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인수 학급의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사이버어린이회의시스템 설계 및 구현

        조성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realize educational ways that are helpful to cultivate democratism of students and to verify its efficiency by overcom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isolated students in the era of network characterized by diversity and harmony and narrowing the differences by bringing the understanding of diversity and the opportunity of harmony to democratic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is, we implemented a children's cyber conference system that has been properly designed for the Korean educational curriculum in remote and isolated elementary schools. By introducing children's conference to the elementary schools, we could see how human-oriented democratic education is created among the children in their diversity and harmony. First of all, we made a children's cyber conference system, and applied it to two groups of children, i.e., one experimental group who is using the system and the other controlled group who is not using it. Then we compared them and performed t-test.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is proved to contribute to cultivation of democratism. In conclusion, it was verified that applying the system is a good way to make positive effects on cultivating children's democratic education by sharing their problems and experiences between urban students and rural students and even with foreign students. 본 연구는 다양성과 조화라는 교육적 키워드를 가지고 살아가는 네트워크 세대에 학생의 고립된 교육환경을 극복함으로 서로의 다름을 넘어 다양성의 이해와 조화의 기회를 민주주의 교육과정에 가져옴으로써 학생의 민주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교육적 방법을 실현해보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적으로 소외된 학교에 대한민국 교육과정에 맞게 설계된 사이버화상어린이회의시스템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민주주의 절차를 갖춘 어린이회의를 초등현장에 적용 해봄으로써 다양성 속의 조화를 일궈내는 인간존중의 민주주의교육이 학생들 안에서 일어나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먼저 사이버화상어린이회의시스템을 만들었다. 그리고 난 후 이 시스템으로 공간적으로 떨어진 학생들과 화상 어린이회의를 해보는 실험집단과 일반학급어린이회의를 하는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통해 민주성 함양의 변화를 살펴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서로 떨어진 학생들과 어린이회의를 해보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민주성함양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지역적 상황을 극복하여 회의를 할 수 있도록 구현한 사이버어린이회시스템이 민주성함양에 매우 효과적임이 검증되었다. 또한, 위 검증의 결과를 토대로 살펴본다면 학생들이 자신의 주변이 아니라 멀리 떨어진 외국의 아이들이나 아니면 공간적으로 떨어진 도서 지역의 아이들과 함께 자신들의 문제를 나눠보고 민주적으로 실천해보게 하는 경험이 우리나라 민주주의 교육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좋은 교육방법 임을 입증하였다.

      • 대학국악 교육과정과 연주가와의 상호 관계 연구

        조성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interest in the national music goes on increasing, the desire of the special lesson in music higher. This training as a specialist in the national music could be accomplished by the professional education. Such music education could be largely divided in two ways. One is an education for the liberal art and the learning, and the other is a training as an artist to participate in the music performance activity, the substantial skill. In this point of view, because of the duality in the educational purpose the music curriculum is pertinent in no side of either the musician or the educator.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source materials for the presentation of the developmental plan in a college music curriculum in order to turn out the better skilled performers. Testing on performers who lead their performance activities in present, it was already gone through to examine an evaluation of the college music curriculum. For this study, those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curriculum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departments in seven universities and to investigate testing on 198 members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the City classic Orchestra and the KBS Classic Orchestra in Seoul, the City Classic Orchestra in Taegu and the City Classic Orchestra in Pusan. To summarize thos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n each items the current curriculum makes little difference from the musical skill, musicology and the music education. Therefore each curriculum in them should be strictly divided and effectively excited. Second, in the management as the performers' major is to perform the music, they should be able to completed covering a wide range of all the necessary subjects.

