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적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프로그램 개선방안 : 전남 화순지역을 중심으로

        조양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의 문화유산은 보존되어야 할 중요한 자산이자 지역을 대변하는 가장 보편적인 대상이기도 하다. 근래 지역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각종 역사문화프로그램 및 문화관광사업 등으로의 실행은 주목할 만하다. 이미 중앙정부를 필두로 전국의 많은 지자체에서는 지역의 문화유산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작게는 마을 단위사업의 형태로까지 다양한 문화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그 선봉에는 지역출신인물, 역사인물, 유명인물 등 인물과 연관된 문화유산을 활용하는 사업들이 다수 존재한다. 지역 활성화에 목적을 둔 이와 같은 인적문화유산 활용 사업들은 무수히 많이 시행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주로 문화유산을 체험관광의 형태로 개발하는데 한정되어 있다. 더불어, 지역마다 인물과 프로그램 구성이 중복되는 사례도 많고 단발적으로 시행되고 사라지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이에 지역의 인적문화유산활용 사업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바탕으로 활용차원에서 문화프로그램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 인적문화유산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화순지역 ‘생생 문화재 사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고찰 및 분석하여, 경쟁력 있는 양질의 문화프로그램으로 지속할 수 있도록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문헌 조사와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성과물 등을 통하여 인적문화유산 활용실태와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둘째, 화순지역 대상 문화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화재청의「문화재 유형별 활용 길라잡이」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토대로 문화재 유형별로 분류·분석하였다. 셋째, 참여관찰을 통한 참여자 인터뷰 및 평가기준을 대입한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되는 문제점과 참가자들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넷째, 인근 지역의 인적문화유산 활용프로그램 사례를 살펴보고, 효과와 문제점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은 각각의 프로그램에서 문화원형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문화프로그램임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첫째, 대상 문화유산의 공간 활용이 미흡하다. 체류형 프로그램 진행 시 활용되는 공간이 한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구성의 변화가 없고, 참여자가 특정 대상층에 한정되어 있었다. 셋째, 대체적으로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하였다. 이는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참가자 입장에서도 그러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점에서도 그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 화순지역의 인적문화유산 활용 문화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대상문화유산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해야 한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이용에 한계가 있고, 한정적인 장소활용으로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 구성의 다변화와 함께 참여 대상층을 확대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당일 프로그램은 답사형태에서 벗어나 한 공간에서 집중도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특정 대상 위주의 모객에서 벗어나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구성을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관 단체의 재원적 운영 안정화 및 지역민의 참여를 활성화해야 한다. 프로그램의 재원적 안정화를 대비한 자구책을 마련해 프로그램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게 해야 하며, 지역민을 프로그램 구성원 및 기획자로 거듭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화순지역의 새로운 인적문화유산 발굴과 연구를 통해 신규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의 성과를 통해 지역사회에서의 인적문화유산 활용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와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인적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프로그램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리눅스 추적도구 기반의 결함 진단 프레임워크

        조양희 崇實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임베디드 응용 분야에서 신뢰도(reliability), 유효성(availability) 및 안전성(safety)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실시간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높은 신뢰도가 요구된다. 고 신뢰도가 요구되는 실시간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에서는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성능을 보장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상태를 감시하고, 결함을 진단하고, 결함의 내용에 따라 복구를 수행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의 시간 제약 사항에 대한 결함을 진단하고 복구하는 결함 진단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결함진단 프레임워크는 감시 모듈, 진단 모듈, 복구 모듈 그리고 기록 모듈로 구성된다. 감시 모듈에서는 리눅스 추적도구로부터 시스템정보를 얻어온다. 진단 모듈에서는 시간 제약 사항에 대한 이벤트를 정의하고, 정의된 이벤트를 감시 및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복구 모듈에서는 결함을 복구하기 위한 액션을 정의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건 발생, 결함 발생 및 복구에 대한 자료를 기록부에 기록되고, 이 자료는 시스템 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텔 x86시스템의 리눅스환경에서 perf 추적도구를 사용하여 결함 진단 프레임워크를 구현하였다. 주기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테스트 프로그램에 지연 루틴을 삽입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결함 및 복구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평가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는 리눅스 추적도구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얻어오기 때문에 감시를 위한 응용의 수정을 최소로 하고, 개발 시에 본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이벤트 및 액션을 정의하면 보다 신뢰도 높은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safety are essential in many embedded applications.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guarantee high reliability in realtime systems and applications. It is required to monitor a system, detect faults and recover the system for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safety.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to detect temporal restrictions such as periodic task or deadline. The framework is composed of a monitor module, detection modules, a recovery module and recorder modules. The monitor module gets information of a target application from perf - Linux trace toolkit. The detection module defines events about temporal restrictions, monitors and analysis the trace data received from the monitor module. The recovery module defines actions to restore the target application and runs the defined actions. The data of events, faults and recovery are saved recorder modules for the system analysis. In this paper, a framework is implemented, using perf on linux x86. A delay routine- a fault injection routine- is inserted in a periodic task program. It is evaluated whether temporal faults are detected or not, whether defined actions are performed or not. It is minimized to modify for monitoring because the presented framework gets trace data from perf-Linux trace toolkit. This framework will help to develop a reliable application or system.

