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美 通商摩擦의 原因과 그 對應方案에 관한 硏究

        주우성 韓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60년대 이후 “한강의 기적"을 이루면서 급성장하였던 한국의 경제는 '90년대 말의 IMF 위기와 통상장벽이라는 거대한 벽에 부딪치면서 주춤거리고 있다. 오늘날 세계의 경제질서는 경제의 장기적 침체와 산업구조조정의 실패로 신보호주의의 팽배, 공정무역과 상호주의의 확대, 지역주의의 대두로 인하여 매우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WTO 출범이후 세계무역의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기대했던 WTO의 기능이 급속히 약화됨에 따라 이러한 움직임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특히 세계경제의 중요한 축을 구성하고있는 미국은 WTO를 통한 국제무역의 공정하고 자유로운 무역의 활성화 보다는 자국의 경제적 실익을 유지하기위해 슈퍼301조 등의 국내법에 의한 무역의 규제를 우선시 함으로서 세계경제의 기본적인 질서를 교란하고 있다. 경제구조가 취약하고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이러한 미국의 일방적인 부당한 무역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서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있으며, 앞으로도 점차 높아질 미국의 무역장벽 해소를 위한 해결방안의 모색은 국가의 번영과 기업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해결하여야 할 절대절명의 과제이다. 경제활동에 의한 무역을 통해서만 생존할 수 있는 우리나라는 미래의 산업변화를 예측하는 과감한 산업구조의 혁신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갈수록 복잡해지고 높아지는 미국의 무역장벽 해결을 위한 국가와 기업이 힘을 합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산업구조의 혁신과 과감한 기술개발을 통해 미국의 무역장벽 및 규제를 뛰어넘을 수 있는 전략상품을 개발하고 복잡하고 까다로운 무역규제 법규 및 절차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자료의 수집과 전문가의 양성, 국제무역기구를 활성화하여 국제무역기구를 통한 이해협력 당사국과의 국제적 협력을 통한 공동대응, 새로이 대두될 밀레니엄 라운드에서의 한국의 위상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충분한 대비와 연구가 있어야 한다. International relations since World War II has long been dominated by security and political idea issues deriving from the Cold War between the two superpowers, the US and the former USSR. During the cold war, Korea could achieve a rapid economic growth and prosperity under the United States' political and economic supports. As the Cold War ended with the collapse of the former USSR in the 1990s, however, countries including the US began to put their priority in foreign policy on economic issues instead of security. That is, as concerns on security have been rapidly receded in international relations, international relations after the cold war are characterized by the idea of “economy first." We can say that as the economic power of the US has been relatively decreased due to the growth of EU and Japanese economies, international order became multipolar at least in terms of econom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barriers among nations have been remarkably lowered. Information technologies made geological advantages which has been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the location of corporations meaningless. Corporations now can go anyplace in the world in looking for market access and low cost of production. Due to the result of these changes, the Uruguay Round, which became new international rules regarding customs and trade, was complet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S in 1993 and WTO was newly born in 1995.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based on WTO opposes state intervention in economy by compelling off customs and noncustom barriers such as quarters and discrimination. However, the United States, the economic hegemony, often disregards these international economic rules and sometimes urges other countries antifree policies such as Super 301, which are based on domestic laws, in the direction of maximization of national interests. As Korea turned red ink into black in the late 1980s at the end of long history of chronic deficits in trade with the US, the US became one of the target countries of trade reprisal. Even if Korea's surplus ended in the 1990s, the US pressure on Korea continues. Korea, which is still developing and has poor natural resources,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responding to the US pressure and urgently needs to solve this problem for economic prosperity and the survival of Korean corporations. At this stage of deepening trade frictions with the US, Korea needs to reevaluate current trade issues with the US from the broader perspective. The US is the largest single market in the world and the main source of new technologies. If Korea focuses exclusively on trade frictions with the US from a fair trade, it may lose the most valuable source of new technologies.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Korea is losing its competitiveness in the US market in competition with Chin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Korea, which economic survival is dependent heavily on trade, requires to be sensitive to the future trend of industrial change and needs innovation in its industrial structur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support the innovation. At the same time, Korea needs endeavors to solve the US trade barriers that become more complex and higher as time passed. More concretely, Korea needs following policies: (1)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trade goods to overcome trade barriers throughout innovation in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2) the culmination of data to effectively respond to complex laws and procedures related to international trade and the secure of experts on international trade; (3) the effective use of international trade organizations and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to respond unfair rules on trade; and, (4) enough preparation and research to secure national interests in the new ear of the Millenium Round.

