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대학생의 음주행위 예측모형 구축

        조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음주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을 파악하여 대학생의 음주행위를 정확하게 설명하는 음주행위 예측모형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가설적 모형은 음주행위와 관련된 사회학습이론(Bandura, 1986)과 문제행동이론 모형(Jessor 등. 1991)을 근간으로 대학생 음주관련 문헌고찰을 토대로 이론적 기틀과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가설적 모형의 예측변수로는 새로운 경험추구, 위해 회피, 보상의존의 성격특성, 우울, 부모영향, 친구영향 등을 외생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음주행위를 보다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적절한 조작화와 측정이 가능하도록 음주강도와 음주문제로 세분하여 개념화하였으며, 인지적 요인인 거절의 자기효능과 음주 결과기대를 내생 변수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9년 9월 6일부터 10월 8일까지이며, 한국의 대학생수를 고려하여 남녀, 대학과 전문대학 학생의 비율이 같도록 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분석에 이용된 대상자수는 66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작성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도구의 Cronbach's α 값과 Kuder Richardson formula 20의 값은 0.760 ∼ 0.855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서술적 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은 PC용 Window SAS program(v6.12)을 이용하였고, Window LISREL program(v8.12a)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형의 부합도 분석 결과 1) 가설적 모형은 전반적인 부합지수에 대체로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기초 부합치 GFI= 0.98, 조정부합치 AGFI=0.94, 원소간 평균자승 잔차 RMR= 0.035, 표준 부합치 NFI= 0.96, 비표준 부합치 NNFI= 0.95, Critical Number CN= 324.67), x^(2)값이 크고, 유의도가 .05보다 작으며(x^(2)=137.35 p=0.00, x^(2)/df = 3.15), 또한 표준화 잔차가 기준치보다 큰 값들이 여러 개 있어(-4.80 - 4.92) 구축된 모형에 수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2) 모형의 부합도를 높이기 위하여 부모영향이 음주 결과기대로 가는 경로, 새로운 경험추구, 보상의존, 우울이 음주강도로 가는 경로, 보상의존, 친구영향이 음주문제로 가는 경로를 제거하여 수정모형을 확정하였다. 3) 수정모형의 전반적 부합지수가 모두가 경험적 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x^(2)=52.12 p=0.16, x^(2)/df= 1.21, GFI= 0.99, AGFI=0.98, RMR= 0.036, NFI= 0.99, NNFI= 0.99, CN= 853.99). 예측 변수들이 음주 강도와 음주문제를 설명하는 정도는 70%, 5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2. 가설 검증 내생 변수를 중심으로 잠재변수간의 관계를 직접효과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거절의 자기효능은 친구영향(γ_(1.6)= -0.16 t= -6.95)과 부모영향(γ_(1.5)= -0.11 t= -2.54)에 유의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이 변수들의 영향력은 11%이었다. 2) 음주 결과기대는 거절의 자기효능 (β_(2.1)= -0.07, t= -6.66), 친구영향(γ_(2.6)= 0.03, t= 5.11) 위해 회피적 성격 (γ_(2.2)= -0.13 t= -3.04), 보상의존 성격(γ_(2.3)= 0.07 t= 2.91), 우울(γ_(2.4)= -0.06 t= 2.31), 에 유의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부모영향(γ_(2.4)= -0.01 t= 2.38)과 새로운 경험추구형 성(γ_(2.1)= 0.04 t= 1.38)은 간접 영향은 받았으나 총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들 변수들의 영향력은 21%이었다. 3) 음주 강도는 친구영향(γ_(3.6)=0.42, t= 10.44), 음주문제(β_(3.4)=0.21, t= 7.05) 음주 결과기대(β_(3.2)=1.34, t= 6.66), 위해 회피형 성격(γ_(3.2)=-1.06, t= -4.06), 거절의 자기효능(β_(3.1)=-0.22, t= -3.84), 부모영향(γ_(3.5)=0.20, t= 2.98),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새로운 경험추구(γ_(3.1)=0.15, t= 3.07), 보상의존(γ_(3.3)=0.08, t= 2.03_(3.4)) 우울(γ_(3.4)=0.13, t= 3.18)은 간접효과는 유의하나 총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 변수들의 영향력은 64%이었다. 4) 음주문제는 음주강도(β_(4.3)= 0.21 t= 7.05), 새로운 경험추구형 성격(γ_(4.1)= 0.39, t= 4.83), 우울(γ_(4.4)= 0.20, t= 2.96), 음주 결과기대(β_(4.2)= 0.27 t=2.46), 부모 영향(γ_(4.5)= -0.10, t= -2.24) 에 의해 직접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위해 회피형 성격(간접효과γ_(4.2)= -0.31, t= -4.66; 총 효과γ_(4.6)= -0.42, t= -3.45), 친구 영향은(간접효과γ_(4.6)= 0.13; t= 7.77, 총 효과γ_(4.6)= 0.10, t= 5.63), 거절의 자기효능(간접효과 β_(4.6)= -0.09; t= -5.74, 총 효과 β_(4.6)= -0.14, t= -5.68)은 간접효과, 총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직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부모영향(간접효과γ_(4.5)= 0.06, t= 2.95)은 간접효과는 있었으나 총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보상의존형 성격은 간접효과와 총 효과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들 변수들의 영향력은 41%이었다.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 검증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음주강도에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 변수는 위해 회피형 성격과 부모영향, 친구영향, 거절의 자기효능, 음주 결과기대 였으며, 음주문제는 새로운 경험추구형 성격, 우울, 음주 결과기대, 음주강도에 의해 유의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강도와 음주문제는 상호간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력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거절의 자기효능에 대한 영향력은 부모영향, 친구영향이었으며, 음주 결과기대는 위해 회피적 성격, 보상 의존적 성격, 우울, 친구영향, 거절의 자기효능 등에 의해 의미 있는 영향을 받았다. 