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지역 직장인의 식습관과 영양지식 및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

        조현주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서울지역 20-30대 사무직종 직장인 466명을 대상으로 식습관, 영양지식,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에 대해 조사,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식습관을 개선하고 올바른 가공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영양지식은 올바른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며, 가공식품의 인식은 식품을 선택하는 구매행동에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습관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저체중, 정상, 과체중이 비만에 비해 좋게 나타났고(p<0.001) 아파트, 빌라의 거주자가 원룸, 오피스텔, 단독주택 거주자에 비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영양지식 점수 또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대졸이 고졸에 비해 더 많은 영양지식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p<0.01). 영양지식이 식습관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이 나왔으므로 지속적인 영양교육을 통해 정확한 영양지식을 습득하여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영양지식 평가에서 정답률이 가장 높았던 문항은 ‘현미밥이나 잡곡밥, 신선한 채소, 해조류에는 섬유소가 많아 당뇨병, 고지혈증, 대장암, 변비 등의 예방에 좋다’로 86.7%의 높은 정답률을 보였던 반면, ‘단백질과 탄수화물은 같은 열량을 낸다’는 26.4%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모르겠다’의 비율이 가장 높았던 문항은 ‘콜레스테롤은 체내에서 성호르몬과 담즙 생성에 필요하다’로 48.5%의 비율을 보였다. 셋째, 현대사회는 경제 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식생활이 발전하였고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진출 등으로 가공식품의 생산 및 소비가 증가되었다. 가장 선호하는 가공식품의 종류는 봉지라면이 18.5%로 가장 높았고 일주일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제품으로는 우유류가 21.5%로 가장 많았다. 가공식품의 선호 정도는 '보통'이 45.5%로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미혼이 기혼보다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만족도는 보통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공식품 구매이유로는 간편해서, 맛있어서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공식품 선택시 기호성, 간편성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장이나 진열된 상품자체를 보고 선택하는 편이었으며 45.7%가 늘 먹던 것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마다 1회를 구입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구입장소는 대형할인매장이 43.1%로 가장 많았으며 가공식품구매비용은 월 5만원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가공식품 구매시 영양표시사항을 확인하는 것은 여자가 남자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저체중, 정상이 비만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p<0.05). 구매시 행동 역시 모든 항목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좋게 나타났으며 저체중이 과체중에 비해 다른사람 의견을 반영하며 특정제품을 구매한다고 나타났고(p<0.05) 미혼이 기혼보다 고급제품이나 특정제품, 자연식픔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p<0.05, p<0.001). 여섯째, 가공식품에 대한 인식은 남자보다는 여자가 고졸보다는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졸이 가공식품 안전성에 대하여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일곱째, 본 연구에서는 영양지식은 식습관과 더불어 구매행동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0.210, p<0.001) 구매행동은 식습관, 영양지식, 가공식품인식(r=0.206, p<0.001) 모두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직장인들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쳤고 구매행동은 식습관, 영양지식, 가공식품인식에 따라 변화되었다.

