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한 재료 최적 선정 방법

        지동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자동차에 사용되는 여러 부품 중에서 주어진 요구조건에 가장 적합한 재료를 선정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재료물성값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여러 가지 설계제한조건을 만족하면서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최고의 성능을 가지는 재료를 선정하기 위해 제한조건들의 조합, 제한 조건들 사이의 상대적 우선성 부여, 후보재료 수집 등의 구체적인 선정 기법을 설명하였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차체외판, 범퍼, 플라이휠 재료를 선정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선정기법을 활용하여 특정 설계대상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으로 구현한다면 재료에 대한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한 설계 엔지니어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ystematic method helps to select the optimal material for an application is described. The selection procedure to satisfy various design criteria is aided with material database. Combination of criteria, rating the priority or weight factor of each criterion, and screening candidate materials group are included. As case studies the material selection process on automobile outer body plate, bumper, and flywheel are suggested. If this selection method is realized as an expert system it will be useful for an design engineer who is not an expert on materials.

      • 브레이싱으로 보강된 철골구조물의 비탄성 내진해석

        지동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Seismic inelastic analysis was carried out to braced fifteen story steel frame designed based on SC-WB concept. El Centro was applied with peak ground acceleration 0.2g, 0.3g and 0.4g. Step by step integration method was used to solve dynamic equilibrium equation. the result of dynamic inelastic analysis in the case of 0.4g was compared with that of elastic analysis. By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linear elastic analysis and inelastic analysis, relatively smaller displacement in the case of inelastic analysis than linear elastic analysis was found and the fact of the formation of the plastic hinge has a effects of stress dispersion make economical design possible at the strong earthquake. As a inelastic analysis result, the size of diplacements and plastic hinge in the braced steel frame decreased than unbraced steel frame. In the case of unbraced steel frame plastic hinge was first formed in lower story, and in the case of braced steel frame plastic hinge was first formed from higher story and developed to lower place. This facts shows that braced steel frame is more safer than unbraced steel frame in earthquake and economical. The present study also shows that inelastic analysis is necessary in seismic design permitting inelastic behavior and the failure mode of the structure can be estimated by the inelastic analysis.

      • 역구조 유기태양전지를 위한 CuPc/C60/K 도핑된 MoO3의 계면전자구조 연구

        지동현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interfacial electronic structure of a bilayer of copper phthalocyanine (CuPc) and fullerene (C60) grown on potassium-doped MoO3 substrates has been evaluated by X-ray and ultraviolet photoemission spectroscopy. The work function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potassium-doping rate and the energy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level of the CuPc layer and the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level of the C60 layer (ED HOMO - EA LUMO) was determined and compared to that grown on undoped MoO3 substrate. This result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f the work function and resistivity of each substrate. We also obtained complete energy level diagrams of them. 칼륨으로 도핑된 MoO3 기판 위에서 성장된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및 풀러린(C60)의 이중층의 계면 전자 구조가 X선 및 자외선 광전자 방출 분광법에 의해 평가되었다. 일함수는 칼륨 도핑 속도의 함수로서 측정되었고, CuPc 층의 최고 점유 분자 궤도(HOMO) 수준과 C60 층의 최저 비 점유 분자 궤도(LUMO) 수준 사이의 에너지 차이(ED HOMO - EA LUMO)를 결정해서, 도핑되지 않은 MoO3 기판 위에서 성장 시킨 것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각 기판의 일함수와 저항의 차이에 의해 논의된다. 우리는 또한 이들에 대한 완전한 에너지 레벨 다이어그램도 얻을 수 있었다.

      • 보강재를 적용한 고강도강재의 극한거동에 관한 연구

        지동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교량의 설계의 편의성과 내구성 확보, 유지관리는 물론 미관상 우수하고 경제적인 구조물에 대한 인식으로 고성능, 고기능의 건설재료가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국내에서 고강도강재가 개발되었지만, 적합한 설계기준과 적용성에 있어서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부판의 폭 - 두께비 (세장비)변화를 주어 복부판 두께 감소와 2차 부재의 감소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고 세장비의 범위를 규명하였다. 판의 좌굴강도 이론과 탄성좌굴 이론을 근거로 하여 유한요소 구조해석을 수행하였으며, AASHTO LRFD (2010) 시방서와 국내 도로교설계 기준 (2010)의 수직보강재 부분의 설계식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강종별로 I형 플레이트거의 극한거동과 지간에 따른 피로응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MIDAS Civil을 이용하여 구조해석을 하였으며, 수직보강재가 설치된 것과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해 보았다. 해석에 사용된 강재는 일반강재 SM490, SM570과 고강도강재 HSB500, HSB600, HSB800이다. 하중에 대해서는 정적하중과 이동하중 을 고려하였으며, 경계조건은 단순지지 경계조건을 갖도록 적용시켰다.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항복모멘트와 극한모멘트에 대한 수치를 얻고 Mathca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세장비와 항복모멘트, 극한모멘트의 관계를 통하여 고강도강재를 적용하여 단면을 설계하면 일반강재에 비해 세장비를 작게 하고 2차 부재를 생략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이동통신 기기용 전력증폭기의 부하 부정합 상황에서 성능 보전에 관한 연구

