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부전 환자의 유전자 데이터와 전자건강기록 데이터를 활용한 트랜스포머 기반 사망 예측 멀티모달 모델

        정광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부전 환자의 예후 예측은 환자의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대한 요소로 작용하며,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중요한 정보이다. 그러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복잡한 상관관계로 인해 환자의 예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일은 어려운 일이다. 최근 머신러닝을 활용한 전자건강기록 데이터 기반 모델들이 등장하며 예후 예측의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나, 전자건강기록 데이터가 가지는 각 변수 간 수집 시점의 시간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잡음과 유전체 데이터 활용의 제한적 사례로 인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단일염기다형성 변이의 필터링과 하이브리드 특성 선택 기법의 적용을 통하여 심부전 환자의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의 분류에 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앞선 방법을 토대로 UK Biobank로부터 수집된 심부전 환자의 전자건강기록과 단일염기다형성 데이터를 통합하여 학습시킨 멀티모달 딥 러닝 모델 ESNet을 개발하였다. ESNet은 트랜스포머 구조를 이용한 시퀀스 데이터 처리를 통해 단일염기다형성 변이에 대한 위치적 정보에 대한 높은 표현력을 제공하며, 실험 결과를 통해 심부전 환자의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의 분류에서 ROC-AUC, 정확도, 정밀도 및 F1-Score 네 가지 주요 평가 지표에서 기존의 단일 데이터 소스를 활용한 모델들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심부전 환자의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의 분류 외에 1년 이내 심부전 환자의 사망 예측에도 NTproBNP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예측 방식과 기존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한 예측 방식보다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

      • 웰니스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

        정광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s of Wellness Improvement Program fo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 Jeong, Kwang Ho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eong-Hoi)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wellness improvement program for the Korean University Students(WELIP). The hypothesis in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WELIP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all the areas of well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Second, WELIP will b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subordinate areas(sence of creative control, leisure, friendship and love, spirituality, sence of humor, stress management, nutri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is hypothesis, twenty-two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selected out as the subject. They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ed of 11 people and the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11 people. WELIP was carried out on only the experimental group three times a week for 10 sessions and each session required 120 minut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results of pre-test, post-test and further-test . The SPSS for Windows 15.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the hypothetical verification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LIP served to increase all the areas of the well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Second, WELIP was effective to raise the subordinate areas(leisure, spirituality, sence of humor, stress management, nutrition) of well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WELIP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whole wellness and five subordinate areas of wellnes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이온성 고분자 금속 복합체를 이용한 검지 외골격 설계

        정광훈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여 점차 여가 생활을 즐기려는 고령 인구가 증가 하고 있다, 하지만 여러 질병이나 노화로 인한 신체능력의 감소는 여가 생활을 즐기려는 고령 층 에게는 불편함으로 다가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신체 능력 중 손에 관련된 활동(집기, 잡기 타이핑 등)을 보조해주는 외골격의 제작에 앞서 간단한 동작인 집기 동작을 도와주는 검지 외골격을 제작하는 것을 목표로 검지 외골격 구동에 쓰이는 구동체를 전위차에 의해 고분자 내부의 이온과 물 분자의 이동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이온성 고분자-금속 복합체(Ionic Polymer Metal Composites : IPMC)를 이용하여 소형 경량의 외골격을 개발하고 성능을 평가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손가락의 생체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외골격 설계에 필요한 손가락 근 골격 모델의 길이 및 각도 파라미터를 결정하였고, 초기 최대 힘 25gf의 IPMC 구동체를 6개 중첩하여 90gf 이상의 구동체를 만들었으며 이후 IPMC 제조 공정을 보완하여 300gf 이상의 구동력을 가진 구동체를 확보 하였다. IPMC 구동체의 특성을 적용한 외골격의 관절 운동의 기구학적 및 동역학적 모델링을 하여 괄절, 착용부, 지지부 등의 개념을 설계하고 고분자 구동체를 이용한 1자유도를 갖는 검지 외골격을 제작하였다. 생체역학적 손가락의 특성을 적용한 검지 손가락 모형을 제작하여 1자유도 검지 외골격 보조기의 성능평가를 수행 한 후, 2자유도 및 3자유도를 갖는 검지 외골격을 제작하여 손가락 모형을 이용하여 성능평가를 수행 하였다. 외골격 더미를 착용 후 손가락 끝단에서의 누르는 힘 150gf 이상의 힘을 만들어내는 외골격을 제작하였다. 또한 외골격 구조를 개선하여 구동체의 힘 전달 효율을 10%정도 향상 시켰다. Currently, the population elder person (over the 65 years old) in our society is more than 7% of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needs for enjoying their activities are increasing. However, decrease of muscular skeletal strength due to aging or disease is an obstacle to enjoy their activ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ll and light-weight hand orthosis assist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fe such as tapping, pinching and gripping, using ionic polymer metal composite (IPMC) actuators. IPMCs are synthetic composite materials that can be used as artificial muscle by applying electrical voltage. In this study,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a finger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decide muscular skeletal model parameters for the design of the index finger exoskeleton. Improving total actuating force was achieved by packing six IPMCs (maximum force of 25gf for each actuator) in parallel arrangement, and this could generated the maximum blocking force of 90gf, Mechanical strength generation was enhanced by modifying manufacturing process (changing oxidation solvent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stackung membrnaes), and modifeid IPMCs generated maximum force over than 300gf. The performance of a three degree of freedom (3DOF) index finger exoskeleton was tested using 20x2.4x25mm IPMC (maximum force = 300gf) at MCP(metacarpophalangeal) joint, and it generated 150gf blocking force at the tip of a 3 DOF finger dummy.