      • 교사와 학생들의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3, 4학년 검인정 영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내용 분석

        조성경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2008 revised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cultural education is emphasized as the need for focused stres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Culture is hard to be learn automatically.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teach cultural elements purposely through relevant material. Therefore, when teachers teach through this emphasized method, students are able to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other cultures through textbooks. These textbooks can be an excellent medium for getting various culture across. Authorized 3rd and 4th grade textbooks and guidebooks include culture corners directly in the textbooks. Culture corner is an activity in the textbook.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what cultural elements is contained and how well cultural content is reflected in the 3rd and 4th authorized material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eachers' and students' awareness about cultural education, how to applicate the cultural elements during English class, and which cultural elements teachers and students think are the most important. The curriculum presents four cultural elements. According to them, analysis criteria was reorganized. First,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as defined communicative function from the 3rd and 4th grade curriculum. Second, Language and culture about people in different cultures was defined material, norms and ideas cultures according to Bierstedt(1970). Korean culture has been defined symbols, food, clothing, shelter, customs, art, figure according to Kim(2010). The range of materials for analysis are dialogues and illustrations of 1st and 2nd period, the background of role-play, culture corner in textbooks and culture content in teachers' guidebook.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teachers who have taught English at least two years in Daegu and students in the 3rd, 4th grades were surveyed. The survey questions were sent to 100 teachers and 400 students.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the awareness about cultural education, how to applicate cultural elements during English class, cultural elements they think are the most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eaching materials tends to contain some particular content of verbal communication. Some materials don't contain non-verbal communication. Second, all of 3rd grade teaching materials well-representative containing norms and ideas culture evenly. The culture corners in the textbooks contain various cultures in many countries equally. The 4th grade teaching materials tends to present some contents while presenting three types of culture in many countries at the same time. Third, the frequency of presenting Korean cultural elements is gradually growing. Korean cultures are presented as topics of cultural conversation or illustrations in culture corner. Fourth, culture corners of authorized textbooks had positive effect on teaching culture in analysis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lso, teachers and students were very interested in the cultural education. However, the materials, the curriculum and teacher training sessions are insufficient.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present Korean culture and cultures in many countries equally. And it needs to present cultural content according to stude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These findings support the suggestion as follows. First, English textbooks and guide books should serve the purpose of cultural education To do this, they should present different cultures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al situations according to each grad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our culture and other cultures should be recognized. Second, it needs to present specific activities and appendices by including cultural content together. When the cultural activities similar to games and various appendix materials are presented with in the culture corner of textbooks, it makes possible to have enough time culture education during English class. In addition, it can become cultural and linguistic education intergrated into one. Third curriculum only shows the importance and objectives of cultural education. There are no materials, concrete teaching methods or assessment in the curriculum. So it should specify culture and education standards specifically including methods, evaluation, and guidelines. Finally, 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done more systematically through subsequent experiment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s and guidebooks of the 3rd and 4th grade are not long. Also, it will be a meaningful reference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of the culture within the 5th and 6th grade authorized teaching materials which will be used from March, 2012 급변하는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영어의 사용이 확대됨과 동시에 다문화 사회에서 문화간 이해(intercultural understanding)의 중요성은 더욱 커진다. 