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팝송과 받아쓰기를 활용한 영어수업모형의 효과

        정유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Effect of Using an English-Teaching Model Through Pop Songs and Dict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Jung, Youjin Major :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n English-teaching model through pop songs and dict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an English-teaching model wa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affective factors not only in increasing their listening, but also in enhancing their reading ability toward English learning. The subjects chosen for this experiment were 40 students of 7th grade at a middle school in Iksan Cit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e 20-membered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20-membere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with an English-teaching model using pop songs and dict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through dictation. The two hypotheses set forth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learning with the English-teaching model using songs and dictation, would make more significant changes on affective factors and attitudes than those of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learning with the English-teaching model through pop songs and dictation, would make a more meaningful progress in listening and reading ability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ree times a week for three months from March, 2015 through May, 2015. The two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n English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a survey of learners' affective factors and attitudes. The experiment has yielded such findings as follows: First, using the English-teaching model through pop songs and dictation brought about the effect of making significant achievements on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ir receptive skills not only in students' listening ability but in also reading ability. Second, using the English-teaching model through pop songs and dictation also brought about the effect of making meaningful changes on the experimental students' affective factors and attitud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positive effects in enhancing the students' interest, motivation, self-esteem and in decreasing anxiety.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English-teaching model through pop songs and dictation has an effect o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receptive ability and on enhancing students' affective factors. However, there would be some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because of the number of small subjects and short time of experiment.

      • 신장 허혈성 재관류 손상에서 COMP-Ang1의 보호효과

        정유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cute kidney injury, characterized by rapid decline in glomerular filtration rate, is a major cause of morbidity and mortality.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s the leading cause of acute kidney injury and this injury induces a cascade of events leading to cellular damage.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injury induces loss of renal endothelial function such as regulation of vascular tone, tissue perfusion, permeability, and inflammation. Endothelial dysfunction has detrimental effect upon renal function in ischemic acute kidney injury. A modality to improve endothelial dysfunction in ischemia reperfusion injured kidney can be a good therapeutic approach in renal IRI. Recently, COMP-Angiopoietin(Ang)1, a variant of native Ang1 was developed. However, there is no report about effect of COMP-Ang1 in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endothelial protective effect of COMP-Ang1 in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 evaluated the tubular injury score after treatment with COMP-Ang1 or LacZ adenovirus in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model in mice. COMP-Ang1 significantly decreased renal IRI-induced tubular damage and improved blood urea nitrogen and serum creatinine. COMP-Ang1 prevented the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induced decrease of renal blood flow and increased renal vascular permeability, renal vascular resistance. COMP-Ang1 also mitigated the effects of ischemia reperfusion injury on the number of F4/80 positive macrophage infiltrating,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expression and increased the number of Ki67 and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positive cells. These finding indicated that COMP-Ang1 may protect against endothelial dysfunction by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급성 신 손상은 사구체 여과율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사망에 주된 이유이다.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은 급성 신 손상을 일으켜 세포손상을 야기한다. 미세혈관 내피세포 손상은 혈관상태, 조직 내 관류, 투과성, 염증반응과 같은 신장 내피세포기능 저하를 유도한다. 허혈성 급성 신 손상에서 내피세포 기능 장애는 신장 기능을 저해한다. 이런, 내피세포 기능 장애의 개선은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 치료에 한 발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COMP-Angiopoietin (Ang)1은 기존 Ang1의 변형 물질로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에서의 효과에 대한 보고가 없다. 본 실험은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에서 COMP-Ang1의 신장 보호효과에 대한 실험을 시행하였다. 백서에 COMP-Ang1과 LacZ adenovirus를 각각 투여한 후 허혈성 재관류 신 손상 모델을 만들어 신 손상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COMP-Ang1은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에 의한 세뇨관 손상을 의의있게 감소시켰고 혈액 내 요소질소와 혈청 크레아티닌을 개선시켰다. 또한,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에 의한 신혈류의 감소, 신장 혈관의 투과성 증가와 신장 혈관 저항을 보호하였다. COMP-Ang1은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에서 F4/80 양성 대식세포의 신장 간질내로의 침윤과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였고, Ki67과 platelet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1 양성인 세포수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COMP-Ang1은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에 의한 내피세포 기능장애를 조절함으로써 허혈성 재관류 신손상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와의 관계 :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정유진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구실 만들기, 정서인식 명확성의 관계를 알아보고,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구실 만들기, 정서인식 명확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곳에서 5⋅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557부를 수집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의 관계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인식 명확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잠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검증결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인식 명확성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구실 만들기 관계에서도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와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자기구실 만들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정서인식 명확성을 매개로 자기구실 만들기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자기구실 만들기를 사용할 때, 정서를 인식하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상담적 개입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제7차 중등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생활법 관련 내용과 계열성 분석

