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또래지도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효과

        정영란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또래지도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함에 그 목적을 둔다. 또한 기존의 성인지도 방과후 활동과의 사회성 향상 정도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또래지도자 양성과 방과후 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안의 자료로 삼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청소년문화센터 또래지도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3학년 15명을 실험집단으로, 국가청소년위원회가 지원하는 “방과후 아카데미”를 운영하는 2곳과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비참여집단을 각각 통제집단1.2.3으로 하여 각각 15명씩을 무작위로 추출.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2007년 3월 3일에서 4월 13일까지 약 6주간 24회에 걸쳐 또래지도를 처치하였으며, 통제집단1과 통제집단2는 성인지도를 처치하였고, 방과후 활동 비참여집단인 통제집단3는 처치를 하지 않고 모든 집단이 사전·사후 검사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지로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등학교 인성검사에서 정갑용(2000)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처리 프로그램 SPSS WIN10.0에 의해 전산처리하였으며 유의성 검증을 위해 t-검정, ANOVA, paired t-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이에 기초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변인 중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사회성은 여자가 남자 보다 더 높았다. 둘째,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사회성발달에 효과가 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자기보호상태 또는 다른 성인보호상태의 청소년에 비해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의 사회성전체, 사회성 하위영역인 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이 더 높게 나왔다. 이는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는 공동체활동, 협동활동, 놀이활동, 학습활동, 생활지도활동 등 다양한 활동 등이 청소년의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세째, 또래지도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이 성인지도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소년에 비해 사회성의 여러측면에서 보다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이는 대상 및 방법은 다르지만 또래지도가 학교생활과 사회생활 적응에 필요한 사회성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래지도를 통해 청소년들의 사회적 적응을 돕고,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증진시키는 등 사회성에 있어서 또래지도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다. 이에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적이었던 청소년또래지도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정책을 제안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인 청소년또래지도자에 의한 방과후 활동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purposed to find wheter the peer guidance in After-School activity would affect the participant's sociality. This study would provide a suggestion for the existing adult guiding after-school activity. At the same time, it would revitalize adult guidance. The data for the study was consisted of four groups. S Youth Center had selected 15 students in the third grade from elementary school as an experimental group. Two other groups were After-School Academy supported by The Nation adolescent Committee and the last group was none participant Each group had 15 people selected by the random sampling.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the peer guidance for about 6 weeks from 2007 March 3 to 2007 April 13 at a 24 times. The first control group and the second control group conducted the adult guidance and the 3rd control group was not guided in after-school period. All groups had pre-test and post-test on the sociality. For the measuring instrument of sociality, the measurement tool manufactured by Bummo Jung(1971) was utilized, which was modified by Kabyong Jung(2000) for human nature checkup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data processed by SPSS WIN10.0, t-test and ANOVA, paired t-test were utilized for the significance test. Results found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difference in the Sociality showed that girls were higher in sociality than boys were. Secondly, After-School activity leaded to positive development in the adolescent sociality, According to the study, the adolescent participating in peer guided after-school activity were generally ahead of sociality as well as in four subdimensions of sociality which were subordinatefield,_ law-abiding spirit, cooperation spirit, sociability and independence overall, in comparison with self-protection status or other adult guiding status. After-school activity program such as the community activity, cooperation activity, playing, studying, life guidance activity and various activitie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ity of subjects. Thirdly, the adolescent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guidance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any ways in comparison with the adolescent who participated in the adult guidance. Although the purpose and method of previous studies are different, the results of the studies agreed that peer guidance boosted the positive influence on an adaptations at school and at society. Those precious studies prove the promotion of desirable human relations and helped to adapt a sociality nature for the adolescent throughout the peer guidance.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t would be more efficient to support more on peer guided after-school activity program.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out what would be effective methods of peer guidance in the field of after-school activities.

