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디어가 재현하는 '재일(在日)한국인'의 모습 : 재일한국인 스포츠 스타를 주인공으로 다룬 TV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장은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논문은 우리나라의 미디어가 일제 식민지 경험의 결과로 형성된 재일한국인 집단을 어떻게 재현해왔는가를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텍스트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한국 사회의 주류매체에서 만들어내는 재일한국인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이다. 분석한 결과 대상 프로그램 텍스트 모두 인기 스포츠 스타의 개인사를 바탕으로 일정한 내러티브를 따라 이야기를 진행하면서 재일한국인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재현과 담론은 단순한 사회의 반영이 아니라 구성되는 것이라고 한 홀(1987)의 이야기처럼, 이들 프로그램 재현의 이면에는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될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분석한 다큐멘터리들은 일부 영웅 서사적 이야기 구조와 스포츠 선수의 성공기라는 주제를 통해 재일한국인의 정체성을 전형적인 구조 내에서 재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구조는 한국과 일본 양국의 차별 속에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을 연민 섞인 감정으로 그려냄으로써 이들을 미화시키고, 그들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제도적 차원의 문제들을 간단히 짚고 회피하는 경향을 띠게 된다. 또한 다큐멘터리의 등장인물들은 한국적 기호의 확인과정을 거쳐 실제 이들이 평생을 일본에서 살아왔음에도 우리와의 문화적 차이는 거의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차별을 인내하는 동질성만이 부각된다. 때문에 분석대상의 다큐멘터리들이 불러일으키는 감동은 우리의 애국심과 민족적 자부심을 불러일으킬 수 없는, 일본인처럼 느껴지는 대부분의 젊은 재일한국인들을 배제해야한 성립 가능한 감동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결국 이들 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재일한국인들의 모습이 한민족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역경을 이겨내 성공한 스타로서 대리만족의 대상으로 전락했음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재일한국인 출신의 스포츠 스타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이들은 주인공으로 내세워 소수집단의 현실을 재현하는 특집 다큐멘터리가 제작된 것은 좋은 시도였지만, 재현의 수준이 개인사와 민족 정서에 머무르고 있고 기존의 영웅 서사적 내러티브를 그대로 따라가는 제작방식은 텔레비전이라는 주류매체의 특성이 가지는 한계를 넘어서지 못했다. 다시 말해 공적 커뮤니케이션 매체인 텔레비전이 소수집단을 재현함에 있어 주인공 개인의 이야기를 넘어 그가 속한 집단의 사회・구조적 문제 및 정치적 입장 등을 드러내줄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유명한 스포츠 스타의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단순한 사건으로 전개하고 민감할 수 있는 주제에 대해서는 간단한 묘사에 머물러 집단 전체의 문제를 드러내고 심화시키기에는 소홀한 면이 많았다. 이러한 점은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하는 차원이 아니라 대립의 긴장과 갈등으로부터 잠정적으로 벗어나서 개인의 문제해결이라는 결론을 통해 심리적 또는 정서적인 안정을 느낄 수 있도록 할 뿐이다. 한국은 현재 세계화현상과 함께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이 활발히 전개되면서 사회 각기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타자들의 정체성을 어떻게 보여줄 것인가가 큰 화두로 논의되고 있다. 이는 최근 이들 타자들의 목소리를 드러내기 위해 주력하는 미디어 연구 경향과도 연관된다. 그러나 소외된 집단의 구성원이 미디어에 재현되는 과정에서 ‘소외’라는 특수한 상황 자체가 자본주의 시장 내에서 미디어 상품을 팔기 위한 하나의 상품 전략으로 전락해버리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대상의 다큐멘터리 역시 재일한국인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는 민족 집단의 구성원을 주인공으로 하여 제작되었는데, 이들 집단의 역사적 배경과 주인공이 지닌 스포츠 스타로서의 특성을 상품화시켜 한국사회의 잃어버린 민족성을 간직한 대상으로서 동원되어 차별화하거나 이들을 통해 한국사회의 내부적인 일체감을 상상하게 만드는 기제로 차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이들을 바라보는 우리를 특권적 지위로 끌어올리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들을 주변부에 고정시킨 채 타자화하거나 때로는 ‘동화(同化)’ 시켜 이들의 정체성을 이해하는데 큰 혼란을 줄 수 있다.