매개변수인 거절의 자기효능과 음주 결과기대는 음주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한국 대학생의 음주강도와 음주문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수는 친구의 영향과 부모영향, 위해 회피적 성격, 우울, 거절의 자기효능, 음주 결과기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음주 강도와 음주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친구들이 포함된 거절의 자기효능 증진을 위한 집단 훈련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음주를 강요하거나 부추기지 않는 음주문화 조성, 음주효과에 대한 교육, 정서적 문제해결을 위한 개별 상담 등과 같은 중재방안들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psychosocial factors of alcoholic behavior, and to construct a prediction model for the alcoholic behavior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development of hypothetical prediction model were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Bandura, 1986) and Problem Behavior Theory Model by Jessor et. al., (1991) and literatures review were related to alcoholic behavior. The exogenous variables of the hypothetical model wer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novelty seek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depression, and influence of parents and friends, while the endogenous variables were the alcohol expectancy of drinking and cognitive aspect such as refusal self-effica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770 students of six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from Sept. 6, to Oct. 8, 1999. For the analysis only 660 samples were used leaving out the rests due to incomplete or invalid answers. The research tool wa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literature review. Cronbach's Alpha and Kuder Richardson formula 20 were 0.760 - 0.855. version for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tatistics, and Window LISREL program(v8.12a) for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nalysis of Model Fitness 1) The overall measure of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shown to be rather appropriate(GFI=0.98, AGFI=0.94, NFI=0.96, NFI=0.95, RMR=0.035, CN=324.67). However, several factors represented standardized residual values larger than the absolute value of 2.58, and stem leaf plot did not show normal distribution, suggesting the necessity of modification for the model. 2) The model was revised by deleting alcohol expectancies, the influences of parents and friends, novelty seeking, and reward dependence. This revised model showed much better fitness to the empirical data(x^(2)=52.12, p=0.16, x^(2)/df=1.21, GFI=0.99, AGFI=0.98, RMR=0.036, NFI=0.99, NNFI=853.99 CN=853.99). The degree of explanation by predictive variables were rather high representing 70%, 50% respectively for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problems. 2. Hypothesis testing The 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of potential variables are shown as follows: 1) Refusal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by the parents (γ_(1.5)=-0.11, t=-2.54) and by friends (γ_(1.6)=-0.16, t=-6.95). These variables represented explanatory power of 11%. 2) Alcohol expectancies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by harm avoidance (γ_(2.2)=-0.13, t=-3.04), reward dependence (γ_(2.3)=0.07, t=2.19), Depression(γ_(2.4)=0.16, t=2.31), influence of friends(γ_(2.6)=0.03, t=5.11), refusal self-efficacy(β_(2.1)=-0.07, t=-6.66). Even though it showed indirect effects of novelty seeking(γ_(2.1)=0.04, t=1.38), parental influence (γ_(2.5)=-0.01, t=2.38), there was no significant direct effects in overall feature.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21%. 3) Alcohol consumption showed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by harm avoidance(γ_(3.2)=-1.06, t=-4.06), parental influence(γ_(3.5)=0.20, t=2.98), influence of friends(γ_(3.6) =0.42, 10.44), refusal self-efficacy(β_(3.1)=-0.22, t=-3.84), alcohol expectancies(β_(3.2)=1.34, t=2.98), and drinking problems(β_(3.1)=0.21, t=7.05). Novelty seeking (γ_(3.1)=0.15 t=3.07), reward dependence(γ_(3.3)=0.08, t=2.03)showed indirect effect, but not total effec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64%. 4) Drinking problems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by personality of novelty seeking (γ_(4.1)=0.39, t=4.83), depression(γ_(4.4)=0.20, t=2.96), parental influence (γ_(4.5)=-0.10, t=-2.24), drinking expectancies, (β_(4.2)=0.27, t=2.46), alcohol consumption(β_(4.3)=0.21, t=7.05). But personality of harm avoidance(indirect effect γ_(4.2) =-0.31, t=-4.66, total effect γ_(4.6)=-0.42, t=-3.45), influence of friends (indirect effect γ_(4.6)=0.13 t=7.77, total effect γ_(4.6)=0.10, t=5.63), refusal self efficacy (indirect effect β_(4.1)=-0.09, t=-5.74 direct effect β_(4.1)=-0.09 t=-5.7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indirect and total effects, but not direct effects. Parental influence (γ_(4.5)=0.06,t=2.95) showed indirect effect. But total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eward dependan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direct and total effects.