실제 상황에서 의사소통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맥락을 벗어나지 못하며 문화는 맥락의 한 부분이므로 의사소통은 문화를 벗어날 수 없다. 따라서 언어와 목표 문화에 대한 학습은 분리될 수 없다(Byram, 1989, Robinson, 1988, Kramsch, 1993). 2008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영어 교육의 목표를 크게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이해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문화에 대한 학습은 교사가 의식을 가지고 지도해야 할 부분이다. 문화 교육에서 교사, 목표 문화, 학생들을 연결시켜주는 매개체가 바로 교과서이다. 2011년 3월부터 사용하고 있는 3, 4학년 검인정 14종 교과서에서는 교과서 내 문화 고정란을 통하여 문화 내용을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새로운 체제로 바뀐 검인정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가 더욱 강조된 문화 교육에 대해 교육과정이 의도하는 바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사와 학생 설문 조사를 통하여 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현재 영어 수업에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 각 집단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 내용을 알아본다. 둘째, 3, 4학년 검인정 교재 14종이 교육과정에 명시된 문화적 소재인 영어권 문화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 다양한 문화에 속한 사람들의 문화 내용, 우리 문화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을, 어떤 형태와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비교․분석한다. 설문 조사의 경우 교사 설문은 최근 2년 이내 담임 혹은 영어 교과 전담으로서 영어를 가르친 경험이 있는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학생 설문은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3, 4학년 학생들을 학년당 200명씩 400명을 무작위 추출하였다. 교재 분석을 위한 범위는 1, 2차시 주요 대화문과 삽화, 역할놀이의 작품명, 교과서 문화 고정란, 교사용 지도서 문화 tip으로 정하였으며 분석 기준은 교육과정 내 문화적 소재 네 가지를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적용하여 세 가지 분석 항목으로 재구성하였다. 첫째, 영어 문화권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에 관련된 내용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의사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세부 항목을 구성하였다. 둘째, 다양한 문화에 속한 사람들의 언어 및 문화에 관련된 내용은 Bierstedt(1970)가 제시한 물질, 행동, 정신문화의 3가지 기준을 상위 항목으로 하고 김영미(2010)의 문화 유형 분류 기준을 하위 항목으로 연구의 내용에 맞게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우리 문화와 생활 양식을 소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은 물질, 행동, 정신문화 중 김영미(2010)가 제시한 우리 문화를 소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검인정 교과서의 가장 뚜렷한 특징인 문화 고정란을 살펴본 결과 4학년 M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교과서에 문화 고정란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제시 방법은 사진, 설명, 사진과 설명의 세 가지 제시 형태가 있었다. 반면 CD-ROM 동영상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교과서는 6종에 불과하였다. 또한 여러 나라의 문화를 동시에 제시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등장 인물은 3학년 2종, 4학년 1종의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문화권의 인물을 제시하고 있었다. 교사, 학생 설문 결과와 3, 4학년 각 14종의 검인정 교재 결과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및 학생 설문 분석 결과 검인정 교과서에 제시된 문화 고정란이 문화 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사들과 학생 모두 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비해 문화 지도 자료, 교육과정, 교사 연수 등의 여건은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2008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문화 소재 중 ‘영어 문화권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방식에 관련된 내용’은 3, 4학년 교재 모두 언어적 의사소통 영역 내에서 특정 영역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경우 제시되지 않은 교재도 28종 중 6종이나 되었다. 셋째, ‘다양한 문화에 속한 사람들의 언어 및 문화 내용’은 3학년의 경우 검인정 14종 교재 모두 물질, 행동, 정신의 다양한 문화를 골고루 잘 반영하였으며 교과서 문화 고정란에도 다양한 국가적 배경의 문화를 골고루 소개하고 있었다. 4학년 교재의 경우도 비중의 편차가 다소 있긴 하였으나 물질, 행동, 정신문화를 국가별로 다양하게 동시에 제시하였다. 넷째, ‘우리 문화와 관련된 문화 내용’의 경우 3학년에서 4학년 교재로 갈수록 소재와 제시 빈도가 높아졌으며 문화 고정란이나 지도서 보다 대화문의 소재나 삽화로 제시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와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 교과서와 지도서가 문화 교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권의 내용을 의사소통 상황과 관련지어 학년성에 맞게 골고루 제시해야 하며, 우리 문화와 다른 나라 문화의 차이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단편적인 문화 지식만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재에 문화 내용을 포함한 구체적 활동과 부록도 함께 제시될 필요가 있다. 교과서 문화 고정란과 더불어 게임 활동이나 다양한 부록 자료가 제시된다면 영어 수업 시간 중 문화 지도 시간 확보도 가능하며 언어와 통합 지도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에는 문화 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목표만 언급되어 있을 뿐 교재의 활용, 구체적인 지도 방법, 평가에의 반영 등의 연계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문화 교육에 대한 성취 기준, 방법, 평가 등의 문화 교육에 대한 지침이 교육과정에 구체적으로 언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도입 시기가 얼마 되지 않은 3, 4학년 검인정 교재를 분석한 연구이므로 이를 활용한 실험 연구를 통해 문화 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2012년 3월부터 사용할 5, 6학년 검인정 교재의 문화 내용을 비교․분석하는 것도 의미있는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 일제 말기 이효석 소설 연구

