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加味荊芥連翹湯이 慢性副鼻洞炎의 鼻腔纖毛運動에 미치는 影響

        진경선 圓光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비강의 점액섬모운동기능이 저하되어 비강내 정화기증을 저하시키고 만성부비동염의 여러증상을 야기시키는데 비강의 점맥섬모운동은 섬모운동과 비강 분비기능 그리고 섬모와 점액간의 관계에 의해 조절된다. 목적: 만성부비동염에 있어 점액섬모운동의 변화를 saccharine실험으로 가미형개연교탕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9월까지 원광부속전주한방병원에 내원한 40명의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0명은 치료전 그룹이고 20명은 치료후 그룹이다. 가미형개연교탕으로 치료하였고 환자들의 점액섬모수송기능을 saccharine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1)대조군에서 점액섬모 수송기간이 평균 13.4분이었다. 2)가미형개연교탕이 치료전 그룹에서 점액섬모 수송시간이 평균 27.7분이었다. 3)가미형개연교탕이 치료후 그룹에서 점액섬모 수송시간이 평균 13.8분이었다. 결론: 만성부비동염환자에 있어 지연된 점액섬모운동음 가미형개연교탕 치료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Background: Delayed mucociliary clearance develops the pooling of nasal secretion in the nasal cavity and is a common cause of vicious cycle of symptoms in chronic sinusitis, mucociliary clearance depends on the ciliary activity, the rheological property of the secretion and on the interaction between cilia and the mucous blanket. Objective: To demonstrate the theraputic effect of herbmedicine (Hyunggyeyungotang) on the mucociliary transport in the chronic sinusitis using saccharine. Materials and methods: Forty patients treated in our hospital between september 2000 and september 2001 were studied. Twenty patients are before therpy group. Twenty patients are after therpy group. Kamihyunggyeyungyotang was administered mainly. We analyzed the saccharine mucociliary transport time of patients. Results: 1) In the control group, the transport time is about 13.4 minutes. 2) In chronic sinusitis before a Kamihyunggyeyungotang therapy, the transport time is about 27.7 minutes. 3) In chronic sinusitis after Kamihyunggyeyungotang therapy, the transport time is about 13.8 minutes. Conclusion: Delayed mucociliary transport time in chronic sinusitis is earlier after Kamihyunggyeyungotang therapy.

      •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전문성의 관계

        진경선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전문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법 제2조 2항에 제시된 기관에서 활동하는 강사 2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강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정체성은 성별, 연령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부심, 사명감, 지속의도, 직업평판, 헌신, 개인-직업부합, 일체감, 감정이입은 평생교육강사 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둘째,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전문성은 연령, 학력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은 활동기간, 전문조직 활동은 자기계발 및 전문성 강화 관련 연수, 자기계발 및 전문성 강화 관련 교육방법, 평생교육강사 활동 준비기간, 소명의식은 평생교육강사 활동 준비기간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과 직업전문성은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이 직업전문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전문성의 전문조직 활동에는 헌신이, 공공서비스에 대한 신념에는 감정이입, 자기 규제에 대한 신념에는 감정이입이, 소명의식에는 헌신, 감정이입이. 자율성에는 개인-직업부합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의 직업정체성은 직업전문성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thesis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on 259 instructors working at institutions specified in Article 2, Paragraph 2 of the Lifelong Education Law are as follows. First, the occupational identity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differs in gender and age, and pride, mission, sustainability, job reputation, commitment, individual-job fit, unity, and empathy are significant in instructor activities. Second, the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differs i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belief in public services is identified in the period of activities.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ctivity differs in the self-development/professionalism-related training and instructor activity preparation, and calling is identified in the instructor activity preparation. Third, a positive correlation is obtained between occupational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Finally, it is verified that occupational identity influences professionalism for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f commitment on professional organization activity, empathy on belief in public services and self-regulation, commitment and empathy on calling, and individual-job fit on autonomy. The study represents that the occupational identity is relevant to the professionalism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 모녀관계의 재정립을 통한 자아탐구 : 노만의 작품 『출옥』(Getting Out)과 『엄마. 안녕』('night, Mother)을 중심으로

