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럽공동체법과 회원국 국내법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창근 단국대학교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럽共同體는 제 2차대전 후, Monnet의 구상과 Schurnan의 설계를 기초로 하여 1951년의 파리條約과 1957년의 로마條約에 의하여 성립되었다. 그 후 새로운 會員國의 가입에 의하여 현재 12개 회원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65 년의 統合條約, 1986년의 單一유럽協定등에 의하여 계속 발전되어 오고 있다. 유럽共同體法의 淵源은 制定者가 누구인가에 따라 共同體設立條約, 副次的 共同體法, 法의 一般原則, 第3國과의 協定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유럽공동체법은 기존의 國際法이나 國內法과는 구별되는 獨自的인 法體系를 형성하고 있다. 유럽裁判所의 표현을 빌리자면 '하나의 새로운 法秩序' (a new legal order)이다. 유럽재판소의 확립된 判例에 의하면 共同體法은 會員國內에서 直接效力을 갖는다. 즉 공동체법은 직접 個人에게 權利를 부여하거나 義務를 부과할 수 있다. 共同體設立條約規定이 直接效力을 갖기 위해서는세가지 要作 즉, 명확성·무조건성·추가조치의 불필요성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직접효력을 가지는 공동체법규정이 그 내용에 있어서 회원국의 국내법과 일치하지 않아서 충돌이 발생한 경우에 共同體法規定이國內法規定에 항상 우선한다는 것이 유럽재판소 판례에 의하여 확립된 공동체법의 기본원칙이다. 위와 같은 유럽裁判所적 요구에 응하여, 각 會員國은 서로 다른 憲法狀況하에서도 공동체법의 직접효력과 우위를 보장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不文憲法國家인 英國에서는 議會制定法인 「유럽공동체법1972」를 통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議會主權의 原則과 관련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European Community was created by the Treaty of Paris and the Treaties of Rome, based on the plan of Jean Monnet and Ro-bert Schuman after the Second World War. By the accessions of new countries, there are now twelve Member States in the Comm-unity. And the Merger Treaty 6f 1965 and the Single European Act of 1986 are the important ones in the history of the Comm-unity. Community law comes from a number of sources : the Treaties, Community legislation, general principle of law and agreement with third countries. Community law is now recognized as a seperate legal system, distinct from both international law and the domestic law of the Member States. The European Court has, on numerous occasions, made clear that Community law is directly effective in the Member States: Community law can confer rights and impose obligations on 'in-dividuals, The provision must be clear and unambiguous, must be unconditional and must not be dependent on further action being taken by Community or national authorities. It is a basic rule of Community law that a directly effect-ive provision of Community law always prevails over a provision of national law. When a country joins the Community it is obliged to recon-cile its constitution with Community membership. In particular, it must -make provision for the application of Community law wi-thin its territory and for the supremacy of Community law over national law. In the United Kingdom, the European Communities Act 1972 was passed by Parliament to make provision for Britain's membership of the Community. But the problem has not been solved yet in relation to the doctrine of the Sovereignty of Parliament.

      • 환경친화 주거 개발을 위한 단지계획 사례 연구

        정창근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친화형 건축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커져 가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주택 및 주거단지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여러 환경친화 주택상품들이 등장하였으며 최근에는 급속히 확산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품화된 환경친화주택 및 주거단지의 계획요소들은 본래의 환경친화 목적에서 벗어나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우리나라의 주거단지 개발은 주택의 양적 공급과 한정된 토지의 개발이익을 최우선으로 함으로써 지역의 생태계나 단지의 자연특성을 충분히 살리지 못했고, 특히 아파트의 고층 고밀화는 도시의 과밀화를 심화시켜 여러 가지 생태학적 도시문제를 야기 시킴으로 환경친화적인 주거단지 개발의 당위성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각 건설업체들의 국내 주거단지 개발경향을 살펴보면 옥상녹화나, 투수성 포장, 외부환경 조성 등에 있어서 실현가능한 환경친화적인 계획요소들을 적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시공에 있어서 이런 가능한 부분들도 제대로 실현이 되지 못하고 단지 홍보용의 전시효과로만 그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환경친화적인 계획요소들의 적용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국내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개발동향을 중심으로 고찰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제까지의 연구상황은 사례분석을 통한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개념과 계획요소설정에 큰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환경친화도 평가와 정책 및 제도에도 그 영역이 넓혀지고 있다. 