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청각적 작업기억 과제 수행능력과 언어능력의 관계

        조경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고심도의 감각신경성 난청 또는 농으로 듣기 경험이 박탈된 청각장애 아동들에게 효과적인 재활방법으로 인정받는 방법 중 하나가 인공와우 이식이다. 인공와우이식을 통해 청각장애 아동들은 청각적 보상이 이뤄지고, 이로 인해 얻는 큰 이점 중 하나가 바로 ‘말과 언어능력의 향상’이다. 하지만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아동 모두에게서 말과 언어능력의 향상이 나타나지는 않으며, 이들의 언어능력에는 개인차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개인적 편차에 대한 원인이 주로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의 인구통계학적인 요인으로 설명되어 왔다. 즉, 이들이 인공와우이식을 받은 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난청 원인, 청력 손실 정도, 잔존 청력 등이 그 원인으로 주목받아 왔으나 이러한 요인들로는 이들의 개인적 편차를 모두 설명하기 어렵다. 최근 연구에서는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이 수술 후 보이는 개인적 편차에 대한 원인으로 작업기억과 같은 인지적인 요인들이 주목받고 있다. 작업기억은 이해, 학습, 추론, 문제해결 등의 복잡한 인지기능을 수행하는 동안 필요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조작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작업공간으로, 언어능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인지 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작업기억은 기본적인 감각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호의존적이고 통합적으로 발달되는데,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은 초기 청각 경험이 박탈되어 건청 또래 아동과는 상이한 작업기억 능력을 갖게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보고이나 실험 대상이나 과제의 종류마다 다른 결과들이 제시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술의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진 조건을 갖춘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에게 다양한 작업기억 과제를 실시해 건청 또래 아동들과의 수행력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들의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의 언어 및 작업기억 능력의 평가 및 중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은 (1) 작업기억 과제(숫자 따라말하기, 비단어 따라말하기, 문장폭기억과제) 수행력에서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과 건청 아동 집단 간 수행력 차이를 비교하고 (2)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언어능력(수용․표현어휘력 및 구문의미이해력)과 다양한 변인(작업기억 과제 수행력 및 인공와우이식 관련 변인) 간 유의한 상관이 있는지 확인하고 (3)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언어능력을 예측해주는 변인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반 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학교 1학년~3학년의 인공와우이식 아동 17명,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건청 아동 17명, 총 34명의 아동이었다. 인공와우이식 아동에게 세 가지의 작업기억 과제(숫자 따라말하기, 비단어 따라말하기, 문장폭기억과제), 두 가지의 언어과제(수용․표현어휘력 검사(REVT), 구문의미이해력검사), 동작성지능검사(K-WISC-Ⅲ), 단음절단어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건청 아동에게는 단음절단어검사를 제외한 모든 검사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두 집단 간 작업기억 과제에 대한 수행력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및 이원혼합분산분석(Two-way mixed ANOVA)을 실시하였고,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의 언어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변인을 찾고자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의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은 모든 작업기억 과제에서 건청 아동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수용어휘력은 문장폭기억과제의 단어회상 과제, 생활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문장폭기억과제의 정오판단 과제, 숫자 거꾸로 따라말하기 과제와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며, 표현어휘력은 비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제외한 모든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구문의미이해력은 생활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문장폭기억과제의 단어회상 과제와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공와우이식 아동 집단의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변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들의 수용어휘력은 문장폭기억과제의 단어회상 과제 수행력이 가장 큰 예측력을 보였으며, 문장폭기억과제의 단어회상 과제와 생활연령이 함께 예측할 때 더 큰 예측력을 보였다. 표현어휘력은 인공와우 사용기간이 가장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인공와우 사용기간과 문장폭기억과제의 단어회상 과제가 함께 예측할 때 더 큰 예측력이 나타났다. 