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sidual 특징을 이용한 U-Net기반의 이미지 복원

        조용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미지 블러(Image blur)는 이미지 촬영에 있어서 객체의 움직임과 카메라 흔들림, 장면 깊이 변화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컴퓨터 비전 문제로 분류된다. 과거의 연구에서는 이미지 블러 현상이 부분적으로 균일하거나 선형적이라는 가정 하에 수학적 접근으로 이를 분석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은 모션 블러(motion blur)와 같은 비선형적인 블러 현상이 발생되는 일반적인 동적 장면에서 이미지 복원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 지역적으로 비균일하고 비선형적인 블러 현상을 구현한 Gopro 데이터셋을 활용하여 U-Net 기반의 심층신경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신경망 RFU-Net(Residual feature U-Net)의 구조는 U-Net 신경망을 기반으로 Residual 특징 추출 모듈을 U-Net신경망에 연결하여 Residual 특징을 활용한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했다. RFU-Net의 합성곱 블록은 기존 U-Net과 달리 최신 이미지 분류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알려진 ResNeXt의 그룹 합성곱과 Swish 활성화함수, Instance 정규화를 활용하여 변형하였다. RFU-Net은 U-Net기반 모델인 DeepDeblurNet, DeblurGAN-V2와 비교해 신경망의 매개변수와 FLOPS를 감소시켜 모델 학습 속도를 개선했고 U-Net 기반의 Residual 특징 추출 모듈을 신경망에 연결하여 성능을 향상시켰다. 제안된 이미지 복원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신호 대 잡음비(PSNR : Peak Signal to Noise Ratio)와 구조적 유사도(SSIM : Structural Similarity Index Map)를 평가 지표로 선택했다. DeepDeblurNet과 비교해 1.03 dB 높은 PSNR 값을 나타내었고 DeblurGAN-V2와 비교해 0.56dB 높은 PSNR 값을 실험 결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또한 절제 연구를 통해 Residual 특징 활용유무를 통한 U-Net이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실험적 결과를 얻었다. Image blur is classified as a computer vision problem because it is caused by object movement, camera shake, and scene depth change in image capture. In the past research, the image blur phenomenon has been analyzed using a mathematical approach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is partially uniform or linear. However, this approach has a problem in that image restoration accuracy is lowered in a general dynamic scene in which non-linear blur such as motion blur occurs.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research on deep neural networks based on U-Net is being actively conducted using the Gopro dataset that implements regionally non-uniform and non-linear blur. The structure of the neural network RFU-Net (Residual feature U-Net) propos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U-Net neural network and connects the residual feature extraction module to the U-Net neural network to induce effective learning using the residual features. Unlike the existing U-Net, the convolution block of RFU-Net was transformed using ResNeXt's group convolution, Swish activation function, and instance normalization, which are effectively known in the latest image classification research. Compared to U-Net-based models DeepDeblurNet and DeblurGAN-V2, RFU-Net improved the model learning speed by reducing the parameters and FLOPS of the neural network, and improved the performance by connecting the U-Net-based Residual feature extraction module to the neural network. .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image restoration technique, the Peak Signal to Noise Ratio (PSNR) and Structural Similarity Index Map (SSIM) were selected as evaluation indicators. Compared to DeepDeblurNet, it showed a PSNR value that was 1.03 dB higher, and compared to DeblurGAN-V2, a PSNR value that was 0.56 dB higher was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In addition, through the resection study, experimental results were obtained that U-Net is effective for learning through the use of residual features.