      • 표현활동 수업에서 교사-학생 상호작용, 교과태도 및 학습동기전략 간의 관계

        조현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과의 학습영역 중 하나로서 표현활동 수업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지각된 교사-학생 상호작용, 표현활동에 대한 태도, 그리고 학습 동기화 전략의 하위요인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지각된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중학생들의 학습 동기화 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은 표현활동에 대한 태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남녀 중학생 248명(남학생 118명, 여학생 13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표현활동 태도, 그리고 학습 동기화 전략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일원 다변량 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두 가지 연구문제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사의 행동을 더 불확실하고 불만족스럽게 생각하며 엄격한 것으로 지각한다. 둘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표현활동을 더 재미있고 즐거운 활동으로 인식하지만, 표현활동이 유용하다는 태도는 남녀 집단 사이에 차이가 없다. 셋째, 표현활동 시간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자기효능감과 내적 가치, 그리고 자기조절 전략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교사의 영향력이 중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부(-)의 효과는 표현활동 수업에 대한 인지적 태도(유용성)가 낮을수록 크다. 이 결과는 여학생과 비교하여 남학생들이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부정적으로 지각하지만, 표현활동 수업에 대하여 더 즐겁고 재미있는 활동으로 인식하며, 더 높은 자기효능감과 가치 부여 및 자기조절 전략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또한 중학생들의 표현활동에 대한 인지적 태도 수준이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중학생들의 표현활동에 대한 인지적 태도를 증진하는 것이 교사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자기효능감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주요어: 표현활동, 교사-학생 상호작용, 대인간 행동, 의사소통, 학습 동기화 전략, 태도,

      • 웹 자원의 장기 보존을 위한 국가인터넷아카이브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조현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용량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저장매체, 원거리 검색을 가능케 하는 네트워크, 각종 편리한 도구들을 통해서 디지털 도서관과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과 이용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점만으로 다양한 특성을 가진 디지털 자원의 효과적인 장기 보존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디지털 매체도 취약성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는 계속해서 변화하며 어느 정도 기간이 지나면 완전히 제품시장에서 사라지기도 한다. 새로운 기술로 갱신되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하며, 제대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손실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 가장 근본적인 해결책은 기술의 한계와 변화하는 이용자의 요구에 대해 주의하면서, 책임있는 기관이 데이터를 보관하고 보존하는 것이다. 신뢰할만한 제3자 기관이 검증된 원본판을 보유하게 된다면, 진정한 저자 및 원본임을 확인하는 중요한 원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보존 문제의 성격상 기존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는 협력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보완 및 조정기구로서 뿐만 아니라 보존 관리 기구로서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의 보존 체계를 제시하는 하나의 방안으로서 '국가인터넷아카이브'라고 명명한 웹 자원 보존 시스템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모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사례를 살펴보고 국가인터넷아카이브의 기본적인 골격을 마련하였다. 선행 사례는 전통적으로 자국내의 모든 출판물의 보존을 담당해왔던 국가도서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단순한 납본제도의 사례로서가 아니라 새로운 매체를 보존하려는 노력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둘째, 국가인터넷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상세화하였다. 자원의 장기적 무결성과 신빙성은 메타데이터의 질에 좌우되기 때문에 필요사항을 기술하는 것은 국가인터넷아카이브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 요소들은 수 유형, 수집규칙, 식별기호, 자원의 기본적인 서지사항, 자료의 물리적 특성을 기술하기 위한 파일 포맷, 내용구조정보, 장기 보존 처리를 위한 처리 유형, 처리 시기, 접근 관리를 위한 요소 등이다. 셋째, 국가인터넷아카이브 구현을 위한 시스템 기능별 역할과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국가인터넷아카이브는 웹 로봇을 이용한 수집 시스템, 수집된 객체와 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 시스템, 관리 지원 시스템, HTTP/Z39.50 체제를 기반으로 한 접근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모형의 구조는 기존의 국가전자도서관 체제와 유사하지만, 장기 보존을 위한 측면이 강조된 것이다. 이렇게 구축된 국가인터넷아카이브는 국가정보기반구조를 완성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향후 새로운 매체의 장기 보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Digital libraries and digital archives are actively constructed through storage media enabling to store the mass capacity of data and networks accessible from long distance and many other efficient equipments. Nevertheless, this cannot ensure the perfect long-term preservat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resources. In archival respect, digital media itself have fragility, and both software and hardware technology become rapidly obsolete. Nowhere are challenges difficult than those concerning the new networked media of the world wide web. Procedures for the migration should be followed and repeated. If not, the loss would come on to the surface. One of the most fundamental solutions to the matter is that certified organizations have to take the responsibility for archiving and preserving resources, considering continually changed users' needs and technological limit. If a reliable third party organization keeps an authorized original copy of the material, this archive will be a source for validating claims on who presented ideas first and in which form. Long-term solutions to the problems will require cooperation across traditional boundaries. In this vein, nation's active role is needed not only for support and coordination but also for management of preservation itself. Keeping these in mind, this study suggests a way of modeling national archival system, called a 'National Internet Archive', which can ensure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web resources. The main poin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 -going researches and development activities that are taking place at foreign countries' national libraries and archives in the area of preservation of materials on the web were examined. Findings are the basement of this study's model. Second, requirements for the National Internet Archive are identified and specified. This is very important for the model, because the long-term integrity and the authenticity of the material are dependent on the quality of the metadata. These requirements are Capture Procedure, Capture Regime, Identifier, File Format, Content Structure Information, Process Type, Version, Checksum, and Rights Warning, etc. Third, technical architecture for National Internet Archive has been described briefly. This architecture is from manager's viewpoint, instead of an end-user's. Technical framework will consist of distributed digital object servers separately maintained by the cooperation bodies. Although this architecture is similar to the existing national digital library program, it is focused on the long-term preservation. The National Internet Archive is composed of: a) collecting system mainly using web robot, b) digital object storage & delivery system, c) metadata repository system, d) management support system, e) gateway system based of HTTP/Z39.50. The National Internet Archive Model offers a potential for serving a variety of application areas in preserving a various kinds of media. It will also present a stimulus for further research on preservation issues.

