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후기 인물화에 관한 연구

        주보람 수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is a study on Figu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late Joseon period was the time when many changes happened. It is the time when the literature and art had clearly indicated a change in the contemporary period, and when the realistic depiction had been definitely advanced along with showing common people`s life by selecting materials of nature and reality in Joseon as what Jingyeong-sansuhwa(true-view landscape painting) or genre painting had initiated fashion in the painting history. Also, in the Joseon period, common people briskly participated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ollowing the mid-19th century as the economic margin occurred gradually. Typical painters include Kim Hong-do, Shin Yun-bok, Lee Myeong-gi, and Chae Yong-sin, who depicted common people`s daily looks. Thus, the realistic and active works are said to have been mainly drawn as the life of common people at that time was moved literally. The works in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are composed of such works, were based on Jeonshinsajo, which shows the internal world even with being accurate. As Jeonshinsajo is the Oriental art thought, which has many influences not only upon figu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but also upon Oriental paintings, it contains the meaning of needing to contain even spirit with prohibiting from stopping at reproducing the figure`s shape when drawing a figure painting. Kinds in figure paintings can be divided largely portrait, genre painting, Doseok-inmulhwa, and Gosa-inmulhwa. Even the interesting works were said to be much drawn than the early Joseon period. Thus, the late Joseon period is said to have shown the peak of development in figure paintings. What there are interesting works in the late Joseon period compared to the early Joseon Period is because chiaroscuro, which is typicalin the West, begins to be indicated along with the depiction of using the same method and line as Baechae among techniques of being used traditionally, as the western techniques begin to be flown in gradually while the frame of traditional figure paintings is maintained basically. Painting styles in several fields were developed that expressed painter`s each individuality, though researching and analyzing by diverse works. It is thought that there would be many limitations or restrictions to creative activity at that time. However, the painters in the late Joseon period showed the sensational image at that time on what they themselves aim to express. What these works have been preserved so far was felt to be great. Researching through analyzing artists led to having come to think deeply about art while feeling many importances in proceeding with developing diverse figure paintings along with expression on a work.

      • 임부의 음악 태교 중 피아노 태교에 대한 인식도 조사

        주보람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태교는 옛 선조들의 지혜에서부터 현대의 과학적 연구에까지 이르러 그 중요성이 강조돼왔으며, 그중 음악태교는 근래 몇 년 동안 태교의 필수 요소가 되었고, 가장 대표적인 태교 방법으로 꼽히게 되었다. 그러나 음악 태교에 관한 연구는 음악 감상 태교법에만 편중되어 이루어졌을 뿐, 상대적으로 노래 태교법이나 악기 태교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부들의 음악 태교 중 피아노 태교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피아노 태교의 올바른 실천 방법과 학습자에 대한 교육적 기반 마련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음악 태교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문헌연구와 국내외 피아노 태교 수업의 실태 조사를 통해 문헌적, 실질적 이론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국의 임부 135명을 대상으로 임부들의 일반적 특성, 음악태교 실천도, 피아노 태교에 관한 인식도, 피아노 태교 프로그램 구성 요소에 관한 내용의 설문을 작성하여 조사연구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부들의 태교에 대한 방법으로는 음악 태교가 가장 많았고, 피아노 교육경험이 있는 임부의 수치는 93.3%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임부들의 음악 태교 실천도는 76.3%로 나타났고, 앞으로 태교로 배우길 희망하는 악기는 피아노, 오르간 등의 건반악기가 가장 많았다. 셋째, 피아노태교의 인식도는 58.5%로 나타났고, 피아노태교의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아노 태교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비율이 약80%로 나타났고, 피아노 태교 프로그램의 참여의사는 참여하겠다 수준의 의견이 74.1%로 나타났다. 피아노 태교의 인식은 아직 부족해 보이나, 영향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수치가 나온 것으로 보아 피아노 태교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높이고 효과적인 태교 방법과 실천에 관한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피아노 태교 분야의 발전 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피아노 태교 수업의 교사 교육, 교재 연구, 수업 프로그램 연구 등의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으며, 더 나아가 피아노 태교 수업의 교육적 가치와 중요성을 인정받고 실질적으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importance of prenatal education has long been highlighted ranged from the ancient society to contemporary scientific studies. Recently, prenatal music educa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prenatal educations among a verities of prenatal educations. Researchers have paid sparse attention to the prenatal education by songs and musical instruments, however, while they are quite interested in studying the prenatal education by listing music.