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합발전시스템 온라인 성능감시 기법연구

        주용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outlines how the on-line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can be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maintenance of the equipments. And a calculation method for impacts of the controllable operations parameters such as gas turbine inlet filter ΔP, compressor efficiency, and condenser pressure on the plant performance was devised to achieve best performance of the combined cycle power plants with the on-line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This method calculates the performance impact on the deviation between "Expected" values and "Actual" values. Targets of the controllable parameters are determined for the maximum performance given in the existing equipments and control conditions. Additionally, a method of the heat rate allocation to each equipment was also suggested to monitor the performance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s. This calculates the expected heat rate of current conditions and compares it with actual values. Loss allocation in heat rate is reconciled by calculating the magnitude of the deficiency contributed by major components, such as the gas turbine,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steam turbine and condenser. Expected power output is determined by a detailed model and correction curves of the plant. This simulation models are found to reproduce high accuracy in behavior of the cycle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both in design and in off-design condition. Errors are lower than 2% in most of the cases. The simulated results, i.e. temperature, pressures, mass flow rates, power and so on, are considered as measured and validated values in the plants. In this way, all measurement uncertainties can be avoided.

      • 도로 네트워크에서 위상의 계층적 일관성을 위한 다중 표현 데이터베이스 모델

        주용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다중 표현(Multiple Representation)은 다양한 축척과 해상도에 따라 동일한 공간 객체를 다르게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중 표현의 장점은 대용량의 원시 데이터 집합에서 지도 요소들의 공간적 우선순위에 따른 효과적인 시각화와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다중 LoD(Level of Detail)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래스터 모델(Raster Model)에서는 이미 다중-해상도 피라미드(Multi-Resolution Pyramid)와 같이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상세 수준에서 영상의 해상도를 축소하여 표현하기 위한 기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래스터 모델의 경우와 달리 벡터 데이터 모델에서 특히 도로 네트워크의 다중 LoD 구축은 보다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 즉, 네트워크 다중 LoD의 생성은 상세 수준의 도로 선형 사상으로부터 일반화(Generalization)를 통해 구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기하 구조(Geometric structure)의 단순화(Simplification)는 개체 집합 사이에 공간 관계의 규칙성과 일관성(consistency)을 저하시켜 다중 표현 조회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위상(Topology)과 속성 정보의 변형 또한 발생하여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을 보장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 네트워크를 위한 다중 LoD의 구축은 규칙 기반의 자동화된 일반화 절차와 위상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벡터 도메인 안에 대규모 도로 선형 사상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다중 표현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위해 기존 도로망 모델의 문제점과 구축상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다중 LoD 모델을 설계하고, 검색과 다중 표현에서 효율적인 모델 구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우선, 지도 축척에 따라 표현할 지리적 대상을 계층화하고 검색할 수 있는 구조로 공간적 중요도에 따라 레벨 간 다중 표현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노드와 링크에 대한 표현 레벨을 정의하였다. 또한 다중 LoD 선형 데이터를 위한 구조를 설계하고, 이들 사이의 기하학적 대응 관계를 정의하기 위해 의미적 매칭과 위상적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1:N(one-to-many relation) 계층적 연계 방법을 설계하였다. 