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강경 전방절제술 수술방법의 강의교재를 위한 일러스트레이션 개발

        주영선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Various types of surgery are us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olon cancer. The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is a surgical method used for sigmoid colon cancer and upper rectal cancer. It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colon cancer surgery. The lectures on surgical science have a lot of information about anatomy, surgical techniques and many surgical instruments and it is difficult to explain and understand these contents by writing or photograph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llustration teaching materials for the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and to improve the comprehension for medical students and surgery department residents. By reviewing the existing surgical atlas and illustration, and comparing it with the surgical video,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were identified.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process was divided into eight courses (operation position, port-site location & operation team positioning, lateral dissection, medial dissection & inferior mesenteric vessel ligation, transection of rectum by Endo GIA auto-stapler, left lower quadrant mini-incision & specimen extraction, proximal cutting with purse-string clamp & EEA anvil insertion, re-insertion of proximal colon & anastomosis by EEA stapler) and illustrations, animations, and posters were produced to reflect problems and improvements. The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illustration produc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in class lectures for medical students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and is expected to be use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urgery in the preoperative description of colon cancer for patients and families in the future. Through this evaluation process, we plan to continuously improve and develop illustrations, and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gain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developing 3D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animation. 대장암은 위치에 따라 다양한 수술법이 있고 이중 전방절제술은 에스상결장암 및 상부직장암에 사용되는 수술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장암 수술방법 중 하나이다. 외과학 강의는 해부학적 지식, 수술 기법 및 다양한 수술 도구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글이나 사진 만으로 이러한 내용을 설명하고 이해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강경전방절제술에 대한 일러스트레이션 강의 교재를 개발하고, 이 교재를 사용하여 의대생과 외과 전공의들의 수술에 대한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기존의 외과수술 아틀라스 및 일러스트레이션을 검토하고, 수술동영상과 비교함으로서, 문제점 및 개선할 점을 도출하였다. 복강경전방절제술을 8개의 과정(수술자세, 포트위치 및 수술팀 배치, 외측 박리, 내측 박리 및 하장간막혈관 결찰, 선형자동문합기를 이용한 원위부 절단, 좌하복부 절개 및 절제조직의 체외 배출, 쌈지봉합 기구를 이용한 근위부 절단 및 앤빌 삽입, 근위부 대장 복강내 삽입 및 원형자동문합기를 이용한 대장 단단문합)으로 구분하였고, 문제점 및 개선점을 반영하여 일러스트레이션, 애니메이션, 포스터를 각각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복강경 전방절제술 일러스트레이션은 향후 환자와 가족을 위한 대장암 수술 전 설명에서 수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실제 의과학생들을 위한 강의에 사용하여 효용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이러한 평가과정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일러스트레이션을 개선 및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고, 이번 연구를 통해 얻은 경험과 지식은 3D 복강경 전방절제술 애니메이션 개발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USN 환경에서 다중 이벤트 처리를 위한 에너지 효율적 MAC 프로토콜 구현