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al foundation of prenatal education practices and their learners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as new means of prenatal music educations.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literature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enatal music education. Then, the dissertation analyses a survey data on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collected solely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mpleted by 135 respondents who were being pregnant.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ersonal information, the frequency of practice of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the respondents’ perception of it and components of it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respondents use musical means for prenatal education rather than others. Especially, over 90 percent of respondents who have leant piano practise prenatal music educations. Second, three quarters of respondents perform prenatal educations by various musical mean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desire learning keyboard instruments such as piano and organ. Third, around 60 percent of respondents recognize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as a way of prenatal educations and most of them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it. Fourth, around 80 percent of respondents take tutors’ ability and specialty seriously when they choose the program. Three quarters of respondents are willing to take part in the program of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Although it seems that the recognition on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is not strong,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significant improvement of it, considering the positive perception on it. In addition, the diffusion of effective methods of practices and the promotion of the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c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Lastly, this study would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on the practical activation of class on ‘prenatal education by playing piano’ as well as future studies on teaching methods, instructors and textbooks.

      • 내면아이치료 집단상담이 자기개념 및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

        주보람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ling that applies inner child therapy, onto the self-concept and ego-strength of the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are 199 research subjects in total in order to tes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mong them, 147 subject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ling, 'Spirituality and Inner Child Therapy', and 52 were composed of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handle anything during the same period. The group counselling 'Spirituality and Inner Child Therapy' that was used in this research is the group counselling that is invented, developed, and structured by Jea-Eun Oh based on the inner child therapy of John Bradshaw. This group counselling is conducted for 45 hours for 4 days. In this research, it is intended to examine to effects of group counselling that was conducted over 4 groups in total during December of 2010, and February, June, and July of 2011.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ling, the 'Self-Concept-Test' and 'Ego-Strength-Criteria' were conducted aiming 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group counselling. In addition,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the two-way ANOVA that examine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s well a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and the interaction of them, was condu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it conducted the SPSS 12.0 program and the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impression and self-report of the participan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ling and follow-up meetings.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아이치료 집단상담이 참가자들의 자기개념 및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자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199명의 연구대상을 모집하였으며, 이들 중 147명은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에 참석한 실험집단으로 배치하였고, 이들 중 52명은 같은 기간 아무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은 존 브래드쇼의 내면아이치료를 토대로 오제은이 한국적 상황에 맞게 고안하고 개발한 구조화된 집단상담이다. 본 집단상담은 3박 4일 동안 총 45시간 씩 진행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2월, 2011년 2월, 6월, 7월동안 총 4개의 집단에 걸쳐 진행된 집단상담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상담 실시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자기개념검사’와 ‘자아강도척도’를 실시하였다. 또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헙집단과 통제집단 간, 그리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알아보는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더불어 집단상담과 후속모임에 참여한 참가자들의 소감 및 자기보고를 바탕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 베른하르트 슐링크 문학의 역사 인식과 윤리적 지평 : 『책 읽어주는 남자』, 『귀향』 그리고 『주말』을 중심으로

