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니 스미스(Tony Smith)의 조각에 나타난 다의적 특성

        정승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nalyzes the polysemous characteristics of Tony Smith(1912-1980)’s sculptures. His work started to be cited as Minimalism receiving attention for geometric composition in the 1960s, and discussions on his work have focused mainly on his early work and fragmentary interviews within the category of Minimalism. However, his work has parts conflicting with the Minimalist school while being allied with it overall. Hence, this study intended to look at his work more comprehensively focusing on the ambivalent characteristics found continuously in his work. Smith’s sculpture expresses materiality through geometric composition and the introduction of an made-to-order system, encouraging the viewer to have physical experience in real space-time. This is the characteristic that his sculpture and Minimalism share, which aroused criticism among Modernists as a specimen of Minimalism’s “theatricality.” However, his work includes various traits in contradiction to this simultaneously. To begin with, sculptures by Smith employ mathematical and scientific elements such as the repetition of unit elements and symmetric structures, etc. Composed of logical systems, his sculpture looks geometric and simple but its form is unclear on the other hand. This is due to the variable form expressed by an arbitrary combination of unit elements. In his sculpture, organic features coexist with unsystematic features. That is, a paradox which even expresses emotional aspects can happen by adding organic features to his geometric sculpture with a sensible system. In addition, Smith actively added descriptive elements to his geometric sculpture. The title of his work, in particular, is a vital clue suggesting its contents. Based upon this, various contents can be inferred: a conception giving shape to things, evidence of referring to specific materials of literature, and religious symbolism. Moreover, the dynamic form and the traces of manual labor of his work are also an instrument to reveal the emotional aspects of the author. His abstract sculpture showing descriptive features makes two contrasting elements, formalities and contents, coexist. On the other hand, he actively involved the viewer in his work by setting up both sculptural and architectural space. Due to the architectural elements related to real life, the viewer can be encouraged to get concrete experience through the body. In addition, he expressed the flow of space by emphasizing the existence of empty space as well as setting up a solid structure made up of a space lattice. Moreover, he once made a sculptural room where empty space and light were highlighted as key elements by sculpting the whole space in which works are exhibited. Also, he presented sculptures corresponding to structures by installing them outdoors. Several sculptures in harmony with nature or a city foster a new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transform everyday space into an exhibition. Thus, Smith’s artworks have complex aspects crossing the borders between logics and sensitivity, formalities and contents, and sculpture and architecture. Because of this, some part in his sculpture cannot be explained by discussions focusing mainly on Minimalism. Especially, Smith’s heterogeneous artworks cannot be defined based solely on formal traits. Instead, they reveal that such a categorization is artificial. Therefore, the meanings of his work will be understood more comprehensively by noticing a variety of traits in his work.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recalls values excluded by Minimalism, and presents a possibility of new awareness of this. 