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협력 거버넌스가 사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코디네이터 제도를 중심으로

        차윤경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0년대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 대두 이후, 공공부문에서도 민간에서 주로 추구하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하게 노력해왔다. 효율성이란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인 ‘능률성’과 목표의 성취도를 중심으로 하는 ‘효과성’을 아우르는 복합적인 개념으로서, 오늘날 대부분의 정부 정책에서 추구하고 있는 하나의 핵심가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형 국책사업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2011년 도입된 코디네이터 제도를 협력 거버넌스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코디네이터 제도의 수준에 따른 과제수행만족도가 사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협력 거버넌스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코디네이터 제도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본 연구를 위해 여러 선행연구 및 사업 관련 자료들을 바탕으로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이론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협력 거버넌스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코디네이터 제도의 수준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연구책임자의 과제수행만족도를 매개변수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성과를 종속변수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협력 거버넌스의 수준, 과제수행만족도 및 사업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코디네이터 제도 도입 전인 2010년과 도입 후인 2011년 사이에 과제를 수행한 연구책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00명의 응답자 결과를 통해 실증연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협력 거버넌스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코디네이터 제도의 수준은 매개변수인 과제수행만족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 거버넌스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코디네이터 제도 도입 전인 2010년과 도입 후인 2011년의 정량적 성과인 특허출원 수를 각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설문문항을 통해 측정된 매개변수인 과제수행만족도와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제수행만족도와 정량적 성과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협력 거버넌스 도입 이후인 2011년에 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합해 볼 때, 협력 거버넌스인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코디네이터 제도의 수준 향상은 사업을 수행하는 연구책임자의 과제수행만족도를 높이고, 이러한 과제수행만족도의 제고는 사업의 정량적 성과를 창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협력 거버넌스의 수준 제고는 사업 성과 도출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함을 의미하므로, 협력 거버넌스의 수준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대한제국'에 관한 서술체제와 내용 분석

        차윤경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10년 8월 29일, 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긴 국치일이 지난 지 올해로 99주년이다. 고종이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선포한 1897년부터 일제에게 국권을 강점당한 1910년까지 14년간의 대한제국기는 한국 근․현대사상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역사적 평가 역시 매우 다양하다. 대한제국은 대외적으로 열강의 세력균형이 이뤄진 상황 속에서 자주독립을 천명하였으며 대내적으로 부국강병을 달성하기 위해 개혁을 추진하였지만, 결국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고 말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근․현대사 교과서󰡕에서 ‘대한제국’에 관해 어떻게 서술하고 평가하고 있는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역사교육의 다양성과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한다. 개항과 함께 근대사회로 넘어오면서 어려운 상황 속에 고종의 대한제국 선포는 어떤 의미가 있었는가, 그 당시 국가적 혼란 속에서 자주적 근대화를 위해 최선의 방법은 무엇이었는지 등, 현재 시점에서 대한제국의 역사적인 올바른 평가가 필요하다. 대한제국에 관한 일반적인 평가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개혁을 시도하려고 했으나 일제의 의해 큰 성과는 거두지 못하였다는 절충적인 평가는, 개혁의 역사적 성격에 대해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부정적인 평가로 뉴라이트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가 대한제국의 근대화를 부정하여 일제로부터 근대화가 이루어졌다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였다. 