        조성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효석이 일제 말기에 발표한 일본어로 쓴 작품을 중심으로 엿볼 수 있는 문학적 경향과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일제 말기라는 제한적인 창작 활동을 할 수밖에 없는 특수한 국내 정치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그 이전 시기와 같이 자유로운 문학활동은 보장되지 않았다. 일제 말기에 접어든 후 이효석에게 발견되는 변화는 일제의 국책 이데올로기로 말미암아 작품에서 보여준 문학적 경향의 변화이다. 조선어로 창작하면서 동시에 일본어로도 창작한 이중어 소설 작품의 경향을 본고에서는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일제의 내지인과 조선인의 대표적인 동화 정책인 ‘내선일체’ 정책 노선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었고, 두 번째는 ‘조선적인 것’에 대해 이효석의 심미적 취향을 엿볼 수 있었던 작품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세 번째는 당시 일제 정책과 관련한 ‘국민문학’과 관련된 이효석의 작품과 소설관을 언급하였다. 이효석의 전체적인 삶을 조망하였을 때 그의 문학 세계는 여러 가지 성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일제 말기 그의 문학적 경향을 비추어 보았을 때 ‘탈이데올로기’적 성향이 다분했다는 것과 제한적인 소재와 주제로 창작할 수밖에 없었던 시기에 이효석의 심미적 취향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의 심미적 취향은 일제 말기에 ‘조선적인 것’ 또는 ‘향토적인 것’과 맞물려 일제가 의도하고자 하였던 지배 담론을 역으로 뒤집어 놓는 효과를 만들기도 하였다. 또한 이효석의 ‘국민문학론’을 생각해 본다면 세계적 차원에서의 지방 문학으로서 조망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literary tendency and aspects in Lee Hyo-seok’s works which were written in Japanese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 writers under the special internal political circumstances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could not help writing with limited literary creation. Therefore It was clear that Lee Hyo-seok was not guaranteed the freedom of literary activities as of old. The literary changes discovered in Lee Hyo-seok since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was due to the ideology of the national policy by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his bilingual novels written both Korean and Japanese are as follows. First, the dissertation examined his works which included the policy of 'Japan and Korea are one', typical assimilation policy between Japanese people dwelling in Joseon and the people of Joseon. Second, the dissertation inspected closely Lee Hyo-seok's aesthetic tastes about the identity of Joseon, Third, the dissertation contained Lee Hyo-seok's viewpoint of novels in light of national literature which was connected to Japanese imperialism. Surveying Lee Hyo-seok's whole life, his literary world can be divided into several aspects. He tried to escape from ideology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distinct leaning toward aestheticism was shown greatly in his works with limited materials and subjects of that time. He mixed things Joseon with ‘local color’ using his aesthetic tastes in the last period of Japanese imperialism and overturned dominating discourse and obtained the desired results. And also the Lee Hyo-seok's theory of ‘national literature’ can be discussed as local literature as a world level.

      • 중년기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자기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로

        조성경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년기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자기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40~65세 이하의 기혼여성이며 총 321명의 설문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Baron & Kenny(1986) 의 매개분석법,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중년기 기혼여성의 배경변수에 따른 자기분화는 연령, 학력, 경제수준에 따라 대인관계적 자기분화에서 ‘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내적/대인관계적 자기분화에서는 ‘하’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배경변수에 따른 정서표현 양가성은 하위변인 자기방어적 양가성에서 연령, 학력, 경제수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한편 배경변수에 따른 결혼만족도는 모든 배경변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중년기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자기분화에 따른 정서표현 양가성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최종적으로 자기분화 하위요인인 대인관계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요인인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정체성과 가정의 안정감을 높이고 가정의 위기로 인한 불안감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건강한 가정과 올바른 부부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現代日本語敬語의 構造와 用法에 關한 硏究

        조성경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日本語의 敬語는 用法上에서 보면 장면에 따라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使用되고 있으며 法則性을 發見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品位있는 日本語를 구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흔히 日本語는 韓國語와 비슷하다는 固定觀念과 日本의 言語慣習을 도외시한 채 우리의 敬語規範을 日本語에 적용시키려 하여 혼돈을 일으키기가 쉽고 日本語 실력이 수준 이상에 달한 사람도 敬語使用에 있어서는 誤謬를 범하는 일이 가끔 있다. 日本人과 함께 생활하면서 日本의 言語慣習을 배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方法이겠으나 그렇지 못한 처지에 있는 우리로서는 日 本人의 意識構造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가장 賢明한 方法이라고 생각한다. 相對方의 마음을 기쁘게 해 주고 자기의 공손함을 표현해 주기 위해서는 고운말 바른말을 使用해야 할 것이다. 本論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敬語의 使用法과 諸問題를 열거해보았지만 현재 日本에서도 敬語使用法에 대해 敬語의 복잡성등 많은 問題点이 내포되어 있음을 認知하고 外國語를 배우는 우리는 좀더 敬語使用法에 대해 硏究하고 敬語를 바르게 使用하려는 태도를 가져 日本語學習에 임하는 올바른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이다. 또한 敬語法을 客觀的으로 확실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文獻資料를 접해야 하며 현지조사의 결과에 依存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원래 敬語의 問題는 단순한 言語上만의 問題가 아니고, 實生活에 있어서 作法과 一體를 이루는 것이기 때문에 이제부터의 敬語는 새로운 시대생활에 입각한 새로운 作法의 成長과 함께 알기 쉽고 明瞭한 새로운 敬語法으로서 健全한 發達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어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기로 한다. 앞으로의 敬語는 그 지나침을 자제하고, 誤用을 고쳐 될 수 있는한 알기 쉽고 明瞭하게 使用해야 할 것이며 또한 지금까지의 敬語는 주로 上下關係에 있어서 發達해 왔지만, 이제부터의 敬語늘 각자 基本的人格을 尊重하는 相互尊敬위에 있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女性言語로는 필요이상으로 敬語 또는 美化語가 많이 쓰여지고 있다. 이러한 特徵도 日本語 學習者로서 理解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 인식기반인자방법을 이용한 원자력시설 및 정책에 대한 수용행태 분석