본 논문은 토니 스미스(Tony Smith, 1912-1980)의 조각에 나타나는 다의성을 살펴본 연구이다. 스미스의 작품은 1960년대에 기하학적 양식으로 주목받으면서 미니멀리즘과 관련지어졌으며, 그의 작업은 주로 미니멀리즘의 범주 안에서 초기 조각 및 단편적인 인터뷰에 집중하여 논의되었다. 그러나 스미스의 작업 전반에는 미니멀리즘과 맥락을 같이 하면서도 그것과 상충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미스의 작품에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양면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그의 작업 세계를 보다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스미스의 조각은 기하학적 형태, 주문 생산 방식의 도입 등을 통해 물성이 부각되며, 관람자의 신체적인 경험과 실제적인 시‧공간 속에서의 체험을 이끌어낸다. 이는 스미스의 조각과 미니멀리즘이 공유하는 특성으로서, 그의 작품은 연극성(theatricality)을 드러내는 미니멀리즘의 표본으로 여겨지며 모더니스트들의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스미스의 작업은 이와는 상반되는 다양한 특성들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우선, 스미스의 조각에는 단위 요소들의 반복과 대칭의 구조 등 수학 및 과학의 요소가 차용되었다. 논리적 체계로 이루어진 그의 조각은 기하학적이고 단순한 외관을 보여주면서도, 한편으로는 명료하지 않은 형태로 드러난다. 이는 단위 요소의 임의적인 결합을 통해 나타난 가변적 형태 때문으로, 그의 조각에서는 유기적이고 불규칙적인 특징이 동시에 표출된다. 즉 합리적 체계가 내재된 스미스의 기하학적 형태의 조각은 유기적인 특징이 결합됨으로써 이를 통해 감성적 측면까지도 표현하는 역설이 공존하는 것이다. 또한, 스미스는 기하학적 형식의 작품에 서술적인 요소를 포함시켰다. 특히 그의 작품에서 제목은 그 내용을 암시하는 주요 단서가 된다. 여기에서는 사물의 형태를 재현하는 구상성이나 특정한 문학적 자료를 차용한 증거, 종교적 의미를 내포한 상징성 등 다양한 내용을 유추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스미스 조각의 역동적인 형태와 수공의 흔적은 작가의 감성적 측면을 드러내는 수단이기도 하다. 서술성을 읽어낼 수 있는 그의 추상 조각은 형식과 내용을 오가며 대비되는 두 요소를 양립시킨다. 한편, 그의 작업은 조각적이면서도 건축적 공간을 구현하고 관람자의 존재를 적극적으로 개입시킨다. 실생활과 관련된 건축적 요소가 도입된 스미스의 조각은 관람자의 신체를 통한 구체적인 경험을 유도한다. 또한 공간 격자(space lattice) 작업을 통해 견고한 구조물을 구축하면서도, 빈 공간의 실체를 강조하며 공간의 흐름을 나타낸다. 그뿐 아니라 작품이 전시되는 전체 공간을 조형화함으로써 빈 공간과 빛을 작품의 핵심 요소로서 강조하고, 조각적 방을 구현한 경우도 있다. 나아가 그의 조각은 야외 설치 방식을 통해 건축물에 상응하는 조각을 제시한다. 자연 혹은 도시와 어우러지는 여러 개의 조각들은 새로운 건축적 환경을 조성하게 되며, 일상의 공간을 전시장으로 변모시킨다. 이처럼 스미스의 작품은 논리와 감성, 형식과 내용, 조각과 건축 간의 경계를 넘나들며 복합적인 면모를 보인다. 그의 조각은 미니멀리즘의 주된 담론으로만은 설명할 수 없는 측면이 존재하는 것이다. 특히 이질적인 요소들이 공존하는 스미스의 작품은 형식적인 특징만으로는 규정될 수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구분이 인위적임을 드러낸다. 따라서 스미스의 작업에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에 주목하는 것은 그의 작품이 가지는 의미를 보다 총체적으로 바라보게 한다. 나아가 그것은 미니멀리즘에서 배제되어 온 가치들을 환기시키고, 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단편영화 <처가> 제작보고서 : 디지털 영화제작 공정에서의 편집을 중심으로

        정승은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is a research paper on the editing of the digital short film Beyond Recall, an independent film supported by Korean Film Council. In this research the film was divided into two aspects- theoretical and technical aspects-to analyze editing of the relevant film and its process in depth. It is necessary not only to understand it through the grammatical knowledge of film but also to address how digital production process of Korean film has developed and what influence has it on the editing of this film and its process, to make more easily the study of editing and process of Beyond Recall, produced in digital totally from shooting to the finished movie. And based on this research, how editors should make use of and supplement pros and cons of digital in the digital production environment and how they should approach editing were investigated. For this, by looking into minutely how digital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Korean film after nonlinear editing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country and its influence, this paper helps understanding of emergence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digital films, including Beyond Recall. Particularly, it is also studied what effect the appearance of digital cinema camera RED ONE MX, used for shooting Beyond Recall, and the Final Cut Pro 7, the editing program, had o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feature film and the production of the short film. It is not new to review the past’s