        지동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In this dissertation, a study on power amplifier (PA) preserving performances under load mismatch conditions for mobile applications is performed.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overcome antenna mismatch, however conventional methods are hard to adopt to mobile devices due to bulky size and severely compromise performances even under matched load condition. To solve these issues, a mismatch detection and correction method is introduced as a practical solution for multi-mode multi-band PA applications. Since PA characteristics under mismatched condition can be grasp in advance through a load-pull test, the Smith-chart can be broken up into spec-compliant region and non-spec-compliant region. The mismatch detection and correction technique introduced in this work is to find the impedance ‘region’ (not ‘value’) and transforms it to the spec-compliant impedance ‘region’, which will make the system more compact and effective, facilitating the technique being adopted in the power amplifier. Based on the theory analyzed quantitatively, the mismatch detector and the tunable output matching network (TOMN) were implemented using a 0.18 μm silicon on insulator (SOI) FET, which were integrated with a 2-μm InGaP/GaAs HBT PA MMIC into a single module. With the WCDMA signal, the linearity (ACLR) of the PA was improved by 12.7 dB under 2.5:1 VSWR, showing ACLR of less than −37 dBc. Moreover, the PA showed efficiency (PAE) improvement of 1.6% at impedance of the worst PAE in the spec-compliant region. The proposed idea was also verified with a LTE signal. The E-UTRA ACLR was enhanced by 8.3 dB under 2.5:1 VSWR, which was better than −34 dBc. The PAE was also improved by 0.5% in the spec-compliant region. The results show usefulness of the technique as a load-insensitive PA application. A linearity-improved multi-band envelope tracking power amplifier (ET PA) using digital pre-distortion (DPD) is introduced based on the advanced mismatch detection and correction technique. An advanced tunable output matching network is utilized to correct the mismatch and to reconfigure the operating band (Band-1, -2, -3, and -4), simultaneously. An advanced phase shifter and an operating algorithm are newly proposed to detect mismatch on the multi-band PA and are realized as a compact integrated circuit (IC), facilitating self-contained operation without external control. The mismatch detector and RF switches were integrated into a single IC using a SOI CMOS process, which was integrated with a 2-μm InGaP/GaAs HBT PA MMIC into a single module. With a LTE signal, the fabricated ET PA demonstrates a linearity improvement of 2–2.4 dB under 2.5:1 VSWR, demonstrating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chnique as an ET PA application. Finally, a multi-band directional coupler is proposed as a key component for single-chip integration of the mismatch detection and correction technique. An electrically short directional coupler has a benefit in size for mobile applications. However, excessive power loss due to strong coupling is unavoidable at the higher frequency range, which limits the applicable bandwidth. To resolve the problem, two asymmetric coupled-line of a dual directional coupler introduced in this study can be coupled or floated electrically to a main-line depending on the frequency range, thus the bandwidth is considerably enlarged without a cost of power loss. The proposed coupler, including a coupler core, switches, termination resistances, a coupling matching network, and logic circuits, is fabricated using a SOI CMOS process. The results showed a sufficient directivity larger than 20 dB over target frequency range from 0.69 to 4 GHz and low power losses below 0.14 dB and 0.21 dB for lower and higher than coupling switching frequency, respectively.