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낭만시대 피아노 환상곡 연구 : 형식을 중심으로

        조성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낭만시대의 환상곡에 관한 것으로 그 시기 저명한 음악가들의 피아노 환상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류트음악에서 처음 사용된 환상곡이라는 자그마한 악곡 하나가 바로크시대로 넘어가면서 즉흥적인 성격을 지닌 여러 가지 비슷한 성격을 가진 다른 악곡들과 혼용되어 진 후, 전고전시대에 C. P. E. Bach에 의해서 발전되어졌다. 고전시대까지는 환상곡이라는 악곡이 독립된 작품이기 보다는 곡에 포함되어있는 작은 소품 또는 어떤 작품에서 ‘환상곡풍으로’라는 즉흥적인 요소를 가진 악곡들을 표현하기위한 나타냄 말 정도였다. 하지만 낭만시대에서는 소나타처럼 환상곡을 독립된 작품으로 작곡하였다. 이 당시에 환상곡을 작곡하지 않은 작곡가가 없을 정도로 굉장히 많은 작곡가들이 환상곡을 작곡하였다. 작곡가들은 환상적이고 허구적인 상상의 세계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아낌없이 표현하기 위해 환상곡을 선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환상곡이 왜 낭만시대에서 가장 화려하게 발전되었는지, 환상곡이 어떤 특정한 형식을 갖는지, 작곡가들마다 환상곡을 다루는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등을 서술하였다. 핵심어 : 낭만시대, 환상곡, 슈베르트, 멘델스존, 쇼팽, 슈만, 리스트 This study is about the Fantasias in the Romantic era and focuses on the piano fantasias which was written by the renowned composers of the period. As it entered the Baroque era, Fantasia which was first used in a Lute music as a tiny musical piece was mixed with other music which has a extempore and similar character. Since then, in the pre-classic period, it was developed by C. P. E. Bach who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sers of Fantasia. By the Classical period, Fantasia was not a independent work. It was used as the expression marks with the improvisational element which was included or called ‘quasi una fantasia’ in some work. Meanwhile, the Fantasia was composed as a independent pieces like a Sonata in the Romantic era. At that time, there were so many composers who composed Fantasia that it would be difficult not to compose it. Composers selected Fantasias generously to express their thoughts about fantastic and fictional world of imagination.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ng 'A Study on Piano Fantasias in the Romantic era' we can understand three features. 1, Why did fantasias develop most splendidly in the Romantic era? 2, What specific types did fantasias have? 3, Why did composer have differences in dealing with fantasias?

      • 중등교사의 다문화연수 및 교수 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친 영향

        조성아 아주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과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현재 중등학교에 근무 중이며 교과수업을 진행하는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 및 본 조사를 거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과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은 다문화교육역량의 하위요인인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결과는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 또는 다문화학생에게 교과를 가르쳤거나 담임을 했던 경험이 없더라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과 비교하면 다문화교육에 관해 갖는 인식 및 태도는 비슷하다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중등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및 태도 항목의 평균 점수는 비교적 높았으므로 다문화교육에 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문화교육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내용은 줄이고 교사들이 취약한 부분의 내용구성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은 다문화교육역량의 하위요인인 다문화교육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은 다문화교육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를 통해 다문화학생을 교수한 경험 유무에 상관없이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지식수준이 비슷함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학생을 교수한 경험이 다문화교육지식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뜻한다. 한편,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다문화교육지식이 풍부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다문화 개념 및 다문화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다문화정책 등 중등교사들이 알아야 할 다문화관련 지식들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과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의 하위요인인 다문화교육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교육 연수 경험은 다문화교육기술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은 다문화교육기술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다문화학생을 교수한 경험이 있는 교사는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숙련된 다문화교육기술을 가지고 있었다. 다문화교육기술은 현장에서 행동으로 발현되는 실제적 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론이 대부분인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한다고 하여 다문화교육기술 향상에 도움이 되지 못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이 있는 교사는 다문화학생을 지도하면서 겪는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기술이 발전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연수 프로그램을 전부 이론으로 구성하기 보다는 다문화교육기술과 관련된 내용, 예를 들면 다문화를 반영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하기, 다른 문화에 대한 편견을 줄이는 학습활동 구상하기 등 실천적 내용을 추가한다면 교사들이 연수를 통해 다문화교육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조사대상자가 수원과 안산의 교사로 한정되어 있고 편의 표집법에 의한 것이므로, 중등교사 전체로 해석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향후 보다 폭넓게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향후 교사들에게 다문화교육연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연수가 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중 어떠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미치지 않는지 확인한다면, 효과가 없었던 내용은 보충하여 개발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다문화학생 교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다문화학생 교수 경험이 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 중 어떠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미친다면 어떤 요인인지 확인하여 실제 연수 프로그램에 관련 내용을 실습내용으로 구성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을 전당하는 다문화지도사와 같은 평생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연구한다면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다른 