      • 아크방전으로 합성된 광전극용 다중벽탄소나노튜브의 완전한 정제 및 활용연구

        정광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다중벽탄소나노튜브(이하 MWNT)의 합성과정 중 발생하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광전극에 응용하기 위한 정제법에 관한 연구이다. MWNT의 합성방법에는 화학적 기상 증착법, 아크 방전법, 레이저융제법(laser ablation) 등이 있다. 우리는 많은 합성법 중 결정성이 우수하고, 금속 촉매(metal catalyst)가 없는 아크 방전법으로 합성된 MWNT를 이용한 정제를 연구하였다. MWNT 합성과정에는 MWNT이외에 풀러렌(fullerene), 그라파이트 (graphite)와 같은 탄소계 불순물(carbonaceous impurities)들이 동시에 발생한다. 순수한 MWNT만을 얻고 다양한 연구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제거하는 방법이 중요하다. 아크 방전 방식으로 합성된 MWNT에서 나타나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두 단계를 거치는데 그 중 첫 번째로 황산과 질산의 혼합용액을 이용한 강한 화학적 산화작용을 바탕으로 불순물을 산으로 깨부순다(acid-breaking). 그 후, 산 처리된 MWNT를 다시 고온의 열 반응을 이용하여 공기 중에서 산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air-cracking). 그 결과로 CVD법으로 합성된 MWNT보다 결정성이 우수하고 곧은 아크 방전법으로 합성된 MWNT의 불순물을 완전하게 정제하였다.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MWNT를 광전극(photoelectrode)에 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별적 응용이 더 쉽게 가능해지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정제 과정 동안에 MWNT에서 발생하는 현상들과 특성들의자세한 정보는 전자주사현미경(FE-SEM), 열중량 분석기(TGA), 라만 분광계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 서남해 일원의 붉은박쥐 서식 현황 및 동면처 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정광훈 전남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남해안 일원에 서식하는 붉은박쥐를 대상으로 연도별 개체수 변화를 파악하고 동면처의 구조적, 환경적 특징을 분석하여 장기적으로 붉은박쥐 개체군의 보전과 서식지 관리에 필요한 자료수집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총 5년간 서남해안 일원의 붉은박쥐 최대 집단서식지인 함평, 무안, 신안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동면처의 수는 함평 9개, 무안 6개, 신안 2개 지역으로 연도별 개체수 변화, 성비분석, 구조적 특징, 환경적 특징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3개 지역 전체에 대한 연도별 총 개체수는 평균 270.4±17.89개체로 2021년 최소 247개체에서 2019년 최대 292개체로 나타났다. 연도별 전체 개체수는 무안, 신안지역의 경우 서남해안 전체 최대 개체수와 동일하게 2019년에 최대 개체수를 보인 반면 함평지역은 2019년에 70개체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2017년에 101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함평지역의 연도별 개체수는 평균 88.32±11.95개체로 2017년 101개체로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으며, 2019년 70개체로 가장 낮은 이용율을 보였다. 무안지역의 연도별 개체수는 평균 166.6±17.98개체로 상대적으로 동면처 수가 많은 함평지역보다 약 2배의 관찰 개체수를 보였으며, 최대 개체수는 2019년 191개체로 최대를 보였다. 신안지역에 위치한 동면처는 조비동굴, 사옥동굴 총 2곳으로 붉은박쥐의 관찰 개체수는 조비 동굴의 이용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함평지역 동면처 3곳에 대하여 암수 성비를 비교한 결과 전체 평균으로는 0.79에서 0.96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동면처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였는데 연암새굴의 경우 암컷의 개체수가 약 4배 가량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정창윗골과 정창 진굴의 경우 수컷의 비율이 2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붉은박쥐 동면처의 구조적 특징은 동면처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동면처 입구를 기준으로 높이는 평균 1.21m로 최소 0.4m에서 최대 3.7m로 나타났으며, 폭은 평균 1.65m로 최소 0.6m에서 최대 3.4m로 확인되었다. 지굴을 포함한 동면처의 내부 길이는 평균 95m로 확인되었으며 최소 17m에서 최대 350m로 큰 차이를 보였다. 구조적 특징과 동면처 선호도를 비교한 결과 동면처의 높이, 폭, 길이는 붉은박쥐의 동면처 이용율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면처 내부의 온습도 또한 연도별 개체수 변화와 유의적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1℃ 이하에서는 동면개체가 확인되지 않는 결과를 보였으며, 12℃ 이상에서 이용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습도의 경우 95%를 기준으로 초과와 미만 범위에 대한 그룹 비교 결과 95% 이상과 이하의 습도 환경에서의 동면처 이용율은 명확한 차이를 보였다. GIS와 수치표고모델(DEM)을 이용한 동면처(동굴) 입구의 환경특성을 분석한 결과 최대고도는 273.3m(고산윗굴) 에서 최저 17.4m(조비동굴)로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경사도는 13.4°에서 70.9°도로 나타났으며, 사면향은 북동쪽, 남동쪽, 북서쪽, 정북, 남서쪽 등 주변 경관구조와 접근성에 따라서 다른 결과를 보였다. 지형과 산림유형 분석 결과 연암굴, 우적아랫굴을 제외한 동면굴 경사도는 대부분 30˚ 이하로 확인되었다. 동굴 입구의 사면향은 동면굴 전체에서 다양하게 분석되었는데 붉은박쥐가 이용하는 동면굴 대부분은 동, 남동, 남, 남서향으로 나타났다. 동면굴 주변 임상도를 분석한 결과, 산림 유형은 활엽수림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침엽수림, 혼효림 순이었으며, 비 산림지역도 일부 포함되었다. 동면굴 반경 1km의 토지피복도 분석 결과, 함평군 일대의 동면굴 주변은 대부분 산림지역이 70~96% 분포하였으며 내륙수와 일부 초지 및 경작지가 포함되었다. 신안군 일원은 산림지역 대부분과 경작지가 다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해안가 특성상 연안습지가 일부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안군 지역은 산림 지역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경작지가 다수 포함되었으며 연안습지와 초지가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서남해안 일원에 서식하는 붉은박쥐는 지역과 동면처에 따라서 이용율에 차이를 보였다. 