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삼(Saliva miltiorrhiza Bunge)추출물의 항생제 내성균주 (MRSA)에 대한 항균활성 및 내성 유전자조절 효과

        지영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tate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Saliva miltiorrhiza Bunge 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nd resistant genes regulation and will ensure safety to MRSA. 1. Screening of 122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for antimicrobial activity using disc diffusion method against S. aureus ATCC 25923 indicated that Asi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and Salvia miltiorrhiza Bunge were most active by showing of inhibition zone 19 mm and 18 mm, respectively, at 2.5 mg/disc. Moreover, the extracts of these plants showed inhibition zone against MRSA KCCM 11812 as 18 mm at 5 mg/disc. However, Asi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is inedible because of its strong toxicity. From the results, Salvia miltiorrhiza Bunge was selected for further tests. 2. Salvia miltiorrhiza Bung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lso, the extract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gainst various MRSA, such as KCCM 11812. The MIC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methanol extract against various MRSA were 1.25 < MICs ≤ 2.15 mg/mL. MRSA KCCM 40510 was killed at 2 mg/mL by the extract after 24 hr of cultivati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methanol extract was observed at the same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MICs. 3. Various solvent fraction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methanol extract were test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 aureus and MRSA. The results showed inhibition zones of hexane (16 mm) and chloroform (14 mm) fractions against MRSA KCCM 40511 at 1,000 μg/disc. The hexane fraction showed greater inhibitory effect than the chloroform fraction. 4.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change of MRSA according to the hexane fraction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methanol extract) 25 μg/mL treatment, SEM and TEM of MRSA KCCM 40511 were measured. The results from SEM and TEM showed decreased number of bacteria, lysis and damaged cell wall. 5.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inhibited the expression of resistant genes MecA, MecI, MecR1 and FemA using RT-PCR method. Moreover, western blotting assays showed that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inhibited the expression level of resistant protein MecA, PBP2a. 6. MRSA was isolated from raw chicken and the resistant genes were detected by RT-PCR method. The expressions of resistant genes from MRSA were inhibited by the hexane fraction as detected by RT-PCR and Western blot assay. In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aureus and MRSA. It also inhibited expression level of resistant genes. Therefore, with more researches on identification, action mechanism and toxicity test of active compounds, the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are expected to be natural sources for the developments of functional foods and will ensure safety to MRSA.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균 (MRSA)에 대해 항균 활성 및 내성유전자 조절 물질을 찾아 MRSA에 대해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122종의 천연약용식물로부터 항균 물질을 검색하고 선별된 단삼 추출물을 분획하고, MRSA에 대한 항균 활성 및 내성 유전자 조절 효과를 조사하였다. 1. 122종의 천연약용식물 추출물을 disc diffusion method로 S. aureus ATCC 25923에 대한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세신이 19 mm로 가장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였고, 단삼이 18 mm로 측정 되었고, 황련, 가자, 감초, 호장근, 강향, 고삼 등에서도 항균 활성을 보였다. 122종의 천연약용식물 추출물 중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던 추출물 6종을 농도별로 MRSA KCCM 11812에 대한 항균 활성을 검색한 결과 세신, 단삼, 황련, 가자, 호장근, 감초 순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고 농도인 5 mg/disc 농도에서 세신과 단삼이 18 mm로 같은 항균 활성을 보였지만, 2.5 mg/disc 농도에서는 세신이 15 mm, 단삼이 13 mm로 낮은 농도에서는 세신이 단삼 보다 더 우수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세신은 독성이 강하고 식용이 불가능함으로 식용 가능하고 식품 주원료로 쓸 수 있는 단삼을 최종적으로 선별하였다. 2. 최종적으로 선별된 단삼 메탄올 추출물의 S. aureus 및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S. aureus에서 MRSA보다 항균 활성이 더 우수 하였으며, 다음으로 penicillin에 내성을 보이는 MRSA KCCM 11812, methicillin의 내성을 보이는 MRSA KCCM 40510, gentamicin에 내성을 보이는 MRSA KCCM 40512, 그리고 methicillin과 gentamicin에 다제 내성을 보이는 MRSA KCCM 40511순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단삼 메탄올 추출물의 S. aureus 및 MRSA에 대한 최소저해농도 (MIC)를 측정한 결과 항균 활성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생육곡선을 24시간 동안 측정한 결과 5균주 모두에서 control의 경우 유도기, 대수기, 정상기를 거치면서 빠르게 성장 하지만 MIC농도로 단삼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 하였을 때는 균이 성장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단삼 메탄올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hexane, chloroform 분획물 에서 S. aureus 및 MRSA에 증식을 억제하여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특히 MRSA KCCM 40511의 경우 hexane 분획물의 1,000 μg/disc 농도에서 16 mm의 항균 활성을 보였지만 250 μg/disc 농도에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chloroform 분획물은 1,000 μg/disc 농도에서 14 mm의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는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단삼 hexane 분획물이 chloroform 분획물 보다 고농도에서 더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MRSA의 형태학적 변화 관찰을 위해 고도 내성균주인 MRSA KCCM 40511에 단삼 hexane 분획물을 처리하여 주사전자 현미경을 관찰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단삼 hexane 분획물을 25 μg/mL 처리한 균의 경우 균수가 줄어들고 용균되어 손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투과전자현미경을 관찰한 결과, 대조구는 세포벽의 형태가 두껍고, 뚜렷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단삼 hexane 분획물을 25 μg/mL 처리한 균의 경우 균수가 줄어들고 균의 세포벽이 용해되고, 얇아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단삼 추출물의 내성 유전자 억제 효과 측정을 위해 RT-PCR법을 수행한 결과 MecA유전자의 경우 단삼 hexane 분획물 10 μg/mL의 낮은 농도에서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MecR1, FemA유전자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Western blot법에 의한 내성 단백질 발현 변화를 조사 한 결과 RT-PCR법에 의한 결과와 유사하게 단삼 추출물이 MecA의 발현을 억제으며 또한, MecA의 의해 합성되는 PBP2a의 발현도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두부, 상추, 생닭, 쇠고기 (국산), 쇠고기 (수입), 돼지고기에서 MRSA를 분리 및 확인 한 결과 생닭에서 MRSA가 분리 되었다. RT-PCR법에 의해 생닭에서 분리한 균의 내성 유전자 발현 조사를 한 결과 단삼 hexane 분획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내성 유전자 (MecA, MecI, MecR1, FemA) 발현을 억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Western blot을 수행한 결과 또한 내성 단백질 발현 (MecA, PBP2a)을 억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로 볼 때, 단삼 hexane, chloroform 분획물이 항균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중 특히, 단삼 hexane 분획물에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MRSA에 대한 항균 활성뿐만 아니라 내성 유전자 조절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들 활성성분들의 규명과 단삼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 대한 독성평가가 병행된 후 식품에 소재 혹은, 포장재 등으로 활용한다면 MRSA로부터의 안전성이 확보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 이성분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제조조건에 따른 구조와 물리적 성질