        정유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인들은 각종 사회 문제들을 예방 및 치유하기 위한 대표적 수단으로서의 법의 테두리 안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이에 따라 법 교육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법 교과서는 이러한 사회적 현실에 맞도록 적절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 법 교육 즉 일상생활과 관련한 법 교육은 특히‘생활법(Street Law)교육’으로 대표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법 교과의 핵심인「법과사회」의 경우 생활법 관련 내용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가 함께 나타나고 있다. 우리의 법 교육이 기존의 암기·이해 위주의 교육에서 많이 탈피하고 있다 할지라도 여전히 생활법 관련 교과과정의 구성이 미흡하고 생활법을 토대로 한 연구도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의 제7차 중등 사회과에서 생활법 관련 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고 학교 급별로 관련 내용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 계열을 살펴보고, 생활법 관련 내용의 계열성 보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제7차 중학교 「사회2」6종과 고등학교 「법과사회」1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범위는 중학교는 「사회2」에서 법 영역을 다루고 있는 Ⅶ. 사회생활과 법 규범 단원으로 한정하고, 고등학교 「법과사회」는 전 단원을 범위로 삼았다. 특히 분석을 위한 생활법 관련 법 개념 추출은 법무부의 「한국인의 생활 법률」을 그 기준으로 하였다.「한국인의 생활 법률」과 중학교「사회2」, 고등학교「법과사회」의 공통영역 및 내용요소를 찾아 생활법과 관련한 주요 개념 및 하위 개념들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생활법 관련 주요 개념 7개는 법제도, 금전/부동산, 혼인/가족, 소비자, 직장/근로자, 범죄, 행정구제/헌법재판이다. 먼저 제7차 중등 사회과의 생활법 관련 내용에 대한 양적 분석의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 모두 생활법 관련 내용이 매우 부족하게 제시되어 있는데, 주요 개념 7개에 관한 설명이 전혀 없거나 미비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학교 급에 따른 질적 계열 분석의 결과는, 같은 출판사 내에서의 중고등학교 생활법 관련 내용 설명에 있어 중학교의 경우는 개념 설명이 다소 추상적으로 제시된 반면, 고등학교의 경우는 지나치게 구체적이고 어려운 설명까지 포함된 경우가 많아 계열에 현저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앞으로 우리의 법 교육에서 개선해야 할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사회 교과서는 현대 사회의 실생활과 관련한 법 개념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급의 상승에 따라 그 내용의 구체성이 심화될 수 있도록 계열성을 고려하여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생활법 관련 내용 설명을 보다 자세히 하기 위한 삽화, 신문자료, 읽기자료 등을 더욱 많이 도입하되 이를 각 학교 급의 변화에 맞도록 변별하여 교과서를 재구성하도록 한다. 셋째, 무엇보다 생활법 관련 개념 및 그 내용의 교육 비중을 늘려나가야 한다.