      •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패션잡화브랜드 자산평가 : 20대를 중심으로

        조현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비자들의 토탈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명품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면서 패션 잡화 브랜드의 다양화 고급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명품 브랜드가 수입되고 매스티지브랜드의 개발 또한 활발한 실정이다. 20대 여성들은 특히 패션 잡화분야에서 명품브랜드에 대한 관심과 구매력이 높은 집단으로 이들의 패션잡화에 대한 소비나 구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대 여성을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세분화하고 각 집단이 패션잡화 브랜드 자산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그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본 조사는 2008년 10월 20대 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의 응답이 불성실한 46부를 제외하고 총 35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요인분석, 군집분석, ANOVA, 카이제곱검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대 여성 소비자의 패션라이프스타일의 구성요인을 명품추구, 유행추구, 상징적소비, 브랜드추구, 매니아성향, 디지털지향, 합리적소비 총 7가지로 분류되었다. 각 구성요인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결과는 패션명품희구집단, 패션브랜드 추구집단, 패션매니아집단, 패션무관심집단이다. 패션명품희구집단은 유행과 의복을 중요시하며 명품브랜드를 추구하는 성향이 강하며, 패션제품 구매 시 인터넷을 통해 저렴하게 구입하는 합리적 소비를 하는 집단이다. 패션브랜드추구집단은 유행과 의복을 중요시하며, 값이 다소 비싸더라도 유명패션제품을 구매하는 편이며 합리적 소비보다는 충동구매성향이 큰 집단이다. 패션매니아집단은 유행과 의복을 중요시하며 명품과 브랜드 추구성향은 낮으나 갖고 싶은 패션제품은 인터넷을 통해 계획적으로 구매하는 성향을 가진 집단이다. 패션무관심집단은 유행이나 의복, 명품과 유명브랜드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지만 인터넷을 통해 패션제품을 합리적으로 구매하는 집단이다. 2. 패션브랜드 추구집단은 패션브랜드추구성향과 명품추구성향이 높은 집단이며 특별한 계획 없이 구매하는 충동구매 성향이 강한 집단이다. 이들은 네 집단 중 수입이 가장 높아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 마음에 드는 명품을 비교적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집단으로 보여 진다. 실제로 명품 브랜드잡화제품을 가장 많이 소유하고 그 가격대도 가장 높아 고가의 유명브랜드제품을 구입 사용하고 있다. 명품브랜드 자산평가에서는 전통적 명품 브랜드명을 가장 잘 알고 있으며 그 품질을 높게 평가하고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도 높으며 명품 구매의사도 높게 나타났다. 매스티지 잡화브랜드는 전통적 명품브랜드보다는 품질을 낮게 평가하고 인지도도 낮은 편이지만 소유량은 많은 편으로, 매스티지브랜드에도 관심을 높다고 보아 향후 매스티지 명품잡화의 구매 잠재력이 큰 집단이다. 패션명품희구집단은 명품브랜드를 추구하는 성향이 가장 강하며 구매 시 인터넷을 통해 제품 정보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합리적 구매성향을 보인 집단이다. 수입은 패션브랜드 추구집단 다음으로 높아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다고 보며 매스티지 명품브랜드 핸드백의 소유량이 가장 많고 매스티지 브랜드 제품 구매가격이 높아 매스티지 명품 브랜드에 가장 관심이 많은 선호집단으로 보여진다. 이 집단은 전통적 명품 브랜드들보다 매스티지브랜드를 더 잘 아는 편이고 그 품질에 대한 평가도 높게 나타나 명품 브랜드 중 가격은 저렴하며 인지도 있는 매스티지제품을 선호하는 실속형 명품 희구 집단이다. 전통적 명품은 현재는 많이 구매사용하지 않지만 향후 구매의도가 있는 구매잠재력이 높은 집단이다. 패션매니아집단은 패션제품을 수집하는 매니아성향, 디지털지향, 합리적소비성향은 강하지만 명품과 유명브랜드에 대한 관심이 적은편이다. 전통적 명품브랜드 자산평가는 명품희구집단과 브랜드추구집단에 비해 전체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매스티지 명품브랜드 자산평가는 인지도 점수가 높지만 충성도의 점수는 낮게 평가되었다. 이 집단은 수입과 패션잡화의 소유량도 많지 않았다. 이는 유명한 명품브랜드보다는 자신이 선호하는 제품디자인이나 브랜드에만 관심을 갖고 구매로까지 이어지는 매니아성향을 가진 집단이다. 패션무관심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행과 의복의 관심이 적으며 합리적 소비성향이 강한집단으로, 명품 브랜드에 대한 자산평가도 전반적으로 낮았다. 수입은 다른 집단과 비교하여 가장 낮으며 패션잡화 소유량과 구매가격대도 낮은 편이었다. 유행과 의복에 대한 관심이 적은데 비해 명품 소비를 한다는 점에서 이제 명품은 특별한 관심이나 애정이 없어도 20대 여성이면 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있어야하는 필수 아이템으로 인식된다고 보여 진다. 전통적 명품브랜드는 다른 집단에 비해 잘 알지 못하며 품질 인식이나 신뢰도가 낮은 편이나 상대적으로 구매의사가 높았으며 매스티지 명품브랜드는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신뢰도 점수가 높게 평가되었으나 충성도의 점수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조현주 인제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학교생활적응을 알아보고자 교육청 영재아동 70명과 일반아동 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가. 초등학교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비합리적 신념에는 차이가 있는가? 나. 초등학교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차이가 있는가? 다. 