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중매체의 악당캐릭터를 차용한 도자조형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정소명 창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매스미디어의 스핀오프 콘텐츠에 등장하는 악당 캐릭터를 혼성적인 차용의 전략들을 활용하여 선악에 대한 현 시대의 변화된 관념을 표현한 도자 조형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차용의 방식과 차용의 대상인 스핀오프 콘텐츠는 각각의 영역에서 현 시대의 문화적 맥락을 드러내며, 도자는 그 자체의 물성과 감성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표현하는데 조력한다. 현대미술은 메스미디어의 과잉현실 속에서 소재와 매체 그리고 의식이 다원주의적 양상을 보이는데, 현대의 예술가들은 자신이 원하는 소재와 매체를 선택적으로 차용하여 창작에 활용한다. 따라서 차용은 시대적, 문화적 맥락에 따른 예술에 대한 방식과 생각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으며, 다원주의에 대응하는 새로운 조형원리로서 현 시대의 예술 창작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매스미디어는 기존의 선악의 대립이 대두되는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선과 악을 극단적으로 양분하고 권선징악의 서사구조를 통해 관객의 감정반응을 유도해왔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대중은 기존의 이분법적 선악대립 구도에 대한 권태와 현실과의 불합치를 느꼈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의 타자에 대한 관심은 보편적 선에 대립되던 악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대중의 의식 변화는 매스미디어의 새로운 콘텐츠 제작에도 반영되었는데, 연구자가 근거로 제시한 사례들을 살펴보면 기존의 선과 악에 대한 대중의 고정관념을 해체하고, 악당인물을 통해 선악이 공존하는 인물의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이분법적 선과 악의 대립적 개념이 아닌 선악이 공존하는 인간 존재의 다면성을 강조한 것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스핀오프의 콘텐츠 제작이 비록 명백한 자본주의의 목적 달성을 위한 제작이라 할지라도 원작을 바탕으로 새로운 것을 창작하고, 원작을 통해 믿어왔던 개념을 해체하는 점에서 끊임없이 융합과 창조의 순환을 보이는 현 시대의 특징을 드러낸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현 시대를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서 예술이라는 범주만이 아닌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성과 시대적 흐름을 작품에 반영하고, 대중에게 한발 더 쉽게 다가 갈 수 있는 방법을 도자 조형 캐릭터로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작품을 통해 현실에서 마주하는 선악의 갈등들을 객관적 시점에서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하고, 자아의 회복과 인간 존재에 대한 다면적 시각을 이끌어내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 향 계열별 개별 향 물질 자극에 의한 뇌파 반응의 차이

        정소명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 분자 구조에 따라 정립한 향 계열별 대표적인 향 1종 씩 총 16종(Bergamot, Aldehyde, Apple, Galbanum, Peppermint, Marjoram, Pine, Peach, Jasmine, Patchouli, Ambergris, Musk, Oak Moss, Clove, Vanilla, Caramel)을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0.01-100%)의 향 자극이 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향 자극(흡입)에 따른 정량 뇌파를 분석하고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향은 뇌파지표의 활성과 비활성화 정도에 따라 이완과 각성 작용 향으로 분류 가능하였고, 저농도보다 고농도에서 향의 특성이 명확하게 나타났다. 정량 뇌파의 기준으로 θ파와 α파가 활성화되는 이완효과의 향은 갈바늄, 마조람, 클로버, 자스민, 앰버그리스, 머스크, 오크모스, 피치이고, β파, γ파, SEF 50 및 SEF 90가 활성화 되는 각성 작용의 향은 버가못, 페퍼민트, 파인, 파출리, 알데하이드, 바닐라, 캐러멜, 애플향 이었다. 향 자극에 따른 다양한 뇌파지표들은 향의 특성을 나타내는 향 계열, 상쾌도, 향의 잔존 정도를 나타내는 지속성 지수들과 연관되었다. 향 특성에 따른 뇌파 변화의 상관성은 향 계열 > 지속성 지수 > 상쾌도의 순 있었으며, 향의 흡입농도가 증가할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가 농도이며, 뇌파지표가 향의 특성을 설명하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In this study, representative 16 scent factors(Bergamot, Aldehyde, Apple, Galbanum, Peppermint, Marjoram, Pine, Peach, Jasmine, Patchouli, Ambergris, Musk, Oak Moss, Clove, Vanilla, Caramel)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chemical molecular structure was investigated on effects of brain activity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cent(0.01-100%). Twenty women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brain wave stimulation target direction (intake), and evaluating the correlation. Scent can be classified as a relaxation and awakening in accordance with the scent of a brain wave activity, the characteristic of the flavor was clearly expressed in a high concentration than the low concentration. Aromas of relaxation that θ wave and α wave are activated on the basis of quantitative EEG are Galvanic uranium, Marjoram, Clover, Jasmine, Amber Greece, Musk, Ohkeumoseu, Pitch and β wave, γ par, SEF 50, and SEF 90 were activated in aromas of Bergamot, Peppermint, Pine, Patchouli, Aldehydes, Vanilla, Caramel and Apple. Various brain wa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cent stimulation were associated with the persistence index indicating scent series, the degree of refreshing and residual flavor. EEG changes correl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 scent showed the Fragrance Family, Substantivity index, Refreshing tone in this order, and it was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flavor was higher. These results means that the density sh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flavor characteristics, and also the EEG be used as a useful indicator that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scent.

