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웹기반 취업 추천 전문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장은실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1

        Teachers in the business high school select students by their knowledge from experience for request from companies. But it has a lot of problems because the request from companies was not organized. To suggest suitable job to students and employees to companies, good organized systems will be necessary. Therefore, I solved the problems by using an expert system with Java applet on the web. The expert system using JESS(Java Expert System Shell) create rule-based and forward chaining inference engine to help job recommendation for students in business high school. A user interface of expert system developed to serve students teachers and companies, information received from web will be stored in database. When we operate inference engine using Java applet, the information from web and knowledge of expert system will be interlocked and the result will be stored in database. The result will be checked by teachers and will help the final job recommendation to students. It has been tested and proved that Web-based Job Recommendation Expert System does not make any mistakes to recommend job for students and improves business management of school. In the future the system can be upgraded by combination of case-based inference engine and rule-based Web-based Job Recommendation Expert System. 실업계 고등학교에서 기업체로부터 채용 의뢰가 발생하게 되면 교사는 주관적인 사고와 지식으로 학생을 선발하였고 기업체의 채용 의뢰 방법 또한 통일되지 않아서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취업 대상 학생을 객관화되고 정형적인 방법으로 적성에 맞는 직업으로의 취업 추천과 기업체의 유능한 인재의 채용을 위한 정형적인 채용 의뢰가 교사의 취업 추천 업무에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상에서 전문가 시스템을 자바애플릿을 사용해 연동하여 구축함으로써 위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전문가 시스템은 JESS(Java Expert System Shell)를 사용해 규칙기반, 정방향 방식의 추론엔진을 제작하여 취업 추천에서의 경험적 지식을 쉽게 표현하였다. 개발된 전문가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학생, 교사, 기업체 모두 웹의 브라우저 내에서 서비스를 받도록 하였고, 웹에서 받은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게 하였다. 자바애플릿을 사용해 추론엔진부를 구동하면 웹에서 받은 정보와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을 연동하여 처리된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결과는 교사가 웹에서 확인하여 최종 취업 추천 업무를 관리하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은 실험을 통하여 취업 추천 업무의 객관성 보장, 업무의 용이성 향상, 추천 업무 시 실수에 의한 오류 없음 등이 증명되었으며, 향후 연구과제로는 다년간 누적된 취업 추천 결과를 분석하여 사례 기반의 추론엔진부를 개발 후 규칙기반의 취업 추천 전문가 시스템과 혼합한 시스템의 연구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할 것이다.

      • 수은에대한물질흐름분석 및 인체위해성평가

        장은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물질흐름분석 기법을 통하여 수은의 전과정에 걸친 물질 흐름을 규명하고, 이 때 발생하는 환경배출량에 의해 인체에 미칠 수 있는 위해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수은의 물질흐름분석 수은에 대한 물질의 흐름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통계 데이터, 문헌 데이터, 전문가 자문을 활용하여 2009년 한국에 대한 물질흐름을 도출하였으며, 사용단계에서의 배출량 산정을 위해 각 산업별 특성을 반영한 동적 모델을 사용하였다. 국내에서 소비되는 수은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중 주요 수요처로는 2009년 고휘도방전램프 50%, 형광등 26%, 냉음극형광램프 20%로 조명기기가 전체 수은의 흐름 중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주로 건축, 전기전자, 기반시설 산업으로 투입되어 사용된 후 일부 제품의 형태(형광등, 전지)로 분리수거 되어 별도의 폐기처리가 이루어지나, 이를 이용한 재활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물질흐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제품별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전과정 단계별 대기․수계․토양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과거에는 현재에 비해 수은의 소비처가 보다 다양함에 따라 ‘Manufacturing'단계에서도 수은 배출량이 나타났으나, 현재에는 수은 내수량 자체가 감소함에 따라 폐기물을 처리하는 ‘Waste management'단계에서 대부분의 환경 배출량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은의 인체 위해성 평가 인체 위해성은 지역적으로 국한된 환경영향으로 각 시․도별 영향을 별도로 산정하였다. 물질흐름분석을 통해 도출된 환경 배출량을 각 공정별 특성에 따라 지역별로 분배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환경 배출량으로 인한 인체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수은의 환경 배출량의 경우 경기, 서울, 경상북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인체 위해도의 경우에는 서울, 부산 인천 순으로 다른 우선순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수은 관리 정책 결정 시에 수은의 단계별 배출량과 이로 인한 지역별 인체 위해성을 고려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수은을 관리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aterial flow using Substance Flow Analysis(SFA) and analyse the human risk assessment for mercury. The mercury flow by 2009 based on the data of the individual stages of whole mercury cycle from 1980 through 2009 is deducted. In 2009, 13,107 tons of mercury is used in domestic, and it flows mainly to High Intensity Discharge(HID) lamp(50%), fluorescent lamp(26%),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CCFL)(20%) which is lighting appliances. The part of waste generated from 'Use stage' is collected in the form of HID lamp, fluorescent lamp, and bettery, but not recycled because of technical issues. The environmental emission in the each stage is allocated to 16 cities/provinces using output distribution factors. With the result, the spatial human risk for each city and province is deducted for mercury. The environmental emission of mercury is emitted mainly in Gyeonggi, Seoul, and North Kyongsang, however human risk is showed highly in Seoul, Busan, and Incheon differ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nagement of highly toxic chemical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amount of emission, bout also human risk by the emissions.