구문의미이해력은 생활연령이 가장 큰 예측력을 보였고, 생활연령과 문장폭기억과제의 단어회상 과제가 함께 이들의 구문의미이해력을 더 강력하게 예측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비교적 수술 후 예후가 좋은 조건을 가진 인공와우이식 아동들도 건청 또래 아동들에 비해 취약한 작업기억 발달을 보였으며, 이를 통해 청각 경험이 작업기억과 같은 순차적인 처리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의 언어능력은 인공와우이식 관련 변인 및 작업기억 과제 수행력과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이고, 어느 하나의 변인으로 언어능력을 예측할 때 보다 두 요인으로 함께 예측할 때 설명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변인 모두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의 언어능력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이므로 난청 아동들을 조기에 선별하고 중재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 때 언어 뿐만 아니라 작업기억과 같은 인지적인 측면에도 초점을 맞춰 평가․중재해야 성공적 언어재활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인공와우이식 아동들의 작업기억 능력을 평가하고 중재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도구 및 중재방법을 고려한다면 임상적으로 더욱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have been conducted many researches on the various results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CIs) in terms of language outcomes and individual differences. Up to now, it has been reported that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of implantation, cause of hearing impairment, residual hearing and others are the cause, but it is difficult to explain existing variation only with those factors. Among recent researches, cognitive factors such as working memory are being noticed as a cause of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CI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formance of various working memory tasks in CIs and children with normal hearing peer(NH). Then find out the predictors of language outcomes in CIs. The proposes of this study were : (1) to compare performance of two groups; a group of CIs and a group of NH, in working memory tasks such as digit span, nonword repetition, and Competing Language Processing Task(CLPT), (2)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performance and related variables (working memory task performance, chronological age, duration of implantation, age of implantation) (3) to find predictors of language outcomes of CIs. For these purposes, 17 children with CI aged from 6 years 10 months to 9 years 3months were included as an experimental group while 17 NH children as a control group. All children are individually participated in 3 working memory tasks(digit span, nonword repetition and CLPT), 2 linguistic tasks(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and Korea Oral Syntax Expression Comprehension Test(KOSECT)),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Ⅲ(K-WISC-III), and open-set monosyllabic word 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formance in working memory task between the two groups, One-way ANOVA and Two-way mixed ANOVA were conducted and to find factors predictors of language outcomes of CIs,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present study, This is as following. First, CIs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all working memory tasks than NH group. It indicates that CIs have deficits not only in working memory capacity but also in efficiently using processing resource in working memory. Second, receptive vocabulary of CIs is statistically correlated to word recall task of CLPT, chronological age, duration of CI, and accuracy on the True/False task of CLPT and digit backward recall. Expressive vocabulary is statistically correlated to all the factors except nonword repetition. Syntactic comprehension is correlated to chronological age, duration of implantation and word recall task of CLPT. Third, the predictor of receptive vocabulary of the CIs was performance in CLPT word recall task, and with word recall task and chronological age, it predicted more strong. Duration of implantation predicted expressive vocabulary, and when with word recall task of CLPT, it became more strong predictors. Among all the factors, chronological age predicted syntactic comprehension, and when with word recall task of CLPT, its power to predict is increased.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CIs showed poorer working memory compare to NH children. Through this, it is identified that hearing experience has significantly impact on sequence processing ability such as working memory. Also, language outcomes of CIs were correlated performance in working memory tasks and factors related to CI. And it turned out that a combination of two factors predicted more strong than using one factor. Such result indicates that both factors are strong predictors of language outcomes of CIs,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earl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A successful rehabilitation is possible only when it is with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cusing on not only linguistic but also cognitive areas such as working memory.