반면 입구의 구조적 특징은 동면처 선호도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특정 온습도 이상의 환경조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면처 주변의 환경특성 분석결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 경관유형과 토지이용 패턴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동면처로의 귀소 및 각성 후 붉은박쥐 개체군의 안정적인 서식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붉은박쥐 개체군의 효율적인 보호활동을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에 근거한 후속 연구 외에도 무선추적(VHF, GPS), 가락지 조사(banding) 등을 통한 여름철 행동권, 주요 출산지 및 채식지, 동면처 이동, 활동기 주요 이동경로 등에 대한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Red and Black Myotis (Myotis rufoniger), I have investigated annual population dynamics and sex ratio with structur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of hibernating caves along Korean South and West coast. For 5 years (2017-2021), I surveyed Hampyeong-county (9 caves), Mooan-county (6 caves), Sinan-county (2 caves) where the habitats of Red and Black Myotis are concentrated. The average number of total annual population was 270.4±17.89. In 2021, the annual population was the lowest as 247 bats while 292 was the highest in 2019. Although the number of bats from Mooan and Sinan showed the highest in 2019 like the total number, Hampyeong represented the lowest number (70 individuals) of bats in 2019. The highest number of bats in Hampyeong was 2017 as 101 bats (the average of Hampyeong population was 88.32±11.95). With the maximum 191 bats in 2019, Mooan showed twice more bats (average 166.6±17.98) than Hampyeong where more hibernating caves locate than Mooan. In Sinan where two caves were investigaed, Jobi cave had more Red and Black Myotis than Saok cave. The structural features of hibernating caves were different by caves. The average height of cave opening was 1.21m (minimum 0.4m and maximum 3.7m) and the average width was 1.65m (minimum 0.6m and maximum 3.4m). Including branches, the average length of caves was 95m (minimum 17m and maximum 350m). The structural features of cave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 habitat preferences by bats. Although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side of the caves did no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opulation fluctuations of the bats, I could not find any hibernating Red and Black Myotis below 11℃. The bats utilization incleased above 12℃. The annual sex ratios in Hampyeong were between 0.79 – 0.96 but there was local differences. Yeonamsae cave had 4 times more females but Jeongchangwit cave and Jeongchangjin cave had twice more males. Using GIS with Digital Elevation Model (DEM), environmental features of caves were investigated. The highest elevation of cave was 273.3m (Gosanwit cave) and lowest was 17.4m (Jobi cave). The slope was between 13.4° and 70.9° and aspects were NE, SE, NW, N, SW. Except Yeongam cave and Woojeokarae cave, the slope of caves were below 30˚. The preferred aspects were E, SE, S, SW. Main vegeation types of the caves were deciduos forests followed by coniferous and mixed forests with a small portion of non-forested areas. According to land cover analysis radius 1km of caves, Hampyeon had 70~96% of forested areas with terrestrial water, grasslands, and agricultural lands. The land types around caves in Sian were forested areas and agriculatral lands with wetlands. Muan showed mostly forested areas with agricultural lands with wetlands and grassland. According to this study, Red and Black Myotis along Korean South and West coast showed different utilization of caves by regions. This pattens might related with homing and habitat use after hibernation. For efficient conservation of this endangered bat species, further studies for summer home range using telemetry and banding will be required. Also, studies on birth behavior, foraging behavior and migration behavior are needed.

      •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정광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역량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를 준거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온라인대면상담의 상담자 역량모형을 구성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둘째,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은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 이다. 역량 모형의 초안 제작을 위해 문헌고찰, 심층면접, 전문가 연구팀의 협의, 외부 교수 및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고찰, 심층면접을 통해 역량군, 역량요소, 역량지표의 위계적 구조를 가진 잠정적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을 구안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팀의 검토, 협의, 수정·보완 및 외부 교수와 질적연구 전문가에게 피드백을 받아 총 2개의 하위역량, 6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요소, 40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초안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모형 초안의 내용 타당화를 위해 역량모형 초안에 대한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기 위해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문성 있는 델파이 패널을 선정하기 위해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상담 관련 전공 대학교수, 20년 이상의 대면상담 경력, 1년 이상 온라인대면상담을 수행의 기준을 적용하여 스노우볼 방식으로 대상을 표집하였고, 총 9명의 패널이 선정되었다. 