향후 국내의 실정에 맞는 실현방안모델의 개발과 기존 주거단지를 환경친화성이 높게 개선하는 방안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요구된다. 2) 주거환경의 환경친화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그린빌딩 시범인증'과 '주거환경 우수주택 시범인증제' 등의 환경친화 주거단지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환경친화 주거단지 인중제도를 실시함에 있어서 생태환경, 옥외환경 등의 디자인의 질과 관련된 평가항목은 정량적인 평가와 정성적인 평가가 병행될 수 있도록 정성적인 평가지표 개발이 요구되고, 유도정책으로서의 가시적인 incentive도 시급히 도입되어야만 할 것이다. 3) 국내의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개발은 아직 그 첫발을 내딛는 단계로서의 전반적인 한계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으며, 국내에도 성공적인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모델들이 만들어지고 그것들이 국내의 상황에 맞는 환경친화형 주거단지의 개념으로 정립되어 진다면 그 진행은 더욱 수월해질 것으로 보인다. 4) 환경친화형 주거단지개발을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부분의 고밀도개발과 연계해서 판단할 때, 주변자연조건과 연계해서 완벽한 그린네트워크, 생태이동통로, 소생태계를 조성하고 주차장대부분의 지하화 없이 충분한 녹지 면적을 확보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충분히 가능성 있는 요소들이 금융상의 지원과 함께 향후의 국내 주거단지개발에 충실히 반영된다면, 실현하기에 무리한 요소들이 완벽히 반영되지 못하더라도 에너지효율 면에서 오히려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고밀도의 개발요구에 부응하는 도심형 환경친화 주거단지의 실천은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While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ever increases. various environment-friendly housing commodities emerged recently in development of housing complexes in Korea, and such a trend expands rapidly. However, such commercialized environment-friendly housing plans seem to depart from their original goal. The development of housing complexes so far has focused on the quantity of housing supply and development of a limited land, neglecting the ecosystem of the region or the natural conditions of the site. In particular, the high-rise and highly-dense apartment housing complexes have served to increase the urban density or load, causing various ecological problems, far from being the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When we review each contractor's tendency to develop the housing complexes, we can find that they are just publicizing their pro-environmental programs, not implementing such feasible pro-environmental elements as green rooftop, sweeping view or green exterior. In this view, it may well be necessary to address the problems involving the gap between plan and its implementation and suggest their solu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Preceding case studies tended to focus on the concept and plan of environment-friendly housing complex, and recent studies tend to expand their scope of study into assessment, policies and systems of pro-environmental housing plans. In this regard, future studies are requested to develop more feasible pro-environmental housing models or innovate the existing complexes to be more environment-friendly. 2) Currently, in order to guarantee the pro-environmentality of the housing complex, such certification systems as 'green building model' or 'excellently pro-environmental model house' are being operated. However,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list whereby ecological environment and outdoor environment design quality can be evaluated, while tangible incentives should be urgently introduced. 3) The development of pro-environmental housing complexes seems to be at its infant stage in Korea. If a successful pro-environmental housing model can be developed to be established as suitable local model, its spread effects cannot be overlooked. 4) In most highly-dense housing development plans, we see to it that the green space cannot be realized without construction of a perfect green network linked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conditions, without due consideration of ecological path or smaller ecosystem and without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However, highly-dense but pro-environmental housing complex can never be unconceivable if it should be adequately financed, although all the ecological elements cannot be perfectly reflected on the project.