      • 국내 조현병 환자에서 충동적, 계획적 공격성 집단의 특성 비교 및 기계학습분석을 이용한 공격성 하위 유형 분류 예측모델 개발 연구

        조용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Aggression in schizophrenia patients wa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and many attempts to predict it were ineffective. The reason why aggression is difficult to predict is that there are so many factors affecting aggression, and it has been argued that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subtypes of aggression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aggression. Subtypes of aggression are divided into impulsive and premeditated aggression. Impulsive aggression in schizophrenia can be caused by symptoms such as hallucinations, delusions or impulse control, whereas premeditated aggression is caused by antisocial personality or psychopathic trait and so on. Impulsive aggression is known to be effective in drug treatment, whereas premeditated aggression is less effective in drug treatment and requires a psychosocial approach. In addition, the premeditated aggression group also has a higher risk of recidivism than the impulsive aggression group. Therefore, we compare the two types of aggression in Korea and classifies and predicts the types of aggression subtypes based on the results by developing a model. So we thought it is possible to pre-classify the aggressiveness of schizophrenia patients and select an appropriate treatment management model for each. Methods: A total of 116 schizophrenia spectrum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National forensic hospital were classified into impulsive and premeditated aggression groups by referring to criminal and interview records. The variables were compared statistically. Based on the comparison, we made a predictive model of subtype classification of aggression through machine learning. Through the LASSO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algorithm, we selected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distinguish the impulsive and premeditated aggressive groups. Next, we used a support vector machine algorithm to learn the subtype characteristics of aggression with the selected characteristics in LASSO and performed 10 cross-validation tests. In addition, various detailed variables selected by the LASSO algorithm were statistically compared in the impulsive and premeditated aggressive groups. Result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83 people for impulsive aggression group and 33 people for premeditated aggression groups. As a result of statistically comparing demographic and psychobehavioral variables of the two groups, impulsive aggression group had higher IQ and more age at first crime than premeditated aggression group. On the other hand, the premeditated aggression group scored higher in physical and sexual abuse categories than the impulsive aggression group. On the basis of this,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by the LASSO algorithm to create a model for distinguishing impulsive and premeditated aggression groups and 35 variable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290 variables. Among the 35 characteristics, the details related to physical aggression, hostility, personal distress, and unplanned impulsivity were higher in the impulsive aggression group than in the premeditated aggression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details of emotional abuse, physical abuse, sexual abuse and psychopathic disposition, the premeditated aggressive group was higher than the impulsive aggressive group. Cross-validation of the aggression subtypes classification prediction model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variables resulted in an average accuracy of 82.5% and mean AUC of 0.77. Conclusion: Distinguishing the impulsive and premeditated aggression groups from the Korean offense schizophrenia patients and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consistently showed that childhood trauma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two types of aggression. This result is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udies in which childhood trauma affects conduct disorders,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s, psychopathic dispositions, and leads to premeditated aggression. So the treatment management plans of the two groups should be made differently in Korea. too. In addition, only 35 of the 290 variables were able to develop an classifying aggression subtypes model that approximated good learning performance. Therefore, if further research is made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 can expect to develop a model that can be used in practice. 