      • 스프링 격벽과 상호작용하는 슬로싱 유동의 충격 저감 효과에 관한 연구

        정소명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운항 중에 슬로싱 현상은 자주 관찰되는데 이 슬로싱 현상은 조선해양공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문제 중 하나이다. 슬로싱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저장 용기의 위 벽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구조물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런 슬로싱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슬로싱 충격 압력은 피할 수 없는 존재이다. 따라서 슬로싱 저감을 위한 여러 선행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먼저 챔퍼를 이용하는 방법은 탱크 위 벽면에서의 충격압력을 감소시키는데 탁월하지만 사각탱크에 비해 구조적으로 취약하며 저장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액체가 가지는 수직운동 성분을 확실하게 억제시키지 못한다. 다음으로 저장태크 내에 일정한 간격의 격벽이 대표적인데 예를 들면 수직 배플과 수평 배플 등이 있다. 수직 배플의 경우 적용과 제작의 편의성이 뛰어나지만 격벽의 슬로싱 충격 저감효과는 대상이 되는 모델 탱크, 배플의 높이와 너비, 개구폭 등과 같은 설계 인자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수평 배플의 경우 적하율에 구속받지 않고 유동의 수직운동 성분을 배플 사이의 공기로 억제시키지만 수평 배플이 반복하중을 받게 되는 경우 좌우 벽면에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부유식 블랭킷을 배치하는 방법은 가격이 적어 경제적이고 탱크 좌우 벽면에서의 집중 충격압력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적하율이 클 경우 탱크 위 벽면에 대해 취약한 점을 보인다. 위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탱크 내부 유동의 수직 운동 성분에 의한 탱크 위 벽면에서의 충격 압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스프링 격벽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스프링 격벽을 이용하여 공진 주기로 사각탱크를 가진 시켜 슬로싱 현상을 관찰하였다. 슬로싱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압력을 측정하였으며 위 벽에 전해지는 충격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된 스프링 시스템에서의 힘을 계측하였다. 계측된 실험 데이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가지의 통계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비교분석 하였다. Under the operation of ship or offshore structure, sloshing phenomena have been observed frequently. This sloshing flow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in the field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Structural damage on the top of the storage tank seems to be discovered when fluid sloshing is occurred. In other words, the impact pressure inducting structural failure is an undeniable by-product of sloshing phenomena. Hence, in the perspective of reducing liquid sloshing, preceeding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diverse method. One is the chamfering top edges of the storage tank and it gives remarkable effects on decreasing the impact loads on the top of the tank. Nonetheless this kind of containers have infirm structural behavior and less storage space compared to the rectangular tank. Furthermore, in this type of tanks, vertical movement of fluid is nor constrained effectually. Another research is the installing the bulk head in the storage tank, i.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baffle. It has been generally used for sloshing reduction because of the excellence of installation and production. But this type of method is extremely limited by design factors regarding model, height, breadth, and opening width of baffles. In the case of horizontal baffles, the vertical motion component of the flow is restrained by the air between the baffles without limitation of filling level. However, fatigue loads can be propagated to the right and left side walls of the tank under the condition of repeated loading on the baffles. The other method is placing the floating blanket or floaters. It is economical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ncentrated impact pressure on the right and left side walls of the tank. However, it may not effective treatment of reducing the impact pressure on the top of the tank in the high filling leve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spring baffles were introduced to reduce the impact pressure induced by the vertical motion component of the flow on the top of the tank. In the present study, the sloshing phenomena were observed by exciting the rectangular tank in resonance period and applying the spring baffles. The impact pressures caused by the sloshing phenomena were measured at two points and the impact forces in the spring system installed to control the impact pressure transmitted to the upper wall of the tank were measur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d experimental data, two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and compared.