델파이 조사에서는 역량모형의 구조, 각 구성 요소의 정의에 대한 적절성 여부가 5점 Likert척도로 평가되었고, 역량모형 각 항목의 내용을 수정하고 보완하기 위한 의견이 취합되었다.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2개의 하위역량, 6개의 역량군, 16개의 역량요소, 40개의 역량지표로 이루어진 역량모형을 확정되었다. 최종적으로 확정된 역량모형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기본역량과 온라인대면상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역량인 온라인대면상담 상담기본역량은 자질·태도 역량군, 이론지식 역량군, 직무수행 역량군의 세 가지 역량군으로 구성된다. 자질·태도 역량군은 3개의 역량요소와 8개의 역량지표로, 이론지식 역량군은 2개의 역량요소와 4개의 역량지표로, 직무수행 역량군은 4개의 역량요소와 12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역량인 온라인대면상담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디지털 태도 역량군, 디지털 지식 역량군, 디지털 수행 역량군의 세가지 역량군으로 구성되었다. 디지털 태도 역량군은 3개의 역량요소와 6개의 역량지표로, 디지털 지식 역량군은 2개의 역량요소와 5개의 역량지표로, 디지털 수행 역량군은 2개의 역량요소와 5개의 역량지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의 역량모형은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가 온라인대면상담의 상담 장면에서 요구되는 상담자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였다 할 수 있다. 이렇게 규명된 온라인대면상담 상담자 역량은 온라인대면상담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적 정체성을 확립함과 동시에 온라인대면상담의 효과적 수행과 상담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훈련 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counselors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to develop a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based on these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a purpose as well as an objective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established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constitutes a counselor competency model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Second, is the counselor competency model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properly constructed? In order to draft a competency model, literature review, interview, consultation with an expert research team, as well as reviews from an external professor and/or other experts were conducted. First,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a provisional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with a hierarchical structure of competency groups, competency elements, and competency indicators was devised. After consulting with a research team and receiving feedback from external professors and qualitative research experts, a draft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was constructed consisting of a total of two sub-competences, six competency groups, sixteen competency elements, and forty competency indicators. Next, in order to validate the contents of the draft counselor competency model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to verify and finally confirm the content’s validity of the draft competency model. In order to select a Delphi panel with expertise, the panel was sampled using the snowball method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counseling-related university professors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twenty years of experience in face-to-face counseling, and at least a year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fter careful consideration, nine panelists were selected. In the Delphi survey, the competency model’s structural adequacy and the definition of each component was evaluat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and opinions were collected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contents of each item of the competency model. The contents of the confirmed competency model are as follows.