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담자의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의 순차적 매개효과

        조하나 한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담자의 공감피로를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을 밝히고, 그것의 구체적인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상담자가 자신의 일차적 외상경험을 잘 처리하여 외상 후 성장을 이룬 경우, 공감피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외상 후 성장이 어떠한 기제를 통해 공감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을 매개 변인으로 상정한 후, 이들의 관계가 순차적으로 효과를 발휘하는지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를 파악하고, (2)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가 단순매개효과를 가지는지와 (3)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이 단순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4)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상정하고 수정모형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상담 실무에 종사하는 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전문가, 한국상담심리학회, 한국상담학회 2급 이상 자격증 소지자 또는 청소년 상담사 3급에 준하는 자격을 갖춘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중복응답과 이상치, 그리고 1년 미만의 경력자를 제외한 284명의 표본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상담자의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와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이 각각 단순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모형 모두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 간의 직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아서 완전매개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종 모형 선정을 위해, 연구모형과 연구모형에서 경로를 일부 삭제한 수정모형이 비교 평가되었으며, 적합도에서는 두 모형이 큰 차이가 없었지만,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결과를 보인 수정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여 최종 모형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어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와 자기돌봄이 순차적으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상담경력에 따라 모형에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낮은 경력 집단과 중간 경력 집단에서 일부 경로계수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외상 후 성장과 공감피로의 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공감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담자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otective factors that reduce compassion fatigue(CF), which is a negative effect that counselors can experience, and to explore the specific process. It was expected that compassion fatigue could be effectively reduced when the counselor deal with they primary traumatic experience well and achieved posttraumatic growth(PT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of posttraumatic growth to reduce compassion fatigue.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meaning in life and self-care were assumed as mediating variables. Thus, in this study, (1)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2) verified whether the meaning in life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and (3) verified whether self-care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ally, (4)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meaning in life and self-c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Therefor, a research model was proposed and was compared to the modified model. For this study, Counselors with 1 or more years of career in the counseling practice, holders of level 2 or higher certifications from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and the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or youth counselors of grade 3 or higher participated in surveyed online. The analysis was finally performed with 284 counselors' data, excluding duplicate responses, outliers, and those with less than one year of career.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in life and self-care each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And it was verified that both variables fully mediate between PTG and CF. For the model selection, the modified model that partially deleted the path from research model and the research model was compared and evaluated. The fit was similar to the two models, but the modified model in which all paths were significant was selected. Lastly,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then indicating that the meaning in life and self-care ha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CF. Additionally, a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odel according to the care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ome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low-career group and the middle-career group. Based on the overall findings, the process of PTG and CF was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implications on the processes of counselor education which might decrease CF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finally discussed.