이에 반해 고종은 개명군주로서 근대화를 이루려고 노력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로 ‘내재적 근대화론’을 주장하기도 한다. 대한제국에 관한 평가는 학자들마다 상반된 견해를 보이기도 하고, 비록 결과적으로 평가는 같더라도 역사적 의미하는 바가 다르기도 하다. 이렇듯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에서도 조금씩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대한제국의 성립은 ‘국가의 생존’을 선택하여 전통적인 왕조체제 인식하에 황제의 지위를 강화하여 국가의 자주독립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대한제국은 왕조체제의 봉건사회를 탈피하지 못하고, ‘절대군주가 주도하는 근대 지향적 국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황제 중심의 대한제국은 나라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는 실패하였고, 결국 대한제국의 개혁은 일제의 침략에 의해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그런데 뉴라이트 󰡔대안교과서 근·현대사 교과서󰡕가 경제적인 근대화의 측면만을 강조하여 ‘식민지 근대화론’을 주장하는 것은 근대화의 단면만 바라보는 관점일 뿐이다. 이러한 역사관은 지금 현대사회에서도 경제적인 측면만을 강조하려는 정책으로 이어지고 있고, 현재의 교육정책에도 반영되고 있다. 이러한 과거의 ‘대한제국’의 평가를 통해 현재 당면한 국가문제들을 풀어가는 데 역사적인 평가기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역사교육’의 중요성은 앞으로 학생들에게 과거의 역사를 통해 미래의 역사를 다양하게 바라보게 하며, 올바른 역사인식을 형성하는 것이다. It has been 99 years since the national humiliation on August 29 1910 when Korea lost the sovereignty to Japan. The era of Daehan Empire, the 14 years from 1897 when King Gojong proclaimed Chingjegeonwon(稱帝建元) to 1910 when Japan occupied Korean national territory by force, is of significance in ideas of modern Korea, and thus there have been various views on it in terms of histo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how 「History of Modern Korea, Highschool Textbook」 describes and views Daehan Empire in order to clarify the variety and significance of historical education. Views on Daehan Empire may be divided to three in general. The compromise view that it attempted reform but did not make outstanding achievement due to Japan does not make a clear conclusion regarding the historical nature of reform in time. As one negative view, New Light claimed that 「History of Modern Korea, Alternative Textbook」 denied modernization of Daehan Empire, presenting ‘a theory of colonial modernization,’ which means that Japan modernized the country. On the contrary, there is ‘a theory of intrinsic modernization,’ the positive view that King Gojong attempted modernization as king of civilization. Views on Daehan Empir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mong scholars, and the historical significance may be different even if some come to the same conclusion in the end. Likewise, 「History of Modern Korea, Highschool Textbook」 as well is presenting various views. In conclusion, the foundation of Daehan Empire selected ‘the survival of the nation,’ strengthened the position of the emperor in line with the traditional system of kingship, and endeavored to maintain the nation autonomous. Thus, it could be said that Daehan Empire could not grow out of feudalism of the dynastic system as a modernity-oriented nation led by a absolute monarch. Daehan Empire centering on the emperor failed to overcome the national difficulty, and so did the reform due to the invasion of Japan. It is expected that this view on Daehan Empire would present a standard for historic evaluation to solve current national problems. This also contributes to helping students see the history in the future in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e history in the past,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history education by which they can cultivate sound appreciation of history.