시각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 시각적 사고 전략(VTS)을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조성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Our modern society, which is referred as the ter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knowledge-based society has been rapidly changing as science and technology progress. In order to lead the future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creative thinking that may lead to creative values from existing knowledge and skills are required. Therefore, education for the future will step in a direction that may cultivate creation of learner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thus applied Visual Thinking Strategies(VTS) a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for improving creativity. VTS is an educational method that takes place in an open and relaxed atmosphere, having no fixed answer to learners’ appreciation, and enables them to concentrate on observing the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TS art appreci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pply it to practice to confirm the effect on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ind out the details, two kinds of research questions were arranged: “How should VTS art appreciation learning be structured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ow does art appreciation learning using VTS affect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largely conducted in two stages. For the first stage,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creativity, background and outline of VTS, and educational effects, and as a result, the researcher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VTS. In the second stage, the researcher developed art appreciation learning using VTS for improving creativity and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creativity of learners through execution research. In addition, “idea expression” stage was added to develop VTS education program that enhances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ing the existing VTS discussion stage. The idea expression activities are based on a more in-depth understanding beyond a simple understanding. Comparing to the existing VTS education method that consists only of dialogue, VTS education program added with “expression of ideas” allows learners to expand their ideas as they reorganize and develop the contents for VTS discussion.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18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VTS education program on the creativity of learners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 program that consists of a total of 10 sessions. The dialog and conversat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during the program and research records, worksheets, and interview data with the learner were collected. Data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factors of creativity were positively changed through VT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analyzed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sensitivity, and Elaboration for the cognitive factors of creativity.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changes in fluency by comparing the number of ideas from learners. Comparing the idea worksheets used in the 9th class that students appreciated the work by applying VTS with the 1st class which VTS was not applied, the learners brought up with a lot more ideas in the 9th class even when they appreciated the same work. In addition, the learners observed even the smallest parts of the work and came up with many ideas from it as the program progresses. Furthermore, changes in flexibility were found by the contents of VTS conversation and interviews. The learners explored various possibilities in the work. They showed a new way of thinking and interpreting that may be simply concluded. This has become the basis for the learners to think in multiple ways from a new perspective, which breaks the existing stereotypes. The learners of this study created unique ideas through VTS education program and expressed them. The learners led the class and created new ideas through conversations with fellows that did not exist before. In addition, they focused on the work only and led empathy on the elements of the work through interaction. Moreover, the learner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and sensitive to their surroundings than before. Thus, VTS education method, which considers work carefully, helped improve the observation ability of the learners. As the lessons progressed, the learners could observe even the smallest details in the work, and mentioned things that even were not yet discussed. The changes in sensitivity were extended to areas outside of class, thus the learners began to take an interest in various images in everyday life and came to imagine a story based on what they observed. The learners refined their ideas and developed them into better ones. The learners further materialized their initial ideas through additional observation and developed them by accepting opinions that they considered appropriate among the opinions of fellows, as well as refining the idea by looking for additional evidence to refute the opinions of fellows who had different opinions. Second, the affective factors of creativity have changed positively