      • 부모놀이치료(filial therapy)가 소아암 환아의 사회성과 어머니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조하나 남서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ong-term survival rate of the childhood cancer is increased more than 70% due to constant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for which the interests not only in the medical treatment but also in the return and adaptation to daily life are being increased. The children with cancer hardly maintain normal life due to severe pain and invasive treatment process and come to have uncertainty for the future and the limitations. The children with cancer will have development and adaption problems through the damage to the self-respect, fear, anxiety, etc. Such development and adaptation problems in the children with cancer are associated with the sociality of the children with cancer and become important factor of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 social adaptation. What have fundamental impact on the sociality are the parents, and mostly, the mother who takes the responsibility of rearing the children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sociality of the child. However, since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cancer watched and felt the severe pain of the children with cancer together, they tend to overprotect their children and it become an main factor to make the children with cancer to have dependant and passive attitude. The appropriate interest and the 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 which can cultivate the independent and active attitude in their children, are related to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makes the children to feel the happiness and stability, and has decisive impa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healthiness, through which the ability to express their emotion is increas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if the filial therapy can improve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who rears the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nd suffered from treatment in the past and are currently under the treatment, and enhance the sociality of the children with cancer. The summary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 filial therapy program has effect to enhance the sociality of the child with cancer and particularly,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cooperation and autonomy out of the sub-level variables of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ociality. Second, it was observed that the filial therapy program has the effect to improve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of the child with cancer and particularly, it has effect to improve the emotional empathic ability that taking the interest and the personal pain, out of the sub-level variables of the mother are belonged to.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ansition of the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attended in the filial therapy program, their initial reactions for the filial therapy were that it seemed to interfere the children too much, the unfamiliarity with expressing the empathy, and the setting of limitation, but later phase of the filial therapy, they expressed the needs of expressing the empathy, the discovery of new image of their children through the changes in the mother after familiarizing with the expression of empathy. This study has a meaning to prove that the filial therapy program has effect to improve the empathic Ability and the sociality and to pursue the diversity of the subjects. And it has a meaning in the aspect that it verified the usefulnes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hich is being made gradually, by examining the transition of empathic Ability of the mother of children with cancer performing the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at the same time. Keyword: Filial therapy, sociality of child, empathic ability of mother 소아암은 꾸준한 의료 발전으로 장기생존율이 70%를 넘겼고 이에 따른 의학적 치료 뿐 아니라 일상생활로 복귀와 적응에 관심이 높아졌다. 소아암 환아들은 극심한 통증과 침해적인 치료과정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삶의 유지가 어려우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제한을 가지게 된다. 소아암 환아는 자존감의 손상, 공포, 불안 등을 통해 발달 적응 상의 문제를 가져온다. 이러한 소아암 환아의 발달 적응상의 문제는 소아암 환아의 사회성과 관련되고 또래관계와 사회적 적응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사회성에 근본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유아의 부모인데, 대부분의 자녀 양육을 책임지는 어머니가 유아의 사회성에 큰 영향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아암 환아의 어머니들은 소아암 환아의 극심한 통증을 함께 지켜보고 느꼈기 때문에 과보호하는 경향이 있고 소아암 환아들은 의존적이고 수동적인 태로도 만드는 요인이 된다. 자녀를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어머니의 적절한 관심과 양육태도는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관련이 있다. 어머니의 공감능력은 자녀로 하여금 행복감과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사회·정서적 건강성에도 결정적이다.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된다. 본 연구는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과거에 소아암 진단 및 치료를 겪은 환아와 현재 치료과정을 겪고 있는 환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에게 공감능력을 증진시키고 소아암 환아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소아암 환아의 사회성을 향상 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특히 유아사회성발달의 하위 변인 중 협동성과 자율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둘째,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공감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고 특히 어머니의 공감능력 하위 변인 중 관심 취하기와 개인적 고통, 정서적 공감을 증진시키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셋째,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에 참석한 소아암 환아의 어머니 공감능력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부모놀이치료 초기에 반응은 자녀에게 너무 간섭하는 것 같다와 공감표현에 대한 낯섦, 제한설정에 대한 어려움을 표현하였으나 부모놀이치료 후기에는 공감표현을 해야겠다는 공감표현의 필요성과 공감표현이 익숙해진 후 어머니의 변화를 통한 자녀들의 새로운 모습 발견에 대해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아암 환아 사회성 향상에 대한 지지가 필요함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부족한 실정에서 부모놀이치료 프로그램이 공감능력 증진과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고, 대상자의 다양성을 추구한 부분에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양적연구뿐만 아니라 질적 연구를 병행해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공감능력 변화과정을 알아봄으로써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는 질적 연구의 유용성을 검증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부모놀이치료, 유아 사회성, 어머니 공감능력

      • 성격특성이 기업가정신과 취․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GPA GEOPIA 도형심리검사를 중심으로