      • 시 감상에서의 시적 공감 양상 연구

        조양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poetic empathy among elementary readers during their poetry appreciation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empathy related to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readers. The concept of poetic empathy was discussed on the assumption that readers of poems would gain emotional experiences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texts of the poems. Poetic empathy was defined here as a conscious and unconscious process that a reader who appreciates a poem forms a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the text, understand the sentiment of the text and share that sentiment and their own emotion with others, and the process of poetic empathy was explo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poetic empathy to find out the aspects of poetic empathy among elementary readers in detail. Chapter Ⅱ describ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oetic empathy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To make a definition of poetic empathy, earlier studies related to empathy were reviewed by focusing on understanding and sharing others' feelings. And then the unique concept of poetic empathy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empathy in other genr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earlier stud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as a genre. And three characteristics of poetic empathy were selected. One was that poetic empathy was related to the separation between subject and otherness. Another was that there were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in poetic empathy, and the third was that it was one of the integral element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then the elements, variables and process of poetic empathy were discussed. As poetic empathy is a process to understand and share the emotions of others through reader-text interaction, three components of it were discussed, involving communicative, cognitive and emotional ones. A relational variable, text variable and reader variable were selected as three variables of poetic empathy, and the fact that each of the variables interacted with each of the three components of poetic empathy was explained. The process of poetic empathy was explored in light of the components and variables of it. According to the arguments of Rodgers and Lake, three stages were selected as the process of poetic empathy: empathic participation, empathic understanding and empathic sharing. And how poetic empathy took place in each stage was investigated. The attempt to look into the process of poetic empathy made it possible to analyze the aspects of actual poetic empathy among elementary readers. Chapter Ⅲ made an analysis of the aspects of poetic empathy among readers based on the previous chapter. Four elementary reader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asked to talk about what they experienced during appreciation of poetic tex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aspects of their poetic empathy in the three stages involving empathic participation, empathic understanding and empathic sharing. In the stage of empathic participation, the readers grasped the personal being of the poetic texts they read and then formed a relationship with the personal being, which was called focalizing. There were largely three different kinds of personal being in poetic texts: poetic speaker, characters and poetic listener. Most of the readers tried to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poetic speakers and characters to understand and sympathize with them. They gained different emotion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personal being on which they focalized. In the stage of empathic understanding, they visualized the images of the poetic texts and found a concrete meaning in them, which were done in a mutually complementary manner, not in a sequential way, and the readers finally sympathized with the meaning of the poetic texts. Empathic sharing took place along with empathic participation and empathic understanding in an organically interrelated manner. The readers experienced and shared the emotions of the poetic texts. There are educational meanings in an analysis of the aspects of poetic empathy: First, it could enrich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readers. Second, it could encourage readers to appreciate poetic texts in an independent manner without making a indiscreet interpretation. Third, it could step up the value internalization of readers and the growth of their self.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define poetic empathy as one of poetry appreciation principles and look into the aspects of poetic empathy among elementary readers.