      • 대학생의 성지식, 성교육, 인터넷 사용과 성행동의 관계 :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을 중심으로

        차윤경 한동대학교 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재외동포대학생의 성지식, 성교육, 인터넷 사용(음란물접촉)과 성행동을 일반대학생과 비교하고 성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올바른 성적 판단과 행동을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포항과 서울지역의 3개 대학교 수업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총 284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도구의 내용은 일반적 특성 12문항, 성지식 49문항, 성행동 43문항, 성교육 18문항, 인터넷 10문항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은 어떠하며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관계경험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은 어떻게 다른가? 둘째.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지식, 성행동, 성교육, 인터넷 사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지식, 성교육, 인터넷 사용이 성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는 총 284명으로 남자 47%, 여자 52.5%이며 연령은 17-31세이고, 전공은 인문계,사회계가 가장 많았다. 학년은 4학년(38.4%)가 가장 많았고, 동성친구와 거주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으며(71.8%), 거주형태로는 기숙사(61.6%)가 가장 많았다. 71.1%가 기독교였으며 종교활동은 비교적 열심히(34.9%)가 가장 높았다. 출신고교는 인문계(66.9%)가 가장 많았고 출신고교는 대도시(49.6%)가 가장 많았다. 현재 교제상대가 있는 학생은 33.8%였으며 외국유학경험은 43%였다.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성관계 경험에 따른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일반대학생은 23.75세에 첫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4학년(42.5%)이 가장 많았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61.5%는 현재 자취,하숙의 거주형태를 가졌고 성관계 경험이 있는 일반대학생의 37.5%는 기숙사의 거주형태를 가졌다. 종교활동상황 차이를 알아보면 성관계 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26.9%는 가끔씩, 성관계 경험이 있는 일반대학생의 35%는 보통이 가장 높았다. 출신고교유형 차이를 알아보면 성관계 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55.8%은 인문계, 성관계경험이 있는 일반대학생의 90%도 인문계로 가장 높았다. 교제상태 유무를 살펴보면 성관계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53.8%, 성관계 경험이 있는 일반대학생의 50%는 현재 교재상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관계 경험이 있는 재외동포대학생의 거주 국가를 살펴보니 북아메리카가 57.7%로 가장 많았고 외국거주유형으로는 어학연수가 30.8%로 가장 높았다. 둘째, 성지식은 일반대학생(M=72.64)이 재외동포대학생(M=71.40)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재외 M=71.94, 일반 M=73.19)이 여학생(재외 M=70.99 일반 M=72.14)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재외동포대학생은 일반대학생보다 형제자매(14.8%), 소설이나 성 전문서적(39.3%), 포르노나 성인만화(34.4%), 여성잡지나 성인잡지(42.6%)를 통해서 성지식을 더 많이 습득하였고 일반대학생은 재외동포대학생보다 인터넷(69.1%)을 통해서 성지식을 더 많이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행동의 하위유형 중 성충동은 재외동포대학생(M=19.67)이 일반대학생(M=17.23)보다 높게 나타났다. 첫 자위행위 연령은 일반대학생(M=15.12)이 재외동포대학생(M=15.20)보다 더 낮았고, 일주일간 자위행위 횟수는 재외동포대학생(M=1.57)이 일반대학생(M=1.19)보다 더 높았다. 재외동포대학생의 42.6%, 일반대학생의 24.7%가 성관계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고 그 중 첫 성관계는 호텔/모텔에서 가졌다는 학생이 재외동포대학생의 50%, 일반대학생의 32.5%로 가장 많았다. 일반대학생(8.7%)은 재외동포대학생(2.2%)보다 첫 성관계 후 바보스러운 감정을 가졌고 재외동포대학생(8.8%)은 일반대학생(0.9)보다 첫 성관계 후 기쁜 감정을 가졌다. 피임은 재외동포대학생(94.2%), 일반대학생(77.5%)가 가끔 또는 거의 매번한다고 대답했고 재외동포대학생의 7.7%, 일반대학생의 5%가 임신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성관계 후 재외동포대학생의 32.7%는 만족했다고 답했으며 일반대학생의 32.5%는 후회했다고 답했다. 첫 성관계 후 재외동포대학생의 34.6%, 일반대학생의 52.5%는 상대방과 관계가 더 좋아졌다고 답했으며 재외동포대학생의 71.2%, 일반대학생의 70%가 다시 성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성교육의 필요성은 재외동포대학생(M=3.23)과 일반대학생(M=3.64) 모두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성교육을 받은 시간은 재외동포대학생이 4.94로 일반대학생의 4.19보다 높게 나타났다. 