        주영선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ergy-efficient MAC(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multiple event handling in ubiquitous sensor network environment. We make scenarios when events occur and when they do not for proposed CASMAC (Context Aware Sensor MAC). Also the mechanism of CASMAC is dynamically changes data transmission timing rates by scenarios. In addition, CASMAC is based on SMAC(Sensor MAC) and it use ECAM(Event Control Action Model) which is existing system model by event-driven. Through ECAM and scenarios, CASMAC make modules; event, control, action and model. These modules available to shift other contents by the situation.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beforehand, CASMAC reduces energy being wasted from sending redundant data by employing transmission rate control mechanisms on sample data when the events occur. And we implement a event handler for multiple event environment. By integration data packet and timer, it process event data from various sensors optimally. In a result, CASMAC inovate existing MAC protocol for energy-efficiency in dynamic environments by using context information, ECAM and multiple event handler. Through the simulation using MATLAB, we proved the performance of CASMAC; CASMAC gains about 23% energy reduction compared to SMAC.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중 이벤트 처리를 위한 에너지 효율적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한 CASMAC(Context Aware Sensor MAC)은 이벤트 발생시와 미발생시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다음으로 작성된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패턴을 유추하며, 상황정보를 설정하고,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조절한다. 또한 CASMAC은 대표적 MAC 프로토콜인 SMAC(Sensor MAC)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벤트에 기반한 기존 시스템 모델인 ECAM(Event Control Action Model)을 사용한다. ECAM과 작성된 시나리오를 토대로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부와 동작을 지시하는 컨트롤부, 실제 동작을 수행하는 액션부 그리고 상황정보를 가지고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모델부를 모듈화한다. 이러한 모듈을 컴포넌트로 하여 설계한 CASMAC은 상황의 변화에 따른 특정 모듈의 교체가 가능하며, 다양성과 체계성을 동시에 충족한다. 사전에 설정된 상황정보에 의해 이벤트 발생시 샘플 데이터의 전송 조절 매커니즘을 통하여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시 낭비될 수 있는 에너지량을 줄인다. 그리고 다중 이벤트 처리기를 구현하여 실제 상황에서 다양한 센서들에 의해 수집되는 이벤트 값을 에너지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구현한 다중 이벤트 처리기는 통합 패킷과 타이머를 이용하며, 이벤트 발생시에 최소한의 패킷을 사용하여 데이터 트래픽을 최적화하므로 에너지 효율적이다. 결과적으로 제안한 CASMAC 프로토콜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상황 적응적인 특성을 확보하고, 기존의 MAC 프로토콜이 동적인 환경에 취약했던 점을 개선한다. 또한 해당 상황에 따른 적합한 동작의 수행과 불필요한 데이터 송수신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가져온다. MATLAB을 이용한 모의실험에서 SMAC 대비 약 23%의 에너지 소모 감소를 통해 입증했다.