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significant suggestions on how to provide education on poetic texts as part of elementary literary education. 본 연구는 독자의 정서 체험에 작용하는 공감의 의미에 주목하여, 시 감상 과정에서 일어나는 초등 학습독자의 시적 공감 양상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 감상에서 일어나는 정서 체험은 독자와 텍스트의 상호작용을 통해 획득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시적 공감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감상 주체인 독자가 텍스트의 타자와 관계를 맺고, 시 텍스트에 드러난 정서를 지향·이해하고, 타자가 느끼는 정서와 유사한 정서를 공유하고자 하는 의식적이면서도 무의식적인 과정을 시적 공감으로 보고, 시적 공감의 특성과 구성 요소 등을 고려하여 시적 공감의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 학습독자의 시 감상에서 일어나는 시적 공감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하였다. Ⅱ장에서는 독자가 보여주는 시적 공감의 양상 탐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서 시적 공감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시적 공감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상대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유한다는 의미에 초점을 두고, 공감 관련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공감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공감의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시의 장르적 특성과 연결 지어 다른 장르와 구별되는 시적 공감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시적 공감은 주체와 타자의 분리 의식을 갖는다, 인지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을 갖는다, 정서체험의 핵심 요소라는 시적 공감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시적 공감의 요소와 변인, 시적 공감의 과정을 마련하였다. 시적 공감은 독자와 텍스트가 상호교류를 통해 타자의 정서를 인지하고 공유하는 과정이기에 그 요소로 소통적, 인지적, 정서적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시적 공감의 변인으로 관계 변인, 텍스트 변인, 독자 변인을 설정한 후 각 변인이 소통적 요소, 인지적 요소, 정서적 요소에 작용함을 논의하였다. 시적 공감의 요소와 변인에 대한 논의는 시적 공감의 과정 논의의 바탕이 되었다. 시적 공감의 과정은 로저스(Rogers)와 레이크(Lake)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공감적 참여, 공감적 이해, 공감적 공유 세 단계로 설정하여, 각 단계에서 시적 공감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살폈다. 이러한 시적 공감의 과정은 초등학습 독자들의 실제 시적 공감 양상 분석에 대한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논의를 토대로 독자의 시적 공감 양상 분석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초등 학습독자 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독자 개인의 시 텍스트 감상 과정에서 일어나는 사고구술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사고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독자가 시 텍스트와의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제 시적 공감의 양상을 Ⅱ장에서 논의한 공감적 참여, 공감적 이해, 공감적 공유라는 시적 공감의 과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공감적 참여에서 독자는 시 텍스트의 인격적 존재의 파악이 먼저 이루어진 후, 인격적 존재에 대한 본격적인 관계 맺기인 초점화하기를 보였다. 시 텍스트의 인격적 존재를 크게 시적화자, 등장인물, 시적청자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의 독자들은 시적화자, 등장인물과 관계를 맺고 그들의 정서를 공감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였다. 초점화한 인격적 존재의 차이에 따라 독자들은 다른 정서체험을 보여주었다. 공감적 이해에서는 이미지 형상화하기와 의미의 구체화가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기보다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맺으며, 시 텍스트가 전하는 의미를 생성하고, 독자들은 의미를 공감적으로 이해하였다. 공감적 공유는 앞서 이루어진 공감적 참여, 공감적 이해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나타나는데 독자가 시 텍스트의 정서를 공감적으로 공유하면서 시 텍스트가 담고 있는 정서를 체험하였다. 이러한 시적 공감 양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이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독자의 정서체험 능력 심화시키고, 둘째,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주체적 감상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해석의 무정부적 상태를 견제할 수 있으며, 셋째, 독자의 가치의 내면화와 자아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시 텍스트 감상 원리의 하나로 시적 공감의 개념을 마련하고, 초등 학습독자의 실제적인 시 감상에서 이루어지는 시적 공감의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앞으로 초등 문학 교육 안에서 시 텍스트를 어떻게 교육해야 할지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학교 숲 체험활동을 활용한 사실적 미술표현 지도 방안 연구 : 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조양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realistic art expression through a school forest field trip. The study focuses on the value of getting children who have poor powers of expression to gain an interest in nature and to raise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study shows student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realistic art expressive skills through experiences, and to understand the theory of background in school forest field trip experiences. This study is a summary of results analyzed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elementary school senior students. Furthermore, the level of each art expression chapter is applied in the actual class at school. Undeniably, the students improved their observation skills of plants at school as well as the surroundings. The stude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visual objects so they could express their observations realistically. Additionally, students were able to have confidence in expressing the nature of the objects without stressing out an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is study also affected the students' ability to state their feelings with understanding through the enjoyment of art 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f the suggestion applies in a real educational