        주보람 경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Die vorliegend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r Literatur von Bernhard Schlink, der als deutscher Jurist und Schriftsteller weltweit bekannt ist. In seiner Literatur kann man seinen historischen Standpunkt und ethischen Horizont untersuchen. Die Romane Der Vorleser, Die Heimkehr und Das Wochenende sind Beiträge zur Aufarbeitung der deutschen Geschichte und Vergangenheit. Obwohl Schlink ursprünglich als Autor von Kriminalromanen bekannt geworden ist, helfen seine nachfolgenden Romane die schweren Wunden der deutschen Zeitgeschichte zu verstehen. Die Geschichte des 20. Jahrhunderts war für Deutschland eine Geschichte des Grauens und Leidens, die im Nationalsozialismus und im 2. Weltkrieg kulminierte. Im Zuge der Nachkriegszeit folgte der gesellschaftliche Aufbruch mit der 68er-Bewegung, der Mauerfall beendete den Kalten Krieg und am 3. Oktober 1990 wurde Deutschland wiedervereinigt. Bernhard Schlink wurde 1944 geboren. Er gehört zu jener Generation, die zur 68er-Bewegung gezählt wird. Die aufreibenden 1960er Jahre in Europa haben seine Weltanschauung maßgeblich geprägt und verändert. Seine persönlichen Erfahrungen und die deutsche Zeitgeschichte haben in unterschiedlicher Ausprägung einen großen Einfluss auf seine Literatur. Insbesondere handeln seine Romane vom Generationenkonflikt zwischen Kriegsgeneration und 68-er Generation, von historischem Erkenntnisinteresse, von Philosophie und über die Erfahrungen jeder Generation. Schlink hat im Anschluss an die Verleihung des Park Kyong-Ri Literaturpreises seinen historischen Standpunkt, der in seinen Werken zum Ausdruck kommt, erklärt. Die verschiedenen Sichtweisen auf den Nationalsozialismus sind zwar miteinander verflochten, aber in jeder Generation anders ausgeprägt, abhängig davon, ob und wie man diese Zeit selbst erlebt hat oder nur von Geschichten der Eltern oder Großeltern kennt.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m Nationalsozialismus kann folglich als eine Generationenfrage betrachtet werden. Das Schuldbewusstsein ist in der Kriegsgeneration wohl am stärksten vorhanden, bei den Kriegskindern und Enkeln lässt es nach und verdünnt sich. In diesem Kontext ist es wichtig, dass das Leben im Krieg in seinen Werken genau interpretiert wird. In den drei Romanen werden folgende Fragen thematisiert: Haben die Deutschen die Vergangenheit aufgearbeitet, bewältigt und überwunden? Inwiefern hat sich das Gewaltmonopol des Staates verändert? Wie kann sich das Individuum unter der Staatsgewalt artikulieren? Wie kann ein möglicher Generationenkonflikt ausgetragen und bewältigt werden? In den Romanen von Schlink geht es um Werte und Moral und den davon abgeleiteten historischen Standpunkt. Durch die Literatur kann Schlink den Leser fragen, was das wahre und gute Leben ist. Um diese Gewissensfragen kreisen letztlich alle Werke Schlinks. Die Welt des 20. und des beginnenden 21. Jahrhunderts war von vielen Transformationen gekennzeichnet. Die Ausübung von Staatsgewalt und Terror gehörten stets zum Alltag, doch die Gestalt und das Ausmaß veränderten sich. Aus diesem Grund fragt diese Arbeit nach dem Gewissen und dem Verständnis der Geschichte. Sie untersucht Vergangenheitsbewältigung nach ethischen Gesichtspunkten. Die Arbeit kommt zu dem Schluss, dass die Staatsgewalt auch in einem demokratischen Staatsgebilde weiterhin existent ist. Die Individuen müssen sich dieser Staatsgewalt unterordnen, um einen anarchischen Zustand zu verhindern. Alle Individuen sollten sich bewusst sein, dass sie nur in Frieden leben können, wenn sie stets ihr Gewissen überprüfen und aufeinander aufpassen, um harmonisch zusammen zu leben. Durch die literarischen Werke von Schlink werden uns die Fragen vor Augen geführt. In seinen Werken wollte Schlink nur über seine eigene Generation schreiben. Aber seine Leser können die deutsche Geschichte durch ständige Selbstreflexion und den Vergleich mit eigenen Erfahrungen besser verstehen und eine Antwort auf die oben aufgeführten Fragen bekommen. Als Schriftsteller von Unterhaltungs- und Kriminalromanen wurde Schlink zu einem internationalen Bestsellerautor. Im Mittelpunkt seiner Werke stehen das Pflichtbewusstsein des Individuums und seine Stellung in der Geschichte. Außerdem können die Leser mit dem Autor über ihr Leben kommunizieren. Die Literatur von Schlink soll neoliberalen Tendenzen im Wirtschaftssystem entgegen wirken und die Gedankenlosigkeit in der Gesellschaft überwinden.