서론: 조현병 환자들에서 나타나는 공격성은 중요한 사회의 문제였고, 이를 예측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았지만 효과적이지 못했다. 공격성의 예측이 어려운 이유는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매우 많기 때문이며, 따라서 공격성의 깊은 이해를 위해 공격성의 하위 유형을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공격성의 하위 유형은 충동적 공격성과 계획적 공격성으로 구분된다. 조현병 환자에서 충동적 공격성은 환청, 망상 등 증상 또는 충동성 조절 부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반면, 계획적 공격성은 반사회적 성격, 정신병질 성향 등에 의해 발생한다. 충동적 공격성은 약물에 의한 치료가 효과적인 반면, 계획적 공격성은 약물 치료의 효과가 떨어져 심리사회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계획적 공격성 집단은 충동적 공격성 집단에 비해 재범의 위험 또한 높다. 따라서 국내에서 두 공격성의 하위 유형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격성 하위 유형을 분류하고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여 조현병 환자의 공격성을 미리 분류하고 각각에 맞는 적절한 치료 관리 모델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다. 방법: 국립법무병원에 입소해 있는 총 116명의 범법 조현병 스펙트럼 환자를 대상으로, 범죄기록과 면담기록을 참고하여 충동적 공격성 집단과 계획적 공격성 집단으로 구분한 후, 두 집단의 인구사회학적, 심리행동특성 변인을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기계 학습을 통해 공격성의 하위 유형 분류 예측 모델을 만들었다. LASSO (least absolute shrinkage and selection operator) 알고리즘을 통해 충동적 공격성 집단과 계획적 공격성 집단을 구분할 수 있는 특성들을 선택하였다. 다음 서포트 벡터 머신 알고리즘을 이용해 LASSO에서 선택된 특성들로 공격성의 하위 유형 특징을 학습하고 10번의 교차 검증을 진행하였다. 추가적으로 LASSO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다양한 세부 변인들을 충동적 공격성 집단과 계획적 공격성 집단에서 다시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는 각각 83명의 충동적 공격성 집단과 33명의 계획적 공격성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두 집단의 인구사회학적, 심리행동특성 변인을 통계적으로 비교한 결과, 충동적 공격성 집단이 계획적 공격성 집단에 비해 IQ가 높고 초범연령이 많았다. 반면, 계획적 공격성 집단은 충동적 공격성 집단에 비해, 신체적 학대와 성 학대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충동적 공격성 집단과 계획적 공격성 집단을 구분하기 위한 모델을 만들기 위해 LASSO 알고리즘으로 특성을 추출한 결과 총 290개의 변인 중 35개의 변인이 선택되었다. 35개의 특성 중 신체적 공격성, 적대감, 개인적 고통, 무계획 충동성에 관련된 세부 항목은 충동적 공격성 집단이 계획적 공격성 집단에 비해 높았다. 반면,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성 학대, 정신병질 성향에 관련된 세부 항목에서는 계획적 공격성 집단이 충동적 공격성 집단에 비해 높았다. 선택된 변인들을 바탕으로 공격성 하위 분류 예측 모델을 10번 교차 검증한 결과 평균 정확성은 82.5%, 그리고 평균 학습 성능 (mean AUC) 은 0.77로 도출되었다. 결론: 국내의 범법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충동적 공격성 집단과 계획적 공격성 집단을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일관되게 어린시절의 트라우마가 두 공격성의 하위 유형을 분류하는데 가장 주요한 영향을 끼치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가 품행 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정신병질 성향에 영향을 주고 계획적 공격성으로 이어진다는 국외의 연구들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며, 따라서 두 집단의 치료 관리 계획은 국내에서도 다르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또한 290개 중 35개의 변인만을 가지고 우수 수준의 학습 성능에 가까운 공격성 하위 분류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후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실제 사용 가능한 모델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스노보드 참가자의 시설이용 실태

        조용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스노보드 참가자의 시설이용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참여동기는 건강지향형, 자기개발형, 사교지향형, 가정지향형, 취미오락형으로 분류하고, 선택속성은 시설요인, 경제적요인, 서비스요인, 접근용이성으로 분류하여,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 배경변인에 따른 선택속성의 차이, 참여동기와 선택속성의 상관관계 및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스노보드 참가자의 다양한 욕구와 수준에 부응하고 스노보드 대중화를 위한 이해를 넓히는 한편, 스노보드 참가자의 성향파악과 더불어 스키리조트의 시설 및 서비스 활동을 개선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위하여 효과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도권지역에 거주하는 프리스타일 스노보드 참가자 중 2007/2008시즌에 스키리조트를 1회 이상 이용한 경험이 있는 10대 이상의 남녀를 연구대상자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이철화(1995), 박수정(1996), 김일광(2000), 이종호와 최종필(2001), 김수잔(2003) 등의 연구에서 사용 된 설문지 문항을 재구성하여 수정,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회수된 조사 자료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목적에 맞추어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노보드 참가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스노보드 참여동기의 차이에서, 성별 간에는 자기개발형 요인에서, 연령 간에는 건강지향형, 자기개발형, 사교지향형, 가정지향형 요인에서, 교육수준 간에는 자기개발형 요인에서, 직업 간에서도 자기개발형 요인에서, 참여수준 간에는 모든 동기요인에서, 결혼여부 간에는 건강지향형, 자기개발형, 가정지향형 요인에서, 장비유무 간에는 모든 참여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스노보드 참가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스키리조트 선택속성의 