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 現代詩의 本體性 硏究 : 植民地 時代를 中心으로

        정재완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valuate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by examining the works of representative poets who wrote during the colonial period around 1920's and 30's, which is an important stag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On the assumption that in the history of poetry of a country the formative factor particular to its people should be balanced with the universal value factor, the author, on the one hand, studied romanticism and symbolism, the main subjective and artistic trends absorbed and developed in the modern Korean poetry at that time, and on the other hand searched for the meaning of the represenative poems of the poets who not only overcame the cruel and severe historical environment of the period by an independent and healthy poetic spirit but also transformed the spirit into the righteous universal spirit for realization of humanity. For this purpose he employed analytical criticism and cultural, archetypal criticism. In other words, the author attempts to clarify the identity of modern Korean poetry through an approach of dualistic oneness of form and cogni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The poetry of a certain period in a country is based on the trend of poetry. In Korea, modern poetry was influenced mainly by romanticism as was the case in the Western Europe. In order to analyze Korean romanticism ; the author studied Heuk Bang Bi Gok(The Sad Songs of the Black Chamber) by Park Jong-wha as a model and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main motif of Park’s romantic spirit, “secret chamber”, was too dark and dispirited in imagination to create the romantic self owing to several factors such as the loss of sovereign rights, cultural immaturity, and the crosscurrents of literary trends in that colonial period. But he succeeded to a certain degree in searching for romantic factors through his dark poetic imagination despite the hardships of the period and contributed to the settlement of romanticism in poetry as well as fostering the literary and philosophical maturity of the poetical circles at that time. 2) The symbolism absorbed and development in Korean poetry, compared to Western symbolism, which marked an end in the modern trends and provided the new vision for the contemporary poetry in Western Europe, was only a short-lived, decadent, sentimental abstract one in the first half of the 20’s, but it was transformed into a wide and continuous literary movement. Even though it was not such a necessary and extensive movement as the original one in Western Europe, it became essentially one more refined, deepened and fused with sentimental symbols and conceptions peculiar to the Korean people in and after 30’s. Finally it created the characteristic symbolism of Korean poetry. 3) In the analyzed poems, representing such poets as Lee Sang-wha, Lee Yuk-sa, Liew Chi-whan and Yan Dong-ju, the realities of the colonial period and the true aspects of human character arc successfully expressed with public, collective archetypes in a healthy and profound (not distorted or degenerated) poetic spirit, and the period was perceived as an age of continuity not chronologically dislocated from the former period. Consequently these poets of passion and insight versified the elements of the cultural spirit and C.G. Jung’s collective unconscious of individual self courage ously and uprightly in spiritual enthusiasm and wisdom. They characterized the Korean poetry of the period by introducing into it a creative vis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composed of the unity and continuity of Korean life. In conclusion, the identity of modern Korean poetry in the colonial period as a fusion of value and form consists of peculiarity (individuality, beauty, form) and the universality(eternity, meaning, value), which are realized as a whole in the poems of the above poets.

      • 일반계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정재완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은 누구나 인생을 설계하고,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만족스럽고 행복한 삶을 누리며 보람된 일을 추구하려는 욕망이 있다. 나아가 행복한 개인으로서 또한 생산적인 사회 성원으로서 사회에 봉사하고, 자아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기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고 그에 맞는 능력을 잘 가꾸어 나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 현장에서 올바른 진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진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진로 교육 실태에 관한 정확한 분석과 그에 따른 합리적인 개선방향의 제시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직업적 요인에 대해서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지역별, 성별, 학년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진로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은 전남지역의 고등학생들을 지역별, 성별, 학년별로 할당하여 임의표집된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재구성하여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유의도를법으로 검증하였다. 3. 결론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자신의 장래에 대해 대부분 낙관적인 생각을 가졌고, 고등학교 졸업 후 절대 다수가 대학에 진학하기를 원하였으며, 진학의 목적은 좋은 직업을 갖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진로 교육은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충분히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학생들의 선택 능력을 높여줄 교사들의 책임 있고 적극적인 진로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진로 선택에 있어서 계열 선택을 위한 학교의 진로지도 도움 정도가 낮게 나타났고, 진로 문제 의논 상대는 친구나 부모가 높게 나온 반면, 교사는 낮게 나온 것은 학생들의 요구에 학교가 능동적으로 부응하지 못하는 결과로 진로지도에 있어서 교사들의 적극성과 전문성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의 가치로서 부를 가장 많은 학생이 답한 것은 현실 속에서 경제적인 능력을 얼마나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가를 새삼 느끼게 한다. 또한 절반 이상의 학생이 진로 선택에 있어 부모 직업의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하여 부모 직업이 자녀 진로 선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직업의 필요성에 대해 자아실현을 위해서보다는 생계유지를 위해서라고 답한 학생이 다수를 차지한 것은 현실적인 취업상황을 얼마나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엿보게 한다. 직업의 귀천 여부에 있어서도 70%가 넘는 학생이 직업의 귀천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리 사회에 아직도 학력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때 학생들이 건전한 직업의식을 갖고 적성과 능력에 따라 올바른 진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진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1.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Anyone who plans his own life, and has a desire to lead a satisfactory and happy life and to pursue rewarding things during his lifetime. Furthermore, as a productive member of society as well as a happy individual, to serve community and to realize self-esteem, first of all, career choice in accordance with aptitude and ability according to the aptitude must be in harmony with each other. To have those abilities,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must be done in school and to do appropriate career education correct analysis for career education cases and accordingly suggestions for rational improvement are required. The purpose od this study is to supply fundamental data that are needed to find the effective ways of career education f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of career choice found between regions, genders, and grades 2. The method of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High School student who are allotted in a regions, genders, and grades, and 600 student are screened randomly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are used for measuring instrument which are based on the reformed questionnaires by the predecessor. Data processes are tested X2 methods in level of significance by producing frequency and percentage each question. 3.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ents have a positive thinking for the future,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they want to enter the university and the purpose of entering the university is to have a good carer. Therefore, career education fo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must be performed by considering individual's ability and aptitude and teachers' responsible and positive career education are needed to enhance students' ability to choose for jobs. Second, in a career choice aspect, it is represented that the aid of career education in school for department choice is low and as a counsellor for career discussion, friends and parents take place high percentage, while teachers take place lower percentage, accordingly for the career education teachers' positiveness and specialized skills are required as a result of poor response to students' demand. What the most students answers is the wealth as a successful value in a society and that means the subjects value how important they perceive the economical ability. Besides over half of the students responds the subjects are affected by their parents' job in the carer choice and make sure that parents' job can have an impact on children's career choice. Third, in a career choice, most of subjects response for the making a living rather than self-realization. and we know that they perceive looking for a job seriously. whether the job is noble and mean, over 70% of students are aware of their differences. In terms of the effect of scholastic ability in our society, professional career education is performed for students' to have a right career choice with a sound professionalism and their own aptitudes and abilities.