      •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주보람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논 문 요 약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주 보 람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전공 (지도교수 유 제 순) 본 연구는 2017년에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1∼2학년군에 적용되기 때문에 단위 학교에서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과 다르게 변화한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을 의도한 대로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며 편성·운영상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바람직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충북 도내 256개 초등학교의 학교 교육과정 및 1∼2학년의 학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 실태, 입학 초기 적응활동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단위 학교에서 시간 편성과 관련된 세부 내용은 자세하게 구성하였으나 성격, 목표, 평가 등에 관한 사항은 내용이 부족한 실정이었다. 또한 학교의 실정에 맞게 창의적 체험활동을 재구성한 곳은 적은 비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수의 학교에서는 교육부와 충청북도 교육청의 편성·운영 지침을 그대로 진술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대다수의 학교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영역 편성 방법이 학교에서 동일한 중점 영역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영역은 자율활동에 해당하였다. 1∼2학년의 경우 기본생활습관 형성 등과 관련한 내용을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었는데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는 사항을 잘 반영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4개의 영역의 세부 활동을 분석한 결과, 자율활동 영역의 자치·적응활동에서는 행사활동, 민주시민교육, 기본생활습관 형성과 관련된 내용, 창의주제활동은 범교과 학습주제와 관련된 내용 지도에 많은 시간을 편성하고 있었다. 범교과 학습주제의 개수가 줄어들었음에도 창의주제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컸다. 동아리활동은 학교에서 동일한 활동을 편성하여 주는 경우가 많았으며 학생들의 선택권이 많지 않았다. 동아리활동 중 문화·예술활동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봉사활동과 진로활동의 경우 다른 두 영역에 비해 시간 배당이 많지 않았으며 봉사활동은 환경보호활동, 진로활동은 자기이해활동, 진로탐색활동을 많은 학교에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입학 초기 적응활동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단위 학교에서 시간 편성, 활동 내용, 운영 방법의 자율성이 부여됨에도 불구하고 입학 초기 적응활동 지도 계획이 유사하였다. 대다수의 학교에서 60시간 이상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학교생활 적응 영역에 많은 시간을 편성하며 대부분의 학교가 3월에 집중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창의적 체험활동의 평가의 경우 학생 평가 계획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지 않았으며 목표가 중요함에도 많은 학교에서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2009 개정과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평가 실시 및 기록 방법이 달라졌음에도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는 곳이 많아 평가를 실시한 후 누가 기록한 내용을 참고하여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을 정리하여 기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단위 학교에서는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변화한 내용을 정확히 인지하고 자율적으로 편성하여 학교마다 특색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편성·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본 논문은 2018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Researches on optically-induced manipulation of micron-sized dielectric particles with fiber optic bessel beam

        주보람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집광된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작은 물체를 포획하는 Optical tweezer 연구는 1986년 Auther Ashkin의 연구를 시작으로 많이 발전되어 왔다. 기존의 관련 연구에서는 Bulk optical system을 구성하여 마이크로 입자를 한 위치에 광포획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fiber optical system을 구성하여 입자를 포획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험셋업의 이동없이 입자를 이동시키는 새로운 Optical trapping연구를 진행하였다. 마이크로 입자를 광학적으로 포획하고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빔을 발생시키기 위해 먼저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광섬유소자를 제작하였다. 광섬유소자를 통해 발생하는 베셀빔 (Bessel beam)은 비회절 구간이 매우 길고, 빔이 왜곡되어도 자가회복되는 self-reconstruction 성질이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 입자를 광학적으로 다루는 데에 매우 적합하다. 마이크로 입자를 광포획하는 실험은 마이크로 채널을 갖는 PDMS chamber를 제작하여 Lab on a chip system을 구성하여 수행하였다. 반대방향의 두 힘을 마이크로 입자에 가하여 두 힘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서 입자가 포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베셀빔으로 광학경로를 구성하여 마이크로 입자를 이동시키는 연구 또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두 베셀빔이 이루는 교차점에서의 입자의 방향전환(turning)이며, 90가 넘는 각도의 교차점에서도 입자의 방향전환에 성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광학경로를 구성하여 입자를 우리가 원하는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도 이동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삼각형모양의 폐회로 형태의 광학경로를 구성하여 입자를 폐회로 경로를 따라 계속해서 순환시키는 데에도 성공하였다. 본 연구는 생체 내에서 세포를 광학적으로 포획하거나 약물분자를 특정 세포에 주입시키는 등 다양한 생물학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research of optical tweezer which is scientific instrument that uses a highly focused laser beam to trap micron sized particles has widely developed since Arthur Ashkin pioneered the optical trapping process. In the existing related researches, optical trapping of a micro-particle at the fixed position is mainly discussed. In this thesis, we report a new type of optical trapping research which is not only to trap at a fixed position but also transport micron sized particles without moving the experimental set-up by constituting the fiber optical system. We fabricated the fiber device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to generate a diffraction-free beam for optical trap and transportation of micro particles. Bessel beam which is generated through the fiber device has non-diffraction and self-reconstruction properties. So it is well suited for optical manipulation of the particles. Optical trap experiment is conducted with the micro-channel PDMS chamber by constituting the Lab on a chip system. By applying two forces of opposite direction, the particle is optically trapped at the position in equilibrium of two forces. Optical transportation research is also conducted by constructing the optical route formed by Bessel beam. We could make the particle turns at the intersections of acute angles, right angles and even obtuse angles in the optical route. Based on this experiment, we achieved the transportation of the particles along the any optical routes we want. We also successfully demonstrated that the particle keeps circulating along the triangular shaped closed optical route. These researches are expected to open many applications in nano-bio science such as optical trap of cells of living body and injection of the medicine molecules to specific cells.