      • 거칠기係數(JRC)를 利用한 巖盤斜面의 限界平衡 解析

        정창근 昌原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암반 절리면의 거칠기계수를 이용하여 암반사면의 안전율 및 점착력과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서 암반사면 설계 시 기울기와 높이를 보다 쉽고, 간편하게 선정할 수 있도록 단위중량 22kN/㎥, 내부마찰각 30°, 사면기울기 1:03, 1:0.5, 1:0.7, 사면높이 10m, 15m, 20m, 25m, JCS 2000∼4000kN/㎡, JRC 1∼20, 사면과 절리면 사이각 20°를 적용하여 우기 시 조건으로 해석하였으며, 건기 시 및 기존 지반조사 보고서 결과와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안전율은 JRC가 커질수록 11.5%(평균)증가하고, 사면 높이가 높아질수록 감소한다. 안전율이 1.2일 때 사면기울기가 낮아질수록 JRC는 29.8%(평균) 감소하고, 사면 높이가 높아질수록 9.0%(평균) 증가한다. JRC는 사면 높이보다 기울기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점착력은 JRC가 증가할수록 컸으며, 안전율이 1.2일 때 점착력은 사면기울기가 낮아질수록 32.0%(평균) 감소하고, 사면 높이가 높아질수록 40.1%(평균) 증가한다. 점착력은 사면의 기울기보다 높이 변화에 다소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건기시 안전율은 우기시보다 22.1%(평균) 크게 나타났다. 한편 기존 지반조사 보고서 결과와 상관식을 비교한 결과 안전율 편차는 2.39%내외로 상관식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 of safety and cohesion of rock slope using the Joint Roughness Coefficient(JRC) of rock surface, and to make it easier to select the slope angle and height of rock slope design. The rock slope analysis conditions were as follows: Unit weight 22kN/㎥, angle of internal friction 30 °, slope angle 1:03, 1: 0.5, 1: 0.7, slope height 10.0m, 15.0m, 20.0m, 25.0m, JCS 2000, 2500, 3000, 3500, 4000t/㎡, JRC 1∼20, The results of the dry season and the existing ground survey report were compared and analyzed (case number: 2,40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The safety factor incr eases by 11.5%(Avg) as the JRC increases, and decreases as the slope height increases. When the safety factor is 1.2, JRC decreases by 29.8% (Avg) as the slope angle decreases, and increases by 9.0%(Avg) as the slope height increases. JRC was more affected by slope angle than slope height. Cohesion increases as JRC increases. When the safety factor is 1.2, the cohesion decreases by 32.0%(Avg) as the slope angle decreases and increases by 40.1%(Avg) as the slope height increases. Cohesion was more affected by slope height than slope angle. The safety factor during the dry season was 22.1%(Avg) higher than during the rainy season.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ground survey report, the safety factor showed a deviation of 2.39%, and the reliability of correlation was high.

      • 카드뮴이 흰쥐 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정창근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 적 : 흰쥐의 뇌에서 카드뮴의 신경독성 기전과 관련된 유전자들을 조사하여 카드뮴의 뇌신경독성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 실험동물은 카드뮴 폭로력이 없는 Sprague-Dawley 수컷 흰쥐(350±25g)를 25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카드뮴 투여량은 참고문헌과 No-Observed-Adverse-Effect-Level(NOAEL) 및 Lowest-observed-Adverse-Effect-Level(LOAEL)을 참고하여 cDNA array는 3.0 mg/kg B.W. 농도로 10일간, 카드뮴 농도별 유전자발현 분석은 0(대조군), 0.1, 0.3, 1.0 mg/kg B.W으로 10일간 투여하였다. 혈액과 뇌조직의 카드뮴 농도는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cDNA Array는 Atlas Rat 1.2 array Ⅱ와 Toxicology array 1.2(Clontech, Palo Alto, CA)를 사용하였다. 카드뮴 농도에 따른 유전자 발현은 Northern blot hybridiza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들 중 저농도의 카드뮴 투여군에서 유의한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보이는 일부 유전자는 뇌 전체에 대하여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여 발현분포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프로그램(version 8.1)을 사용하였다. 결 과 : 조사된 총 2,352개의 유전자들 중 Rat Toxicology array 1.2 kit에서 424개, 그리고 Atlas Rat 1.2 array Ⅱ kit에서 247개를 합하여 671개 유전자의 발현이 확인 되었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카드뮴 투여군에서 2배 이상의 유의한 차이를 보인 유전자는 Rat Toxicology array 1.2 kit에서 32개, Atlas Rat 1.2 array Ⅱ kit에서 31개를 합하여 63개 유전자였다. 이들 중 카드뮴 투여군에서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는 35개였고 감소된 유전자는 28개였다. 그리고 neural adhesion molecule F3, neuroligin2, neuroligin3, element DNA binding protein 1(CREBP1) 등 41개 유전자는 지금까지 카드뮴에 의한 흰쥐 뇌의 신경독성기전과의 관련성이 보고 되지 않은 유전자들이었다. 37개 유전자에 대하여 카드뮴 투여농도별 발현을 분석한 결과 0.1 mg/kg B.W/day 투여군에서 heat shock 27 kDa protein(HSP27), neurodegeneration-associated protein 1(Neurodap 1) 유전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되었으며, melatonin receptor la(Mella), Kinesin family member 3C(KIF3C), novel kinesin-related protein(KIFID)유전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리고 흰쥐 뇌에서 이 유전자들의 주요 발현부위는 기저핵을 비롯하여 해마, 피질, 선조체등이었다. 