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전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광고홍보전략에 관한 연구

        전영민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축제가 성공적으로 개최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축제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의 유기적 조합이 필수적일 것이다. 하지만 전국 각 지역에서 행해지고 있는 대부분의 지역축제들이 행사주최의 전문가 부재, 형식적인 개최, 충실하지 못한 내용, 열악한 재정상태, 체계적이지 못한 홍보 등으로 인해 축제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대로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축제자체의 내용, 즉 먹을거리, 볼거리, 놀거리 등에 충실함은 기본적인 사항이고 좀더 효과적인 홍보 전략을 수립한다는 것은 단순히 특정지역의 축제의 성공과 실패라는 차원을 넘어서 궁극적인 목표인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서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 축제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홍보방법들을 살펴보고 대전지역 문화축제의 광고홍보전략을 제시한다. This thesis has five chapters as are mentioned below :- Chapter1. Research purpose and introductory problem. Chapter2. Describ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problems,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local festivals, the local festival concept and checking the type and the methods of publicity. Chapter3. The problem and method of solution is discussed.. Chapter4.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arketing strategies of each festival using as examples the local festivals in Korea and abroad. Chapter5. Evaluating the marketing strategies of DaeJeon Local Culture Festival and condensing the research results. The problems of DaeJeon Local Culture Festival can be divided into two sections:- 1. The lack of a festival budget because of the subsidy split for small festivals. 2. Operating the perfunctory festival marketing Three suggestions emergy from this study:- 1. The marketing period must be scheduled step by step and must be advertised as you the strong and weak elements are balanced. Interest for the festival must be mentioned and increased as the quantity of marketing is progressively controlled. 2. Broadcasting programs must be produced to maximize the market effect and to overcome the present poor finances of the local festivals. 3. Websites for the festivals must be run and made to work well so that general interest is stimulated and through continues marketing, potential tourists become real tourists. In conclusion, with a systematic marketing strategy, method and continual advertisement, I believe there will be many more successful DaeJeon Local Culture Festivals and many tourists will be drawn, resulting in better revenue for the city!

      • Biological Synthesis of 7-O-Methyl Apigenin from Naringenin Using Escherichia coli Expressing Two Genes : 두 유전자를 발현하는 Escherichia coli를 이용한 naringenin으로부터의 7-O-methyl apigenin의 생물학적 합성

        전영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in the secondary metabolite class of flavonoids which consist of more than 10,000 known structures, flavones define one of the largest subgroups. The diverse function of flavones in plants as well as their various roles in the interaction with other organisms offers many potential applications including human nutrition and pharmacology. We used two genes, flavone synthase (PFNS-1) that converts naringein into apigenin and an flavone 7-O-methyltransferase gene (POMT-7) that converts apigenin into 7-O-methyl apigenin to synthesize 7-O-methyl apigenein from naringenin. PFNS-1 gene was subcloned into E. coli expression vector pGEX and POMT-7 was subcloned into pRSFvector. Since both constructs contain different replication origins and selection markers, they were co-transformed into E. coli. Using E. coli transformants harboring both PFNS-1 and POMT-7, naringenin could be converted into 7-O-methyl apigenin, genkwanin. flavone은 10,000가지 이상의 구조를 포함하는 식물의 이차 대사산물인 flavonoid 중에 하나이다. 식물체에서의 다른 기관들과 상호작용에서의 다양한 역할만큼 flavone의 다양한 기능은 인간의 영양과 약물 등에 많은 잠재적 활용을 제공한다. 우리는 두 유전자 naringenin으로부터 apigenin을 합성하는 Flavone synthase 1 (PFNS-1)와 apigenin으로부터 7-O-methyl apigenin을 합성하는 flavone 7-O-methyltrnasferase (POMT-7)를 이용하였다. PFNS-1 유전자 는 E. coli 발현 vector인 pGEX에 POMT-7 유전자는 pRSF vector에 cloning하였다. 두 구성체는 다른 복제시점과 선별 항생제가 다르기 때문에 E. coli 한 cell에 함께 형질전환 하였다. 형질전환 된 PFNS-1과 POMT-7을 가진 E. coli를 이용하여 naringenin으로부터 7-O-methyl apigenin, genkwanin이 합성되었다.