      • 옵토일렉트릭 응용을 위한 나노 크리스탈 양자점 합성

        정소명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Semiconductor nanoparticle exhibit interesting optical properties, namely size-tunable emission color, narrow emission peak, and high luminescence. This renders these so-called quantum dots attractive towards the application as emitting material in light emitting devices. However, the prototypical quantum dot material is cadmium selenide, which is not feasible for application because of its toxicity. Therefore, the present work was aimed towards the colloidal synthesis of indium phosphide quatum dots as an alternative for cadmium selenide. An improvement of the heating-up method is its improved with the deposition of a ZnS single shell or a ZnSe/ZnS mutishelll system on the InP quantum dots. The new mutishell was shown to be superior over the single shell coating regarding the quantum yield improvement. This effect was attributed to the reduced interfacial strain mediated by the ZnSe wetting layer its lattice constant between the InP and ZnS lattice constants. The best InP-based quantum dots exhibited satureated green emission color with a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50nm for the emission peak and a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of 75%. This sample was used for the assembly of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with cadmium-free quantum dots as emitter material. The device clearly showed electroluminescence from the quantum dots. In conclusion, InP core-shelll quantum dots were found to be a feasible alternative to the toxic cadmium-based quantum dots. Further work is need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growth mechanism and structure of the InP quantum dots, which should lead to a further improvement of the optical properties. Electrical conductivity in quantum dot solids is crucial for application in devices. In addition to the well known lignad exchange strategies for enhanced conductivity,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optical, structur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ethanedithiol-treated layer-by-later (LBL) assembled quantum dot solid (QDS) films following low-temperature annealing (room temperature to 170℃).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d, it was induced that the average separation between nanocrystal quantum dots is decreased, and accordingly, the overall conductivity of the QDS increased exponentially. From a simplified percolation model, the activation energy of temperature-dependent quantum dot attachment was estimated to be around 0.26-0.27eV both for PbS and PbSe quantum dot solid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evice applications requiring higher conductivity, attainable through high-temperature annealing, may also require repassivation after annealing.