      • 상징의 기독교 교육 적용 가능성 연구

        장은실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에서는 상징을 기독교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 지금까지 기독교 교육에서 상징은 “말씀의 신학”에 대한 오해로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되었거나 그 반대로 상징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되었다. 기독교 교육에서는 우상화의 위험성 때문에 상징을 사용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으나, 성경에 등장하는 수 많은 상징들과 예수님의 대부분의 가르침이 상징을 통한 것이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볼 때, 우리는 상징이 없이는 성경의 내용을 가르치거나 표현하는데 한계를 느끼게 된다. 기독교 교육에서 우리가 상징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상징은 우리에게 “생각하게 하고, 배우게 하고, 이해하게”하여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을 알게 하기 때문이다. 제Ⅰ장에서는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상징의 이론적 근거를 일반적인 의미, 신학, 심리, 철학적인 의미로 나누어 알아보았는데, 틸리히, 융, 리꾀르의 상징이해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틸리히는 상징을 종교적 언어로 이해한다. 상징은 기호와 달라서 실재의 의미와 능력에 참여하고 있으며, 초월적인 차원을 우리에게 열어 보이는 구체적인 언어로서, 진리와 상황을 매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징이 궁극적인 실재 자체가 되어서는 안된다. 융은 종교를 상징체계라고 본다. 이는 종교가 실재의 모든 부분들을 의미있는 통합성으로 재통합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종교적 상징의 특성이라 한다면 참여적 기능과 초월적 기능을 말할 수 있다. 상징을 해석하는 방법으로 확대법과 적극적인 상상법을 제시하였다. 리꾀르는 상징은 생각을 불러일으킨다고 말한다. 그에게 있어서 상징은 언어적 차원에서 다뤄지고 있다. 리꾀르는 해석학의 과제로서 상징의 의미를 텍스트 영역으로 확장시킴으로서 상징의 이해를 추구한다. 제Ⅲ장에서는 상징과 기독교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다. 여전히 교회 교육에는 듣기 위주의 일방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상징교육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성경의 언어가 상징 언어이고, 예수님의 상징을 사용하심으로 교육하신 것을 볼 때, 우리는 청각만이 아닌 모든 감각을 사용하여 하나님을 경험하게 하는 상징의 중요성을 알게 된다. 상징은 교수학적으로 방향설정의 기능, 매개기능, 교량의 기능, 표현의 기능을 가진다. 특히 매개의 기능은 매우 중요한데 상징이 궁극적으로 하나님과 인간을 연결시켜주기 때문이다. 제Ⅳ장에서는 성경에 나타나는 상징을 기독교 교육에서 활용할 수 방안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상징의 범주를 열 개로 나누고 (천체, 세계, 신체, 음식, 자연, 동물, 색깔, 숫자, 형태, 매체) 그 중 해, 손, 길, 색깔 - 빨강, 파랑과, 숫자 “3, 4, 7, 8, 10”을 예시로 선택하였다. 상징교육을 할 때 중요한 것은 상징을 부분적으로 가르치려 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상징은 인지와 의식의 차원을 넘어 경험되어져야 하는 것이므로 상징교육에서는 텍스트와 그림, 음악, 침묵, 찬양, 기도, 이야기 놀이 축제 등의 행위를 통해 상징을 실제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상징은 언어적, 실체적 묘사가 아닌 계시적 차원의 방법을 통하여 궁극적 존재이신 하나님과의 만남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 김성경 작곡의 경기소리 2중창을 위한 新歌樂 <고산구곡가> 선율 연구 : 경기소리 2중창 선율을 중심으로

        장은실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Gosangugokga’, ‘Sin ga-ak’ for a Duet of Gyeonggi Sori’ is a vocal concerto based on lyrics from ten poems of Gosangugokga by Yulgok Lee Yi. Creating melodies based on the poems of Gosangugokga , this vocal concerto consists of total 285 bars and ten paragraphs. It interprets the lyrics in Chinese characters and reflects them on its form, not causing damage to the Pyeong Sijo form of three Jangs and six Gus. This study divided its ten paragraphs including the preface and nine poems into five major paragraphs for research convenience and investigated the forms of the paragraph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rst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1[introduction (orchestral introduction - switch section) - A(introduction preludea – b-x)- switch connection section]. The second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2[B(b-b1 ) - (modulation connection