다중 LoD의 갱신을 위한 일반화 모듈로써 동적 분할 기법을 사용하여 하위 레벨 관계로부터 순차적으로 상위 개체를 생성하기 위한 추론 절차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계된 다중 LoD 네트워크 모델을 데이터베이스에 구현하기 위해 오라클 스페셜을 적용하여 물리적 스키마를 구현하고 다중 표현을 위한 공간 데이터 스키마 구조, 공간 질의 등을 설계하고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제시된 다중 LoD 링크 생성 알고리듬과 네트워크 계층 모델에 대한 효율성 검증을 위해 제주도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질의 성능 분석을 위해 다중 LoD 링크와 일반 링크를 사용하여 영역질의에 의해 반환되는 레코드 수와 이에 따른 질의 처리 수행시간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간소화된 개체와 이를 통한 반환 개체수의 감소로 질의 성능 측면에서 기존 모델에 비해 검색 시간이 단축되었다. 또한 단일 버퍼링(Single Buffering)기법을 이용하여 다중 표현 네트워크의 선형 사상의 위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공공측량 작업 규정 세부기준의 축척별 위치오차에 근거하여 얻어진 평균 22.78m와 34.68m의 측정 오차는 1:25,000(17.5m)과 1:50,000 (35m)사이의 위치 정확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다중 LoD 모델은 네트워크의 자동 일반화와 위상 정보의 계층적 구조화를 가능하게 하며 차량항법 시스템에 동적 경로 탐색과 실시간 데이터 갱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관계적 공간개념으로 바라본 예배공간 : 데이비드 하비의 공간인식을 중점으로

        주용진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본의 유입으로 정치화된 도시구조 속의 한국교회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한국교회를 바라보기 위하여 데이비드 하비의 관계적 공간인식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는 교회라는 공간이 관계 맺는 과정에서 지금의 모습을 형성해왔고, 예배공간의 형성 시간 속에서 공간은 공간을 실천하는 구성원들의 흔적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계적 공간을 바라봄으로써 교회의 정체성을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역사상 신학은 교회를 시간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이는 기독교가 담고 있는 중심적 메시지인 종말론적 신학이 시간을 통하여 표현되어왔기 때문이다. 시간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신학은 종말론적 시각에서 교회가 갖는 공간의 초월성의 측면에서 예배공간을 접근하였고, 기독교를 시간의 종교로 바라보았다. 물론 교회는 건물이 아니다. 그러나 교회 역시 물리적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출발점은 그러한 물리적 공간 아래 자신의 흔적, 즉 시간을 담아왔음을 보여준다. 교회라는 예배공간은 시간과 공간이라는 정신적 구조물의 결합 형태이다. 따라서 공간인식이라는 측면에서 예배공간은 교회현상을 이해하고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특별히 데이비드 하비는 관계를 통하여 공간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이는 예배공동체가 교회라는 예배공간을 통해 관계 맺음으로써 공간이 머금고 있는 시간의 연속성 위에 설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공간의 서사성은 예배공간을 통하여 교회를 바라봄에 있어 중요한 근거를 제시한다. 따라서 공간이 담고 있는 이야기를 살펴본다면 공간 안에 이야기를 새긴 ‘공동체’의 모습, 즉 공동체의 정체성을 읽을 수 있다. 결국 예배 공간 안에 새겨진 이야기를 읽는다면 교회의 정체성을 읽어낼 수 있게 될 것이다. 교회를 공간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먼저 예배공간의 범위를 규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간과 건축 관계를 정의하며, 연구범위를 예배공간으로 한정지었다. 이는 공간의 물리적 표현이 건축을 통해 이루어지고, 건축이 유형을 통해 무형을 담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축은 인간이 공간을 인식하고 자신들의 공간을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다. 공간 안의 공동체는 공간을 통하여 흔적을 남기고 그 흔적을 읽는 반복적 행위를 통하여 공간을 재구성해 나간다. 교회라는 예배공간은 역시 이러한 흔적들을 발견할 수 있다. 예배 공간 안에 담긴 물질화된 시간, 즉 예배공동체는 예전의식과 예전가구라는 상징읕 통해 이야기를 담아냈다. 하비는 인식자가 예전의식과 예전가구와 관계 맺는 과정을 통하여 시간을 경험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나아가 마르티나 뢰브는 관계적 배열을 통하여 더 깊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음을 주장한다. 또한 뢰브는 공동체의 욕구와 일탈에 의해 공간이 변형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는 권력구조화로 인하여 형성된 절대공간이 공동체에 의해 관계적 공간으로 재형성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비가 제시한 공간인식론, 즉 절대적 공간과 상대적 공간 그리고 관계적 공간이 서로 다른 층위를 갖고 있다고 바라보았다. 그러나 세 가지 공간의 관계는 절대적 공간과 상대적 공간을 관계적 공간의 하위 관계항으로 배치함으로 공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마르티나 뢰브의 공간의 상관관계를 따라 예배공간을 바라보았다. 이는 교회가 보여주는 현상들이 한 차원의 공간 안에 머물러 있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바라보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관계적 공간 안에서 해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교회가 보여주는 부정적인 현상들을 바라보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점을 관계적 공간 안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는 현상 역시도 시간-존재-세계의 관계 속에서 파악될 수 있으며, 현상이 갖고 있는 관계 안에서 해결점 역시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예배공간 안에서 관계적 공간의 형성의 방향성을 제시하며 지평을 사이버공간으로까지 넓혀간다. 