      • 공유오피스 임대료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조경은 건국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공유경제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공간을 공유하는 공유오피스의 등장으로 한국의 오피스 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위워크, 패스트파이브 등의 공유오피스 업체가 지난 5년간 급격한 성장을 이루면서, 기존에 단순히 사무공간 임대업을 하던 업체들도 공유오피스로 전환을 하였고, 대기업들도 자산 운용방법으로 공유오피스 시장 진출을 선택하고 있다. 소규모의 스타트업이나 1인 기업의 경우에는 적은 비용으로 쉽게 사무공간을 마련할 수 있고, 자유로운 분위기의 업무 환경 속에서 혁신을 기대하거나 다른 입주자와의 네트워킹 및 협업를 기대하고 공유오피스로 이전하는 사례도 생기고 있어 공유오피스의 성장은 지속될 것이다. 공유오피스는 업무공간 이외에 회의실, 카페테리아, 라운지, 휴게공간, 리셉션 등의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입주자 간의 네트워킹 및 협업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오피스와 달리 공유오피스가 가진 차별화된 특성이 공유오피스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오피스 건물의 특성을 입지특성, 권역특성, 건물등급, 건물특성으로 분류하고, 공유오피스의 특성을 업체특성, 운영특성, 호실특성으로 분류하여 각 변수들이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을 헤도닉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외에도 공유오피스의 등장 배경과 현황, 그리고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업체와 국내 업체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도심의 대형 오피스 빌딩의 공실률 해소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공유오피스는 세계 주요 도시의 공유오피스 점유율에 비하여 한국의 경우에는 아직 비중이 낮은 편이므로 여전히 성장잠재력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오피스의 임대료 결정요인 분석을 통하여, 공유오피스의 특성을 차별화하고 공유오피스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s the sharing economy spreads around the world, the emergence of a sharing office that shares spaces has caused many changes in the Korean office market. While shared office companies such as WeWork and FastFive have achieved rapid growth over the past five years, companies that simply leased workspaces have turned their business to shared offices, and large companies have chosen to enter the shared office market as an asset management method. In cases of small startups or single-person companies, it's easy for them to set up the workspace at a low cost. And there are cases they move into shared offices because they look forward to innovation in a free working-environment, or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with other tenants, which shows the growth of shared offices will continue. In addition to the workspaces, the shared office provides facilities such as conference rooms, cafeterias, lounges, resting rooms, receptions, and community spaces for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among tenant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differentiating characteristics of shared offices would effect on rent for shared office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office buildings were classified into location characteristics, regional characteristics, building grade and building characteristics,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offices are classified into company characteristics,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room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rent is analyzed using the Hedonic pricing model.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shared offices, and examples of growing global and domestic companies. As shared offices are draw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reducing the vacancy rate of large office buildings in the city center, Korea's share is still low compared to the share of shared offices in major cities in the world so Korea’s growth potential is still great. This study will enable a business to differentiate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offices and to be competitive in the shared office market.

      • 설명적 텍스트 읽기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이 읽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조경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55

        이 연구는 설명적 텍스트 읽기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와 주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금까지는 그림이나 삽화텍스트가 텍스트 이해와 기억을 촉진시키고 사전지식이 낮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Peeck(1993)과 Weidenmann(1989)는 서로 다른 표상을 통합하는 능력이 부족할 경우 삽화텍스트가 효과가 없음을 주장하고 있다. Mayer 와 Moreno(2000, 2004), Mayer 외(2004)는 개인화 메시지가 작동기억의 인지부하를 줄이고 학습자의 흥미를 증가시킴으로 유의미한 학습을 유도한다고 하였으며, Hibbing 와 Rankin-Erickson(2003)도 텍스트의 삽화나 시각적 이미지 형성 전략이 텍스트 이해를 촉진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화메시지와 심상 형성 전략에 활용된 개인화의 원리를 텍스트에 적용하여 개인화텍스트가 설명적 텍스트 읽기에서 읽기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Baddeley(1986, 2000)의 작동기억 이론에 의하면, 중앙집행 작동기억은 장기기억의 정보를 텍스트 정보와 연결하고 활성화된 정보 중에서 텍스트와 무관한 정보를 억제하고 조정하는 기능을 하고 언어적 작동기억과 시공간 작동기억도 읽기 이해 과정에 긴밀하게 작용하므로, 중앙집행 작동기억과 시공간 작동기억 상집단에게는 삽화텍스트가 효과적이고 중앙집행 작동기억과 언어적 작동기억 상집단에게는 개인화텍스트가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 연구의 독립변인은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이므로 1차 실험은 2(작동기억:상, 하)× 3(텍스트 유형:일반텍스트, 삽화텍스트, 개인화텍스트) 요인 설계로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인 읽기 이해도는 예비검사를 통해 텍스트 및 텍스트 이해 검사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한 후, 재인과 추론 문제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1차 실험 피험자는 14-15세의 중학교 2학년 5개반 127명이었으며,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6개의 집단으로 배치되었다. 