      • 고선박의 화물포장과 적재방법에 대한 고찰 : 해저출토 한·중 고선박을 중심으로

        주영선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중발굴을 통해 인양된 11∥14세기 한국과 중국의 고선박에 선적된 화물(무역품)과 도자기의 포장 및 적재방법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선상생활용품을 분석하여 선원들의 항해생활 단면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과 중국의 발굴보고서와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논문 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서남해안 지역의 민족지적인 조사를 통해 근대 옹기선박의 포장방법과 적재방법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금까지 수중유적에서 포장방법과 적재방법이 확인된 선박은 십이동파도선과 태안선이 가장 확실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 외에도 전남 완도 유적을 비롯하여 신안군 안좌도 유적, 군산 비안도 유적, 군산 야미도 유적 등에서 적재방법을 확인하였다. 중국의 경우는 전남 신안에서 인양된 신안선에서 포장방법과 적재방법을 확인하였으며 광동성 동양강 유적의 남해1호, 서사군도유적의 화광초(華光礁)1호선에서 적재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도자기 포장과 적재방법은 먼저 도자기를 가마에서 구워낸 후 기형별로 쌓아 놓고 가마터에서 도자기를 포장하였다. 포장방법은 포장용 나무막대 4개를 새끼줄로 묶어 기형별로 포개서 포장을 하고 포개진 사이사이에는 짚을 넣어 주어 도자기가 깨지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과형주자와 같은 중요한 도자기는 먼저 항(멂)속에 짚을 넣어 주자와 항이 서로 부딪혀 깨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유병의 경우는 목 부분에 끈을 연결하여 원통목에 묶어 서로 마주보게 적재하였다. 도자기의 적재방법은 선수와 선미방향 즉 횡(橫)으로 그리고 외판과 외판사이 즉 종(縱)으로 차곡차곡 쌓아 올려서 적재를 하였다. 그리고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많은 양을 싣기 위해 도자기를 세워서도 적재를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중국의 경우는 도자기를 포장하고 적재하는 방법이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신안선에서 확인된 경우와 같이 나무상자를 이용하여 포장을 한 후 선박에 적재를 하였다. 나무상자는 원양항해 시 배의 흔들림에도 도자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함이다. 둘째는 우리나라와 동일한 방법으로 바닥에 바로 적재하였다. 이는 원양항해가 아닌 연안항해시 이용하였으며 배의 공간을 이용해 도자기를 최대한 많이 싣기 위함으로 보인다. 이를 뒷받침하는 한 예로 나무상자를 이용해서 적재한 신안선에서는 발굴된 도자기가 22,000여점에 이르지만 도자기를 선저 바닥에 차곡차곡 적재한 완도선의 경우는 30,000여점의 고려청자가 실려 있었다. 이러한 도자기 포장방법과 적재방법을 확인 하기위해 우리나라의 근현대 한선인 옹기배의 옹기를 포장하고 적재하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옹기는 포장을 하지 않았으며 선박에 옹기를 크기별로 구별하여 선수부터 선미까지 가득 적재하고 큰 옹기 안에는 짚을 넣어준 다음 작은 옹기를 넣어 적재하였다. 또한 도자기를 포장하고 적재하는 방법을 직접 재연관찰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실험은 나무막대와 짚 그리고 도자기를 이용하였다. 도자기를 기형별로 놓아두고 나무막대 4개를 새끼줄로 묶은 다음 도자기를 하나씩 포개고 포개진 사이사이에는 짚을 부드럽게 말아 넣어 주었다. 그리고 계속해서 도자기를 포갠 다음 마지막 도자기를 나무막대와 단단히 고정시켜 묶어주면 한 꾸러미의 묶음이 되었다. 이러한 묶음은 도자기가 서로 부딪히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되어 배로 이동하거나 배의 흔들림에도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적재하는 과정에서도 배의 구조에 맞게 차곡차곡 적재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고선박의 구조나 항로를 넘어 처음으로 수중고고학적 발굴 유물을 통해 화물의 포장과 선적 등 항해 실생활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검토해 보는데 의미를 둔다. This study attempts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mercantile goods, including ceramicware items, were packed and loaded onto boats during the period spanning the 11th to the 14th centuries, by examining salvaged Korean and Chinese boats, the relevant reports available in Korea and China, an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e study also takes a look at the life of seamen of those days by analyzing the objects found in the boats. Then, the methods of packing ceramicware items and carrying them on boats in the early modern period were examined by conducting an ethnographic survey of the southwest coastal areas. A similar observation was carried out on ships dated back to the Goryeo period which transported celadon porcelain. As regards the boats salvaged near Sibidongpado Island and Taean, such could be made in a reliable way. Other sites where such a survey was conducted include Wando Island and Anjwado Island, Jeollanam do, and Biando Island and Yamido Island off Gunsan. Similar surveys were made of a Chinese boat salvaged off Sinan; a boat (named Namhae No.1) salvaged from Dongyangjiang, Guangdong Province, China; and another one (named Huakuang Jiau No.1) salvaged near the Paracel Islands. In Korea, ceramicware items were stored according to their shapes and packed accordingly. Four wooden rods tied with straw rope were placed on the floor with a proper space made between them for the storage of ceramicware objects. Straw was packed between the objects to absorb impacts. Precious objects, such as plum shaped porcelain teapots, were stuffed with straw to prevent damage. As for glazed bottles, they were tied to cylindrical wooden rods. When loading a boat, wooden frames bound together with straw to contain ceramicware items were heaped lengthwise or crossways, vertically or horizontally, as the case necessitated. In China, as shown from the boat salvaged off Sinan, ceramicware items were placed in wooden boxes to protect them from the rocking of the boat. Such wooden boxes - as in Korea were stored at the bottom of boats in the case of coastal voyages, apparently to enable them to carry as many goods as possible. Over 22,000 items were found on the boat salvaged off Sinan, which was carrying ceramicware items in wooden boxes, while more than 30,000 items were found in the one salvaged off Wando, in which case ceramicware items were stacked squarely one on top of another. The methods of packing earthen pots and carrying them in boats dedicated to these special items in early modern days were also investigated. Items were not individually packed, but were rather grouped according to their size stored on a boat accordingly. Small pots were placed in large ones, and straw was used to absorb impacts. The research team attempted to replicate the aforementioned method. First, ceramicware items were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hapes. Four wooden rods bound with straw rope were placed on the floor with a proper space made between them in which to place ceramicware objects. Ceramicware items were stacked one after another, with straw packed between each of them. Finally, they were tied to the wooden rods securely. Bundles of cargo packed in this way, including ceramicware items, could be transported safely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the rocking of the boats. It could be stacked into neat piles on fitting various shapes of the cargo space of boat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n attempt to check how people packed cargoes and transported them on boats in the past in connection with salvaged boats.