        진경선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 나는 마샤 노만(Marsha Norman)의 『출옥』(Getting Out, 1977)과 『’엄마, 안녕』(’night, Mother, 1982)에서 전통적인 기존의 모녀관계를 새롭게 재정립하는 일이 여성의 정체성 확립, 그리고 주체적 자아를 확립하는 일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 사회 하에서의 여성은 여성들 간의 유대, 특히 모녀간의 유대를 통해서만이 자신의 주체를 재정립하고 잃어버린 자아를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작가 마샤 노만은 자신이 쓴 이 두 편의 희곡작품 『출옥』과 『’엄마, 안녕』에서 강조한다. 노만의 연극은 형식과 스타일에 있어서 전통적인 사실주의를 추구한다. 노만의 연극은 여성관객으로 하여금 그들의 경험을 공유하게 해주기 위해 무대의 여자 등장인물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도록 유도한다. 이런 극적인 기법들을 이용하여 노만은 여성들로 하여금 자신의 현실을 깨닫고, 그들이 획득하고자 하는 정체성을 추구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이 작품들은 여성들 상호간의 관계, 특히 ‘모녀 관계’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서 여기서 나타나는 여러 다양한 모습을 그리고 있다. 『출옥』(Getting Out)에서 노만은 가부장제 하에 있는 여성들의 왜곡된 내적 삶을 표현하기 위해 사실주의에다 표현주의 기법을 혼합한 ‘융통성있는 사실주의(flexible realism)'의 형식을 가지고 극을 썼다. 주인공을 알린(Arlene)과 알리(Arlie)라는 분열된 두개의 자아로 그려 이들이 각각 한 인물의 과거와 현재를 나타내게 설정하고 있다. 작가는 이 분열된 두 자아가 분열된 상태를 극복하고 일체화되어 조화될 때 존엄성을 가진 인격체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리치(Andrienne Rich)에 의하면 가부장제 하에서는 모녀관계가 왜곡될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러므로 페미니스트들은 왜곡된 모녀관계를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한다. 리치를 비롯한 다른 많은 페미니스트들은 딸이 자신의 삶에서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모녀관계를 재정립하거나 기존의 모녀관계를 탈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노만의 『’엄마, 안녕』은 완전한 전통적 리얼리즘의 형식 하에 가부장적 사회 안에서 자신의 주체적 자아를 확립하려는 제시(Jessie)라는 여주인공을 그리고 있다. 제시는 남성들과의 관계에서, 그리고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문화에 길들여진 자신의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자기 삶의 주체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데 실패한다. 그래서 제시는 자신의 삶을 자살이라는 방법으로 멈추고자 한다. 이 작품은 자살을 하고자 하는 딸과 그것을 막으려는 엄마와의 갈등을 그리고 있다. 우리는 이 극의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엄마의 ‘용서해줘, 제시야. 나는 네가 이제껏 내 것인 줄로만 알았다”라는 대사에서 자신의 분신이라고 생각해 왔던 딸, 제시가 하나의 주체적 자아로서의 독립을 선언하며 자신으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엄마는 처음으로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고 참된 자기인식을 겪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만은 이 작품에서 전통적인 모녀관계의 변화에 대한 아주 작지만 명확한 가능성을 우리에게 암시하고 있다. 『출옥』과 『’엄마, 안녕』은 남성들이 타자인 여성에게 행했던 억압을 표출하여 새로운 결말을 제시한다. 두 작품은 남성중심 가부장제 사회를 대표하는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비판하고, 페미니즘 메시지를 전달하여 새로운 이데올로기를 개척하는 대중매체의 또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타자로 여겨져 육체적, 정신적으로 억압받는 여성이 다른 여성과의 만남과 유대 강화를 통해 자주성을 추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mother-daughter bonding and female identity redefined in Marsha Norman's two plays Getting Out and 'night, Mother. According to a feminist point of view, the patriarchy is the primary cause of the oppression of women. Feminist drama presents how women have been victimized and objectified by patriarchal authority and male gaze. In feminist plays, understanding and bonding between women are presented as solutions for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forming sisterhood and mother-daughter bonding, they expose their aspiration and effort to attain