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was 41%. In conclusion, the variables tha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lcohol consumption are harm avoidance, parental influence, refusal self efficacy, drinking expectancies. Drinking problem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novelty seeking personality, depression, and drinking expectancies.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problem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Refusal self efficacy was related to influence of parents and friends. Drinking expectancie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personality of harm avoidance, reward compensation, depression, influence of friends. Self efficacy, refusal self efficacy, and drinking expectancies as mediating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alcohol consumption. In summary, the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problem were influence of friends and parents, personality of harm avoidance, depression, refusal self efficacy, drinking expectancies. Thus, in order to decrease the alcohol consumption and drinking probl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group training programs and implementation, to cultivate atmosphere that does not encourage or force drinking, to educate drinking effects, and to provide individual counseling for solving emotional problem.

      • 한국형 AAC 그림 상징 시퀀스의 딥러닝 기반 텍스트 문장생성

        조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은 그림, 몸짓과 같은 비구어적 방법을 사용한 의사소통 방법으로, 구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은 AAC 상징을 사용하여 자신의 의사를 표현한다. 모바일기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으로 AAC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활용도가 높아져, AAC 어플리케이션 이외에도 다양한 사회적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에 대한 욕구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일반인들의 AAC 이해도가 높지 않아, 일상생활에서 AAC 상징을 사용한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국내 AAC 사용자들이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에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딥러닝을 활용하여 한국형 AAC 그림 상징 시퀀스를 한국어 문장으로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을 위한 데이터로 한국형 AAC 그림 상징 시퀀스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상징 식별자 기반 시퀀스와 상징 어휘 기반 시퀀스로 표현할 수 있다. 전처리 과정에서 토큰화 방법으로 상징 단위 토큰화 방법과 형태소 단위 토큰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학습 모델로 게이트 순환 유닛을 사용한 시퀀스-투-시퀀스 모델과 어텐션 메커니즘을 적용한 모델 2가지를 활용하여 토큰화 방법에 따른 모델별 문장생성 성능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상징 어휘 기반 시퀀스는 형태소 단위 토큰화 방법을 사용한 어텐션 기반 시퀀스-투-시퀀스 모델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인 것을 확인하였다.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s a method of communication using non-verbal methods such as images and gestures. People with language impairment use the AAC symbols to express their intentions. As smart devices and mobile applications become popular, the number of AAC applications has been increasing. Current AAC applications are effective in face-to-face communication. However, they are not suitable for non-face-to-face communication on various social network services because ordinary people have a low understanding of A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the Korean sentence from the Korean AAC symbol image sequences based on deep learning so that Korean AAC users can communicate easily with ordinary people on various mobile platforms. For training data, we constructed the Korean AAC symbol sequences. The Korean AAC symbol sequences can be expressed in the sequences based on symbol identifier(id) or symbol vocabulary. We tokenized the AAC sequences by using morpheme and AAC symbol. Then, using the tokenized AAC sequences, we conducted and compared two deep learning models, the Sequence-to-Sequence model using GRU and the Sequence-to-Sequence model with atten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Sequence-to-Sequence model with attention using the morpheme unit tokenization was the best for translating the AAC symbol sequence to the Korean sentences.