재외동포대학생은 정규수업시간(40.2%)에 보건/양호교사(18.7%)로부터 일반대학생은 별도의 교육시간(33.3%)에 담임교사(22.4%)로부터 성교육을 가장 많이 받았으며 일반대학생(M=2.63)이 재외동포대학생(M=2.92)보다 조금 더 쉽게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에 인터넷 포르노 사이트 접촉 횟수는 재외동포대학생이 1.14회로 일반대학생 1.39회 보다 높았으며 한 달에 컴퓨터용 포르노 CD 접촉 횟수 역시 재외동포대학생이 1.52회로 일반대학생 0.37회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재외동포대학생의 성지식, 성교육 (효과),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인터넷(β=.318, p=.000), 성지식(β=-.303, p=.000), 성교육(β=.009, p=.870)순으로 나타나 재외동포대학생은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성행동에 가장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대학생은 인터넷(β=.229, p=.000), 성교육(β=-.136, p=.058), 성지식(β=.124, p=.080)순으로 나타나 인터넷만이 일반대학생의 성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학교에서 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강화하여야 한다. 학교에서의 성교육은 대부분의 학생이 그 필요성을 인식하였지만 재외동포대학생에 비해 일반대학생은 학교의 성교육이 그들의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재외동포대학생 역시 학교의 성교육이 성행동에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외동포대학생은 정해진 정규수업시간에 성교육이 실시되는 반면 한국은 별도의 성교육시간이 마련되어 실시된 것을 알 수 있다. 교육인적자원부(2006)에 따르면 초·중·고등학교의 성교육을 강화하고 학년별 성교육 시간을 반드시 10시간 이상 확보하여 외부 전문가 초빙 등을 통해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으나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문가나 전담교사보다는 담임교사에게 교육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정책이 올바르게 실시되기 위해서는 성교육 전담교사가 양성되어야 하고 양호교사의 성상담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필요성을 갖는다. 또한 인터넷이나 대중매체를 통한 왜곡된 성인식이 아닌 올바른 성가치관과 자기통제, 절제, 금욕 등을 교육하고 학교 성교육과 함께 가정이나 상담기관이 연계되어야 한다. 부모들에게는 자녀에게 성의 아름다움과 절제를 가르칠 수 있는 부부간/부자간 성 의사소통 등의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자녀를 유학 보내거나 외국에서 생활하게 될 때 성윤리나 자기 통제력과 같은 성교육이 필요하며 성에대한 잘못된 인식을 가르치고 모델링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건강한 성문화를 갖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재외동포대학생과 일반대학생 모두 인터넷과 대중매체를 통한 성지식 습득이 가장 높으며, 대학생들의 성행동이 높아지고 그 연령이 낮아지면서 낙태, 임신, 임신중절수술, 성병, 성폭력 등의 문제에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대학생들의 성행동인식과 양상의 변화에 맞는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재외동포대학생이 일반대학생보다 인터넷 음란물 접촉이 많은 것은 교육적인 차원과 건강한 성문화 차원에서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외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인터넷 음란물에 대해 더욱 많이 노출되며 이로 인한 성충동이나 성행동에 죄책감이나 부정적인 양상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은 한국의 일반대학생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귀국학생의 심리적 상황, 생활 적응에 대한 프로그램이 성교육 프로그램과 함께 병행되어 앞으로 건강한 성의식과 성문화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으로 귀국하는 재외동포대학생/귀국학생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들의 해외유학이 그들의 성지식, 성교육, 인터넷 사용과 성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더 심층적인 후속연구를 통해서 한국에 있는 일반대학생에게 어떤 영향력을 끼치게 되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Glutaraldehyde로 가교된 키토산 마이크로스피어로부터의 세파클러 방출 특성 및 경구약물송달

        차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구용 반합성 cephalosporin계 항생제인 Cefaclor는 반감기가 0.6 hr 정도로 짧고, 경구투여 후 4-6시간 이후에는 유효혈종농도 이하로 떨어져 항균력을 지속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Cefaclor는 소장상부에서 주로 담체수송되어 흡수과정에서 포화현상이 관찰되기 때문에 위에서의 체류시간을 연장시켜 투여첫수를 줄이고, 생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제형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efaclor의 Chitosan Microspheres를 제조하였다. Chitosan은 물과 유기용매에는 녹지 않으나 약산성 용액에는 용해되는데, 이 성질을 이용하여 w/o type emulsion을 조제하고, 가교제로 glutarldehyde를 사용하여 interfacial polycondensation method로 Microspheres를 제조하였다. Cefaclor Chitosan Microspheres는 제조시의 약물의 농도, glutaraldehyde의 농도, 가교 시간, Span 80^( )의 농도에 의한 Microspheres내의 봉입률 및 방출양상을 비교 평가하였고, 흰쥐에 경구투여 후 흡수 실험을 하였다. Cefaclor의 봉입률은 가교 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glutaraldehyd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가교 시간이 길수록,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방출은 지연되있다. 