이는 사이버공간을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이미 우리 앞에 실존하는 현상들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부정하고 피하기보다는 사이버공간의 현상들을 실제적 공간과의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예배공간으로 넓혀갈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며 공간 너머의 공간의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 생활주변 건축자재로부터 대기로 방출되는 라돈-222 농도측정

        주용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are exposed to a radioactive dose of 2.4 mSv annually. Among these, some 1.3 mSv is from Radon and its progeny, and 79% of this radon exposure dose is by our Radon inhalation indoors. This study provides some information of key factors affect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 through measurement of radon and its daughter nuclide produced from Uranium and Thorium decay contained in building materials around us. Using RTM1688-2, Silicon Surface-Barrier Detector that can measure both Radon and Thorium at the same tome, Radon concentration was measured for 10 kinds of construction materials in the experimental container. Building materials were put in the airtight acrylic container with a volume of 216ℓand sealed; radon concentration was measured for 10 hours at 60-minute interval starting from the 91 st hour when Rn-222 concentration reached 50% of Ra-226. Radiometric quantity of 0.64 Bq/m3Kg ~ 121.7 Bq/m3Kg was obtained per unit mass: Tile(clay+limestone) 0.64 Bq/m3Kg < Kaolin Brick 0.7 Bq/m3Kg < Tile(gypsum) 0.82 Bq/m3Kg < Red Brick 1.1 Bq/m3Kg < Loess Tile(loess+charcoal) 6.75 Bq/m3Kg < Gypsum Board 11.04 Bq/m3Kg < Ecocarat 12.22 Bq/m3Kg < Cement Brick 23.71Bq/m3Kg < Cement Block 28.07 Bq/m3Kg < Texture(cement) 121.7 Bq/m3Kg Calculation based on the amount of materials required in 3.3m2 in building showed 24.6Bq/m3 ~ 13065.2Bq/m3 range: Tile(gypsum) 24.6Bq/m3 < Tile(clay+ limestone) 38.4Bq/m3 < Gypsum Board 208.8Bq/m3 < Loess Tile(loess+charcoal) 221.3Bq/m3 < Kaolin Brick 225.0Bq/m3 < Ecocarat 382.9Bq/m3 < Red Brick 441.7Bq/m3 < Texture(cement) 2811.6Bq/m3 < Cement Brick 10875.0Bq/m3 < Cement Block 13065.2Bq/m3 Among the samples, high radon emission building materials such as Texture(cement), Ecocarat, Cement Brick, Loess Tile, Cement Block and Gypsum Board were analyzed utilizing Bi214(609.3KeV) peak, Tl208(583 keV) peak, and K40(1460.8 keV) peak with HPGe. Hazard indices were calculated with the measured radioactivity levels of Ra226, Th232 and K40. Hazard index of all materials was in the range of 0.07 ~ 0.51 which did not exceed the national recommendation of 1: Texture( Cement) 0.51, Cement Brick 0.39, Cement Block 0.39, Ecocarat 0.31, Loess Tile 0.27, Gypsum Board 0.07.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exterior exposure dose on sample materials, the hazard level was evaluated to be within recommendation value, but it still indicates a precautionary principle in selecting and applying building materials to reduce the radon exposure. Also, Ecocarat appeared to be worth of further study for its peculiarity based on comparison between radon emission rate and amount of nucleid, which seemed to have a close relation with thickness, surface treatment, porosity and density of construction materials. Effects of radon was evaluated and some method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to reduce personal exposure dose. Positive publicization and control of the authority is invited to use building material with low radon emission.