situation, it will definitely contribute to students' improvement of their art expression skills as well as their awarenes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이 연구는 학교 숲 체험활동을 통해 사실적 미술표현을 신장시킬 수 있는 미술 수업의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표현력이 부족한 아동들이 다양한 학교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자연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환경보호 의식 및 관찰력 향상을 통하여 사실적 표현력 신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예상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학교 숲 체험활동의 개념과 방법의 고찰, 학교 숲을 활용한 환경교육 및 체험활동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파악, 그리고 아동 발달 단계와 초등학교 고학년 미술과 단원별 표현재료 및 표현영역의 분석을 종합한 결과로서 학교 숲 체험활동을 활용한 미술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것이다. 연구를 통해 제시된 실제 수업에 참여한 아동들은 학교 숲 체험활동을 통하여 학교 내 식물과 주변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눈에 보이는 것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데 흥미를 가지게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미적 표현 활동으로 자연을 보호하려는 마음과 함께 사실적 미술표현에 대한 부담감이 줄어들고 대상을 묘사하는데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으며, 작품 감상활동을 통하여 표현의 다양성과 함께 다른 작품에 대한 이해와 존중하는 마음으로 바람직한 미술 감상 태도를 가지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의 분석을 통해 기대해 볼 수 있는 것은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 숲 체험활동을 활용한 미술 지도 방안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된다면 아동의 미적 표현력 및 자연을 사랑하고 보호하려는 태도를 기르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우울증 사병탐지를 위한 벤더게슈탈트검사의 효용성

        조양희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차적 이득을 얻기 위해 우울증을 가장하는 사병환자를 탐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벤더게슈탈트검사의 효용성을 검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정상 집단 33명, 우울 집단 37명, 우울 가장 집단 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BGT의 모사단계를 이용하였으며, 사용된 채점체계는 Hutt의 정신병리 척도이다. 집단별 정신병리 척도의 항목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배열순서, 도형 A의 위치, 중첩, 각의 변화, 단편화, 중복곤란, 고집화, 재묘사 항목에서는 정상 집단, 우울 집단, 우울 가장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공간사용, 교차곤란 항목에서는 우울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정신병리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아울러 배열순서, 폐쇄곤란, 퇴영 항목에서는 우울 가장 집단이 정상 집단보다 정신병리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용지회전, 곡선곤란, 지각회전, 단순화, 정교화 항목에서는 우울 가장 집단이 정상 집단과 우울 집단보다 정신병리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정상 집단, 우울 집단, 우울 가장 집단 간의 결과 분석을 통해 HABGT 정신병리 척도의 총점과 하위항목 중 용지회전, 곡선곤란, 지각회전, 단순화, 정교화 항목이 우울증을 가장하는 사병환자들을 선별하는데 중요한 항목임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BGT가 사병 탐지를 할 때 질문지형 자기보고식 검사의 한계를 극복하고, 짧은 시간 내에 실시가 가능하여 임상 장면 이외에도 모병업무를 담당하는 병무청이나 상해 평가를 위한 사병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verify the filial utility of Vender Gestalt Test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malingering patients pretending to be depressed in order to obtain secondary gain. To that end, the study was conducted among 33 top group members, 37 depression groups, and 34 depression groups. Using BGT's parent division system, the scoring system used is Hutt's psychopathic measure. The results of finding differences between groups are as follows by obtaining the item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psychopathic measures by group. First of all,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ormal groups, depression groups, depression groups, depression groups, and depression groups were seen in the categories of sequencing, superposition, angle changes, fragmentation, redundancy, persistence, and re-description. Meanwhile, in the categories of spatial use, cross-doubt, the psychopathic scal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pressed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In addition, the most depressed group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psychopathic scales than normal groups in the order of arrangement, difficulty of closure, and retirement categories. Finally, in the categories of paper rotation, curve difficulty, perceptual rotation, simplification and refinement, the most depresse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psychopathic scale scores than normal and depressed groups. Through the analysis of results among normal groups, depression groups, and depression most group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mong the total points and subtopics of HABGT psychopathic scale, the items of paper rotation, curve difficulty, perceptual rotation, simplification, and sophistication are important items in the screening of private patients posing as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imitations of questionnaires' self-reporting tests are overcome, and that the tests themselves are simple and detectable in a short period of time, which can be useful for evaluation of injury or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which is in charge of recruitment, in addition to clinical scenes.