경구 흡수 실험 결과, Cefaclor 원말에 비해 Cefaclor를 봉입한 Microspheres의 투여시 MRT는 7,1배, t_(1/2)는 8.28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1), AUC는 1.34배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수용성 약물인 Cefaclor를 glutaraldehyde로 가교시킨 Cefaclor Chitosan Microspheres는 약물의 신속하고도 지속적인 흡수를 보여주었고, Cefaclor의 효과적인 약물방출제형으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Cefaclor chitosan microspheres were prepared by crosslinking an aqueous acetic acid dispersion of chitosan using glutaraldehyde. The chitosan dispersion contained cefaclor in liquid paraffin stabilized using span 80^(□) as a surfactan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Drug incorporation efficiency of the microspheres was variable(16.4-36.9%) depending on the preparation conditions. In vitro release of the drug in pH 1.2 and 6.8 buffer at 37℃ was affected by the crosslinking density, particle size,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initial drug loading content in the microspheres. Drug release was retarded by increasing glutaraldehyde concentration and crosslinking time. High drug release was observed by increase in drug loading content and surfactant concentration. When the cefaclor chitosan microspheres were administered to rats, controlled release (mean plasma concentration : 1.5 ~5 ㎍/mL) of cefaclor was observed from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profile.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cefnclor powder and cefaclor chitosan microspheres, cefaclor chitosan microspher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MRT (995.3 vs 140.23 min) and t_(1/2) (714.4 vs 86.24 mi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lutaraldehyde cross-linked chitosan microspheres might be a valuable system for sustained release of cefaclor.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분석연구 : 활동 영역 중 '노래 부르기'를 중심으로

        차윤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007년 7월 31일 발행된 『음악과 교육과정』개정안에 의거하여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16종의 ‘노래 부르기’ 영역을 분석하고, 2007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이 교과서에 올바르게 반영되고 있는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과정은 먼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후, 16종 교과서의 ‘노래 부르기’ 영역을 출판사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과서에 새로운 교육과정 내용이 얼마나 충실하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2010년부터 실제 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음악과 검정 교과서 16종의 분석 결과, ‘노래 부르기’ 영역은 가창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활동이 통합적으로 함께 제시되었다. 또한 이번 개정 중점의 하나인 ‘생활화’ 영역이 보다 실제적인 방향으로 접근되었고, 교과서의 구성방식 중 분석 대상의 절반 이상이 단원구성식 위주로 나아가고 있었다. 전체적인 맥락에서 볼 때, 한국곡의 비중이 외국곡에 비해 높았으며, 우리나라 민요는 그 비중이 전라도, 경기도, 경상도 순으로 나타났다. 국악 교육의 질적 제고를 통해 국악학습의 신장을 꾀한 다양한 실제적 지도방법과 활동들을 교과서에 제시하였으며, 아시아 음악의 여러 나라 중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음악이 가장 독보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시아를 제외한 외국민요는 중학교 1학년에게 적절한 제재곡을 가지고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를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점들이 모색되었다. 첫째, 학습의 흥미유발의 일으킬 수 있는 시각적으로 다채로운 색깔을 도입한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에 부합하고 학생의 입장에서 이해하기 쉬운 방향으로 학습내용을 담아내어, 학습동기와 더불어 성취감을 함께 경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음악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교재 편성이라고 본다.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시작으로 향후 편찬될 상위학년의 교과서는 ‘노래 부르기’영역뿐만 아니라 활동, 이해, 생활화 영역 간에 서로 균형 있고 연계성이 있는 교재로 나오기를 바라는 바이다.

