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소비자의 여행선택의도 및 참여 후 행동에 관한 연구

        정다원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research tried to reveal the influence that it reaches to the action related to the social network and specificity in the event of the travel site and travel site and journey the experience of the journey about the consumer travel package and knowledge. The total of 250 questions were given and collected examined but 220 questions except without the travel experience 30 questions of response data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of analyze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is research, as there was lots of the consumer travel experience, the effect that it reaches to the specificity about the journey was exposed to reach the effect that it is carful. As to this, many consumer were settled that travel experience the consumers tries to select differently as the travel package and travel site than other tourists. The trip to the social network was a significant effect. The more travel experience, relationships with others who want to travel and wanted to be part of. Belongs to another group of travelers to the destinations and travel experiences and attractions related to the difference of the events that have results. These results for travel products choice diversified needs of consumers is the lack of research. Choice consumer appetite to travel as a factor beyond the process of selecting an integrated and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and behavioral factors that appear after the travel experience is more important than ever.

      • 인지전략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다원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영어읽기 학습에서 사용하는 읽기 전략의 사용실태를 분석하고, 인지전략을 활용한 영어수업이 영어 읽기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습전략과 읽기 전략의 특징과 분류, 인지전략훈련 방법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인지전략훈련을 활용한 영어 읽기학습방법을 모색하여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학습자들에게 적용하는 실험연구를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본교 2학년 학습자들 중 영어 읽기능력에서 동질성이 검정된 두 개 반을 선정하였다. 그 중 1개 반은 인지전략훈련을 활용한 영어수업을 적용하는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1개 반은 교육과정 중심의 영어수업을 적용하는 통제집단으로 정하였다. 실험 기간은 3월 2주부터 5월 1주까지 총 9주 18시간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에 대한 검정은 읽기 전략 사용실태, 인지전략이 읽기 전략사용에 미치는 영향, 인지전략훈련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전략훈련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의 세 가지 측면에서 통계 처리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의 읽기 전략 사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학습자들은 여섯 가지 전략을 비교적 골고루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여섯 가지의 하위 전략들이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맺으면서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고 각 전략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에 수업 중 학습자들에게 특정전략을 많이 사용하도록 유도하면 읽기학습을 할 때 다른 유용한 전략들도 함께 사용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겠다. 인지전략을 활용한 영어 읽기수업의 전략사용 빈도의 효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인지전략이 초등영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 간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의 사후 평가 점수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는데 이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집단에서는 사후 평가 점수는 향상되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에서는 인지전략을 활용한 영어 읽기수업이 읽기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지전략훈련이 학습자의 영어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인지전략을 활용한 영어 읽기수업이 학습자들의 읽기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미친 영향을 집단 내 비교해 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값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냄으로 인지전략을 활용한 읽기수업이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습전략훈련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전략훈련이 충분히 장기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지속적인 실천이 필요하므로 보다 보편적인 실험 대상을 선정하여 장기적이고 집중적인 학습전략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는 읽기능력과 관련하여 읽기 전략 중 인지전략훈련의 효과를 살펴보았으나 다른 범주의 전략 즉, 기억전략, 보상전략, 상위인지전략, 정의적 전략, 사회적 전략 등에 대한 각각의 훈련이 영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셋째, 교사의 학습전략 사용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한다. 넷째, 읽기 학습전략이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은 많은 연구의 결과들을 통하여 입증되었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영어교육 실정에 맞으며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 웰다잉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준비와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효과

        정다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웰다잉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준비와 웰다잉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고령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은 2020년 9월 17일부터 11월 26일까지 일주일에 1회씩 총 10회차로 1회당 120분씩 웰다잉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첫째, 죽음준비의 하위요인인 물리적 준비, 심리적 준비, 사후준비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웰다잉 인식에 대한 하위요인인 친밀감, 통제감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임상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웰다잉프로그램은 회기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웰다잉 프로그램은 죽음준비와 웰다잉 인식, 그리고 프로그램의 회기별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노년기를 대상으로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준비와 웰다잉 인식의 확대 프로그램 시행의 필요성에 시사점을 둔다. This study aims to see the effect of well-dying programs on the preparation of death and well-dying awareness of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residing in Goryeong-gun. The program was operated once a week from September 17 to November 26, 2020, with a total of 10 well-dying programs for 120 minutes per session. First, statistical signiflcant was paid to the sub-factors of death preparation in the order of physical preparation, psychological preparation, and post-production. Second, the clinical symptom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though the sub-factors for well-dying recogni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of intimacy and control. Third, well-dying programs have been shown to affect session-specific changes. In conclusion, well-dying program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preparing for death, recognition of well-dying, and in changing the program's session by session.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e need to prepare for the death of dignity in old age and to implement an expanded program of well-dying awareness.

