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간 영역에서의 자기 참조 워터마킹

        전영균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워터마킹(Watermarking)이란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지영상, 동영상, 오디오, 그래픽 등에 사람의 눈이나 귀로 인지할 수 없는 신호나 내용 등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요즘 들어 중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데, 디지털 데이터 처리능력의 발달 및 네트워크의 고속화로 데이터의 불법복제 및 불법 유포가 용이해져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같은 대용량 데이터도 쉽게 복제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워터마크를 제거하려는 공격기법이 점차 발전되면서 여러 가지 워터마킹 알고리즘이 등장하게 된다. 보통 워터마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워터마크 신호의 동기(Sync)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런 기법을 동기-제거(De-Syncronization) 공격 방법이라 한다. 이런 공격 방법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데이터가 어떤 공격을 받았는지 그 정보를 알아내어 공격에 대한 역변환 방법으로 워터마크를 검출하게 된다. 이런 워터마킹 방법으로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공격에 영향을 받지 않는 영역(invariant domain)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 템플릿(template)을 이용한 방법, 자기 참조(self-reference)를 이용한 기법 등이 있다. 자기 참조 워터마킹에서의 워터마크는 메시지를 삽입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기하학적 변환을 규명하는 기하학적 참조 역할도 한다. 기하학적 참조는 같은 공간 영역의 워터마크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복사해서 만든 이미지에 의해 삽입된다. 이런 작업은 삽입된 워터마크를 예측하는 자기상관함수에서 추가적인 피크들을 야기한다. 이런 추가적인 피크들은 기하학적 변환을 예측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예측된 값에 근거해서 역변환을 취해주면 삽입된 워터마크가 검출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영역에서의 자기 참조 워터마킹 방법을 소개하고, 이에 적합한 메시지를 삽입하고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먼저 워터마크 블록(128x128)을 형성하는데, 들어가는 정보는 동기화를 위한 부분과 정보 부분으로 나눠진다. 동기화 부분은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를 이용하여 만들고, 정보 부분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메시지와 Reed-Solomon Code를 이용하여 만든 부가적인 정보를QOS (Quasi-orthogonal sequences)방법과 DSSS를 이용하여 만든다. 이렇게 만든 워터마크 시퀀스를 키값을 이용하여 뒤섞으면 워터마킹 블록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든 워터마킹 블록을 전체 영상 크기만큼 반복하여 전체 영상 크기의 워터마크 데이터를 만들어 삽입강도를 조절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필터링 공격에는 95% 이상 검출됐고, JPEG 압축 파라미터 60에서도 97% 이상 검출되었다.

      • IEC Pub. 60068 환경시험규격의 개정 전·후 비교 연구

        전영균 수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IEC Pub. 60068 기후적 환경시험과 기계적 환경시험의 개정 전·후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개정된 IEC 규격 중 KS 부합화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기후적 환경시험 중 저온, 고온 및 온습도사이클 시험과 기계적 환경시험 중 진동(정현파) 및 충격 시험을 대상으로, 개정 전·후의 규격 체계, 용어 정의, 시험 항목 및 엄격도, 시험 성적서 명기사항 등을 비교한다. 또한, 환경시험 규격을 쉽게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환경시험 규격 데이터베이스 검색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This thesis is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comparing climatic and mechanical environmental tests of IEC Pub. 60068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Low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cycle for climatic tests, and vibration(sinusoidal) and shock for mechanical ones are considered, in which KS conformance has not yet made to the revised IEC standards. Each environmental test is analyzed and compared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of standard, terminology, test method, severity, and details of test report, etc. A prototype of environmental standard database search system is also presented for easy search and use of environmental test standard.