stream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process of Beyond Recall produced in 2013, as domestic film production environment has responded to digitalization at speed up to date since the 2000s. However, at the present point when Seoul Film Laboratory, the last cinefilm developer’s in Seoul, closed up a business in January, 2014, and major theaters in Seoul were also replaced with a digital projector, as Cinecube showed a movie lastly, it is meaningful to organize and mediate even partially on the time of the combined application of analogue which will disappear in the history and digital. Moreover, to organize in detail how editing went along to deliver meaning of this film effectively, Soviet montage theory based on classical grammar of film, starting with D.W.Griffith and connected to Vsevolod Pudovkin, Lev Kuleshov, and Sergei M.Eisenstein was also investigated. And the editing theories of Edward Dmytryk and Walter Murch who developed theories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diting were also reviewed based on these. The reasons this research studied these and edited and analyzed Beyond Recall were as follows: it is because the story of Beyond Recall has the linear structure, and because it is a movie demanding the invisible editing frame made by calculating for audiences to forget their watching the edited film, and also a movie demanding the montage theory to arouse immersion in the plot, tension and emotional refreshing. However, the audiences who have encountered nonlinear story structure and images rapidly edited focusing on image since MTV music video could consider this linear story structure and invisible editing method as outdated. A movie, however, is different according to how it is delivered to audiences with what story, and it may be the difference of choice that transforms properly to each movie and uses based on grammars of films. Accordingly, digital films cannot also get out of the way of conveying story with which the audience can sympathize, and therefore Beyond Recall was also edited on the basis of these theories. Film makers’ understanding of digital production process is essential in making films in order to use digital as the convenient tool, but to avoid being eaten by the technology. As Zach Staenberg mentioned what makes a movie ‘a movie’ is editing, editors also need to be well- acquainted with the language of film basically and to make an endless effort to develop it logically as well as understand digital production process for this creative work. Accordingly, for the film makers who have experienced only digital-based movie production or gone through changes from film shooting production environment to the digital production environment,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wareness of digital film production method and editing work, through analysis of editing the short film Beyond Recall and through study on its process. 이 논문은 영화진흥위원회 독립영화 지원작인 디지털 단편영화 <처가, Beyond Recall>의 편집에 대한 연구보고서이다. 본고에서는 해당 영화의 편집과 그 과정에 대해 심도있게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인 측면과 기술적인 측면 두 가지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이는 촬영부터 완성본까지 모두 디지털로 제작된 <처가>의 편집과 그 과정에 대한 연구를 원활히 하기 위해, 영화의 문법적 지식을 통한 이해 뿐만 아니라 필수적으로 한국 영화의 디지털 제작 과정이 어떻게 발전되어 왔으며 이 영화의 편집과 그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짚어 보아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디지털 제작 환경에서 편집자는 디지털의 장단점을 어떻게 활용 보완하며 편집에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 비선형 편집 시스템이 자리잡은 후부터의 디지털이 어떻게 한국 영화에 도입되어 왔고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 상세히 알아봄으로써 <처가>를 비롯한 디지털 영화들의 출현과 제작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특히 <처가>의 촬영에 사용된 디지털 시네마 카메라 레드 원 엠엑스(RED ONE MX)와 편집 프로그램인 파이널 컷 프로 7(Final