      •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조ㆍ전기토기 전환과정 연구

        장은혜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paper attempts at new perspective about the aspect of transformation in early phase pottery during Neolithic era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e study identifies chronological sequence of the pottery culture in the earlyㆍfirst phase. Then, I categorize the group of the pottery in transition period by examining untypical elements which have considered as unpredictable factors in the earlyㆍfirst phase. The characteristic of the shift is reorganized, and that changing process in the era is investigated in a detailed manner.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thesis. In the Chapter III, the attribute of the pottery in the earlyㆍfirst phase is classified in detailed level. It is indentified by investigating the category of forms ranging from assemblages to size and shape of pottery and decoration such as decoration method and composed pattern in order to organize the characteristic of the pottery. Based on the classified data, chronological scheme is defined by examining the tendency of the transformation process in these phases. It is more specified through frequency seriation method, and consequently the early phase in Neolithic proposed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phase into three stages. Chapter IV explores possibility of classifying the pottery group in transition period on the basis of the chronological sequence in earlyㆍfirst phase pottery discussed in the previous chapter. The pottery group, as a result, consists of patterned small pots, pattern-less medium large pots and jar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order in the paper, the transition period spans from the fourth stage of the early phase to the first stage of the first phase. Absolute date is determined that it is dated from 4,600 B.C. to 4,400 B.C. The characteristic of the transition in earlyㆍfirst phase pottery is examined to see if it contains the aspect of continuity or not. It shows not only the continuous flow (pattern 1, pattern 2ㆍ3ㆍ5) but also the discontinuous shift (pattern 4, pattern 6) in the transition period. It concludes that flow of the transition in earlyㆍfirst phase pottery is expected to have continuous as well as discontinuous factors. In this light, it is believed that discontinuous transition was showed up in the fraction of the potteries while the inclination of continuity widely occurred. After observing combination of the tool assemblages in the phases, overall, there is continuous flow of transition in terms of relation between subsistence economy and tool assemblages. However, discontinuous transition is also observed with specific factors concerned such as increase on food processing tool and standardization of tool. The change in combination of tool assemblages is considered as association with transition of the pottery culture in the same period. Consequently, transition from the early phase to the first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s believed to proceeding with gradual shift not only in pottery but also in general aspect of culture including combination of the tool assemblages. This study suggests the new approach to established study on transition of pottery from the early to the first which defines the transition as discontinuous process. Through the observing both typical factors for a dividing line and the untypical factors which have not been regarded as defining feature of the phases, the transition of the early and the first phase in Neolithic period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is defined as gradual process of transition in pottery culture. As a result, this study displays specific condition in times before central-western Korean Neolithic tradition is introduced and new perspective on Neolithic society in southern region which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previous studies. 이 연구의 목적은 한반도 남부지역 조ㆍ전기토기의 전환과정에 대해 재인식함으로써, 조ㆍ전기 문화변동양상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ㆍ전기토기문화의 상대편년을 실시하고, 조기와 전기의 전형적인 요소 내에서 파악할 수 없는 비전형적 요소를 가지고 전환기토기군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환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특징들이 나타내고 있는 조ㆍ전기토기 전환과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Ⅲ장에서는 기종구성, 규격, 기형 등과 같은 토기문화의 전반적 양상, 그리고 시문기법, 문양구성 등과 같은 세부적 차원에서 속성을 분류하고, 제 속성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조ㆍ전기토기의 특성을 다양한 속성차원에서 정리하였다. 이를 기초로 상대편년 작업에서는 속성차원에서 토기변화과정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빈도순서배열법으로 검증해 내는 과정을 통해 조기의 늦은시기와 전기 이른시기의 양상을 구체화하였다. 그 결과 조기는 Ⅰ~Ⅳ단계, 전기는 Ⅰ~Ⅲ단계의 분기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검토한 조ㆍ전기토기의 편년적 틀을 기반으로 하여, 우선 전환기토기군 설정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그 결과, 전환기토기군은 소형 유문양발형토기와 중ㆍ대형 무문양발형토기가 주를 이루고, 여기에 AㆍB형의 호형토기가 복합되는 세트구성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전환기는 본고의 상대편년에 따르면, 조기Ⅳ기~전기Ⅰ기전반에 해당하며, 절대연대로 볼 때 기원전 4,600년~기원전 4,400년의 시간폭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조ㆍ전기토기 전환의 특성을 연속성과 단절성 차원에서 평가하였다. 