      • 解毒四物湯이 피부 접촉성 과민반응에 미치는 影響

        전영균 圓光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解毒四物湯 (Haedoksamul-tang)은 黃柏(Cortex Phellodendri), 黃連(Rhizoma Coptidis), 黃芩(Scutelbriae Radix), 梔子(Fructus Gardeniae), 當歸(Angelica acutiloba Radix), 川芎(Cnidii Rhizoma), 白芍葯(Paeoniae Radix), 生乾地黃(Rehmanniae Radix)으로 구성된 처방으로서 한의학에서 아토피 피부염이나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화학적 알러지 유도물질인 Trimellitic anhydride (TMA)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접촉성 과민반응에서 解毒四物湯의 효과에 대한 조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TMA 유도 마우스 접촉성 과민반응에서 解毒四物湯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재료로 사용한 解毒四物湯은 100℃로 2시간 반 동안 물로 끓인 후 0.45 μm 필터로 여과 후 동결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17일간 쥐에게 각기 다른 용량(50-400 mg/kg/day)으로 解毒四物湯을 경구투여 하며 사육하였다. 공격(challenge)기간 동안에는 TMA로 처리 30분 전에 1회에 걸쳐 처리 부위에 解毒四物湯 추출물(3% 20 μl)을 도포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TMA로 과민반응이 유발된 쥐에서 解毒四物湯이 혈청 IgE와 IgG1의 생산량, 귀의 두께의 변화, 귀의 조직학적인 변화와 백혈구의 침윤정도, auricula lymph node 세포에서 CD4+/CD8+의 비율변화와 cytokine과 chemokine의 생산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解毒四物湯은 투여량에 의존적으로 TMA로 과민반응이 유발된 쥐에서 귀의 두께감소와 백혈구 침윤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혈청 IgE의 생산량도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투여량에 의존적으로 auricula lymph node 세포에서 CD4+/CD8+의 비율이 감소되었으며, 이들 세포를 체외배양 시 IL-4, IL-5 및 IL-13의 생산을 감소시켰으나, IFN-γ의 생성량에는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며, chemokine인 MCP-1/CCL2와 MIP-1α/CCL3의 생산 또한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동물실험에서 解毒四物湯 투여에 따른 귀의 부종 억제와, 백혈구 침윤 억제, 혈청 IgE 생산 억제, chemokine과 Th2 cytokine의 생산 억제의 결과는 접촉성 과민반응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음을 제시해주었다. 따라서 解毒四物湯은 접촉성 피부염이나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알러지성 피부질환의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제일 것이라 사료된다. Haedoksamul-tang (HSTE), a water extract from a mixture of Phellodendri Cortex, Coptidis, Scutellariae Radix, Gardeniae Fructus, Angelica acutiloba Radix, Cnidii Rhizoma, Paeoniae Radix, Rehmanniae Radix,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allergic skin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and contact dermatitis in oriental countri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HSTE on trimellitic anhydride (TMA)-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CHS) in a mouse mode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HSTE on TMA-induced CHS in Balb/c mice. Contact hypersensitivity was induced in mice by topically sensitizing and challenging with TMA in flank skin and ears during oral administration (for 17 days) and topical treatment (30 min before challenge) with HSTE. We examined the effects of HSTE on IgE and IgG1 levels, inflammatory parameters in ear tissues, CD4+/CD8+ ratio, cytokine and chemokine production in sera, tissues, and immune cells from TMA-sensitized mice. Oral and topical administration with HSTE reduc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ickness and leukocyte infiltration of ear tissues and IgE levels in serum from mice sensitized with TMA. In addition, auricula lymph node cells isolated from TMA-sensitized mice significantly elevated the expression ratio of CD4+/CD8+ as well as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4, IL-5, IL-13 and IFN-γ by ex vivo stimulation with antibodies against CD3 and CD28, and these inflammatory indexes, except for IFN-γ,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by orally and topically administration of HSTE. Furthermore, stimulation of auricula lymph node cells from TMA-sensitized mice with antibodies against CD3 and CD28 increased the production of MCP-1/CCL2 and MIP-1α/CCL3, and these effects were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ells from mice treated with HSTE. These results suggest that HSTE can be used for treating contact hypersensitivity by inhibiting leukocyte infiltration as well as production of serum IgE and chemokine/Th2 cytokine in an animal model.

      • 국내 역세권개발 관련 법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철도역 역세권을 중심으로