        조하나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When I graduate from college, I get out of the stereotypes of the past that I should get a job, and current college students are choosing to pursue career paths between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nate personality traits on entrepreneurship, employment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lso,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lue of each personality trait and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to work, and the will to start up. The study targets 92 boys, 82 girls and a total of 174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excluding the three sections of the test papers that have been answered in an unfaithful manner or that do not contain measurement items. The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operational definitions and data of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echnical statistics and variables. In addition, a multi-return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the impact of personality traits on entrepreneurship, employment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s a tool for diagnosing personality traits, the GPA GEOPIA(Geomentry Psychological Assesment) test was used and four main scales (Round type, Triangle type, Box type, Curve type)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Round type is a relationship-oriented one, and is very considerate and optimistic about others. There are few conflicts in human relations to pursue amicable relations. Triangle type is highly motivated, has a strong spirit of challenge to set accurate goals. Box type is a diligent and thorough form that values law and rules and practices. Finally, the Curve type is free and full of personality, and the standard of values you think of is cl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PA GEOPIA has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ship with higher scores of Triangle type and Curve type. The higher the score of Triangle type and Curve type, the more positive the will to entrepreneurial intention. However, statistics show that the higher the Box type, the more likely it will have a political impact on the will of employment, and that the circle type, triangle type, and S type als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will of employment. When combined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personality traits of university students differed between entrepreneurship, employment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at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riangle type and Curve type. Although not all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are established as entrepreneurship and will to start a business, it shows that whatever direction is set is helpful if one realizes and compensates for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earch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career exploration in various ways, including forming an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omplement individual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future. Finally, GPA GEOPIA test developed in Korea rather than the majority of the used personality test tools (MBTI, NEO-PI-R, enneagram, etc.) in the previous prior study is meaningful in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the place of work and creativity based on the questions and results most appropriate to Korean culture (Oh Mi-ra, 2018). 대학을 졸업하면 당연히 취업을 해야 한다는 과거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현재의 대학생들은 크게 취업과 창업 사이에서 진로를 탐색하며 선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고난 성격특성이 기업가정신과 취․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각 성격특성별 주된 가치와 기업가정신과의 상관관계, 취․창업의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95명, 여학생 82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측정항목이 누락된 검사지 3부를 제외 한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자료 등을 수집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술통계치와 변인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격특성이 기업가정신과 취․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격특성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로는 GPA GEOPIA도형심리검사를 활용하였으며 주 척도 4가지(동그라미, 세모, 네모, 에스)유형으로 나누어 구분하였다. 동그라미(○)유형은 관계 지향적인 성향으로 타인에 대한 배려심이 강하고 낙천적이다. 원만한 관계 유지를 추구하기에 인간관계에서의 갈등이 적다. 세모(△)유형은 의지력이 높고 정확한 목표를 수립하는 도전정신이 강하며, 열정적이고 자신감이 넘친다. 네모(□)유형은 성실하고 부지런하며 빈틈이 없는 유형으로 법과 규칙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실천한다. 끝으로 에스(S)유형은 자유롭고 개성이 넘치며 자신의 가치 기준이 분명하다. 연구결과, GPA GEOPIA도형심리검사에서 세모(△)유형과 에스(S)유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모(△)유형과 에스(S)유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모(□)유형이 높을수록 취업의지에 궁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통계결과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그라미(○)유형, 세모(△)유형, 에스(S)유형 또한 취업의지에 통계적으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성격특성 중 세모(△)유형과 에스(S)유형은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취업의지는 네 가지 성격유형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가 높다고 하여 모두가 창업으로 진로를 설정하는 것은 아니나 개인의 성격특성의 강점과 약점을 깨닫고 보완한다면 어떤 진로방향을 설정할지라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향후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성격특성에 따른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로탐색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되리라 기대한다. 끝으로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대다수 활용된 성격검사도구(MBTI, 성격5요인, 애니어그램 등)가 아닌 국내에서 자체 개발된 GPA GEOPIA 도형심리검사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문화에 가장 적합한 문항과 결과(오미라, 2018)를 바탕으로 기업가정신과 취․창업의지와의 관계를 검증해 내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조하나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유아교사가 받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에 관한연구를 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수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교사는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수에 따라 교사 효능감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아교사는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 교사의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 수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전체에서는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스트레스의 몇몇 하위 요인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담당학급 요인에서는 만 4,5세 담당하는 교사들의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유아수 요인에서는 담당학급의 유아수가 많을수록 더 많은 직무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아들의 활동과 업무과다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은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없다. 교사의 교육경력, 학력, 담당학급, 유아수에 따라 교사 효능감 전체에서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의 효능감이 교사의 외적인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내적인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직무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교사 효능감이 낮아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Do the educational career, academic attainments, class in charge and class size of preschool teacher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job stress? 2. Do the educational career, academic attainments, class in charge and class size of preschool teacher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teacher efficacy?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eacher efficacy of preschool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 teachers were different in job str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Their educational career, academic attainments, class in charge and class size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overall job stress, but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several subfactors of job stress. As to the influence of class in charge, the teachers who were responsible for preschoolers at the Western age of 4 and 5 were under the most pressure. By class size, th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larger-sized classes felt more job stress. Specifically, activities with preschoolers and heavy workload put more strain on them. Seco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teachers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teacher efficacy. No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their overall teachers efficacy according to educational career, academic background, class in charge and class size. The teacher efficacy seemed to hinge on the internal background of the teachers, not on the external one. Third, the job stress of the preschool teachers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and there was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It could be said that stronger job stress led to lower teacher efficacy.

