi (20 nm)/Bebq2 (10 nm)/LiF/Al 순으로 제작되었다. 소자의 특성에서 순수 거울상 이성질체 발광 재료는 라세믹 혼합물 발광 재료보다 높은 휘도와 전류 밀도 및 좋은 효율을 보였다. 이후, 정공의 이동도를 비교하기 위해 hole-only 소자를 제작하였으며, 거울상 이성질체 소자가 라세믹 혼합물 소자보다 높은 전류 밀도를 보였다. 이 결과는 거울상 이성질체의 패킹 밀도가 라세믹 혼합물의 패킹 밀도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Blue-emitting material is crucial for developing full color display and lighting 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technology. Its device performances including efficiency, life time and color purity are still demanding, although OLED technology was commercialized in full color flat panel market.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racemic and enantiomeric blue emitter with a binaphthyl derivative; 4,4,6,6-tetrabenzothiophenyl-2,2-dimethoxy-1,1-binaphthyl (5) which was cross-coupled by Suzuki-Miyaura reaction, respectively. Its photophysical, electro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Multilayered OLEDs were fabricated by using 5 as an emitting material. A representative device structure was ITO/NPB (40 nm)/5 (30 nm)/TPBi (20 nm)/Bebq2 (10 nm)/LiF/Al. In device performance, enantiopure emitting material has better electroluminance and higher current efficiency than racemate emitter. In addition, hole-only devices were fabricated to compare the holes mobility. Enantiomer device has higher current density than racemate device. This result suggests that packing density of enantiomer would be higher than racemate’s packing density.
R. Schumann의 Carnaval Op.9를 중심으로 한 19세기 Character piece의 연구 : 고등학교 음악감상자료 개발
천지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캐릭터 피스는 음악작품에 있어 인간의 감정, 분위기, 풍경 등 음악 외적인 부분을 표현하는 짧은 단악장의 소품을 일컫는다. 주로 피아노 독주를 위해 작곡되었으며 단편적이고 즉흥적인 표현에 적합하여 19세기 낭만주의 작곡가들이 즐겨 사용한 장르이다. 19세기에는 합리성을 중시하던 계몽주의에 반대하여 이성이나 분별력보다는 감정을 중요시하는 ‘감정미학'이 등장하였고, 18세기 모방이론인 자연모방론에 반대하여, 예술의 창조라는 것을 원래부터 존재하는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 아닌 만들어져가는 자연이라고 보는 관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19세기에는 작곡가의 주관적인 독자성과 창조성만이 음악적 표현을 미적으로 정당화시킬 수 있었고, 이전의 소나타나 교향곡과 같이 형식감있게 구성된 작품 대신, 순간적인 감정을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장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미학관을 배경으로 19세기에 들어와 캐릭터 피스는 중요한 장르로 자리잡는다. 슈만은 많은 수의 캐릭터 피스를 작곡하였는데. 특히 그는 시적(詩的)인 환상을 음악 안에 암시하거나, 감정적이고 개인적인 사고의 표출을 문학과 관련시켜서 표현하였다. 그의 미학의 핵심인 ‘시적인 것’이란 일상세계보다 한 차원 승화된 세계를 뜻하는 것으로, 환상적이고 초감각적인 것을 말한다. 따라서 그는 형식의 엄격함에서 벗어나 감정과 표현에 있어 자유로움을 추구하였고, 외면적인 기교보다는 마음속에 떠오르는 ‘영감’을 매우 중시하였다. 슈만의 피아노 소품 <사육제(Carnaval Op.9)>는 슈만의 대표적 캐릭터 피스 중의 하나로, 20개의 짧은 소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표제에 나타나는 장면과 인물의 성격묘사를 통해 가면무도회의 분위기를 표현하고 있다. 이 곡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문학과의 연계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각 소품에 표제를 사용하여 곡의 분위기와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과, 다른 작곡가들에게서 볼 수 없었던 기법인 문자를 음명(音名)으로 사용한 점에서 잘 드러난다. 또한 이 작품에서는 실제 인물이나, 문학 속에서의 상상의 인물과 연관된 암시도 나타난다. <사육제>에 나타난 화성, 리듬, 선율 등의 음악적 요소들도 각 소품의 성격과 분위기 묘사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었는데, 다양한 리듬의 사용, 전조에 의한 화성의 변화, 반음계적 화성, 지속음(Pedal Point)에 의한 불협화음의 강조, 왈츠(Waltz)나 폴로네에즈(Polonaise) 등의 춤곡에서 유래한 선율들이 슈만의 몽상적인 즉흥성과 결합되어 표제의 성격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또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으려는 자유로움도 보이는데, 액센트나 음표처리로 박자감을 모호하게 만들기고 하고, 본 박자와는 다른 박자의 마디가 갑자기 등장하기도 한다. 선율면에 있어서도 소나타나 교향곡에서와 같은 주제적인 발전은 거의 볼 수 없으며, 짧은 음형의 모방이나 반복을 통해 동기를 강조하고 있다. <사육제>는 19세기 캐릭터 피스가 가지는 즉흥적, 주관성, 감정묘사적, 표제음악적인 특징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본 논문을 통하여 작곡가의 개성적인 창조성이 돋보이는 19세기 캐릭터 피스에 대한 이해에 보다 쉽게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Character piece means a short piece of a short movement which expresses the outside of music such as human emotions, atmosphere and scenery. It was mainly composed for piano solo, suitable for fragmentary and improvisatorial expression, and also a genre enjoyed by the 19th century's romanticist composers. In the 19th century, emotion aesthetics thinking highly of emotion rather than reason or sensibility, against illuminsm emphasizing rationality appeared, and also a point of view, ‘the creation of art is not imitating the existing nature but nature being created’, was stressed, against “nature mimicking”. Accordingly, only composer´s subjective originality or creativity was justified aesthetically, In the 19th century and a new genre which can directly reflect momentary feelings was needed instead of formally structured works such as the former sonata or orchestral music. Taking this point of aesthetic view as a background, character piece became an important genre in the 19th century. Schumann composed many character pieces, and especially he implied poetic fantasy in music or expressed emotional and individual thoughts relating to literature. Core of his aesthetics, ‘poetic thing’, means one-dimension more sublimated world than ordinary world, and it is fantastic and supersensitive. Accordingly, he pursued freedom in emotion and expression escaping the strictness of formality, and thought highly of ‘inspiration’ in mind rather than exterior skills. Schumann´s piano piece, <Carnival>, is one of his representative character pieces, made up of 20 short pieces, and expresses the atmosphere of a masked ball through describing character and scene in each title.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is piece is relation to literature in that title in each small piece represents the atomosphere and character of the piece, and it uses letters as a name of note, which had not found from other composers before. Also, this piece shows implications related to real character or imaginary ones in literature. Musical elements in <Carnival> such as harmony, rhythm and melody greatly affects each piece´s character and mood description, and the use of various rhythms, harmony change by modulation, semitone harmony, dischord harmony emphasis by pedal point and melodies coming from dance pieces such as Waltz or Polonaise well reveal the character of titles combined with Schumann´s daydreaming improvisation. Also, liberal character not restricted by forms appears ; beat becomes ambiguous by accent or not treatment and different beat suddenly shows up. When it comes to melody, there is no subject development as in symphony or sonata, and it emphasizes motives through mimicking short note forms or repetition. <Carnival> is a piece that well shows the improvisatory, subjective, emotional, and title-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19th century´s character piece, and this paper will helf approach the understanding of the 19th century´s character pie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