their own identity and autonomy as independent human beings. Patriarchy sees women not as independent and subjective beings but only in relation to men. It is said that women are inferior to men. They are often positioned in society as 'others' who are supposed to play roles subordinate to those of the 'subject' men. Feminist scholars point out that images of women in literature, as reflected by the patriarchy, don't express women's real lives. Marsha Norman's drama is realistic in the traditional sense in its overall form and style. Norman invites female audience to identify themselves directly with the female characters on stage and to share their experience. Marsha Norman's Getting Out and 'night, Mother both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themselves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Getting Out, Norman employs a flexible realistic form to deliver the feminist messages. The main character Arlene and her split self Arlie appear in Getting Out. Arlene struggles with the help of her upstairs neighbor Ruby to establish a new life. Encouraged by Ruby in her effort to overcome the victimization, Arlene is finally able to achieve her own identity. This play presents sisterhood as a way of fighting against the oppression of patriarchy. According to Adrienne Rich, mother-daughter bonding cannot but be distorted in a patriarchal society. Therefore, feminists insist that we search the causes of the distorted mother-daughter bonding and reestablish the divided mother-daughter. Arlene tries to cut herself off from her nother's influences to search for a new identity, which, as Rich has pointed out, becomes the token of feminist rejection of female victimization. Jessie in 'night, Mother is a women marginalized by patriarchal society. She has been thrown away by her father, her husband, and her delinquent son. Although presently in good health, Jessie's epilepsy has resulted in a lack of social experience and an increasing detachment from communal ties. Futhermore, she can't get a gob. Jessie has no beauty, talent, or popularity. she has also been oppressed and overlooked by patriarchal society. In 'night, Mother, Jessie's emotional life is dominated by a sense of helplessness, hopelessness, and overpowering loneliness. Jessie's suicide is the only way that she could control her own life. Jessie didn't want to go on to live a life of desperation like that of her mother Thelma. Jessie wanted to live a life of her own choice. In her present world, Jessie has no life. In the dialogue that follows, both mother and daughter struggle for some mutual understanding. Her decision to kill herself indicates her unwillingness to accept the hopelessly passive position to which she has been assigned. We could perhaps say that Norman intends to find a thin beam of hope in the one and final connection Mother makes at the very last moment of the play when she says, "Forgive me, Jessie. I thought you were mine." In 'night, Mother, Norman perhaps attempts to suggest us a possibility of bringing some small but definite changes in the traditional mother-daughter bonding.