      • 중국 비관세장벽(NTB) 구축·운영 사례에 관한 연구 : 화장품·콘텐츠·금융 업종을 중심으로

        정다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자유 무역 협정(FTA)’ 체결 증가로 관세 장벽이 낮아지고 있다. 그러나 관세율 인하로 인한 무역창출 효과의 상당부분은 비관세 장벽(이하 ‘NTBs’)으로 인해 상쇄되거나 기대했던 무역 증가율이 둔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예가 세계 1위의 무역 대국 중국이다. 중국은 정치적 혹은 비정치적 목적으로 다양한 NTBs를 도입∙운영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대중(對中) 수출 및 투자 기업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NTBs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WTO 체제 하의 NTBs 개념 및 유형을 살펴본 다음, 중국 정부가 어떤 목적과 배경에서 NTBs를 사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수출 혹은 FDI 방식으로 중국 시장에 진입한 외국 기업이 현지 시장에서 겪는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를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 지를 사례 분석을 통해 검토하고, 우리 정부와 기업에게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NTBs 도입의 정치적 목적은 이를 무기화함으로써 국가 안보를 강화하고 강대국에 걸맞은 국제 영향력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비정치적인 목적으로는 ①무역 흑자의 유지와 경제의 지속 성장 추구, ②자국 유치 산업(infant industries)의 보호와 전략적 육성 산업에 대한 경쟁력 강화, ③국민 건강 및 환경의 보호 등을 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사례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NTBs를 기술 장벽, 비(非)기술 장벽으로 나누어 그 특성을 검토한 다음, 제조업(화장품), 콘텐츠업(영화, 게임), 서비스업(금융)의 세 업종을 중점적으로 조명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화장품 산업에서 주로 사용된 NTBs는 현지 판매 법인의 지정, ‘중국식품약품관리총국’ 인증 과정에서의 중 외국 기업에 대한 비싼 인증 수수료 등 거래 비용을 높이는 조치를 많이 사용하였다. 콘텐츠 산업(영화, 게임 산업)에서는 외국인 투자 및 현지 서비스 허가 관련한 규제, 당 중앙선전부(과거는 ‘광고영화TV총국’)에 의한 콘텐츠 사전심의 과정·절차 상의 차별, 현지 서비스 허가(게임의 경우 ‘版號’) 등의 NTBs를 통해 외국 기업을 차별하거나 자국 산업을 보호하였다. 금융 산업에서는 외국 자본에 대한 독자(wholly-foreign owned) 방식의 진입 제한, 출자 지분 한도 등으로 진입을 막거나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또한 중국의 NTBs 강화 조치에 외국 정부와 기업이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 가를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외국 정부는 통상·외교적 대응, 진출 기업에 대한 측면 지원, WTO 제소 전략 등의 대응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출기업들은 현지화나 구조조정 및 철수 전략과, 현지 법원 제소 등의 정책 믹스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국 정부는 다자간 무역 협상과 쌍무적 통상 외교를 통해 대중국 정부 협상력을 강화하였다. 또한 진출 기업의 현지화 및 시장 다각화를 측면지원하기도 했는데, 이러한 전략은 비교적 실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외국 정부별로 보면, 한국 정부는 사드 사태 이후에 ‘한·중 정상 회담’,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실무 정책 담당자 회담’ 등을 통해 무역 원활화를 모색하였고, 대만 정부는 ‘양안(兩岸)분쟁’을 무역대상국 다각화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미국과 일본은 지식재산권 침해와 희토류 수출 규제 등의 NTBs를 극복하기 위해 WTO에 중국을 제소한 후 승소하였다. 한국의 신남방정책 같은 정부의 노력이 시장 진입 이후 중국 정부의 NTBs 방침에 적응하거나 현지화하려는 기업의 전략적 실효성을 높이고, 기업 이미지 개선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근본적인 기업차원의 NTBs 극복 전략은 투자 재원, 인력 및 역량의 재배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본의 ‘시세이도(資生堂)’는 인력, 마케팅의 현지화를 통해 ‘중일 분쟁’의 피해를 최소화하였고, 미국 영화사 ‘드림웍스에니메이션(DreamWorks Animation)’은 현지 합작 파트너를 통해 스크린쿼터를 우회할 수 있었다. 한국의 ‘KEB하나은행’도 지린(吉林)은행의 일정 지분을 취득한 후 현지 고객에 최적화한 서비스 개발에 주력함으로써 예대비율, 업무별 영업제한, 지분한도, 75%의 예대비율 구제 등을 우회돌파할 수 있었다. 또한 NTBs로 인해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다. ‘캡콤(Capcom)’이란 일본 게임사는 ‘판호’ 발급중단, 게임시간 총량 규제 등의 NTBs로 인하여 중국 내 서비스를 중지하였고, 미국 씨티은행(Citi Bank)은 각종 투자 및 영업 규제에 지친 나머지 중국 내 합작투자 지분의 일부를 매각하였다. 한국의 위메이드, 아모레퍼시픽은 현지 법원에 지식재산권 침해 및 손해배상 소송을 통해 중국 NTBs를 정면으로 극복하는 전략을 택했는데, 미-중 무역전쟁의 후광효과로 ‘아모레퍼시픽’은 1심 및 2심에서 승소하였고, 위메이드도 베이징지식재산권법원에서 중국 게임 개발사 '37게임즈'를 상대로 낸 서비스 금지 소송에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2018.12.28)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한 중국과 같은 신흥시장에서의 NTBs의 구축 목적과 배경, 업종별 NTBs, 운용 실태를 법제도 검토와 사례 분석을 통해 그 중점, 실효성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NTBs 극복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관련국 정부는 물론 향후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외국기업들에게 NTBs 극복에 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매체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정다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research, I will try to learn about the actual situation of use at a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cluding a newly appearing digital medium together with existing digital media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necessity and requirement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media utilization based on the utilization of the digital mediu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of the infant, and as a medium to be utilized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is a purpose to make use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media. In order to realize such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sets up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use state of digital media of early childhood teachers? 1-1. How about experience of utilizing digital media(whether or not to use, the number and type of digital media)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1-2. How about education experience related to the digital media(subject completion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educated digital media 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 What is recognition(level of interest, necessity, utilization level, app-licability of curriculum field, diffusion of materials, possibility of uti-lization by digital medium, requirement) on digital media of early childho-od teachers?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use state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tra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3-1. Is there any difference in use state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service area, institution type and age of early childhood)? 3-2. Is there any difference in use state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edu-cation experience related to the digital media of early childhood teachers(subject completion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3-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digital media depending on the necess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medium? 4.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digital media according to tra-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4-1.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digital media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service area, institution type and age of early childhood)? 4-2.