      • 가정용 흡수식 냉난방기의 신용액 물성 측정 및 분석

        주우성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LiBr-LiNO3-H2O, LiBr-LiNO3-LiCl-H2O, LiBr-LiNO3- LiCl-Ethylene glycol-H2O, LiBr-LiNO3-LiCl-Ethanol amine-H2O 계가 신 작동매체로 선정하여 다양한 농도, 온도에서 용해도 측정방법중의 하나인 visual polythermal metho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위 신 작동매체를 사용하여 기존의 LiBr-H2O이 가지고 있는 결정석출 위험이 상당히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3성분계(LiBr-LiNO3-H2O), 4성분계(LiBr-LiNO3- LiCl-H2O)의 최적 혼합 몰비는 5 : 1, 5 : 1 : 2 임을 알 수 있었으며, 4성분계에 Ethylene glycol과 Ethanol amine과 같은 유기물의 첨가는 전체 무기물 질량의 5wt%가 최적으로 나타났다. 용해도 측정결과 최적의 몰비에 대해서 boiling point method를 사용하여 온도 20~180℃, 농도 54~72wt% 범위에서 여러 가지 물질에 대해 증기압을 측정하였다. 기존의 LiBr-H2O의 증기압보다 LiNO3가 첨가된 3성분계가 증기압이 높았다. 그리고 LiCl을 3성분계 최적의 몰비에 첨가한 계에서는 3성분계보다 낮은 결과를 얻었다. 그러므로 LiCl의 첨가는 증기압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흡수식 냉난방기의 작동범위를 알 수 있는 Duhring 선도는 용해도와 증기압측정에서 나온 결과를 통해 작성되었다. 그러므로 선택된계는 기존의 LiBr-H2O 계보다 넓은 작동범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4성분, 4성분에 유기물이 첨가된계에 대해서 열용량을 측정하여 본 결과 LiBr-H2O 계보다 높은 열용량을 나타내었으며, 4성분계에 Ethanol amine 유기물이 첨가가 되었을 때 조금더 높은 열용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론적인 성능계수인 COP를 다양한 고온 재생기 온도에 대해서 구하여 보았다. 4성분, LiBr-LiNO3-LiCl-Ethanol amine-H2O 계에 대해 이론적인 성능계수를 구하여 본 결과 LiBr-H2O 계보다 증발기 온도 5℃이고 흡수기 온도와 응축기 온도 45℃일때와 증발기온도 7℃, 흡수기 온도와 응축기 온도 45℃일 때 조금 높은 COP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4성분계, 유기물이 첨가된 계를 사용하여 가정용 공냉형 냉난방기에 적용가능할것으로 사료된다.