      • 디지털 잡마켓에서 빅데이터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실무기술역량 연구

        정재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IT융합과학경영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various existing analog industries have been reorganized into digital convergence fields in order to enhance 21C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wind of innovation is strong across the industry. Accordingly, companies are judging talent recruitment or training as a means of survival for companies, and as time goes by, voices for the need to cultivate digital talent and cultivate technology are increasing. In addition, DT & DX innovation implies the incorporation of knowledge know-how (content, etc.) in various industries into existing ICT, and it is emerging as a very urgent task for young people in various majors to be trained as digital convergence talents in the big data field. In this study, after collecting the opinions of field workers and job seekers,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were applied to derive the practical skills required for big data convergence talents in the digital job market. Big data job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data project manager', 'data researcher', and 'data scientist', which have essential requirements such as degree (master or doctorate degree) and career, are difficult to be directly put into the field only based on technology capabilities, so in this study, practical technology skill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data analyst' and' 'data engineer' jobs. Currently, big data projects were the most common in the financial and manufacturing sectors, and in terms of technology, about 20 to 30 technology capabilities were mixed in about four types (AI, Data Analysis, Web Components, and Data Pipeline). Machine learning and big data techniques drew the practical roadmap for technical competency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the field was derived while comprehensively analyzing and attracting the interest and interest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the priority of practical skills identified in the job market and the poor skills of each group based on similar academic achievement competencies of unemployed people, and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results of satisfaction analysis of trainees who completed the recent course. Based on the roadmap presented, it has been confirmed that big data projects do not proceed with one or two technologies, but have a wide spectrum of technologies, which explains why talents trained only on digital new technologies such as AI&Big Data are not properly used to build innovative services. In the end, for the success of big data convergence services, it is important how well newly released digital new technologies and vastly advanced legacy technologies work together. To this end, it suggests that cultivation goals in the existing 'digital new technology' field are broadly organized into packages of three fields (Web Component Full Stack + Data Engineering). This is expected to be not only efficient in human resource utilization strategies within the company, but also greatly help individual career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Finally, if the above technological convergence talent in the data field is stably established, a comprehensive study on how to cultivate (or improve) DX convergence talent (human resources with domain knowledge-based big data technology utilization capabilities) is needed. 21C 국가경쟁력 제고차원에서 기존의 여러 아날로그 산업분야가 디지 털 융합분야로 재편되면서 산업 전반에 혁신의 바람이 거세다. 이에 기업 들은 인재영입 또는 양성을 기업의 생존수단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시간 이 갈수록 디지털 인재양성과 기술 함양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 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DT & DX 혁신이라는 것이 기존 ICT에 여러 산업의 지식 노하우(컨텐츠 등)가 접목된 것을 내포하게 되면서 다양한 전공의 청년들이 빅데이터 분야의 디지털 융합인재로써 양성되는 것이 매 우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업 실무자의 의견과 구직자 정보를 취합 후, 머신러닝,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디지털 잡마켓(디지털 역량이 갖춰진 인재를 채용하려는 구인구직시장)에서 빅데이터 융합인재에게 필요한 실무기술역량을 도출함으로써 관련 수요자들에게 명확한 기술 커리어에 대한 가 이드를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빅데이터 직무는 총 5가지로 분류되어 있 는데 채용시 학위(석박사) 및 경력 등 필수요건 있는 ‘데이터 기획자’, ‘데이터 연구자’, ‘데이터 과학자’는 기술역량 중심으로만 현업에 바로 투입되기 어려운 직무임이 확인되어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분석가’ 와 ‘데이터 엔지니어’ 직무를 중심으로 실무기술역량을 분석하였다. 현재 빅데이터 프로젝트는 금융과 B2B서비스(고객니즈분석) 분야에서 가장 많았으며 기술적인 측면으로는 대략 4가지 (AI, 데이터분석, Web, 데이터 파이프라인) 유형에 20~30여가지 기술역량이 혼용되어 진행되고 있었다. 머신러닝과 빅데이터 기법으로는 취업시장에서 유리한 실무기술역량 우선순위와 미취업자의 유사한 학업성취역량 기반의 그룹별 부진기술역량을 확인하고 최근 과정을 마친 피교육자 만족도 분석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강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끌면서 현업의 중요도가 반영된 실무적인 기술역량 로드맵을 도출하였다. 제시된 로드맵으로 볼 때, 빅데이터 프로젝트는 특정 한, 두가지 기술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상당히 폭넓은 기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AI&빅데이터 등 디지털 신기술 중심으로만 양성된 인재들이 기업의 혁신 서비스 구축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와 동시에 양성된 인재들의 역량과 기업의 현실이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적지 않음을 잘 설명해 준다. 결국, 빅데이 터 융합 서비스의 성공을 위해서는 새롭게 출시되는 디지털 신기술과 지 속적으로 고도화 된 방대한 레거시 기술들이 얼마나 잘 연동되느냐가 중 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 ‘디지털 신기술’ 분야의 배양목표를 신입/재 직자 관계없이 3가지 분야 (웹컴포넌트 풀스택+데이터분석+데이터 엔지니 어링)의 패키지로 폭넓게 구성하는 것을 제언한다. 이는 기업 내에서의 인재활용전략에도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인재들의 개별적인 커리어 관리 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데이터 분야의 기술적인 융합인재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게 되면 다음으로는 DX융합인재 (도메인지식기반 빅데이터 기술활용역량을 갖춘 인재)의 양성(또는 향상)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한국 전통목조건축의 초방에 관한 연구