        조성경 아주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원자력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원자력정책은 일반적으로 갈등과 저항 속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원자력시설이 본질적으로 위험을 속성으로, 비용과 편익의 불균형과 가치문화적 부담 즉 stigma 현상을 내재적 특성으로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원자력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원자력정책은 구조적으로 분배의 불평등성과 이해관계의 복잡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정책결정은 DAD(decide-announce-defend) 결정방식을 선호해 왔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거버넌스(governance), 제3의 선택(The third choice) 등 점증하는 사회적 요구를 감안할 때, 이에 대한 수용성 (acceptability) 확보는 더 이상 조건이 아니라 기본전제라 하겠다. 이 논문은 원자력에 대한 각 주체(집행주체·매개주체·수행주체) 간의 인식 및 수용성 수준을 확인하고 그 영향요인의 분석을 통해 합의적 정책결정 빛 집행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원자력시설 및 정책에 대한 수용행태의 분석을 위해 수용성에 대한 영향요인을, 상호작용을 고려해 지식 및 신뢰 - 인식의 3차원 다단계 구조를 가진 네트워크 모형으로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원자력수용성의 구성 자원으로서 원자력에 대한 인식(perception) -원자력 필요성, 기대편익 및 기대비용, 위헌통제가능성, 미래 세대와의 공평성, 체감위험수위- 에 초점을 맞추었다. 여기서 지식(knowledge)은 사실(fact)에 대한 이해차원에서 정보(공개성·일관성·타당성), 교육(접촉도·적합성·이해도), 홍보(효과도·적극성·반대홍보수준), 경험(피해·혜택·시설방문)으로 구성된다. 신뢰(trust)는 현실(reality)에 대한 가치판단 차원에서 정당성(선택의 합의성·결정의 투명성·추진의 시의성), 커뮤니케이션(메시지 명료성·채널의 다양성·쌍방향성), 보상(보상의 현실성·시기의 적절성·보상의 만족도) 참여(참여의지·절차의 합리성·참여영향력)수준을 상관인자로 선정하였다. 한편, 미디어(미디어 노출도·미디어 객관성·메시지 일관성)는 지식 및 신뢰 차원의 공통 인자로서 기능하도록 구현하고 있다. 개발된 모형을 이용해 우리나라 원자력시설 및 정책에 대한 수용성 행태분석을 시도하였다. 심증면접과 설문조사에 대한 입력제공자는 집행, 매개, 수용주체가 각각 균형을 유지하도록 표본수를 결정했다. 통계처리기법을 이용한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원자력에 대한 수용성은 물론 인식과 지식 그리고 신뢰수준 모두 각 주체(집행·매개·수용)간의 명확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각 요소들에 대한 집행주체와 수용주체간의 격차는 상당히 큰 것으로 밝혀졌다. 또 원자력수용성은 인식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지식과 신뢰는 인식 뿐 아니라 수용성에 대해서도 일정 수준 직접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원자력인식 중 체감위험수위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원자력인식에 대해서는 지식보다 신뢰가 더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원자력지식에 대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진 요인은 교육과 홍보이며, 각 세부요인들 간의 순위는 주체별로 차이가 있는 것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원자력 신뢰에 대해서는 정당성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보상과 참여가 그 뒤를 따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수용성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요구한다. 첫째, 수용주체의 원자력에 대한 이해부족은 집행 및 매개주체를 포함한 각 주체의 이해부족 및 오해와 지식·신뢰·인식격차의 차원에서 재고되어야 한다. 수용주체의 이기적 NIMBY 현상보다는 각 이해집단의 DOMA(Defend Only My Area) 현상 즉 폐쇄성에 대해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또 신뢰 결핍의 문제는 전문가보다는 정부와 기판 즉 집행주체에 대해 재조명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원자력의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해선 각 영향요인에 대한 시스템적 관리가 이루어져 한다. 또 각 주체 및 세부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식 정책이 바람직하다. 지식·신뢰·인식·수용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연구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원자력시설 및 정책 수용성 논의는 더 이상 정부와 원자력계의 정형화된 틀 속에 머물러선 안 될 것이다. 현존하는 인식격차와 DOMA 현상의 해소는 열린 자세와 창의적 사고 그리고 현실적인 접근을 통한 합의적 방향 모색이 관건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핵확산, 방사성폐기물, 환경오염 등 원자력의 본질적 위험속성을 획기적으로 개선 또는 완화할 수 원자력기술 개발이 기초가 되어야 할 것이다 Making decisions and implementations of the nuclear policies associated with nuclear installations have so often been struggling along with conflicts and resistances. It is owing to that risks are regarded as the fundamental attribute of the nuclear facilities and technologies. And they have also revealed inherent attributes of the imbalance between cost and benefit, and of the burden on cultural value, so called 'stigma'. Under the circumstance, the inequality-in-distribution and mutually-interwoven-concerns among interest groups become important issues in aspect of the socioeconomic structure. Nevertheless, most of decision-making processes experienced for the nuclear policies have been accustomed to the DAD (decide-announce-defend) approach. Today, as demand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vernance, and the third choice get grow, for nuclear facilities and policies areas it should not be exceptional. This means that the social acceptability of the nuclear matters is no longer a condition but rather a basic prerequisite.