      • 다중 5G를 통한 MPTCP 스케줄러에서의 지연된 반응 이해

        주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5G 네트워크의 출현은 높은 대역폭 성능으로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데이터 속도와 엄격한 저지연성을 요구하는 360도 화상 회의 및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 같은 현재의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은 일관되지 않은 대역폭으로 인해 단일 5G 연결로 QoS (Quality of Service)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최근 기술 발전과 함께 여러 5G 연결을 사용하는 다중 경로 전송 솔루션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5G 다중 연결을 통해 MPTCP를 사용하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살펴본다. 한국의 주요 5G 사업자 네트워크를 활용한 MPTCP를 통해 실제 애플리케이션의 프레임 지연 성능을 측정한 결과 평균 프레임 지연이 213 ms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연은 유사한 네트워크 조건에서 단일 경로 TCP (SPTCP)를 통해 측정한 결과와 비교했을 때 예상보다 훨씬 높은 수치이다. 이는 최근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하기보다는 장기 측정에 의존하는 MPTCP 스케줄러의 지연 반응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응이 지연되면 최적이 아닌 경로가 선택되고 지연 시간이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의 MPTCP 성능 저하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해 현재 MPTCP 스케줄러의 한계를 파악하고, 응답성을 개선하여 애플리케이션 지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적 솔루션을 고려한다. The emergence of 5G networks is expected to revolutionize real-time applications with high bandwidth performance. Nevertheless, current real-time applications like 360-degree video conferencing an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that require high data rates and low latency often find it challenging to meet QoS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with a single 5G connection because of inconsistent bandwidth. With recent technological advancements, multipath transmission solutions using multiple 5G connections are emerging as an alternative. In this paper, we delve into real-time application performance using MPTCP over 5G multiple connections. Actual measurements using MPTCP for major 5G operators in Korea showed that the average frame delay exceeded 213ms. The delay is much higher than expected compared to measurements over single-path TCP (SPTCP) under similar network con ditions. We believe that the large frame delay in MPTCP is from the delayed response of the MPTCP scheduler, which relies on long-term statistics rather than adapting to recent network conditions. Delayed responses lead to increased latency and suboptimal application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MPTCP performance degradation in real-time applications to identify the limitations of current MPTCP schedulers and consider potential solutions to improve application latency by improving responsiveness.

      • AR 기반 원격 협업을 위한 가사지원 로봇의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주우성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bile user interface design for remote collaboration with home service robots. With the advancement of robot-related technologies and AI, the development of home service robots is actively progressing, and market demand is also increasing. home service robots support household chores such as cooking, cleaning, and laundry, replacing human labor. Recent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cloud computing systems, and technologies such as robotic arms and grippers for household tasks have accelerated commercialization. Despite the demand, current research focuses on physical interactions and technical implementations of robots. Considering the complex home environment, which includes unpredictable user behavior, research needs to account for various scenario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remote collaboration between users and home service robots. This will be done through a mobile user interface design incorporating Augmented Reality (A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ncludes the following steps First,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industrial and service collaboration robots in the design of home service robot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Robot Collaboration (HRC). Second, Definition of household chores and construction of the process using ethnographic observation techniques, particularly video diaries. Third, Task analysis to identify issues in the early stages of the design process, focusing on laundry and cooking scenarios for collaboration between users and robots. Fourth, Combining these elements to design collaboration scenarios, use cases, and the user experience for home service robots. Fifth, Explor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augmented realit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 design of a mobile user interface. The mobile user interface consists of a monitoring mode for users to check robot performance, a supervisory control mode for user intervention in case of robot errors, and an assistive control mode that uses AR to reflect the user's intentions in specific tasks. The wireframes were created using Figma, employing a glassmorphism style to effectively convey AR elements, and using Helvetica and Noto Sans fonts for readability. AR elements such as markers,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projection mapping, and object recognition were utilized for visual cues and virtual object generation. The prototype was designed and demonstrated using After Effects, a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indirect validation, leading to the final proposal of the mobile user interface design for collaboration with home service robo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xisting research focuses on the physical implementation of home service robots and face-to-face interactions within the same space.