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外國銀行의 國內金融電算網 加入이 小賣金融業務에 미치는 影響 : 張仁子

        장인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number of Foreign Banks branches in Korea has been permitted to increase in order to meet the domestic capital requirements under Korean Government economic policy. However, in view of the rapid changes in the banking environment due to liberalization of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 foreign bank business will switch to retail banking from wholesale banking and utilize the financial network system for effective performance. It is evident that foreign bank financial network will compete with those of domestic Korean banks. This study is based on the impact of the foreign banks' financial networks on the domestic retail banking business. Most countries' domestic banking institutions have a competitive position in retail banking in their home countries and have easy access of information compared to that of foreign banks there. However, the forecast of th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foreign banks' financial network in this thesis is as follows : First, Expansion of business areas through small branches and branch automation. Second, Erosion of the domestic banks', retail banking market under product diversification to meet customer needs via professionalism. Third, The domestic retail banking market is under pressure from foreign banks' advanced financial skills and efficient information service to meet customer needs through a worldwide network. The countermeasures of domestic banks to the threat are as follows : First. Enhancement of international competency through expansion of business areas and enlargement of assets. Second, Diversification of management via effective organization and maximum profitability. Third, Improvement of customer services by shortening of decision making time for credit application approval and differentiation of prices. Fourth, Creative a good image through advertisement and assistance to regional social development. To expand business volume and maximize profitability the banks should provide services to customers and a comprehensive control system of existing customers should be established. Investment and other costs in home banking is needed. Korean commercial banks should have active management diversification plans against rapid changes in the banking environment, e.g. moving toward business-without-office facilities from the traditional office-oriented banking management system. Currently, the position of foreign banks is complementary to local banks : however, in view of the foregoing, the role of foreign banks will change in the retail banking market and this will be a good opportunity for the local banks to improve their competency.

      • Zn-Ni 합금전착에서의 니켈함량변화가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

        장인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Zn-Ni 전기 전착 강판의 내식성은 Ni 함량에 따라 변화하며, 일반적으로 11-18% Ni에서 가장 우수한 내식성이 얻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우수한 내식성은 상기의 Ni범위에서 r 단일상 만이 생성되기 때문이며 Zn-Ni 전기 전착 강판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 r단일상을 형성시키는 조건의 선정이 중요하며, 이것은 전착층내 Ni 함량 뿐만 아니라 Zn 이온에 대한 Ni 이온의 몰비, pH값, 도금욕 온도, 전류밀도, 전착액의 유동속도 등에도 의존한다. 따라서 원하는 상을 생성시키기 위해 제조 공정상 각각의 변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산성욕 보다 알카리욕에서의 전착이 균일전착성과 내식성 양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Zn-Ni 합금전착에서 강알칼리욕을 대상으로 하여 전해욕 중의 Zn/Ni 농도에 따라 전착층의 Ni 함량 변화, 그리고 Ni 함량 변화가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전착액 중의 Ni/Zn 농도비가 1/3까지는 Ni 농도 증가에 따라 전착층의 Ni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Ni 농도비에서는 Ni 함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그리고 전착층 중의 Ni 함량은 실험한 8A/dm2 까지 전류밀도 변화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전착효율은 전착액 중의 Zn 농도에 의존하였는데, Zn 농도가 증가할수록 효율도 상승하였다. Zn-Ni 전착층 중의 Ni 함량이 증가할수록 부식전위는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Ni 함량이 8.7% 이상인 경우는 3.5% NaCl 수용액에서 부동태 전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Ni 함량 17% 이상에서는 부식전위가 200mV 이상 급격히 상승하였다. 부식속도는 Zn-Ni 합금전착층의 Ni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약 17%에서 가장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의 함량에서는 다시 부식속도가 증가하는 결과가 얻어졌다.