      • 중소 퍼퓸샴푸 브랜드를 위한 패키지디자인 전략 연구 : 드라세나 브랜드를 중심으로

        정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퍼퓸샴푸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와 소비자의 선호도에 따른 퍼퓸샴푸 브랜드 패키지디자인 전략을 연구하고 제안함에 있다. 소득수준의 증가와 함께 ‘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향 제품의 소비의 증가와 함께 향을 이용한 마케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른 감각들이 시상이라는 중간과정을 거쳐 대뇌의 각각의 영역으로 전달되어 인식되는 것과 다르게 후각은 중간과정이 없이 뇌로 정보가 직접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향은 기억과 감정을 관리하는 뇌에 곧바로 연결된다. 향이 브랜드 마케팅 수단으로 이용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향 마케팅을 통해 사람들에게 브랜드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후각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향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향 마케팅은 샴푸 제품에서도 마찬가지로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인기는 향수처럼 좋은 향이 오래 지속되는‘퍼퓸샴푸’가 샴푸시장의 새로운 제품군으로 자리 잡게 했다. 그러나 현재 향수 제품 이외의 향 제품의 패키지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국내 대기업의 경우, 퍼퓸샴푸 브랜드만의 향에 대한 해석력을 가진 패키지디자인 보다는, 대중을 타깃으로 한 패키지디자인 전략을 시행하고 있어 대기업 퍼퓸샴푸 간의 비슷한 이미지형용사를 가지고 있으며 브랜드마다의 고유의 개성은 떨어지고 있다. 현대의 발전된 기술로 인해 제품 간의 기술력차이가 좁혀지고 있는 사회에서 브랜드의 역량으로 평가되는 패키지디자인은 브랜드 가치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브랜드는 소비자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브랜드만의 아이덴티티를 가진 패키지디자인으로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해야한다. 퍼퓸샴푸 패키지디자인을 연구할 대상으로는 브랜드의 시작과 함께 빠른 성장을 하고 있는 중소기업인‘드라세나’를 중심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향과 연관된 제품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에 맞춘 패키지 디자인 전략과 향에 어울리는 패키지디자인을 제안하여 중소기업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꾸준한 소비자의 유입과 퍼퓸샴푸 시장의 진보에 기여할 것이다. 연구하고자 하는 바는 아래와 같다. 첫째, 퍼퓸샴푸의 바탕이되는 향 마케팅과 연구하고자하는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다. 둘째, 대기업의 퍼퓸샴푸의 패키지디자인 사례와 해외 성공적인 중소기업의 퍼퓸샴푸 및 제품들의 패키지디자인 전략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향을 전달하기 위한 시각적인 표현방법과 브랜드 패키지디자인 전략을 알아본다. 셋째. 중점적으로 연구하려 하는 중소 퍼퓸샴푸 드라세나에 브랜드에 대한 조사와 시장현황, 드라세나의 퍼퓸샴푸인 텐더피오니의 패키지디자인을 분석한다. 넷째, 일반 사용자를 중심으로 퍼퓸샴푸 이용현황,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조사하고 현 텐더피오니 패키지디자인의 문제점을 조사, 분석 하여 개선방향에 맞는 전략을 설정한다. 연구결과 패키지디자인은 성공적인 브랜드로 발전해 나가기 위한 토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이 드러날 수 있도록 함을 토대로 전략을 제시해 중소기업 드라세나 브랜드에 적합한‘텐더피오니’패키지디자인을 적용해 마무리 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중소기업 브랜드들이 향을 반영한 제품의 패키지디자인을 제작할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and propose brand package design strategy of perfume shampoo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customer. With increasing of income level, the demand of ‘scent’ also grows steadily. As consumption of fragrance product increase, marketing using fragrance also progress actively. Unlike other sensors which go through mid-process called interbrain, then send and recognized in each section, the smell goes directly to the brain without mid-process. The scent also goes directly to brain section which controls memory and emotion. This is the reason why people using fragrance in marketing. By using scent marketing, it is possible to mark positive brand image to people. After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cent, recently many marketing using scent. Scent marketing is popular at shampoo product. But, except perfume product, research about a package of scent product is meager. In the case of large domestic enterprises, instead of a package design with knowledge of own perfume shampoo brand, it targets public. So, a large enterprise using similar image adjective which makes a low characteristic image to each brand. Differences in technical capabilities between products are shrinking due to modern development technologies. And the design of the package which has been evaluated as a brand’s ability plays an essential role to improve the value of brands. At this point, brands need to figure out the demand of the customer and communicate with the customer as a package design with brands own identity. As a subject of researching of perfume shampoo package design, Dracena is the primary target which grows rapidly from the beginning of a brand. In this research, we will create a package design strategy tailored to the brand identity of the product associated with the scent, propose a package design suitable for fragrance, and strengthen the identity of small size brands to maintain constant inflow of customer and contribute progress of perfume shampoo market. The place to study is as follows. First, consi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ackage design wants to research and scent marketing which is base of perfume shampoo. Second, find and analyze an example of large enterprise’s package design, and a successful case of small brand’s perfume shampoo products and package design in foreign countries to find out the proper visual expression for expressing fragrance and brand package design. Third, research and analyze the main target brand Dracena and the package design of Drasena’s perfume shampoo “Tender peony.” Fourth,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use of general user and preference of package design. And study and analyze the problems of the contemporary Tenderpeony package design and set up a strategy for improvement direction. Finally, based on above analysis, expected to help small brand can use this strategy when it is trying to do marketing about package design using scent.