      • 부모작성 선별도구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ASQ)의 신뢰도 및 유용성 연구

        정영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영, 유아 발달평가도구인 ASQ 선별도구의 신뢰도 및 그 유용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ASQ는 4개월에서부터 48개월까지 11개의 시리즈로 구성되어있는 부모작성형 선별도구로 이 연구에서는 36 개월용과 48개월용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ASQ System(Age and Stages Questionnaires)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1.1 내적 일치도는 어떠한가? 1.2 검사 - 재검사 신뢰도는 어떠한가? 2) ASQ의 유용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장애유무와 관계없이 광주광역시, 전남, 전북에 거주하는 만 3세, 4세 유아 385명이고, 연구도구는 ASQ 질문지 36개월용과 48개월용 및 유용성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여부는 내적 일치도의 Cronbach′s Alpha를 이용하였고, 검사 - 재검사 신뢰도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질문지 사이의 일치정도를 상관관계로 분석하였으며, 질문지의 유용성 여부는 빈도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내적 일치도 분석은 질문지의 문항 전반과 영역 안에서 보통 이상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검사 - 재검사 개월별 내적 일치도와 질문지 영역간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는데, 전반적으로 내적 일치값이 높게 나타나 문항 안에 포함되어 있는 질문지의 내용들이 문항에 관해 잘 설명해 주고 있다고 할 수 있고, 영역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선별도구로서의 가치가 있는 신뢰도를 나타냈다. 셋째, 유용성에 대한 검사는 ASQ 질문지를 작성하는 것이 유아의 초기 발달에 대한 부모의 지식이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 작성에 따른 소요시간 및 문항별 분석을 하였는데, 질문지 작성시간은 10-20분 정도 걸렀으며 부모와 이 질문지를 사용하는 관계자들은 질문지가 그들의 유아를 관찰하고 이해하고 가르치는데 있어서 도움을 주었으며 이 질문지를 이해하고 답하는데 어려움을 격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usability of the ASQ(age and stages questionnaires) screening system. This 11-series instrument is designed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infant and young children between month age 4 and 48, and to be filled out by parents. In this study, the ASQ for month age 36 and 48 was investigate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What is the reliability of the ASQ system? 1.1 What is its content consistency? 1.2 What is the reliability of its test and retest? 2. What is the usability of the ASQ?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85 young children of full three and four who were living in the city of Kwangju, South Cholla and North Cholla Provinc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ASQ for month age 36 and 48 and the usability questionnaire.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Cronbach's Alpha was used regarding the content consistency of that instrument's reliability. As for the reliability of its test and retest,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see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questionnaires agreed to each other. Concerning the usability, frequency was calcul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content consistency analysis that was intended to define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showed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tems and between the areas were above the average. Second,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tent consistency of the test and retest and between the area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and retest. As a result, the content consistency turned out good in general, and this fact indicated that the items were explained well. And there were generally positive correl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areas, which suggested that the questionnaire is reliable. Third, concerning the usability, how many times it took for them to fill in the questionnaire was measured and the item analysis was made, in order to see if writing out the ASQ gave any impacts on their knowledge of or attitude to the early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it's found that it took about 10 to 20 minutes for them to fill it out, and that this experience was helpful for the parents and the parties concerned to observe, understand and teach their young children. In addition, they had no difficulties in comprehending and 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 하수처리에 있어서 표준활성슬러지공정과 고도처리공정의 운영단계에 대한 LCA 적용