전체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영재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일반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비합리적 신념은 강명희(1999)가 박재황(1990)의 11가지의 비합리적 신념 110문항을 10개의 하위 척도로 구성한 것을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개념적으로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요인들끼리 묶어서 5가지의 요인으로 만든 것을 본 연구자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뒤 사용하였다. 또한 학교생활적응은 6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전체 30문항을 다시 4개의 하위 요인으로 만든 강명희(1999)의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수정하여 신뢰성을 확보한 뒤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검사자료에 대한 결과처리는 비합리적 신념, 학교생활적응 검사지를 이용하여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고, 비합리적 신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이상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비합리적 신념은 영재아동의 특성상 일반아동에 비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불안과 고민으로 정신적 갈등을 겪을 만큼 비합리적 신념이 높지는 않았다. 둘째, 학교생활적응에서 전반적으로 영재아동은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관계는 일반아동에 비해 학업성취가 높으며 영재아동은 수업 중에 받는 질문이나 시험에 대한 불안감이 적고, 학습한 내용에 대한 이해가 빠르기 때문에 학교생활 적응 하위 요인 들 중 가장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아동보다 잘 적응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교사 및 학교환경에는 약간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교사와의 관계를 원활히 하여 아동이 어려움을 느끼지 않도록 배려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비합리적 신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약간의 의미 있는 차이가 나므로 비합리적인 신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그러나 사람은 누구나 어느 정도의 비합리적 신념을 가지고 살아가기 때문에 비합리적 신념의 어느 정도가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방해가 되는지는 본 연구에서는 나타낼 수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학교 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나 많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는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아동이 도단위의 판별도구에 의한 지필고사와 3차 면접시험의 3단계과정을 거치면서 선발된 아동일지라도 지역교육청 영재 교육원의 인원수에 맞추다보면 전형적인 영재적 특성을 지니지 않아도 선발되는 경우가 있고, 본 설문에 응한 일반아동 중에도 영재적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영재아동으로 선발되지 못한 경우가 있으므로 영재성 판별에 있어서 좀 더 엄격하고 정확한 도구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둘째, 영재아동의 특성을 이해하기위해서는 양적연구보다는 질적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초등학생들의 비합리적신념의 원인과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합리적인 신념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비합리적신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차이,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향후 영재아동의 비합리적신념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주요어] 비합리적신념, 학교생활적응, 영재아동, 영재성판별, 상관관계

      • 視覺言語로 접근한 雜誌 일러스트레이션 특성硏究

        조현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잡지의 홍수 시대'라 할 만큼 잡지의 다양화, 전문화가 이루어 졌다. 누구나 한, 두 권 정도는 구독하고 있으며, 그 넘쳐나는 인쇄물들 사이에서 잡지는 눈에 띄는 디자인과 다양한 형태로 독자들을 유혹하고 있으며 많은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그만큼 잡지가 현대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대단히 크다고 볼 수 있으나 텍스트로만 이루어진 잡지는 딱딱하고 주목성이 떨어져 독자의 구매심리를 자극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장식성이 강한 일러스트레이션과 지식의 이해를 돕는 일러스트레이션이 적절히 사용되어 잡지의 성격을 부드럽게 만들어 줄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잡지의 역사적인 흐름과 현재 시장을 배경으로 하여 잡지 일러스트레이션의 위치와 그 중요도를 가늠하고, 발전가능성을 제시하여 보고자 한다. 잡지 일러스트레이션은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고 본문의 내용을 짐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시적 성격 등의 역할과 기능이 있으나 현대에 와서 그 기능이 많이 식상하고 단순화됨에 따라 그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독자의 다양성과 차별화에 부응하며, 외국의 라이센스 잡지에 대응하기 위해서 잡지 일러스트레이션은 개성을 표출시키며 창의적 이고 독창적인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잡지에 참여하는 일러스트레이터는 사회적인 책임감과 긍지를 가지고 관심을 끄는 것 이상의 '힘'을 가진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 통일비용·통일편익 추정에 관한 연구