      •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미치는 효과

        조하나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에는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상을 요구한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 이루어지고 있는 단순하고 획일적인 일반 수업 형태로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상을 기대하기가 어렵다. 변화하는 환경과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많은 과목들 중 정의적인 측면과 개성을 중요시 하는 음악교과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을 중학교 1학년에게 적용해보고,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장교육연구로 가설의 진위를 가리기 위한 실행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자기보고식 검사지를 제작하여 음악극 창작 활동이 끝나고 평가하는 단계에서 직접 적용하여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외곽지역의 U중학교 1학년(114명)학생이며, 연구 기간은 2008년 3월부터 2008년 4월까지 2개월간이었고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사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극 창작 활동이 각 활동에 적합한 여러 가지 협동학습 모형에 적용되어, 협동학습을 활용한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음악극 창작 활동이 음악적인 표현력과 창의성 계발에 대한 검증에서 창의성에 대한 3가지 문항을 종합해 보면, 5점과 4점의 고득점을 획득한 학생이 83.33%로 분석되어,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음악적인 표현력과 창의성 계발에 긍정적인 영향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협동심 신장에 대한 검증에서 협동심에 대한 3가지 문항을 종합해 보면, 5점과 4점의 고득점을 획득한 학생이 85.08%로 나타나서,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협동심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을 음악 수업에 적용하면 창의성 계발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을 협동학습 모형에 적용하면 협동심 신장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모둠별 음악극 창작 활동이 창의성 계발과 협동심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음악극 창작 활동 수업은 음악, 연극, 무용, 미술, 문학 등을 종합한 종합예술로서 학생들의 음악적인 창의성 및 잠재력과 협동심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방안이라고 생각된다.