      • Vietnam Consumers’ Preferences for Ginseng Products : Effects of Shopping Locations, Vietgap, Korean Nationality, and Three Brands

        주영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에게 어떤 종류의 인삼 제품 속성이 효과적으로 베트남 소비자들의 효용을 증가시키는지 파악하는 것이다. 설문 조사는 이산 선택 모델을 기반으로, 조건부 로짓, 혼합 로짓, 그리고 다항 프로빗 모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추정하였다. 하노이와 호치민에서 설문을 실시 하였고, 총 897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응답자 1인당 선택할 수 있는 설문지 응답 세트는 총 4개로 서로 다른 속성으로 구성하였다. 각 선택 세트의 속성은 구매 장소(백화점, 슈퍼마켓, 인삼 전문점), 인증 표시(한국 국기, VietGap), 그리고 한국의 인삼 브랜드(정관장, 한삼인, 금홍) 로고와 가격으로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인증 표시 더미 변수에서 한국 국기와 Vietgap은 조건부 모형, 혼합 로짓 및 다항 프로빗 모델에서 모두에서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값이 나타났다. 반면에, 가격이 높아질 수록 소비자들이 인삼 제품을 구매할 때 얻을 수 있는 효용은 낮아졌다. 브랜드 로고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구매 장소의 경우, 인삼 전문점이 가장 높은 WTP (Willingness-to-Pay)를 가졌고, 3,452,000VND(148 달러)로 추정되었다. 또한, 인증 표시의 경우에는 한국 국기가 표기가 된 상태의 인삼제품에 대한 WTP가 대략 2,190,000VND (94 달러)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베트남에서 한국의 인삼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의사와 구매 시 효용을 높이기 위해 제품에 한국 국기와 Vietgap 마크를 표시하는 것과 인삼 전문매장에서 판매하는 것이 제고 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what kind of ginseng attributes would appeal effectively on Vietnam Consumers. The survey is designed based on the discrete choice model, mainly using conditional logit and random parameter logit (RPL) to interpret the data. 897 survey responses are acquired from cities of Hanoi and Ho Chi Minh (HCM). Each person was asked to answer 4 choice questions and reveal their preferences. The attributes of the choice set are three locations such as department store, supermarket, and ginseng specialty store, dummy variable of Korean nationality and Certification label (Vietgap), the Brand logo of CheongKwanJang, HanSamIn, and Geumhong and price. The result shows that price has a negative effect on utility and three locations and dummy variables as the Korean nationality and Vietgap has positive and significant values under both conditional and RPL model. Ginseng specialty store has the highest willingness-to-pay (WTP) value among shopping location variables with 3,452,000VND ($148). Korean nationality also showed high WTP of 2,190,000VND ($94). None of the brand logos had significant value.

      • 놀이완구의 색채 활용 개선을 위한 즉흥적 색채선호도 조사 : 부산지역 6.7세 남녀아동을 중심으로

        주영선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동기에 있어서 놀이는 곧 학습이다. 아동의 발달은 생리적인 성장과 함께 감각 ·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환경자극제인 놀이완구와의 상호작용 및 학습을 통하여 진행된다. 특히 아동들은 색채에 많은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선호하는 색채에 대해서 더 큰 즐거움을 느끼는 경향이 있어 놀이완구의 색채는 같은 종류일 경우 가장 먼저 시선을 머물게 하며 무의식적으로 인식되어지기 때문에 아동에게 그들의 생각과 행동양식을 대변해 주는 역할을 한 다. 그러나 오늘날 놀이완구에 사용된 색채는 과연 이런 아동들의 선호색을 반영하고 있는지, 선행연구에서 아동의 색채선호도가 색채만을 보고 나타난 선호도 인지 의문점이 생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7세 남녀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이 어떠한 형태를 그리거나 표현하지 않고 색채만을 보고 즉흥적으로 선택하게 하여 색채선호도를 남·여 성별로 조사해 보았다. 제 1장 연구방법으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한다. 제 2장 놀이완구의 색채 활용 개선을 위한 즉흥적 색채 선호도 조사 를위해 이론적 배경을 기술한다. 제 3장 본 논제의 중심적 장으로써 설문조사형식과 분석내용을 기술하고 그래프화하여 종합적으로 놀이완구의 색채 활용 개선을 위한 방안에 대해 기술한다. 설문지의 내용은 선호색상과 그 이유, 기피색상과 그 이유 그리고 선호모양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고 1:1 면담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부산지역에 위치한 두 곳의 유치원과 세 곳의 미술학원 6·7세 남녀 아동 213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 6세 여아는 분홍, 6세 남아는 빨강을, 7세 여아는 노랑, 7세 남아는 파랑을 선호 하였다. 6·7세 남녀 아동 모두 검정을 기피하였다. 선호모양에서는 6세 남녀아동은 사람을 선호 하였고, 7세 남녀아동은 동물을 선호 하였다. 제 4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를 기술하고 이 논문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제언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즉흥적 색채선호도 조사의 색채와 놀이완구의 색채현황조사의 색채가 거의 일치함이 나타났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제품인 점을 감안하여 아동의 색채선호도를 고려하고 놀이완구의 색채를 전체적인 배색에서 저채도의 색이나 무채색의 사용을 활용하여 포인트로 원색을 이용하여 색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피한 놀이완구의 색을 선정함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이 선호하는 색채로 이루어진 놀이완구를 통해 학습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놀이완구의 색채 활용 개선을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꽃 색(Yellow, Pink, Red, White)의 대사물질 특성과 조경적 활용방안