      •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화 경험, 자아분화,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조양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화 경험, 자아분화,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가족상담학과 조 양 희 지도교수: 서 미 아 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화 경험, 자아분화,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와 종교기관에서 만난 북한이탈청소년 1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2월부터 2018년 4월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변인과 변인 간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했으며 변인들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자아정체감은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탈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자아정체감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으며, 또래애착과 자아정체감도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북한이탈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또래애착은 자아정체감의 유의한 설명요인이었고, 자아분화와 또래애착은 자아정체감을 29% 설명하였다. 북한이탈청소년의 자아분화, 또래애착이 자아정체감의 하위요인에 대한 설명력은 자기수용성 33%, 미래확신성 14%, 목표지향성 19%, 주도성 13%, 친밀성 15%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자아정체감 개입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북한이탈청소년, 부모화 경험, 자아분화, 또래애착, 자아정체감 The effects of Parentification, Self-Differentiation, and Peer Attachment on the Identity for North Korean Refugee Youth Yang hee Jo Department of Family Counselling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stration and Legal Dankoo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fication, self-differentiation, peer attachment on identity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For this purpose, 117 young North Korean refugee youth were interview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2017 to April 2018 an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variables on ident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ific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and ident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dentity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and ident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differentiation and peer attachment of the North Korean refugee youth were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s of identity, and self-differentiation and peer attachment explained 29% of identity. The explanatory power of self-acceptance 33%, subconsciousness 14%, goal-orientedness 19%, initiative 13%, and intimacy 15% were revealed in the explanatory power of self-acceptance, subconsciousness, and peer attach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dentity intervention program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Key words: North Korean refugee youth, parentification, self-differentiation, peer attachment, identity.

      • 브랜드아파트의 차별화를 위한 외관디자인요소에 관한 연구

        조양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주택시장의 환경은 이전과 다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여기에 주택건설관련제도 개선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것은 무엇보다 소비자의 의식변화로 인한 다양화된 요구에 기인한다고도 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만들어야 하고 이런 추세가 건설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아파트도 만들면 잘 팔리는 건설사의 상품으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건설사들도 아파트에 브랜드명을 부가하는 등 차별화된 상품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현대인의 도심지향과 서구형 주거에 대한 선호증가, 생활이 복잡하고 바빠지면서 편의성과 효율성을 중시하는 쪽으로 생활 패턴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아파트에 브랜드의 개념을 도입하고 건설사는 그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마케팅 해야 하는 상황에 높이게 되었다. 건설사들은 자사의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해 TV, 신문, 인터넷 등의 매체를 통해 사람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광고에서 보여지는 아파트의 모습은 소비자로 하여금 많은 기대를 하게 만든다. 그들이 내세우고 있는 브랜드 아파트는 무엇인가. 국내 아파트 시장은 선분양ㆍ후시공으로 사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소비자는 분양광고와 모델하우스를 보고 그 브랜드를 판단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판단결과에 따라 선택된 아파트에서 사람들은 그 브랜드가 제공하고 있는 단지의 모습과 서비스를 경험하면서 살아간다. 그런데 실질적인 아파트 단지의 모습은 매체 등을 통한 완성도 높은 모습에 못미쳐 소비자로 하여금 괴리감을 느끼게 한다. 이점에서, 건축학적 입장에서는 아파트의 완성도 높은 모습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현재 건설사들의 브랜드 아파트의 차별화 요소는 다양하다. 차별화 요소는 실내, 외관, 조경 등의 다양한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평면개발에 힘쓰던 과거에 비하여 현재 건설사들은 아파트 단지의 건축적 외관디자인요소에 관심이 많다. 