      • 대중영상매체를 활용한 음률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TV 광고 속 CM송을 중심으로

        주용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apply a rhythm activity program using CM songs in TV commercials to help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ress many different words and sentences necessary in daily lives in natural music activities and play activities situations, and then examine how rhythm activities affect language acceptance and expression abilities of rhythm activit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in the third grad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ttended the special school in Seoul where the author works. From nine students, we selected children best fit to the goal of the study through pre-test, observation, interviews with the homeroom teacher, and consent of their parents. The study lasted for 11 weeks from March 2nd to May 16th, 2009, and for the participant children, pre-tests were administered using the PRES linguistic test for preschoolers. For 8 weeks from March 23rd to May 16th, we applied the program 24 times, that is, three times a week, for 40 minutes per session, followed by post-test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the PRES linguistic test for preschoolers revealed that three in four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linguistic abilities. Second, rhythm activity programs using CM songs in consideration of relatively short concentration span and interes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found to make contribution to the enhanced concentration of children, raise their interest and participation by introducing varying rhythm activities, thereby helping them use various words during the activities and select words fit to intended meaning independently. Third, in the course of the application of rhythm activities using CM songs, children were found to express related sentences properly in a given situation and to express their language in similar situations as a result of subsequent instructions and school-family collaborative teaching so that they can freely use words and sentences they learned in daily liv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linguistic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hope more studies continue using songs in TV commercials as well as other forms of media including internet, newspapers, DMB, and mobile phon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TV광고에 삽입된 CM송을 활용하여 발달장애아동들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어휘나 문장들을 자연스러운 음악활동과 놀이 활동의 상황에서 표현할 수 있도록 음률활동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한 후, 음률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수용언어능력과 표현언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아동들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서울 시내 특수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아동으로, 총 9명의 학생 중 사전검사 및 관찰과 담임교사의 면담, 학부모의 동의에 의해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기간은 2009년 3월 2일부터 2009년 5월 16일까지 11주간이며, 선정된 아동들은 취학 전 아동 언어검사(PRES)지를 이용하여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3월 23일부터 5월 16일까지 8주간, 주 3회, 회기 당 40분으로 총 24회기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학 전 아동 언어검사(PRES)를 통해, 본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4명 중 3명의 학생의 언어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발달장애학생들의 짧은 주의집중시간과 흥미를 고려한 CM송을 활용한 음률활동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음률활동을 구성함으로써 흥미와 참여도를 높여, 아동들이 활동 중에 다양한 어휘들을 구사하고, 각 어휘들을 의미에 맞게 자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CM송을 활용한 음률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중에 아동들이 관련 문장들을 상황에 맞게 표현하였고, 습득한 단어나 문장 표현들을 일상적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추후지도와 가정 연계지도를 한 결과 유사한 상황에서도 자연스럽게 언어표현이 이루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발달장애학생들의 언어능력향상을 위해 CM송 뿐 만 아니라, 인터넷, 신문, DMB, 휴대폰 등 다른 매체들을 활용한 관련 연구들이 계속해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생산자로서 드라마 수용자와 수용자로서 드라마 생산자 : <옥탑방 고양이>를 중심으로

        주용진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Entering the era of audience sovereignty, this study was launched from growing interest in how media text producers read and accept texts that viewers wrote. So to spea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ers and viewers who were mediated to the viewer board due to internet development. For this reason, I have chosen the popular <The Cat of the Penthouse> among media texts, which has obviously raised a storm of a social issue. I have examined viewers'' reactions about the media text and their comprehension mode which appeared on the <The Cat of the Penthouse> internet viewer board. Also, the process of viewers'' opinions reaching the producers was traced, and reactions of producers were understood, as well as whether if not they accepted the opinions. The following are subjects of study. Subject 1. How do viewers comprehend media texts, and how isboard texts produced? Subject 2. How do broadcasting stations