결 론 : 이 연구에서 최초로 확인된 카드뮴 대사와 관련된 37개의 유전자는 카드뮴의 뇌 신경독성 기전을 연구하는데 새로운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HSP27, Neurodap 1, Mella, KIF3C, KIFID 유전자는 카드뮴에 의한 뇌신경계 독성기전연구를 위한 표지유전자(gene-marker)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the gene expression profile in basal ganglia of cadmium exposed rat based on cDNA array analysis. Methods : For cDNA array analysis, Sprague-Dawley male rats(350±25g)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3.0 mg/kg./day of Cdcl_(2) (0.3 ml) for 10 days. For dose-related gene expression analysis rats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0.1, 0.3, 1.0 mg/kg/day of CdCl_(2). for 10 days. Control rats were injected with equal volume of saline. Cadmium concentration was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For cDNA array, RNA samples were extracted from basal ganglia and reverse-transcribed in the presence of [α^(32)P]-dATP. Membrane sets of the Atlas Rat 1.2 array Ⅱ and Toxicology array 1.2(Clontech, Palo Alto, CA) were hybridized with cDNA probe sets. RT-PCR was employed to validate the relative gene expression patterns obtained from the cDNA array. Northern blot and In situ hybridization methods were employed to assess the dose-related and site specific gene expression, respectively. Results : Among the 2352 cDNAs, 671 genes were detected in both array sets and 63 genes of 38 classes showed significant(more than two fold) changes in expression. Thirty five of these genes were up-regulated and twenty eight were down-regulated in the cadmium exposed group. The forty one genes including neural adhesion molecule F3, neuroligin2, neuroligin3, element DNA-binding proteinl and nuclear factor 1-Xl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related to the cadmium-induced neurotoxicity in the rat basal ganglia. According to the dose-related gene expression analysis, heat shock 27 KDa protein(HSP27), neurodegeneration-associated protein 1(Neurodap 1) genes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and melatonin receptor la(Mella), Kinesin family member 3C(KIF3D), novel kinesin-related protein(KIFID) genes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even in the low-dose of cadmium exposed group(0.1 mg/kg B.W/day). In situ hybridization data showed that numerous positive-signals of Mella, KIF3C, KIFID genes were localized to the basal ganglia, hippocampus, cortex and striatum. Conclusions : Forty one gene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admium-induced neurotoxicity in the rat basal ganglia and study of these genes can give some more useful informations about the cadmium-induced neurotoxicity. HSP27, Neurodapl, Mella, KIF3C and KIF1D genes may be useful as a gene marker for the study of the cadmium-induced neurotoxicity because these genes showed dramatic changes of mRNA levels in response to the low dose of cadmium exposure.

      •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시 보호책임(R2P) 적용 가능성 분석 : 기존 사례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정창근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s it possible to apply R2P in case of upheaval such as democratization happening to North Korea as it did in the Middle East?', 'If possible, can our government take the initiative to intervene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R2P in the event of a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through analyzing the existing case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R2P.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applicability of R2P and the reasonable counterplan and the R2P policy implic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in the event of the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through analyzing the emergence and the development process, the limitations and problem of the application of R2P, the for-against cases of the adoption of the UN resolution on R2P. Along with the principles proposed by ICISS, the international political relations of the corresponding country, governmental control, and the will to stay in power, the solidarity of the antigovernmental force, geographic and natural resources characteristics, and the national interests of the involved countr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pplication of R2P. In the case of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intervention, the basis of international law for a intervention let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2P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In addition, from a diplomatic point of view, it is essential to take the initiative on the North Korean issue and to establish a joint response system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having its roots on Korea-U.S. alliance. Domestically, it is vital to relieve the resistance toward North Korean people and to secure the military reaction capability. In conclusion, the state of a sudden change in North Korea is directly linked to the national security and national interests. In order to develop this critical situation into our opportunity, our government’s dominant intervention measure through a ‘ Responsibility to Protect’ should be devised. ‘북한에 중동 민주화 사태와 같은 급변사태가 발생할 경우 보호책임(R2P: responsibility to protect, 이하 R2P)의 적용이 가능한 것인가?’ 