section - a2- 2x) -switch connection section] and Movement3 [C(c-x)- (d-d1)+(3x)]. The third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4 [B1(switch connection section - preliminary connection section) - (b3-b4-x4)], Movement5 [introduction (preliminary section - connection section-preliminary introduction - E(e-e1-e2)], and Movement6 [F(f - connection section – f1) - F1(f2-f3)]. The fourth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7[G(preliminary connection section-g)- (G1(g1-g2)]. The final paragraph consists of Movement 8[H introduction(switch connection section - prelude introduction) - h(h-connection section) - h1(h1 – h2 - connection section)], Movement9[(introduction) - I(i–i1-connection section)], and Movement 10[connection section – j1(j-j1) - j2(j2-connection section-j3) - j4(cadence)]. Of them, Movements 1, 2, 3, and 4 have a cadence paragraph of common melodies in the general development style of presenting a thematic melody, developing it, and finishing it in a cadence, thus inducing a natural connection between paragraphs. Secondly, "Gosangugokga, Sin´ ga-ak for a Duet of Gyeonggi Sori" divides the poems in the three-part form of beginning, middle, and end Jangs into six Gus, thus arranging its melodies. A thematic melody was developed as one was arranged in the first paragraph of each Jang with its development organizing a piece along with the alteration of developed melodies. Melodies would develop as follows: ㉠ a theme would be expanded through unequal beats; ㉡ a melody would be expanded through the give and take of melodies in each vocal part; ㉢ alteration and development would happen through bar expansion and reduction; ㉣ vocal parts would have their places changed during the repetition of the same melodies; and ㉤ a thematic melody would be alter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artial modulation of melodies in the same rhythms such as perfect 4th and perfect 5th. These five ways would be used to develop a theme and change melodies for the progress of melodies. Finally, Movements 1~3 progress in unequal beats of 6/4 +5/4 +5/4 +5/4 with beats changing in the unit of four bars. The tempo is set at ♩=96, and the scale is based on the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Movement 2 uses both the scale of E ♭ Boncheong Pyeongjo and that of A♭ Boncheong in a♭, b♭, c1, e♭1, and f1 notes. This paragraph moves in the Pyeongjo scale of A♭ Boncheong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cale of E♭ Pyeongjo via a modulation connection section. Movement 3 is based on the scale of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Movement 4 is in the Gutgeori beats of 6/8 time. It progresses in the scale of A♭ Boncheong Pyeongjo before a modulation to E♭ Boncheong Pyeongjo. Movement 5 is i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9/8 time in f1, a♭1, b♭1, c2, and e♭2 notes. Movement 6 is based o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9/8 time in f1, a♭1, b♭1, c2, and e♭2 notes. Movement 7 is based o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6/4 time in f1, a♭1, b♭1, c2, and e♭2 notes. Movement 8 progresses in melodies in the f Boncheong Gyemyeonjo of 6/8 time. Movement 9 is in the Jajinmori beats of 12/8 time and based on the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The