토기문화의 넓은 범주와 좁은 범주에서 각 요소가 내포하는 전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조기 이른단계부터 전기 늦은단계까지 지속되는 요소(패턴 1), 그리고 조기Ⅳ기와 전기Ⅰ기를 연결 하는 요소(패턴 2ㆍ3ㆍ5)와 같은 연속적인 흐름과, 조기Ⅳ기에 소멸(패턴 4)하거나 전기Ⅰ기에 등장(패턴 6)하는 단절적 전환을 나타내는 요소 모두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ㆍ전기토기문화의 전환은 연속적인 요소와 단절적인 요소가 혼합되어 진행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들의 강약을 평가할 때 강한 연속성 아래 일부요소에서 단절적 전환이 발생하였던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석기조성의 양상을 검토한 결과, 조ㆍ전기 석기조성 및 생업양상은 전반적으로 연속적인 흐름을 보이지만, 식량가공구의 비중 증가 및 정형화 등 세부적 요소에서 단절적인 변동이 존재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석기조성의 변화 양상은 점진적인 변화과정을 거치는 토기문화의 전환상과 연동함이 주목되었다. 결과적으로, 한반도 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조기에서 전기로의 이행은 토기뿐만 아니라, 석기조성을 포함하는 문화 전반적인 요소에서 점진적이고 누진적인 변화과정을 거쳐 진행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 글은 조ㆍ전기토기의 전환이 단절적 과정을 거친다는 기존의 시각을 탈피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양 분기를 특징짓는 전형적인 요소와 이들의 범주 내에서 파악할 수 없는 비전형적 요소를 추출하는 과정을 통해 조ㆍ전기의 과도기를 조명하였다. 이렇게 마련된 새로운 시각을 통해 남부지역 조ㆍ전기 신석기사회를 바라봄으로써,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진행된 토기문화의 전환을 설명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남부지역에 빗살무늬토기문화가 확산되기 이전의 상황을 구체화하고, 조ㆍ전기 신석기사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질문화의 한 단면인 토기만을 주된 검토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조ㆍ전기 사회상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는 시도하지 못했다. 또 주변지역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검토가 누락되어 있는 점도 이 글의 한계라 할 수 있다. 향후 여러 물질문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러한 점을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 중소기업의 직무특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파워먼트 매개효과

        장은혜 금오공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rel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creativity. Considerable evidence indicates that employee creativity can fundamentally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innovation, effectiveness, and survival(Amabile, 1996, Shalley, Zhou, & Oldham, 2004). Creativity refers to the production of novel and useful ideas by an individual or by a group of individuals working together(Aambile, 1988; Madjar, Oldham, & Pratt, 2002; Shalley, Gilson, & Blum, 2000; Zhou & Shalley, 2003). For creativity to occur in organizations, managers need to support and promote it, as they are the individuals who are most knowledgeable about which creativity can occur(Shalley & Gilson, 2004). A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on the rel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creativity on the responses of 363 employees. Sex, age, education, position, type and career were chosen as control variable, an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which treated the job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 and creativity as criterion variable were set. Empowerment was supposed as mediating variab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creativity. This study confirms that job characteristics have a direct influence on creativity at first. but It doesn't direct influence on creativity when it was controlled. This means that job characteristics directly met empowerment and empowerment also met creativity. These mean empowerment as mediator is complete mediation variable that job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 no longer affects creativity as criterion variable after empowerment has been controlled. These results are different from the prior researches which had treated job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 and creativity as criterion variable. This difference may be from the property of control variable. If this thesis got the survey from R&D researcher, It would be better. The future study should consider the properties of these variables and other a variables.

      • 여성의 의복 노출정도와 행동에 따른 청소년 성희롱 인식

        장은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의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여성의 의복 노출정도와 행동에 따른 청소년 성희롱 인식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청소년들과의 사전조사를 통해 도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1) 의복의 노출정도 2) 적극적 행동 여부 3) 응답자 성별을 요인으로 2x2x2 삼원요인설계를 활용하여 시나리오를 제작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고등학교 담임교사와 가정과 교사를 통해 배포되어 인천지역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540명의 남녀 고등학생이 설문에 응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530부가 (남-254, 여-276) 통계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다변량분산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출의복과 적극적인 교제행동이 고등학생들의 성희롱 원인귀속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희롱 피해자가 노출의복을 착용한 경우 가해자의 책임이 낮게 나타났으며, 피해자의 책임은 높게 나타났다. 피해자의 교제행동이 적극적인 경우도 소극적인 경우에 비해 피해자의 책임이 높게 나타났다. 교제행동의 적극성과 성별 간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는데, 가해자의 책임을 묻는 경우 피해자의 교제행동이 소극적일 때는 여성과 남성의 응답에 큰 차이가 없으나, 피해자의 교제행동이 적극적인 경우 남성응답자와는 달리 여성응답자가 가해자의 책임을 더 낮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의 책임을 묻는 경우에도 교제행동이 적극적인 경우 여성이 피해자의 책임이 더 높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 교육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개인의 귀인성향 등 응답자들의 내적 요인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시청각 '공포' 동영상 자극이 뇌 활동과 말초신경계 반응에 미치는 효과