        주영선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Lonicera japonica 꽃의 GC-MS에서 알코올이 가장 많이 검출된 물질로 알코올 23종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에스테르 19종, 알데히드 13종, 테르페노이드 11종, 케톤 4종, 3종 순이었다. 산의 종류, 푸란. 3종, 니트릴 3종, 피라진 2종, 유황화합물 1종으로 분류하였다. Lonicera japonica 꽃의 4가지 색상을 분류하고 향기 성분을 프로파일링한 결과 조경수로서 가치가 있고 조경수로서 잠재력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L. japonica 꽃색깔의 2차대사산물을 분석하여 향기치유 등의 실용면에서 기대되나, 토양 및 대기환경을 고려한 실험조건에 한계가 있는 경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구비될 것이다. 앞으로 이러한 조건으로. 이러한 향 분석 물질의 결과는 조경, 치유 공간 등에서 휘발성 화합물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합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경 식물인 L. japonica의 꽃색 다양성과 대사산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조경 식물인 인동덩굴 꽃의 색 대사체 다양성에 대한 향기분석 및 조경활용 방안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L. japonica 꽃 GC-MS 분석 2. L. japonica 꽃의 정량 분석 3. L. japonica 꽃 종류 분석 4. L. japonica 꽃의 향기 성분 프로파일링 Lonicera japonica 꽃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었으나, 꽃의 색상별 향 성분 및 물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 japonic 꽃의 4가지 색상 각각에 대한 향물질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Lonicera japonica 의 색상별로 향료 성분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L. japonica꽃 휘발성 화합물을 분석하기 위해. 꽃의 네 가지 색상(분홍색, 빨간색, 흰색, 노란색)에서 GC-MS/MS 방법으로 총 83종의 휘발성 화합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색상의 L. japonica 꽃에 대한 방향족 휘발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SPME/GC를 사용하여 L. japonica 꽃의 어떤 색상에 향료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지 알아보았다. 네 가지 꽃 색깔의 휘발성 화합물을 프로파일링한 결과, 노란색 꽃과 흰색 꽃은 유사한 물질 함량을 보였고, 분홍색 꽃과 붉은 꽃은 비슷한 성분의 물질 함량이 높았다.