몇몇 연구조사에서 소비자들도 이 부분에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최근의 글로벌트렌드와 신환경적 측면에서 외관은 중요한 분야이다. 서구화와 고층화는 아파트의 수직적 상승과 브랜드화, 고급화 등의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과거의 차별화 단계를 지나서 외관의 입면디자인과 외부환경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해야 하는 단계로 넘어오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연구문헌들을 살펴봤을때도 평면계획 중심의 논의들은 많이되고 있지만 아파트 입면을 대상으로한 건축적 외관디자인을 다룬 연구는 쉽게 찾아볼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배경도 현재의 국내 아파트 단지의 모습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나타난 문제점을 발견하면서 시작된 것이다. 이렇게 나타난 문제점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고, 더 나은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려고 한다. 2장은 브랜드아파트를 분석하기 전에 ‘건축과 브랜드’에 관련된 이론적 고찰을 위한 단계이다. 브랜드의 정의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마케팅에서 다루어지는 중요한 이론으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아이덴티티, 브랜드포지셔닝을 건축과 연관시켜 그 개념을 짚어볼 것이다. 이론 고찰을 배경으로 브랜드이미지와 관련된 건축의 시각적 통합화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아파트 상품이 일반 소비재 상품과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며 아파트 상품 개발시 고려해야 할 점을 짚어보고자 한다. 3장은 국내 아파트의 변천을 브랜드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브랜드아파트의 현황과 장단점을 분석하고 주택시장의 변화와 소비자의 요구 등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외관디자인요소의 차별화 전략을 분석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건설사들의 차별화 전략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외관디자인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이다. 4장은 건설사별로 브랜드아파트의 브랜드이미지 구축 전략들을 분석할 것이다. 일반적인 광고를 통한 마케팅 전략기법과 건축에 있어서 외관디자인을 통한 특화 전략기법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연구의 주대상인 외관디자인요소는 다음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분석할 것이다. 외관디자인 요소에서 두드러지게 구분되는 ‘랜드마크적 성격을 고려한 표현요소’, ‘매스의 단조로움에 가미된 규칙적 표현요소’, ‘단지내 가로경관과 보행자를 위한 표현요소’가 그 특징요소들이다. 5장은 4장에서 분석된 결과를 가지고 그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4장의 3가지 구분요소를 가지고 ‘내외부의 연계된 디자인 요소’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외관의 통합적 계획안’의 측면으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거상품으로서 브랜드아파트가 갖는 건축적 의의를 중요시 해야 할 것이다. 거주자에 대한 주거의 역할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한 건축적 외관요소의 check list를 제공하고, 거주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아울러 건설사의 브랜드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데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참고 기준으로서 효용성을 가지는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키워드 : 브랜드아파트, 브랜드차별화, 외관디자인, 환경색채계획 Recently, it is the real fact that the importance of a brand is expanded in accordance with apartment increase in the house market. Thus surging interest in brandapartment market should be turned into apartment culture with management and various studies on the bran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terior design factors for the brand differentiation of apartment. The brand identity is expressed by various factors that company's name value, environment, marketing methods, and so on. This study provides the practical data that are exterior differentiation factors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These data are analyzed by using websites, medias, site survey, interview etc. The following differentiation factors are obtained a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which forms the BrandApartment. The first, it's about the theory of brand with architecture. Those are 'brandimage', 'brandidentity', 'brandpositioning'. The second, the changes of domestic brandapartment were searched. Those were analyzed both merits and demerits of brandapartment. And those were searched the differentiation strateges of many construction companies. And by extention, importance of architectural exterior design was examined by other studies. The third, the 3-factors are analyzed for the brandimage in both the brand marketing and the exterior design of apartment to differ from other companies. The 3-factors are 'Bottom Enterance Area of the Apartment', 'Top Roof area of the Apartment', 'Main Mass area of the Apartment'. The last, the alternative proposals are totally presented by case study, designing for better living culture. This study has the meaning of the brand housing market in architectural aspect and this study will be the method both advising the living guide for the resident and building the more efficient guide for the company.