        장은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개인이 '공포'를 경험할 때 나타나는 '공포' 특정적 자율신경계 반응, 안면근육반응과 뇌 활성화 영역을 검증하였다. 또한 '공포'의 심리반응과 자율신경계 반응, 안면근육반응 및 뇌 활성화 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이들 간의 관련성을 토대로 '공포' 정서에 따른 중추와 말초신경계 반응의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연구Ⅰ에서는 30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공포'를 유발하는 시청각 동영상을 제시하고 이때의 심리반응, 자율신경계 반응(피부전기활동, 심전도)과 안면근육반응(추미근, 구륜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공포' 유발 자극에 대한 심리반응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공포'를 경험할 때의 자율신경계 반응은 피부전도수준, 피부전도반응, 피부전도반응의 수, 심박률, 호흡수에서 안정상태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안면근육반응은 양측 추미근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공포'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하여 피부전도수준과 피부전도반응, 그리고 우미근 반응에서 안정상태에 비해 유의하게 큰 증가를 보였다. '공포' 수준과 말초신경계 반응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공포' 수준이 높을수록 피부전도수준, 피부전도반응과 우측 추미근 반응이 커짐을 밝혔다. 자율신경계 반응과 안면근육반응과의 관계는, 안면의 우측 추미근 반응이 증가할수록 피부전도수준과 피부전도반응의수가 신뢰롭게 증가하였고, 좌측 추미근 반응도 증가할수록 피부전도반응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Ⅱ에서는 22명의 남녀 대학생들에게 연구1에서 사용된 '공포'를 유발하는 시청각 동영상자극을 제시하고 이때의 뇌 활성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공포'를 경험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은 아래후두이랑(inferior occipital gyrus), 양측 중간후두이랑(middle occipital gyrus), 양측 위측두이랑(superior temporal gyrus), 중간측두이랑(middle temporal gyrus), 좌측 조가비핵(putamen), 시상(thalamus), 갈고리이랑(uncus), 기저핵(lentiform nucleus)으로 나타났다. '공포'에 대한 정서 강도에 따라 신호값이 커지는 뇌 영역은 양측 뇌섬엽(bilateral insula), 양측 쐐기앞소엽(bilateral preuncus), 우측 방추이랑(right fusiform gyrus)이었다. 연구Ⅲ에서는 '공포' 정서에 대한 중추 및 말초신경계 반응의 일관성을 밝히기 위하여 연구Ⅰ과 Ⅱ와는 달리 '공포'를 유발하는 네 개의 시청각 동영상 자극을 추가로 선정하였고, 이를 제시하는 동안 40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fMRI와 피부전도반응을 동시에 측정하여 뇌 이미지 영상과 피부전도반응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또한 2회의 반복실험을 통하여 MR scanner 내/외부에서 획득된 피부전도반응 데이터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피부전도반응은 네 개의 공포 자극 모두에서 안정상태에 비하여 정서유발상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공포' 정서의 강도가 클수록 피부전도반응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공포' 유발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뇌 영역은 우측 쐐기소엽(cuneus), 뇌섬엽(insula), 위측두이랑(superior temporal gyrus), 아래이마이랑(inferior frontal gyrus), 앞중심이랑(precentral gyrus), 아래두정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 대상이랑(cingulate gyrus), 내측전두이랑(medial frontal gyrus), 대상이랑(cingulate gyrus), 미상핵(caudate), 부중심소엽(paracentral lobule)으로 나타났다. '공포' 특정적인 뇌 영역의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극에 따른 활성화 영역을 살펴본 결과, '공포' 특정적인 뇌 영역의 일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자극에 따라 활성화 영역이 다르게 나타났다. '공포'자극 Ⅰ과 Ⅱ에서 공통적으로 활성화되는 영역은 뇌섬엽(insula), 대상이랑(cingulate gyrus)이었다. 분석은 피부전도반응이 나타난 집단과 나타나지 않은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피부전도반응이 나타난 집단에서는 양측 후두엽(occipital lobe), 쐐기소엽(cuneus), 방추이랑(fusiform gyrus), 양측 미상핵(caudate)이 활성화되었고, 피부전도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집단에서는 좌측 내측전두이랑(medial frontal gyrus), 위/아래 이마이랑(superior/inferior frontal gyrus), 대상이랑(cingulate gyrus), 뇌섬엽(insula), 위/아래 측두이랑(superior/inferior temporal gyrus), 우측 중심엽소엽(paracentral lobule), 위측두이랑(superior temporal gyrus), 중심앞이랑(precentral gyrus), 중심뒤이랑(postcentral gyrus), 쐐기소엽(cuneus), 쐐기앞소엽(precuneus)이 활성화되었다. 피부전도반응이 나타난 집단은 나타나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우측 미상핵(caudate)과 좌측 쐐기소엽(cuneus)에서 더 활성화되었고, 피부전도반응이 나타나지 않은 집단은 우측 후대상(posterior cingulate),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쐐기앞소엽(precuneus)에서 더 활성화되었다. '공포'유발자극에 대한 심리 강도와 뇌 활성화 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공포'의 강도가 커짐에 따라 신호가 커지는 뇌 영역은 우측 변연엽(limbic lobe), 시상(thalamus)과 좌측 뇌간(brainstem)이었다. '공포'를 경험하는 동안 나타나는 피부전도반응이 클수록 신호값이 커지는 뇌 영역은 좌측 대상이랑(cingulate gyrus), 양측 소뇌산정(culmen), 양측 뇌섬엽(insula), 양측 내측전두이랑(medial frontal gyrus), 양측해마옆이랑(parahippocampal gyrus), 우측 상측두이랑(superior temporal gyrus), 우측 중심뒤이랑(postcentral gyrus), 우측 중심전이랑(precentral gyrus), 우측 시상(thalamus), 우측 방추이랑(fusiform gyrus), 좌측 쐐기앞소엽(preuncus), 좌측 중뇌(midbrain)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공포' 정서를 유발하는 시청각 동영상을 처리할 때, 자율신경계에서는 땀의 활동 증가, 심장활동의 증가 및 추미근 활동의 증가가 나타나며, '공포'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땀의 활동과 추미근의 활동은 증가하는 정적 상관을 가진다. '공포' 유발 동영상 자극을 처리할 때 관여하는 뇌 영역들은 그 기능에 따라 '자극 감지/방향설정', '감각처리', '정서처리', '행동유발/표현'과 '신체운동준비반응'에 관여한다. 