        정재완 경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rrange terms regarding ‘Chobang (草枋: the first strut in the middle of a wall to be housed)’ which is not main but subsidiary material upon constructing upper fixture which reveal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ll in the wooden construction, and to analyze the use of subsidiary material and truss method following the form of Chobang material and truss location. In the period from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the structural simplification of wooden fixture in the 17th Century was not made yet then; rather, it was changing from Jusimpo (columner bracket set) to Ikgong (a bracket with orthogonal projection) or Dapo (profusely bracket system) modes. There are many reinforcing materials used, but it is hard to catch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as only a few wooden buildings currently exist. Therefore, I compared it with the usage in Chinese buildings of Sung and Yuan dynasties. This study restricted the scope of target into 11 buildings of Jusimpo Matbaejip through the definition of Chobang subsidiary materials. As for terminology, Chobang (草枋) is a subsidiary material which holds the cloud of purlin on top of main crossbeam and reinforces horizontal force between subsidiary materials; it has the same function with Chinese purlin prop material ‘箚牽’. Chobang is divided into the Chobang of straight line material and Arch Chobang of curved line according to its shape, and the shape is decided by the height gap between purlin and subsidiary material. The use of Chobang is thought to have been decided by the development of upper fixture format. The elements of this change are categorized into, firstly, the changes in the shape of beam and joint from the Goryeo era to Joseon era; secondly, the change in shape of Jungdaegong; thirdly, the Chobang structuring the added purlins following the fixture forms. One of the changing factors of Chobang is that the joint of main crossbeam got higher in the Joseon era, and main crossbeam is directly structured with purlin. When Chobang is structured on top of main crossbeam holding the purlin, unstable factor happens in the gap of main crossbeam and Chobang as well as the gap of purlin by narrow Chobang. As a single material, beam directly receives such unstable factor, the gap of two subsidiary materials can be solved out, and the gap of purlin can be solved out as wide beam supports the purlin. Secondly, in the change of Jungdaegong's shape, Chobang is structured in the shape of Podaegong supporting middle crossbeam and end crossbeam. The use of queen post gives structural stability by the interior tall column but the upper fixture is visually blocked by the coffered ceiling installed, and so it tends to be simplified without the design elements of Jungdaegong added. Finally, additional use of purlin following the format of fixture requires Chobang subsidiary materil to support purlin. The use of Chobang of straight line material or Arch Chobang of curved line material is decided according the structural height of this purlin. These elements cannot be considered individually but consider to be connected among them. 본 연구는 목조건축에서 구조적 특성이 잘 나타나는 상부가구 구조에서 보강재의 역할을 하는 ‘초방(草枋)’의 용어정립과 초방부재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부재의 사용 양상과 결구방식을 분석하여 초방부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하였다. 초방(草枋)부재는 중국의 건축양식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초방은 상부가구의 구조적 안정성과 상부가구 부재의 형식변화에 따라서 형태가 변하거나, 사용되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변화요인은 대량의 춤이 높아짐에 따른 결구방식과 가구형식에 따른 도리의 사용에 의해 생겨나는 부재의 결구방식, 중대공의 형태에 따른 결구방식이다. 이러한 요인분석을 통해 각 대상건축물에 나타나는 변화요인을 도출 하였다. 첫째, 대량의 춤이 높아짐에 따라 대량이 직접 도리와 결구되어, 넓은 폭의 대량이 도리를 잡아주는 방식으로 바뀌게 된다. 그 예로 무위사 극락전과 정수사 법당 등을 볼 수 있는데 무위사 극락전은 측면 고주의 사용에 의해 퇴량을 고주에 결구하여 외목도리를 받치고, 외목도리와의 높이차를 주기위해 고임목을 사용하여 주심도리를 받치고 있다. 주심도리의 결구는 내부에서는 달라지는데 대량의 춤이 측면의 퇴량과 고임목의 높이 만큼 높아지면서 대량이 직접 도리를 잡게 된다. 정수사 법당도 이와 같은 결구를 보이는데 대량이 직접 도리를 받침으로 인해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은 초방이 나 고임목이 보상부에 결구되어 도리를 받치게 되면 보와 초방의 이격에 대한 불안정한 요소가 생긴다. 또 초방은 대량보다 좁은 폭을 가짐으로서 대량보다 도리의 이격을 잡아주는 기능이 약해지는데, 보가 직접 도리를 받음으로서 단일부재에서 오는 구조적 안정성과 대량의 넓은 폭이 도리를 잡아주면 이격에 대한 불안정한 요소도 해결된다. 둘째, 도리를 받치는 기능과 함께 화반대공 및 포대공의 형태로 결구되던 초방이 고주의 사용 및 상부가구의 수평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생겨남에 따라 고임목을 사용하여 도리를 받치는 기능만을 하게 된다. 화반대공과 포대공의 사용은 구조적인 안정성과 의장적인 미를 함께 고려한 형태로 도리와 결구되는 초방이 수평력을 보강하기 위해 포대공의 형태로 결구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송광사 하사당과 송광사 국사전에서는 동자주 대공을 사용하는데, 동자주 대공이 사용된 경우는 우물천장의 가설로 인하여 상부가구가 시각적으로 차폐되어 의장적요소가 사용되지 않는 동자주 대공을 사용하게 된다. 고주의 사용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확보와 부재의 간소화에 따라 고임목을 사용하여 도리의 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셋째, 가구형식의 변화에 따라 생겨나는 도리부재에 따른 초방의 형태 및 위치의 변화이다. 7량가 이상의 가구형식으로 변함에 따라 도리가 생겨나고, 도리를 결구하기 위한 초방부재가 사용되게 되는 것이다. 봉정사 극락전과 무위사 극락전의 경우는 하중도리의 높이가 종량을 받치는 화반대공 및 파련대공의 형태로 사용되는 초방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서 직선재의 초방을 사용하게 된다. 전주객사 정청은 하중도리와 중량하부의 포대공의 높이차가 나면서 곡선재의 홍예초방을 사용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초방에 대한 개념정의 및 결론은 한정된 대상건축물의 분석과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기에 미흡한 점이 많았다. 앞으로 기존 건축물들의 보강부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신체 각 분절의 길이가 유연성 평가를 위한 좌전굴 측정치 및 12주 유연성 트레이닝에 따른 유연성 향상도에 미치는 영향

        정재완 안동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 of body segment length on sit-and-reach test and flexibility improvement according to 12week flexibility training. A total of 120 male students(19.58±1.19)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Sit-and-reach, body segment length, metabolic syndrome markers, and insulin were measured for study.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statistical analysis. Sit-and-reac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g length and also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leg length is an independent-prediction factor for sit-and-reach. We adjusted sit-and -reach value by leg length. Adjusted sit-and-reach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aist circumference(WC). And although other metabolic syndrome markers except WC and insulin was not significant, there were close correlation than measured sit-and-reach. And flexibility improvement had not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marker and insulin, but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rm and hand length. In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adjusting leg length should be need to considered in flexibility evaluation by sit-and-reach and also body segment length should be need to considered in flexibility improvement by flexibility program.