        조현주 慶南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One of the central issues in the estimation of Korean unification cost is whether there exists a consensus among people on the unification process as well as a wide-spread perception of the cost involved in the unification. There are a number of different estimation models which vary depending on the concept of unification, the model components, estimation assumptions, and estimation method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estimation of unification cost from the perspective of diverse concepts and approaches, to suggest a new model of estimation based upon the review summary, and finally to attempt our own estimation of unification cost and benefit under the different assumptions. Our estimation model is built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t adopts the methodology of target income which sets a certain level of income in the estimation of unification cost. Unification cost is defined as cost required to achieve the target income of US$3,000 per capita in North Korea after reunification. For the calculation of this cost, three different incremental capital-output ratio are utilized: (1) South Korea's ICOR during the period of 1970-80, and (2) Vietnam's and China's ICORs during the 10 years period after system transformation. Second, unification benefit is defined as one to be realized in the economic sphere. Specifically, it is assumed to consist of (1) the derived effect of value added, (2) the effect of reducing military spending, and (3) the increased effect of foreign perception of credibility. Third, actual amount of unification cost and benefit estimated in this study turns out to be larger than in the existing research. The reason is that our estimation is based on the optimistic model of unification which excludes endogenous as well as exogenous factors of the pessimistic model.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ification cost is estimated to be US$147.3 billions. On the other hand, unification benefit is expected to be US$471.2 billions, of which value-added derived effect, decreased military spending effect and increased effect of foreign credibility are estimated as US$78.5, US$368.9, US$23.8 billions, respectively. Thus, it is expected that net unification benefit of US$323.8 billions is to be realized in this model. Second, since unification cost and benefit are realized in the future, it needs to be converted to the present value for the meaningful comparison. Net present values of the net unification benefit of US$323.8 billions are estimated as US$241.0 billions when using the discount rate of 3.0%. If the discount rates of 3.5%, 4.0%, and 4.5% are applied, the resulting NPVs decrease to US$229.6, US$218.8, and US$208.5 billions, respectively. Third, six scenarios of unification cost/benefit estimation are derived depending on different target incomes and periods of cost spending. As the period of spending unification cost becomes longer and as the incremental capital-output ratio becomes larger, the amount of unification cost tends to rise. Unification benefit tends to increase as the period of spending unification cost becomes longer.