특히 '정서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뇌섬엽, 대상피질과 안와전두피질은 피부전도반응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는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포' 정서를 유발하는 시청각 동영상을 처리할 때 나타나는 말초신경계의 반응과 뇌 기능의 상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brain activit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induced by audio-visual film clips inducing 'fear' emotion, and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ived psychological level of 'fear', the brain activity,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responses during 'fear' emotion. Study 1 examined ANS and facial EMG (electromyogram)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responses to a 'fear'-inducing film clip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level of 'fear' and ANS responses. Thirty health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expected to induce fear, were selected through a pilot study. Perceived level of fear, ANS responses (SCR and HR), and facial EMG responses (corrugator and orbicularis) were measured while the participants viewed the film clip. The ANS respons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CL, SCR, NSCR, HR, Respiration except R-R interval during the 'fear' state relative to the resting state. Facial EMG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right and left corrugator during the 'fear' state relative to the resting state. Additionally, with a high 'fear' level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ncrease in SCL, SCR, and right corrugator compared to a group with a low 'fear' level.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erceived level of 'fear' and ANS responses suggested that the 'fear'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L, SCR, and the activity in the right corrugator. The relationship between ANS responses and facial EMG showed that the activity in right corrugat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L and NSCR, whereas the activity in left corrugat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SCR. Study 3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consistency of brain activation and ANS responses as well as the correlation between brain activation and ANS responses during 'fear' experience. Four audio-visual film clips were selected this study. For this study, brain activation and SCR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during the 'fear' experiencing stage where forty healthy college students including both males and females viewed the film clips selected to induce 'fear.' The SCR data consistency was confirmed by repeatedly collecting and examining the SCR signals in - and outside the MR scanner. SCR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our 'fear' conditions compared to the resting con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response and SCR during 'fear' emotion showed that the more strongly the fear experience, the greater increase in the SCR signal. Significant brain activations detected during 'fear' experience were as follows: right cuneus, insula, superior temporal gyrus, inferior frontal gyrus, precentral gyrus, inferior parietal lobule, cingulate gyrus, medial frontal gyrus, cingulate gyrus, caudate, and paracentral lobule. The group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R showed significant activations in the occipital lobe, cuneus, fusiform gyrus, and caudate, whereas the group without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R showed significant activations in the medial frontal gyrus, superior/inferior frontal gyrus, cingulate gyrus, insula, superior/inferior temporal gyrus, paracentral lobule, superior temporal gyrus, precentral gyrus, postcentral gyrus, cuneus, and precuneus. The group with significant SCR had more activations in the right caudate and left cuneus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significant SCR. Additionally, the group without significant SCR showed significantly more activations in the right posterior cingulate, cingulate gyrus, precuneus compared to the group with significant SC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level of 'fear' in response to the 'fear'-inducing stimuli and brain activations, the regression on SPM was conducte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ctivations in the right limbic lobe, thalamus, and left brainste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fear' while viewing the 'fear'-inducing film clips. The SCRs elicited by 'fear'-inducing film clip were also correlated with the activations in left cingulate gyrus, bilateral culmen, bilateral insula, bilateral medial frontal gyrus, bilateral parahippocampal gyrus, right superior temporal gyrus, right postcentral gyrus, right precentral gyrus, right thalamus, right fusiform gyrus, left preuncus, and left midbrain. To conclude,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d ANS and facial EMG responses when people experience 'fear' emotion, but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fear' level, ANS, and facial EMG. This study revealed the brain activation areas that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sychological 'fear' level and SCR induced by audio-visual film clips containing fearful experiences.