      • 대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효과적 지원 방안 연구 : 자산순위 10대 대기업의 사회적기업 지원 실태를 중심으로

        정재완 경기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적기업의 탄생 배경과 특성은 신규 인력 창출을 위한 정부주도형의 육성정책이다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사회적기업육성법’을 근간으로 하여 지난 10년간 지원을 한 결과 사회적기업의 양적 성장에 마중물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급변하고 다양한 변화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여 사회적기업의 지속 성장과 사회적기업 생태계의 질적성장에는 한계를 보여왔다. 이에 새로운 방향이 모색되어야 하는 시점이 도래 하였다. 새로운 방향은 선진국의 성공 사례처럼 사회적기업에 대한 생태계의 성장과 활성화가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바뀌어야 하며 이 중심에 지속가능에 대한 검증된 혁신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대기업들의 효과적인 지원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사회적기업 생태계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대기업의 효과적인 지원방법의 도출과 적용을 위한 상대적인 우선순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정부 주도형의 지원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사업에 대한 풍부한 자산과 혁신 시스템을 갖춘 대기업의 효과적인 지원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였다. 둘째 재무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하이브리드 조직으로서의 사회적기업이 창출 하는 사회적 가치에 대해서는 동 시대의 공동체들이 분담하여야 한다는 것에 대하여 ‘공동체 이론’을 통해 이론적인 근거를 밝혔다. 셋째 대기업들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의 근원인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lity)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전략적 CSR(Strategic approach)으로서의 개념 변화에 따라 향후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 규모의 확대 가능성을 밝혔다. 넷째 국내 자산 순의 10대 그룹을 선정 하여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 실태를 선행 연구와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분류 방법을 보완하여 대기업의 ‘사회적기업 지원 유형과 방법에 대한 연구 분석 모형’을 체계화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10대 그룹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의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다섯째 사회적기업을 지원 하는 대기업의 실무 담당자, 중간지원기관 실무자와 사회적기업 관련 교수와 컨설턴트 그리고 대기업에서 지원을 받은 사회적기업 대표 등을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Delphi survey)를 하여 대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법을 도출하였고 계층화 분석기법(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통해 효과적 지원을 위한 적용 우선 순위를 도출하였다. 여섯째 대기업의 지원과 정부 지원의 장단점 비교를 통해 상호 시너지를 위한 지원의 역할을 새롭게 재정립 함으로서 대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법과 중요도 적용 순위에 대한 자료를 수집 제공한다. 연구의 범위와 대상으로는 사회적 경제 주체 중 가장 사회 변혁의 주체인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기업은 2017년 기준 국내 자산 순위 10대 그룹을 연구 범위로 하였다. 이 10대 그룹은 매출 순위 30대 기업의 87%에 해당이 되며 대기업의 사회적기업 지원의 형태는 그룹과 계열사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는 매출 순위 30대 기업이 연구 범위에 있다고 하겠다. 대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효과적 지원 방법과 자산 순위 10대 그룹의 지원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기업 지원 유형과 방법’에 대한 연구 모형을 체계화 하였다. 이 연구 모형은 대 분류로 사회적기업에 대한 설립 지원과 창업 및 육성 지원 두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었다. 이를 다시 중분류로 먼저 사회적기업에 대한 설립 지원은 대기업이 직접 사회적기업을 설립하여 운영 및 지원 하는 방법과 대기업이 재단을 설립하여 지원하는 방법 그리고 비영리 재단을 통해 지원하는 방법의 세가지로 세분화하였다. 또한 사회적기업의 창업 및 육성에 대한 지원 방법은 ‘재정 지원’, ‘경영 지원(컨설팅, 코칭, 멘토링)’,‘판로 개척 및 홍보 지원’, ‘프로보노 지원’, ‘네트워크 및 인프라 연계 지원’, ‘우선 구매 지원’, 교육 및 양성 지원’, ‘시설 및 사무실 공간 지원’의 여덟 가지로 세분화 하였다. 이 분석 모형을 통해 국내 자산 순위 10대 그룹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의 유형을 첫째 사회적기업의 설립 지원만을 하는 유형, 둘째 사회적기업의 창업 및 육성만을 지원하는 유형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설립 지원과 창업 및 육성 지원을 동시에 지원 하는 유형의 세가지로 분류하여 지원 실태를 파악하였다. 아울러 이 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델파이 조사와 계층화 분석 기법을 통해 대기업의 효과적인 지원 방법과 우선 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논문은 대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 실태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모형의 체계화 및 델파이 조사와 계층화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대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법을 위한 중요 요소 도출과 상대적 중요도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연구 성과가 있다 하겠다. 한국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새로운 방향 모색의 핵심은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라는 큰 흐룸 속에서 검증된 지속 가능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는 대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연구하는 것은 시기적으로도 적절한 시점이라고 사료 된다. 저자는 이번 연구의 성과를 배경으로 좀 더 많고 다양한 형태의 민간 기업을 연구 대상으로 확대 하는 것과 대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의 성공 모델 발굴을 위한 연구를통해 대기업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를 향후 연구 과제로 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important factors and to develop priorities for effective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of large corporations that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erprise ecosystem.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three steps were approached.The first step i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past, the need for social economy in the economic environment has been emphasized and social enterprises, which are the most innovative and sustainable hybrid organization among the subject of social economy, have been studied. For the societal value pursuit of social enterprises, the necessity of proper support of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NGOs, and private companies was clarified through 'community theory'. In this paper, the scope of social enterprise support of private enterprise was studi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in - depth interviews of experts, semi -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that can provide an open - ended answer to the first Delphi survey. Through the results of the first open question, the first Delphi questionnaire was revised, supplemented, added, deleted, and reclassified to develop a structured questionnaire of the 5 point scale. In this study, the factors that are important for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support for the social enterprises of large corporations and the important factors for the effective support were classified into the two types of support types, the three sub - categories of each type and the eight sub - catego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types and methods of social enterprise support of large corpo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publicity is needed for proper information and recognition of social enterprises. Should be enlarged. Second, strategic, mid-long-term, and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with the sincerity of participating in solving social problems rather than temporary and demonstrative event-based support. Thir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uccess model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types and methods of support,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ssential and systematic financial system. Fourth,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the support of the large corporations should be complemented. In order to enable mutual synergy effects of each role, a forum for coop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hat more private companies as well as large corporations can participate, Government support and subsidy should be concurrently provided to private companies. The main results of the Delphi Survey are as follows, focusing on major items and detailed factors. First, important factors that need support for large enterprises' social enterprises include supporting the social enterprises by utilizing the abundant and sustainable system of large corporations and contributing to solving social problems Social enterprise ecosystem. Second,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large corporations in social enterprises is focused on providing practical assistance to social enterprises. In other words, it shoul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ustainable companies, such as opening