      • 마인드 맵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방안

        진경선 창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stbasic foundation in a teacher's role is to make students solve their question, realize a mathematical concept and principle and utilize these by themselves through the class centering students. In order to make a classroom environment that students become a master,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apply various methods and to device much newer idea for problem solution in free environment rather than controlling students by teachers in classroom. This treatise suggested several ways that can take advantage of mind map in actual mathematics class and introduced teaching guidance for mind map that enables students to study for themselves using the function of a left and right brain effectively. First, teachers can take advantage of mind map at the beginning and arrangement stage of the class. Second, to take advantage of mind map in a small groupactivity. Third, it is to write. Fourth, students can summarize one chapter through using mind map. Fifth, we can utilize mind map as a problem posing activity. Sixth, we can select mind map as a subjec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Mind map is a way to express person's thinking with key words of an image and sign, various kinds of color and dates, and it may become a new and interest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enhance memory as well as originality and thinking ability.

      • 永久賃貸住宅 居住民의 住居選好에 관한 硏究

        진경선 全南大學校 産業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20여년간의 주택정책은 주택보급율을 제고시키는 것을 주요 골간으로 시행되는바, 대량건설·대량분양정책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20여만호의 신규주택을 공급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기간동안 급속히 진행되어온 도시화·핵가족화 추세로 인해 도시가계의 주택부족율은 오히려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더우기 일정 소득수준 이하의 저소득계층에게는 주택공급의 물량적 확대정책만으로는 이들의 주거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음이 지난 수년간의 통계자료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이는 「공급의 경제성」에 입각한 분양위주 주택정책의 한계성에 그 원인이 있겠으나 주택시장에서의 「여과과정」에 대한 가정이 일정 소득수준 이하의 계층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데에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1984년 12월의 임대주택건설촉진법의 제정과, 최근들어 공공부문에서의 영구임대주택 공급은 이와 같은 현실적 상황을 직시한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의 여과과정에 최하 단계에 서 있는 영구 임대주택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한 주택의 잠재적 선호도를 도출하는데 그 기본 목적을 두고서, 주거이동 및 주거선호에 관한 그간의 이론과 접근 방법을 고찰하고, 주거선정에 미치는 인자들을 정리한 후에, 이러한 인자들을 바탕으로 하여 설문지를 작성함과 아울러, 광주시에 산재하고 있는 영구 임대주택의 현황과 소재를 파악하여 연구 목적상 합당한 표본을 확정한 후에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영구임대 아파트를 설문지 배포후 회수의 형식을 통하여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계팩키지인 SPSS와 PC-MDS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미래 주택 시장의 수요자인 영구임대주택 거주민을 대상으로 주택선정인자와 인자들 도출하고, 인자간의 선호순위을 도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적으로 영구임대주민이 주택선정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의 순은 일상생활 거리 - 주택의 가격 - 주택의 크기 - 건물의 향 - 주택내 활동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2. 전반적으로 주택을 선택함에 있어 일상생활거리인자의 중요도가 매우 높이 나타났다. 이것은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못하는 영구임대주택 주민이 주택의 구입보다는 주변시설에 커다란 중요도를 주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유일 것이다. 3. 과거의 이주경력, 즉 이주경험, 전에 살던 거주형태에 따라 각기 다른 주거선호도를 나타내고 있다. 4. 임대주택 거주자는 이주의지에 따른 주거선호도에서 주택의 소유형태나, 주택의 크기, 실의 수에 따르른 각기다른 주거선호를 나타내고 있다. 5. 가족수가 많은 경우는 방의 수와 거실 및 부엌의 크기에 많은 중요도를 두고 있다.

      • (The) role of verbal information in reasoning about others' actions in infancy

        진경선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Recent research revealed that by 16.5 months of age, infants can interpret a change in others’ word as signaling a change in others’ goal (Song, Baillargeon, Fisher, & Woodward, in prep.). The current research tested infants younger than 16.5 months in a modified procedure. To help younger infants interpret actor’s action, the current study provided infants with more time between actor’s word and action than in the prior studies. Fourteen-month-old (Experiment 1) and 12-month-old infants (Experiment 2) were assigned to a two-word or a one-word condition. The infants in the two-word condition were first familiarized with an event in which an actor said a novel word (“Modi!”) three times and grasped one of two objects. During test phase, the infants heard the actor say a different novel word (“Papu!”) and saw the actor grasp the other object (new-goal event) or the old object (old-goal event). The infants in the one-word condition saw the same familiarization and test events but heard the same word in familiarization and test. In the one-word condition, the infants looked reliably longer at the new-goal than at the old-goal event; in the two-word condition, in contrast, the infants looked reliably longer at the old-goal than at the new-goal ev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14- and 12-month-old infants can perceive a change in actor’s verbal information as signaling a change in her goal object when given sufficient time to process words and actions. To further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linguistic effect, in Experiment 3, 12-month-old infants saw the same events but heard two distinct sounds instead of two words. The infants looked reliably longer at the new-goal than at the old-goal test ev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anguage may play a distinctive role in infants’ reasoning about others’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