        정영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시설 운영에 있어 합리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처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LCA 기법을 활용하여 고도처리공정인 A2O공정과 기존하수처리공정인 표준활성슬러지공정의 운영단계에 대한 환경성 비교 및 개선점 도출을 위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 방법으로는 국내에 운영 중인 하수처리시설 중 A2O공정과 표준활성슬러지공정을 적용하고 있는 1,000ton/day~500,000ton/day 규모의 시설을 각각 14곳을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현장방문을 통해 데이터를 취득하였고, 기능단위 1ton/day로 산정하여 한국형영향평가지수(KLCA)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LCA 방법론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하수처리공정의 운영단계에 있어서 주요한 영향인자는 두 공정 모두 수계배출오염물질, 전력소비량, 발생 슬러지 처리 그리고 화학약품 순으로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수계배출오염물질 특히, T-N, T-P, COD에 의해 부영양화(EU), 전력소비량에 의해 자원고갈(ARD), 지구온난화(GW)가 가장 주된 환경문제로 야기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규모에 따른 영향은 수송과 관로 건설 등에 따른 환경부하를 포함하지 않아 일반화할 수 없으나, 두 공정 모두 운영상에 있어서 소규모(5,000ton/day 미만)보다 대규모로 갈수록 시설의 처리효율 안정화 등으로 환경친화적인 양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전력 소비량에 의한 환경부하가 대규모로 갈수록 두드러지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볼 때, 고도처리공정인 A2O공정이 기존하수처리공정보다 총 환경부하에 있어서 17%정도 우월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주요이슈(Key-Issue)로 평가된 수계배출오염원과 전력사용에 의한 영향이 하수종말처리시설의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ESSD;Envi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을 도모하는데 있어 절대적인 영향요인으로 판단되어진다. 다만, A2O공정의 경우 전력사용량에 따른 환경부하가 높게 평가되어 국가차원에서의 재생에너지 등의 환경친화적인 전력 공급과 A2O공정의 전력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적 진보를 거듭한다면 표준활성슬러지공정 대비 상당량의 개선효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운영상에 있어 재이용 수를 포함한 재활용 산물, 수송에 따른 부하 등을 제외하고 평가하여 향후에 좀 더 포괄적인 평가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Life cycle assessment(LCA)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the environmental impacts for the operation phase of standard activated sludge and A2O process with the aim of finding an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treatment solution. In this study, LCA was performed using field survey data from two types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ith the treatment capacity of 1,000ton/day to 500,000ton/day. For the field survey, 28 sites were selected for each type of facility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applied. The obtained field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functional unit of 1ton/day and Korean LCA indicators, which were developed by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were used for characterization, normalization, and weighting phase. The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LCA guided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order of contribution, water pollution, electricity consumption, solid waste(sludge) generation and chemical consumption were commonly important parameters in the operation phase of both sewage treatment process. Eutrophication by T-N, T-P and COD, Abiotic resource depletion and Global warming by electricity consumption are the main environmental impact categories. From the results of LCA depending on the scale of sewage treatment facility, it was regarded that the facility of large size was considerably more eco-friendly than small size(below 5,000ton/day) due to efficiency of electricity consumption and stabilization in operation phase. In conclusion, LCA of environmental impacts for the operation phase of two sewage treatment processes showed that the advanced process, A2O has 17% lower environmental load than the conventional process, standard activated sludge in weighted average. Therefore, to improve the ESSD(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sewage treatment process, i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loads by reduction of water pollution and electricity consumption in operation phase. In addition, A2O process is needed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load by reduction of electricity consumption: use of eco-friendly electricity like a renewable energy, or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A2O process by technical progress can be helpful. However, more detailed research is needed because some parameters, such as recycled product, transportation of material, and pipes, were not considered in the study..