      • 그리드 기반 TVWS 채널 관리기법에 기반한 멀티채널 TVWS WPAN 운용에 관한 연구

        장인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무선 주파수 자원의 부족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TV White Space(TVWS) 대역 주파수의 효율적 사용측면이 중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그리하여 IEEE 802.11, IEEE 802.11af, IEEE 802.15.4m 등 TVWS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표준이 제정 되고 있고, 특히 본 논문은 TVWS 주파수 대역에서 센서 네트워크, 스마트 그리드, 홈 네트워크 등에 활용 가능한 TVWS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WPAN)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다. 본 논문은 효율적인 TVWS 가용 스펙트럼 관리 기법과 TVWS 대역의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멀티 채널, 멀티 Pan Coordinator(PC)를 사용하는 TVWS WPAN 등 크게 2가지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TVWS 주파수를 사용하는 모든 TVWS 장치들은 인터넷을 통해 해당 규제 기관에 의해 관리 되는 Geolocation Database(GDB) 서버에 접속하여 이용 가능한 채널 및 다양한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따라서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에서 제정한 Protocol to Access White Space Database(PAWS) 프로토콜을 기초로 GDB 서버/클라이언트가 구현되며 다양한 실험을 통해 그 동작이 검증된다. 하지만 GDB 서버로부터 이용 가능한 채널을 할당받는데 있어 해당 위치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TV 채널정보는 가까운 중계국에 의존하는 경향 때문에 해당 지역의 위도-경도 위치 정보로 정확한 가용 TV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용이하지 않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해당 지역의 TVWS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그리드 기반의 Geolocation Database(GDB) 서버를 제안하고 제안하는 그리드 기반의 GDB 서버에 대한 그리드 내의 셀들의 개수, 채널 Utilization, 셀 간의 간섭 등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기반의 GDB 서버로부터 할당받은 TVWS 대역의 주파수를 TVWS WPAN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TVWS Multi-channel Cluster Tree PAN(TMCTP)를 제안한다. TMCTP는 멀티 채널 사용과 PAN의 독립성, 주기적 채널 모니터링, 최소의 오버헤드를 고려하여 설계되었고 본 논문에서는 동작 순서 및 구조를 제시한다. TMCTP의 성능평가는 Network Simulation-3(NS-3)로 TVWS WPAN 망 운용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다양한 토폴로지에서 Association 시간과 Uplink 데이터 전송시간, Downlink 데이터 전송시간 등의 항목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TMCTP와 IEEE 802.15.4 단일 채널 모델과 비교하여 슈퍼프레임 Utilization과 Average Downlink Delay, Uplink Delay등 3가지 측면에서 성능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그리드 기반의 GDB 서버와 TMCTP가 TVWS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검증하고 향후 추가할 부분에 대하여 도출한다.

      • 華山館 李命基 繪畵에 대한 硏究

        장인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조선후기 화원화가 華山館 李命基(1756-1802년 이후)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한 고찰이다. 이명기는 1756년(영조 12) 화원 李宗秀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아버지 이종수와 장인 金應煥을 통해 화가수업을 받은 이명기는 초상화 분야에서 실력을 인정받아 1791년(정조 15)과 1796년(정조 20) 두 차례나 어진제작의 주관화사로 참여하였다. 1793년 여름부터는 경상도 영천의 長水道驛에 察訪으로 근무를 하였다. 이명기에 대한 기록은 1802년(순조 2) 『日省錄』기사를 마지막으로 남기고 있어, 1802년 이후 사망하였음이 짐작된다. 이명기 회화의 결정이라 할 수 있는 초상화는 이전시기 활약했던 선배화원의 화풍을 수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구축하였다. 이명기의 초상화법은 이전시기에 비해 선묘의 표현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그 대신 색의 중첩과 선염처리를 통해 안면의 굴곡과 의복의 입체감을 살렸다. 바닥의 화문석은 세로결과 문양의 사선에 따라 의자다리와 족좌대를 평행배치하였고, 그 좌우에 엷은 먹으로 인물의 그림자를 표현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은 서양화법을 수용하면서 특징이다. 이처럼 이명기의 초상화는 역대 초상화의 장점을 소화하여, 더욱 사실감 넘치도록 대상인물을 표현함으로써, 조선시대 초상화의 최정점에 자리잡았다. 이후 이명기의 초상화법은 18세기 후반-19세기 초 초상화법의 정형이 되었고, 후배 화원의 모범이 되기에 이른다. 하지만 19세기 중반 이후 초상화법은 쇠퇴의 길을 걷는다. 사실적인 입체감 표현보다는 선의 사용이 강조된 고식을 따른다. 이명기의 초상화법은 더 이상 발전, 계승하지 못한 셈이다. 이명기는 초상화 외에도 산수인물화에 기량을 발휘했다. 이명기의 산수인물화는 현전작품을 통해 살펴볼 때 唐詩나 故事를 화제로 한 고사인물화에 집중하였음이 확인된다. 그의 산수인물화는 당시 일종의 시대양식처럼 18세기 후반-19세기 화원들과 마찬가지로 계승되었던 金弘道의 화풍을 따랐다. 암벽과 바위 처리에 사용한 변형된 하엽준 표현, 수목의 가지표현 등에서 이런 특징들이 두드러지는데 완벽히 익히지는 못한 듯 그 고졸함이 흉내만 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화산관’이라는 호를 사용하기 시작했을 것으로 짐작되는 1793년 찰방 부임을 기점으로, 가는 세필의 필법이 힘차고 굵은 먹선의 절제된 필선으로 변화한다.