'R2P의 적용이 가능하다면 과연 우리 정부 주도의 북한 개입은 가능한 것인가?’ 2010년 중동의 작은 나라 튀니지에서 시작된 ‘아랍의 봄’은 중동 전역에 민주화의 열풍을 불러 일으켰다. 이즈음 리비아에 R2P가 적용되면서 북한에 대한 R2P 적용에 의문이 발생되었다. 북한의 독재자가 사망할 때마다 많은 연구 논문에서 북한의 급변사태를 예견하였고, 곧 급변사태가 발생할 듯이 분위기가 달아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 후 김정은 정권의 집권 4년차가 되는 현시점에서의 ‘급변사태’론은 다소 그 영향력을 잃어가고 있다. 과연 북한의 급변사태를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며, R2P 적용에 대한 논의는 불필요한 것인가! 이러한 의구심을 토대로 본 논문은 북한의 R2P 적용 가능성에 대해 기존 사례와 비교함으로써 R2P 적용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R2P의 등장배경과 발전과정, 적용의 한계와 문제점에 대해 연구하고, R2P 적용에 대한 UN 결의문이 채택된 사례(리비아, 코트디부아르)와 결의문 채택이 부결된 시리아에 대한 분석을 통해 R2P 적용에 대한 조건을 분석하며, 이를 토대로 북한의 R2P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향후 북한 급변사태 발생 시 R2P 적용을 위한 조건을 도출하며, 마지막으로 이를 위한 우리 정부의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R2P의 개념연구를 통한 문제점과 한계 식별, 사례연구를 통해 R2P 적용의 안보리 결의안이 채택된 리비아, 코트디부아르와 그렇지 못한 시리아에 대해 해당국가의 국내외 상황을 DIME 요소에 준하여 분석하고, 사태발생의 배경과 경과, R2P 적용 원칙에 대한 분석 결과, R2P의 적용(무력개입)은 개입과 국가주권에 관한 국제위원회(ICISS: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ntervention and state sovereignty, 이하 ICISS)가 제시한 무력사용의 원칙에 합당해야하며, 추가적으로 해당국가의 국제정치적 관계에 있어서 국제사회와의 고립여부, 정부통치 통제력과 정권유지 의지, 반정부 세력의 결속, 지리ㆍ자원적 측면에서 개입의 부담과 향후 개입국의 국익을 위한 발전 가능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도출하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현재의 북한에 대한 R2P 적용 가능여부를 분석한 결과 즉각적인 R2P 적용은 제한되었으나 사례연구간 분석된 요소를 통해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시 R2P 적용 가능한 조건을 도출하게 되었다. 결국,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시 R2P 적용과 우리 정부 주도의 개입을 위해서는 북한의 급변사태 발생 시 우리 정부 개입의 정당성 확보(끊임없는 북한과의 평화적인 통일 노력)와 급변사태 개입에 대한 국제법적 근거 확보, 평상시 국제사회의 R2P에 대한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 또한 주변국과의 실리 외교를 통해 북한 문제에 대한 주도권 확보와 공고한 한ㆍ미 동맹을 기반으로 주변국과 북한 급변사태에 대한 공동 대응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주변국의 무력개입을 방지하여 우리 정부 주도의 개입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 국가 내부적으로는 북한 주민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하고, 북한의 급변사태에 즉응할 수 있는 군사적인 대응능력(한국군 독자적으로 WMD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 포함)을 확보하는 것은 반드시 선결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북한 급변사태는 북한내부만의 문제가 아닌 우리의 국가 안보와 이익에 직결된 문제다. 북한의 급변사태라는 위기를 우리의 호기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보호책임’ 규범을 통한 우리 정부 주도의 개입 방안이 반드시 강구되어야만 한다.

      • 추천 네트워크에서의 수요효과 분석 연구

        정창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oduct recommendation network is a graph which visually exp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chased products at the same time. Online business companies such as Amazon, Netflix and YouTube have used the product recommendation network for the sake of increase in sales of products.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empirical test to investigate the demand effect of the product recommendation network. Recently, publication of professional books is increasing with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nduct empirical analysis of the attributes that affect the demand effect of recommendation network of professional books. Second, we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head books and tail books in the demand effect of the recommendation network of professional books. In Chapter 2, we has performed empirical analysis to investigate the network attributes and product attributes in the recommendation network of professional books that affect deman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ly,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have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of professional books. Secondly, closeness centrality has meaningful negative effect on the demand of professional books. Finally, the price and publication data have meaningful negative effect on the demand of professional books. In Chapter 3,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the demand effect of the recommendation network for head books and tail books of professional book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ly, in the recommendation network of professional books,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have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 of head books, and closeness centrality, price and publication date have negative demand effect. Secondly, in the