      • 사인수용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공법적 연구

        장은혜 아주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A Study on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 of Private Takings in the view of Public Law Abstract According to our Constitution, eminent domain can be made if there is any public necessity. If eminent domain is made without public necessity, it violates the Constitution that must not be accepted at all. Such takings are frequently exercised by private i.e. private project constructors. In the past, the subject of public projects used to b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or public institute, but recently private organizations appear as the subject of public projects. Academics and social response to such phenomenon are divided as below. First of all, there is a concern that the government power of ‘compulsory takings’ cannot be granted to the private. Traditionally, such public power can only be exercised by the government only. For this reason, while keeping the rule of law, people focuses on preventing illegal expansion of such power and keeping fundamental rights. But, when a specific private exercises such public power, people raise an objection if such power can be exercised by a private sector. Endeavors to find out answers to it are divided into below. First, an attempt of loosed interpretation on the meaning of transfer of the public power to the private is made. While core is not transferred and actual operation part is only exercised by private. Thus, eminent domain is exercised here as administrative operation by private. Second, the government power cannot be transferred nor eminent domain power also cannot be transferred, but only carried out by the state. According to this position, the eminent domain power is exercised by the state, i.e. the Land Tribunal and such taking is allowed for the purpose of use of private. The latter position criticizes the former for the states’ monopoly of compulsory power and based on our current legal system. In this position, it seems contradictory to expropriate property only through the Land Tribunal. To the contrary, the former criticizes the latter as the allowance of eminent domain for the use of private itself is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However, as the latter prevents any taking for private profit, the object designated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is not so different in reality. If it is defined as private taking, it looks conflict concepts with eminent domain. However, private taking, i.e. eminent domain by private is suggested as a corresponding concept to taking of the state. Thus, private taking is a kind of taking of the state. If there is any change of essence and nature of eminent domain power because of a simple change of the subject to ‘private’, it may cause a problem that is related to the justification of national public power execution. Accordingly, private taking is meant eminent domain by private. In that sense, private taking must be considered in the basic frame of eminent domain taking. For that reason, the basic of private taking is eminent domain and the ultimate limitation of private taking is eminent domai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eature of private taking as part of eminent domain and would like to check its direction. Accordingly, the basic concept, condition and limit of eminent domain was discussed.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private taking, the discussion of privatization of state function will be the basis. However, the most typical issue related to privatization is whether the problem of ‘consideration of survival’ can be transferred from the state to the private is possible. However, this study re-examined the possibility of transfer of the exclusively state owned public power to the private, and also the limitation of privatization and private taking.