      •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차윤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decades, Ministry of Environment(MOE) Republic Korea has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enhance the water quality for the public supply. Nevertheless, water quality has continuously degraded, since the extant regulations which limit effluent concentration and land use could not effectively control the overall increase of total pollution load. To break through the difficultie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Total Water Pollution Load(TWPL) management system, which manages the allocatable pollution load of a watershed to be within its environmental capacity. However, it seems premature to enforce this new policy, for national consensus is far to reach and technical support is not fully prepared. Therefore, hasty employment of TWPL is somewhat threatening to bring about severe conflicts and problems. This study largely consists of two parts. In the former part, the TWPL management system was analyzed in all its aspects, which clear problems and suggest potential improvements of the policy. A few of concepts related to this innovative policy are vague in part or missing the point. First, the definition of the margin of safety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all possible uncertainties in planning allocatable loads and by doing so, it would be imposed more systematically. Second, target water qualit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water quality standard, since it is rather temporary and pressing in its characteristics, whereas water quality standard offers the fundamental base. From a technological aspect, scientific selection of key pollutants, desirable application of water quality modeling and monitoring were examined into details. To keep up with the basic principle of TWPL, escaping from the current exclusive selection, key pollutants should be determined based upon the possible designated uses of a water body. For efficient modeling of water quality, not only are we supposed to establish more reliable pollutant data, but also the availability of various models should be expanded. So far, water quality has been monitored mainly in order to supervise wheth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 is successful. However, monitoring should be also performed before the plan is implemented. In addition, in executing the policy, positive support of local administrat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s compelling. MOE would attract the interest of local residents by providing public education as well as publicity activities. Furthermore, MOE is required to form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heads of pertinent cities and provinces. Introduction of the incentive system as an economic motive of the policy is controversial, since it might cause disputes in the matter of equity and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water quality, if the incentive fetches another exploitation. In the latter part, a case study was carried out to realize the reasonable methodology of waste load allocation. The study area was Gwangju city involved in the Kyungan stream watershed, and was simulated by QUAL2K, a 1D steady state water quality model. A schematic diagram of the model was constructed for 18.8km and 20.6km segments of the Kyungan stream and the Gonjiam stream, respectively. The model calibration was performed using 2002 water quality data of MOE for DO, BOD, Chl-a, SS, NO3-N, NO2-N, NH3-N, TN, PO4-P, and TP. Validation of the model was executed in the same condition with the calibration, using 2001 data. With the properly founded model, the water quality in the year of 2007 was estimated. As a result, the expected concentration of BOD, 6.14mg/L turned out to exceed the target water quality of Gwangju City, 5.5mg/L. To achieve the target water quality, 5 waste load allocation