a market, and become a substantial growth engine for the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Third, among the types of social enterprise support, it is more effective for large corporations to establish and support social enterprises than to establish and support them through non-profit foundations. The social enterprise established at this time was found to be effective when connected with the business domain of the supporting large enterpris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social enterprises should have independent management rights regardless of the type of support they provide. Fourth, 'financial support' in supporting social enterprises' start-up and fostering is not the support for individual companies but the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 ecosystem activation and the continuous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It is effective to provide differential support depending on the achievements that create social value to be possible. Fifth, in the case of 'management support', it is necessary to consult the whole management of the company to be supported, and mentoring of successful social entrepreneurs is effective for the representatives of social enterprises. Sixth, in the case of 'supporting marketplaces and public relations', it is considered that the active linkage and utilization of public relations assets and networks possessed by large corporations are effective. However, more strategic and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through marketing as well as the actual quality improvement of the social enterprise products supported by the support rather than the simple support. Seventh, 'Pro Bono Support' is preferred to one - to - one matching programs rather than show campaign type support,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customized support' for professional pro bono professionals who support the social enterprise. Pro Bono's professionalism and talent donation are also important, but it is more effective to give practical help with the sincerity of embracing social enterprises. Eighth, 'priority purchase support' seems to be appropriate and appropriate to support policy by government rather than private enterprise level. It is more effective to support the priority purchase at the enterprise level than system purchase and continuous support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rather than simple purchase. Ninth, 'network and infrastructure linkage support' was the most effective support for human resources and equipment, which are the asse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 & D) of large enterprises. The tenth, the result of 'support for education training', is not universal and basic education contents . It is time to develop more specialized contents to match the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Finally, 'Effective ways to support facilities and office space can be inexpensive and long-term, and various communication, mutual cooperation and synergy between tenantsSupport for co-existence in possible spaces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e AHP surve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ve priorities among the effective ways to support large-scale social enterprises derived from the second Delphi survey. The analytical procedure was performed in order of layering of decision problems, relative comparison of evaluation criteria, estimation of weights, verification of logical consistency, and weight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 importance evaluation of large category items is a relative evaluation of social enterprise support types. It is about supporting large corporations directly to establish social enterprises and supporting them for start-up and upbringing. 82 percent said it was more effective. Second, among the three methods of establishing and supporting social enterprises by large companies in terms of relative importance to the classification, 78.6% were supported by large corporations (16.3%), and the non-profit foundation (5.1 percent) through the support of the establishment was overwhelming. Third, among the 8 methods of supporting social enterprises of large corporations, 'support for marketing and publicity' was the highest with 33.8% followed by 'financial support' with 28.4% and 'management support' 18.4% %, And 80.6%, and the rest of the support methods are insignifica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effective to supplement the three support methods or to supplement the other support methods by leading 'support for market planning and promotion', 'financial support' and 'management support'. I would like to suggest the government-level support for social enterprises and support for large enterpris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publicity for social enterprises and to find various success models for social enterprise operation, and to expand the base. It should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through support. It is also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and expand the priority purchasing of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create a market that will actually help social enterprise sustainable growth. In addition, it should be more innovative for private companies that support social enterprises to encourage private companies and NGOs to participate actively. And an unprecedented government-level support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quantitative support should be left to government support as the key to reorganization of large enterprise support roles, and large-scale enterprise support should be provided with strategic and systematic qualitative support so that individual social enterprises can be sustainable. In other words, it should serve as a driving force of motivation and growth through support in connection with the achievement of social value rather than temporary support. In addition, it should be supported in a wa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ocial enterprises substantially by supporting innovations that can cope with sudden changes in the environment as well as the combination of rich assets and knowhow possessed by large corpor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to establish a cooperation system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closely so that synergy effect can be achieved for social enterprise ecosystem activation. Despite the results of research on establishing the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upport of social enterprises of large corporations and establishing the important factors for effective support methods for social enterprise through the Delphi and AHP survey and setting the priority level of relative importance The following research limitations exist. First, the research target is limited to the top 10 groups of domestic asset rankings. Of course, it is appropriate as a target to develop CSR systematically in scale in Korea, but it can be said that many more private companies are not enough to present data to encourage participation. Second, domestic social enterprise support has been dominated by the government, and thus it has been focused on quantitative support.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pport of private companies to provide qualitative support to supplement the limit of government support Therefore, future research projects include expanding to more and more various types of private companies, and researching to find success models for social enterprises of private companies. In order to activat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We will try to make the research that can be developed methods a future task.