      • 복분자(Rubus coreanus) 추출물의 모발염색 특성에 관한 연구

        장인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복분자(Rubus coreanus) 추출물의 모발염색 특성에 관한 연구 장인경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현대인들은 개성 있는 스타일과 건강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면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모발염색이 대중화와 보편화되고 색상 또한 매우 다양화되면서 인체에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천연소재 염색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천연 염료인 복분자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의 모발 염색시 염제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복분자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최대흡수파장인 520 nm에서 흡광을 측정하여 염액속의 안토시아닌 농도를 분석하였다. 복분자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를 염재로 사용하여 모발 염색을 실시한 후 염색온도, 염색시간 및 pH를 변화시켜가며 염착도와 색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매염제인 황산철, 아세트산, 명반, 황산구리를 사용하여 모발염색에 매염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여 다양한 컬러를 만들어내기 위한 표준화된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복분자 안토시아닌 색소의 추출시 저온압착법의 안토시아닌의 추출효율은 무매염시 K/S 값이 48.332로 나타나 무매염시에도 염색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무매염시 세정견뢰도는 삼푸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세정 횟수가 증가하여도 거의 일정한 K/S값을 나타내 양호한 견뢰도를 보여주었다. 모발 염색시 염색온도(20 ℃ ∼ 60 ℃)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량(K/S)도 증가하였고, 모발은 적색에서 자주색으로 변성되었다. 복분자는 염색온도 40 ℃, 염색시간 40분에서 염색이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모발 염색시 pH의 증가에 따라 a* value가 +(red)에서 -(green)으로 진행되거나 본래의 탈색모의 노란색에 색차계가 반응하여 알칼리 상태에서는 안토시아닌 염제의 본래의 색이 퇴색하여 적갈색, 적녹색, 황녹색을 띠게 되며 이로 인하여 모발의 염착이 불량하게 되어 염색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었다. 이는 안토시아닌 염제가 pH에 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부분 pH가 증가함에 따라 염착성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모발 염색시 산성경향의 매염제(황산제일철, 아세트산, 명반, 황산구리)에서 동시매염시 적색을 기본으로 녹색, 청색, 다크블루, 보라 등의 화려한 색상을 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복분자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색소는 인간의 모발에 적용 가능한 천연염모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다른 천연색소에 비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한 매염제중 명반이나 철은 주로 직물의 매염제로 쓰여 왔으며 소량의 경우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황산구리는 주로 살균제로 쓰여 독성이 있으며, 기타의 매염제 역시 인체에 유해하여 이를 모발에 사용하는 이상 매염제에 따른 유독성 연구도 함께 진행 되어져야 할 것이다. 더 다양한 색깔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염제를 이용한 천연염색에 대한 연구가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 (A) Study on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children's experience space in liaoning museum in China