      •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의 관계

        정영란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M.A. Thesis Relation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Self-Supervision of Teachers within Kindergartens Recognized by Teachers Jeong Yeong Ra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In-Jeon Par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self-supervision of teachers within kindergartens recognized by teachers, and then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within kindergartens recognized by teachers. For doing this,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selected as follows. 1. How i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how different is it based on teacher-related variables such as age, career, academic years, and the number of classes? 2. How is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self-supervision within kindergartens, and how different is the recognition based on teacher-related variables such as age, career, academic years, and the number of classes? 3.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within kindergartens recognized by teacher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teachers working in 56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a total of 24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be analyzed. The scale for identifying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was the one adjusted and complemented by Kim Mi Gyeong (2006) based on the test presented by Gweon In Tak (1994).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a total of 17 items in the three sub-domains—unity promotion, individual concern, and intellectual stimulus—, and each item was measured by the 5-point Likert scale. The scale for identifying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self-supervision within kindergartens was the one adjusted and complemented by the author based on the test presented by Kim Soo Yeong (2002) and Lee Yeong Kee (2005).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a total of 25 items in the four sub-domains including condition of practicing self-supervision, establishing a plan , practicing, and evaluation and each item was measured by the 5-point Likert scale. As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ne-way ANOVA, Scheffe'-test,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PSS/WIN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recognized by teachers was 3.86 in the 5-point Likert scale, and as for each sub-domains, unity promotion was 3.88, individual concern 3.72, and intellectual stimulus 4.01.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n the whole and in all the sub-domains based on the number of classes. Second, the mean of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within kindergartens recognized by teachers was 3.78 in the 5-point Likert scale, and as for each sub-domains, condition of practicing self-supervision was 3.79, establishing a plan 3.73, practicing 3.79, and evaluation 3.77. A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within kindergartens recognized by teachers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academic years of teachers, the number of classes, and the careers of teachers.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within kindergartens recognized by teacher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by the whole and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both by the whole and by the sub-domains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by the whole and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by the whole (.63);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by the whole and all the sub-domains of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including condition of practicing self-supervision (.64), establishing a plan (.62), practicing (.55), and evaluation of self-supervision (.52). As for the sub-domains of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unity promotion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oth with the self-supervision by the whole (.54) and with all the sub-domains of the self-supervision including condition of practicing self-supervision (.56), establishing a plan (.53), practicing (.47), and evaluation (.45). Individual concern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oth with the self-supervision by the whole (.51) and with all the sub-domains of the self-supervision including condition of practicing self-supervision (.52), establishing a plan (.55), practicing (.45), and evaluation (.41). Intellectual stimulus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oth with the self-supervision by the whole (.60) and with all the sub-domains of the self-supervision including condition of practicing self-supervision (.54), establishing a plan (.52), practicing (.47), and evaluation (.48).