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need to be mentioned. When we discuss the items which comprise the content of unification cost/benefit, only items that are possible to be quantified are selected. For example, unquantifiable items such as socio-cultural effects and increasing national image effects are deleted. In addition, in the net present value analysis, more detailed discussion should be done with regard to the rationale of selecting specific discount rates. Further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to complement this study. First, since the estimation result varies largely according to the unification scenario adopted,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what is the most realistic model of unification in the future. Second, the question of who will pay the unification cost and who will enjoy the unification benefit may become a more important issue to the future generation than the estimation of unification cost/benefit itself. 한반도 통일비용의 추정에서 주요쟁점은 통일과정에 대한 전국민적인 인식과 통일전반에 대한 사회 전체적 합의라는 점에서 통일비용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이 전제되어야 한다. 통일비용의 추정모형은 통일비용에 대한 개념, 구성내역, 추정모형의 가정 및 추정방법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연구자들마다 주장하고 있는 통일비용의 추정을 개념 및 추정방법의 접근을 통해 여러 요소로 분석한 후, 통일비용의 개념과 구성내역에 대한 정리를 하고, 나아가 선행연구를 토대로 통일비용과 통일편익의 추정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통일비용 추정은 일정한 소득수준을 목표로 삼는 목표소득방식을 채택하였다. 즉 통일비용은 “북한 주민 1인당 목표소득을 3,000 달러로 상향조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으로 간주하고 이를 한계자본산출계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한계자본산출계수는 남한의 1970∼80년대의 경우와 베트남과 중국의 체제전환 후 10년 동안의 한계자본산출계수를 각각 적용하였다. 둘째, 통일편익의 추정은 경제적 편익으로 한정하여 부가가치 유발효과, 국방비 절감효과, 대외신인도 효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항목별로 추정한 후 합산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추정한 통일비용과 통일편익의 규모는 선행연구에 비해 편익이 강조된 결과로 통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내생적·외생적 요인의 비관적인 경우를 배제한 채 통일에 대한 낙관적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통일비용은 1,473 억달러가 추정되었으며, 통일편익은 부가가치 유발효과 785.20 억달러, 국방비 절감효과 3,688.74 억달러, 대외신인도 제고효과 238.09 억달러로 추정되어 총통일편익은 4,712.03 억달러가 된 결과 통일순편익은 3,238.30 억달러로 추정되었다. 둘째, 매년 투입되는 통일비용과 그에 따른 통일편익을 통해 통일순편익을 추정한 후, 이를 순현재가치 분석을 통해 현재가치로 환산한 통일비용과 편익을 추정하였다. 이는 통일순편익에 대한 절대적 규모보다 통일비용에 대한 부담과 통일편익에 대한 수혜주체의 배분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셋째, 목표소득과 통일비용 투입기간의 조정으로 6개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통일순편익을 추정하였다. 통일비용의 투입기간이 늘어날수록, 한계자본산출계수가 커질수록 통일비용의 규모는 커지는 경향을 보이며, 통일편익의 경우는 투입기간에 따라 증가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통일비용과 편익을 구성하는 항목의 선정시 계량화가 가능한 수치에 한정된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는 통일편익 중 계량화할 수 없는 사회·문화적인 접근, 통일된 국가의 이미지제고 등과 같은 항목이 누락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현재가치분석에서 적용되는 할인율에 대한 논의는 본 연구과정에서 다룰 수 없었던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 한국과학교육학회지에 게재된 과학교육 실험 연구 동향 분석

        조현주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과학교육학회지에 게재된 과학교육 실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2005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과학교육 실험 연구와 관련된 10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 방법적, 연구 내용적, 연구 결과적 분석 준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적 동향에서 101명~1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실험 연구가 가장 많았고, 50명 이내와 51~100명인 실험 연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연구대상자의 수가 줄어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학교,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설계에서 통제집단 사전사후설계를 가장 선호하였다. 측정도구로 검사를 가장 많이 활용하였다. 또한 측정방법은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는데 면담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측정방법을 사용하는 연구 논문의 수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 연구 통계기법으로는 t검증 활용도가 가장 높았다. 