차이에서, 연령 간에는 시설요인, 경제적요인에서, 교육수준 간에는 시설요인에서, 소득수준 간에는 경제적요인에서, 참여수준 간에는 시설요인, 경제적요인에서, 장비유무 간에는 시설요인, 경제적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스노보드 참가자의 참여동기와 스키리조트 선택속성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동기가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건강지향형은 경제적요인에, 자기개발형은 시설요인에, 사교지향형은 경제적요인과 서비스요인에, 가정지향형은 경제적요인과 서비스요인에, 취미오락형은 시설요인, 서비스요인, 접근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배경변인에 따른 참여동기와 배경변인에 따른 선택속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스노보드 참가자의 참여동기는 선택속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트랜지스터를 활용한 중등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용우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트랜지스터를 활용하여 중등발명교육에 적용하고자 하는 수업 모형의 제안이다. 트랜지스터를 중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트랜지스터와 중등발명교육 프로그램을 학생들의 창의력을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는 교수・학습 과정을 개발하였다. 중등발명교육에서 트랜지스터의 활용방안은 학생 스스로 접하기 어려운 전자회로임을 감안하여 전선 없는 트랜지스터 전자회로를 통해 망설임 없이 접근하여 다양한 발명기법을 통해 학생 본연의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발명수업으로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학습자가 발명품을 고안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트랜지스터의 기능을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부분에 있어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트랜지스터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통해 창의적인 발명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고, 이를 현실적으로 구현해 낼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연구의 성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에는 수업 전・후에 학생들의 생각을 관찰하고, 기초적인 전자공학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적인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트랜지스터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관찰하였다. 또한, 트랜지스터를 활용한 중등발명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기초적인 전자공학 수업이 중등발명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음을 증명하며, 나아가 트랜지스터를 활용한 중등발명교육이 어느 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배경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중등발명교육과 관련된 트랜지스터 활용 수업과 나아가 기초적인 전자공학이 이용된 발명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 단일강연선용 원형 포스트텐션 정착구 개발 및 정착구역 보강에 관한 연구

        조용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내 건설 현장에서는 기존 콘크리트 부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PSC구조물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긴장재 덕트 내부에 그라우팅을 할 필요가 없어 상대적으로 시공과정이 간단하며 재긴장이 가능한 포스트텐션 공법의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거푸집 작업의 단순화와 물량 절감효과가 뛰어난 플랫 슬래브 공법의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포스트텐션 공법이 사용된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즉, 정착구역에는 긴장력이 정착구를 통하여 부재에 집중하중으로 전달된다. 그로 인한 파열응력과 지압응력으로 인해 강연선의 긴장단계에서 정착구역에 파괴가 발생할 경우 긴장된 강연선에 의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균열이 발생할 경우 포스트텐션 부재의 부식으로 인한 구조성능 저하 대한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정착구역에서의 균열 및 파괴를 억제하기 위한 파열응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부착식 단일 강연선용 정착구를 대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기존 정착구에서 응력집중현상을 유발하는 거셋을 곡선 연결부로, 직사각형 정착판을 원형 정착판으로 대체하여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정착구 상세를 개발하였다. KCI-PS101과 ETAG 013에서 제시하는 정하중시험, 하중전달시험 방법을 준수하여 실험을 수행하여 구조성능을 검증 하였다. 또한 개발된 정착구에 적합한 보강방법 선정을 위하여 포스트텐션 일방향 슬래브 시험체를 제작하여 개발된 정착구가 사용된 부재의 구조성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정하중 시험체 5개, 하중전달 시험체 4개의 실험 결과, 두 기준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일방향 슬래브 시험체 4개에 대한 실험결과, 개발된 정착구를 사용한 시험체는 설계하중 이상의 하중에서 항복하여 기존 정착구를 사용한 시험체와 동일수준의 구조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착구역 보강을 위해 U자형 헤어핀 철근의 다리가 부재 방향의 수직으로 배치하는 것이 균열제어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years, PSC structures that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are increasing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e post-tensioning process is relatively simpl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grouting inside the tendon duct and re-tensioning is possible. In this reason, the demand of post-tensioning method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in flat slab method which is advantageous in reducing formwork and quantity of materials has been increased. In general post-tension method, tension force is transferred to the end of the concrete member which is anchorage zone through the anchorage. If failure occurs at the anchorage zone in