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was relatively positive. Second,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self-supervision within kindergartens was relatively positive. Third, ther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kindergarten principals and the self-supervision of teachers within kindergartens recognized by teachers. 요 약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및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이 어떠하며, 나아가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의 관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교사 관련 변인(연령, 경력, 학력, 학급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2)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교사 관련 변인(연령, 경력, 학력, 학급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3)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대구와 경북 지역에 소재한 56개 사립유치원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47부를 분석 하였다.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는 권인탁(1994)의 검사를 기초로 김미경(2006)이 수정 ‧ 보완한 내용을 본 연구자가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결속 촉진, 개별적 관심, 지적인 자극의 3개 하위요인으로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다.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척도는 김수영(2002), 이영기(2005)의 검사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질문지의 일부 내용을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원내 자율장학의 시행 여건, 원내 자율장학의 계획 수립, 원내 자율장학의 실행, 원내 자율장학의 평가의 4개 하위요인으로 총 25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WIN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측정,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Scheffe'-test),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평균은 5점 척도에서 3.86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결속 촉진 3.88, 개별적 관심 3.72, 지적인 자극 4.01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전체뿐만 아니라 모든 하위영역에서 학급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 평균은 5점 척도에서 3.78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시행 여건 3.79, 계획 수립 3.73, 실행 3.79, 평가 3.77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는 교사 학력, 학급수와 교사 경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의 관계에서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전체와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 전체 및 하위영역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전체와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 전체(.63)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의 모든 하위영역 즉, 시행 여건(.64), 계획 수립(.62), 실행(.55), 평가(.52)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결속 촉진은 자율장학 전체(.54)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율장학의 모든 하위영역 즉, 시행 여건(.56), 계획 수립(.53), 실행(.47), 평가(.45)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개별적 관심은 자율장학 전체(.5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율장학의 모든 하위영역 즉, 시행 여건(.52), 계획 수립(.55), 실행(.45), 평가(.41)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지적인 자극은 자율장학 전체(.60)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율장학의 모든 하위영역 즉, 시행 여건(.54), 계획 수립(.52), 실행(.47), 평가(.48)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비교적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셋째, 교사가 인식하는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원내 자율장학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 치과위생사 역할중심의 문제중심학습 패키지 개발과 적용

        정영란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 치위생과 교육과정의 비현실성과 비적합성에 대한 문제 제기의 대안으로 대상자의 문제해결력을 높이는 학습법인 PBL을 치위생과에 도입하고자 치과위생사 역할중심의 치위생과 PBL 패키지를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치위생과에 PBL이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도입되어 지식·기술·태도 및 문제해결력이 우수한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데 이바지 하고자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과위생사 역할중심의 치위생과 PBL 패키지를 개발한다. 둘째, 치과위생사 역할중심의 치위생과 PBL 패키지를 적용한다. 셋째, 치과위생사 역할중심의 치위생과 PBL 패키지 적용 후 평가를 통해 개선점을 수정하여 지식·기술·태도 및 문제해결력이 우수한 치과위생사를 양성하기 위한 본 패키지를 완성한다. 위 연구내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패키지 개발, 적용, 평가, 수정의 과정을 거쳤는데, 먼저 PBL 패키지 개발과정으로 2002년 11월부터 2003년 1월까지 PBL의 활용과 패키지 개발에 관한 자료조사기간을 갖고, 2003년 2월까지 예비 프로그램인 4주 분량의 PBL 예비 패키지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예비 패키지의 적용은 경기도 소재의 S대학 치위생과 2학년 16명을 대상으로 주당 100분씩 4주간에 걸쳐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평가로 적용 전 학습자 사전평가와 적용 후 학습자 자가 평가, 학습자 강의평가, 전문가의 패키지 평가, 연구자의 패키지 자가 평가 등의 평가를 하였다. 평가 결과자료는 백분율로 분석하여 알아보기 쉽게 Microsoft Excel을 이용한 3차원효과의 원형차트로 재표기하였다. 평가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패키지 적용에 참여한 학생들은 치과위생사의 역할 즉, 예방치과처치자의 역할과 구강보건교육자의 역할, 치과진료협력자의 역할, 코디네이터의 역할에서 각각 86%, 67%, 75%라는 긍정 이상의 반응을 보였고, 패키지 진행과정에 대해 55%가 긍정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PBL에 대한 관심과 흥미 정도에 대해서는 95%가 긍정 이상의 답변을 하였고, 전반적인 학업성취에 대한 만족도와 치과위생사로서의 지식·기술·태도의 함양에 대한 PBL의 영향은 79%가 긍정 이상이라고 응답하였다. 전문가 평가에서 치위생과에 PBL의 도입은 종합적 사고 능력의 함양으로 치과위생사의 실질적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하였고, 패키지에서 선정된 상황은 의료 현장을 반영하여 적절한 선택이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패키지의 난이도는 대체적으로 적절했으며, 인터넷 공간의 활용에 대해 긍정적이었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학점·시수의 배당은 부적절하다고 조사되어 이 부분은 본 패키지에서 수정하였다. 예비 패키지는 학습자 사전평가, 학습자 자가 평가, 학습자 강의평가, 전문가의 패키지 평가, 연구자의 패키지 자가 평가를 참고하여 일부 수정을 거친 뒤 본 패키지로 완성하였다.