methods, such as equal percent removal, equal percent incremental removal, equal effluent concentrations, equal concentrations removal, and percent removal proportional to effluent load were investigated. Consequently, equal effluent concentrations method was proved to require the least load reduction, while equal concentrations removal needed the largest. It was concluded that the selection of an allocation method influence more on individual dischargers than on the whole stream segment. Hence, detailed effects on individual dischargers, that is, 4 sewage treatment facilities located in the study area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treatment costs among the allocation methods. The entire treatment cost of BOD load depends upon the cost of large-scale dischargers. If one point source has substantially higher influent levels, equal effluent concentrations result in higher overall treatment levels for that source. Equal concentrations removal methods seems to be against small-scale dischargers, while the proportionality rule is favorable to them. Equal percent removal might demand expensive treatment cost, especially burdening small sources with higher treatment level than needed. Last, sensitivity test was taken to evaluate the comprehensive security of the waste load allocation methods in the case a sudden disturbance of the water quality occurred. The changing rates of the BOD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responding to the change of BOD deoxygenation rate, BOD settling rate, and stream flow. For the change of BOD deoxygenation rate, every method showed identical altering rate, while the change of BOD settling rate led to unstable response of the percent removal proportional to effluent load method. The largest deviation was showed when stream flow change was applied. Among the methods, equal effluent concentrations method and proportionality method showed the least and the most sensitivity, respectively. This study aims at the multi-faceted consideration of the TWPL management system. Not only the analysis as a matter of policy, but a technological solution in search of the reasonable waste allocation methods was also suggested.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정부는 수질 개선을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농도와 면적 위주의 규제는 오염배출업소 증가로 인한 오염총량 증가를 억제할 수 없어 수질목표 달성의 한계를 드러냈다. 기존의 사후적 관리방법을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유역 내에 위치한 모든 오염원에 의한 수질 영향을 관리하는 유역 중심의 수질관리 방법을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과학적 토대 위에서 수계 구간별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그 목표수질을 달성&#8231;유지하기 위한 허용부하량을 산정하여 해당 총량관리단위유역 내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총량이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는 허용부하량 이내로 규제 또는 관리하는 제도인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제도의 이론적 고찰, 사회적 합의나 기술적 뒷받침 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미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도가 시행되어 향후 많은 마찰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제도의 도입으로 등장한 개념들을 정립하여 이들이 내포하고 있는 오해 및 갈등의 소지를 지적하였으며 모호한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는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오염총량규제와 구별되어야 하며, 비점오염원 및 불확실성이라는 중요 개념이 누락되었으므로 의미의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목표수질은 일시적이고 우선적인 관리목표라는 점에서 수질환경기준과 구별되어야 하며, 현재 중복 부과되고 있는 안전율에 대한 체계가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기본원리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대상물질의 과학적인 선정방법과, 모델링 및 모니터링 기술의 바람직한 적용방법을 모색하였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기본 원리상 획일적인 대상물질의 선정보다는 수체의 관리용도에 부합하는 지표의 선정이 바람직하며, 이는 현실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효과적인 수질 모델링을 위해서는 신뢰성 높은 오염원 자료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하며, 가용한 모델의 종류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한편 강우특성을 반영하여 비점오염부하량을 산출할 수 있는 유역모델의 사용이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현재 제도의 계획 과정에서 수질 모니터링은 사후 감시를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나 사전 모니터링 및 모델링을 위한 모니터링으로 적용 범위가 확장될 필요가 있다. 