      •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사원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영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금융위기 이후 주주자본주의에서 이해관계자 자본주의로 관점이 급격하게 전환하면서 조직의 구성원인 임직원들도 피동적인 관리의 대상이 아니라 성숙한 이해관계자의 한 축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조직유효성의 측면에서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이직의도 등이 많이 연구되고 검토되었지만 안타깝게도 장기적 관점의 사회적 거래 대상으로서, 이해관계자인 공중(Public)의 일환으로서 조직구성원들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이미 일상화된 ‘성과에 따른 차등보상’으로 우리 기업들에게 중요한 화두로 제기되고 있는 공정성 인식이 기존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직-사원 관계성(EOR,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 조직과 지속적인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구성원들의 심리)이 매개효과를 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연구를 수행했다. 실증연구는 국내 L그룹의 8개국(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베트남, 인도, 말레이지아, 인도네시아)의 자회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방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현지어로 번역하였고 다른 변수의 간섭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대졸신입사원에게 부여되는 직급 이상인 직원들에 한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조직-사원 관계성(EOR)의 구성차원은 3개의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연구결과로 제시된 몰입, 상호통제, 신뢰, 만족의 차원 중 신뢰와 만족은 강한 상관관계가 있어서 하나의 차원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회귀분석 결과 공정성을 구성하는 하위변수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이 EOR의 하위차원 각각에 正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상호작용공정성은 유의한 관계가 검증되지 못했다. 또한 EOR의 하위변수가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에는 正의 영향력을 주고, 퇴사의도에는 不의 영향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EOR 하위변수 중 상호통제의 변수는 퇴사의도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공정성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EOR이 상당한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고려할 때 조직이 공정성을 고양시키기 위해서 기울이는 다양한 노력이 조직과 계속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싶어하는 직원들의 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고, 그 관계유지 욕구가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기업이 차등보상제도를 운영할 경우 공정성의 수준을 올리기 위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시사한다. 또한 성과극대화를 위해 차등보상제도를 운영하면서 동시에 장기적 관점에서 임직원들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려는 기업들은 절차적인 공정성의 확립에 노력을 경주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 것은 성과에 따라 개별적으로 차등보상하는 제도가 자칫 회사와 직원과의 관계를 거래적 관계로 몰고 갈 수 있다는 단점을 치유하기 위해서 어떻게든 사회적 관계를 고양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 기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경영학 부분에서는 잘 다루지 않았던 EOR이라는 개념이 몰입, 신뢰/만족, 상호작용이라는 3개의 차원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구성차원이 기존의 조직 유효성의 다양한 변수들과 구분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의미 있는 부분은 8개 국가에 대한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실이 동일하다는 것이 확인된 점이다. 이러한 보편성의 확인으로 EOR의 중요성이 한국인의 특수성이나 한국의 문화의 특수성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현상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EOR의 지표가 앞으로 조직 유효성의 또 다른 중요 개념으로 연구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향후 기업에서도 임직원들에 대해서 갑과 을의 관계, 평가하고 관리해야 하는 단순한 대상자의 개념을 넘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중의 한 사람으로 인식해야 하고 대등한 차원에서 그들과의 관계관리를 하는 쪽으로 관행을 전환해야 할 시점이 되었다는 관계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작은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차등보상으로 인한 불공정성을 인지했을 때 공정성 회복행위를 유발하는 차등수준을 확인하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했는데 국가별로 공정성 회복행위의 발현순서가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2000년과 2003년에 대비해서 한국인들의 관용수준의 폭이 상당수준 확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기존의 문화나 가치의 차이로 인해서 수용할 수 있는 관용의 수준이 국가별로 상이하며 반응행동도 상이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성과에 따른 차등보상제도를 설계할 때 제도적인 세부 성격과 차등의 폭을 별도로 감안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ter the Korean economic crisis of 1997, the approach to organization has radically changed from Shareholder Capitalism to Stakeholder Capitalism and the idea that executive members of an organization should be regarded as mature stakeholders instead of passively-managed entities has grown in popularity. To date there is substantial research regarding Organization-commitment, Job-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re is limited research done looking at employees as not only subjects of social transactions, but also as stakeholders in an organiza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how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s (the idea that employees want to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their organization) work as a parameter on how the perception of equity, a critical issue in Korean companies which have “Performance-driven compensation policy,” influenc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ethod of research was by surveying employees of the “L” group in South Korea. Non-Korean employees working in subsidiaries in Japan, China, Russia, Vietnam, India, Malaysia and Indonesia were also surveyed. The questionnaire was translated into local languages and was given to university-educated employees to minimize interference effect by other factors. Previous research has argued there are four dimensions to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s: commitment, control mutuality, trust and satisfaction. Our research has shown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rust and satisfaction, thus we propose trust and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a single dimension rather than two separat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s to establish equit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ach subordinate dimension of EOR. Interactional justice did not verify the influence. Furthermore, the analysis positively validates EOR’s low variabl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e dependent variable, and negatively on turnover intention. The variable of control mutuality among EOR’s variables has no cor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In summary, it confirms that EOR has influence on the parameter effect when Perception of Equity influences organization effectiveness. Considering the conclusion, it verifies that various efforts of the organization to enhance equity can reinforce the employees’ needs to have a continuous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and this need can impact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is research proves that efforts to enhance the level of equity are necessary when the organization has performance-driven compensation policy. In addition, companies that try to carry out a policy for performance maximization and on the other hand to maintain social relationships of employees in long-term view need to endeavor to establish Procedural justice. It suggests that the companies need to promote social relationships to make up for the weakness that personally differentiated compensation by performance policies may cause and driv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any and employee into transactional relations.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EOR consists of three kinds of dimensions: Commitment, Control mutuality, Trust/ Satisfaction, and the dimensions are distinguished from variables of current organization satisfaction.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research has the same result for the eight countries surveyed. This universality proves that the concept of EOR is not only important to Korean companies due to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but also universal to other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EOR index will be developed further as another significant concept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is research suggests the importance of relation management; it is time for companies to modify their previous management view into relation management view. Companies need to recognize employees as stakeholders rather than passively-managed entities. This research shows that when employees recognized inequity from performance-driven compensation, revealing order of equity restoration is different in each country surveyed through checking out different level of compens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showed current Korean tolerance level increased, compared to 2000 and 2003. Each country tends to have different tolerance levels to accept based on cultural and value differences. In addition, since reactions are different, the organization should contemplate the importance of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grades when the organization plans performance-driven compensation policies.