Cut Pro 7)이 등장함으로써 장편영화 제작환경과 단편영화의 제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국내 영화의 제작환경은 2000년대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디지털화에 급속도로 대응해 왔기 때문에 2013년에 제작된 영화 <처가>의 제작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과거의 흐름을 살펴 보는 것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2014년 1월에 서울의 마지막 영화 전문 필름 현상소였던 서울필름현상소가 문을 닫았고 서울의 주요 극장들 또한 씨네큐브를 마지막으로 디지털 상영기로 교체된 현재의 시점에서, 역사속으로 사라질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혼용 시대를 부분적으로나마 정리하고 되새기는 것은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영화의 효과적인 의미 전달을 위해 편집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상세히 정리하고자 그리피스(D.W.Griffith)로 부터 출발하는 고전적 영화문법을 기본으로 하여 푸도푸킨(Vsevolod Pudovkin), 쿨레쇼프(Lev Kuleshov), 에이젠슈타인(Sergei M.Eisenstein)으로 이어지는 소비에트 몽타쥬 이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들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편집 적용 방향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킨 에드워드 드미트릭(Edward Dmytryk)과 월터 머치(Walter Murch)의 편집 이론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이들을 연구하여 <처가>의 편집을 진행, 분석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처가>의 이야기는 선형 구조를 가지고 있고 관객들이 편집된 영화를 본다는 사실을 잊게끔 계산되어 이루어지는 비가시적 편집(Invisible Editing)의 틀 이 요구되는 영화이며, 극의 몰입과 긴장감, 정서의 환기를 유발하기 위해 몽타주 이론 또한 요구되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문화의 디지털화에 따른 비선형 이야기 구조와 MTV 이후 이미지 중심으로 빠르게 편집된 영상물을 접해온 관객들은 이러한 선형적 구조의 틀과 편집의 이론들을 고루하게 받아들일 수도 있다. 하지만 영화는 관객들에게 어떤 이야기를 어떻게 전달하는가 하는 것에서 차이가 생기는 것이고, 이것은 영화가 지닌 문법들을 기본으로 하여 각 영화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하는 선택의 차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방식 역시 관객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 전달 방법을 크게 벗어날 수 없으며 그렇기 때문에 <처가> 역시 위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편집하게 된 것이다. 영화 제작에 있어 디지털을 편리한 수단으로써 이용하되 기술에 잠식 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영화 제작인들의 디지털 제작 공정에 대한 이해 가 필수적이다. 영화를 영화답게 만드는 것이 편집이라고 자크 스탠버그(Zach Staenberg)가 말했듯이, 이 창조적인 작업을 위해 편집자 역시 디지털 제작 과정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영화의 언어를 기본적으로 숙지하고 논리적으로 풀어나가기 위해 끊임 없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기반의 영화만을 제작한 경험이 있거나 혹은 필름 기반의 제작 환경에서 디지털 제작 환경으로의 변화를 겪고 있는 영화 제작인들에게 단편영화 <처가>의 편집 분석과 과정 연구를 통해 디지털 영화의 제작방식과 편집 작업에 대한 인식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인물의 정체성이 분열된 영화 <둘이, 걷다>의 편집 연구

        정승은 동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study investigated editing techniques of <Walking Together>(2015), a movie about isolated and fragile identity of people in today’s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This movie reflects and criticizes the society through a story in which the protagonist, who used to isolate herself due to external circumstances, creates and is consoled by an alter ego without realizing. Also, unlike in other movies with a similar theme, the protagonist decide to coexist with the alter ego instead of fighting or overcoming it, emphasizing the fact that this phenomenon cannot be resolved or avoided by an individual. Individual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As the society rapidly changes and becomes more segmented, people today are placed in various subjective positions and experience different inner conflicts. Therefore, identity crisis and splitting of individuals are issues that are inseparable from modern society. However, the society only holds individuals and people around them accountable and members of the society also tend to avoid and dismiss these issues as only personal problems. People who experience identity crisis cannot control their mind and body, and other members of society cannot externally distinguish them from others. As a result, these issues have turned into subject of fear. For those