accept board texts produced by viewers, and how does this affect media text production of producers? To solve Subject1, we examined 30,011 cases of viewer opinions on <The Cat of the Penthouse> in order to grasp viewers'' reactions and comprehension modes. For Subject2, we investigated whether viewers'' opinions were reflected and whether there were gate-keeping stages when preparing reports, through analyzing viewer-opinion related reports inside the broadcasting station and interviews with report producers. Moreover, we had a serious interview with media text producers to investigate whether theyaccepted company-internal reports and viewer board opinion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viewers were making compliments, complaints, deep criticism and suggestions about media texts, not to mention immediate responses, according to classification results of viewer opinions from the internet board. Viewers owned information about broadcast contents jointly by viewer boards, even on clothes, property and more. They were trying to read the soap opera in a more appropriate way by comparing each others'' commentaries. Secondly, examining viewers''<The Cat of the Penthouse> comprehension with ''living together (before marriage)'' and ''scholarship discrimination'', they were making compliments about the selection of a subject material such as ''living together''which is realistic and is becoming a social issue. However, there were strong complaints that the soap opera showed only the bright side of ''living together''instead of describing it more deeply. Also viewers showed dissatisfaction about making fun of junior college students just for amusement. Like this, viewers are thinking soap operas as a way to induce positive results from social debate by choosing realistically controversial material, not just as an entertainment show. They are continuously presenting their thoughts to producers using the viewer board. Thirdly, the broadcasting station looks like it is applying viewers''opinions to viewer-related internal reports such as dailyreports and weekly reports through many forms. However, this is not exactly working out well. Daily reports are limited due to opinion rallying on the day of broadcast, and the summary of the report takes up most of the weekly report, which seems to be the limits of weekly reports. Also, weekly report''s analysis of the main three broadcast stations'' program boards is programmed only in the first week, so including viewers'' opinions on the whole broadcast program was impossible. Fourthly, there are two problems on preparing reports. One is that the people who produce reports work limited by contract. The other is that reports are produced for management. Work was not substantial when producing reports because of discriminated personnel affairs. Moreover, viewer-opinion related internal reports were not for appropriatelydelivering viewer opinions to producers, but for management to simply keep a look on viewer opinions. The report form and production mechanism was not appropriate for expressing viewers'' opinions and thoughts. Lastly, producers scarcely accepted viewers'' opinions. They doubted about the usefulness of the viewer board itself, which is the product of viewers. The point that viewer opinions were mostly too emotional, gossiping simply about like and dislike was on of the main reasons. Another was that there was no information about the writer; the scripts were from many and unspecified persons. Producers are using the viewer board only to correct technical flaws such as flies in the ointment. There are not any special comments based on viewer opinions from inside the broadcasting station neither. As internet use becomes more common, viewer participation and demands by viewer boards are going to bother producers more. Therefore broadcasting stationproducers and management must change their recognitions on viewer boards, and put internet boards into practical use as an interactive communicating method with viewer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including simple feedback, producing and program advertisement. 본 연구는 시청자 주권시대를 맞이하여 미디어 텍스트 제작자들이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시청자들이 생산해낸 텍스트를 어떻게 읽고 수용하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하였다. 즉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초래된 시청자게시판으로 매개된 시청자와 제작진과의 역학적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 텍스트 중 많은 인기를 끌었으며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불러일으킨 <옥탑방 고양이>를 선택하였다. <옥탑방 고양이> 인터넷 시청자게시판에 나타난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과 독해 양태를 알아보고 시청자의견이 제작진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추적하여 제작진들의 게시판에 대한 반응과 수용여부를 파악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시청자들은 미디어 텍스트를 어떠한 방식으로 독해하며, 어떠한 게시판 텍스트를 생산하는가? <연구문제 2> 방송사는 시청자들이 생산한 게시판 텍스트를 어떻게 받아들이며, 이는 제작자들의 미디어 텍스트 생산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1을 해결하기 위해, <옥탑방 고양이> 시청자의견 30,011건을 분석하여 시청자들의 반응과 독해 양태를 파악하였다. 