      •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이 학습자의 태도, 학습 결과 및 성찰적 실천에 미치는 영향

        정영란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 유형에 따라 학습자의 태도인 자기 인식과 참여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학습결과로 비판적 사고력과 포트폴리오 평가 점수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또한 성찰적 프로젝트 중심 학습 환경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실천이 어떻게 개선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 목적은 성찰적 실천 과정이 학습자의 전문적 능력과 태도를 개발하고 고도의 사고력을 개발하는 유의미한 학습을 촉진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연구 수행을 위해 독립 변수로는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을 성찰적, 협력적, 개별적 프로젝트 중심 학습의 세가지 수준으로 구분하였으며, 종속 변수로는 학습자의 태도와 학습결과를 포함하였다. 학습자의 태도로는 자신의 학습 과정과 결과에 대한 자기 인식검사 점수 및 자기 인식 메시지 점수와, 학습자의 참여도로 게시판 참여 점수와 실시간 토론 참여 점수를 고려하였다. 또한, 학습 결과로는 고도의 사고력을 측정하는 비판적 사고력 검사 점수 및 비판적 메시지 점수와, 프로젝트 과정 수행에 따른 결과물인 포트폴리오 평가 점수를 고려하였다. 그리고 집단간 학습자의 사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컴퓨터 사전 경험 점수와 수업체제설계 배경지식 점수를 공분산으로 고려하였다. 연구 대상은 H대학의 3~4학년 학생으로 구성하고 성찰적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는 29명의 7개 팀으로, 협력적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는 23명의 8개 팀으로, 그리고 개별적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는 17명의 개별 학습자를 배치하였다. 연구 절차는 먼저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각 집단별로 마련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통해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안내와 수업체제 설계에 대한 학습 내용과 사례 등을 제공하였다. 프로젝트 과정이 종료 된 후에는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집단은 별도의 학습 환경을 제공 받았는데, 성찰적 프로젝트 중심 학습 집단은 비판적 질문 제시와 토론, 그리고 성찰일지의 작성 등의 성찰적 실천 전략을 포함한 학습 환경을 제공받았다. 협력적 프로젝트 중심 학습 집단은 토론과 협력을 위한 학습 환경을 제공 받았다. 개별적 프로젝트 중심 학습 집단은 개별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 설계에 따른 학습자의 태도 및 학습 결과에 대한 측정과 분석 뿐만 아니라 성찰적 실천과정을 수행한 성찰적 프로젝트 중심 학습 집단의 학습과정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는데, 이는 성찰적 실천 과정이 다분히 질적인 측면을 포함하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인 실험 연구와 질적 연구인 메시지 분석을 병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찰적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 집단이 성찰적 및 개별적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 집단에 비해 자기 인식 메시지 점수와 게시판 참여 점수와 같은 학습자의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둘째, 성찰적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 집단은 비판적 사고력 메시지 점수와 포트폴리오 평가 점수 등의 학습 결과에서 협력적 및 개별적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 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성찰적 실천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기 인식을 통해 자신의 학습과정과 결과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수행하고 이를 개선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은 학습자의 자기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자기 인식과 같은 성찰적 태도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과 결과에 대하여 깊이 성찰하도록 함으로써, 전문적 지식이나 기술 혹은 고도의 사고력과 같은 능력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 둘째,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은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는 결과를 보였다. 학습자는 학습 과정에서 교수자의 비판적 질문에 대한 토론과 토론 후에 성찰일지를 작성하는 등, 자신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겪었다. 이러한 학습 활동은 학습자가 학습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은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학습과정에서 비판적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이나, 자신들의 학습과정 및 결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성찰 일지를 작성하는 과정 등이 결과적으로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를 촉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은 학습자의 포트폴리오 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는 성찰적 실천 과정은 학습 결과물인 포트폴리오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자기 평가를 통해서 개선되는 전략을 사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성찰적 실천 과정은 학습자들이 개발해야 할 최종의 학습 결과물과 이를 작성하기 위한 학습과정이 분리되지 않고, 학습과정과 결과가 지속적으로 순환되어 학습자의 탐구적 학습을 지원하는 유용한 교수-학습 환경으로 사용될 수 있다. 성찰적 실천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과정과 결과에 대하여 심도 있게 평가해보는 성찰적 태도를 갖게 되었으며, 자신이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개발하게 되었다.

      •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만5세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정영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만 5세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유아 사회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유아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