      •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주보 강릉원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observed young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and analyzed their general behavior tendencies and the rough-tumble play types seen in their outdoor plays. Besides,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rough-tumble play,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ends to focus on the educational aspect of rough-tumble play and to identify what relationships there are between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the self-regulation ability. The target of a randomly selected class consisting of 5 years old children in S Nursery Center located in the city G, and total 27 young children (13 boys, 14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observe the young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 types, this study used the outdoor play behaviors classification criteria having developed in Lee Si-Ja and Lim Myung-Hee(1998), and in order to analyze their rough-tumble play types, this study used Kim Myung-Hee(2006)'s observation tool, which had corrected and complemented by adding the Lee Sook Jae(1998) having corrected and complemented on the basis of Smith & Boulton(1990)'s rough-tumble play observation scope and Humphreys & Smith(1987)'s rough-tumble play's start and end, and Smith(1973). And, in order to measure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is study used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test criteria for teachers' developed by Jang Yeong Sook and Hwang Yoon Sae(2009) in tact. As the test tool for measuring the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used Lee Hak Seon(2007)s's test criteria, which was corrected as the evaluation questions for teachers from Lee Jeong Ran & Yang Ok Seung(2003)'s Young Childhood Self-Regulation Test Tool for Parent. On the basis of corrected data, this study analyzed the young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 types, and calculated each rough-tumble play type's frequency rate seen in the young children's outdoor plays.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rough-tumble play,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is study calculate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eral tendencies of outdoor plays, the rough-tumble play type was seen the most frequently. And the order of play types seen more frequently following after the rough-tumble play were the passive social activity, the role play, the game, the passive non-social activity, the progressive activity without movement, the object play, the movement play and others in order. Concerning the young children's rough-tumble play frequency seen in outdoor plays, the run away and catch behavior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The type of play behavior is fallen into a subcategory of chase play under the larger category of rough-tumble play, and shows a strong characteristic as a mutually enjoying play, not damaging or bullying each other. The children run away and chase each other with smiling, or set a tagger and replace a caught child into a new tagger through their interaction.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rough-tumble play frequency and the leadership. The all lower variables of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challenge and the confidence, the respect to others, the self-behavior control, and the problem solution ability showed somewhat high positive correlations. From this result, it could know that young children frequently playing rough-tumble plays suggested their opinions to peers, actively participate in such type of plays, and led the plays caring peers. It was found that the young children's rough-tumble play frequency and their self-regulation ability were in generally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in terms of self-decision as a low variable, their correlation was somewhat high, but other low variables like self-evaluation, behavior-restraint, and the emotionality didn't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That can be interpreted as the initiative concept progressively suggesting and leading an activity or a play in peer groups and effectively his/her opinion from the same context with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Conclusionally, the rough-tumble of outdoor play types play shows som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adership and the self-regulation ability, so it is required for teachers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values of rough-tumble play and to appropriately guide and observe young children so that rough-tumble plays can be actively done in an outdoor play environment.