through VTS education program. The study analyzed affective factors focusing on motivation and openness. The learners enjoyed participating in VTS education program, and through this, their intrinsic motivation improved, such as gaining confidence in appreciation activities, and bringing up ideas and expression activities. The learners experienced collaboration through VTS discussion and the process of idea sharing. In the 9th class, they were asked to write a review according to VTS method after appreciating the work, and compare it with the appreciation that they had in the 1st class, as a result, they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confirming their growth. VTS discussion enabled the learners to recognize that various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for certain elements of the work and various problems of the real life exist. In particular, teachers’ attitude of accepting learners’ ideas without modifying or judging them had a great impact on learners’ openness.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the learners laughed or bewildered to this peculiar idea that goes beyond the conventional category. However, as the teachers accepted all kinds of their ideas in an open manner throughout the program, the learners gradually began to respect each other’s opinions. In everyday class life, they opened their minds than b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VTS art appreciation program by using idea expression activities to improve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pplied it to the fiel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TS on the creativity of the learne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VTS educational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reativity of the learners.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VTS and creativity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make VTS effectively used in schools and art galleries a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for improving learners’ creativity. 제4차 산업혁명, 정보통신기술, 인공지능, 지식기반사회 등의 용어로 서술되는 현대사회는 과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욱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의 사회를 이끌어나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식과 기능으로부터 창조적 가치를 창출해낼 수 있는 창의적 사고가 필요하다. 따라서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또한 학습자의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의 하나로 시각적 사고 전략(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을 활용하고자 한다. VTS는 개방적이고 편안한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며 감상에 대한 답이 정해져 있지 않고, 학생들이 작품을 집중하여 관찰하고 최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사고 전략(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을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 학습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VTS 감상 학습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 학습자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는 크게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로 문헌 연구를 통해 창의성의 정의와 구성 요소, VTS의 배경과 개요 및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으며 이를 통해 창의성과 VTS의 관계에 대해 정리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을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연구를 통해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VTS 감상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VTS 토의의 단계 뒤에 ‘아이디어 표현’ 단계를 추가하였다.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활동은 단순한 이해를 넘어서는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활동이다. 기존의 VTS 교육 방법이 대화로만 이루어지는 것에 비해 ‘아이디어 표현’ 단계를 추가한 VTS 감상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가 VTS 토의 내용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발전시켜 자신의 아이디어를 확장해 나갈 수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 1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총 10차시에 해당하는 미술 감상프로그램을 개발하여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 학습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수업 중 대화를 녹취하여 전사하였고 연구자의 연구일지, 학습자의 활동지, 학습자와의 면담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창의성의 인지적, 정의적 구성 요소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을 통해 창의성의 인지적 요소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창의성의 인지적 요소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민감성, 정교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학습자가 생성한 아이디어 수를 비교하여 유창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VTS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방법대로 작품을 감상했던 1차시와 VTS를 적용하여 작품을 감상한 9차시 수업에서 활용한 아이디어 생성 활동지를 비교해 보면 학습자들은 같은 작품을 보고도 9차시 수업에서 훨씬 많은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또한, 프로그램이 진행될수록 작품 속에서 아주 작은 부분까지 관찰하며 그로부터 많은 아이디어를 떠올리기도 했다. VTS 대화 내용과 면담을 통해 융통성의 변화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은 작품에서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했다. 단순히 결론지을 수 있는 부분도 새롭게 생각하여 해석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는 학습자들이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를 다층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기반이 되었다. 학습자들은 VTS를 적용한 감상 학습을 통해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표현하였다. 학습자는 수업을 이끌어나가는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동료 학습자와의 대화를 통해 기존에 없던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였다. 작품 자체에 집중하며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품 속 요소에 감정을 이입하기도 하였다. 또한, 자신의 주변에 대해 전보다 더 관심을 가지고 민감하게 탐색하게 되었다. 