recommendation network of professional books,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have positive demand effect on the demand of tail books, and closeness centrality and price have negative demand effect. Thirdly, compared to the degree centrality of tail books, the degree centrality of head books has positive effect on demand effect on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Fourthly, compared to the betweenness centrality of head books, the betweenness centrality of tail books has positive effect on demand effect on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Fifthly,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n demand effect between the closeness centrality of head books and that of tail books. Finally, there is no difference on statistically meaningful level in the influence on demand effect between the price of head books and that of tail books. From our experimental results and analysis, we derived the following 81 practical implications. Firstly, while degree centrality has positive effect on both head books and tail books, it has more effect on head books. Thus, it is necessary to display head book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 the most noticeable place in an offline shop and place them on the main page of an online bookstore. Secondly, while betweenness centrality has positive effect on both head books and tail books, it has more effect on tail books. Thus, it is necessary to recommend tail books with high betweenness centrality in order to boost demand for other books. Thirdly, as closeness centrality has negative effect on the demand of both head books and tail books, it is necessary to sell them in one package with other books in order to connect with other sub-networks. Fourthly, while price has negative effect on the demand of both head books and tail books, the influence of price on the demand of head books and tail books h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emand of highpriced head books and tail books by package sale. Finally, as publication date has negative effect on the demand of head books on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emand for the head books published long ago through package sale with newly published books or discount on the price 상품 추천 네트워크는 동시에 구매한 상품들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래프이다. 이러한 상품 추천 네트워크는 아마존, 넷플릭스, 유튜브 등 온라인 비즈니스 기업들이 상품 매출의 증대를 위해 추천 서비스 제공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추천 네트워크의 어떠한 속성이 수요효과에 영향을 주는지 실증 분석하였다.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문서적의 출판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문서적의 추천 네트워크의 어떠한 속성이 수요효과에 영향을 주는지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전문서적의 추천 네트워크의 수요효과에 헤드 서적과 테일 서적 대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전문서적에 대한 추천 네트워크에서 어떠한 네트워크 속성 및 제품 속성이 수요에 영향을 주는지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은 전문서적의 수요에 유의한 양(+)의 효과를 가진다. 둘째, 근접 중심성은 전문서적의 수요에 유의한 음(-)의 효과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가격 및 출판일은 전문서적의 수요에 유의한 음(-)의 효과를 가진다. 제3장에서는 전문서적의 헤드 서적과 테일 서적에 대한 추천 네트워크의 수요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서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서적의 추천 네트워크에서 헤드 서적의 수요에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은 양(+)의 수요효과를 미치며, 근접중심성, 가격 및 출간일은 음(-)의 수요효과를 미친다. 둘째, 전문서적의 추천 네트워크에서 테일 서적의 수요에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은 양(+)의 수요효과를 미치며, 근접중심성 및 가격은 음(-)의 수요효과를 미친다. 셋째, 헤드 서적에 대한 연결정도 중심성이 테일 서적의 연결정도 중심성보다 통계적 유의수준하에서 수요효과에 양(+)의 효과를 미친다. 넷째, 테일 서적에 대한 매개 중심성이 헤드 서적의 매개 중심성보다 통계적 유의수준하에서 수요효과에 양(+)의 효과를 더 미친다. 다섯째, 헤드 서적의 근접 중심성과 테일 서적의 근접 중심성은 수요 효과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다. 마지막으로, 헤드 서적의 가격이 테일 서적의 가격에 수요 효과에 대한 차이는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없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헤드 서적 및 테일 서적 모두 연결정도 중심성이 수요에 양(+)의 효과를 미치지만, 헤드 서적에 대해 좀 더 높은 영향을 미치므로, 연결중심성이 높은 헤드 서적을 오프라인 서점의 경우 매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장소에 진열할 필요가 있으며, 온라인 서점의 경우 메인 페이지에 배치할 필요가 있다. 둘째, 헤드 서적 및 테일 서적 모두 매개 중심성이 수요에 양(+)의 효과를 미치지만, 테일 서적에 대해 좀 더 높은 영향을 미치므로 매개 중심성이 높은 테일 서적을 추천 함으로써 타 서적에 대한 수요를 견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헤드 서적 및 테일 서적 모두 근접 중심성이 수요에 음(-)의 효과가 있으므로, 타 서적과의 묶음 판매를 통해 다른 하위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헤드 서적 및 테일 서적 모두 가격이 수요에 음(-)의 효과를 미치지만, 헤드 서적과 테일 서적에서 가격이 수요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다. 따라서 고가의 헤드 서적 및 테일 서적은 묶음 판매를 통해 수요를 증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발간일은 헤드 서적에만 수요에 음(-)의 효과를 미치므로, 발간된 지 오래된 헤드 서적은 신간과 묶음 판매, 또는 가격할인 등을 통해 수요를 증대할 필요가 있다.