      • 철도차량용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의 설계 및 속도제어에 관한 연구

        조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RM (Switched Reluctance Motor) is composed of silicon steel plates where the rotor structure is simple and laminated without coil winding or permanent magnet, making it mechanically robust and its maintenance and repair excellent. Also, it has simple stator winding coils which allows shorter end-turns than other types of motors. Due to the double salient structure of SRM, its magnetic characteristics are highly nonlinear. Since the flux linkage is represented as a nonlinear function of stator current as well as rotor position, the generated electric torque becomes a nonlinear function. These characteristics make the control of SRM difficult.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esign and control simulation of SRM to apply SRM in a railway traction. In design simulation, SRMs hav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tator pole shape are taken for magnetic analysis using 3d finite element method. It is observed that the proposed model gives improved magnetic characteristic. In speed control simulation, PI and Sliding mode controllers are designed. Two speed control methods for SRM are designed using magnetic characteristic obtained from the designed SRM with FEM. The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and the performance is analyzed. By employing the sliding mode controller, the transient response as well as the steady-state error is much improved even under a load variation.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Switched Reluctance Motor; SRM)는 회전자의 구조가 권선이나 영구자석이 없는 간단한 성층구조의 규소강판으로 되어 있어 기계적으로 견고하여 유지보수성이 매우 좋으며, 고정자 극에만 권선을 감기 때문에 엔드턴(end-turn)이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자의 상전류 극성을 바꿀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위칭 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구동회로를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철도 견인전동기는 부하조건이 가혹하고, 콤팩트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특성에 적합한 스위치드 럴럭턴스 전동기의 적용이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SRM은 고정자와 회전자 모두에 극을 갖는 돌극형 구조이기 때문에 매우 비선형적인 자계특성을 갖는다. 전동기의 쇄교자속은 고정자권선에 흐르는 전류와 회전자의 회전각도 모두에 영향을 받으며 따라서 발생토크 또한 비선형적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SRM의 제어는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를 철도차량구동용 전동기에 적용하기 위하여 설계와 속도제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설계 시뮬레이션은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고정자 극의 형태에 따른 전동기 각 모델의 토크, 인덕턴스, 자속특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제안된 형태의 고정자극 모양에서 자계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속도제어 시뮬레이션에서는 철도차량부하에 대한 PI 제어기와 슬라이딩모드 제어기를 설계하였고,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설계한 SRM의 자계특성을 이용하여 PI 제어기와 슬라이딩모드 제어기의 속도제어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부하조건에서 PI 제어기에 비해 슬라이딩모드 제어기의 과도상태 및 정상상태 제어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활동 적용 : 고등학교 화학Ⅰ 중심으로

        조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과학 탐구 활동에서 논의와 글쓰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과학자는 실험 결과를 해석하여 주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만들고 다른 과학자와 협의하는 과정에서 과학지식을 형성한다. 학생들도 과학자들처럼 과학적 추론을 통해 탐구를 할 때 진정한 과학 학습이 일어난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논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타당하고 정확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를 할 수 있도록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활동을 개발하였다. 이를 화학 교과에 적용하여 조별 논의와 학급 논의 이후에 학생들의 주장과 증거 글쓰기의 변화와 교수․학습 활동 적용 전 후에 비판적 사고력의 변화를 알아보고,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소재 Y여자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의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10개의 주제에서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활동을 진행하고 학생들의 주장과 증거 글쓰기를 모두 수집하였다. 개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조별 논의 전, 조별 논의 후, 학급 논의 후 주장과 증거 글쓰기에 각각 점수를 부여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하여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활동 전 후에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의 차이가 있는지 검사지(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Level )를 이용하여 평균 점수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비교하였다. 모든 교수․학습 활동 적용이 끝난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하고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별 논의와 학급 논의 이후에 주장과 증거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조별 논의 후 주장과 증거의 총합 점수는 조별 논의 전보다 모든 주제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학생 설문 조사에서도 학생들이 조별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문제 상황을 이해하게 되고 주장과 증거를 만들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급 논의 후 주장과 증거의 총합 점수는 9개 주제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p<.05). 