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digital media according to e-ducation experience related to the digital media of early childhood teache-rs(subject completion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4-3.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bout digital media depending on the necess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medium? For the purpose of carrying out this research, questionnaire were delivered via mail and Google Link to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nursery facilities who are in charge of infants aged 3-5 years, from August 28, 2017 to the 15th day of September 11, 2017. A total of 35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328 copies in total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process such as excluding 28 responses of nonresponsive and unfaithful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corrected and complemen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recognition and opinions of utilizing the digital media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referring to the questionnaire used in previous research(Eun-Jung Kim, 2002; Yoon-Hui Byong, 2011; Yu-jong Chen, 2015; Nicole S. Fenty & Elizabeth McKendry Anderson, 2014). The questionnaire created was confirmed by two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two specialis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create a first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a preliminary survey of 15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primary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answered that there was a problem was focused and complemented, and a secondary questionnaire was finally created. The second questionnaire finally created was once again validated by the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wo exper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based on the research subjects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I have experience using digital media". The average number of digital media utilized by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7.15, the average number of digital media used by young children was 1.62. Among the types of digital media used by teachers and young children, "PowerPoint" in the software area and "computer" in the hardware area were the most used digital media.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media related subjects subject completion experience and training experience were many teachers who answer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of education than teachers who said they had experienced education. Looking at the types of digital media educated by an early childhood teacher, the experience of related education was the highest in the field of software "power point" and in the field of hardware "computer". Second, Looking at the interest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digital media, the type of "interest in results" was the highest. The reason why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digital medium is that the highest average score appears, "It is easy to keep activities and evaluation materials through the use of digital media" and the reason why it is unnecessary was that the average score of "opinion that the digital medium is missing in early childhood children's organizational usability" was the highest. Althoug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use of digital media positively emerging about the use of the digital media, the early childhood children were not necessary and understoo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eacher. The Nuri curriculum area that the teacher considered the most efficient to utilize digital medium considered by the teacher was the "area of ​​experience of art". In the opinion of teachers about digital media data dissemination,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of digital media' was the highest. All software areas excluding Hangul appeared unusable in early childhood, and in the hardware area, all types of digital media except "projector" and "3D printer" were found to be usable in early childhood. The requirement for digital media was highest in the opinion that "educational materials utilizing various digital media must be sufficiently disseminat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types of digital media utilized by teachers based on the teacher's background, as a result of the teacher's age, the group of 41 years old and over appeared by utilizing the most types of teachers, although groups under the age of 2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indicated by utilizing the fewest types. Teacher's career shows that groups with more than 20 years utilize the most types, while groups with less than 1 yea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using the least number of types, in the educational backgroun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digital media utilized by junior college graduation group is more than 2 graduation group and graduate school graduation more than 4 grades,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institution, the private kindergarten group used the most types and the other facility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utilizing the least number of types. At age of early childhood, 3-5 years old mixed group appears by using the most types, but the 3-4 year mixed half group showed the smallest difference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difference in subject completion experience about digital media,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utilized the average digital medium of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On the other hand, as for difference in training experience about digital medi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utilized the average digital medium of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Furthermore, as for difference in the necessity about digital medi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utilized the average digital medium of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Fourth, differences in level of interest in digital media according to the age of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informational concerns".