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concept of human-robot collaboration to remote scenarios, such as when users are at work or away, and proposes a mobile user interface design incorporating augmented reality. Second, home service robots need to consider numerous scenarios in the complex home environment. This study defines collaboration types and information display elements, deriving collaboration scenarios and use cases, thus serving as foundational research for home service robots. Third, A critical goal for home service robots is to appropriately understand and support users' intentions and preferences in complex household environments. This positively impacts the acceptance and trust of robots. The proposed AR user interface provides a solution to reflect user preferences through real-time feedback. Fourth, Despite the commercialization of home service robots not yet being realized, this study addresses the need for user-friendly interfaces highlighted in previous research by utilizing augmented reality. 본 연구는 가사 지원 로봇과 원격 협업을 위한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Mobile User Interface)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로봇 관련 기술과 AI의 발전으로 가사지원 로봇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시장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다. 가사지원 로봇은 요리, 청소, 세탁 등 집안에서 이루어지는 가사와 관련한 노동을 인간을 대신하여 지원하는 로봇이다. 최근 인공지능의 발전,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가사노동을 가능하게 하는 로봇 팔(Arm)과 손의 역할을 하는 그리퍼(Griper)의 기술 발전으로 상용화 시기가 앞당겨지고 있다. 이에 대한 수요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는 로봇과 직접적인 물리적 상호작용 연구와 이를 구현하는 기술적인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가사지원 로봇은 일반적인 사용 상황뿐 아니라 가정이라는 복잡한 환경에서 로봇 설계자가 의도하지 않은 행동까지 감안한다면 수많은 시나리오를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자와 가사지원 로봇이 분리된 공간에서 원격으로 협업 수행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증강현실(Augumented Reality, AR)을 적용한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통해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문헌 분석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가사지원 로봇과 인간-로봇 협업(Human-Robot Collaboration, HRC)의 관점에서 산업현장과 서비스 산업의 협업 로봇과 협동 로봇을 가사지원 로봇의 디자인에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가사노동의 개념 정의하고 관찰 기법(Ethnography)의 비디오 다이어리 기법(Video diary)을 활용하여 가사노동의 프로세스를 구성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쓰이는 태스크 분석(Task Analysis)을 활용해 사용자와 로봇의 가사 환경에서 협업 상황을 세탁과 조리 상황에 한정하여 도출하였다. 넷째, 위 요소를 종합하여 협업 시나리오와 유스 케이스, 가사지원 로봇의 디자인을 구성하여 가사지원 로봇의 협업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증강현실의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고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특정 상황에서 로봇의 수행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링 모드, 로봇의 오류나 한계 상황에서 사용자가 간단한 의사결정을 위해 개입하는 감독 제어 모드, 특정 작업에 대해 사용자의 의도를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세밀하게 반영하는 보조 제어 모드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Figma를 사용하여 와이어프레임(Wireframe)을 제작하고 그래픽 형태로 표현하였다. 기본적인 그래픽 요소의 형태는 증강현실 기술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반투명 유리와 같은 질감을 표현하는 글라스 모피즘(Glassmorphism)으로 구성하였다. 정보 전달을 위한 메시지에 활용될 타이포그래피의 구성은 가독성이 좋은 영문 서체인 Helvetica 서체와 국문의 경우 Noto Sans 서체를 활용하였다. 또한 증강현실을 적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 사례를 참고하여 증강현실의 주요 정보 기술인 마커(Marker), 슬램(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 객체인식(Object Recognition) 등의 기술을 대상 힌트, 시각적 단서, 가상 객체 생성과 같은 증강현실의 시각적 요소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위의 요소를 조합하여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After Effect로 시연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를 간접적으로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가사지원 로봇과 협업을 위한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구는 사용자와 가사지원 로봇이 같은 공간에서 면대 면의 상호작용에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특성으로 출근 또는 외출과 같은 원거리 협업이 필요한 운용 상황에 대해 인간-로봇 협업의 개념을 가사지원 로봇에 적용 가능성을 고찰하고 증강현실을 적용한 모바일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안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둘째, 가사지원 로봇은 일반적인 사용 상황뿐 아니라 가정이라는 복잡한 환경에서 수많은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가사지원 로봇의 협업의 유형과 정보 표시 요소를 정의하여 협업 시나리오 및 유스 케이스를 도출을 통해 가사지원 로봇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의의를 지닌다. 셋째, 가사지원 로봇의 중요한 목표는 복잡한 가사 환경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선호도를 적절히 파악하여 가사지원을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로봇의 수용도와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다음과 같은 문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증강현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피드백으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는 해결하는 방안으로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