        장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global economy, society has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function of museums. However, compared with the booming development of museums, the development of China's children's museums has always stagnated. The thesis is based on this research background, starting from the needs of children, focusing on how to optimize the design to serve the children's audience in the museum. This thesis uses methods such as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fuzzy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in the post-use evaluation system to explore the design and use of museum children's space. In the research case, the children's space of Liaoning Museum is selected as the specific research object of the post-use evaluation. It tries to start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users, and selects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user satisfaction as the starting point, and strives to obtain objective and complete survey results. The post-use evaluation score of Liaoning Museum Children's Space is calculated by fuzzy comprehensive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feasibility suggestions for the optimization of children's space in the Liaoning Provincial Museum were put forward. The establishment of children's spaces in Chinese museums is an inevitable trend. The post-use evaluation of children's spaces in museums is conducive to the optimization and perfection of the space. At the same time, the establishment of a post-use evaluation database for museum children's spaces can also help other museums to make reference and use for reference when preparing and planning. Let the museum become a place to cultivate children's interest in learning, cultivate the ability to learn independently, increase the thirst for knowledge and dreams of things. 최근 세계 경제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박물관의 교육적인 기능이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박물관의 활성화에 비해서는 중국 내어린이 박물관의 발전은 항상 정체되어 왔다. 본 연구를 통해서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기반한 박물관 내 어린이 관람객에게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디자인을 최적화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본 논문은 박물관 어린이 공간의 설계와 사용을 탐구하기 위해 사용후 평가 시스템의 분석 계층 프로세스 및 퍼지 종합 평가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연구 사례로써 사용 후 평가를 위해 특정 연구를 대상으로 랴오닝박물관의 아동 공간을 선정하였다. 공간 이용자의 관점에서진행하였으며, 이용자 만족도 종합 평가를 출발점으로 객관적이고완벽한 조사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랴오닝 박물관 내 어린이 공간의사용성 평가 점수는 퍼지 종합 평가로 산출되었다. 평가 결과를바탕으로 랴오닝 박물관 내 어린이 공간 최적화를 위한 타당성을제안하였다.중국 박물관 내 어린이 공간을 구축하는 것은 필수적인 흐름이며,박물관 내 어린이 공간에 대한 사용 후 평가는 공간의 최적화와완성도를 높이는 바탕이 된다. 이와 함께 박물관 어린이 공간에 대한사후 평가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신규 박물관 기획 및 구축단계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박물관이 아이들의 학습에 대한흥미를 키우고, 주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지식 탐구와사물에 대한 꿈을 키우는 장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한중 관광 공연콘텐츠 기획 연구 : <난타>와 <인상·유삼저(印象·劉三姐)>를 중심으로