자료분석은 사전지식을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사용하였는데, 1차 실험에서는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 간의 상호작용 효과와 텍스트 유형의 주효과는 없었고 작동기억에 따른 주효과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가 1차 실험에서 사용한 텍스트의 내용이 삽화나 개인화 유형에 따른 도움이 불필요할 만큼 쉽고 길이도 짧았던 것에 있다고 판단되어 이를 조정한 2차 실험을 실시하였다. 2차 실험은 텍스트 길이와 작동기억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관련된 내용의 다른 텍스트를 더 읽는 다중텍스트가 추가되어 2(작동기억:상, 하) × 4(텍스트 유형:일반텍스트, 삽화텍스트, 개인화텍스트, 다중텍스트) 요인 설계로 이루어졌다. 실험은 2학년 6개반 164명을 대상으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각각 8개의 집단에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2차 실험 결과 재인과제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나 추론과제에서는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고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른 주효과만 나타났다. 다중텍스트는 상호작용 효과를 보인 재인과제에서는 작동기억 상하 집단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중앙집행 작동기억과 언어적 작동기억 상집단 내에서 다중텍스트가 다른 나머지 텍스트들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추론과제에서도 작동기억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삽화텍스트나 개인화텍스트가 모든 집단에 효과적이라기보다는 중앙집행 작동기억 상집단에 효과적이고, 두 개의 연관된 텍스트를 읽는 다중텍스트에 텍스트 내용을 연결하고 통합하는 추론 활동의 부하가 더 작용하였을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따라서 읽기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삽화텍스트나 개인화텍스트를 활용하거나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측면에서 다중텍스트를 활용할 때에는 이러한 작동기억과 추론의 인지 부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사용된 추론과제가 텍스트 내 추론으로 제한되었던 만큼 보다 다양한 추론과제를 사용한다면 장기기억과 관련한 작동기억의 기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작동기억을 상․중․하 집단으로 나누어 후속 연구가 수행된다면 작동기억 하집단에서 더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우울진단을 위한 DAS검사와 CDI검사의 연계성 연구

        조경은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link between a DAS(Draw-A-Story) and C야(Children's-Depression-Inventory) to diagnose depression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how it could be effectively used in diagnosing children depression. This study was implemented by executing depression tests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s in 6 city starting from May, 2010 to April, 2011. In terms of measuring tools, two types (A type, B type) of DAS and CDI. Considering the time duration of each test, it took 30 minutes, 10 minutes each, to execute the test. Using respective test tools, we have looked into the depression level of the subjects and sub-leveled depression such as self-portrait and self-report. We hav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the above method and proces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the lower the sentiment score of DAS is, it is close to depression and the higher the total score of CDI is, it is close to depression. These two tes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this means the lower the DAS score is, the higher the CDI is. For the self-portrait and self-report that falls into the lower level of DAS and CDI, it shows negative correlation just as the depression score. Accordingly, these two tests have been found that it had high conformity in diagnosing depression and had correlation. Second, DAS and CDI has features of test and test. DAS shows the mental conflict that is projected from the picture of a child and from the information of pen pressure, special usage and emotions, you can figure out the level of energy spent in overcoming depression. CDI categorizes the level of depression in details and can show the depression score in various stages. That’s why it is self-complementary for diagnosing the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Due to the above research study, DAS and CDI which is used for diagnosing depression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s correlated and when they are self-complementary, it can be used as an efficient depression tool for diagnosing depression for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우울진단을 위하여 그림이야기검사(DAS:Draw-A-Story, 이하 DAS)와 아동우울검사(CDI:Children's-Depression -Inventory, 이하 CDI)의 연계성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아동우울 진단에 더욱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진행은 2010년 5월을 시작으로 2011년 4월까지 6개의 시에 각 초등학교를 무선표집 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우울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DAS(A형, B형)와 CDI 이다. 