연구문제2를 위해 방송사내 시청자의견 관련 보고서 분석과 보고서 제작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시청자의견의 반영 여부와 보고서 작성에 있어서 단계별 게이트키핑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미디어 텍스트 제작진과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여 사내 보고서와 시청자게시판 의견 수용 여부를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인터넷 게시판에 나타난 시청자 의견을 분류한 결과 시청자들은 미디어 텍스트에 대한 즉시적 반응뿐만 아니라 심도 있는 비평과 제언 및 칭찬, 항의를 하고 있었다. 시청자들은 시청자게시판을 통해 방송 내용뿐만 아니라 연기자들에 대한 정보와, 의상, 소품 등에 대해서도 정보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서로의 해독에 대해 비교하며 더 나은 방향으로 드라마를 읽으려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로, 동거’와‘학력차별’로 시청자들의 <옥탑방 고양이> 독해를 살펴본 결과, 시청자들은‘동거’와 같이 현실적이며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소재 선택에는 많은 칭찬을 하고 있었지만 ‘동거’를 깊이 있게 다루지 않고 밝은 면만 그리는 태도에 대해서는 강한 항의를 하였다. 또한 드라마의 재미를 위해 전문대생을 희화하는 지점에 대해서도 불만을 표시했다. 이처럼 시청자들은 드라마가 재미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논란이 되는 내용을 소재로 채택함으로써 이에 대한 사회적 토론을 유발해 긍정적인 합의점을 유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게시판을 통해 이러한 그들의 생각을 제작진들에게 계속 주지시키고 있었다. 셋째로, 방송사는 일일보고서, 주간보고서 등 시청자관련 여러 형태의 사내 보고서로 시청자들의 의견을 담으려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시청자 의견이 잘 반영되지 못하고 있었다. 방송 당일의 의견 규합 중심으로 인해 일일보고서의 한계가 있었으며, 일일보고서의 요약이 주간 보고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일일보고서의 한계가 그대로 이어졌다. 또한 주간보고서의 방송 3사 프로그램 게시판 분석도 방송 첫 주에만 행해져 방송 프로그램 전체에 걸친 시청자 의견은 담고 있지 못했다. 넷째로, 보고서 제작에 있어서 문제점은 보고서 작성자들이 계약직이라는 한계와 보고서가 경영진을 위해서 제작된다는 점이었다. 인사에 있어 차별적 대우로 인한 사기 저하로 인해 보고서 제작 시에 있어 업무에 충실도를 높이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제작진에게 시청자의견을 제대로 전달하려는 목적이라기보다는 경영진들이 시청자들의 생각이 어떠한지 파악하는 수준에서 시청자의견 관련 사내 보고서를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보고서 형태와 제작의 메커니즘이 시청자들의 의견과 생각을 담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제작진들은 시청자들의 의견을 거의 수용하고 있지 않았다. 시청자들의 생산물인 시청자 게시판에 대한 효용성 자체의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시청자들의 의견이 대부분 단순 호불호의 감상적 의견이며, 글쓴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은 불특정 다수라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 제작진들은 옥의 티와 같은 기술적 실수 지적에만 시청자 게시판을 활용하고 있었으며, 방송사 조직 내에서도 시청자 의견을 바탕으로 제작진들에게 특별한 언급을 하고 있지 않았다. 인터넷의 이용이 더욱 보편화됨에 따라 게시판을 활용한 시청자들의 참여와 요구는 제작자들에게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방송사의 제작진과 경영진은 시청자게시판에 대한 인식전환을 해야 할 것이며 인터넷 게시판을 활용해 시청자의견에 대한 단순 피드백뿐만 아니라 제작과 프로그램 홍보 등 전 과정에 걸쳐 시청자들과 대화할 수 있는 쌍방향 통로로 활용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 환경시료 분석을 통한 라돈 분포특성 및 영향평가 방법론 연구

        주용진 조선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Due to urbanization, industrialization modern citizens live most of the day indoors. As time for activities indoors gets longer, the importance regarding the pollution of indoor environment can be recognized and pollution of indoor environment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factor which has a harmful effect on human health. Contained in floors, ceilings or surrounding soil or walls of buildings, radon of indoor air pollution sources seeps into the building gap and comes into the body when breathing, increasing exposure dose and also causes various cancers. For this radon, we were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adon concentration in soil and groundwater in Gwangju and carry out a radon investigation for Gwangju through the feature analysi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building materials. Radon contained in groundwater through 25 tubular wells was measured and as a result, radon of 1 tubular well is 121.76 Bq/L, exceeding the WHO criterion (100 Bq / L) and that of 20 tubular wells exceeded U.S. EPA drinking water standard concentration(11.1 Bq/L) and higher radon concentrations were shown in tubular wells whose basement rock is granite. In the case of radon among soil pores,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targeting 28 points and average 25,000 Bq/m3 level was shown and some points showed maximum 125,365Bq/m3 and generally, higher radon concentrations were shown in granites. For building materials, three kinds of cement and three kinds of plaster tex were analyzed and plaster tex and cement showed the radon radiation of 47.07 ~ 232.78 Bq/kg·h and the radiation of 7.25 ~ 10.15 Bq/kg·h, respectively. Radium equivalent activity, external exposure hazard index and absorbed gamma dose rate through HPGe analysis also showed less than the standard value. For indoor radon, 10 households out of 74 households exceeded 74 Bq/m3, a US recommended home repair figure and even if one of them exceeded indoor air limit 148 Bq/m3, the average is 42.5 ± 29.8 Bq/m3, showing a figure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These rad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Gwangju were examined and as a result, risk seems to be insignificant except for groundwater but given that most water intake points of groundwater exceed the US drinking water standard, drinking limit, reduction and measures seem to be urgent when approving and permitting groundwater tubular wells in granite bedrock areas.