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terest of digital media by carri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ith "resultant concern". Differences in level of interest in digital media due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informational interest" and "alternative interest". Differences in level of interest in digital media by service are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informational interest" and "alternative interest". Differences in the interest level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the institution typ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alternative interests". Difference in interest level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age of early childho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operational concern". Difference in interest level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subject completion experience related to digital media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sonal concern" and "cooperative interest". Difference in interest level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digital media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perational concern". Difference in interest level of digital media according to necessity about digital media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interest level area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correct digital media use by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and the use of various digital media to discuss the necessity of educational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디지털매체와 함께 새롭게 등장한 디지털매체를 포함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매체 활용실태 및 인식을 기초로 하여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의 필요성과 요구사항 등에 대해 조사하여, 유아교육에 활용하는 매체로서 디지털매체의 교육적 의미를 살리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실태는 어떠한가? 1-1. 유아교육기관에서 디지털매체 활용경험(활용여부와 활용 디지털매체 개수 및 종류)은 어떠한가? 1-2.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관련 교육경험(과목 이수경험, 연수경험, 교육받은 디지털매체의 종류)은 어떠한가? 2. 디지털매체에 대한 인식(관심수준, 필요성, 활용수준, 교육과정영역의 적용 가능성, 자료보급, 디지털매체 별 활용가능성, 요구사항)은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매체 활용의 차이가 있는가? 3-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연령, 경력, 최종학력, 근무지역, 기관유형, 담당유아연령)에 따른 디지털매체 활용의 차이가 있는가? 3-2.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관련 교육경험(과목 이수경험, 연수경험)에 따른 디지털매체 활용의 차이가 있는가? 3-3.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필요성 유무에 따른 디지털매체 활용의 차이가 있는 가? 4.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디지털매체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4-1.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연령, 경력, 최종학력, 근무지역, 기관유형, 담당유아연령)에 따른 디지털매체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4-2.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관련 교육경험(과목 이수경험, 연수경험)에 따른 디지털매체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4-3.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필요성 유무에 따른 디지털매체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만3~5세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2017년 8월 28일부터 2017년 9월 11일까지 15일에 걸쳐 우편과 온라인 구글 링크를 통해 설문지를 전달하였다. 설문지는 총 356부가 회수 되었고, 무응답 및 불성실한 설문답안 28부를 제외하는 등의 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총 328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들(김은정, 2002; 변윤희, 2011; 채유정, 2015, Nicole S. Fenty & Elizabeth McKendry Anderson, 2014)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실태와 인식 및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수정·보완되었다. 제작된 설문지는 유아교육과 교수 2인과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토 받아 1차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1차 설문지를 가지고 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한 결과, 문제가 있다고 응답한 문항들을 중점으로 수정·보완하여 2차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작성된 2차 설문지는 유아교육과 교수 2인과 유아교육전문가 2인에게 한 번 더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연구문제에 따라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대부분이 ‘디지털매체 활용경험이 있다’는 응답을 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활용하는 디지털매체의 평균 개수는 7.15개이고 유아가 활용하는 디지털매체의 평균 개수는 1.62개로 나타났다. 교사와 유아가 활용하는 디지털매체의 종류 중 소프트웨어의 영역에서는 ‘파워포인트’, 하드웨어 영역에서는 ‘컴퓨터’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디지털매체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관련 과목 이수경험과 연수경험은 교육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교사보다 교육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교사가 더 많았다. 유아교사들이 교육받은 디지털매체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면 소프트웨어 영역에서는 ‘파워포인트’, 하드웨어 영역에서는 ‘컴퓨터’ 관련 교육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디지털매체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수준을 살펴보면 ‘결과적 관심’의 유형이 가장 높았다. 디지털매체의 활용이 필요 한 이유는 ‘디지털매체의 활용을 통해 활동 및 평가 자료의 보관이 용이하다’가 가장 높은 평균점수가 나타났고 불필요 하다는 이유는 ‘디지털매체는 유아들의 조직적 놀잇감으로 부족하다’는 의견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다. 디지털매체 활용수준은 과반 수 이상의 유아교사들이 디지털매체에 대한 활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나타나났지만 유아의 필요보다는 교사의 필요에 의해 활용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교사가 생각하는 누리과정 영역 중 가장 디지털매체 활용 효율성이 높다고 생각한 영역은 ‘예술경험 영역’이였다. 디지털매체 자료보급에 대한 교사 의견에서는 ‘디지털 매체에 대한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한글’을 제외한 모든 소프트웨어 영역은 유아기에 사용이 불가능 할 것이라고 나타났고 하드웨어 영역에서는 ‘프로젝터’와 ‘3D 프린터’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디지털매체가 유아기에 사용 가능할 것이라고 나타났다. 디지털매체에 대한 요구사항은 ‘다양한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교육 자료가 충분히 보급되어야 한다’는 의견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셋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가 활용하는 디지털매체 종류의 개수 차이를 조사한 결과, 교사 연령에서는 만41세 이상 그룹이 가장 많은 종류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만 25세 이하 그룹은 가장 적은 종류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 경력에서는 20년 이상 그룹이 가장 많은 종류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1년 미만 그룹에서는 가장 적은 종류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최종학력에서는 4년제 대학졸업 그룹과 대학원졸업 이상 두 그룹이 전문대졸업 그룹보다 활용하는 디지털매체의 개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관유형에서는 사립유치원 그룹이 가장 많은 종류를 사용하였고 기타시설 그룹이 가장 적은 종류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담당유아연령에서는 만3-5세 혼합반 그룹이 가장 많은 종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3-4세 혼합반 그룹은 가장 적은 종류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디지털매체 관련 과목 이수경험 유무에 따른 교사와 유아의 평균 디지털매체 활용 개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나타났다. 