      •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조하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an effect of family str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ain and buffer effects by supporter of social support which was checked as the main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stress and family adaption based on a Double ABCX model of McCubbin, Cauble, and Patterson. Subjects of inquiry can be divided into total 3 as follows: The first subject of inquiry is 'does family str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a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when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The second subject of inquiry is 'does social support have a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when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The third subject of inquiry is 'does social support moderate an effect of family str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family adaptation when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Subjects of the study are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under 19. And they were collected by convenient and snowball sampling. Total 6 institutions helped this study, which are M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W Social Welfare Center, and S Welfare Center in Seoul, K Family Support Center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abilities in Gyeonggi-do, I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Incheon, H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Chungcheongbuk-do, J Social Welfare Center and J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Cheongcheongnam-do, and M Accreditation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yeongsangbuk-do.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1, 2018 to April 25, 2018. Total 21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among them, the 174 copies were collected. The 154 copies were used in the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 reliability analysi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done to verify the subjects of inquiry.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PSS 22.0 was used. The major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 which conduct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first subject of inquiry has found that the higher family stress level is while socio-demographic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s of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the lower family adaptation level i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econd subject of inquiry. The study tried to check whether family support (Spouses /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by sub-dimensions of social support, relative support, friend support, self-help group support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ate support·community (Welfare centers) support have a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or not through the analysis. The result has found that family and relative suppor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while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However, it has found that friend support, self-help group support, and state support·community support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That is, it has found that the higher family support and relative support are, the higher the family adaptation leve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a method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was done to verify the third subject of inquiry. The result has found that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support, relative support, friend support, self-help group support, and state support·community support were not significant while socio-demographic, handling, and cognitive factors are controlled.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the summary, meaning, and limits of the results in the study and proposals for practicing social welfare and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McCubbin과 Cauble, Patterson의 Double ABCX 모델을 근거로 하여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스트레스와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확인된 사회적 지지의 지지제공자별 주효과와 완충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총 3개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는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이고, 두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사회적 지지는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이며, 세 번째 연구문제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사회적 지지는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가?’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만 19세 미만의 발달장애자녀를 둔 부 또는 모이며, 조사대상자는 편의표집 및 눈덩이표집으로 모집하였다. 본 연구에 도움을 준 기관은 총 6곳이었으며, 서울 소재 M장애애인종합복지관, W종합사회복지관, S복지관, 경기도 소재 K장애인가족지원센터, 인천 소재 I장애인종합복지관, 충북 소재 H장애인종합복지관, 충남 소재 J장애인가족지원센터, J장애인종합복지관, 경남 소재 M 발달장애인인정시설 등이다. 설문조사는 2018년 3월 21일부터 4월 25일까지 진행되었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210부이고, 이 중 174부가 수거되었으며,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154부였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 프로그램은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발달장애아 부모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발달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가족적응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 별 가족(배우자/비장애자녀 등)지지, 친척지지, 친구지지, 자조집단지지(장애자녀를 둔 부모들), 국가지원·지역사회(복지관/전문가)지지가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가족지지와 친척지지는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구지지, 자조집단지지, 국가지원·지역사회지지는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가족지지와 친척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발달장애아 가족의 가족적응 수준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세 번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가 제안한 방법에 기초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대처요인, 인지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가족지지, 친척지지, 친구지지, 자조집단지지, 국가지원·지역사회지지 중 어느 것도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연구결과 요약과 연구결과 의의 그리고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제언,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국어·수학과를 중심으로

        조하나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습성취동기 및 시간관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습성취동기 및 시간관리에 영향을 줄 것인가? 둘째,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국어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셋째, 시간관리기록장 활용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으로 2개 학급이며, 남학생 24명, 여학생 24명으로 총 48명이다. 측정도구는 학습성취동기 및 시간관리에 대한 설문지와 국어, 수학과 성취도평가이다. 두 집단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집단에게 4주간 시간관리기록장을 적용하였다. 실험처치가 끝난 후 두 집단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관찰 및 면담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관리기록장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학습성취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시간관리기록장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시간관리와 국어과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험집단의 남녀간 학습성취동기 및 시간관리, 국어과와 수학과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실험이 진행될수록, 학부모의 관심이 클수록 학생의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엿볼 수 있었으나 성별과 학업성취도와는 관계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시간관리기록장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학습성취동기와 수학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습성취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시간관리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시간관리기록장을 적용할 때는 수학과에 우선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time management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n effect of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s there an effect of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on the Korean academic achiev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Is there an effect of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on th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 groups were consisted of 5th-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in Gunsan city. The subjects were 48 students from two 5th-grade classes. They were made of 24 boys and 24 girls. As measuring tools,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test and time management test and Korean, mathematics test were used. After testing the preliminary examinations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former group was asked to participate in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for 4 weeks. Then two groups had tests. Add to this, observation and interview were performed concurrently. Data were processed through SPSS and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Second,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a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didn't have an effect on the time management and the Korean academic achievement. Fourth, Between boys and girl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didn't have an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and Korea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Fifth, As going on this study, when parents had deep concern about their children there was a great change of students' attitudes. But gender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did not.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se result are as follows.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of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gram which can cultivate the time management ability has to be developed. And when applying the Time management recording program, it is desirable to apply it to the mathematics first of all.