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minent domain by private, followed by the possibility of transfer of the public power to the private and the limitation of the private taking. First,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eminent domain power by the private project constructor was made. For this matter, whether eminent domain power is exercised by private or for private must be confirmed initially. This article assumed such is made ‘by’ private. ‘Private taking’ in this article meant ‘taking by private’. If eminent domain power is exercised by private, such taking project has difference in the ‘subject’ only with other public project carried out by the state and no essence or detail change in the system is made. Second, when eminent domain by ‘private’ is discussed, it needs an answer if eminent domain power can be exercised by private. This is a possibility of ‘eminent domain by private’, which is related to the state duty implementation. Thus, if the public power related tasks are exclusive powers or not and if such state duty – eminent domain power - can be transferred to private. Third, if eminent domain by private, there is a problem to limit the scope. Accordingly, eminent domain by the state is allowed only if there is public necessity. Thus, eminent domain by private must be allowed within the scope of public necessity. The problem is the scope of ‘private’ as the subject of taking and ‘public necessity.’ When eminent domain is exercised by private, it does not mean every scope of private can exercise eminent domain . If taking is allowed only with public necessity, suitable private for the public necessity must be specified. If it is extensively allowed to any private, it is nothing but a loss of national domain as specific private can unlimitedly infringe specific private’ property right. Meanwhile, the concept of ‘private’ itself contains a possibility of abusing private profit compared with ‘public subject’, if taking is made by private, the secure of ‘public interest’ is important compare with eminent domain taking by the state. If there is no different of by the state in system and essence, the secure of public interests must be made as the state becomes a subject of taking. Thus, the scope of private as the taking subject of eminent domain by private and the secure of public interests will be the limitation.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사인수용의 가능성과 한계라는 논제가 크게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국가강제력을 사용하는, 공용수용이 예정된 사업에 국가가 아닌 사인(私人)이 개입하고, 이를 주도하여 공익사업을 진행한다는 것 자체가 전통적인 공용수용의 법리와 일반 국민의 법감정에 어긋나는 까닭이다. 물론 수용권을 행사할 수 있는 사인(사업시행자)은 법으로 정해져 있지만, 결국에 그 사인은 경제력을 갖춘 거대 민간기업일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사인수용에 관련한 용어도 ‘사인에 의한 수용’과 ‘사인을 위한 수용’으로 각각 다르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양자는 크게 다르지 않다. 결론적으로 사인수용은 공용수용의 일종이다. 즉, ‘사인수용’은 ‘공공필요’에 의해, 불가피하게 재산권을 취득하되, 반드시 ‘정당보상’을 지불해야 하는 ‘공용수용’인 것이다. ‘사인수용’을 ‘사인에 의한 수용’이라고 보는 입장에서는 공용수용권이라는 국가권력은 사인을 ‘위해서’는 행사될 수 없고, ‘공공필요’에 의해서만 행사되어야 하는 점에 주목한다. 우리법상 직접 사업인정을 하고, 수용재결을 하는 기관은 사인(私人)이 아닌 국가기관이다. 하지만, 실제 사업시행을 비롯하여 토지보상을 행하는 것은 사인이기 때문에 이 사인을 수용의 주체로 보고, 사인이 수용의 주체가 되었다면 마땅히 국가가 수용의 주체가 되었을 때에 담당하는 권리의무를 담당하고, 이 때 행해진 수용이 국가가 행한 ‘공용수용’과 다르지 않도록 하라는 암묵적인 강제가 담긴 것이 ‘사인에 의한 수용’이다. 이러한 견해에 입각하면, 수용권자가 누구인지에 대한 논쟁에서는 ‘사업시행자 수용권설’을 취하게 되고, 사업인정의 성격을 재량행위로 파악하게 된다. ‘사인수용’을 ‘사인을 위한 수용’으로 지칭하려는 견해는 ‘공용수용권’이라는 ‘국가권력’에 주목한다. 즉, 재산권자의 동의없이 재산을 강제적으로 취득하는 국가 공권력은 ‘국가에 의해서’ 행사되어야지, 사인이 이를 행사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용권의 행사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등이 하지만, 공익사업을 수행하며 토지 등의 재산을 취득․보상, 공익사업을 시행하는 것은 사인이므로, 이러한 사인을 위해 수용권을 행사해 주는 것이 ‘사인수용’이라고 본다. 따라서 사인을 위해 수용권을 행사한다는 것은 공공의 필요를 위한 공익사업을 사인이 수행하는 경우에 수용권을 행사해 준다는 의미에서 ‘사인을 위한 수용’이라 본다. 이러한 입장은 공권력은 국가에 의해 행사되어야 하고, 실정법상으로도 수용재결 등은 국가에 의해 행해지므로, ‘사인에 의한 수용’이라는 용어는 적절하지 않다고 본다. 이 견해를 취하면, 수용사업에서의 권리의무를 담당하는지 여부보다는 실제의 수용권 행사에 주목하므로 국가수용권설을 취하게 되고, 사업인정의 성격은 기속행위로 파악하게 된다. 결국, ‘사인에 의한 수용’에 의하든, ‘사인을 위한 수용’에 의하든 허용될 수 있는 수용사업은 ‘공공필요’를 만족시키고, 정당보상을 행해야 하는 사업으로, 같은 대상을 지칭하는 것이다. 사인수용이라고 명명할 경우, 국가가 시행하는 공용수용과 본질상 대립적인 개념으로 생각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사인수용, 즉, 사인에 의한 공용수용은 수용주체가 국가가 아닌 사인이라는 점에서 국가수용에 대응개념으로 제시된 것일 뿐, 사인수용 자체가 공용수용의 일종임은 변하지 않는다. 