      • 성인애착유형과 자아분화수준이 성적·정서적 친밀감을 통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재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arches how couples' adult attachment type and self-differentiation level affect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sexual and emotional intimacy coming from their relationship in psychosociologic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473 married people(224 men and 249 women) using 5 structured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voidance and attachment anxiety explain the marital satisfaction negatively and self-differentiation explain the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ly. Second, attachment avoidance expects marital satis-faction negatively through emotional intimacy. Third, emotional intimacy has bigger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than sexual intimacy. Conclusions above suggest that improving emotional intimac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higher marital satisfaction and provide useful tool for classifying husband and wife's problems into person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본 연구는 심리사회학적 관점에서 부부의 성인애착유형과 자아분화수준이 두 사람의 관계속에서 발생하는 성적·정서적 친밀감을 통해 어떠한 경로로 결혼만족도를 예측하는가에 대한 탐색이다. 서울, 경기 거주 기혼남녀 473명(남성 224, 여성 249)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5개의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뒤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은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인 부적영향, 자아분화는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인 정적영향을 미쳤다. 둘째, 회피애착은 정서적 친밀감을 통해 결혼만족도를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정서적 친밀감은 성적 친밀감 보다 결혼만족도에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부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적 친밀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부부에게 발생하는 불일치에 대해 개인적 측면과 상호관계적 측면으로 구분하는데 있어 유용한 이해의 틀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 거리 글자가 획득한 새로운 구술성

        정재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hesis aims at researching the meaning of street letters in the digital age and experimenting a possibility of new typographic expressions through reinterpreting the street letters. As a researcher of the thesis, I did a close observation of street letters; there were street letters which were handwritten or overlapped on the 'original' ones. As time flows, street letters themselves become expressive images without help of human touch. The street letters that were observed had a few characteristics: as physical traits, street letters were mostly handwritten and timeworn. As cultural traits, they were original and vulgar. Such street letters had been neglected in typography as the 'outskirts' of graphic design. However, the interest for and research on such 'outskirts' have been the trend in literature, history, art, economics and society for more than three decades, which raised questions and problems in human rights of black people, women as well as socially neglected gender. As such, history is asked to be rewritten by a new perspective of low class, which became a parallel movement with postmodernism. In the first chapter "From Margin to Center", the concept of 'margin' has been research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followed by what meaning the street letters could have in the fi eld of typography. I pointed out that there is a trend of re-evaluating the meaning of modern typography and its limits. In this context of 'excessive loyalty' to modern typography, street letters gain an important role as a medium of expressing everyday life and design. In the second chapter "Freedom of Type", the limits of normed typefaces are pointed out, and with the help of the works and researches of design theorists and designers, who try to overcome the rules of modern typography, the possibility of street letters as new typographical expressions have been looked into. With the coming of industrialization, modern design was highly recognized for its functional pragmatism. However, it resulted in the norm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design as well as life style, which led to lack of multiplicity and locality of culture. Such criticism came also under modern typography as well. Swiss typography with its symbolic representative Helvetica was hailed as perfect international style. But critics such as Kashiwagi Hiroshi, Robin Kinross, Hara Kenya and Rick Poynor see it as something to come over and watch the flow of post-modernism. Designers such as Wolfgang Weingart, David Carson, NevilleBrody, Ed Fella, Massin experimented on various levels how types become images, whereby types in their works no longer serve as a mere medium of delivering messages. Unlike modern design, post-modern movement led by such graphic designers aims at space- and time-specific works and multicultural codes. Street letters, in such context, have lots of traits in common with postmodern design. In the third chapter "Street Letters and Ong's Secondary Orality", the traits of street letters were researched under the theory of Walter Ong's sceonday orality. Ong explains the development of culture in four steps: oral culture - letter culture - type culture and finally, digital culture. The step which was especially looked into closely was the shift of culture from type to digital. Ong explains that the secondary orality is the