반면, 디지털매체 관련 연수경험에 따른 교사와 유아의 평균 디지털매체 활용 개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디지털매체 필요성에 따른 교사와 유아의 평균 디지털매체 활용 개수 또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연령에 따른 디지털매체 관심수준 차이에서 ‘정보적 관심’에 대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에 따른 디지털매체 관심수준 차이는 ‘결과적 관심’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최종학력에 따른 디지털매체 관심수준 차이는 ‘정보적 관심’과 ‘대안적 관심’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지역에 따른 디지털매체 관심수준 차이는 ‘정보적 관심’과 ‘대안적 관심’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디지털매체 관심수준 차이는 ‘대안적 관심’에서 그룹들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담당 유아연령에 따른 디지털매체 관심수준 차이는 ‘운영적 관심’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디지털매체 관련 과목 이수경험에 따른 디지털매체 관심수준 차이는 ‘개인적 관심’과 ‘협동적 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디지털매체 관련 연수경험에 따른 디지털매체 관심수준 차이는 ‘운영적 관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든 관심수준의 영역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디지털매체 필요성 유무에 따라 관심수준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와 유아의 올바른 디지털매체 활용에 대한 필요성과 다양한 디지털매체 활용 교육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 세계유산 관점에서의 '위험유산' 제도의 의미와 회복 과정 고찰

        정다원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세계유산은 미래 세대에 전해져야 할 문화적 가치를 지닌 고유한 유산으로, 이를 보존하고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는 것은 국제 공동체의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세계유산은 공간적으로 유산 자체의 가치를 설명하는 ‘유산구역’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구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지속가능하도록 보존관리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 도시개발, 관광화 현상 등이 급속도록 심화됨에 따라 완충구역 만으로는 유산구역을 온전하게 보존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유산구역과 완충구역의 외연부에 해당하는 주변지역을 ‘주변환경(wider setting)’으로 정의하고 이의 관리도 크게 강조되고 있다. 세계유산 제도에 주변환경 개념이 도입된 것은 유산이 속한 지역의 생태적 환경, 문화적 맥락, 그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이 유산 보존관리와 필수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설명하는 것이다. 2009년 등재 취소된 독일의 드레스덴 엘베계곡은 교량 건설로 인해 OUV가 훼손된 경우이고, 2021년 등재 취소된 리버풀-해양무역도시은 완충구역의 개발이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그러나 주변환경의 과도한 변화로 인해 유산 가치가 하락하거나 악영향을 주는 예들이 런던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등장함에 따라, 유네스코는 보다 강화된 유산 보존관리 제도를 도입하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10년대 후반이후 유사한 경우들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세계유산‘백제역사유적지구’의 공주 공산성 앞 제2금강교 건설로 인한 논란, 세계유산‘조선왕릉’에 해당하는 김포 장릉, 서울 태릉·강릉, 고양 서오릉 등과 연계된 신도시 개발과 공동주택 건설 논란이 대표적인 예이다. 도시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정으로 볼 때, 이러한 논란과 갈등은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유산의 지속 가능한 보존관리에 대한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의 현황, 이의 원인과 회복 과정을 다각도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사회 및 당사국에게 유산 보존관리에 필요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세계유산 중 위험에 처한 유산의 비율과 주요 위협 요인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이유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해당 유산에서 발생한 환경적 변화와 인간 활동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에서의 보존관리를 위한 노력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다루었고,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의 보존관리현황보고서(SOC)를 통해 세계적인 국제기구 및 당사국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회복 과정과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지속 가능한 보존관리 전략과 협력 모델 수립에 근거를 확보하였다. 최종적으로,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의 회복은 국제사회와 당사국의 긴밀한 협력과 효과적인 정책 수립이 필수적임을 강조하며, 향후 세계유산 보존에 대한 연구와 노력의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World Heritage is a unique heritage with cultural value that must be passed on to future generations, and preserving and sustainably managing it is emerging as a task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orld Heritage is spatially composed of a ‘property zone’ that explains the value of the heritage itself and a ‘buffer zone’ that functions to protect it, thereby sustainably conserving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OUV) of the heritage. Taking care of it. As urban development and tourism have rapidly intensified in the 21st century, it has been judged that the heritage area cannot be conserved intact with the buffer zone alone, and the surround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outer edge of the heritage area and buffer zone has been designated as 'wide setting(surrounding environment)'. wider setting, and its management is also greatly emphasize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surrounding environment into the world heritage system illustrates that the ecological environment, cultural contex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area to which the heritage belongs are necessarily linked to heritag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Germany's Dresden Elbe Valley, whose inscription was canceled in 2009, the OUV was damaged due to bridge construction, and in Liverpool-Maritime Trade City, whose inscription was canceled in 2021, the direct cause was the development of the buffer zone. However, as examples of a decline in heritage value or negative impacts due to excessive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gan to appear, especially in large cities such as London, UNESCO introduced a more strengthened heritag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ystem. In Korea, similar cases began to occur since the late 2010s. Controversy over the construction of the 2nd Geumgang Bridge in front of Gongsanseong Fortress in Gongju in the World Heritage 'Baekje Historic Areas', controversy over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and construction of apartment complexes in connection with Jangneung in Gimpo, Taereung and Gangneung in Seoul, and Seo-reung in Goyang, which are part of the World Heritage 'Joseon Royal Tombs'. Thi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here urban development is progressing rapidly, such controversies1 and conflicts are expected to gradually increase.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sites, and in particular aims to analyze the status, causes, and recovery process of World Heritage sites in danger from various angles.