reasons, this study investigated techniques used in contemporary horror films that reflect the fear and inner anxiety of our time, in order to conduct in-depth analysis of the editing techniques and theme of the subject film. To do so, first, this study examined how horror movies and the‘monsters’in them have changed. And, also, it investigated other movies in which characters experience identity crisis and splitting, i.e., Alfred Hitchcock’s <Psycho>(1960) and Darren Aronofsky’s <Black Swan>(2010), which used similar themes and techniques found in <Walking Together>. Therefore, the implications and techniques of these movies were analyzed in detail, and applied to editing of <Walking Together>. The movie tried to bring out immersion and involvement of the audience by adjusting the points of view, and used objects of projection to symbolize the desire and alter ego of the protagonist in a more condensed and effective way. Also, through montage of segmented and powerful images and editing that emphasized distortion of time and space, it highlighted identity crisis, splitting, and self-reflection, while the sound effects and music were used for revealing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aracters and increasing fear in the audience and suspense.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analysis of how the identity crisis, which is a new source of fear in contemporary society, was expressed in horror movies that deal with the subject. And, based on the result, it analyzed the production process and techniques of <Walking Together> in detail and discussed implications and detailed expressive techniques found in movies in which characters experience split identity.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help improve recognition of horror movies that are often dismissed as‘B movies,’and expand techniques and methods for effectively conveying the theme and hidden meanings. 이 논문은 고도로 발달된 산업사회 속에서 오히려 소외되고 부서지기 쉬운 현대인들의 정체성을 반영한 영화 <둘이, 걷다 Walking Together>(2015)의 편집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영화는 외부적 환경 요인으로 인해 스스로 격리되어 지내던 주인공이 그 소외감을 이기지 못하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분열된 정체성을 만들어 위로 받는다는 내용을 통해 현실을 반영하고 비판한다. 또한 대부분의 동일 소재 영화들처럼 다른 정체성과 싸워서 극복하거나 전복당하는 것이 아니라 분열된 정체성이 함께 공존하는 것으로 결말 지음으로써, 이런 현상은 개인이 해결하거나 피할 수도 없는 현실이라는 것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개인은 사회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사회가 급격히 분화되고 변화하면서 현대인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주체적 위치에 놓이게 되었고 다양한 내적 갈등을 겪게 되었다. 따라서 개인 정체성의 혼란과 분열에 대한 문제는 현대사회와 불가분의 관계이다 하지 . 만 사회는 그 문제와 책임을 일방적으로 개인과 주변인들에게 전가하고 있으며, 구성원들 또 한 개인의 문제로 치부하여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정체성의 혼란을 겪게 된 개인은 자신의 정신과 신체를 컨트롤할 수 없으며, 다른 사회 구성원들은 외적으로 그들을 구분할 수 없는데, 그렇기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는 현대적 공포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해당 영화의 편집과 주제에 대해 심도있게 접근하고 분석하고자 시대적 공포와 내 면의 불안을 반영해온 현대 호러영화의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호러영화와 그 공포를 형상화한 '괴물'의 존재가 시대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정체성 혼란과 분열을 겪는 캐릭터가 등장하는 영화들에 대해서도 연구했는데, 특히 알프레드 히치콕(Alfred Hitchcock)의 싸이코 Psycho>(1960)와 대런 아로노프스키(Darren Aronofsky)의 <블랙 스완 Black Swan>(2010)에서 <둘이, 걷다>와 유사한 주제 및 표현 방식을 발견했다. 그러므로 이들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여 내포된 의미와 표현 기법들에 대해 상세히 분석했고 <둘이, 걷다>의 편집 작업에 응용하게 된 것이다. 