        지영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Meltblown is one of the most popular processes to make ultra-fine fibers on the micrometer scale. It is one step process in which high velocity fluid, normally air blows molten thermoplastic resin from an extruder die tip onto a collector. Since melt blowing technology involves many factors, such as die temperatures, throughput, die geometry, air flow rate and its temperature, die-to-collector distance and collector speed. Processing two polymers together to produce bicomponent meltblown nonwoven is even more complex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mponents. Furthermore, notable differences may exist between the bicomponent fiber components in terms of thermal stability and response, fiber densities, and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to controlling processing parameters for the most efficient melt blowing operation. The primary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investigate the optimum conditions of PP/PET, PET/CoPET and PET/PHB. And we establish the equation of final fiber diameter onto the different viscosity and spinning temperatures. Optimum conditions are as follows; 1. Optimum condition of PP/PET is spinning temperature 295℃, I.V. of PET 0.46. 2. Optimum condition of PET/CoPET is fiber portion 80/20, spinning temperature 290℃. 3. Optimum condition of PET/PHB is fiber portion 70/30, spinning temperature 280℃ and air temperature 285℃. And we also establish predicable equation of fiber diameter on PP/PET process. The established theoretical equation of fiber diameter in PP/PET bicomponent meltblown process as follows: The results from the theoretically established equation for the fiber diameter of bicomponent meltblown nonwoven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other hand, the established equation needed consideration of bonding behavior of PP on the spinning temperature over 300℃.

      • 다문화 그림책 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 및 인종에 대한 인식변화에 미치는 영향