연구 내용적 동향은 실험 연구 기간이 4주 이내를 가장 선호하였고, 연구 기간이 5주~8주인 연구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과학교육 실험 연구 기간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연구에서 독립변인은 교수매체활용을 가장 선호하였고, 종속변인으로는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과학교육 실험 연구 분야는 화학 분야가 가장 많았고 물리와 화학, 화학과 생물 등과 같이 혼합형의 연구 분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 결과적 동향은 효과크기가 0.2이상 0.5미만의 작은 효과를 나타낸 실험 연구가 가장 많았고 효과크기가 0.8이상의 큰 효과를 나타낸 실험 연구가 급격히 증가함으로 점차 큰 효과를 보이는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의수준이 5%인 연구가 가장 많았고, 유의수준 1%, 유의수준 0.1%인 연구 결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연구 결과가 줄어드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과학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 연구가 꾸준히 연구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도 과학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과학교육에서 실험 연구가 늘어남에 따라 학문적이고 실제적으로 활용성이 높은 실험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중요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한국 호랑나비과의 상징성 분석을 통한 헤어스타일 연구

        조현주 용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예술적 표현의 역사를 살펴보면 모든 것들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과 연관되어 있다. 인간이 미적 감성과 표현의 욕구에 눈뜨면서부터, 자연은 인간의 조형 의지에 수많은 동기를 제공하여 왔다. 인간의 조형 의지는 감성이 느껴지는 대상물을 보고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싶어 하는 본능과도 같다. 이때 인간은 그대로를 묘사하기 보다는 자신이 사물을 보고 느끼는 것을 대상에 이입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밖으로 표출하고 싶어 한다.세상에 뿌려진 보석이라 불리는 나비는 연인들의 사랑, 기쁨, 행운, 장수, 영원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사람들은 예로부터 나비의 아름다운 자태를 시와 그림으로 표현하거나 수집하여 감상하였다. 또한 공예품으로 만들어 즐기기도 하였다. 하지만 나비가 자유로운 날개 짓으로 세상을 날아오는 아름다운 모습으로 피어오르는 것은 수없이 많은 위험, 기다림, 고통, 인내의 시간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알을 시작으로 애벌레, 번데기 그리고 마침내 성충인 나비가 되는 생태 과정이 고통과 시련, 기다림과 인내의 연속인 우리들의 삶의 거울이 될 수 있음에 헤어스타일 연구와 결부시키게 되었다. 나비의 생태과정의 정밀한 묘사와 섬세한 곡선의 흐름을 이용하기 위해 세밀한 작업표현이 가능한 업스타일의 작품을 선택하였다. 헤어스타일의 조형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개념적, 시각적 표현 등의 기능을 응용하여 밝은 나비의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으며, 섬세함과 세밀한 부분의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자연 친화적인 나비를 주제로 하게 되었다. 이는 연구자의 내면세계를 기반으로 한 무한한 생명력을 지닌 헤어스타일을 표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음은 물론이며 조형작업 시 나비 생태에 대한 감정 이입과정에서 현재 연구자 자신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과 상황을 소재로도 디자인하고 생명력을 표현할 수 있었다. 나비의 이미지를 표현한 조형과정에서는 생명력을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는 생태과정의 특징적인 형태 표현을 토대로 본인의 나비에 대한 의미부여와 다양한 관찰을 통해 생명력 있는 헤어스타일을 표현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범위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호랑나비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토대로 나비가 가지는 상징성과 의미를 파악한다. 2) 호랑나비 문양을 소재로 한 전통과 현대의 디자인 작품을 살펴본다. 3) 호랑나비 날개의 형태가 가지는 율동적 선의 특징과 색채의 조화 및 표면의 질감을 조형적으로 분석하여 헤어디자인의 독창성과 예술성을 표현한다. 4) 대표적인 한국의 호랑나비를 업스타일 디자인의 3요소에 따라 재해석하여 시뇽 업스타일(Chignon up-style) 형태를 디자인한 작품을 재해석한다. 나비의 날개에서 보여 지는 색상과 무늬, 질감의 세세한 형태는 그 속에 내재된 자연의 질서와 상징성을 담고 있으므로 헤어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이다. 날개에 입혀진 비늘가루의 양에 따라 부드러운 질감과 투명성을 주며, 또한 비늘가루에 빛이 굴절하여 나타나는 구조색의 영향으로 나비 날개에 금속성을 띄며, 색소색의 영향으로 다양한 색채가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조형적 예술에서 디자인의 모티브가 되는 자연물중 나비를 선택하여 나비의 날개에 보여 지는 특징을 조사하여 나비의 상징성 및 조형성을 연구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나비 날개에 표현된 털의 질감과 날개의 화려한 색상의 특징을 한국 호랑나비의 산제나비, 산호랑나비, 남방제비, 모시나비의 4가지를 분류하고 강렬함, 화려함, 도발적, 우아함의 조형적 형태와 문양을 변형, 반복, 확대 등을 통해 시뇽 업스타일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호랑나비가 지닌 화려한 특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모발에 탈색과 염색을 하고 산성칼라를 이용하여, 모발에 양감을 표현 하였다. 