        전영균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로 인한 온실가스의 감축의 필요성, Mega-Region간의 세계 경쟁체제로의 전환으로 철도역과 연계된 역세권개발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03년 KTX가 개통된 이 후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국내 역세권 개발사업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역세권개발 관련 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내 역세권개발에 대한 큰 이론적 틀이 TOD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파급력이 큰 철도역 역세권을 범위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구성은 첫째, 역세권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역세권의 이론적 배경인 TOD, Mega-Region이론을 살펴보고, 역세권 개념·범위 등을 정의하여 역세권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둘째, 국내 역세권개발 관련 법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시대에 따른 법의 흐름을 살펴보고, 역세권개발 관련 법의 현황을 분석하여 그 종류와 주요내용들을 파악하였다. 셋째, 관련 법의 현황을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하여, 역세권개발 사례, 주요내용분석, 타 개발법률과의 비교를 통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역세권개발 선진사례인 일본, 홍콩, 프랑스의 법·제도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 후, 국내 역세권개발 관련 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국내 역세권개발 관련 법률은 교통관련 법률, 도시계획·개발 관련 법률,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로 구분이 가능하였으며, 교통관련 법률은 도시계획과의 연계에서, 도시계획·개발 관련 법률은 교통계획과의 연계에서,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역세권을 계획적·통합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법률임에도 불구하고 적용사례가 전무한 한계점이 있었다. 국내 역세권개발 관련 법의 문제점은 철도역과 주변지역의 법률의 적용으로 나타나는 통합적 계획의 한계, 사업시행주체간의 대립, 철도역과 주변지역의 개발시기 차이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긴 위하여 제정된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은 법적 위상·역할 불명확, 사업수단의 미흡, 행정적·재정적 지원사항 미흡 등으로 실효성 부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해외 선진사례의 역세권개발 관련 법·제도를 분석한 결과, 초기단계에서부터 철도역과 주변지역을 사업구역으로 지정하여 통합적으로 계획하고 있었으며, 각 사업주체가 관련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역세권 개발계획을 초기의 목표대로 끝까지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획일적인 사업방식보다는 다양하게 역세권개발이 가능하였다. 국내 역세권개발 관련 법의 개선방향으로는 첫째, 실효성이 미비한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특별법으로의 위상강화를 통하여 개발사업 시에 역세권개발 관련 법들에 의한 사업을 준용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둘째,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폐지하고, 역세권 개발사업 시에 초기에 사업추진협의체를 구성하여 통합적인 역세권 개발계획의 수립과 원활한 사업시행주체간의 조정역할을 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2015년 도입이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입지규제 최소지구의 활용을 검토하여, 기존의 용도지역에 의한 토지이용규제를 받지 않고 역세권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게 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의 본질과 입법방향에 대한 연구