      • 디지털매체 시대의 무용작품 분석을 통한 안무방법 확장에 관한 연구

        조양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horeographies appropriate for the digital era, and to expand the existing limits of choreography through the analysis of digital media utilizing dance works. Digital media is already actively practiced in creative works of dance. The creating condition is continuously developing and is entering into a new phase. Properly fusing digital media with dance work and studying choreographies in various perspectives, which promote qualitative improvements, are necessary in such condition. Before analyzing the art work, the study has prospected aspects of contemporary art and current trends of digital media by looking into how the changes in media paradigm affect the society and how the society at large accepts the art. Also the researcher has realized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how the media changes the perception of art and also how this further affects the whole concept, by discussing them in a prospect of esthetics. This study has used qualities of digital media as concepts to analyze dance works in a new perspective, also by relating them with digital forms of art. In order to grasp the trends of digital dance the researcher has set changes and distortion of movements, imaginary space and diversification of construction, group work through networks, easy participation of audience and variations in meanings of dance as a focus of the discussion by looking into changes of dance works over digital media era. By looking into following art performances「Brownian Motion」(1997), 「Ghostcatching」(1999),「AfterGhostcatching」(2010),「Zone」(2001),「16[R]evolution」(2006), the researcher was also able to find out how, Tecnical method, Virtuality, Interaction are signified and choreographed in each performances. These three qualities have been revealed distinctively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depicting approaches and this resulted as disparate choreographies. However, similarities were also found. They are deviation from body causing diversification of images and movements and multivocal directing, virtual space enabling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changes in time-space, and interactions resulting broadening of synaesthetic perception and forming new relations with the audience. Explanations about different ways of choreography, broadened by the application of four kinds of digital media are following: Firstly, since choreographies on web pages can set different approaches according to the menu presented on the dance work, reconstructing and expanding moves and gestures fragmentarily and limitlessly as the audience specified are possible. Also, in composing the time and space, deriving unlimited and multiple special layer, and constructing time are able due to versatile interactions with the audience and choreography modifying. The game-formed composition suggests new choreographies which enhance the interactions with the audience. Secondly, as the data motion-captured from the choreographies through motion capture system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t can be copied and recreated by converting into new, diverse characters, and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of performance, such as stage performance, movie clips, and online performances. More motions are expressed beyond the existing notions of movements. Also, the time and space can be converted into three or four-dimensional space which, in result, attains the flexibility. Simulation before the performance is able, and application to other fields has become easier. Thirdly, choreographies have become able to perform at a precise location, pace, and towards the exact direction due to the motion realization of robot technology. This has made it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s of human physical power and motion. Also, as a stage set, it creates various effects and characters. Lastly, according to the broadened concept of choreography through the interacting system, the choreographer has become able to interact with the technology in multiple ways through digital media, and this further enabled the stage composition in new forms. This fundamental difference from existing choreographies has brought changes in the roles of choreographer, dancer, music, light, and video clip and it also combines the audience participation. As a result, the suggestion of new choreographies in digital era diversifies and modifies the images and movements through technology operation. Also, it promotes dance performances as imaginary art work, by overcoming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Taking choreographies, which are aware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echnology environment and the audience, such as web, 3D motion capture, robot, interaction system and etc, is possible. In addition, it also popularizes the dance art by combining it with digital media.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s of choreography caused by effective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and suggests new technological approach and more diverse choreography in the creation of dance by setting dance as a significant part in digital era. 본 연구는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무용작품을 분석하여 디지털매체 시대에 맞는 안무방법을 찾아내고 기존의 안무방식 확장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디지털기술과 매체의 활용은 무용작품의 창조적 측면에서 이미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창작환경은 급속도로 진보하고 새로운 양상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해 나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디지털매체를 무용의 특성과 올바르게 융합하여 종합적인 질적 향상을 취할 수 있는 안무방법을 다각도로 고찰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사료된다. 