      • Multiphase-thermal Analysis for Efficient Transportation and Long-term Storage of Liquid Hydrogen Energy

        정소명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급변하는 지구의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소에너지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주목을 보편적인 사용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대륙 간 수소에너지의 이동이다. 지금까지 액화천연가스의 대륙 간 이동을 살펴보면, 선박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고려된다. 수소에너지도 액화천연가스와 마찬가지로 액체 상태로 운반할 때, 저장밀도가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대용량의 수소에너지를 대륙 간 이동을 위해서 선박을 이용한 운송 방법은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수소에너지를 운반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선박을 이용하여 액체 상태로 운반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상-열유동 해석을 통하여 액체수소 에너지의 효율적인 운송 및 장기간 저장에 대해 다룬다. 먼저, 효율적인 운송관점에서 액체수소 운반선에 사용되는 2가지의 저장 탱크가 고려된다. 액체수소 운반선에 사용되는 탱크는 1.5k Type C 탱크와 40k Bi-Lobe 탱크로 열 손실을 최소로 하는 단열 시스템의 설계에 집중하였다. 다음으로, 배관을 이용한 액체수소 운송에서 나타나는 상변화 현상에 대해 수치적으로 구현한다. 마지막으로, 슬러시 수소를 이용한 수소에너지의 장시간 저장관점에서 용융 및 응고 현상을 재현하는 해석을 수행한다. 1.5k Type C 탱크에 대해서는 슬로싱 하중 평가 및 단열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다상 유동 슬로싱 시뮬레이션의 검증 문제로 밀도비가 다른 사각 탱크의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5% 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또한, 밀도비뿐만 아니라 동점성비를 고려하여 슬로싱 하중 평가를 수행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5k Type C 탱크 내부에 나타나는 슬로싱 하중 및 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부가물에 작용하는 유체력을 통계적으로 해석하였다. 다상-열 유동 시뮬레이션의 검증 문제로 Type C 액체질소 탱크의 BOR 실험을 선정하여 난류 모델 및 액체질소의 충전율에 따른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해당 연구의 비교에서 SST 모델과 Reynolds Stress Transport 모델을 사용하였을 때, 1% 미만의 결과를 나타내었고 적합한 난류 모델로 SST 모델을 선정하였다. 1.5k Type C 탱크의 단열 성능 평가에서는 열 손실을 최소로 하는 복합 진공 단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내부 충전재의 변화에 따른 단열 성능 해석을 통해 적합한 3가지 단열 시스템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단열 시스템을 3차원 모델에 적용하여 다상-열유동 해석을 수행하고 BOR을 예측하였을 때, Vacuum+MLI Mylar-net 조합의 단열 시스템을 사용할 때만 설계 BOR 0.2%/day보다 작은 0.189%/day 값이 얻어졌다. 또한, 탱크의 외조와 내조 주변의 접촉하는 부재에서 일어나는 열 유입 및 방출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단열에 취약한 부재에 대해 논의하였다. 액체수소 운반선용 40k Bi-Lobe 액체수소 탱크의 경우 저장 용기의 체적이 증가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단열 성능 평가를 앞선 1.5k Type C 탱크와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단, 정적 상태일 때 발생하는 BOR뿐만 아니라 슬로싱 환경의 동적 상태에서 발생하는 BOR 값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액체수소 운반선용 40k Bi-Lobe 액체수소 저장 탱크가 갖는 정적인 상태의 BOR 값은 0.208%/day로 설계 BOR 0.2%/day와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동적인 상태에서는 BOR 값이 평균적으로 증가하여 0.255%/day로 나타났고, 정적인 상태의 BOR 값 대비 최대 46.54%, 평균적으로 22.76% 증가된 값으로 평가되었다. 동적 상태에서 급격한 열 침입으로 BOR이 증가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줄이는 방법으로 Swash dome의 설계 및 Dome 영역에 대한 단열재 보강을 제안하였다. 효율적인 운송과 관련하여 액체수소 배관에서 나타날 수 있는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상이 변화하는 현상에 대해 수치적으로 구현하였다. 상변화 현상을 도입하기 위해 2가지 상변화 모델인 Rohsenow Boiling model과 Wall Boiling model을 과냉각 비등 문제에 적용하였다. 2가지 비등 모델에 따른 수치 모델의 정확성을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 및 기포의 발생과 연관 지어 비교한 결과, Wall Boiling model의 경우 초기 기포의 생성부터 발달까지 Rohsenow Boiling model 대비 잘 포착하는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액체수소 에너지의 장시간 저장관점에서 슬러시 수소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장기간 대용량 수소 저장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상변화 현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액체수소가 고체 수소로 응고되고 고체 수소가 액체수소로 녹는 현상을 재현하기 위해 용융-응고 모델링을 적용하였다. 응고 시간 및 용융 시간에 대해 해석해와 비교하고 슬러시 수소를 이용한 장시간 저장의 이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Hydrogen energ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rapidly changing global climate crisis. One of the ways to bring this attention to global use is the intercontinental transfer of hydrogen energy. Looking at the intercontinental movement of liquefied natural gas so far, the method using ships is considered the most economical method. Hydrogen energy, like liquefied natural gas,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storage density when transported in a liquid state. The transportation method using ships is the most reasonable way to move large amounts of hydrogen energy between contin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problems that occur when transporting hydrogen energy in a liquid state using a ship among various methods of transporting hydrogen energy. In present study, the efficient transport and long-term storage of liquid hydrogen energy is addressed through multiphase-thermal flow analysi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 transportation, two storage tanks used in liquid hydrogen carriers are