      • 리튬이차전지의 양극소재로써 탄소 코팅을 한 Iodine 치환 LiFeBO3 합성 및 전기화학적 연구

        정유진 울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mong multi-ion type cathode materials for large-capacity lithium secondary batteries, LiFeBO3 (220 mAh g -1 ) has a higher theoretical capacity than commercially available LiFePO4 (170 mAh g -1 ). However, the characteristics of LiFeBO3, which has poor electrochemical activity and high air sensitivity, lead to rapid performance degradation. In the previou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was overcome by replacing the fluorine (F) anion and coating carbon were published. In the same context,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LiFeBO3, a carbon-coated and iodine-substituted LiFeBO3-xI2x/C (x=0.005) is proposed by substituting a limited amount of an iodine anion on an oxygen site and coating carbon on the surface of the particles. In this study, the synthetic approach implemented of LiFeBO3-xI2x/C cathode material is a simple solid-state reaction method carried out by ball milling a precursor, an anion source, and a carbon source together. Th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cathode materials are confirm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and 7Li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y,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with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EDX),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s (TEM).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are evaluated by using a galvanostatic cycler with a potential range of 1.5-4.0V for the CR2032 coin cell. Herein,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lowlevel iodine substitution to improve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FeBO3. 대용량 리튬 이차전지용 다가 음이온 양극재료 중 LiFeBO3(220 mAh g-1 )는 상용화된 LiFePO4(170 mAh g-1 )보다 이론 용량이 높다. 그러나 전기화학적 활성이 좋지 않고 공기 감도가 높다는 LiFeBO3 의 특성은 급격한 성능 저하를 초래한다. 이전 연구에서는 불소(F) 음이온 치환과 탄소 코팅을 통해 극복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LiFeBO3 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한된 양의 요오드(I) 음이온을 산소 자리에 도핑하고, 입자의 표면에 탄소를 코팅함으로써 탄소 코팅 및 요오드 치환된 LiFeBO3-xI2x/C (x=0.005) 물질이 제안된다. 본 연구에서 LiFeBO3-xI2x/C 양극재료를 구현한 합성방법은 전구체, 음이온 및 탄소 공급원을 함께 볼밀링하여 수행하는 간단한 고체상반응법이다. 양극재료의 구조 및 형태학적 특성은 X-선 회절 (XRD) 및 7Li 핵자기공명 (NMR) 분광법, X-선 광전자 분광법 (XPS), 에너지 분산 X-선 분석 주사전자현미경 (SEM-EDX), 투과전자현미경 (TEM)을 이용하여 확인된다. 전기화학적 성능은 CR2032 코인셀로 1.5~4.0V 전위 범위에서 갈바노스타틱 사이클러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여기서, 우리는 LiFeBO3 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낮은 수준의 요오드 도핑의 효과를 입증한다.