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용 전력증폭기의 부하 부정합 환경에서 성능 보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동통신용 전력증폭기의 선형성, 효율과 같은 성능 요구사항들은 주로 부하 정합조건에서 고려된다. 하지만, 실제 이동통신기기의 동작 환경에서 발생하는 안테나 부정합은 전력증폭기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여, 무선 통신의 연결 품질과 통화 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선형성이 저하되면 다른 무선통신을 방해할 가능성이 크므로, 부정합 조건에서도 타협할 수 없는 중요한 성능 요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들은 과도한 크기와 정합 성능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이동통신용 기기에 적용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전력증폭기 수준에서 부하 부정합을 극복할 수 있는 부정합 검출 및 교정 방법을 제안하고, 다중 모드(multi-mode), 다중 대역 환경에서 그 동작을 검증하였다. 전력증폭기의 부정합 특성은 로드-풀 시험(load-pull test)을 통해 사전에 파악할 수 있으므로, 스미스 차트 상 부하 임피던스의 영역을 성능 척도에 따라 성능 부합 영역 혹은 성능 미달 영역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제안된 부정합 검출 및 교정 방법은 부하 임피던스가 위치한 영역을 검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부하 임피던스를 성능 부합 영역으로 교정하는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처럼 복잡한 임피던스 값 계산과 정밀한 교정 회로를 요구하지 않아 전력증폭기 모듈 집적이 용이하다. 정량적으로 분석된 이론을 토대로 다중 영역 부정합 검출기와 조절 가능한 출력단 매칭 회로(TOMN)를 SOI CMOS 공정을 이용하여 구현하였고, InGaP/GaAs HBT 공정을 이용한 단일 대역 (1.95 GHz) 전력증폭기 모듈로 집적되어 실험적 검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WCDMA / LTE 신호를 사용하는 2.5:1 VSWR의 부정합 조건에서 고정된 출력단 매칭 회로를 가진 전력증폭기와 비교하여, 선형성(ACLR / E-UTRA ACLR)이 각각 12.7 dB / 8.3 dB 개선되어 성능 척도를 뛰어넘는 –37 dBc / –34 dBc 이상이 유지되었고, 부정합 조건 하 선형성 성능 부합 영역에서는, 효율(PAE)이 각각 1.6% / 0.5% 향상되었다. 부정합 성능이 향상되었음에도, 낮은 정합상태 효율(PAE) 저하(WCDMA / LTE 각각 1.6% / 0.9%)를 보여 부하에 둔감한 전력증폭기 기술로서 효용성이 입증되었다. 부정합 검출 및 교정 방법의 현실화를 위해, 고효율, 소형화와 같은 산업적 추세를 반영하여 디지털 전치 왜곡 기법을 사용하는 다중 대역 포락선 추적 전력증폭기에 적용되었다. 향상된 TOMN은 부정합 교정과 동시에 전력증폭기의 동작 주파수를 재구성한다. 새롭게 제안된 향상된 위상 이동기와 동작 알고리즘(algorithm)은 부정합 검출기의 다중 대역(Band-1, -2, -3, -4) 지원 및 독립적인 동작을 구현하며, 검출 영역의 수와 크기의 유연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회로들은 주파수 선택 스위치와 함께 단일 SOI CMOS 집적회로로 구현되었고, InGaP/GaAs HBT PA와 단일 모듈로 집적하여 그 동작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LTE 신호를 사용하는 2.5:1 VSWR 부정합 조건에서 동작 주파수에 따라 2–2.4 dB의 선형성(E-UTRA ACLR) 향상을 보였고, 동일 선형 출력 전력에서 상업용 제품 대비 1–1.6%의 낮은 정합 효율 저하를 보였다. 포락선 추적 전력증폭기의 부정합 극복을 위한 실용적 해법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정합 검출 및 교정 방법의 SOI CMOS 공정을 활용한 단일-칩 통합과 프론트-엔드 단(front-end stage) 확장을 위한 핵심 부품인 다중 대역 방향성 결합기를 제안하였다. 전기적으로 짧은 방향성 결합기는 매우 작은 크기로 인해 많이 사용되지만, 주파수에 비례하는 과도한 전력손실로 인해 일반적으로 한정된 주파수 대역에서만 사용된다. 문제의 해결을 위해 비대칭 이중 결합선 방향성 결합기와 결합선 전환 스위치를 이용하여 결합계수를 전환하도록 제안하였다. 이는 과도한 결합손실을 보이는 결합계수에 도달 시 결합을 완화하여 과도한 전력손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 범위를 크게 확장할 수 있다. 검증을 위해, 결합기, 스위치, 종단 저항, 결합 매칭 회로, 로직 회로를 포함하여 단일 칩(chip)으로 제작되었고, 측정 결과, UMTS / LTE 모든 대역을 포함하는 0.69 – 4 GHz의 주파수에서 20 dB 이상의 충분한 방향성을 보였으며, 결합 전환 주파수 이전에서 최대 0.14 dB, 결합 전환 주파수 이후에서 최대 0.21 dB의 낮은 전력 손실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