final movement has no particular beats and is based on the E♭ Boncheong Pyeongjo in e♭1, f1, g1, b♭1, and c2 notes. Creative Gukak pieces, especially vocal ones, are definitely needed and hold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creative transmission of Korean music. In Gukak, singers place huge importance on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elements of Western music in staff notations and thos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 their broad interpretations of pie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ways that forms and melodies were organized in a creative piece on the topic of vocalization in traditional vocal music,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helpful for players with their interpretations of a piece and for individuals wishing to study composition. ‘경기소리 2중주를 위한 신가악 <고산구곡가>’는 율곡 이이가 쓴 동명의 시 10수를 가사로 하여 성악협주곡으로 작곡한 곡이다. ‘고산구곡가’의 시에 선율을 붙인 성악협주곡 <고산구곡가>의 형식은 총285마디 10개의 단락으로 구성되었다. 이 곡은 평시조 3장 6구의 형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한자어 가 사를 풀이하여 곡의 형식에도 반영하였다. 서언부터 9곡까지 10개의 단락은 연구의 편의를 위해 다섯 개의 대 단락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단락의 형식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 번째 단락은 1장 [도입부(관현악도입-전환구) - A(도입전주-a – b-x)- 전환연결구], 두 번째 단락은 2장 [B (b-b1)- (전조연결구-a2-2x) - 전환연결구], 3장[C(c-x) - (d-d1)+ (3x)]이다. 세 번째 단락은 4장[B1(전환연 결구 - 예비연결구)-(b3-b4-x4)], 5장[도입구 (예비구 - 연결구 –예비도입) -E(e-e1-e2)], 6장[F(f-연결구-f1)-F1(f2-f3)]이다. 네 번째 단락은 7장[G(예 비연결구-g) - (G1(g1-g2)]이다. 다섯 번째 단락, 8장[H 도입(전환연결구-전 주도입) -h(h-연결구)-h1(h1-h2-연결구), 9장[I (도입부) - I(i –i1-연결구)], 10장[연결구 –j1(j-j1)-j2(j2-연결구-j3) - j4(종지구)]이다. 이중 1장, 2장, 3 장, 4장은 주제선율제시, 주제선율의 발전, 종지단락의 일반적 전개방식에서 공통된 선율의 종지 단락을 배치하여 각 단락 간 자연스런 연결을 유도하였 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산구곡가>는 초장, 중장, 종장 3장 형식의 시를 6구로 나누어 선 율을 배치하였다. 주제선율의 발전 방법은 각장의 첫 단락에 주제선율을 배 치한 후 주제의 발전과 발전 선율의 변형으로 곡을 구성하였다. 선율의 전개 방식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혼합박을 사용하여 주제를 확장하는 방법 ㉡각 성부의 선율을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선율로 을 확장하는 방법 ㉢ 마디의 확장, 축소로 변형발전 ㉣동일한 선율을 반복할 때 성부의 위치를 바 꿔 배치 ㉤완전4도 혹은 완전5도 등 같은 리듬의 선율을 부분 전조하여 주제 선율의 변형으로 발전시키는 방법 위와 같이 다섯 가지 방법을 통하여 주제 를 발전시키고 선율의 변형을 이루며 선율이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1장부터 3장까지는 6/4 +5/4 +5/4 +5/4의 혼합 박으로 진행되며 4 마디 단위로 변박하며 진행한다. 빠르기는 ♩=96으로 제시되어있으며 음계의 구성은 e♭1, f1, g1, b♭1, c2음의 E♭본청 평조이다. 2장은 E♭본청 평조 음계 와 A♭본청의 음계가 함께 쓰이고 있으며 음의 구성은 a♭, b♭, c1, e♭1, f1음 이다. 이 단락은 A♭본청의 평조음계로 진행하다 전조연결구를 통하여 다시 본래의 E♭평조 음계로 진행한다. 3장은 e♭1, f1, g1, b♭1, c2음의 E♭본청 평 조이다. 4장은 6/8박자로 굿거리장단이다. A♭본청으로 하는 평조음계로 진 행하다 E♭본청 평조로 전조된다. 5장은 9/8박자로 f본청 계면조이다. 음의 구성은 f1, a♭1, b♭1, c2. e♭2 이다. 6장은 9/8박자로 f본청 계면조인 f1, a♭ 1, b♭1, c2. e♭2 음의 구성이다. 7장은 6/4박자로 f본청 계면조인 f1, a♭1, b ♭1, c2. e♭2 음의 구성이다. 8장은 6/8박자로 f본청 계면조의 선율로 진행된 다. 9장은 12/8박자로 자진모리장단으로 제시되었고 e♭1, f1, g1, b♭1, c2음 의 E♭본청 평조이다. 10장은 장단으로 따로 제시되어 있지 않고 e♭1, f1, g1, b♭1, c2음의 E♭본청 평조이다. 국악창작곡은 특히 성악곡은 우리음악의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반드 시 필요하고 매우 중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또한 오선보 위의 서양 음악적 요소와 전통 음악적 요소의 상호작용을 체계적 정리하는 일 또한 창자들의 폭 넓은 작품해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여긴다. 전통성악 발성을 주제로한 창작곡이 어떠한 방법으로 형식과 선율을 구성하였는지 연구 분석하여 연주 자의 곡 해석은 물론 작곡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본고의 목적을 둔다.