      • 한국어 학습자의 용언 활용 오류 분석 연구 : 언어권과 숙달도를 변인으로

        전영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어 작문 말뭉치에 나타난 용언 활용 오류를 언어권과 숙달도를 변인으로 관찰하여, 학습자의 중간 언어에 나타난 용언 활용 오류의 원인과 양상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1장과 2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한국어의 용언 활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본 논의에서의 용언 활용 오류란 형태적 정확성을 지키지 못하여 어간 및 어미의 재구에 어려움이 있었던 용언 활용 오류로 한정한다. 용언 활용 오류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립국어원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중 문어 오류 주석 말뭉치를 언어권(영어권, 일본어권, 중국어권) 및 숙달도(1급 ~ 6급)를 기준으로 각 50편의 작문을 추출하여 용언에 나타난 오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은 어휘 및 철자 오류, 띄어쓰기 오류, 어미의 의미와 관련한 오류도 일으키지만, 용언의 활용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4장의 초반부에서 제시하였으며, 연구 자료와 오류 분석 방법에 관해서는 3장에서 제시하였다. 본 논의는 용언 활용 오류를 관찰하기 위한 분석 기준으로 오류의 위치와 오류를 일으킨 언어 내적인 원인을 제시하였다. 먼저 오류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오류 분석은 4장에서 논의되었다. 기존의 한국어 교육 분야 오류 분석 연구들은 어미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용언 활용 오류는 어미뿐 아니라 어간에서도 관찰되기 때문에 오류의 위치를 어간형, 어미형, 어간 및 어미형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논의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분석 결과는 4장에서 논의되었다. 본 논의의 오류를 일으키는 언어 내적인 원인이란 형태 오분석과 활용 규칙의 미인식을 의미한다. 형태 오분석은 형태소의 과소 또는 과잉 분석과 같은 오분석을 의미하는데, 언어 보편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언어 내적인 요인이다. 이에 대해서는 5장의 전반부에서 다루었다. 또 다른 언어 내적인 요인으로는 활용 규칙의 미인식을 제시하였다. 학습자의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은 모국어의 전이나 간섭 뿐 아니라 목표어의 체계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활용 규칙의 미인식이란 한국어의 용언 활용에 관여하는 특성인 ‘선행 용언의 품사’, ‘음운론적 환경에 따른 이형태 선택’, ‘시제에 따른 활용’, ‘음운 규칙에 대한 인식’을 의미한다. 이들의 인식이 부족하여 일어난 오류를 관찰한 것으로 5장 후반부에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오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용언 활용 학습은 언어권과 숙달도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서로 다르다. 모든 언어권 학습자 자료에서 어미형 오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영어권 학습자는 특히 어간에서의 주의를 요구하고 중국어권 학습자는 어미에서의 주의가 요구되며, 다른 두 언어권 학습자들과 비교할 때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용언 활용 학습에 특히 더 많은 주의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용언 활용 오류를 일으키는 주된 언어 내적인 원인은 형태 오분석보다는 활용 규칙의 미인식에 있었으며, 주로 선행 용언의 품사에 대한 인식 부족에 원인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용언의 품사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인한 활용 오류는 모든 언어권 학습자들에게 나타났으며, 숙달도가 올라감에도 지속적으로 오류가 나타나 교수에 주의를 요구하였다. 형태 오분석 오류의 경우, 어미 오인식 오류보다 어간 오인식 오류가 많이 나타났는데, 형태 오분석으로 인한 오류는 고급으로 갈수록 분명히 오류율이 줄어들기 때문에 초급부터 지속적으로 형태에의 주의를 기울여 교수한다면, 습득의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또한 고급에서 어미의 의미와 담화 기능뿐 아니라 형태에의 주의가 요구되는 것이 용언의 활용이라는 점이었다. 활용 규칙의 미인식으로 인한 오류 중 일본어권 학습자들이 다른 언어권 학습자들보다 음운론적 환경에 따른 이형태 선택에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에 교수 및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데 있어 위와 같은 결과들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하였다. 이에 대한 더욱 세밀한 분석과 자료의 사용역을 달리한 비교, 용언 활용 오류 어절의 형태소 결합 유형을 밝히는 것은 후속 연구에서 탐구해 갈 문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aspects of Korean Foreign Language(KFL) learners' Interlanguage by observing verbal(Yong-eon) conjugation error in learners' written error annotated corpus, as variables of their native language and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The Yong-eon conjugation error on this research refers to the error were from difficulty in restructuring Stem(Eo-gan) or Ending(Eo-mi). To begin with, the issues on the Korean verbal conjugation in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discussed, in Chapters 1 and 2. The