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parties involved in establishing effective policies for heritag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o this end, the proportion of world heritage properties at risk and major threat factor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We then analyzed in depth the reasons for listing it as a World Heritage in Danger, and looked at the environmental changes that occurred at the property and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In addition, effort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were discussed in detail, and the recovery process and cases in which glob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parties actively participated were reported through the State of Conservation Report(SOC) of World Heritage in Danger. By examining this, we secured a basis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y and cooperation model. Finally, it emphasized that close cooperation and effective policy establishment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parties involved are essential for the recovery of World Heritage in Danger, and presen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efforts on world heritage conservation.

      •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수어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다원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아동 및 청소년의 정서·행동적 문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KPRC)를 수정하여 농인 부모들이 사용할 수 있는 수어판으로 개발하였다. KPRC-KSL 개발을 위해 원문항을 농인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수정한 후 수어로 번역하였고, 검사문항은 영상으로 제작되었다. KPRC-KSL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만 3-17세 자녀를 둔 농인 부모(N=115), 수화-한국어 이중언어자(N=16), 그리고 농인 참가자의 자녀(N=40)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KPRC-KSL의 내적 합치도는 .50∼.85,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47∼.89 범위로, 대체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KPR-KSL 하위 척도 간 상호관련성, 원판 검사와의 일치도, 평정자간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KPRC-KSL의 하위척도 간 상관분석 결과, 개념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척도 간 상관은 높게, 관련성이 낮은 척도들 간 상관은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화-한국어 이중언어자가 KPRC-KSL과 원판 검사를 모두 실시하여 두 검사의 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모든 척도에서 대응되는 척도 간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r=.41∼.97). 마지막으로 농인인 부모가 자녀에 대해 평정한 KPRC-KSL 결과와 그들의 자녀가 스스로에 대해 평정한 KPRC 자기보고형 결과 간 평정자간 일치도는 평균 .23으로 기존 연구들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KPRC-KSL이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로 농인 자녀의 정신건강문제를 탐지하는데 유용한 부모 평정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인터넷 영어수업에서 학습변인들과 학습만족도·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정다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elf-regulated learning capability, personal characteristic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to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English education setting, as there weren't lots of studies of this approac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50 students at C university in south Gyungsang Province, who took a course in English over the Internet in the first semester of 2007.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276 students were gathered and analyzed. SPSSWIN 10.0 program was employed to ass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research model used in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the self-regulated learning of the students affecte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online course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investigated, and it's found that self-efficacy exer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Those who had their own behavior in better control expressed more satisfaction at it. The behavioral control didn't hav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ose whose self-efficacy was better made a bette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how their learning motivation influenced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was checked. As a result, learning motiv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level, and both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motivation were major influential factors. Yet, learning motivation didn't exercise a hug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as for the impact of online learning attitude on the satisfaction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degree of using the Interne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 and the students who benefited more from online instruc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it. But a better online learning attitude wasn't necessarily accompanied by a higher academic achievement. Fourth,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o the satisfaction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than the males, and there was no gap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two groups. Those who studied for one hour or more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who spent less than one hour, and the former outperformed the latter in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to connections between learning medium and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online course, the students who studied online were most different in that regard from the group of students who received private tutoring, followed by the group using films or English television and the group attending academies. Regarding relations between learning medium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group that received private tutoring made the best academic achievement, followed by the group using the Internet, the movie-watcher group, the English TV viewers and the group attending academies. As to the influence of academic year on the satisfaction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their academic year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since they were college students. 21세기 정보화, 지식기반사회에서 전통적인 수업과는 달리 인터넷 수업은 학습자가 가지는 목표에 따라 학습자가 가지는 개인적 특성은 물론이고 자율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태도 등이 학습의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인터넷 영어학습을 위한 방법으로 자기조절 학습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인터넷교육환경에서 학업성취도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능력, 개인특성, 학습동기, 학습태도 등의 변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변인을 갖고 만족도 및 학습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자 하였다. 