작품을 주의 깊게 바라보는 VTS 교육 방법은 학습자의 관찰력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학습자들은 차시가 진행될수록 작품 속의 세밀한 부분까지 관찰하며 아직 논의되지 않은 것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민감성의 변화는 수업 외의 부분으로 확장되어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한 이미지에 관심을 가지고 자세히 살펴보기 시작했으며 관찰한 것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상상하게 되었다. 나아가 학습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정교화하여 더 개선된 아이디어로 발전시켰다. 학습자들은 추가적인 관찰을 통해 초기 아이디어를 더욱 구체화하였으며, 동료 학습자의 의견 중 스스로 판단을 통해 적절하다고 생각한 의견을 수용하여 자신만의 아이디어로 발전시키기도 하고,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동료 학습자의 의견에 반박하기 위한 추가 증거를 찾으며 아이디어를 정교화하였다. 둘째,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을 통해 창의성의 정의적 요소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창의성의 정의적 요소는 동기와 개방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본 VTS 감상 학습에 즐겁게 참여하였으며 이를 통해 감상 활동과 아이디어 생성 및 표현활동에 자신감을 얻게 되는 등 내적 동기가 향상되었다. 9차시 수업에서는 VTS 방법에 따라 작품을 감상한 뒤 감상문을 쓰고 1차시에 썼던 감상문과 비교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는데, 이를 통해 자신의 성장을 목격하며 성취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VTS 토의는 작품의 특정 요소에 다양한 해석이 가능함을 인식하도록 하여 실생활의 여러 문제도 다양한 해결책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한다. 특히 교사가 학습자의 아이디어를 수정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인정해주는 태도를 보이는 것이 학습자의 개방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의 초반, 학습자들은 관습적인 범주를 벗어나는 독특한 아이디어에 대해 웃거나 당황하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내내 교사가 어떠한 아이디어든 개방적인 태도로 인정해주자, 점차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게 되었다. 일상적인 학급 생활에서도 전보다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을 위해 아이디어 표현활동을 추가한 VTS 감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VTS를 적용한 미술 감상 학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VTS와 창의성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VTS가 학교와 미술관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의 하나로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차이 분석

        조성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기반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체제인 이러닝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이러닝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러닝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을 능동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의 특성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지속의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각각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청주시의 한 대학교에서 한 학기 과정의 100% 정규 이러닝 강좌 수강경험이 있는 남․여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주도 학습전략,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검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검사지를 토대로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의 차이를 검증하고,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우선, 수강경험 집단에 따른 학습만족도 분석 결과, 수강경험이 높은 집단의 학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17). 또한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분석 결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1). 둘째,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지속의향에 차이가 있었다. 우선, 수강경험 집단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분석 결과, 수강경험이 높은 집단의 학습지속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2). 또한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분석 결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습지속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0). 셋째,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p=.071) 및 학습지속의향(p=.369)에 미치는 각각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이러닝 수강경험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이 높았다. 따라서 이러닝 수강경험이 없거나 적은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동기를 높이기 위한 맞춤형 형태의 이러닝을 제공하여 이러닝 강의를 재차 참여할 수 있도록 이러닝 강의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사전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높을수록 이러닝 강의에 대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 및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이러닝 교육방법이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이러닝 학습 환경 특성 상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필요하므로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스캐폴딩을 제공하고,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는 방안이 필요하다. 향후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학습을 하고 있는 다양한 환경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이러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이러닝 학습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이러닝 학습전략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효과성 변인으로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동기, 학습몰입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음악흥미도 및 음악의 생활화에 미치는 영향

        조성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오케스트라 활동에 경험이 없는 3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기간 동안 학생들의 수업을 참여관찰 하였고 연구 참여자중 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음악흥미도는 사전·사후 검사에서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악활동에 따른 음악흥미도 하위요인 중 기악활동에 대한 흥미도가 높게 향상 되었으며, 음악가에 대한 흥미도, 음악 관련직업에 대한 흥미도 역시 활동 이후 높아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참여자들의 오케스트라 활동 경험은 개인의 음악에 대한 내재적인 정서반응 향상에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음악의 생활화는 사전·사후 검사에서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의 생활화 검사에서는 음악과 행사와 음악의 기능의 하위영역이 특히 높아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반면 음악의 생활화 하위영역 중 음악의 가치영역에 대한 결과는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악의 생활화의 하위요인 중 음악과 행사는 음악흥미도의 하위요인인 음악가와 음악 직업 대한 흥미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음악관련 산업과 