data and methodology which was used in this study was presented, in chapter 3. The verbal conjugation error based on the position of error was discussed in chapter 4. The verbal conjugation error according to the intra-linguistic factors was discussed in chapter 5. To begin with, the research questions and necessity to conduct error analysis of conjugation were explained through preliminary study on the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as, in chapter 1. The Korean verbal conjugation and the leaners' language and error analysis was described, in chapter 2. In chapter 3, For achieving the research goal, the written error annotated corpus designed by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public of Korea, was pre-processed based on learners' first language and their proficiency levels. In addition, the Conjugation error was categorized and presented. The error analysis which based on the position of errors discussed in Chapter 4. The verbal conjugation errors are categorized 3 groups which are Stem type, Ending type, Stem-Ending type. The result of error analysis based on position was described in Chapter 4. In chapter 5, the error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intra-linguistic factors which is morphological mis-analysis and a lack of awareness on the rules of conjugation. The Morphological mis-analysis refers to under or over analysis that is linguistically universal factors. Another one is exclusively related to Korean. The reason for occurring error is not only L1 transfer or intervention, but also for target language systems.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rules of conjugation is included part-of speech of Yong-eon pre-positioned, alternation of allomorph, conjugation occurred by tense and awareness of phonological rules. The errors were based on the misunderstanding on rules of conjugation were discussed on the latter part of Chapter 5. Consequentl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verbal conjugation learning is different in according to the learners' L1 and proficiency levels. In all language learner materials, the Ending-type error was high, but English-speakers especially demanded attention in Stem, The Chinese-speakers demanded attention in the Ending, and compared to other two-language learners. More attention is required to learn verbal applications. Second, the main cause of linguistic misuse was found in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rules of use rather than the erroneous analysis of forms. Verbal conjugation errors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part of speech of prior Yong-eon appeared to all language learners, and even though proficiency levels increased, errors appeared continuously, requiring attention to teaching them. The Morphological errors are clearly decreased as the higher level is advanced. It will be possible to put the time to acquire conjugation forward. In addition, it is the use of Yong-eon that requires attention to the form as well as the meaning of ending and it's function of discourses. Among the error, Japanese language learners have more difficulty in selecting this type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environment that other language learners, due to unrecognized usage. Therefore, th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teaching and educational materials.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is, such as more various comparisons of data usage, identify the types of morphological combinations of the words may be a problem to be explored in subsequent studies.