      • 『더블린사람들』에 나타난 "마비"의 정치적 의미 연구

        정창근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Dubliners, James Joyce's first work, is composed of fifteen stories based upon Dublin life. Its central theme is paralysis of the Dublin society. Its structure is divided into four periods; childhood, adolescence, maturity and public life. Dubliners is a work, that is composed of the same scenery called the Dublin, the consistent structure of theme as a paralysis in the Dublin society, and the repetition of the image or symbol found everywhere in this book, rather than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with fifteen sto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paralysis in their growth period: childhood, adolescence, maturity and public life, and how the here to overcome the paralysis in "The Dead" as a synthesis. The three stories of children present paralysis which the sensitive and pure boys could not yet experience or understand. But they could not overcome the paralysis because of 'the restriction of circumstance' and 'the indefiniteness of perfect consciousness'. In the four stories of adolescence, we can find out the evidence for the start paralysis, but the characters can not escape the paralytic lives because of 'the deficiency of will'. In the four stories of maturity, we can find out the character's paralysis. And then, they cannot even conceive the idea of escape from paralysis and the will ends in simply a gesture. Finally they stay on routine lives. In the three stories of public life, we can find out the paralysis of political, cultural, and religious life. And in "The Dead" as an epilogue. Gabriel Conroy who finally breaks the wall of his pride and egotism and feels the mutual dependency of the living and the dead, comes to self-awareness. In the end, Joyce presents his country Ireland a center of paralysis in Dubliners. and then, he makes his characters who live death-in-life in the city, experience some severe paralysis and he, at the same time, emphasizes a spiritual deliverance of his country through his character's experiences of paralysis.

      • 성공적인 목회상담에 관한 연구

        정창근 삼육대학교 신학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회교역자가 크신 목사이신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도와 교회에서 작은 목자로서 행하는 모든 활동이 목회 할동인데, 그 본질은 하나님께서 힘없고 나약한 양의 모든 필요를 공급하고 위험에서 보호하고 돌보와 주시는 것처럼 낙심할 때는 기도를, 방황달 때는 바른 교훈과 가르침을 인도하는 것이다. 끊임없이 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사호적 부적응이나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고통중에 신음하는 사람들을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께로 인도하여 그들의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발견토록 돕는 일은 목회 현장에서 일어나는 상담의 중요한 역할이다. 즉 목회 상담은 내담자의 당면한 문제의 현실적인 해결 뿐만 아니라 나아가 그로 하여금 하나님의선한 뜻을 따르게 하고 모든 사고와 인생의 가치관, 인간관계, 성품의 개선 등의 변화를 가져와 궁극적으로 그의 삶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영혼 구원의 사명과 직접 연결되는 중요한 활동이다. 목회 상담의 방법에는 상담자가 적극적으로 내담자의 문제에 개입하여 그를 판단하고 독려하며, 명령, 훈계, 충고 등으로 내담자의 문제 해결을 직접 지시하는 지시적 상담이었고, 내담자 스스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상담자는 제3자적 입장에서 경청하고 유도함으로 내담자의 숨은 능력을 개발시키는 비시지석인 상담이 있다. 그리고 지시적 상담과 비지시적 상담의 장점을 혼합한 절충식 상담이 있고 아담스가 제창하여 가장 이상적인 목회 상담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되는 권면적 상담 방법이 있다. 권면적 상담은 성경적 상담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원친적으로 성경의 교훈에 입각하여 성경 말씀에 근거한 교훈과 권면으로 내담자의 당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주장이다. 이 때 상담 역할을 맡은 목회교역자는 단지 하나님과 내담자를 연결하는 매개일 뿐이며 매개체로서 올바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목회교역자는 끊임없이 인간에 대한 이해를 위해 연구하며 인격적, 신앙적으로 잘 무장되도록 자기 반성의 시간을 가지며 창의적인 자기 발견과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 형성을 위해 기도하고 성령의 도움을 간구해야 한다. 본 교단에서 수행되고 있는 목회 상담의 실태 조사를 위한 설문 연구에서도 목회교역자 95%가량이 목회 상담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신도들이 목회 상담을 원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43%가 도움을 받고 싶어서, 스스로 결정 능력이 부족하므로가 20% 가량이었으며 실지 상담 후의 효과에 대해서도 66%정도가 효과가 있었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상담자의 자질 부족으로 인해 상담을 원하지 않는다는 위견도 전체응답자의 42%나 되었고, 도움을 받지 못한다는 의견도 17%나 되었다. 목회교역자와 평신도 모두 성공적이고 효과적인 목회상담을 위해서는 먼저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신뢰성이 회복되어야 하고, 상담 내용에대한 비밀의 유지가 최우선 이라고 응답하였다. 그렇기 위해서는 목회교역자 스스로의 꾸준한 연구 및 자기 개발, 내담자의 성의 있고 솔직한 태도, 교단적인 차원에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반응했다. 목회 상담 현실에서 사모의 역할 강화 및 전문 상담가의 양성, 상담실의 설치 등을 지적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성경의 원칙에 입각하여 성령의 임재하에 이루어지는 목회 상담이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분명한 것은 본 교단 내 모든 목회교역자 및 평신도들이 일선목회 현장에서 목회 상담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었으나 현실적으로 이상적인 목회 상담을 위한 제반 조건은 아직 미약하고 불완전 하다는 점이다. 꾸준한 연구와 목회 교역자의 교육, 신도들의 목회 상담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정립 등이 요구되며, 성령의 도우심을 간절하게 간구해야 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목회 상담의 궁극적 목적이 연혼 구원이며 이것은 철저하게 성령의 사역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사실이다.