음악에 대한 내재적인 정서 반응 간의 상관관계 역시 높게 측정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해 음악흥미도가 높게 형성된 학생일수록 음악의 생활화 역시 높아 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오케스트라 활동이 중학생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을 통한 음악의 생활화 연구와 더불어 국내에서 연구되지 않았던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오케스트라 활동이 음악흥미도와 음악의 생활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과 오케스트라 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orchestra activities effect there musical interest and music in daily lives. Thus, preliminary/post examinations were conducted on 31 students without prior experience in orchestra activities. And the researchers observed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class. Among them, 5 students were in a focus group interview to measure the changes in their interest in music and mus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nterest in music shown by the students who took part in orchestra activities increased overall in the preliminary/post examinations. In particular, their interest in instrumental activity and occupations related to music was high. Especially, interest in musical instrument activity in musical interest was increased, interest in musician and interest in music related occupation increased after the activity. In addition, participants' experience of orchestra activity influenced intrinsic emotional response to individual music. Second, for the extent of music being a part of the students' daily life, the study found the preliminary/post examinations that the extent increased for the students who took part in orchestra activities. In the examinations, the sub-areas of music, events and function of music especially increased. However, the result on the value of music among the sub-areas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the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level of interest in music and their musical activities of daily life, the two had a high level of correlation.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musical life, music and event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interest of musicians and musical occupations,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music interest,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intrinsic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related industries and music were also high. This means that students who have developed a high level of interest in music through orchestra activities are more likely to make music a part of their everyday life. This study examined how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orchestra activities effect there musical interest and music in daily lives.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n promoting musical activities in daily life through orchestra activities, which had not been studied in Korea,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est in music and musical activities of everyday life was also analyzed.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influence of orchestra activities on the level of interest in music and daily musical activities, and that it offer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orchestra activities.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성아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노인부양의식 향상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구지역 노인복지시설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대학생 208명을 조사대상으로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남자보다 여자, 연령은 20대, 학력은 4년제 이상, 전공은 인문사회계열, 출생순위는 둘째 이상일수록, 종교는 없는 사람이, 월 소득 200만원~400만원 사이, 본가 거주이며, 부모님이 건강하신 편이고, 가정이 화목한 응답자, 조부모의 거주형태는 자가 거주, 조부모의 건강상태는 건강하지 않음, 조부모와 만남은 자주만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자원봉사활동 특성으로 노인시설 중 노인이용시설일수록, 봉사활동 기간은 1~6개월, 총 봉사활동 기간은 1~12개월, 봉사활동내용은 단순노력봉사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평균 3.95점이 나타났다. 시설별 자원봉사활동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전문기술봉사, 노인이용시설에서 프로그램 진행보조, 노인재가시설에서 사무행정업무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노인부양의식은 남자보다 여자가, 조부모가 노인시설에 거주하는 경우일수록, 조부모와의 만남 정도에서 자주만나는 경우일수록, 노인재가시설보다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이용시설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대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은 시설별, 자원봉사만족도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노인부양의식에는 조부모와 자주 만나는 학생일수록, 노인이용시설 자원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학생일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점수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을 통한 노인부양의식 향상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둘째, 시설별 특성을 고려한 봉사활동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 노인과 젊은 세대 간의 교류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 전문계 고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문화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조성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를 처음 접하는 교사들이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직문화에 어떠한 적응방식을 통해 적응해 가는가를 교직활동 영역별로 분석하여 밝히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교직문화는 무엇인가? 둘째, 전문계 고등학교 초임교사는 어떠한 적응방식을 통해 교직문화에 적응해 가고 있는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경기도 소재의 공립 정보산업고등학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심층면접, 참여관찰, 문서수집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교직활동 영역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지도에서는 ‘미리부터 소홀해 지는 수업’, ‘같은 학교 다른 수업’, ‘생활지도에 밀리는 수업’, ‘수업보강으로 때워지는 수업’으로 소홀한 수업문화가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자기합리화를 통한 방식으로 적응해 가고 있었다. 