      • 개인정보의 처리에 관한 동의제도

        주영선 전남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개인정보는 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 중심사회에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핵심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개인정보는 공공과 민간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이는 단순히 생산성을 높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각 분야의 혁신을 가져온다. 개인정보의 처리는 우리 일상에서 흔히 일어나며, 개인정보의 잠재적 가치로 인해 활용범위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개인정보는 살아있는 개인에 관한 정보로서 개인의 인격적 이익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일반정보와 달리 그 처리에 있어 신중하여야 하며,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편, 정보주체의 동의는 개인정보처리자가 개인정보를 처리하는데 단초가 되는 것으로, 많은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근거로 개인정보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동의는 개인정보보호법제에 있어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동의권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또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를 정보주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인 개인정보권으로부터 발현된 것으로, 정보주체에게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한 선택권과 통제권을 부여한다. 하지만 현재 동의제도는 무분별하고 관행적인 동의절차로 인하여 이와 같은 취지가 무색해지고 있으며, 오히려 개인정보처리로 발생하는 모든 문제에 대한 책임을 정보주체에게 부담 지우는 결과를 가져온다. 나아가 엄격한 사전동의제도로 인해 신기술발전과 데이터 경제로의 도약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동의제도의 실효성 문제를 해결하고, 데이터경제시대에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개인정보보호법상의 동의제도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상 동의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정보주체의 동의가 형식적 동의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실질적 동의가 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개인정보의 보호와 안전한 활용이라는 균형점을 찾아갈 수 있는 동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정보주체에게 직접적인 선택권과 통제권을 부여하는 것이 가장 좋은 개인정보의 보호수단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동의 이외의 적법처리요건을 엄격하게 규정하며, 동의규정을 위반할 경우 형사벌을 부과함으로써 매우 엄격하게 제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은 동의의 형해화로 이어졌으며, 정보주체의 선택권을 보장하지 못한다. 또한 정보주체의 동의는 개인정보처리에 대한 책임을 전적으로 정보주체에게 부담 지운다. 따라서 동의만이 절대적 보호수단이 아님을 인정하고 다양한 보호방식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정보주체로부터 진정한 동의를 얻기 위해서는 동의의 실질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아야 한다. 현재 형식적 측면에서 있어서는 다양한 규제가 존재하는 반면 실질적 측면에서 유효한 동의요건에 대한 규제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동의의 형식적 요건만 충족할 경우 법상 유효한 동의로서 인정된다. 하지만 정보주체와 개인정보처리자 사이에 힘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정보주체가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동의하였다면 이는 진정한 동의로 볼 수 없다. 따라서 실질적 측면에서 유효한 동의요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보주체의 이해를 돕고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하려 할수록 동의내용은 복잡하고 길어진다. 이는 정보주체가 동의서의 내용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동의하게 만든다. 따라서 현재의 복잡하고 형식적인 동의제도를 보다 간소화하고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기술의 비약적 발전과 빠르게 변화하는 데이터의 처리환경은 정보주체의 사전동의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따라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적절한 활용의 균형점 모색을 위해 기존의 사전동의와 함께 사후거부권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인정보보호법에 접목시킴으로써 규제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Personal information has become a key driving force that creates economic added valu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ata-driven society. Personal information is used in various fields of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it not only increases productivity but also brings innovation in many fields.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is common in our daily lives, and its use is expected to diversify due to the potential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is information relating to a living individual and is very closely related to an individual's personality. Therefore, unlike general data, it must be handled carefully with special attention. Most importantly, in most cases, the consent from the data subject is the basis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to process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getting consent is the most crucial par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gislation. The right to consent arises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right, which is the right of a data subject to decide for themselves to whom, and to what extent, and when their information will be given and used. Through consent, the data subject can exercise the right to choose and control their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the current consent system is overshadowing this purpose due to indiscriminate and customary consent procedures. In addition, the responsibility for all problems arising from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is being passed on to the data subject. Furthermore, the strict prior consent system has been criticized for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eap into the data economy. To solve the inefficiency and the problems of the consent system while securing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nd countries in the era of the data economy, research on the consent system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s essential.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consent system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derives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could become substantive consent- not just formal consent.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onsent method that can find a balance betwee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af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ere is a tendency to think that giving direct choice and control to the current data subject is the best means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For this reason, the requirements for the legal processing of personal data other than the range of the subject’s consent are strictly stipulated, and in case of violations, criminal penalties are imposed with strict sanctions. However, such efforts led to the tendency where the data subject's right to choose is not guaranteed. In addition, the consent of the data subject can place the entire responsibility for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 on the data sub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ept various protection methods and acknowledge that consent is not an absolute means of protection. To obtain genuine consent from the data subjec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ractical aspects of consent. Currently, various regulations exist in forms, but in practical terms, there is no regulation on effective consent requirements. Therefore, if the formal requirements of consent are satisfied, it is being recognized as valid under the law. However, due to the imbalance of power between the data subject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it cannot be considered valid consent if the data subject gives consent regardless of their own wi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practical valid consent conditions. In addition, the mo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help the information subject understand, the more complex and lengthy the consent content becomes. This causes the data subject to give consent without properly checking the contents of the consent form. 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to further simplify the complex and formal consent system. Furthermore,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fastly changing data processing environment create a situation where prior consent of the data subject cannot be obtained. Therefore, to find a balance between the appropriate us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ata protec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gulatory paradigm by grafting a new paradigm of the “right to opt-out together along with the existing prior consent”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 반려식물이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주영선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 241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3회 방문하여 반려식물 돌봄 활동과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의 조사는 1)반려식물 선호도, 2)반려식물 만족도, 3)노인생활 만족도, 4)노인 정신건강, 5)노인의 사회성・친밀감・소속감, 6)노인의 감정평가 6항목에 관하여 시행하였다. 반려식물의 관심도에 관한 조사에서는 53.3%가 관심이 있다고 하였으며, 44.8%가 매우 관심이 있다고 하여, 98.1%가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반려식물의 돌봄에 관하여 95.4%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반려식물은 정서적 건강에 94.6%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78.8%가 반려식물과 대화하기를 하고 있다. 반려식물은 노인생활 만족도에 70% 이상이 긍정적으로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독거노인 정신건강에 대한 긍정적 분석에서는 58%가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일을 잘 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여성 독거노인은 82.7%가 사회성 척도가 높다고 하였다. 그리고 61.4%가 주변 사람들과 친밀감 있게 잘 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속감 척도에서는 56.6%가 친구들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식물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 및 효과에 대한 인식도는 다소 낮은 편이나 반려식물 돌봄이 경험을 통해 다양한 측면의 긍정적인 정서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bout companion plants care activities by visiting three times during a period of four months targeting 241 women seniors living in the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 preference for companion plants, 2) satisfaction with companion plants, 3) satisfaction with the elderly, 4)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5) sociality, intimacy and belonging of the elderly, and 6) six evaluations of the elderly. Interest on care activities of companion plants have a 98.1% interest. And 44.8% were very interested in that. That this was a 95.4% helpful about the care of companion plants, companion plants that we have a 94.6% help with emotional health. In addition, 78.8% and to a dialogue with companion plants. Companion plants showed that more than 70% of the life satisfaction of women living in urban seniors are satisfied with the positive. The positive analysis of women's mental health showed that 58% of seniors have the confidence to do their job well. Elderly women living alone were the measure is 82.7% higher social skills. And it showed that 61.4% is doing well so the intimacy and the people around you. On the other hand, in the sense of belonging scale, 56.6% did not feel belonging to the group of friends. Although the awareness of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effects of companion plants is rather low, it has been proven that caring for companion plants can have various positive emotional effects through experience.