        장인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호기심과 탐구심은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이고 이를 채우기 위해 인간은 늘 미지에 대하여 공부한다. 그런 인간에게 있어 여행은 일상공간이 아닌 여행지역에 대한 최고의 공부가 된다. 아울러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탈출하고자 하는 욕망을 갖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쌓이는 긴장감을 해소하고 싶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미지 지역을 탐구하고자 하는 적극적 심리와 일상생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소극적 심리는 인간의 여행 동기를 유발한다. UNWTO의 통계자료를 보면 2013년도 전 세계 해외관광객 수는 10.87억 명이며 해마다 3.3% 증가해 2030년에는 국제 관광객 수가 18억 명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현대인들의 삶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경제생활보다 문화생활의 윤택함을 요구하는 수요가 더 많을 정도로 문화관광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적인 관광자원 즉, 자연관광자원보다 문화관광자원은 상대적으로 환경 파괴가 적고, 끊임없이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녔으며, 고부가가치를 가지는 것 등 장점이 많다. 실제로 관광통계자료를 봐도 현재의 관광형태의 트렌드는 문화관광이라는 것이 자명하다. 문화관광자원은 음식, 역사적 유물, 언어, 수공예품, 미술, 음악, 건축물 등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이런 문화관광자원은 원석을 보석으로 만들 듯 가공해서 개발해야만 문화관광상품으로 기능할 수 있다. 관광객들은 창의성, 대중성, 오락성 등의 속성을 살려 ‘가공’된 문화콘텐츠를 통해 여가생활을 즐기는 동시에 관광지의 문화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다. 이 같은 미지에 대한 탐구와 일상생활에서 쌓이는 긴장감 해소가 동시에 충족된다는 특성 때문에 문화관광콘텐츠는 관광객에게 매우 매력적인 문화관광상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공연은 각종 문화관광자원을 잘 표현할 수 있고 스토리텔링이 부여되어 상대적으로 관광객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지역 문화를 드러내기에 적합한 콘텐츠 장르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관광 공연콘텐츠를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쉽게 풀어보면 관광 공연콘텐츠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삼은 공연콘텐츠라는 의미이다. 관광 공연콘텐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로 이미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고 있는 공연콘텐츠를 이용해서 관광객을 유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둘째로 새롭게 관광객을 대상으로 기획하는 공연콘텐츠가 있다. 전자는 인기가 있는 공연을 유치하여 관광자원으로 만들어 낸 것이고 후자는 관광자원을 기획·개발해서 공연을 만드는 개념이다. 대중적으로 인기가 높은 공연들을 유치하여 관광객들을 유인하는 방식은 여러 문제로 인해 어려움에 봉착하고 있다. 현재 라이선스 계약을 해서 현지화 하는 공연이 많아지고 있는데 지역 특성과의 관련도가 높지 않은 공연들을 단지 오리지널 공연의 인지도만을 중심으로 유치하고 있다. 관광은 인간의 일상생활에서 탈출하고자 하는 욕망에서 생기는 인간의 행위라서 관광객은 평소에 생활하는 공간이 아닌 관광지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무엇인가를 욕망한다. 