      • 부양자녀의 노부모학대에 관한 연구

        장은실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노인학대가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노인학대를 예방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노인학대 관련요인을 찾는데 있어 학대받는 노인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인데, 노인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노인뿐 아니라 가해자인 부양자들도 변화될 필요가 있음으로 본 연구는 부양자녀를 중심으로 하여 노인학대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학대관련요인이 부양자녀의 노부모학대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변인들의 관계구조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부양자녀 개인요인, 자녀가 인지하는 부모에 대한요인, 부양자녀와 부모관계요인을 도출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부양자녀의 노부모학대경험수준과 노부모학대유형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목포시에 거주하고 65세 이상의 홀로된 부모를 모시고 있는 자녀로, 같은 목포시에 거주하면서 부모를 부양하는 자녀들과 부모와 함께 동거하는 자녀들을 모두 포함하였다. 표집절차는 먼저 목포시에 거주하는 성인 중에 65세 이상의 홀로되신 (시)부모님을 모시는 자녀 전체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편의추출법을 사용하여 150 케이스를 설문했으나, 학대경험이 나타나지 않은 11 케이스를 제외하고 139 케이스만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양자녀 개인요인으로 노인학대인지도, 부양부담; 자녀가 인지하는 부모에 대한 요인으로 노인의 의존성; 부양자녀와 부모관계요인으로 부모와의 결속력; 노부모학대경험을 포함한 척도 및 설문을 사용하여 조사한 후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및 가설검증 결과를 중심으로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와 부모의 일반적 특성과 노인학대인지도, 부양부담, 부모의 의존성, 부모의 사회적 관계망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노인학대인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양부담에서는 여성 부양자녀그룹, 연령이 낮은 부양자녀그룹, 주부나 일용직을 포함한 기타 직업을 가진 부양자녀그룹, 자녀의 배우자그룹이 부양부담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사회적 관계망과 의존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연령이 높은 부모그룹이 사회적관계망도 많고, 의존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노부모학대경험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학력, 재정만족도가 노부모학대경험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학력이 낮은 그룹, 본인의 재정수준에 불만족하는 그룹이 노부모학대경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유형별로는 학력이 낮은 그룹이 방임과 경제적 학대, 정서적 학대경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재정만족도가 낮은 그룹이 경제적 학대경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자 개인요인과 노부모학대경험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양부담과 총 노부모학대경험수준,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경제적 학대, 방임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사대상자가 인지하는 부모에 대한 요인과 노부모학대경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사회적관계망은 부모의 의존성과 약간의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고, 부모의 의존성은 총 노부모학대수준, 경제적 학대,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와 약간의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부모의 경제력은 신체적 학대와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조사대상자와 부모관계요인과 노부모학대경험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 성장시 폭력목격과 방임, 경제적 학대, 총 노부모학대경험수준이 유의미한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조사대상자 성장시 폭력경험이 경제적 학대와 총 노부모학대경험수준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성장시 폭력목격이 있는 부양자녀 그룹이 폭력목격이 없는 부양자녀 그룹보다 방임, 경제적 학대, 총 노부모학대경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시 폭력경험에 따른 노부모학대경험을 살펴본 결과 폭력경험이 있는 부양자녀 그룹이 폭력경험이 없는 부양자녀 그룹보다 경제적 학대와 총 노부모학대경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부모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한 결과 노부모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부양부담, 부모의 의존성, 부모와의 결속으로 나타났는데, 부양부담이 높을수록, 의존성이 높을수록, 부모와의 결속력이 낮을수록 학대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주요 결과들을 바탕으로 노인학대를 예방 또는 경감할 수 있는 실천방안을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 부양자녀의 학력이 낮은 그룹이 높은 그룹보다 노부모학대경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낮은 교육수준이 노인과 관련된 지식 및 이해의 부족을 낳을 수 있기 때문에 노부모학대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클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노인에 대한 공경을 얻을 수 있도록 학생들뿐만 아니라 노부모와 함께 살거나 살 수 있는 중년계층에게도 노인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서 그들의 부모님뿐만 아니라 자신들도 노부모가 됨을 인식하게 하고, 노인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노인학대에 대한 심각성을 인식하여 노인학대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교육을 실시 할 수 있지만, 이미 교육시기를 놓친 저학력 성인들은 한곳에 모여서 교육 받기가 어려운데, 남성 같은 경우는 민방위 훈련에서 노인학대예방을 위한 교육을 시킬 수 있고, 여성 같은 경우는 동사무소에서 사회교육을 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노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많은 부양부담을 느끼게 됨으로 노인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결과 부양자의 부양부담이 클수록 정서적 학대나 이외 다른 학대들이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발부담이 큰 노인을 부양하는 가정에게는 가정봉사원 파견 서비스나 방문간호서비스 등과 같은 재가복지서비스를 가정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거나, 노인주간보호시설, 노인단기보호시설 등과 같은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확대 실시하여서 부양부담을 줄여주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부모부양에 있어서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는 가정에게는 노인가족수당 지급, 부양자에게 취업기회 우선 제공과 같은 경제적 지원책을 주어 부양부담을 덜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결과 성장시 폭력목격 및 폭력경험이 있는 부양자녀가 그렇지 않는 부양자녀보다 노부모학대경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이란 것이 그 세대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대물림되는 것으로 너무나도 많은 희생자를 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사회복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즉, 폭력은 대상이 누구이든 간에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회적인 행동지침으로 정립 되어야 한다. 