본 연구는 나비 질감에 나타나는 특성을 연구하여 형태, 질감, 칼라를 분석하였고,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이 연구를 바탕으로 조형적인 업스타일의 기초적인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History of human's aesthetic features are continuous with nature that has surrounded us. As raising men's interest in the aesthetic sensibility and expression, nature has offered a great many motives. Human's formative will is same as instinct that want to give an expression to their feelings about some features artistically. At that time, people more like to express one's feeling and thinking than describe that as it is. Having been named world's sprinkled jewel, butterfly means affection of lovers, pleasures, fortunes, longevities, eternities and etc., so people have enjoyed composing poets or drawing some pictures its beautiful figures. And people also make them to crafted products. The ecological adaptation that through the egg, larva, pupa, and finally be butterfly as image is can be a mirror of our life continuing pains, suffering, waiting, and tolerance, thus I associated that with my study about hair-style. To describe butterfly's life cycle minutely and use delicate curve line, I have chosen up-style that can be expressed closely. It can show a bright image of butterflies by using functions of conceptual and visual expression, etc., and it is basis on formative elements of hair style. So I made this subject to butterflies of Swallowtail in Korea which are commune with natu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were served as a momentum to express hair style with limitless vital power that stands on the basis, and so it was possible to design some problems and situations that are now being faced myself. Accordingly, purpose of this study is retracing features of butterflies and combinating their figures with their characteristic vital power, movement, symbolism, and creating new hair-style as formative arts through subjective re-analysis. First of all, I studied ecology of butterflies before analyzing or expressing about them because their life process is prescribed according to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butterfly's images,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expressing hair-style having life-force through giving meanings by myself and diverse observations. The study range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grasp symbolizations and meanings of butterflies on the basis of an objective analysis. Second, search some traditional or modern design works about patterns of Swallowtail. Third, express originality and artistry of hair style by formative analyzing about a special feature on lines and textures of surface. Fourth, suggest works that design forms of Chignon up-style re-analysing Swallowtail in Korea by three design elements. Detailed forms, colors, and patterns of butterflies are very important materials can be applied on hair design because of a natural order and symbolization. It gives a silky texture and transparency by amounts of the powder of scales and a metallicity on wings, and expresses diverse colors under the influence of coloring matters. Being based on these, I have classified 4 features of textures and colors on butterflies to Papilio maackii, Papilio machaon, Papilio protenor, Parnassius Stubbendorfii, and studied about up-styled forms through transformation, repetition, expansion of formative shapes and patterns of glowing, luxuriousness, provocative, elegant. To express luxurious features of Swallowtail, I had made hair decolored in advance, after then dyed it with acid colors. I wish that this study on diverse techniques can be a fundamental data of creative up-sty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