        전영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EU GDPR on May 25, 2018 which includes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major countries are considering introducing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into the policy system. As the Credit Information Act was revised in January 2020, Korea has also implemented the MyData system in the financial sector since December 1, 2021 after extending the grace period and the amend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which includes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was also propos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September 2021. The problem is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in too much of a hurry. The MyData system in the financial sector was postponed to be implemented due to the insufficient preparation, and there exist concerns over introducing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such a rush which includes even a wider range of information provided for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providers. With the awareness of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ature of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legislative directions.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s been discussed to strengthen the rights of data subjects due to expanded scope of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but in other respects, it may infringe on the freedom of business the basic legal rights of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However, since the necessity of this right is clear in two aspects: enhancing the rights of data subjects and vitalizing the data economy, it is not appropriate to unconditionally oppose to introduce the system because of guaranteeing freedom of business. Therefore, the legislative direction of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turn on the nature of this right harmonizing two basic rights(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freedom of business) and two essential purposes(enhancing the rights of data subject and vitalizing the data economy).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legislation, four different Acts in Korea – the Credit Informtation Use and Protection Ac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Electronic Government Act, and Civil Petitions Treatment Act – structured the system to serve the purpose of each Act. In the case of the Credit Information Use and Protection Act, the MyData System was implemented focusing on vitalizing data econom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rganized system of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brings the issue of enhancing the rights of data subjects to the front in an effort to strengthening the rights of control of data subjects. In the case of Electronic Government Act and Civil Petitions Treatment Act, the right to request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was institutionalized with the sole object of enhancing the rights of data subjects as public information is handled under the legislation. The GDPR formed the system of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for the purpose of vitalizing the data economy along with strengthening the rights of data subject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ere data flow is smoother than in Korea or the EU, it operates the system on the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that focuses on strengthening rights of data subjects and consumers rather than vitalizing the data economy. In the meantime,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 portability system,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effectiveness: data concentration, reduced data flow, and lack of promoting competition effect; technical issues: interoperability, securing infrastructures, and abuse of access right; unsystematic execution system: fragmentation of the data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of the organization for practical discussion were identified. As a basic direction for legislation, it is necessary to priorly consider implementing a step-by-step system to perform a practical system suitable for the nature of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first phase will be the implementation of the right of access to personal information by downloading the data in a transmission-available form. The second phase will be realizing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enables data subjects or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to other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The legislation of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l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but revision of the principl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ringing protection and utilization into harmony, re-establishment of the rol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a practical discussion body are needed. In addition, in order to unify the promotion system, it seem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authority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ttee on the execution of the right to request transmission of data in the public sector. Information provided for transmission of the right to request pers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should include all personal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but any information infringing on the others’legitimate interest and rights or related to copyright and trade secret must be excluded. Information providers should be all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in principle but small businesses below a certain standard need to be excluded from the lis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duce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to actively engage in the system by preparing exemption requirements for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with prescribed safety measures at the stage of enforcement of the law. It is also needed to form a working group to supplement the identified problems of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system and prepare for the enactment of subordinate legislation and guidelines. Lastl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integrated MyData business as the next step of the right to request personal information transmission is necessary to be considered. The integrated MyData business aims to integrate and utilize data from various fields such as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public sector, finance sector, and health care sector, focusing on vitalizing the data economy. And regulations should be introduced to a minimum to reach the key objective. Before institutionalizing, however,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data, establish the jurisdictional department and legal grounds, review regulations and make policy decisions on MyData business operators’ entry and scope of business. The integrated MyData business is thought to be able to generate greater social utility such as discovering new data markets based on extensive data in a variety of fields. 개인정보 이동권이 포함된 EU GDPR이 2018년 5월 25일 시행된 이후 세계 주요국에서도 데이터 이동권 제도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0년 1월 신용정보법 개정을 통해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제도가 도입되어 유예기간을 연장한 끝에 2021년 12월 시행되었으며,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을 담은 개인정보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이 2021년 9월 국회에 제출된 상태이다. 그러나 앞선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제도가 준비 미비로 시행이 연기 된 상황에서 대상정보 및 제공 대상기관 범위 등 영향력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는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이 사전 준비가 부족한 상태로 제도화가 추진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제도화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의 본질을 중심으로 입법방향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이 필요하다.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은 헌법상 기본권인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권리범위 확대로 인한 정보주체의 권리 강화 측면에서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보면 개인정보처리자의 기본권인 영업의 자유를 침해할 가능성도 있는 제도이다. 하지만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은 정보주체의 권리 강화, 데이터 경제 활성화라는 2가지 측면에서의 의의가 명확하므로, 영업의 자유 보장을 이유로 제도의 도입을 무조건 반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의 입법방향은 두 가지 기본권(개인정보자기결정권, 영업의 자유) 및 두 가지 본질적 목적(정보주체의 권리 강화, 데이터 경제 활성화)이 상호 조화를 이루는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의 본질을 중심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국내외 법제를 살펴본 결과, 신용정보법의 경우 데이터 경제 활성화 중심의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제도를,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은 정보주체의 통제권 강화를 도입취지로 정보주체 권리 강화를 전면에 내세운 개인정보 전송요구권 제도를, 전자정부법 및 민원처리법의 경우 공공정보를 다루는 만큼 정보주체의 권리 강화를 유일한 목적으로 하는 본인정보 제공요구권 제도를 각각 구성하였다. GDPR의 경우 정보주체의 권리 강화와 함께 데이터 경제 활성화 모두를 제도의 목적으로 하는 개인정보 이동권 제도를 구성하였다. 우리나라나 EU에 비하여 데이터 흐름이 원활한 미국의 경우, 데이터 경제 활성화 보다는 정보주체 및 소비자에 대한 권리 강화에 중점을 둔 정보접근권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한편, 국내외 데이터 이동권 제도에서는 데이터 집중·데이터 흐름 감소·경쟁 활성화 효과 미비 등 실효성의 미흡, 상호운용성·인프라 확보·접근권한 악용 등 기술적 문제, 데이터 관리 체계의 파편화 및 실무 논의 기구 운영 문제 등 집행체계의 비체계화와 같은 문제점도 확인되었다. 입법추진의 기본방향으로는 우선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의 본질에 맞는 실질적 제도 이행을 위하여 단계별 제도 시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단계로 전송 가능한 형태로의 다운로드를 주요 권리로 하는 개인정보 접근권을 시행하고, 2단계로 다른 개인정보처리자에게 개인정보 전송을 요구할 수 있는 개인정보 전송권을 구현하는 방안이다. 그리고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중심으로 입법화를 추진하되, 보호와 활용이 조화를 이루는 개인정보 보호원칙 개정,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역할 재정립, 실무 논의 기구의 제도화가 요구된다. 또한 추진 체계 일원화를 위하여 공공부문 전송요구권 집행에 있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관리·감독 권한을 강화하는 체계도 필요하다.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의 대상정보의 경우 개인정보처리자가 처리하는 모든 개인정보를 포함하되 다른 사람의 정당한 이익이나 권리를 침해하거나 저작권 및 영업비밀과 관련된 정보는 그 전부를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 제공 대상기관은 모든 개인정보처리자를 원칙으로 하되 일정기준 이하 영세사업자는 그 대상에서 제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 이행 단계에서 일정 기준 이상의 안전조치를 갖춘 개인정보처리자에 대한 면책 요건을 마련하여 개인정보처리자들이 제도에 적극적으로 임하도록 유도할 필요도 있다. 이와 함께 실무 논의 기구 산하에 작업반을 구성하여 이미 시행된 데이터 이동권 제도에서 확인된 문제점을 보완하고 법령 및 가이드라인 제정 준비에 나설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전송요구권의 다음 단계로 통합 마이데이터 사업의 제도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통합 마이데이터 사업은 데이터 경제 활성화에 중점을 두고 일반 개인정보·공공·금융·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중점 목적에 맞도록 규제는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다만, 이를 제도화하기에 앞서 데이터의 세분화, 관할부처 및 법적 근거 마련, 마이데이터 사업자의 진입규제 및 업무 범위에 대한 검토와 정책적인 결정이 필요하다. 통합 마이데이터 사업은 다양한 분야의 광범위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 시장의 발굴 등 더 큰 사회적 효용을 발생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습식 플라즈마에 의한 물의 변화 특성 : Characteristics changs of water using wet-plasma