국가의 공권력이 수반되어 처리되는 공용수용이, 주체가 ‘사인’으로 변경된다고 하여 그 제도의 본질이나 성격에서 변화가 생긴다면, 이는 국가권력행사의 정당성과 관련해서도 문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사인수용은, 사인에 의한 공용수용을 말하는 것이고, 그런 의미에서 사인수용은 공용수용의 기본 틀 안에서 고찰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용수용의 일부로서 사인수용의 특징적인 부분을 되새기고 그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공용수용의 기본 개념과 요건, 한계 등을 먼저 살피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사인수용의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국가 기능의 민영화 논의가 기본이 된다. 그러나 그동안 민영화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제기되었던 문제는 공적 과제의 하나인 ‘생존배려’의 문제를 국가가 아닌 민간주체에게 전가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국가에게 독점된 공권력을 사인에게 이전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문제로 시작하여 민영화 및 사인수용의 한계를 고찰하면서 다음 사항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사인, 즉, 민간사업시행자가 수행하는 공용수용권의 의미에 대한 분석이다. 이를 위해서는 문제되는 공용수용권이 사인에 ‘의해’ 행사되는지, 사인을 ‘위해’ 행사되는 것인지에 대한 의미의 확정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사인에 ‘의해’ 공용수용권이 행사된다는 전제로 내용을 전개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사인수용’이라고 지칭할 경우는 ‘사인에 의한 수용’을 뜻한다. 사인에 ‘의해’ 공용수용권이 행사된다면, 이 때의 수용사업은 국가가 수행하는 공익사업과 ‘주체’에서만 차이가 날 뿐, 제도의 본질이나 내용면에서 달라져서는 안 된다는 당위성을 담는 것이기도 하다. 둘째, ‘사인에 의한 공용수용’을 논한다면, 사인에 의해 공용수용권이 행사될 수 있는가의 문제, 즉 ‘사인에 의한 공용수용’의 가능성이 문제된다. 이는 국가의 임무수행과도 관련되는 것이다. 이에 국가의 공권력을 수반하는 임무가 배타성을 띠는 것은 아닌지, 이러한 국가의 임무, 궁극적으로는 공용수용권이 사인에게 이전될 수 있는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셋째, 사인에 의한 공용수용이 가능하다면, 그것이 허용되는 한계를 설정해야 한다. 즉, 국가가 시행하는 공용수용과 마찬가지로 사인에 의해 행사되는 공용수용권 역시 공공필요에 한해서만 허용되어야 한다. 문제는 이 때의 ‘수용의 주체가 되는 사인의 범위’와 ‘공공필요의 범위’이다. 즉, ‘사인’에 의해 공용수용권이 행사된다고 할 때에, 모든 범위의 사인이 공용수용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공용수용이 공공필요에 의해서만 허용된다면, 공공필요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 사인의 범주가 특정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아무 사인이나 공용수용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면, 특정 사인에 의한 다른 특정 사인의 재산권 침해를 무제한으로 허용하는 것으로 이는 국가성의 상실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한편, ‘사인’이라는 개념 자체가 ‘공적 주체’에 비할 때, 일반적으로 자신의 사적인 이익을 추구할 것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사인에 의한 공용수용이 가능하다면, ‘국가’가 주체가 되는 공용수용에 비할 때 ‘공공성’확보의 문제가 중요해진다. 즉, 국가가 주체가 되는 공용수용과 제도의 본질면에서 다르지 않아야 한다면, 국가가 수용의 주체가 되는 것만큼의 공공성 확보가 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인에 의한 공용수용은 수용주체로서의 사인의 범주 확정과 공공성 확보가 그 한계로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사인수용’의 난점은 법논리가 아니라 법감정의 모순에 있다. 사인수용이 허용 가능하고, 한계 설정도 가능하며, 법논리상의 한계도 준수되고 있지만, 의문이 지속되는 것은 법감정의 문제 때문이다. 사인수용의 궁극적 한계로 작용하는 ‘정당보상’을 통해 이를 부분적으로라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법논리는 일반적으로 감정적 요소의 개입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례에서는 실정법(PIE)이 명문으로, 법원이 공식적인 법의 구조 속에 은혜와 연민의 요소를 주입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헌법과 PIE는 우리가 우리 자신 속에 고립되어 있는 존재가 아님을 확인시켜준다. 그들의 “공동체정신(The spirit of ubuntu)”이 확산시키는 이러한 헌법적 명령은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대본 분석과 레치타티보 연주법 중심의 오페라「마님이 된 하녀」연구

        장은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오페라 마님이 된 하녀가 주는 오페라사적 의미를 제시하고 레치타 티보의 즉흥 연주법을 통해 피아니스트를 비롯한 연주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연 주기법을 예시하며, 원활한 즉흥 연주를 위한 대본의 중요성과 그 해석을 통해 연주의 효과적인 방법들을 제안한다. 연주자들에게는 기술적인 능력과 정확성도 중요하지만 대사 및 대본을 통한 이해력에 따른 표현력도 뒷받침되어야 효과적 인 연주를 구사할 수 있다. 필자는 이를 통한 실질적 연주법의 사례를 통해 대 사가 주는 의미와 즉흥연주의 상관관계를 보여주고자 한다. In depth study regarding improvised harpsichord accompaniment for recitativo have been made in this thesis and it helps pianist and other players understanding how they could contribute better during performance. And, a study regarding significance of opera 「La Serva Padrona」 in history of opera also have been made. Some examples have been proposed here for proper improvised accompaniment from script analysi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pianist and other players to have adequate technical skill to play score properly. However, understanding of lines and script are also essential and important to make audience keep their focus during recitativo. In this thesis, based on vocal score with opera 「La Serva Padrona」, practical examples of accompaniment have been proposed in accordance with 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