그런 점에서 관광객들에게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공연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 반대로 관광지의 특색 있는 문화를 개발해서 관광객의 기대에 맞게 만드는 공연은 그 관광지에서만 볼 수 있다는 현장성이 있기 때문에 관광객들로부터 인기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일상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색다른 문화와 풍경은 사람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콘텐츠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바로 그 지역만의 특성과 문화적 특색을 살린 공연은 관광객들에게 그 관광지를 찾을 가장 큰 이유가 될 수 있다. 그렇기에 이런 공연은 관광 공연콘텐츠로서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이 바로 공연과 관광지와의 연계로 생성되는 효과이다. 공연이 가지는 속성들은 관광객들에게 강한 인상과 여운을 남기게 된다. 이 감정들이 관광지가 주는 매력과 합쳐진다면 그 효과는 매우 클 것이다. 그렇기에 본 논문에서는 관광지를 기반으로 하여 공연을 기획하는 공연콘텐츠를 집중 분석할 예정이다. 관광 공연콘텐츠의 타깃인 관광객은 일반적인 공연콘텐츠의 타깃인 현지인과는 문화 배경, 소비 수요, 생활 상태 등이 서로 다른 사람들의 모임이기 때문에 관광 공연콘텐츠의 기획 전략도 일반적인 공연콘텐츠와 같을 수가 없다. 성공적인 관광 공연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적합한 기획 전략을 정리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한 부분이고 의미가 있다고 본다. 먼저 본 논문이 한국과 중국의 관광 공연콘텐츠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를 설명하자면, 한국의 관광공연 시장을 보면 2012년 기준 방한 관광객 수는 1100만 명이며 그 중 한국내 넌버벌 공연을 관람한 외국인 관광객은 162만 명에 달하다. 한편 2013년 중국 전국 관광 공연콘텐츠의 관객 수는 2,789만 명이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관광객 수 증가 추세를 보면 관광 공연콘텐츠 시장의 성장잠재력은 여전히 크다. 특히 중국의 경우는 아직 미개발 관광지가 많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게다가 2012년 중국 문화부가 문화산업 활성화에 위한 정책을 내놓은 이후로 금융투자환경, 문화산업 법률 등 문화산업의 인프라가 점점 구축되기 때문에 향후 문화콘텐츠의 창출은 몇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관광지의 개발과 더불어 새롭게 기획⦁제작되는 관광 공연콘텐츠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마지막 근 몇 년간 양국의 문화 교류 상황을 보면 같은 아시아 문화 배경에서의 양국의 문화콘텐츠를 같이 분석하는 것이 가치가 있고 의미가 크다. 이로 인해서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관광 공연콘텐츠 기획 전략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리고 연구 결과는 향후 한국과 중국 더 나아가서는 동아시아문화권의 배경에서 기획하는 관광 공연콘텐츠의 참고 자료가 되기를 바라는 뜻에서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根據世界旅遊組織(UNWTO)的統計數據,2013年全球出國旅遊的遊客總數為10.87億名,按照年3.3%的增長趨勢,2030年國際遊客人數有望達到18億。人們在滿足了生活基本的物質需求后,就會追求精神文化生活,這點從旅遊中也得到了充分的體現,現代旅遊客的關注點漸漸由自然風光轉移向人文旅遊資源。並且比起自然旅遊資源來說,人文旅遊資源有對環境破壞較小,高回報,以及可持續開發等優點,漸漸成為各國旅遊開發的重點方向。文化觀光資源包括飲食,服飾,歷史文物,語言,手工藝品,美術品,音樂,建築等許許多多方面,這些旅遊資源需要通過加工包裝成旅遊商品而得以成為遊客的消費對象,而眾多旅遊商品中旅遊文化內容產品因為具有創意性,大眾性,娛樂性等特點,從而使得這類旅遊產品對遊客的吸引力更為強烈。特別是旅遊演出這種形式因為包涵了故事性,能讓遊客更容易接受并了解當地的文化,并且从而对宣传旅游地区,维持游客数量起到积极的作用。 中國和韓國是在旅遊演出領域比較突出的兩個國家,中國有著名的《印象》系列,而韓國有著例如《亂打》,《JUMP》,《SACHOON》等一大批有名的演出。從中韓兩國持續增長的遊客人數來看,旅遊演出市場可挖掘的潛力十分巨大。並且隨著2012年開始中國政府對於文化產業的重視,一系列促進文化產業發展的政策正在逐步出台,未來中國將迎來文化產業的巨大發展。中韓兩國既有著共同的亞洲文化的背景,而在地理,經濟,政治等方面又存在著許多差異,並且從這兩年中韓兩國的文化交流日趨頻繁的情況來看,同时研究中韓兩國的文化內容產品有著十分重大的意義和價值。 在具体研究旅游演出之前,对韩国和中国的旅游市场有个大概的了解对旅游演出的整体市场环境的把握是有帮助的。从韩国政府公开的数据可以看出韩国自2001年以来,国内旅游市场经过了几次起伏之后,2013年的国内旅游总量与2001年的水准持平。