      • 의료기관 내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수용전념 기반 집단미술치료의 효과 : 우울과 양육효능감 중심

        정유진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용전념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S재활병원에 내원하고 있는 환아의 어머니 중 수용전념 기반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는 실험군 11명, 환아와 분리되어 휴식시간을 제공받는 비교군 6명, 무처치 대조군 9명, 총 2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 1회 60분씩 총 8회기 동안, 실험군은 수용전념 기반 집단미술치료에, 비교군은 휴식시간에 참여하였고, 실험군과 비교군이 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간호전문가를 통한 환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울척도와 양육효능감척도를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시행하였으며, 종결 후 개별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으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 상관관계 측정을 위해 상관관계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수용전념 기반 집단미술치료의 효과크기 검정을 위해 Hedge's g값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전념 기반 집단미술치료 후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휴식시간은 유의미한 효과를 주지 않았다. 둘째, 수용전념 기반 집단미술치료 후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하위영역인 부모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다른 하위영역인 부모불안감은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반면, 휴식시간은 부모효능감과 부모불안감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 않았다. 셋째, 장애자녀 어머니의 우울은 부모효능감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부모불안감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수용전념 기반 집단미술치료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 변인과 부모효능감 변인에 대해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 간호학 전공 여성 대학원생의 건강 구조모형

        정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의료 환경에서 새로운 지식 및 기술의 습득, 전문적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간호사들은 대학원에 진학하고 있다. 대부분 여성이며,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경우가 많은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들은 일과 가정, 학업에서의 다양한 역할로 인하여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대학원생들은 심도 깊은 학업을 지속하면서 가중되는 스트레스로 인하여 학업 성취와 지속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성공적인 학업 성취를 위하여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들은 학위 과정 동안 경험하는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하여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고 증진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Antonovsky의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주요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여, 간호학 전공 여성 대학원생들의 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Antonovsky의 이론과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여 외생변수로는 지각된 스트레스를, 내생변수로는 통합력과 사회적 지지, 건강 상태를 설정하였다. 또한 결혼 상태와 근무 형태를 조절 요인으로 모형에 포함하였다. 간호학 전공 여성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여 2019년 8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248부가 수거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17부를 제외하고 최종 23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적 모형을 검증한 결과, 적합도가 권장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여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모형의 적합도는 Normed χ2=1.778, RMSEA= .058, TLI= .907, CFI= .920으로 권장 수준을 만족하였다. 수정 모형에서는 설정한 6개의 경로 중 5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지각된 스트레스와 통합력, 사회적 지지는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건강 상태를 64.9% 설명하였다. 스트레스와 건강 상태의 관계에서 통합력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통합력을 매개로 하여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결혼 상태와 근무 형태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학 전공 여성 대학원생들의 건강 증진과 성공적인 학업 성취를 위하여 핵심 요인인 통합력과 통합력을 강화시키는 자원인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Most nursing graduate students are women, and are typically engaged in both academic coursework and work outside of the academic environment. Nursing graduate students experienced stress due to the multiple roles related to family, work, and school which they fulfil, leading to physical and mental health problems that negatively affected academic performance and persistence during the graduate program. Therefore, for successful academic achievement, nursing graduate students should maintain and improve their health status by effectively coping with stress. Thus, this study was designed to tes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health status of nursing graduate students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major variable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ntonovsky’s salutogenic model, the exogenous variable was the perceived stress of nursing graduate students. Endogenous variables included their sense of coherence, social support, and health status, and moderating variables were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31 female nursing graduat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from August 13, 2019 to October 7, 2019.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nd AMOS 23.0. The hypothetical model was modified because the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did not initially satisfy the recommended level. After modification, the fitness of the model met the recommended level: Normed χ2=1.778, RMSEA= .058, TLI= .907, CFI= .920. Among the 6 pathways of the modified model, 5 pathway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Health status was affected by perceived stress, sense of coherence, and social support.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64.9% of the nursing graduate students’ health status. Perceived stress ha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n health status and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nse of coherence had direct and total effects on health status, and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through the sense of coherence on health statu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ealth status, the sense of coher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and social support affected health status through the sense of coherence. However,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s of marital status and employment status. To improve nursing graduate students’ health status and to support their successful academic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implement intervention programs that enhance the sense of coherence and social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