또한 획득된 모니터링 자료를 전국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정책의 시행과정, 즉 목록화나 주민참여, 인센티브 부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타 국가의 유사제도, 특히 미국의 TMDL 제도와 그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도출하였다. 목록화 과정은 제도의 시행에 당위성을 부여하고 과학적인 수체관리에 기여하므로 우리나라에 조속히 도입되어야 할 것이며, 본 제도는 자발적 주민 참여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법적으로 주민 참여 과정을 보장하도록 제도의 개정이 필요하다. 인센티브는 제도의 시행 동력으로서 작용하지만 분배 과정에서 형평성의 시비가 일 수 있고 오히려 수질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지급 형태의 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두 번째 과정에서는 연구의 정책 분석 과정에서 제시된 개선방안 중 제도의 기본계획이나 시행계획 과정에 반드시 포함되는 수질모델링 기술의 최적화된 적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사례연구로서 경안천 유역의 경기도 광주시를 대상지역으로 삼아 수리&#8228;수문학적 조건과 오염원특성에 적합한 오염부하량 할당 방법을 제시하였다. 하천 수질 모델은 1차원 정상상태 모델인 QUAL2K를 선정하였으며, 경안천 및 곤지암천 본류 각 18.8km, 20.6km에 대하여 모델을 구성하였다. 모델의 보정은 2002년의 환경부 수질측정망 자료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DO, BOD 등 총 9개 항목을 모의하였다. 보정과 동일한 반응계수를 사용하여 2001년 환경부 수질측정망 자료에 대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렇게 경안천 수계에 대한 적정성이 확인된 모델을 이용하여 2007년의 장래수질을 예측하였으며, 평수기 수질이 목표수질(BOD 5.5mg/L)을 상회하는 6.14mg/L로 모의되어 부하량 삭감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부하량의 할당방법으로서 동일 삭감율 할당법, 추가 부하량에 대한 동일 삭감율 할당법, 동일 농도 배출법, 동일 농도 삭감법, 배출량 비례 제거율 할당법의 다섯 가지 방법을 선정하였으며, 적용 결과 동일 농도 배출법이 가장 작은 삭감량을, 동일 농도 삭감법이 가장 큰 삭감량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할당방법의 선택이 전체 유역보다는 개별 배출자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고 더 상세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4개의 하수종말처리장을 대상으로 시나리오에 따른 처리비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비용은 대규모 배출시설에서 소요되는 처리지용에 의해 좌우됨을 알 수 있었고, 동일 농도 배출법의 경우 오염원의 배출농도 차가 현격할 때에는 적용이 부적절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동일 농도 삭감법은 유출 수질이 양호한 배출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며, 배출량 비례 제거율 할당법은 수질이 양호한 소규모 배출자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할당방법이다. 동일 삭감율 할당법은 전반적으로 높은 처리비용을 부과하며, 특히 소규모 배출자에게 필요 이상의 처리수준을 요구할 우려가 있다. 마지막으로 수질의 교란이 발생하였을 때 시나리오의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반응계수 및 유입유량의 변동을 이용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BOD deoxygenation rate에 대해서는 모든 시나리오가 거의 동일한 변동율을 나타내었으나, BOD settling rate에 변동을 가했을 때 배출량 비례 제거율 할당법은 불안정하게 반응하였으며, 비교적 시나리오별 편차가 큰 유입유량 변동에 대해서는 동일 농도 배출법이 가장 낮은 민감도로 반응하였고, 배출량 비례 제거율 할당법은 가장 큰 변동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시행 초기를 맞고 있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에 대한 다각적인 고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책적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했을 뿐만 아니라 구체적 연구방법론으로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시행에 있어 필수적 과정인 오염부하량의 합리적 할당방안을 모색하였다.

      • Randomized algorithms for query optimization

        차윤경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Computer Sciences 1991 해외박사

        RANK : 247615

        관계형 데이타 베이스 시스템에서의 질의 최적화는 조합형 최적화문제로서 질의가 커짐에 따라 완전 탐색을 사용하기가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에는 Iterative Improvement(II)나 SimulatedAnn(SA)과 같은 무작위 알고리즘들이 좋은 대안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무작위 질의 최적화 알고리즘어야 하는 탐색 공간의비용함수의 모양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행한 분석과 실험의 결과를 제시하같嚮�기초하여 II와 SA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새로운 Two PhaseOptimization(2PO) 알고리즘을 제�A, II, 그리고 2PO의 성능을 실험을 통하여 비교하고 2PO가 SA와 II에 비하여최적화 결과나 최육8涌【�모두 우수한 결과를 비용함수 모양 분석에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2PO를 작은 좇淏��대하여 지금까지 전형적으로 질의 최적화에사용되어온 System R 알고리즘과 비교한다. 탐을 제안한 후 기본적으로 완전탐색을 하는 System R에 비하여 2PO의 성능의 우수함을 보여줌으로로의질의 최적화에 2PO를 좋은 대안으로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탐색 공간에 deep tree와 bushy 모두 포함시키는 것이left-deep tree 만을 포함시키는 것 보다 비용함수모양을 더욱 부드럽게 만의 최적화 결과만이 아니라 질의 최적화 시간면에서도 더 나은 선택이 됨을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