considered. The tanks used in the liquid hydrogen carrier are a 1.5k Type C tank and a 40k Bi-lobe tank, and the design of the insulation system to minimize heat loss was focused. Next, the phase change phenomenon that occurs in liquid hydrogen transportation using pipes is numerically implemented. Finally, analysis is performed to bring out the melting and solidification phenomena from the viewpoint of long-term storage of hydrogen energy using slush hydrogen. For the 1.5k Type C tank, evaluation of sloshing load and thermal performance of insulation system were executed. To verify the multiphase flow sloshing simulation technique,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rectangular tank with different density ratios and the current results were compared, and the error was within 5%.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sloshing load evaluation should be performed considering not only the density ratio but also the kinematic viscosity ratio. Based on this, the sloshing load occurred inside the 1.5k Type C tank and the fluid force acting on the appendages located inside the tank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a verification problem of the multiphase-thermal simulation, the BOR experiment of the Type C liquid nitrogen tank was selected and a comparative study according to the turbulence models and the filling ratio of liquid nitrogen was conducted. In the comparison of the study, when the SST model and the Reynolds Stress Transport model were used, the errors of results were less than 1%, and the SST model was selected as a suitable turbulence model. In evaluating insulation performance of the 1.5k Type C tank, a composite vacuum insulation system that minimizes heat loss was proposed and was tested in 2D model. Three suitable insulation systems were selected through the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illing materials. As the selected insulation systems were applied to the 3D model, multiphase-thermal simulation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BOR according to the three insulation systems, a value of 0.189%/day, below the design BOR of 0.2%/day, was obtained only when using Vacuum + MLI Mylar-net insulation system. In addition, the heat ingress and release occurring in the connected members around the outer and inner tank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nd members vulnerable to heat loss were discussed. In the case of the 40k Bi-lobe liquid hydrogen tank for the liquid hydrogen carrier, the focus was placed on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volume of the storage tank increases, and the thermal performance of insulation system was evaluated in the same way as the previous 1.5k Type C tank. Moreover, the BOR values generated in the dynamic state of the slosh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BOR values generated in the static state were compared. The static BOR value of the 40k Bi-Lobe liquid hydrogen storage tank for the liquid hydrogen carrier was 0.208%/day, which was close to the design BOR of 0.2%/day. On the other hand, in the dynamic state, the BOR value increased in entire period on average to 0.255%/day, and was evaluated as a maximum increase of 46.54% and an average increase of 22.76% compared to the BOR value in the static state. The mechanism of BOR increase due to rapid heat transfer in a dynamic state was analyzed, and design of swash domes and insulation reinforcement for the dome area were proposed as a way to reduce it. In relation to efficient transportation, the phenomenon of phase change from liquid state to gaseous state, which can occur in liquid hydrogen pipes, was numerically implemented. To introduce the phase change phenomenon, two phase change models, the Rohsenow Boiling model and the Wall Boiling model, were applied to the subcooled boiling problem.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curacy of the numerical model according to the two boiling models in relation to temperature change and bubble generation according to height, the wall boiling model captured the initial bubble generation and development compared to the Rohsenow boiling model. In the end, the phase change phenomenon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long-term storage of liquid hydrogen energy using slush hydrogen is discussed. Melting-solidification model was applied to reproduce the phenomenon in which liquid hydrogen solidifies into solid hydrogen and solid hydrogen melts into liquid hydrogen. The solidification and melting times were compared with analytical solutions and the advantages of long-term storage with slush hydrogen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