      • 한국어 '고' 보절 동사 연구 : 문장 구조를 중심으로

        주보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content base of Korean ‘고’ complement verbs, to finalize the educational list of ‘고’ complement verbs and to reveal their sentence structure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t many basic studies such as revealing the sentence structure or orga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고’ complement verb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result,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고’ complement verbs was not well covered in the textbook, and learners are making many errors due to the difficulty in using the ‘고’ complement verbs, especially the sentence structure. In the case of ‘고’ complement verbs, it is effective to teach sentence structure together because meaning or use can change depending on sentence structure, in this regard, the need for this study to build a list of educational ‘고’ complement verbs and analyze their sentence structure. First, this study extracted a total of 50 ‘고’ complement verbs from the 1469 verbs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Curriculum Study Vocabulary(2017), to establish a list of ‘고’ complement verb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extracted ‘고’ complement verbs,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고’ complement verbs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N0이/가 S1고 V, N0이/가 N2에/에게 S1고 V, N0이/가 N2에서/에게서 S1고 V, N0이/가 N2에 S1고 V. Depending on this sentence structure, verbs can be categorized into certain categories: cognition-related verbs have a sentence structure of ‘N0이/가 S1고 V’, speech-language verbs have a sentence structure of ‘N0이/가 N2에/에게 S1고 V’, language-understanding verbs have a sentence structure of ‘N0이/가 N2에서/에게서 S1고 V’, and literal-language verbs have ‘N0이/가 N2에 S1고 V’ sentence structure. The study also analyzed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고’ complement verbs and found that sentences can be restructured if certain conditions are met.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고’ complement verbs does not seem to have much effect on restructuring, and it is the predicate of the complement phrases that determines whether to restructure it or not. Adjectives, verbs, and ‘X-하다’ can be the predicates of the complement phrases, and if the predicate of complement phrases is an adjective, whether to restructure it or not depends on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adjective. When the predicate of complement phrases is a verb, as a result of dividing the intransitive verb and the transitive verb, it seems that some intransitive verbs can be restructured, but not in the case of transitive verbs. Finally, if the predicate word for 고’ complement phrases is ‘X-하다’, it seems possible to restructure all of them.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restructuring to ‘N0이/가 N1을 N2(으)로 V’ structure could vary depending on the sentence structure of ‘고’ complement verb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ree types of university textbooks to find some problems with the current ‘고’ complement verbs training content 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 and to examine the more desirable ‘고’ complement verbs training content. First, we found that no other ‘고’ complement verbs were presented as independent grammar items, except for the verb ‘듣다, 묻다/여쭈다 보다, 하다’ and that ‘고’ complement verbs were very limited in examples and texts. Only 11 ‘고’ complement verbs were presented in 『서울대 한국어』, and 『연세 한국어』, 『재미있는 한국어』 contain only 6 ‘고’ complement verbs. Each textbook focused on the meaning or use of ‘고’ complement verbs but did not cover the sentence structure, or syntactic part of ‘고’ complement verbs. Of course, some sentence structures of several ‘고’ complement verbs have been presented in examples or texts, but it is very difficult for learners without intuition to grasp these sentence structures in sporadic