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intension of investigating the measure of perception and acceptability for each group (executor mediator - acceptant) and, based upon its outcomes, of deriving desirable policy directions associated with decision and action. This study categorizes the attribute indices that affect the acceptability into a multi-phase network structure of the knowledge, trust, and perception dimensions in order to analyze the acceptability behavior responding to nuclear facilities and policies, and develops a correlation. network model to define the mutual reaction between each indices. The perception dimension of the nuclear acceptability model is composed of indices of; needs for nuclear energy; expected costs and benefits: ranges of risk management; equal opportunities for future generations; and levels of risk sentiment. Also, considering fact-understanding prospects. the knowledge dimension is built with indices of information (openness consistency - validity), education (level of contact - adequacy - level of understanding), PR (level of effectiveness - engagement - level of PR from opponents), and experience (damage benefit - visits to facilities). And, in view of judging the reality value, the indices of the tm,t dimencinn ark ir_ientifi_ari to i�ctifiahilit,;f~~nS~nS;:S - tra: Sr.^8:a?nc.c", ?.. .. .. iiio.. choic?e decision-making - timeliness of implementation), communication (clarity of message diversity of channel - level of two-way communication), compensation (realistic approach in compensation - adequateness in time - satisfaction in compensation), and participation (willingness to participation - reasonableness in procedure level of influence in participation). Meanwhile, media (level of media exposure media objectiveness consistency in the message) is introduced to have a function of the common index for both knowledge and trust dimensions. For this study,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analysing the acceptability behavior for the national policies on domestic nuclear facilities. Input data for the model were prepared through a questionnaire via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among the executor, mediator, and acceptant groups whose individuals had been sampled to avoid too much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a specific group's opinion. Following steps of statistical processing, a conclusion derived was that there exis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s view (executor - mediator - acceptant) not only on the acceptability of the nuclear but also on the perception, knowledge and trust. This type of gap was particularly recognized between the executor and acceptant groups. It also could be said that the perception induced impacts on the acceptability of the nuclear, meanwhile the knowledge and trust promoted an indirect impact on it through perception, as well as a certain level of direct impact. Most of all, the risk sentiment level was ranked to the highest for the nuclear perception. And compared to the knowledge, the trust appeared to have stronger influence on nuclear perception. It was also found that in general, the indices with the greatest impact on the knowledge were the education and publicity, but their importance in ranks varied group by group. The justifiability index showed the greatest impact on the trust, followed by the compensation and engagement. The above mentioned, recognized as the major causes of difficulties that nuclear policies have faces with, indicate that approaching to the nuclear acceptability with different directions could be worthwhile. Firstly, the degree in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nuclear for the acceptant group should not be directly compared with that for the executor and mediator groups, but should be integrally evaluated with indices of the knowledge and trust dimensions, that improves its credibility by incorporating uncertainties in group-wise misunderstanding levels. Another important finding of the analysis is that the dominating attitude for the nuclear acceptability was a DOMA (Defend Only My Area) phenomenon, defined as the measure of closeness for each interest groups, rather than a NIMBY phenomenon. Therefore, the weakness in trust for nuclear policies should be reviewed from the executors' view points, not from the nuclear specialists'. Secondly, in order to secure social acceptability for nuclear, it is necessary to use a systematic management for each impacting indices. There also need tailored policies, based upon recognition of perception gaps existing between each groups and their subgroups. As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knowledge - trust - perception - acceptability used to continuously evolve with social environment change, steady supports for monitoring and evaluation studies should be essential. Discussions on the acl-eptahility of nuclear facilities and policies must not be Confined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conventional framework of government nuclear-related field talks. It is most important to seek consensus through openness, creative thinking, and ,_ __oumm t:s*:,. approach, a t, iF wc arc m ... resolve 1. ? tins h.. existing a DV1v7 r?1-1 phenomenon. perception gap and (1V111e11011. But most importa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efforts to remove or reduce the safety, proliferation, radioactive wast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should not be stopped.