      • 1,2,4-triazole 유도체의 고리화 반응에 의한 fluconazole 합성 시의 수율 개선 연구

        주영선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진균 세포의 14α-demethylase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진균의 세포막 구성 성분인 ergosterol의 합성을 막는 fluconazole은 인체에 안전 및 부작용이 다른 항진균제 제품에 비해 매우 적고 진균 감염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며 국부 또는 전신에 모두 사용이 가능한 제품이다. 또, 가격 경쟁력이 높은 제품으로 항진균제 시장에서 주도하고 있다. 반면, 높은 수요에도 불구하고 fluconazole은 복잡한 제조공정과 낮은 수율이문제점으로 대두되면서, 최근 fluconazole 합성을 위한 다양한 공정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합성과정에서 이성질체의 발생량이 커서 순수한 제품을 분리 및 정제하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epoxy mesylate에 hydrazine monohydrate와 formamide, acetic acid를 사용하여 1,2,4-triazole 유도체의 고리화 반응을 통해 fluconazole을 합성하고자 하였으며, 이 공정을 최적화하여 높은 수율로 고순도의 flu -conazole을 얻고자 하였다. 공정은 총 3단계로, 1단계인 hydrazine derivative 공정에서 반응온도와 반응시간을, 2단계인 crude fluconazole 공정은 반응온도와 반응시간, solvent (acetic acid)량을 공정 변수로 높은 수율을 찾고자 하였으며, 미국약전 적합기준을 위해 3단계 refine 공정을 진행하였다. 1단계 공정조건은 반응온도 55℃, 반응시간 2시간에서 수율이 89.2%로 우수하였으며, 2단계 공정조건은 반응온도 150℃, 반응시간 5시간, Solvent 0.5vol에서 수율이 81.4% 로 우수하였다. 마지막 refine 공정을 통하여 최종 수율 57.4%, 순도 99.9%의 fluconazole을 제조하였으며, 분석기기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fluconazole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공정조건은 의약 산업화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