작품분석에 앞서 본 연구는 사회전반에서의 미디어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영향과 예술의 수용방식을 자세히 살펴보아 디지털매체 시대의 흐름과 예술의 현 모습을 조망해 보았다. 또한 미학적 관점에서의 논의를 통해 매체가 어떻게 예술의 지각방식을 변화시키고 나아가 예술개념 자체를 변화시키는가를 매체의 형식적 특성과의 관계 속에서 해석되어야 함을 인식하였다. 디지털매체의 특성 중 분산과 통합, 가상성, 상호작용성을 디지털예술의 양상에도 그 연관성을 갖으면서 본 연구의 작품분석에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는 개념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디지털무용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디지털매체 시대에 따른 무용의 변화와 여러 작품들을 살펴보아 움직임의 변형과 왜곡, 가상적 공간과 구성의 다양화, 네트워크를 통한 공동작업, 관객참여의 용이성, 무용의 다의미화를 논의의 틀로 마련하였다. 그리고「Brownian Motion」(1997),「Ghostcatching」(1999),「After Ghostcatching」(2010),「Zone」(2001),「16[R]evolution」(2006)의 작품분석을 통해 기술성, 가상성, 상호작용성이 각각의 작품에 어떻게 의미화되고 안무화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작품에 매개되는 기술방식에 따라 디지털 무용의 경향과 3가지의 특성이 다르게 발현되고 그에 따른 안무방식에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공통적인 점으로는 탈신체에 의한 이미지와 움직임의 다양화와 복수적 의미연출, 가상공간에 의한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시공간성의 변화, 상호작용에 의한 공감각적 지각의 확대와 관객과의 새로운 관계형성 등으로 규정해 볼 수 있다. 작품분석을 통해 4개 유형의 디지털매체 활용에 따른 확장된 안무방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웹상에서의 안무에서는 작품에 제시하는 메뉴에 따라 접근방식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동작구와 움직임의 패턴을 관객이 설정하는 대로 파편적 재구성과 무한 증식, 확대를 할 수 있으며, 공간․시간 구성에 있어서도 안무의 조작과 관객의 상호작용으로 무제한적이고 복수 공간레이어를 파생시키며 초실제적 시간성을 구성할 수 있다. 게임형식의 구성은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극대화시키는 새로운 안무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둘째, 모션캡쳐 시스템을 활용한 안무방법에서는 모션캡쳐한 데이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복제하여 다양한 캐릭터와 수로 변환시켜 재창조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형식으로도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무대공연, 영상물, 온라인상 등으로 다양한 공연형태를 취할 수 있다. 움직임은 기존의 개념을 뛰어넘어 어떠한 동작도 표현해 낼 수 있게 되는데 3․4차원 공간으로 자유롭게 변환됨으로 탄력적인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밖에 공연 전 시뮬레이션 해볼 수도 있고 다른 분야와의 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로봇기술에 의한 안무는 로봇의 동작구현 특성으로 정확한 방향, 속도, 위치를 구사하게 됨으로 인간의 근력과 운동범위에 한계를 극복해 낼 수 있고 무대장치로의 여러 효과를 창출해 낼 수 있으며 다양한 캐릭터 연출을 가능케 한다. 넷째, 상호작용 시스템을 통해 안무의 확장된 개념을 살펴보면, 디지털 매체에 의해 무용수와 기술이 다각도에서 실시간 상호작용하여 무대에 새로운 양식의 구성방식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조명, 음악, 무용수, 안무가의 역할에 큰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기존의 안무법과는 근본적인 차이점을 보이며 관객의 참여를 통해 통합의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디지털매체 시대에 따른 안무의 새로운 방식을 제시해보면, 기술적 조작에 의한 이미지와 움직임창출은 다양성과 가변성, 무한변형 등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고, 공연예술의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하는 가상예술로서의 무용작품을 도모할 수 있다. 웹, 3D 모션캡쳐, 로봇, 상호작용 시스템 등의 새로운 기술환경과 관객사이에 상호작용적 관계를 인식할 수 있는 안무방식을 취할 수 있으며, 더불어 디지털매체와 무용의 적극적 결합을 통해 타 예술과 관객을 무용 안으로 흡수시키는 대중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매체의 효율적인 활용과 이로 인한 안무방법의 변화와 확장에 주목하고, 무용의 가치를 디지털매체 시대에 중요한 위치로 부각시켜 무용창작 작업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적 접근과 확장된 안무방식을 제시한다는 데에 의의를 둔다.

      • 특수질환의 업무상 재해 인정에 있어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양희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hanges in Korean economic environment, from quantitatively to qualitatively, have gone with making desperate efforts. That is, companies have put through many technical improvements, quality controls, high standard services, and so forth. Enterprises cut the number of employees through labor-management adjustment, so that a shortage of labor resulted. The increase of labor intensity brought about the growth of the proportion of occupational diseases which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death from overwork, musculoskeletal diseases. This study points out several problems of the standards of the particular disease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death from overwork, musculoskeletal diseases) as occupational Disease.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made in the order of: Chapter Ⅰ, description of the purpose, sphere and method of study; Chapter Ⅱ, contents of and the summary of the legal basis of the compensation, the categories of occupational diseases; Chapter Ⅲ, the Standard of Occupational Disease on the Particular Disease Accident(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death from overwork, musculoskeletal diseases); Chapter Ⅳ the problems of and the recommendation of the standard of occupational disease on the particular disease accident. As the society has become more industrialized and specialized, new occupational diseases of various types have been evolved. That is, the occupational diseases caused by the changes of rapid social development have been developed and diversified catching up the speed of the social changes. It is a social reality that the basis and procedure for the recognition of the new occupational diseases such as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death from over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as the occupational diseases has not been able to catch up with the speed of the changes. Hence this study, by analyzing and reviewing the theories and the judicial precedents about the basis for the recognition of particular diseases as the occupational diseases, seeks the acceptable range within which particular diseases including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death from over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can be regarded as the occupational diseases Further,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basis for the recognition as industrial disaster and provide the way of improving the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hazardous factors that could incur particular diseases during the course of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