      • 高濃度 키토산 處理에 의한 셀룰로오스 織物의 機能性 向上

        전영민 嶺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An attempt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putting functionalities on cellulose fabrics with chitosan. Functionalities were pointed on antibiosis, deodorizaton, moisture absorption. Also I attempted at the improvement of several mechanical properties and functionalities with chitosan printing treatment. A series of chitosan were added on cellulose fabrics with padding and printing method. Then, each chitosan treated fabrics were dyed. Diversified each sub-sampl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of all, chitosans used in this study were identified with molecular weight, degree of deacetylation, FT-IR, pH, antibacterial property measurements. From this study, it is known that chitosans(molecular weight not exceeding 25,000 Dalton) possess stronger antibacterial property than that above. The goal of this study is based on verifying the industrial superiority of chitosan printing process on cellulose fabric which is firstly applied in this study and conclusions of this work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ing. From the study of XRD, it is recognized that there are chemical interactions between chitosan and cellulose. It is assumed that high affinity, occurs between chitosan and cellulose, result from this interactions. It is known that more than 0.5wt% of chitosan content is required to accomplish to make chitosan treated fabric possessing over 90% of bacteriostatic ratio. So, high concentrated chitosan solution treating method on fabric is required. Generally, the higher chitosan content is, the more intensive functionalities were exhibited. But air permeability strongly depend on treating method. In the case of printing process, the change in mechanical properties of base fabric occurs less significantly. For these reasons, it is believed that the printing process is fitting method for chitosan.

      • HR 직무 담당자의 임파워링 리더십, 혁신행동, 학습민첩성, 잡 크래프팅의 구조적 관계

        전영민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empowering leadership, innovative behavior, learning agility, and job crafting on HR job managers, and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and job crafting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s set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relationship do empowering leadership, learning agility, job crafting, and innovative behavior form? Second, do learning agility and job crafting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for 9 days from October 17 to October 25, 2022, targeting HR managers working in domestic companies. 313 responses judged to be valid were used as samples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gility, learning ag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nd finally, job craf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t of the variables, it was derived that there was no influence relationship. Second, it was found that learning agility and job crafting did not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R, which supports other departments within a company, is conservative compared to other organizations and may lack autonomy in the roles granted to individuals. Companies and leaders should try to provide environments and conditions that can guarantee the autonomy of their work. Second,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trategy to recognize and develop learning agility as a capability that can be develop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this process, it is important to form an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trategies and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learning agility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ways to lead to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process of redefining the values of the jobs performed by member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n organization is employees, and even employees in the same job have different affection, interests, skills, and abilities. It is important to provide job education that can be interested in individual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identify and satisfy their needs. 이 연구는 HR 직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 혁신행동, 학습민첩성, 잡 크래프팅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에 학습민첩성과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실증하고자 했다. 연구 목적을 기반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 학습민첩성,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은 어떤 영향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가? 둘째, 학습민첩성과 잡 크래프팅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 두 변인 간의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가? 이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HR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17일부터 10월 25일까지 총 9일에 거쳐 온라인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313부의 응답을 표본으로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학습민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학습민첩성은 잡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마지막으로 잡 크래프팅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의 나머지 변인 간 관계에서는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 간 관계에서 학습민첩성과 잡 크래프팅은 매개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기업 내부에서 타 부서를 지원하는 HR은 다른 조직에 비해 보수적이며 개인에게 부여된 역할에 대한 자율성이 부족할 수 있다. 기업과 리더는 업무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제공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학습민첩성을 조직 차원에서 개발할 수 있는 역량으로 인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바탕으로 한 조직 문화 형성이 중요하며 조직 차원에서의 학습민첩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과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구성원이 자신이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가치관을 재정의하는 과정을 거쳐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도록 여러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조직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직원이며, 같은 직업에 종사하는 직원이라도 각각 다른 애정, 흥미, 기술과 능력을 지니고 있다. 조직 구성원 개개인에 관심을 가지고 욕구를 파악하여 충족시켜줄 수 있는 직무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