而2000年全年访韩外国游客还不足600万名,2014年全年访韩外国游客却已经超过1400万名,并且近几年访韩外国游客的增长趋势一直势头不减。如此现象应该归功于“韩流”,自2004年韩流风潮席卷全亚洲开始,韩国政府就一直致力于活用韩流来开发旅游业,如电视剧拍摄景点作为旅游景点开发管理,韩流旅游商品的开发贩卖,政府层面的宣传造势等,不但把韩流推到了新的高度,同时带动了整个韩国的旅游业的发展,现今韩流的概念已经不仅仅限于明星,歌曲,还扩展到了美容,时尚,饮食,演艺,游戏等领域。人们渐渐不再满足于只在电脑和电视前享受韩流文化,从而来到韩国实地体验韩流文化。从2013年韩国政府对访韩外国游客的调查结果来看,来韩国旅游的游客中超过70%进行了购物活动,然而在旅游活动满足度调查中,满足于购物的游客却仅有不足30%,相反游客们对演出/民俗活动/庆典等文化活动的满足度超过了50%,说明游客们对于精神文化的追求已超过对于物质的追求。 再来看近2年中国旅游市场的情况,由中华人民共和国国家旅游局所发布的数据可以看出由2005年至2013年,访问中国的外国游客人数始终保持同一水平,但是国内游客的人次数已经由2005年的12亿多名上升到2013年的33亿多名。相比外国游客来说国内游客如此的增长势头说明中国经济的良好发展形势下中国国民的旅游需求也日益增多。由中国社会科学院旅游研究中心发布的「2013年中国公民旅游关注度报告」可以看出2013年中国最受关注的旅游城市可以分为3类,第一类是以上海、北京为主的人文类旅游城市,第二类是包含了桂林、昆明等的自然景观类旅游城市,第三类则是例如海南,拉萨等人文与自然景观结合而产生独特旅游氛围的城市,从这三类城市的数量分布于地理位置分布我们会发现现在距离已经不再成为人们选择旅游地时主要考虑的问题,在今天,中国人民对于旅游地的选择更有倾向性,更忠于自己的旅游需求。所以,向后中国旅游城市的发展趋势应该是最大限度开发自己城市的特色,使之成为核心竞争力,从而吸引那些钟情于这些特色的游客们。 结合韩国和中国的旅游演艺情况就会发现旅游市场的走向充分体现在了旅游演艺这一行业之中。韓國现今热门的旅游演出几乎全部是无语言表演这一形式, 这一点与访韩外国游客数的增长有密切关系,正由于比起国内游客来说,外国游客是旅游演出的主要观众群,所以打破了语言障碍的无语言表演剧受到了游客们的大量的喜爱。自1997年韩国第一部无语言表演剧《亂打》以来,例如《JUMP》,《SACHOON》等一大批优秀的无语言表演局脱颖而出。再来纵观中國現有的旅遊演出,其中《印象劉三姐》無疑是比較值得關注的作品。原因在於《印象劉三姐》不但取得了巨大的成功,還在於開創了實景演出這一新型旅遊演出形式,极大程度的活用了桂林当地的旅游特色,不但成为了举世瞩目的作品,并且成为了桂林旅游的象征之一。自《印象劉三姐》之後,許多旅遊景點著手開發了實景演出項目,並且從2013年中國的旅遊演出情況來看,實景演出已经成为了极为重要以及代表性的旅游演出形式。然而高投资的实景演出所带来的高风险是不得不引起演出企划者们重视的,《印象․海南岛》的失败给正在或者准备开发实景演出的企划者们敲响了警钟,无视或者误读了旅游地特色而开发出的旅游演出项目失败的命运是必然的。 可以說《印象劉三姐》和《亂打》在各自國家旅遊演出市場的地位,作用及影響力上都是較為相似的。這也正是本文在眾多旅遊演出中選取這兩部作品作為研究對象的原因。接下来,笔者从演出方式(演出形式,演出空间属性,演出时间属性)和演出内容(素材,故事)两方面对《印象劉三姐》和《亂打》成功因素著手,试图找到两个项目企划的共同点,并進一步总结出旅遊演出在企劃时理想的戰略設計思路。 首先在演出形式方面,《印象劉三姐》和《亂打》都是弱化了语言这一沟通手法,而采用了如演员动作,场景,音乐更直观的表现手法。由于游客对旅游演艺所要展示的旅游地特色文化内容比较陌生,比起复杂的语言沟通,直观的表达方式能让游客更容易理解演出所要展示的东西。 其次在演出空间属性方面,《印象劉三姐》和《亂打》的演出场地地理位置都与旅游路线结合起来成为其中一环,演出场地的构造方面也都按照各自的演出形式进行了合适的调整或者构建,另外长期独立的场馆运营也是一个显著的共同点。 在演出时间方面总结来说,考虑到游客的旅游行为,一般来说1小时到2小时之间的演出是最符合游客要求的。与一般观众不同,由于游客没有工作时间的限制,所以旅游演出的时间可以根据演出效果的要求或者游客的行程时间做较大幅度的调整。最后,旅游演出一定要进行长期演出才能达到效果。 接着在演出的素材方面,《亂打》取材于韩国传统打击乐“四物游戏”,而《印象劉三姐》则是把广西少数民族的生活模样呈现给了观众。由于游客的需求极大程度上与旅游地的特色文化紧密相关,所以从旅游地的特色文化资源中取材可以说是旅游演出成功的重要条件。 最后来看演出的故事,《亂打》利用了人们都很熟悉的厨房的背景构建了一个集友情,爱情,职场于一体的故事,《印象劉三姐》从名字就可以看出运用了中国人民都很熟知的刘三姐的故事。故事是帮助观众理解演出内容的重要工具,对于游客来说,熟悉的故事或者故事背景可以更快把他们带入演出之中,从而更轻松的体验当地的文化。 由上述分析可以看出,在各个企划方面《印象劉三姐》和《亂打》都把游客放在了首位,考虑到观众的需求而进行企划无疑是很理所当然的事情,然而由于旅游演出的观众--游客的需求与旅游地的特色文化紧密相关,所以对旅游地当地文化的深入研究学习也是旅游演出企划者必须做的重要的功课。纵观现在中韩旅游演出发展情况需要改进的问题并不少,韩国旅游演出最为显著的问题在于过于单一的演出形式,而中国旅游演出的故事性都比较弱,如何说好故事,用故事去带动、帮助观众了解演出的内容,从而能把旅游地的特色充分展现给游客是现今中国旅游演出企划者们面临的重大课题。而笔者认为过对旅游地文化的深入透彻的研究这些问题通是可以得到很大改善的,所以对旅游地文化的深入研究是旅游演出企划的基础也是一切旅游企划战略的起点。 随着演出技术的发展旅游演出企划战略在随时发生变化,笔者接下来将通过实际案例的操作对旅游演出企划战略进行进一步的研究。希望本論文所收集整理的資料可以对旅游演出企划者们有所帮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