둘째, 생활지도에서는 생활지도가 교과지도보다 우선시 되는 교사의 능력으로 인정받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출결 문제는 교사들이 가장 중요시 하는 부분이었다. 하지만 교사들은 학생들의 생활지도에 대해 ‘포기’나 ‘한쪽 눈 감기’와 같은 소극적인 방법으로 적응해 가고 있었다. 셋째, 행정업무에서는 경력이 낮은 교사들에게 업무가 과중하게 부과되는 비합리적인 업무진행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전문교과 중심의 행정업무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은 이러한 상황에 대해 비합리적이라 생각하였지만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많고, 전문교과 교사인 경우에는 언젠가 또 만날 사람들이라는 생각에, 일반교과 교사인 경우에는 전문계 고등학교의 업무에 대해 잘 모른다는 이유로 이러한 상황을 ‘순응’하며 받아들이고 있었다. 넷째, 인간관계는 동료교사 관계, 관리자 관계, 학부모 관계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동료교사 관계는 전체적으로 서로에 대해 잘 알지 못했으나 동교과끼리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으며, 일부 전문교과인 경우에서는 서열문화가 존재했다. 동료교사 관계에 대한 적응으로 교사들은 ‘친밀함 유지’와 ‘알아서 모시기’를 통해 적응해 가고 있었다. 관리자 관계는 승진을 위한 접대문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일부 부장교사들에게서 나타나는 접대문화는 학교 전체에 영향을 주어 교사들의 건의나 요구사항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환경을 만들었으며, 이러한 환경에 교사들은 방관자적 자세로 적응해 가고 있었다. 학부모 관계는 학생들의 생활지도에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학생들의 생활지도를 더 어렵게 하는 경우가 많아 교사들은 도움이 되지 않는 관계로 판단하여 일정거리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직문화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교직활동들에 대해 소홀한 모습을 보이며, 교사편의가 중심이 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전문계 고등학교의 내실화된 교직문화 마련이 시급하다 하겠다. 또한 전문계 초임교사들은 전문계 고등학교 교직문화가 부정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방식으로 적응하고 있어 적극적인 방식으로 적응하고자 하는 노력과 함께 이들을 도울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way the newcome teachers adapt to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n a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n a vocational high school? Second, how do the newcome teachers adapt to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n a vacational high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public information industry high school in Gyeonggi-do was surveye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employed such as in-depth interviews, long-term participating observation, data collection, and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examined in four different areas of teaching profess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shown from teaching principles are 'neglected lessons in advance', 'different lessons in the same school', 'emphasis on guidance principles', and 'makeup lessons'. Newcome teachers tend to continue adapting to the preexisting culture through their self-justification. Second, in the aspect of guidance principles, the teachers who are good at guiding and controlling students are considered to be competent, and they put a great emphasis on the students' attendance record. But in general the teachers adjust themselves to the circumstances quite passively through 'abandonment' and 'overlooking'. Third, in the aspect of administration, there is a tendency to have the teachers who have rather short career do too much work, which is quite absurd and unreasonable. Also, the administration work is mostly done centering around the vocational subjects. Most teachers think this situation is absurd but they accept it because there are a lot of teachers who have long-term career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o meet them again in other schools. In particular, the teachers who teach the general subjects and who don't know much about the system of a vocational high school tend to accept the current situations. Fourth, when it comes to human relations, the cultures in this aspect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teacher relations, supervisor-teacher relations, parent-teacher relations. On the whole, the co-teachers don't know each other well, but the teachers who teach the same subject maintain close relationships. Partly, there exists a hierarchical order among the teachers of the same vocational subjec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ir career. The teachers try to keep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and ‘treating well’. Supervisor-teacher relations can be seen as entertaining relations for a promotion. An entertaining culture shown from some department head teachers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deliver other teacher's needs or suggestions, which makes it har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other teachers assume the attitude of an onlooker. In the aspect of parent-teacher relations, many parents make teacher's guidance much harder. So the teachers try to solve the problems for themselves rather than ask for help and keep their distance from the parents. From the researc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 seen from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n a vocational high school is that the teachers tend to focus on their convenience rather than focus on teaching profession itself which should be dealt with importantly. Thus it is necessary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in a vocational high school. In addition, even though there are some negative aspects of the preexisting teachers' culture, it is essential to encourage the newcome teachers to adapt to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an active way and also there should be a supporting system to help the newcome teachers to do their best.