인식 설문 조사 결과에서 학생들은 학급 논의를 통해 더 다양한 증거를 제시할 수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학급 논의에서 다른 학생들의 의견을 들으면서 학생들은 다른 학생들을 설득하기 위해 객관적인 출처에 의한 정확하고 충분하며 타당한 주장과 증거를 제시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학습 활동 이후에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시문을 해석하거나 실험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귀납적 추론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또 조별 논의와 학급 논의를 통해 다른 학생들의 주장과 증거를 듣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와 사실을 선택하여, 자신의 주장과 증거에 대한 타당성, 신뢰성, 충분성을 검토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능동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비판적 사고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생들은 말로 하는 논의 활동에 비해 주장과 증거 글쓰기 활동이 어렵다고 인식하였다. 수업의 어려운 점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45.8%의 학생이 주장과 증거 글쓰기 활동이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무슨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써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서술하였다. 이는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글쓰기 교육 및 모델링이 있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importance of argument and writing embedded in scientific practice has been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laim & evidence writing and critical thinking; students' perception on the argument based claim & evidence writing. A total of 72 grade 11 students from a girls-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developed ten argument based claim & evidence activities and implemented in chemistry Ⅰ classes for one semester. Claim & evidence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and scored using an analytical framework designed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claim & evidence writings after group and class argu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a paired t-test.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possible improvement on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fter the instruction using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Level .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udents’ perceptions on the instruction using a survey.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claim and evidence scores after group argu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s in claim and evidence scores after class argument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the group argumentation, the total scores of claim and evidence in every activities improved significantly than before the group argumentation(p<.05). During the group argumentation students come to understand the problem context and to develop claim and evidence. After the class argumentation, the total scores of claim and evidence improved significantly in 9 activities(p<.05). In the perception survey, students answered that the class argumentation helped them present more valid and sufficient evidence on the activities. The student who presented to other students needed to produce claim and evidence based on an accurate reference to persuade others and this helped others to reconsider their claim and evidence by listening to class argumentation. Second, after argument based claim & evidence activities students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scores showed meaningful progress (p<.01). As the students interpreted the problem, analyzed the experimental data, reviewed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sufficiency of their own claim and evidence as well as others, these activities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students’ critical thinking. Third,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claim & evidence writing was more difficult than the verbal argument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45.8%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 claim & evidence writing is difficult and they do not know what and how to write a claim & evidence writing. This result implied that continuous and concrete support on the student writing should be provided.

      •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 지도 방안 연구