examples. Therefore, when presenting or teaching vocabulary, the verb's sentence structure should be explicitly explained if its meaning or use varies depending on the sentence structure. In addition, all three university textbooks did not provide explanations or examples related to restructuring, an important feature of the ‘고’ complement verbs, which is also considered an effective way to improve learners' grammar skil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educational content of more effective ‘고’ complement verbs, focusing on the existing weak ‘고’ complement verbs' sentence structure, and the corresponding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한국어 ‘고’ 보절 동사의 교육 내용 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고’ 보절 동사의 교육용 목록을 확정하고 그 문장 구조와 그에 따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고’ 보절 동사의 연구는 문장의 체계에서 보절이 갖는 위치나 그 체계를 정리하는 것이 주를 이루어 한국어 교육을 위한 ‘고’ 보절 동사의 문장 구조를 밝히거나 그 특징을 정리하는 등의 기초 연구가 많지 않았다. 그 결과 ‘고’ 보절 동사의 교육 내용이 교재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고, 학습자들은 ‘고’ 보절 동사의 사용에, 특히 문장 구조의 사용에 어려움을 겪어 많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고’ 보절 동사의 경우 문장 구조에 따라서 의미나 쓰임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문장 구조를 함께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러한 점에서 교육용 ‘고’ 보절 동사 목록을 구축하고 그 문장 구조를 분석하여 특징을 제시하는 본 연구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먼저 본고는 ‘고’ 보절 동사 교육용 목록 구축을 위하여, 국제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 어휘(2017)에 제시된 동사 1469개 중에서 총 50개의 ‘고’ 보절 동사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고’ 보절 동사의 문장 구조를 분석한 결과, ‘고’ 보절 동사의 문장 구조는 다음 네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1) N0이/가 S1고 V 2) N0이/가 N2에/에게 S1고 V 3) N0이/가 N2에서/에게서 S1고 V 4) N0이/가 N2에 S1고 V 이러한 문장 구조에 따라서 동사들은 특정 부류로 유형화 될 수 있는데, 본고는 인지와 관련한 동사들은 ‘N0이/가 S1고 V’의 문장 구조를, 음성 언어적 표현에 관련한 동사들은 ‘N0이/가 N2에/에게 S1고 V’의 문장 구조를, 언어 이해와 관련한 동사들은 ‘N0이/가 N2에서/에게서 S1고 V’의 문장 구조를, 문자 언어적 표현에 관련한 동사들은 ‘N0이/가 N2에 S1고 V’의 문장 구조를 가진다는 사실을 귀납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고’ 보절 동사의 문장 구조를 분석하여 특정한 조건을 만족할 경우 문장이 재구조화 될 수 있다는 특징을 발견했다. ‘고’ 보절 동사의 문장구조는 재구조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재구조화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보절의 서술어이다. 보절의 서술어로는 형용사, 동사, ‘X-이다’가 올 수 있는데, 보절의 서술어가 형용사일 경우에는 형용사가 가지는 문장 구조에 따라 재구조화 여부가 결정되었다. 보절의 서술어가 동사일 경우는 자동사와 타동사를 나누어 살펴본 결과, 자동사의 경우 특정한 몇몇 동사는 재구조화가 가능하나 타동사의 경우는 재구조화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고’ 보절의 서술어가 ‘X-이다’일 경우에는 모두 재구조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 보절 동사가 가지는 문장 구조에 따라 ‘N0이/가 N1을 N2(으)로 V’ 구조로의 재구조화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학 교재 3종을 분석하여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의 ‘고’ 보절 동사 교육 내용의 몇 가지 문제점을 찾고, 보다 바람직한 ‘고’ 보절 동사 교육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분석 대상이 되었던 3종의 대학 교재들을 살펴본 결과 독립된 문법 항목으로 동사 ‘듣다, 묻다/여쭈다, 보다, 하다’를 제외한 다른 ‘고’ 보절 동사가 제시되지 않았으며, 예문이나 지문에서도 ‘고’ 보절 동사가 매우 제한적으로 제시되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서울대 한국어』에서는 11개, 『연세 한국어』와 『재미있는 한국어』에서는 각각 6개의 ‘고’ 보절 동사만이 제시되었으며, 각 교재들은 ‘고’ 보절 동사의 의미나 쓰임에만 집중하여 설명하고 있었고 ‘고’ 보절 동사의 문장 구조, 즉 통사적인 부분은 다루지 않았다. 물론 예문이나 지문에서 몇 개의 ‘고’ 보절 동사의 문장 구조가 제시되긴 하였으나 산발적으로 제시된 예문에서 직관이 없는 학습자가 이러한 문장 구조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어휘를 제시하거나 가르칠 때, 문장 구조에 따라 의미나 쓰임이 달라지는 경우 그 동사가 가지는 문장 구조를 명시적으로 설명해 주어야 한다. 또한 3종의 대학 교재 모두 ‘고’ 보절 동사의 중요한 특징인 재구조화에 관련한 설명이나 예문을 제시하지 않았는데, 재구조화 역시 학습자가 스스로 그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도 교육 내용에 반영하는 것이 학습자의 문법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가 미약한 ‘고’ 보절 동사의 문장 구조를 분석한 점, 또 그에 따른 특징들을 제시한 점, 그리고 문장 구조를 중심으로 보다 효과적인 ‘고’ 보절 동사의 교육 내용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현직교사의 SMK분석