      • POS시스템 내 소프트웨어 무결성 검증 방안

        조성아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POS단말기란 카드결제 가맹점의 판매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카드결제 기능이 함께 탑재되어 있어 판매 및 고객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해준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많은 가맹점들이 POS단말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내부에 저장된 매출정보, 카드유효기간, 비밀번호, 카드 검증 값 등과 같은 결제정보가 외부의 해킹이나 내부자의 부정으로 인해 카드회원 신용정보 유출 및 위조카드 등과 같은 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어 해결책이 시급한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POS단말기의 해킹 및 위·변조로 인해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화이트 리스트 기반의 POS 시스템 내 소프트웨어 무결성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소프트웨어의 무결성을 제공하여 현재 암호화와 보안 솔루션에 의해 검증되어 설치된 프로그램의 변조를 방지하여 외부로부터의 위협 뿐 아니라 내부자에 의한 개인정보 유출 및 부정사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의 촉매 층 구조 및 표면 개질 된 전해질의 전기 화학적 특성연구

        조성아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ree subjects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have been addressed: 1)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talyzed membranes by "frame-drying" method: 2)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 diffusion layer controlled MEAs with reformate fuel gas: 3) preparation and surface characterization of ion beam treated membrane. Firstly, The catalyst coating method, so called "frame-drying" method have been developed by a spraying the catalyst ink onto the humidified membrane surface. This method shows a improved catalyst utilization at a comparison of single cell with two other preparation methods; conventional method and IPA extended method. The structure of catalyst layer that proposed in this study was evaluated by analyzing a Tafel slope in two different resistance area from I-V curve and characterized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This is also be related with effective catalyst layer thickness in high current density region. By the results of catalyst loading, the critical point for loading amount was 0.18 mg Pt/cm² for cathode while the catalyst loading amount of anode does not shows effective on cell performance as much as cathode. The performance through the optimization study of catalyst loading amount was 800m A/cm² (T_(cell) = 80℃, U_(H2) = 0.25, U_(O2) = 0.5, P = 1 atm) with 0.18 mgPt/cm² and 0.03 mgPt/cm² for cathode at anode respectively in 0.6V. Secondly, the proposed structure of a fine sprayed catalyst layer through the second diffusion layer adoption in anode was evaluated for hydrogen oxidation reaction and CO poisoning mechanisms under reformate gas condition. Two different types of diffusion layer were adopted in anode; Structure I) additional diffusion media like as carbon paper and carbon cloths, Structure II) additional micro diffusion layer, ionic conductive diffusion layer(ICDL) that is composed with carbon and ionomer particles. From the comparisons of these two types of diffusion layer, the Structure II doesn't show any performance decrease while the performance of MEAs that adopted Structure II shows large voltage loss caused by resistance increase at a hydrogen/oxygen condition. The stable and high current density also could be found from the single cell performance of ICDL adopted MEAs at reformate gas condition. These phenomena are able to be described by the effect of hydrophilic characteristics of ICDL when the non-humidified gas condition is applied on single cell operation. Also, The performance of single cell that composed without ICDL showed fast