각 검사의 시간은 개인차가 있긴 하지만 약10분씩 총 30분 동안 실시하였다. 각각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대상의 우울을 나타내는 우울정도, 우울에 대한 하위영역인 자기상과 자기보고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AS검사의 정서점수는 점수가 낮을수록 우울에 가깝다고 하였으며 CDI검사의 총 점수는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에 가깝다고 하였다. 이 두 가지 검사는 서로 부적상관을 보이며 이는 DAS점수가 낮을수록 CDI점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DAS검사와 CDI검사의 하위요인 중 자기상과 자기보고에 대한 하위영역에서 우울점수와 마찬가지로 서로 부적상관을 보인다. 이로써 이 두 가지 검사는 서로 우울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매우 높은 일치성을 가지고 있어 상관관계로서의 연계성이 있다. 둘째, DAS검사와와 CDI검사는 각각 주관화검사와 객관화검사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DAS검사는 아동의 그림에서 투사되는 내적 갈등의 내용이 나타나고 필압이나 공간사용, 정서내용에 대한 정보를 알고 우울극복에 대한 에너지 정도를 알 수 있다. CDI검사는 우울의 주요요인의 내용을 세부적으로 알 수 있고 우울점수를 좀 더 여러 단계로 나누어 대상을 분류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우울진단을 위하여 서로 상호보완적인 검사가 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 초등학교 고학년의 우울진단을 위한 DAS검사와 CDI검사는 연계성이 있으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사용되어 질 때에 초등학교 고학년의 우울진단을 위한 효과적인 우울검사로서 쓰일 수 있다.

      • 작문매체와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이 작문의 길이와 질,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경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작문매체와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이 작문의 길이와 질, 그리고 작문에 대한 태도와 그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광주에 있는 U중학교 3학년 남학생 80명으로 사전에 메타인지 검사를 실시, 상·하위로 구분하고 워드집단과 지필 집단으로 각각 무선배치 하여 2×2 요인설계를 하였다. 그리고 각각 45분을 주어서 작문을 하고 다시 일주일 후, 사후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얻어진 자료는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변량분석(ANOVA)과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으며, 유의수준 .05수준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문 매체에 따라 작문의 길이와 질에 차이가 있었다. 즉, 워드를 사용한 집단의 작문의 길이가 길고 작문의 질이 더 좋았다. 둘째,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작문의 길이와 질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메타인지 상위 집단의 작문의 길이가 더 길었고 작문의 질이 더 좋았다. 셋째, 작문 매체와 메타인지 수준에 따른 작문의 태도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작문 매체와 메타인지 수준에 따른 작문의 길이와 질, 태도의 상호작용 효과 역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워드 집단 내에서 메타인지가 높은 집단의 작문의 길이가 더 길고 작문의 질이 더 좋았다. 그리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작문 매체와 메타인지 수준은 작문의 길이와 질에 영향을 준다는 것과, 작문의 태도 및 매체와 메타인지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는 다양한 실험 설계와 충분한 시간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한 작문 기회의 확대 등과 더불어 다시 논의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a and metacognition and their interactive effects on writing quantity, quality,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 writing. Eighty male student were selected from third grades at U middle school in Kwangju city. The research design was 2 x 2 factorial design with four groups by levels of metacognition and writing media. On the basis of metacognition test scor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high vs. low), and these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word-processor writing group and hand-writing group, forming four groups in total. After pretest of writing attitudes, each group were given 45 minutes writing time and took the posttest of writing attitudes after a week. ANOVA and ANCOVA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significance level, alpha was set at a .05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word-processing group was superior to the hand writing group in writing quantity and quality. Second, the high-metacognition group was superior to the low metacognition group in writing quantity and quality. Third, writing media and metacognition didn't have a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attitudes. Fourth,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writing media and the levels of prior metacognition on writing quantity, quality and students' attitudes. Last, in the word-processing group, high metacognition subjects received higher scores than low metacognition subjec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writing media and metacogni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writing quantity and quality, and that we must rethink experimental design and that we have enough writing time and writing opportunity with word-processor.