      • 장기별 중증질환 증상의 발현과 명리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 명리학적 장기별 질환 예측분석

        정창근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 최근 암환자 및 난치병의 증가로 중증질환 발생원인 규명과 치유방법도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어 대체의학 차원에서 입원환자의 수술 부위와 명리학적 오행과의 연관성을 비교하여 장기의 조화와 부조화를 분류하여 취약한 장기에 대한 균형을 보완 유지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시내 종합병원에 입원되어 있는 환자와 직접 상담한 환자 600명중 수술을 하였거나 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318명을 기준으로 하였다. 질환별로는 간장과 담계통 63명, 심장과 소장 계통 55명, 비장과 위장계통 67명, 폐와 대장계통 63명, 신장과 방광 계통 70명을 대상으로 하여 1997년 3월 1일부터 2002년 9월 30일까지 5년 6개월 동안 자료를 수집하고, 환자 각 개인의 타고난 생년, 생월, 생일, 생시를 가지고 오행의 태과(많음)와 불급(적음), 상생상극작용, 유년(매년도)의 상극성으로 오행의 강약과 장기의 중증질환을 분류하여 오행분포를 비교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 1. 간장과 담계통은 木氣가 불급(적음)하거나(33.3%), 원국에서 피상(被傷)되었을 때(65.1%), 유년에서 土, 金氣에 의해 상극되었을 때 (46%), 또는 木氣가 태과(많음)하거나(30.2%), 유년에서 水, 木, 火氣가 들어와 기신(忌神)이 되었을 때(54%), 간장과 담계통에 중증질환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심장과 소장계통은 火氣가 불급하거나(30.9%), 원국에서 피상 되었을때(65.5%), 유년에서 水, 金氣에 의한 상극이 되었을 때(71%), 또는 火氣가 태과하거나(34.6%), 유년에서 木, 火, 土氣가 들어와 기신이 되었을때(54.5%), 심장과 소장계통에 중증질환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비장과 위장계통은 土氣가 불급하거나(29.8%), 원국에서 피상되었을 때(88%), 유년에서 木, 水, 土氣에 의해 상극되었을 때(73%), 또는 土氣가 태과하거나(52.3%), 유년에서 火, 土, 金氣가 들어와 기신이 되었을 때(68.7%), 비장과 위장계통에 중증질환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4. 폐와 대장계통은 金氣가 불급하거나(34.9%) 원국에서 피상되었을 때(77.7%), 유년에서 火, 木氣에 의해 상극되었을 때(66.6%), 또는 金氣가 태과하거나(41.3%), 유년에서 土, 金, 水氣가 들어와 기신이 되었을 때(66.5%), 폐와 대장계통에 중증질환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신장과 방광계통은 水氣가 불급하거나(32.9%) 원국에서 피상되었을 때(44.3%), 유년에서 土, 火氣에 의해 상극되었을 때(64.3%), 또는 水氣가 태과하거나(30%), 유년에서 金, 水, 木氣가 들어와 기신이 되었을때(57.1%) 신장과 방광계통에 중증질환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명리학적인 음양오행과 장기의 중증질환 발현과의 관계에서 타고난 오행의 태과불급, 상생상극작용, 유년의 상극성과 기신에 의하여 오행의 부조화에 따라 장기의 중증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조화 되어있는 오행에 해당하는 장기에 대하여 중증질환을 예측하여 운동, 생약, 식이요법으로 사전에 보완 관리함으로서 건강을 유지 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