        지영주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on the change of children's attitude of understanding multiculture, the sub variables, and the change of their perception of races, and then selected 20 people as control group and 20 people as test group, by targeting 40 children under 5 from H kindergarten in Gumi-Si, Kyungbuk. The problems for study are as follows. Problem for study : How do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ffect the change of children's attitude toward the other culture and the change of their perception of races? 1-1. How do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ffect the change of children's attitude toward the other culture? 1-2. How do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ffect the change of children's perception of races? In this study,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children who should prepar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by aiming for the common goals in the society where lifestyles and values are diversified due to the information-oriented, globalized and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est has been conducted for 4 weeks from August 1 to August 31, 2010. By using 8 volumes of picture books, 2 volumes per week for 4 weeks,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as been performed. With respect to testing tools, the questionnaires that have been used for testing the children's perception, preference and attitude towards races in the studies by Eom, Misuk (1999) and Song, Sukjin (1999) have been used by Park, Seonyung(2001)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And then Kang, Minjung(2008) has used th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ols that suited for the purpose of study and with regard to the multicultural picture books used in this study, "10 methods to analyze the books for the ani-bias children" represented by Derman-Sparks (1989) and the books related with multiculture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been selected as target. Also, to identify the homogeneity of the children, the target for study, t-test has been performed. And in order to verify the problems for the study, an analysis of covariance was conducted, and SPSS 18.0 program has been used. A summary of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children's attitude, the sub variables of the attitude of understanding multiculture. Secondly,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have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of children's perception of races and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ith various genres and subject matters are useful for the education to understand multiculture. Therefore,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is effective in helping children to perceive multiculture and for cultivation their attitude to positive viewing of multicultureely viewing, and it is necessary to use the literary activities by using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with various genres and subject matters for the education of understanding the other cultures. 본 연구는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이해 태도의 하위 변인인 타문화에 대한 태도 변화와 인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북 구미시에 소재한 H유치원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와 인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타문화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인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급속히 변화하는 21세기는 지식의 정보화, 국제화, 다문화 사회로 생활양식과 가치관이 매우 다양한 문화의 세계에서 공동의 목표를 지향하며 의사소통할 수 있는 지식, 태도, 기술을 준비해야하는 유아들에게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문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기간은 2010년 8월1일부터 8월 31일까지 4주 동안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에 사용된 그림책은 매주 2권씩 8권을 4주간에 걸쳐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엄미숙(1999), 송숙진(1999)의 연구에서 유아의 인종에 대한 인식과 선호 및 태도를 검사하는 도구로 사용한 면접지를 박성연(2001)이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이를 강민정(2008)이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한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활용한 다문화 그림책은 Derman-Sparks 등(1989)이 제시한 “반편견 어린이 도서 분석의 10가지 방법” 및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추천한 다문화 관련 도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유아들의 동질성을 알아 보기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이해 태도의 하위변인인 타문화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 긍정적으로 만드는데 효과가 있다. 둘째,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이 유아의 인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다문화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은 유아가 다문화를 인식하고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태도를 함양하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다양한 장르와 주제의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 활동은 다문화이해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동적인 제조환경에서의 유연한 생산 스케줄링을 위한 TOC/JIT/MRP 통합 모델에 관한 연구

        지영주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급변하는 시장환경으로 인한 제조의 복잡성과 동적 특성의 증대는 기업으로 하여금 리드타임 단축과 재공품의 감소, 납기일 준수를 위한 기술적 방법의 개발과 조화의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게 한다. 전통적으로 기업에서 생산 계획 및 통제를 위한 방법으로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와 JIT(just-in-time)를 사용하여 왔으나, 이 두 시스템은 자재의 투입 방식에 있어 각각 밀어내기(Push)와 끌기(Pull)방식으로서 상호 모순되는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이들은 각각 몇 가지 단점을 내포하고 있는데 특히, MRP는 자원의 능력을 고려치 않고 생산계획을 세운다는 단점이 있고, JIT는 수많은 제약조건에 의해 현실적인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기존 생산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으로 알려진 TOC(Theory Of Constraints)의 DBR(drum-buffer-rope) 생산 방식은 제약자원이 되는 CCR(Capacity Constraining Resource)을 중심으로 5단계의 개선 프로세스를 통해 생산이 통제, 관리되는 방식이다. TOC_DBR은 CCR을 중심으로 생산을 진행함으로써 기업들이 작업장 스케줄링 (shop floor scheduling)시 공장내의 동적인 제조 환경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생산계획 및 통제 시스템인 MRP와 JIT의 단점을 극복하고 최근 혁신적인 생산이론으로 주목받고 있는 TOC_DBR의 장점을 접목하여 동적인 제조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생산 가능한 유연한 생산 스케줄링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개발된 유연 스케줄링 시스템의 성과를 증명하기 위하여 가상의 생산환경을 설정하고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은 TOC의 장점을 이용하고, 이를 기존 생산시스템에 보완적으로 접목시킴으로써 동적으로 변화하는 제조환경에도 쉽게 적응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유연한 생산 계획 및 통제 시스템이 될 것이며, 따라서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비용도 절감시키게 될 것이다. Recently, manufacturing enterprises have been required to establish the production planning and control system appropriate for lead time shortening, an WIP(Work-In-Process) reduction and a due-date observance. A few traditional approaches such as MRP(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and JIT(just-in-time) have been adopted to production scheduling & control system in manufacturing enterprises. While MRP plans production schedule without considering capacity, JIT lacks of realities owing to complexity of manufacturing system. However they can be combined efficiently by cooperation and by being grafted with a new production scheduling approach called TOC-DBR(drum-buffer-rope). TOC mainly manages the CCR (Capacity Constraining Resource) which is the bottleneck resources in the shop floor. This method is controled and managed by 5 phases improvement processes. By considering CCR, TOC_DBR can cope with dynamic manufacturing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e thesis is to develop a felxible scheduling model that can efficiently produce products under dynamic manufacturing environments. To this end, TOC_DBR is grafted with conventional MRP and JIT approaches. To demonstrate the developed flexible scheduling model, a virtual manufacturing environment and a simulation model have been tested system. Since the proposed approach grafts TOC's advantages with traditional manufacturing system, it will provide a conceptual framework for developing practicable and flexible manufacturing scheduling system to support on dynamic manufacturing environment. Accordingly, it will improve enterprise's productivity and reduce c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