      • 『광장』의 주제 탐색 지도 방안

        조경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소설 읽기의 최종 단계인 ‘주제 탐색’의 문학 교육적 방법을 고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7차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서 수록 빈도가 가장 높은 최인훈의 광장을 대상으로, 고안한 방법이 이 작품의 주제 탐색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고안한 방법대로 절차를 수행하였다.본 논문의 연구를 위해 필자는 주제 개념을 먼저 검토하였다, 최근의 독자 중심 반응 이론에 입각한 주제는, 독자가 구성하는 것으로 독자의 적극적 개입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제란 결과보다 그것을 탐색하고 구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독자가 형성하는 총체적 의미이다.본 논문은 독자 반응 중심의 주제 개념을 받아들여 이를 주장한 김태기 ․ 이강엽 ․ 임경순 ․ 최시한이 제시한 주제 탐색 방법의 공통성을 추출한 결과를 토대로 광장의 주제 탐색에 필요한 방법을 고안하였다. 학습자들이 사건 요소를 중심으로, 소설 속에서 관찰하는 사건을 나열한 뒤 이것을 자연적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재배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작품의 미적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연속되거나 되풀이되는 사건을 파악하여 중심 줄기를 잡게 한다. 나아가 학습자는 사건의 묶음을 만들어 각 묶음을 표현하는 대표 단어나 어구로 이를 표현하면서 학습자는 텍스트의 의미를 구성한다. 스스로 구성한 주제를, 개별 작품을 넘어 인간과 세계에 적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으로 만들려면 작품을 넘어 사건체와 인물의 모습을 작품 밖으로 꺼내 토의를 통하여 의미를 확대한다.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광장을 수록하고 있는 문학 교과서 5종(교학사 ․ 금성 ․ 디딤돌 ․ 천재 ․ 한교)의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학습활동은 문학 교과의 교수-학습 목표와 내용, 구체적인 교수의 방법을 집약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제재의 내용을 학습 목표에 맞는 질의를 수록하여 학습자들이 학습 목표와 내용을 내면화하도록 돕는 가장 중요한 교과서 요소이기 때문이다.분석 결과, 분석 결과 5종의 문학 교과서 학습활동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첫째, 장편소설이라는 특성상 교과서에 분량 전체가 수록될 수 없다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학습자들의 사고 수준을 반영하지 않고 문제를 배열했다. 이에 구체적인 질문 단계에서 작품이 의미가 무엇인지 말하라거나, 자신에게 주는 감동을 서술하라고 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문의 일부 내용을 근거로 작품 전체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을 강요하거나 잘못된 소설 읽기 방식을 전제하고 있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활동 자체에만 매몰될 수 있는 창작 학습의 문제들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듣기 ․ 말하기 ․ 읽기 ․ 쓰기의 언어활동과, 작품 감상을 연계하며 주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적한 학습활동의 문제들을 수정 ․ 보완하였다.4장에서는 학습자 반응 중심의 문학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한 경규진과 이희정의 연구를 토대로 작가-작품-독자의 상호 교류가 가능한 토의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습 도중의 명백한 오류마저 독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교사의 역할을 강화하여 질문을 촉진하고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 교류를 독려하도록 하였다. 이 때 교사는 3장에서 수정 ․ 보완한 학습활동은 물론, 교과서 자체를 보완하는 프로그램을 적극 도입해 학습자들의 흥미를 최대한 돋울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는 광장의 주제 탐색 수업을 통해 작품을 숙독하면서 음미하는 개인적 과정 외에도 자신의 반응을 확대하는 공적인 체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주제 개념이 고정적이지 않고, 소설 읽기의 방법이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제각각이라는 이유로, 주제 탐색의 방법이 제대로 제시되지 못하는 교육 현실을 생각할 때, 학습자들의 일반적 사고 수준을 반영하여 줄거리 잡기부터 의미 구성까지의 단계를 설정해 본 것은 소설 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에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이것으로 실제 주제 탐색을 했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교수-학습 상황의 변인을 고려하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겠다. This paper is to devise the educational method of 'exploring main topic' as the last step for novel reading. I put Gwang-jang, one of Choi, In-hoon's novels included in the 7th curriculum literature textbook with high frequency, at the center of this study, and followed the procedures of how much this novel contributes to exploring main topic.I examined the concept of main topic for this paper study at first. The main topic, which is based on the recent reader-centered response theory, is formed by the intervention of active readers. Therefore the main topic is the gross concept that readers construct the process which explores and forms it rather than the consequence.This paper devised the method needed for exploring main topic of Gwang-jang, based on the consequence which extracts the commonness of exploring main topic that was suggested by Kim, Tae-ki ․ Lee, Gang-yeob ․ Im, Gyeong-sun ․ Choi, Shi-han who had accepted the main topic concept of reader-centered response. After learners read a novel, they arrange the events observed in the novel, focusing on the event factor that can be accepted easily, and rearrange this in the order occurred according to the natural time stream. And they grip the main stem, grasping the repetitive or successive event, to understand the aesthetic structure of the work. Furthermore learners construct the meaning of text, expressing the key word or phrase that show each event bundle they make. It is important to take out characters and event beyond a work to make the main topic universal to be able to apply to human beings and world.On the basis of this principle, I analyzed the learning activities of 5 literature textbooks which include Gwang-jang ; Gyo-Hak-Sa, Geum-S대ng, Di-dim-dol, Cheon-Jae, Han-Gyo. Learning activities is the part that integrates the concrete teaching method and teaching-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 of literature, for it is the most important textbook element to help internalize the learning purpose and content, including the questions suitable for learning purpose.After analyzing this, I found that