본 조사에서의 표본은 경남의 C대학 대학생 중 2007년 1학기에 인터넷영어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50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총 276를 회수하여 설문분석을 하였다. 연구모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해 SPSSWIN 10.0을 사용하였으며, 요인분석은 요인적재량 0.5이상, 아이겐값은 1.0이상의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신뢰도 분석의 기준은 cronbach's alpha값이 .60이상의 변수에 대하여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의 유의 기준은 R2값이 0.20이상의 모형에 대해서만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인터넷 강좌 만족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보았는데, 자아효능감은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행동통제력이 높은 사람이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행동통제는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아효능감이 높은 사람이 학업성취도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동기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규명한 결과 학습 동기는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내재적·외재적 동기는 모두가 중요한 영향요인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많이 미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터넷 학습태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알아본 결과 인터넷활용도는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인터넷 수업유익성이 높은 사람이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 학습태도가 좋게 나타난다고 해서 학업성취도가 좋은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의 특성에 따라 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알아본 결과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더 높은 만족도를 보여줬으며, 학업성취도에 대하여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두 집단 간의 차이는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시간미만 공부하는 집단보다는 1시간이상 공부하는 집단이 더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며, 학업성취도 역시 1시간미만 공부하는 집단보다는 1시간이상 공부하는 집단이 더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부경로에 따른 인터넷 강좌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인터넷으로 공부하는 집단과 스터디 활동으로 공부하는 집단 간에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영화나 영어TV, 인터넷 강좌와 학원의 순으로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학업성취도에 대한 공부경로별 차이를 보면 스터디 활동, 인터넷, 영화나 영어TV , 학원의 순으로 나타나 스터디 활동으로 영어공부를 실시하는 집단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에 따른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는데, 대학재학생이여서 학년에 따른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경향 및 관계

        정다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research was aimed at examining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arents and preschoolers, particularly their general trends and differences in relation to selected variables. It also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arent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preschoole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How is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arents of preschoolers from 3 to 5 years old? 1-1.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tween mothers and fathers?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fathers based on the fathers' personal variables (eg.,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1-3.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mothers based on the mothers' personal variables (eg.,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2. How is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reschoolers from 3 to 5 years old?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reschoolers' personal variables (eg., gender, age)?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reschoolers based on the parents' personal variables (eg.,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amount of time with child)?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parent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preschoolers? 3-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father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boys? 3-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father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girls? 3-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mother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boys? 3-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mothers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f their girl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66 preschoolers from 3 to 5 years old going to 6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ir parents. Parent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evaluated through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checklist' which Jeon-Ock Lim(2003) restructured and supplemented the checklist of Seok-Bin Yoon(1999). And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assessed through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checklist' basing on version of Eisenberg, Fabes, Bernzweig, Karbon, Poulin and Hanish(1993) modified by Hye-Lin Seo(2007). For data analysi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maximum and minimum values, frequency and percentage, t 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Whe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rom one-way ANOVA, Scheffé posterior test was used to look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hich had highest score was active regulation strategy, followed by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and avoidant/distractive regulation strategy in the order named. Parents' gender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ir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support-seeking regulation strategy. In other words, fathers used more active regulation strategy than mothers, whereas mothers used more support-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an fathers. Among the parents' other personal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only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other words, 35 to 40 years old mothers used more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Mothers with high educational level used more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an mothers whose educational level was low. Mothers who have career used more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mothers whose family earns more than 5 million won per month used more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an