        주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teacher train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fic analysis results and teacher’s expertise by examining the teacher’s knowledge through dividing the in-service teacher’s knowledge about Correlation and Scatter plot into Common Contents Knowledge(CCK) and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the sub-elements of the Subject Matter knowledge(SMK).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Research Question1. What is the in-service teacher’s SMK to teach correlation? Research Question2. What is the current teacher’s SMK to teach scatter plot? To produce the test about correlation and scatter plot for the in-service teachers, this study created the test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nd classified the questions to CCK and SCK utilizing SMK’s sub-domain classification of Ball, etal. (2008). There are 21 questions in total, and the test was conducted for 30 teachers at 11 middle schools in △△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several studies, confusion between correlation and causality was pointed out as a typical misconception shown by students, however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teachers also have this misconception. Through this, I insist that a concrete teacher curriculum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teachers can overcome their misconceptions. Second, only few teachers use a regression linear strategy in a centerline finding strategy based on a linear scatter plot (16.6%). Few teachers mentioned strategy in Wilson, etal. (2013), which describe the strategy of the centerline of data at the student level. Perhaps the least-squares method is difficult to teach students, hence it could be difficult to deal with it in teacher training courses. However, since a teacher who teaches a scatter plot that judges the cor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with linearity must have basic understanding to find the centerline of the data, I strongly propose that the regression line or strategies introduced in Wilson, etal. (2013) should be added to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본 연구의 목적은 상관관계와 산점도에 관한 현직교사의 지식을 교과내용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 SMK)의 하위 요소인 일반내용지식(Common Content Knowledge: CCK)과 특수내용지식(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SCK)으로 나누어 교사의 지식을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인 분석 결과와 교사 전문성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교사 연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상관관계를 가르치기 위한 현직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산점도를 가르치기 위한 현직교사의 SMK는 어떠한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검사지를 제작하였고 Ball 외(2008)의 SMK의 하위 영역 분류를 참고하여 검사지의 문항을 CCK와 SCK로 분류하였다. 검사지의 문항은 총 21문항이며, △△광역시 소재 11개 학교 현직 중학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연구에서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혼동하는 것은 학생들이 보이는 전형적인 오개념이라고 지적하였는데, 교사들 또한 이러한 오개념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들이 자신의 오개념을 극복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사 교육과정이 실행되어야 함을 필자는 주장한다. 둘째, 서로 다른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비교할 수 있는지를 보는 문항의 정답률은 대체로 높은 편이지만 제일 낮은 정답률을 가진 문항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산점도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 산점도 간의 상관관계 강도를 비교하는 문항이었다. 이 문항의 응답률이 다르게 나온 이유를 조사해보니 일부 교사들은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할 때 기울기, 자료 개수 등에 기준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지식은 교육부 통계 내용 체계에서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일반화된 지식으로 이야기된 바 교사들 또한 이러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근거로 산점도를 보고 상관관계를 해석할 때 기준을 선형성에 두고 상관관계의 강도를 판단해야 한다는 지식을 교사 연수교육과정에 추가되어야 함을 필자는 주장한다. 셋째, 선형적인 산점도를 보고 중심선을 찾는 전략에서 회귀직선 전략을 사용하는 교사는 적었다(16.6%). 학생들 수준에서 자료의 중심선의 전략을 서술한 Wilson 외(2013)에 나온 전략을 말한 교사도 적었다(26.6%). 최소자승법에 관한 지식은 학생들에게 가르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교사 연수교육과정에서 다루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두 변량의 상관관계를 선형성으로 판단하는 산점도를 가르치는 교사는 그 자료의 중심선을 찾는 기초적인 지식은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회귀직선 또는 Wilson 외(2013)에 소개된 전략들은 교사 연수교육과정에 추가해야 함을 필자는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