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counselor competency consists of basic competency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The first competency, the basic competency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groups: the qualification/attitude competency group, the theoretic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The quality/attitud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elements and eight competency indicators, the theoretic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wo competency elements and four competency indicators, and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four competency elements and twelve competency indicators. The second competency,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digital literacy competency,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groups: digital attitude competency group, digit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and digital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The digital attitud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hree competency elements and six competency indicators, the digital knowledg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wo competency elements and five competency indicators, and the digital performance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two competency elements and five competency indicators. The counselor competency model for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that the counselor in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systematically identified the counselor's competency required in the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scene. It can be used as a basic theoretical data for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professionalism, establish a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field, and effectively conduct online face-to-face counseling and strengthen counseling expertise.

      • 디지털교과서 정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광훈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집행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육정보화 정책의 집행과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교과서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정책 요인, 집행조직 요인, 대상집단 요인, 환경 요인을 선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정책의 집행 과정을 분석하였다.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2002년 정부가 ‘전자교과서 개발 및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면서 정책 의제가 형성되었다. 이어 2007년 당시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추진 방안’을 통해 정책이 결정되었다. 이후 진행된 정책 집행 단계에서는 디지털교과서를 보여주기 위한 뷰어의 개발, 디지털교과서 콘텐츠의 시범개발, 효과성 검토 및 교과서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연구, 연구학교 운영을 통한 시범 적용 등의 과제가 추진되어 왔다.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이와 같은 집행 과정에서 적용 대상과 범위가 여러 번 바뀌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정책 추진 과정을 분석한 결과 앞서 설정한 요인들이 정책의 집행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 실증적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이 규명되었다. 첫째, 정책 자체 요인의 측면에서는 쉽게 호응을 기대하기 어려운 정책 문제의 성격, 구제도와 신제도의 결합성 부족에서 비롯된 제도의 정합성 문제, 정책 집행의 일관성 문제가 정책 집행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행조직의 관점에서는 최고 정책 관리자의 의지에 영향을 받았으며, 집행 기관 담당자의 이동과 집행 조직의 업무 특성으로 인해 제도적 기반의 마련이 상당 기간 지연되기도 하였다. 또한 불안정한 예산 투입으로 인해 일관된 정책 추진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다. 셋째, 학생, 교사, 출판 관계자 등 다원화된 대상집단의 특성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초․중․고등학생으로 분포되어 있는 학생의 특성은 적용 대상의 잦은 변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아울러 주요 대상집단인 학생과 교사의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 차이로 인한 영향도 관찰되었다. 넷째, 환경적으로는 디지털교과서를 사용하기 위한 단말기와 운영체제의 변화, 모바일 환경의 확대, 콘텐츠 개발 방식의 변화 등 기반 기술의 급격한 변화가 정책 집행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련 정책으로 추진된 e-교과서의 보급,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과 주요 국가기관인 국회, 감사원 등의 정책 인식에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디지털교과서 정책이 도입 초기부터 2013년까지 디지털교과서 도입의 당위성을 유지하며 정책의 지속성을 유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아 정책 변동의 양상이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즉, 2013년 이후 본격적으로 디지털교과서를 적용하고자 했던 당초 계획과 달리 시범 적용 기간이 연장되었으며, 디지털교과서 적용 대상 학년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중학생까지, 대상 과목은 사회, 과학으로 축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교과서 정책에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정보화 정책은 급속히 발전하는 정보통신기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주변 여건의 변화에 정책의 방향이 좌우되지 않도록 정책 목표와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디지털교과서의 도입과 같이 제도적 기반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정책의 경우 관련 법령 및 제도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최고 정책 관리자와 집행 담당자의 교체 등으로 정책의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일관성 있는 정책 집행 기반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집행 대상이 누구인지 명확히 규정하고, 정책 집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의외의 사건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