또한 폭력에 대한 법적제제를 강화하고, 폭력이 좋지 않다는 교육을 평생에 걸쳐 실시하는 등 법·교육·사회복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넷째, 후속 연구는 주부양자들 뿐만 아니라 학대받는 당사자인 노인을 쌍으로 조사해서 노인학대 경향과 관련요인들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확한 학대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폭넓게 조사대상자를 선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sing-related factors and elderly abuse experiences, and then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fac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people living with elderly single parents over 65 in Mokpo city. Using SPSS 12.0 Statistics Package, the research analyzed 139 c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ir parents and respondents' perception of elderly abuse, respondents' care-burden, parents' dependency, and parents' social network, the results shows some relations. Respondents' care-burden is appeared among women respondents more. Parent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ir social network and dependency are related in a significant statistical level, which is those who are older has more social networks and are dependent more. Second,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socio-demographical factors of the respondents and parent-abuse experience, education level and financial satisfaction level are important to affect to the experience of parent-abuse. Those who have lower educational level and financial satisfaction level tend to abuse their parent more.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respondents' personal factors and parent-abuse experience, there are significant corelations between the respondents' care-burden and level of parent-abuse experience, physical abuse, psychological abuse, and financial abuse. Also, the parents' social network which is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is slightly related to the parents' dependency. Then, the parents' dependency is also slightly related to total level of parent-abuse, financial abuse, psychological abuse, and physical abuse. Meanwhile, the parents' economic capacity which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are negatively related to physical abuse. Fourth, observing violence during childhood of the respondents is related neglection and economic abuse to their parents, and total level of parent-abuse in a negative way. Finally, the affecting factors to parent-abuse are care-burden, parents' dependency, and bondage with parents. That is, those who have more care-burden, feel more dependency of their parents, and lower bondage with their parents tend to abuse their parents mo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a proper education for middle-aged caregiving children regarding the elderly abuse and its prevention by using various education programs is necessary in order to let them understand the consequence of abusing and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elderly. Second, several services such as home-service and visiting nursing service are needed for care-givers with huge burden. Also government must support to open and maintain institutions such as day-care center and short-term care center that can reduce care buren. In addition, economic burden of children for caregiving of their parents must be relieved by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 Therefore, care-burden that is closely related to parent-abuse can be reduced. Third, positive and active intervention to domestic violence is necessary because violence can be easily hand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The authorities need to take various and strong policies through the related laws, education programs, and social service resources. Finally, the further study needs to be conducted with abuser and abusee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find out factors related to elder-abuse in more correct way.

      • 역기능가정의 성인아이 문제에 대한 치유방안 연구

        장은실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Experts who intend to do study on a family call a person, who grew up in a family of a reverse function to be reversely functional, a grown-up kid. Such grown-up kids from a family of a reverse function have a variety of emotional & psychological problems. In short, they usuall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elf-esteem, rage, an inferiority complex, self-disparagement, distrust, and perfectionism, etc. The grown-up kids, who got hurt in the midst of the negative influence of family environment when they were young, will suffer from emotional difficulty even after they are grown up physically. In short, they don't feel any happiness due to the problems arising from human relations, unhappy conjugal life, disrupted relations with their parents, and unharmonious social life. Such