new orality that came into being with the change of media and it differs from the primary orality. In terms of this, modern typography can be understood as 'typography for reading', in which the delivery of information was the key function. On the other hand, post modern typography deconstructs this function and as a result, various experiments have been made on type sizes, intentional noise and partial cutting. Such experiments created rhythm and sound on pages and the overall page layout and design(typography) began to take a distance from the legibility rule of modern typography. us, this new approach to typography can be termed as 'typography for seeing'. Further, the kind of phenomenon of types that give visual impact and play as images and have stories in themselves can be seen in this digital age as 'typography for listening'. Design in Korea has been relying heavily on Western design education and history. is can be blamed to us ourselves, who have failed to create our own design philosophy and practice. The shift of the marginal to the center has always been made possible through its practice of observing its own everyday life. Something new and fresh is never far away. I have tried to think about design in everyday context and as a result, I have found out that design is not 'something that did not exist' but 'something that has not been discovered'. Marginal culture can be developed into creative success if reflections on main culture and new alternatives are practiced. Having researched the street letters that were on the edge of graphic design, I have suggested a possibility of new alternative typography to modern typography. The meaning of the thesis lies in suggesting a new direction in typography and also enlarging the sphere of typography research. I also hope that a systematic research is needed in Hangul and Hangul typeface design. Also, the research has proved hat in the center of typography and street letters lies Hangul. 이 논문은 디지털 시대에 거리 글자가 가지는 의미를 연구하고 거리 글자 재해석 작업을 통해 글자의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실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거리에서 마주치는 글자들을 관찰했다. 거리에는 개인이 직접 쓰거나 꾸며서 만들어 낸 글자도 있고, 기존의 작업에 익명의 누군가가 개입하여 만들어 낸 글자도 있다. 사람이 신경을 쓰지 않아도 그 곳에서 시간이 지나면서 글자 스스로가 풍부한 이미지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연구자가 주목한 거리 글자는 물리적인 특성으로는 손이 개입되고 시간의 때가 묻어 있으며 의미적으로는 하나뿐이며 통속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거리 글자는 그동안 타이포그라피 분야에서 논의되지 않던 ‘변두리’ 글자이다. 문학, 역사, 미술, 경제·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일어나는 과거에 대한 성찰, 새로움에 대한 갈망, 현재를 극복하고자 하는 소망은 흑인과 여성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 소수자 인권에 대한 문제 의식, 하층민 중심의 역사 서술 방식, 포스트모더니즘의 대두 등의 현상을 불러왔다. 1장 변두리의 주류화에서는 각 분야에서 주목하기 시작한 변두리 개념 연구를 통해서 타이포그라피 분야에서 변두리 글자라고 볼 수 있는 거리 글자가 가지는 가치를 알아보고자 했다. 타이포그라피 분야에서도 그동안 숭상하던 모던타이포그라피를 재평가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려는움직임이 일고 있다. 과거의 습관화된 교육을 반성하고 가까운 일상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려는 이러한 흐름 가운데 거리 글자가 놓여있다고 생각한다. 2장 활자의 자유에서는 규격화된 활자가 가지는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려는 비평가들과 디자이너들의 연구와 작업을 통해 거리 글자가 가진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산업화와 더불어 기능주의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부각시켰던 모던 디자인은 여러 비판을 받게 되었다. 규격과, 획일화가 가져온 삶의 균질화, 다양성 부족 등은 우리의 사고 체계 까지도 건조하게 만들었으며 이는 기계화가 낳은 폐단이며 타이포그라피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헬베티카로 대표되는 스위스 타이포그라피는 국제적으로 하나의 통일된 흐름을 유지하면서 큰 틀을 만들었지만, 이 역시 정확함과 기계성의 한계를 느낀 디자이너들에게는 극복해야할 대상이었다. 카시와기 히로시, 로빈 킨로스, 하라 켄야, 릭 포이너 등은 모던 디자인을재평가하고 포스트모던디자인으로의 변화에 주목한다. 볼프강 바인카르트, 데이빗 카슨, 네빌 브로디, 애드 펠라, 로베르 마쌩 등은 정보 전달의 기능에 충실한 활자를 넘어서 활자 자체가 이미지가 되는 실험적인 작업들을 시도했다. 모던 디자인이 보편성과 획일화를 이끌었다면 포스트모던 디자인은 특수성과 다양화를 이끌었다. 이러한 흐름 가운데 거리 글자가 있고 연구자는 거리 글자에서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징후를 강하게 느꼈다. 3장 거리 글자와 새로운 구술성에서는 월터 옹의 ‘2차적인 구술성’ 이론에거리 글자의 특성을 대입해보았다. 옹은 문화의 단계를 구술문화에서 문자 문화,활자문화, 전자 문화 이렇게 네가지로 이야기한다. 연구자가 주목한 부분은 활자문화에서 전자문화로의 이행단계이다. 매체의 변화로 인해서 다시 구술성이 등장하는 데 이는 문자 이전의 구술성과는 다른 이차적인 구술성이다. 모던 타이포그라피가 정확한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읽기 위한 타이포그라피였다면 포스트모던 타이포그라피는 매체의 변화에 힘입어 그것을 해체시키기 시작했다. 크기 변화, 의도적인 노이즈, 부분적인 자르기 등등의 실험이 활발해졌고 이를 통해 생기는 리듬과 운율 등으로 화면은 율동적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전통적인 가독성과는다른 접근을 한 것이다. 가독성에 충실한 전통적인 타이포그라피를 ‘읽혀지는 타이포그라피’라고 부른다면 모던 타이포그라피 시기는 시스템화 되고 그리드화 된‘보여지는 타이포그라피’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전자 문화 시기에 이르러 활자의 변화무쌍함으로 시각적 충격을 줌으로써 글자 스스로 이미지화 되고 이야기성을 띠게 되는 현상은 ‘들려지는 타이포그라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디자인은 서구의 디자인 교육과 역사를 빌려 쓰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디자인의 개념을 우리 스스로 만들어 내려는 사유와 실천이 부족했기때문이다. 개발 시대의 ‘주변’이었던 사람이 ‘중심’이 되어가는 데에는 거대한 계몽과 선전 보다 스스로 자신들의 일상을 관찰하고 공유했던 것이 큰 역할을 해 왔다. 새로움은 멀리 있지 않다는 확신을 가지고 ‘거리 글자’ 라는 가까운 일상 속에서 디자인을 사유해본 결과, 결국 우리에게 디자인은 ‘없었던 것’이 아니라 ‘발견하지 못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변두리 문화는 중심부 문화에 대한 반성과 대안,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을 품고 있다. 연구자는 그래픽디자인 분야에서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거리 글자를 연구함으로써 습관적으로 반복되어오던 타이포그라피 방법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이 논문은 거리 글자를 연구함으로써 기존의 타이포그라피 연구 범위를 보다 더 확장시켜나감으로써 지금까지 한 방향으로 달려오고 있는 타이포그라피 담론에 또 하나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계기로한글에 대한 연구, 한글의 조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또 다시 느꼈고, 거리 글자와 타이포그라피의 기본에는 한글이 있음을 절실하게 느낄 수 있었다.