      • 강원도 평창군에 서식하는 산골조개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의 개체군 동태에 관한 연구

        조하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에 서식하는 산골조개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를 2006년 6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매월 1회 채집을 하여 전반적인 개체군 동태 (population dynamics)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서식지 수온의 범위는 9.0-18.2℃ 였다. 각장-각고의 관계식은 SH=0.9122SL - 0.179 (R²=0.993, P<0.0001)로 나타났다. 조사 기간 동안 출현한 산골조개의 각장 범위는 0.87-4.34 mm 였다. 계절적 성장을 고려한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VBGF)을 이용하여 성장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L..=4.95 mm SL, K=0.77 yr^(-1), C=0.2, WP=0.4). FiSAT Ⅱ 프로그램에 의해 얻어진 가입유형은 두 개의 정규분포 그룹으로 나타났다. 성장 비교 지수 ()는 1.28로 계산되었다. 전체 사망계수 (Z)는 1.41 yr-1이다. 유패 방출 시기는 6-7월이며, 최대 수명이 3-4년으로, 처음 생식에 참여하는 나이는 1세로 추정되었다. Population dynamics of Pisidium (Neopisidium) coreanum were investigated on the Mitan-myeon, Pyeongchang-gun, Gangwon-do, Korea, from June 2006 to June 2007. Habitat temperatures were 9.0-18.2℃.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wa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H=0.9122SL - 0.179 (R2=0.993, P<0.0001). Shell length range was 0.87-4.34 mm. Growth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the seasonalized von Bertalanffy growth function model (=4.95 mm SL, K=0.77 yr-1, C=0.2, WP=0.4). The structure of recruitment patterns obtained by the FiSAT Ⅱ program indicated two normally distributed group. The growth performance index () was calculated with 1.28. The total mortality rate (Z) calculated 1.41 yr-1. The birth period estimated from June to July. The maximum longevity calculated 3.849. The pre-reproduction age estimated 12 month.

      • R. Strauss의 가곡 『M?dchenblumen(소녀의 꽃)』Op.22 에 관한 연구

        조하나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는 독일의 후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200여곡이 되는 가곡을 작곡하였다. 그의 가곡은 후기 낭만주의의 예술가곡에서 나타나는 경향들을 잘 보여주며 서정적인 선율, 반음계적 화성, 화려한 색채의 반주부 등 전체적으로 풍부한 짜임새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의 주제인『M?dchenblumen(소녀의 꽃)』Op.22은 시인 펠릭스 단(Felix Dahn, 1834~1912)의 시를 가지고 곡을 붙인 작품으로 슈트라우스의 초기 가곡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Kornblumen(수레국화), Mohnblumen(양귀비), Epheu(담쟁이덩쿨), Wasserrose(수련) 총 4곡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이 작품은 네 가지 꽃의 사실적인 모습과 꽃을 의인화 시킨 소녀의 모습을 멜로디, 불협화음, 동명이음을 이용한 전조, 시의 운율에 따른 박자변화, 급격한 음의 도약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시, 반주, 화성, 선율의 분석을 통하여 『M?dchenblumen (소녀의꽃)』Op .22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 시와 음악의 완벽한 조화를 위해 사용된 표현기법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