시선과 시점을 조율하여 관객의 몰입과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했으며, 투영하는 물체를 활용하여 나타낸 주인공의 욕망과 그 안에 내재된 또 다른 정체성을 더욱 함축적이고 효 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 또한 파편적이고 강한 이미지들로 구성된 몽타주 시퀀스와 시공간의 비약을 강조한 편집을 통해 정체성 분열과 혼란, 성찰의 순간을 강조했으며, 사운드 효과와 음악을 이용하여 인물의 심리상태를 드러내고 관객의 공포심과 서스펜스를 증대하는 효과를 얻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현대인의 자아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현대사회의 새로운 공포로 보았으며 해당 장르와 동일 주제의 영화들에서 이 문제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에 대해 상세히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둘이, 걷다>의 제작 과정과 표현 기법에 대해 상세히 분석하여 인물의 정체성이 분열된 영화에 내포된 의미와 상세한 표현 기법 사례를 남기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B급 영화'로 폄하되고 있는 호러영화에 대한 인식의 향상을 기대하며, 주제와 내포된 의미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전략과 표현 방식의 선택 범위가 더욱 다양해지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 Cross-priming에서의 4-1BB의 역할

        정승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Cross-priming이란 외부항원이 항원제시세포에 수용되고 재표현 되는데 세포용해성 T 림프구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외부항원이 라이소솜 되어 MHC class II로 펴현되는 것이 아닌, TAP-mediated transport에 의해 MHC class I에 표현되어 CD8+ T세포를 priming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효과적인 cross-priming을 위해 세포용해성 T 림프구는 CD4+ T세포의 도움을 필요로 하며 이 과정에는 CD40/CD40L ligation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 된 바 있다. 이처럼 CD40/CD40L ligation이 cross-priming에 필수적이지만 그 외에 다른 공동자극분자 역시 cross-priming에 필수적이라고 추정되고 있아. 그 중에서도 4-1BBL가 결핍된 쥐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보면, 4-1BBL가 cross-priming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4-1BB역시 이 과정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추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CTL은 major histocompatibility (MHC) class I 분자에 제시된 펩타이드 항원 복합체를 인식한다. T 세포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1차 신호인 TCR/CD3 복합체의 자극과 2차 신호인 공동자극분자의 신호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2차 신호인 공동자극 분자의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4-1BB는 활성화된 T세포 군에서 일부의 세포군 만이 발현하는 CD28과 같은 중요한 공동자극분자이지만 아직 그 기능이 확실히 연구되어있지 않다. 우리는 활성화된 CD8+ T 세포에서 4-1BB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CD11c +DCs에서 4-1BBL의 발현 또한 FACS로 분석하였다. 흥미롭게도 cross-priming에서 4-1BBL를 차단시켰을 때 대조군에 비해 그 값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cross-priming에 의해 MHC class I과 CD8+ T 세포가 상호작용하여, CTL 반응을 유도할 때 4-1BB/4-1BBL 상호작용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 4-1BB/4-1BBL가 cross-priming에 의해 DCs와 CD8 + T 세포가 상호작용할 때 공동자극분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잘 이용하면 암 등의 질병 치료에 좋은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Cross-priming represents the induction of cytotoxic T lymphocyte responses to exogenous antigens that are captured and re-presented on bone-marrow-derived antigen-presenting cells. Namely, not extracellar antigen turn into lycocome and then present on MHC class II, but present on MHC class I by the TAP-mediated transport and then make priming CD8+T cell. For effective CTL priming, the cross-priming APC must ve signaled Via CD40 by a CD4+ helper T cell and that this pathway CD40/CD40L ligation is most important thing. Although CD40/CD40 ligation is necessary on cross-priming but the other costimulatory molecules are also necessary on cross-priming. 4-1BBL Knockout mice showed the reduced CTL response. This means that 4-1BB/4-1BBL interactions are involved in the cross-priming. So, 4-1BB seems to be associated in this response. Because CTL have to recognize peptide like a CD28, 4-1BB are needed for activition. 4-1BB in importnat constimulatory molecule, and expressed on active T cells. 4-1BB is completely elucidated not yet. We found the expression of 4-1BB on activated CD8+ T cell, and also expressed on CD11c+ DCs from spleen. When 4-1BBL was blocked in CD8+ T cell activation via antigen-pulsed DC, its response was partially decreased. Therfore, we thought that 4-1BB was involved in cross-priming via interactions between CD8+ T cells and DCs, and this will be helpful for transplantation, cancer therapy, and other immunotherapy.