mothers whose family earns less than 5 million won. Second,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hich had highest score was avoidant & supportive regulation strategy, followed by positive, venting, none and aggressive regulation strategy in the order named. Studying the effect of preschoolers'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age, on their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that only preschoolers' gender generated statistical difference. In other words, boys used more aggressive regulation strategy than girls. Studying the effect of parents' personal variables, such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amount of time with child, on their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that only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fathers' career generated statistical difference,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schoolers' avoidant & supportive regulation strategy and the amount of time with mothers during weekdays. In other words, preschoolers whose mothers were housewife and fathers engaged in administrative position or clercial work used more avoidant & supportive regulation strategy. Also the more amount of time preschoolers have with their parents during weekdays, the more preschoolers used avoidant & supportive regulation strategy. Thir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thers'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and preschoolers' positive regulation strategy. Furthermor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and preschoolers' venting strategy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ctive regulation strategy and preschoolers' none strategy. In other words, the more fathers used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e less preschoolers used positive regulation strategy. Also the more mothers used supportive-seeking regulation strategy, the less preschoolers used venting strategy, and the more mothers used active regulation strategy, the more preschoolers used none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by dividing the preschoolers'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boy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hereas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correlated with both the boys' and girl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a tendency to act as opposed to boys and girls.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전반적인 경향 및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만 3, 4,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정서조절양식은 어떠한가? 1-1.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에 차이가 있는가? 1-2. 아버지의 개인변인(연령, 교육수준, 직업,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라 아버지의 정서조절양식에 차이가 있는가? 1-3. 어머니의 개인변인(연령, 교육수준, 직업,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에 차이가 있는가? 2. 만 3, 4, 5세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개인변인(성별, 연령)에 따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가족변인(부모의 연령, 교육수준, 직업, 가정 내 평균 월수입, 자녀와 함께 지내는 시간)에 따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차이가 있는가? 3.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아버지의 정서조절양식과 남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아버지의 정서조절양식과 여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과 남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3-4.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과 여아의 정서조절전략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유치원 6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3, 4, 5세 유아 266명과 그들의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 2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의 정서조절양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윤석빈(1999)이 개발하고 임전옥(2003)이 수정ㆍ보완한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기 위하여 Eisenberg, Fabes, Bernzweig, Karbon, Poulin과 Hanish(1993)가 개발한 도구를 서혜린(2007)이 번역하여 수정ㆍ보완한 ‘유아 정서조절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과 최소값,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t검정, 일원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어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 4, 5세 자녀를 둔 부모는 능동적, 지지추구적,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의 순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양식은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아버지는 어머니에 비해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부모의 개인변인에 따라서는 어머니의 연령, 교육수준, 취업여부,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연령이 35세 이상 40세 미만일 때 능동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 점수가 높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능동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취업한 경우에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 내 평균 월수입이 500만원 이상인 어머니들이 500만원 미만인 어머니들에 비해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 3, 4, 5세 유아는 회피지원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긍정적, 감정발산적, 무전략, 공격적 정서조절전략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라서는 성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아가 여아에 비해 공격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부모의 개인변인에 따라서는 어머니의 취업여부, 아버지의 직업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일에 어머니와 함께 지내는 시간과 유아의 회피지원적 정서조절전략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즉, 어머니가 주부일 경우와 아버지가 관리직 또는 사무직일 경우에 유아가 회피지원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어머니가 평일에 유아와 많은 시간을 지낼수록 유아가 회피지원적 정서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긍정적 정서조절전략 간에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고, 어머니의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감정발산적 정서조절전략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 어머니의 능동적 정서조절양식과 유아의 무전략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가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면 유아가 긍정적 정서조절을 적게 사용하고, 어머니가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면 유아는 감정발산적 정서조절전략을 적게 사용하며, 어머니가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면 유아는 무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녀의 성별을 나누어 부모의 정서조절양식과 그들의 동성 또는 이성 자녀의 정서조절전략 간의 상관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아버지의 정서조절양식은 남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반면, 어머니의 정서조절양식은 여아와 남아의 정서조절전략과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능동적 정서조절전략은 남아와 여아에게 반대로 작용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