poisoning behavior with 20 ppm CO containing hydrogen gas, which showed large polarization resistance at anode. The current density of 3 mg C/cm² ICDL at a steady states of CO oxidation and reduction, was 3 times higher than thoes of no ICDL MEAs by 600 mA/cm² (T_(cell) = 80℃, U_(H2) = 0.25, U_(O2) = 0.5, P = 1 atm). The adoption of ICDL in anode is considered to be useful as a micro diffusion layer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especially for anode reaction. Finally, for the ion beam treated membrane has large surface area that contact with catalyst particles. From the AFM analysis of the treated membrane surface, the surface area increased by three times of the pristine membrane. The proposed method with ion implantation application onto Nafion surface doesn't show any phenomena of degradation for membrane properties. These are from the results of ion conductivity study and XPS analysis. The electrochemical impedance resistance for anode and cathode of ion beam treated membrane was analyzed by adopting different equivalent circuits for each. From the states of art with ion beam treated membrane and the frame drying method, the target for reducing catalyst amount by 0.2 mg/cm² with a specific energy density of 0.2 g kW-1 was achieved.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용 전해질 촉매 접합체에 있어서 촉매 층을 전해질 막 위에 직접 분사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촉매 층 구조에 있어서 촉매 이용률의 제고를 위한 임계 촉매 도포 량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연료가스의 조성 변화에 따른 촉매 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 전극구조 및 전해질과 전극 계면 제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온 보조 반응 (ion asistant reaction)에 의해 고분자 표면을 개질하고 이에 따른 표면 구조변화 및 화학적 재구성의 고찰을 통하여 전기화학적 반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 목적 및 범위를 각 장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나피온 전해질 막에 촉매 슬러리의 질소 분사 도포 법에 의해 카본 담지 백금 촉매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촉매 층 구조에서의 고 전류 영역에서 산소 환원 반응에 대한 물질전달 저항과 유효 촉매 층 두께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최적화한 촉매 도포 량은 단위전지의 성능을 0.6V에서 800 mA/cm² (T_(cell) = 80℃, U_(H2) = 0.25, U_(O2) = 0.5, P = 1 atm)를 기준으로 비교 한 결과, 본 연구 과정에서 제안한 frame-drying법을 이용하여 anode에서 0.03 mgPt/cm², cathode에서 0.18 mgPt/cm²까지 낮출 수 있었다. 둘째, 애노드에서의 수소 산화 반응 및 CO 가스에 의한 촉매 피독 메커니즘의 규명을 통해 미세 확산 층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물질 전달 저항이 나타나지 않는 운전 영역에서 추가된 카본 종이나 카본 천의 기체 확산 층은 그 구조적 특성에 의하여 촉매 층과 기체 확산 층 사이의 저항 값을 증가시켜 수소-산소의 운전 특성에서 전압 손실을 야기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카본-이오노머의 미세 확산 층(ICDL)의 적용은 이러한 저항 값의 증가 없이 촉매 층으로의 물과 반응기체의 확산을 제어함으로써 무가습 운전 특성에 효율적이었다. 아울러 anode에서 큰 분극 저항을 일으키는 20 ppm의 CO를 포함하는 연료가스의 운전 특성에서 0.6V에서 ICDL을 갖지 않는 전극 구조에 비하여 3배 높은 600 mA/cm²(T_(cell) = 80℃, U_(H2) = 0.25, U_(O2) = 0.5, P = 1 atm)의 전류밀도를 유지함으로써 개선된 피독 거동 특성을 나타내었다. 셋째, 촉매 층과 전해질 계면에서의 반응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수소 산화 반응에서의 전하전달 저항과 산소 환원 반응에서의 물질 전달 저항을 줄일 수 있는 전해질 표면처리 방법으로서 이온 보조 반응(ion assistance reaction)에 의한 이온주입(ion implantation)법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이온 보조반응에 의해 처리된 전해질 상 백금 촉매 층간의 전하 전달과정 및 전극반응 메커니즘을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회로 분석을 통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개질을 하지 않은 전해질 막에 비하여 촉매의 이용률을 증가시킴으로서 상용 전극제법에서 사용하는 총 촉매 량인 0.8 mgPt/cm2에 비하여 1/8 으로 촉매 량을 줄일 수 있었으며 0.6V에서 800 mA/cm² (T_(cell) = 80℃, U_(H2) = 0.25, U_(O2) = 0.5, P = 1 atm)의 전류밀도를 얻음으로써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상용화 목표 값에 근접한 MEA의 제조 방법을 확보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