emotional hurts on a grown-up kid of a family of negative function are not immediately cured wholly only through the efficacy of earnest prayers; instead,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s to heal such emotional problems as damaged character. The damaged heart cannot be cured easily, and due to a victim's closed mind, the victim could also do damage and affliction to others and cause a lot of troubles even while the victim continues to be in affliction. Such a grown-up kid from a family of reverse function tends to create another family of reverse function and its subsequent another grown-up kid, so the issue of a mal-functional family could be a serious one to multi-generation hereditarily. Thus, such a vicious cycle should be definitely shattered. Therefore, the issue of a grown-up kid is linked to not only an individual but the whole family involved. Grown-up kinds should be cured of their family-borne hurts for their whole life. This researcher could see that the happiness and unhappiness of a family are influenced by human relations. The family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can sway a family happiness or unhappiness greatly, but it is up to family members how to embrace & how to solve this issue after all. Through this process, such a family can be reborn as a healthy &happy family of proper function in which such a grown-up kind is healed. The more such a family of proper function, the happier world our society will be. 본 논문은 역기능 가정에서 성장한 성인아이의 상한 감정의 문제에 대한 치유를 살펴보았다. 상한 감정의 문제 원인은 대부분 어린 시절에 관계를 맺었던 부모로부터 온다. 가족으로부터 받은 어린 시절의 크고 작은 상처들은 내면에서 자아를 억누르고 있던 것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문제들이다. 가정에서 어린 시절과 청소년기를 불행하게 보낸 사람은 내면에 상한 감정을 지닌 채 성장함으로 인해 내적인 정서적인 어려움과 외적인 관계 속에서 상처를 입히고 파괴적인 사람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상한 감정은 우리가 가정 안에서 경험한 문제들에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인아이의 문제는 개인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족전체와 연관 되어져 있다. 성인아이들은 그들의 온전한 삶을 위해 가정을 통해 받은 상처들을 치유 받아야한다. 첫째, 성인아이는 가정 안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로써 가정의 영향으로 인해 자신 안에 상한 감정들이 있음을 시인하고 과거의 기억에 직면하여 그 상한 감정을 드러내고 자신에게 상처를 준 사람을 용서해야한다. 둘째, 강력한 순환이 되풀이 되는 역기능 가정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가정적인 치유가 있어야 한다. 역기능적 부모는 역기능적 자녀를 양산한다. 그러므로 이런 일들을 예방하는 차원 부모훈련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결혼한 부모들이 부모가 되는 어떠한 훈련도 받지 않고 자녀를 낳아 키운다. 부모들 또한 마음에 여러 가지 억눌린 상처들을 가지고 있기에 자녀들에게 그대로 상처를 심어주고 이러한 악순환은 계속 반복된다. 그러므로 부모가 되기 전에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훈련과정으로 결혼 예비학교, 아버지학교, 어머니학교, 등 예방사역인 가정사역이 필수적이다. 셋째, 집단 상담을 통하여 치유하는 방법이다. 성인아이는 자신과 비슷한 환경에서 성장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로를 이해하고 나눔으로서 억압되고 고통스러운 상한 감정을 해소할 수 있다. 가정의 행복과 불행은 인간관계에서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어린 시절 가정의 환경이 가족의 행복과 불행을 크게 좌우하기도 하지만 결국에는 이 문제를 어떻게 수용하고 해결하는가 하는 것도 가정의 구성원이 결정할 문제이다. 왜냐하면 행복과 불행은 결국엔 인간의 수용적 자세 여부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역기능 가정에서 자라 상한 감정을 가진 사람들에게 본 연구가 치유와 회복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읽기능력연구 : 소리내어 읽기과제를 이용한 오류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장은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읽기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오류는 주어진 글을 읽어나가는 과정에서 언어적인 단서를 잘못 받아들인 현상으로서 '읽기과정을 들여다보게 해주는 창문'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오류는 독자가 의미를 이해하고 추구하는 과정의 반영인 것이다. 따라서 읽기오류를 분석함으로써 그 아동이 언어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무엇이고, 또 모르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를 알 수 있고, 이것을 통해 각자의 이해의 수준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글을 읽는데 어려움을 가지는 읽기장애 학습자들의 읽기지도와 평가를 위해서는 초기 읽기습득단계에 있는 아동이 소리내어 읽기(oral reading)과제<부록3-a>에서 나타낸 오류를 분석하여 각 오류유형들의 특징과 그 발달단계를 규명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우리나라의 읽기표준화 검사는 개인 내에서의 읽기능력상의 강점과 약점 및 읽기오류분석에 관한 정보제공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읽기오류분석연구들은 읽기과제에서 나타나 오류의 질적 또는 양적인 분석만을 다루어 왔었고, 읽기의 중요한 요소인 이해와의 관계를 간과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30명을 대상으로 소리내어 읽기(oral reading)과제에서의 읽기오류유형을 분석하고 두 집단(하위읽기능력집단과 상위읽기능력집단)간의 차이는 물론 더 나아가 각 오류유형과 이해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아동 171명을 대상으로 단어재인능력과 해당학년수준의 이해능력을 기준으로 하위읽기능력아동과 상위읽기능력아동을 선별한 후에, 선별된 두 집단에게 소리내어 읽기과제를 실시하여 두 집단이 산출한 오류유형을 대치(무의미단어로의 대치와 의미단어로의 대치)와 생략, 삽입, 그리고 수정으로 나누어 빈도분석 하였고, 아동이 소리내어 읽은 과제에 대한 이해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읽기이해검사Ⅱ<부록3-b>를 실시하여 두 집단이 나타낸 오류 유형의 빈도수와 읽기이해검사Ⅱ에서 나타낸 이해점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모든 읽기자료는 전사하여 각 오류유형별로 채점되어 산출빈도수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오류유형들에 대해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두 집단이 산출한 오류유형과 이해검사Ⅱ에서 나타난 이해점수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r 상관계수를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읽기능력아동은 상위읽기능력아동에 비해 총 오류에 대한 빈도수는 물론, 수정을 제외한 각각의 오류유형(무의미단어대치, 의미단어대치, 생략, 삽입오류)별로 나타낸 "절대적인" 빈도수에 있어서도 유의미하게 많은 오류를 나타냈다. 