        조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장에서 시 창작 지도를 하다 보면 시는 짧은 글, 시는 특별한 사람이 쓰는 것 등 학습자들이 시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잘못된 인식들을 마주하게 된다. 또, 막상 시 창작 시간이 되면 학습자들은 깊은 고민 없이 시의 맛이 사라진 시를 작품으로 내놓곤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따라 본 연구자는 시 창작의 방법으로서 시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운율에 집중하게 되었으며, 초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내재율의 다양한 양상을 지도하여 시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창작 하도록 하는 교수학습방안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는 첫째, 시 창작을 위한 현대시 운율의 개념을 살펴보고 초등 운율 지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 지도 방안을 설계하였다. 셋째, 지도 방안에 따라 지도를 계획하고 지도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현대시가 따르고 있는 내재율은 시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고 시의 내면에 존재하는 주관적, 정서적 운율을 뜻한다. 내재율의 형식으로 일상어에 가까운 소리를 낼수록, 시인의 내부세계를 충족하기에 적당한 형식이 된다. 사람들은 시를 읽을 때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질서, 즉 운율을 찾아가며 읽으며, 그 질서에 의해서 쾌감을 느끼고 깊은 인상을 느낀다. 따라서 내재율을 얻기 위해서는 그 자유시의 조직에 참여하는 모든 요소들을 어느 정도 질서화해야 한다. 운율 요소들이 질서화 되어 나타나는 내재율의 양상을 음운의 반복, 어휘의 반복, 통사구조의 반복, 행과 연의 반복, 이미지의 반복, 이미지의 순환으로 정리하였으며 구체적인 시와 함께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지도과정을 구체화하였다. 지도 과정은 감상 글 제시-운율 찾기-운율 씨앗 만들기-시 쓰기-수정하기-낭송하기-평가하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감상 글 제시 단계는 운율의 기초 개념을 이해한 뒤 내재율의 시를 감상하는 단계이다. 감상 글은 내재율이 드러나는 시로, 앞서 논의한 현대시 내재율의 양상의 유형, 즉 음운의 반복, 어휘의 반복, 통사구조의 반복, 행과 연의 반복, 이미지의 반복의 양상의 전형성을 보여주는 6개의 시들로 각각 선정하였다. 그리고 운율 찾기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제시된 시를 읽고 시의 어떤 부분에서 운율이 느껴지는 지 찾아보는 단계이다. 운율 씨앗 만들기 단계에서는 운율 요소들을 환기하며 운율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표현들을 필요한 전략들과 함께 만들어보는 단계이다. 시 쓰기 단계는 감상 글을 개작해보는 단계로 앞의 운율 씨앗 만들기 단계와 넘나들 수 있다. 수정하기 단계에서는 자신이 쓴 시를 동료학습자들과 공유하고 고쳐 써보는 단계이다. 그리고 낭송하기 단계에서는 고쳐 쓴 시를 낭송하며, 평가하기 단계에서는 동료학습자들과 상호 평가한다. 서울시 노원구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의 1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두 달간 실제로 수업을 적용해보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도 내용에 따른 교수·학습 과정 안, 학습 결과물을 같이 제시하였으며 지도 효과는 학습자에게 실시한 설문지와 실험 전·후의 작품 및 참여자 소감문을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 지도 방안을 실제로 적용하고 분석한 결과는 첫째,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 지도가 학습자의 시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다는 점이다. 내재율에 대한 지도를 통해 운율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학습자들은 시 창작 활동에 자신감과 흥미가 생겼고, 이것이 시에 대한 인식 자체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둘째, 학습자들의 운율에 대한 이해의 폭이 확장되었다는 점이다. 학습자들은 지도를 통해서 운율이 이야기와 구별되는 시의 특성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운율이 시의 분위기 형성에 기여하고, 시의 주제와 시어의 의미를 더욱 강화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학습자들의 시 창작 능력을 향상되었다. 지도를 통해서 내재율의 요소가 무엇인지 학습하고, 감상 글을 통해서 그것을 질서화 하는 방법을 이해하게 됨으로써 자신의 경험을 보다 완성도 있는 작품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넷째, 학습자들의 자아 인식 능력도 향상되었다. 현대시의 운율 지도는 기존의 운율 규칙을 넘어서 자신의 자연스러운 목소리를 끄집어내도록 돕는다. 학습자들은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면밀히 살피고, 그것을 솔직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다섯째, 학습자들의 작품 속에서 지도과정에서 아직 지도하지 않은 운율 양상도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의식하지 않았지만, 자연스럽게 운율적 언어로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내재율의 양상으로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본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지도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그 목적 또한 상상력을 고취시키고, 긍정적으로 자아를 인식하는 방향으로 지도되어야 한다. 시 창작 과정에서 현대시 운율을 지도함을 통해, 현대시에 대한 운율에 대해 인식하고 경험을 시로 형상화 할 수 있도록 지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용과 창작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문학의 수용만 이루어졌을 때보다 수용과 창작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학습자 안에서 깊이 있는 수용과 내면화가 이루어진다. 셋째, 학년 수준에 맞는 지도 전략과 위계화 필요하다. 후속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학년에 맞는 내재율의 양상 지도 내용의 위계화가가 이루어지를 기대해본다. 넷째, 학습자들의 의식하지 않고 나타나는 운율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도 과정에서 보았을 때, 지도하지 않았음에도 지도하지 않은 운율 양상을 보여주는 학습자들의 작품을 볼 수 있었다. 학습자들의 인식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운율 양상에 대해서 활발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 전단보강된 R.C. 보의 휨거동

        조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Numerous material and structural test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henomena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However, most of the tests were focused on the axial concrete and steel behaviors rather than the lateral behaviors. In this study, a reinforced concrete beam test is aimed for revealing the lateral confining effect and the stiffness changes due to shear reinforcement. The load-deflection responses of the reinforced concrete beams resulting from the tests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based on 3-dimensional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The experiments consisting of eight medium-strength concrete beams are tested under two-point loading condition to investigate the possible lateral confining effect in the upper part of the beam from the neutral axis due to the shear reinforcements. The experimental observations conclude that the close replacement of shear reinforcement leads to the upward movement of N.A. according to the increasing external load and the ductile behaviors after reading the maximum capacity without changing the resistant capacity regardless to the shear reinforcement di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