      • 高麗時代 懸爐 硏究

        정승은 동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An incense burner is the instrument offered to the Buddha for burning incense. Offering incense to the Buddha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ancient times. There was a unique type of an incense burner in the Goryeo Dynasty and it is the very 'hanging incense burner'. The hanging incense burner means an incense burner to be hung up. This study was done for 13 hanging incense burners manufactured in the Goryeo Dynasty and examined the hanging incense burner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including its origin and manufacturing background, types and characteristics and use. In the Chapter II, The Origin and the Advent of Hanging Incense Burner in the Goryeo Dynasty, this research examined its manufacturing background and designation. An hanging incense burner existed in the ancient China. However, it differs from that of our nation in terms of appearance. Therefore, the hanging incense burner of the Goryeo Dynasty may be said to have been standardized in the Goryeo Dynasty . As for the designation of the hanging incense burner, this study investigated it based on incense burners excavated from the Beopcheonsa TempleSite, in particular, 'Hanging Incense Burner with Inscription of Muja’ and identified if it was substituted by other terms. In the Chapter III, this study identified kinds and developments of incense burners in the Goryeo Dynasty. In the Goryeo Dynasty, Buddhism was developed greatly since Goryeo was the Buddhist nation. Hence, in order to offer incense to the Buddha, there were a number of kinds of incense burners necessarily. In the Goryeo Dynasty unlike other dynasties, there were three kinds of incense burners including ones held with a hand, positioned at a table and hung up somewhere for use. In this Chapter, this study examined kinds of incense burners and characteristics of hanging incense burners in the Goryeo Dynasty. In the Chapter IV, this study investigate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anging incense burners in the Goryeo Dynasty. External forms of the hanging incense burners in the Goryeo Dynasty may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height and the maximum width of a body. Besides,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characteristic, it shows that handle and body express lotus blossoms and leaves intentionally and there is a little subtle difference in decoration. Finally, as for their use, as shown from the inscription, the hanging incense burner excavated from the Beopcheonsa TempleSite was manufactured to hang in front of Amitabha at the Amita Buddha Buddhist ceremony on February, Muja Year. As such, hanging incense burner was manufactured to be hung for use. As a result of measuring weights of 13 hanging incense burners, there was the one weighted less than 100g so it is assumed that one may hang it up enough. In addition, there is an incense burner hung at the back of luggage of a monk in the Gubeopseungdo excavated from Dunhuang so it is regarded that mobile incense burner was used too. Accordingly, it may be assumed that hanging incense burner in the Goryeo Dynasty was hung on a handle or a chain at a Buddhist ceremony. Also, mobile incense burner was used too. In the Chapter V, based on analysis above, this study estimated the chronology and transition of the hanging incense burner. As for the objects excavated from temple sites,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for relics having a correct chronology or showing a stylistic characteristic clearly. As a result, it shows that these temples existed commonly from the mid 11th century to the early 13th century. Based on such a fact, transitions of hanging incense burners were examined through their characteristics and it reveals that in the early times decoration of lotus petals was detailed and splendid, schematized and decayed gradually. From the mid 13th century, hanging incense burners did not appear any more and a jade lamp very similar to a hanging incense burner appeared from the late 13th century. It may be said that hanging incense burner in the Goryeo Dynasty changed into a lamp in terms of its use. Art culture the most Korean bloomed in the Goryeo Dynasty from the 11th century to the early 13th century. Unique craft works of the Goryeo Dynasty's own unlike those from other dynasties were created and one of them is a hanging incense burner. Along with the activation of Buddhism since the mid 11th century, in such a period, it is assumed that objects of a kind were used for different purpose in a temple to make Buddhist rituals more magnificent. Hanging incense burners came to appear along with such recognition of people in the Goryeo Dynasty. Hanging incense burner is both an aspect showing the crafts in the Goryeo Dynasty and an important key word reflecting the variety of the Buddhist crafts.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hanging incense burners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ir interconnections with other craft works in terms of the cultural history.

      • 탈북청소년 자립지원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승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 social problems of social maladaptation and economic poverty of North Korean defectors, despite the laws and social adaptati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various settlement support systems. Recently, more than 80%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South Korea are women, and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their children is also increasing. The trauma and emotional instability experienced by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causes confusion of identities and difficulty in career paths and employment even after domestic settlement, hindering stable social settlement. Therefore, he sought to study the support policies necessary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 important asset of the country as a generation of a unified future, to become independent as members of a healthy society, and to propose improvements. 이 연구는 북한 이탈주민을 위한 법률과 사회적응 교육, 다양한 정착지원제도에도 불구하고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부적응과 경제적 빈곤이라는 새로운 사회 문제가 발생하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남한에 입국하는 북한 이탈주민 중 80% 이상이 여성이며, 그 자녀들인 탈북청소년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다. 탈북청소년이 탈북 과정에서 겪는 트라우마와 정서적 불안정은 국내 정착 이후에도 정체성 혼란과 진로·취업의 어려움을 초래하여 안정적인 사회정착을 방해하고 있다. 따라서 통일미래 세대로서 국가의 중요 자산인 탈북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자립하는데 필요한 지원정책을 연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