tensioning stage due to bursting stress and bearing stres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post-tension members may be reduced due to corrosion of the anchorage and tendon. Therefore, research on bursting stress is required to prevent cracks and failure in anchorage area. In this study, a finite elem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un-bonded single strand anchorage. Through the analysis, details of the anchorage that can relieve the stress concentration and distribute the stress effectively was developed by using curved connection and circular bearing plate. The structural performance was verified by carrying out an experiment according to the static load test and the load transfer test method presented in KCI-PS101 and ETAG 013. Also,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post tension one-way slab members with the developed anchorage to figure out the suitable reinforcement in anchorage zone. As the result of five static load test specimens and four load transfer test specimens, it is confirmed that the requirements of both criteria are satisfied. Experimental results on four one-way slab test specimens show that the specimens using developed anchorage are yielded at the load above the design load and it show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new anchorage is equivalent level of the existing anchorag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legs of the U-shaped hairpin reinforcing bars is effective in terms of crack control.

      • 압축착화엔진에서 바이오디젤의 연소 및 배출물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mbustion and Exhaust Emissions Characteristics in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l fueled with Biodiesel Blended Diesel Fuel

        조용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Combustion and Exhaust Emissions Characteristics in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fueled with Biodiesel Blended Diesel Fuel Jho, Yongwoo Directed by Professor Lee, Chang Sik, Ph.D.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soybe an biodiesel, and canola biodiesel with blended diesel fu el on the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four -cylinder direct injection passenger vehicle diesel engi ne. In order to analyze the combustion and NOx, soot emis sion reduction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conditio ns applied by various parameters, such as an engine speed, engine load, injection pre ssure and fuel blending ratio. Als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biodies el blended dies el fuel are compared to the results of pure diesel combus bu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test engine has a compression ratio of 17.3, a displacement volume of 1.582L and maximum fuel injection pressure up to 160 MPa. Test fuel were used for six kinds of fuels such as BD10 (ULSD 90%, soybean biodie sel or canola biodiesel 10%), BD20 and BD40. Also, the ex perimental results of biodiesel blends were compared to those of ULSD. In order to control engine load, the dynamometer system used to an EC dynamometer and a control program. In this investigation of experiment results, engine measuring data values were obtained by using data aequsition board and its acquisition program to analyze combustion charac teristics. The exhaust gases from the test engine were me asured with a NOx, HC, CO emission and a smoke analyze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ignition delay of BD40 was adv anced compared to ULSD because biodiesel has oxygen content about 11%,so it brought about early ignition than ULSD. In the results of engine combustion characteristics, combustion pressures and heat release rates of b iodiesel and blends showed the similar charact eristics at 1000rpm and 20 00rpm. But the combustion char acteristics due to engine load condition shows different result because increasing engine load,injection quantity.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IS-NOx and IS-Soot emissions indic ated the trade-off relations. When injection pressure and blending ratio are increased, IS-NOx emission is increased but IS-Soot emission level decreased. In theoretical view point,IS-Soot emission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fuel injection pressure due to the better mixing effect between fuel and a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