      • Quercetin의 급여가 산양의 사료이용성,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조성경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실험은 quercetin 의 급여가 우리나라 재래 산양의 사료이용성, 혈액 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공시동물로 체중 15 kg 정도의 우리나라 재래산양 16두(2처리 8반복)를 공시하여 TMR 사료에 quercetin을 0 및 200 ppm씩 첨가하여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로서, 재래산양의 사료섭취량, 음수량, 배뇨량 및 배분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건물 소화율, 조지방, NDF 및 ADF의 소화율도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조단백질의 소화율은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은 결과였다. 그리고 반추위액의 pH는 처리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otal VFA, 프로피온산 및 낙산의 농도는 첨가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초산, 이소 낙산, 이소 발레린산 및 발레린산은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P비는 첨가구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ALT ․ AST ․ Creatinine ․ BUN· BUN/creatinine ․ Albumin ․ γ-GT ․ Ca ․ Pi의 농도는 quercetin 첨가에 따른 유의한 영향을 관찰할 수 없었다. 재래산양육의 pH, 보수력 및 총페놀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ABTS+ radical 소거 능력은 첨가구가 무첨구에 비하여 도축 후 0시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어졌다. 산양육의 주요 지방산 함량에는 처리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에서는 quercetin을 섭취한 산양의 육에서 색과, 조직감과 전반적인 부분의 선호도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조단백질 소화율, 반추위 발효성상 및 관능검사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지만 육질 평가에 있어 pH, 보수력, 전자공여능, 지방산패도 및 지방산 조성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재래산양육의 ABTS 환원력이나 관능적 특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quercetin 급여가 육질 향상에 효과적일 수 있는 가능성은 제시되었다. 따라서 추후 quercetin 급여가 육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quercetin on feed utilization, blood parameters, and meat quality of Korean native goats. Totally sixteen Korean native goats were employed in the experiment with eight replicates per treatment. One group was fed quercetin at 200 ppm level and the other group was fed none as control. Dietary inclusion of quercetin did not affect feed intake, water intake, urine excretion, and feces elimination.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crude fat, NDF, and ADF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ut crude protein digestibility was increased by dietary inclusion of qurecetin. Quercetin increased total VFA, propionate, and butyrate significantly. But pH, acetate, iso-butyrate, iso-valerate, and valerate contents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A/P ratio of the quercetin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added control. ALT, AST, Creatinine, BUN, BUN/creatinine, Albumin, γ-GT, Ca, Pi in blood and pH, water holding capacity, and total phenol content in meat of Koran native goat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dietary inclusion of quercetin. However, ABTS+ reducing activity of the muscle from goat fed quercetin was higher than that of non-added control at 0 day of storage. Dietrary quercetin did not affec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BARS value ,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significantly. Sensory analysis revealed that muscle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meat from goat fed quercet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addition. In conclusion, the dietary inclusion of quercetin resulted in the increase in digestibilty of crude protein, ruminal parameters, meat color, and meat texture, and did not affect pH, water holding capacit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BARS value of back muscle, and fatty acid contents significantly.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quercetin in feed increased ABTS+ reducing activity and sensory quality of meat, indicating that some beneficial effect on enhancement of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