these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have some problems.First, they have hardly shown efforts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we cannot embody all its content in the textbook. Also, they arranged the questions without revealing the thinking level of learners. There have some cases in the concrete question stage to ask learners to illustrate the touching part or comment what a work means to them. On the basis of some part of main text, they urge learners to accept the improper content that is not suitable for the whole work and suppose the wrong reading method. Finally, there are also problems in creative learning that can be buried in the activity in itself. I modified and compensated the problems of learning activities mentioned above to construct the main topic, connecting between appreciation for the work and language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In the chapter 4, I suggested the discussion-centered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that interaction can be possible among arthur and work and reader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Gyeong, Gyu-Jin and Lee, Hee-Jeong who projected the literary teaching-learning model of learner-centered response.And I encouraged questions and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reinforcing the role of teachers to correct the problems that can be reinforced while learning.This will supply a tense atmosphere to the literature class which can be likely to loose and provide teachers with the chance to observe the learning state of learners. Then in the chapter 3, introducing the supplementary program actively, teachers can encourage the interests of learners as well as modified learning activities. Learners can have public experiences that magnify their own response as well as the personal experiences that appreciate and peruse the work through the main topic exploration for Gwang-jang.I assume that setting the step from grasping main story to structuring meaning can have so much implication to the concrete method of novel teaching when we think that the concept of main topic is not fixed and the educational reality which the main topic exploration cannot be suggested because the way of reading novel is not same according to each learner's characters.However, I would also point out the limit of this study that teaching-learning situational variations can be occurred in the case of exploring the authentic topic.

      • 확률적 정규문법 추론에 근접 정보를 적용한 사람 몸 동작 인식

        조경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1855

        Human actions are expressive and meaningful body motions used in daily life as a means of communications. In the last several years there has been a tremendous growth in the amount of research on computer vision aimed at understanding human action and automatic action recognition systems using computer vision techniques may be useful in many application areas. This paper proposes a recognition scheme to analyze automatically nonverbal human communication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a human body action can be defined as a combination of multiple articulation movements which are build up from simpler sub-patterns, and that human actions to be recognized may be considered as a stochastically predictable sequence of states, we apply a mixed statistical-syntactic approach to recognition of action and we use additionally a mechanism to infer stochastic grammars. This approach deals with learning the production probabilities for a set of given grammars each of which represents a human action in our case. As inputs to learning and recognition of action we use a simple feature set : 3D world-coordinates representing the centers of the user's head, hands, elbows, and shoulders in the image sequence. These are obtained by STABIL++, which detects and tracks color markers automatically. We measure and quantize each human action in 3D world-coordinates, and make two sequences of 4-chain-code for x-y and z-y projection plane. Based on the fact that the neighbor information among articulations is an essential element to distinguish actions, we design a new stochastic inference procedure to apply the neighbor information of hands to the other articulations. Our proposed scheme achieved the recognition accuracy of 92.7%, which reveals 7.8% improvement over the case of the other general stochastic inference procedure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e use a method of inferring stochastic grammars to understand each human actions, where the inference was leaved as a further study for [Ina98] which used only stochastic grammars without inference for action recognition. As the result, autonomous learning from human action pattern of known classification was revealed as possible. Secondly, our proposed scheme is not only suitable for simple actions that are composed of single articulation movement, it is but also suitable for complex actions which are composed of several articulation movements. And, finally, we propose a new model applying neighbor information to recognition of nonverbal human communications and thereby we can achieve better recognition rate than that of other general stochastic inference procedures.