      • 북 디자이너 정병규 연구

        정재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자는 북 디자이너 정병규를 중심으로 시대 / 작업 / 생각이라는 세 개의 사각형을 중첩하며 한국 현대 북 디자인의 개념 형성과 실천을 살펴봤다. 1970-80년대는 인쇄 기술의 변화와 함께 한글 전용 시도와 가로짜기 등 문자 사용 환경에 변화가 있었던 한국 시각문화의 전환기였다. 정병규는 이러한 변화를 출판 현장에서 겪은 세대이자 한국 최초의 직업인으로서의 전문적(professional) 북 디자이너였다. 당시 한국 사회의 한편에서 강조되었던 국가주의, 민족주의 디자인 담론의 장 속에서 정병규는 디자인의 역할을 문화생산으로 설정하고, 북 디자이너는 ‘문화생산자’임을 주장하며 실천했다. 새로운 시대정신을 모색하며 문학 중심의 단행본 출판이 활발해진 1970년대 중반, 정병규는 이성적 사회변화를 추구했던 작가, 편집자 집단과 교류하고 협업하며 북 디자이너로서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냈다. 신문과 책의 편집자로 시작해서 북 디자이너가 된 정병규는 장정 시대의 관습을 벗어나기 위해 내용(편집)과 디자인(표현)이 융합되고, 현대적 시각 규범과 타이포그래피를 강조한 북 디자인을 선보였다. 그는 감각과 이성의 균형과 조화를 추구한 ‘심미적 인문주의자’로서의 면모를 보이며, 한국 출판 문화에서 북 디자인의 생산력을 인정받았다. 정병규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관계를 책의 물성(物性)으로 해석해 낸 현대적 개념의 북 디자인을 실천했다. 1970-80년대 정병규는 서양 모더니즘 타이포그래피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이론과 양식의 한계 속에서 ‘한글’의 가능성을 발견했다. 특히 ‘일책일자(一冊一字)’, ‘한글의 상형적 조형성’ 등 한글 타이포그래피 담론의 실천은 광고 중심의 그래픽 디자인이 타이포그래피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으로 그 가능성을 열어가는 에너지의 용출이었다. 정병규의 사진 다루기도 중요한 특징이다. 그는 디자인의 재료로서 사진을 편집했다. 특히 하나의 독립된 형식으로서의 사진책과 이야기의 순환 구조를 담아내는 편집술을 통해 ‘읽는’ 책에서 ‘보는’ 책으로의 현대적 북 디자인의 가능성을 실험했다. 이 논문에서 정리한 정병규의 북 디자인론인 ①문화생산자로서의 북 디자이너, ②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가능성, ③기획·편집·디자인을 융합하는 토탈 디자인, ④책의 물성(物性) 발견은 현재까지 유효한 개념이다. 정병규의 1984년 선언처럼 ‘북 디자인은 모든 그래픽 디자인의 기초적 원점’이라는 말이 상식화된 지금, 오히려 북 디자인은 또 다시 관습과 매너리즘에 빠져 있지 않은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1990년대 이후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독자가 탄생했다. 한글 타이포그래피 담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으며, 책 문화의 흐름도 과거와 달라졌다. 이에 맞춰 북 디자인과 북 디자이너의 개념과 역할도 수정되어야 한다. 연구자는 1970-80년대 정병규 북 디자인 연구를 통해 북 디자인은 현재와 호흡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는다.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s in Korean Contemporary Book Design through the layers of its time, works and ideas. The 1970s and 80s are known to be transitional periods in Korean graphic design, particularly within the field of typography which was influenced by novel printing technologies, exclusive use of Hangul and horizontal layout. Chung Byoung Kyoo was part of the generation amidst this changing landscape within the publishing industry to become the first professional book designer in Korea. In an era when design leaned predominantly on nationalistic and ethnic values, he set out the role of design to be the ‘production of culture’ and practiced as a book designer, reaffirming its role as the ‘producer of culture’. It was in the mid-1970s when the publication of literature periodicals flourished and Chung Byoung Kyoo started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a wide guild of writers and editors both longing for rational, social change, which helped to establish himself as a book designer. Originally, he was an editor for newspaper and books before he became a book designer and featured works in which the content (editing) was integrated into the design (expression) and which introduced contemporary graphic syntax and typography to overcome the traditional book format. He revealed traits of an ‘aesthetic humanist’ which embraced the balance and harmony of emotion and reason and established a solid base for book design within the Korean publishing scene. Chung Byoung Kyoo introduced a contemporary form of book design in which the text and image relation manifests itself within the materiality of a book. In the 1970-80s, he was influenced by western modernist typography and within its boundaries of theory and style, he discovered the potential of ‘Hangul’. The practice and agenda in Hangul design such as ‘one book one letter’, ‘Hangeul Hieroglyph’ in particular, became a decisive factor in extending the spectrum of the graphic design scene which at the time was mainly restricted within the advertisement industry, into a design that was based on typography and with the potential to become a wider communication tool. His editing of photos is also important in that he actively incorporated them as a design element. In particular, he experimented with photographic essays and the editing of a looping storytelling structure to test the potential of a contemporary book design in which a book can be ‘seen’ rather than ‘read’. The principles of Chung Byoung Kyoo’s book design covered in this research (1. The book designer as the producer of culture 2. The potential of Hangul typography 3. Total Design – integrated Production/ Editing/Design 4. The discovery of Book Materiality) remain relevant to this day. His 1984 manifesto ‘Book design is the fundamental origin of all graphic design’ is widely accepted as a norm nowadays but it may call for a reflection of contemporary book design - whether it came to rest on another custom and/or form of mannerism. There has been a surge in new technology and new type of readers since the 1990s which had a great impact on Hangul typography and also introduced new trends in book culture. The concept and role of book design and its designer should always evolve in line with the constant change that surrounds us. The research revisits Chung Byoung Kyoo’s book design from the 1970-1980s and concludes that book design must constantly be concurrent with its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