      • 養鷄飼料에 있어서 大豆粕의 營養的 品質評價

        주용진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두박의 영양적 품질평가를 위한 실용적 분석방법을 구명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원산지가 각각 한국, 미국, 남미, 인도, 중국 등인 대두박에 대하여 일반성 분석과 NDF, ADF 함량의 분석을 하였고 TME와 TMEn의 평가도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사에너지의 예측회귀공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NDF, ADF 함량과 TME, TMEn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두박의 KOH 용해도, urease activity, pepsin 소화율등을 분석하여 각 실험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또한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각 실험방법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의 함량과 NDF, ADF의 함량에 있어서 각 실험 대두박틀간에는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TME와 TMEn의 함량에도 차이가 많았다. 2. TME와 TMEn의 함량에 있어서는 각각 2874에서 3579 kcal/kg, 2750에서 3448kcal/kg까지의 변이가 나타났다. 3. 일반성분과 대사에너지와의 회귀분석 결과 TME(kcal/kgDM)=49.88×CP-45.33×Ash-397.87×CF+4198.913(r^(2)=0.78) TMEn(kcal/kg DM)=42.42×CP-209.48×Ash-166.84×ADF+4296.147(r^(2)=0.83)의 회귀공식이 각각 도출되었다. 4. KOH0 용해도에 있어서는 63%에서 75%까지 UA의 경우 0.03에서 0.15까지의 변이가 있었다. 5. 0.002% pepsin 소화율은 68.5%에서 86.5%까지의 변이가 있었으나 0.2% pepsin 소화율은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실험 사료의 단백질 품질평가를 위해 많이 사용되는 pepsin 소화을 분석의 경우 0.002% 농도로 분석을 하는 것이 용이하다고 판단된다. 6. KOH용해도가 서로 다론 실험 대두박을 단백질의 주공급원으로 하고 동일한 열량과 아미노산을 함유한 6가지 브로일러 사료로 사양시험을 한 결과 브로일러의 증체율에는 각 처리구간 차이가 있었다. 7. 대두박의 KOH 용해도, 0.002% pepsin 소화율과 브로일러의 증체율과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UA와 0.2% pepsin 소화율과 브로일러의 성장좌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대두박의 품질평가를 위해서는 KOH 용해도와 0.002% pepsin 소화율의 두가지 실험방법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reliable methods of nutritional quality of soybean oil meal(SBM). Proximate analysis, NDF, ADF, true metabolizable energy(TME), and nitrogen corrected true metabolizable energy(TMEn) of SBM produced in Korea, U.S.A., South America, China˙, India were measured. Regression analyses were made to determined prediction equations for TME and TMEn based on proximate analysis, NDF, and ADF. Measurements of KOH solubility(KOH), urease activity(UA), and pepsin digestibility(PD) were made and their effects on broiler performance were studi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arge variations were found in crude protein(CP), ether extract(EE), crude ash(Ash), crude fiber(CF), NDF, and ADF which influenced TME, TMEn contents of SBM, 2. TME and TMEn values ranged from 2874 to 3579 kcal/kg and 2750 to 3438 kcal/kg, respectively, 3. Prediction equations for ME and TMEn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were TME(kcal.kg)=49.88×CP-45.33×Ash-397.87×CF+4198.913(r^(2)=0.78) TMEn(kcal/kg DM)=42.42×CP-209.48×Ash-166.84×ADF+4296.147(r^(2)=0.83), 4. KOH solubility and UA varied highly from. 63% to 75% and 0.03 to 0.15, respectively, 5. The 0.002% PD ranged from 68.5% ta 86.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0.2% PD, 6. Inclusion of SBM varing KOH values into iso-caloric and iso-nitrogen broiler feeds exerted mainly effect on body weight gain, but in less on feed intake and feed conversion rate, 7.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KOH, 0.002% PD and body weight. However UA and 0.2% PD were not correlated to broiler performance, indicating that KOH solubility and 0.002% PD be reliable methods of determination of SBM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