      • 특수교육의 무용교수 행동 사례분석

        조경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무용교수 행동이 특수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3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과 문헌자료를 통해 이루어 졌다. 수집된 자료는 이론에 근거한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은 무용교수행동과 특수교육의 특성으로 구분 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과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반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수 행동에서는 무용교수의 인식, 자질, 그리고 무용수업 환경으로 구분 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무용을 통한 특수교육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면서, 무용교수 행동 영역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고 수업환경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메모와 관찰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의 인식이 수업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최적의 수업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과 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수교육에 있어 무용수업의 효과는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교사들은 학생의 변화를 통해 수업의 효과를 더 가치 있게 느끼고 있었다. 또한 무용교사의 자질은 교수행동에 동기를 부여 하며 교사의 행동을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자세로 만들어 주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사로서의 삶이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일이라 지각하고 끊임없는 노력과 새로운 시도로 활발한 교사 행동을 보여 주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정보의 통로가 많아지면서 양적으로 더욱 많은 정보를 얻고 있었고 교수 행동을 하는데 있어 수업에서 얻은 경험을 메모하고 습관화 하는 태도를 매우 중요시 하였고 이러한 습관들이 교육성향이 되어 특수학생과 소통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육의 특성에서는 특수학생의 행동, 소통, 그리고 무용수업의 효과로 구분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학생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하였고 효율적인 수업을 위하여 특수학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학생의 교수행동 효과에서 무용수업의 영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특수교육에서 무용 수업이 학생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 영향과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는 특수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소통하여 보다 전문적으로 대처하며, 특수학생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관계는 유지 될 수 없으므로 연구 참여자들은 학생들을 관찰하고 감정을 관리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관계형성 및 유지가 중요하였고 그 역할 관계가 교육 활동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ance teaching actions upon special education in a multilateral and in-depth manner. For this,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a qualitative case study with thre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servi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examination and analyzed with the theory-based inductive categorical system. Case study was classified into dance teaching actions and special education characteristic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ance teaching action is classified into dance teaching recognition and quality and dance lesson environment. Study subjects make every effort for the dance-based special education steadily and are very active in taking note of and observing not only dance teaching actions but also dance lesson environment. They think teachers' recognition has to do with dance lesson and attach great importance to diverse lessons and environment for the appropriate effects of lessoning. Although the effect of dance lesson in special education is diverse according to students, teachers think changing of students will make the effect of lesson more valuable. In addition, they think the quality of dance teachers provides a motive to teaching actions and makes their behavior active and positive. Study subjects recognize the life of teacher is valuable and worthwhile and show an active teaching behavior with endless efforts and new attempts. They get much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information channels and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behavior of taking note of class experience and making it habitual. And they recognize such a habitual behavior will become an educational disposition and then will take root as a base of communication with exceptional students.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characteristic is classified into exceptional students' behavior, communication with them and the effects of dance lesson. Study participants think understanding of exceptional students' behavior occupies a very important place in special education and make every effort for an efficient lesson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with exceptional students. In addition, they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influence of dance lesson upon the effect of teaching actions for exceptional students.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understood th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function of dance lesson in special education for exceptional students. Teachers coped with the situation in an expert manner by means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exceptional students and communicating with them efficiently. Since not understanding exceptional students would make the relationship with them discontinue, study participants tried very hard in observing students and taking care of their feelings. Study findings show that this relationship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is importa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has an effective influence upon educational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