        전영균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Ultraviolet rays, OH.H.O radical and O3 produced by the streamer discharge in water are widely used to deactivate microorganisms and remove organic contaminants in water and the dominant factor of these decomposition is the oxidized reac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dissolved O3 in water. In this paper, the barrier discharge applied high frequency of 20[kHz] was used to create plasma in a gas, liquid and solid medium. The electrode of the reactor combined wet-type with packed-barrier type (WPBR) was made as non-contact way against water because the effect of water component change by the erosion of electrodes exposed in water should be minimized. The active radical and O3 gas generated in plasma region were reacted into the water as electrode so that at the same time a dissolved O3 and hydrogen peroxide were formed in water and The change of pH and conductivity was measured. 펄스 전압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UV, OH, H, O 라디칼, 과산화 수소 및 오존은 물속의 유기물이나 미생물 제거를 위해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특히 적조를 발생시키는 미생물에 과산화 수소를 투입하면 그 제거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연구 보고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체, 액체, 고체 상태가 공존하는 영역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20~30[kHz]의 고주파 전원을 사용하여 wet type과 packed-barrier type(WBPR)를 결합한 플라즈마 반응기를 제작하였고, 이 반응기의 전극은 물과 비접촉식으로 만들어서 전극침식에 의한 물 성분 변화를 극소화 시켰다. 이 반응기의 펠렛으로 채워진 플라즈마 발생 영역에 공기를 bubble하면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용존산소량과 과산화 수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플라즈마 반응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오존발생기에 의한 용존오존과 과산화 수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오존 및 과산화 수소의 발생에 따라 플라즈마 처리후의 수돗물과 증류수의 pH 및 전도도의 변화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 A study of the Indian automotive industry since 1980 : Dani rodrik's perspective

        전영균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automotive industry is one of the growth engines for the Indian economy. In this dissert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Indian automotive industry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in the framework of the ‘new perspective on industrial policy’ by Dani Rodrik. First, why was the growth rate of the Indian automotive industry in the 1980s higher than that in the 1990s when India implemented many economic reforms? The higher growth is due to the different government policies pertaining to the automotive industry. While the Indian government was taking a ‘pro-business’ approach in the 1980s, it had pursued a ‘pro-competition’ approach in the 1990s due to the economic reforms which was initiated in 1991. With the ‘pro-business’ approach, Indian automotive industry could grow faster than before. However, even though the government of India launched economic reforms in 1991, the industry could not grow faster than 1980s due to lack of ‘self-discovery’ mechanism. Second, what did the Indian automotive industry achieve to grow at a high and stable pace in the 2000s? In order to boost the Indian automotive industry again, the government initiated new policies in the 2000s. The government of India has set two goals in the ‘Auto Policy 2002.’ The first goal is to develop an international hub for the production of small and reasonably priced cars. The second goal is to create a global source for automotive components. Furthermore, India began to carry out differential duties and to cut excise duties. In 2006, a long-term plan was announced, known as Automotive Mission Plan (AMP) 2006-2016, to sustain the industry’s growth momentum. The ‘self-discovery’ argued by Rodrik was taken place by the pro-business attitude in the 1980s. And the 3 steps of ‘growth strategy’ argued by Rodrik were implemented in the 2000s. Government of India enforced the ‘Auto Policy 2002’ in the early 2000s because of correcting policy distortion in the 1990s. In the late of 2000s, the government executed AMP 2006-2016 to sustain triggered growth moment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