둘째, 다른 오류유형별 평균 산출빈도수에서는, 총 오류수를 비교한 결과와 유사하게, 수정오류를 제외한 나머지 무의미대치오류, 의미대치오류, 생략오류, 삽입오류 빈도수에 있어서 하위읽기능력집단이 상위읽기능력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많은 오류를 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리내어 읽기검사에서 두 집단이 산출한 서로 다른 오류유형 산출빈도수과 이해점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의미단어대치오류, 의미단어대치오류, 생략오류, 그리고 삽입오류가 이해점수와 부적상관(negative corelation)이 있는 오류유형으로 나타났고, 수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무의미단어나 의미단어로 대치하는 빈도가 높아질수록 또 생략하거나 삽입하는 오류의 빈도수가 높아질수록 읽기이해검사II에서의 정답 수가 낮아진다고 설명할 수 있다. 더욱이 생략이나 삽입오류보다는 무의미단어나 의미단어로의 대치오류가 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므로 이들 오류가 이해점수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친다고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과정에 있어서 하위읽기능력아동은 상위읽기능력아동에 비해 자소단서를 보다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무의미단어 또는 의미단어로 대치하거나, 목표어휘를 생략 또는 삽입하여 다른 어휘로 산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나아가 이런 오류들이 이해점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결과를 통해, 결국 수정을 제외한 무의미단어대치, 의미단어대치, 생략, 그리고 삽입오류는 읽기과제를 수행할 때 상위읽기능력집단에서 뿐만 아니라 하위읽기능력집단에게 있어서도 이해의 과정을 더욱 더 방해하는 요소임을 알수 있었다. 반대로 하위읽기능력집단과 하위읽기능력집단아동들은 스스로 자신의 오류를 수정하는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이해점수와도 유의미한 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입각하여 본 연구 결과는 초기읽기발달 단계에 있는 아동이 나타낸 오류유형을 통해 그들의 읽기능력을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며, 나아가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의 읽기지도방법의 선택에 있어서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miscue patterns between poor readers and good readers through the oral reading task and correlation between each miscue patterns and comprehension test scor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are asked. (1)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performances on the total number of miscue which are produced through the oral reading task? (2) Do they differ in the performances on the number of miscue which are differently produced each other through the oral reading task? (3) Are there an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ch miscue patterns and comprehension test scor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171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first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hey were tested on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Top 15 and bottom 15 based on test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good and poor readers, respectively. Subsequent tasks were administered to each group. To measure oral reading miscue types, participants orally read the tasks and the data were transcripted after reading. subsequently comprehension testII which were about what the participants read were taken.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erformances on the total number of oral reading miscu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erformances on the number of oral reading miscue depending on each type of different error. In particular, among the error types, 'non-word substitution', 'word substitution', 'deletion', and 'inser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on the 'self-correction' error type was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ird,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ch miscue pattern('non-word substitution', 'word substitution', 'deletion', and 'insertion') and comprehension testII scores,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between 'self-correction' error type and comprehension testII scores. This study may be challenged on account of using non-standardized procedure and tasks to evaluate the nature of oral reading miscue analysis. However, it has contributed to stepping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more reliable and standardized procedure by reexamining the specific properties of poor readers at earlier developmental stage. Given that any reliable and valid procedures are currently unavailable, development of better test procedures are urgently needed. And, longitudinal studies following the long-term courses of reading ability are needed to detect any reading deficiency at any earlier stage.

      • 젖은 퍼의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실시간 퍼 렌더링

        장은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동물의 퍼(Fur)의 표현은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동물 캐릭터를 사실적으로 렌더링 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전 연구들에서 실제적이고 자세한 표현을 위해서는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주로 정지 상태의 퍼를 다루고 있다. 게다가 아직까지 실시간 퍼 렌더링은 제한된 자원의 활용 때문에 연구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퍼를 효율적으로 실시간 렌더링하기 위해 실제 퍼의 물리적 특성을 적용시키는 퍼 모델로써 기존의 쉘(Shell)과 핀(Fin) 구조를 통합한 통합 버텍스(Vertex) 구조를 소개한다. 또한 퍼에 작용하는 외력 중 퍼가 물에 젖었을 때 자연스러운 퍼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통합 버텍스 구조에 적합한 클럼프(Clump) 구조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수행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텍스처 기반의 클럼프 생성 방법과 버텍스 기반의 클럼프 생성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이렇게 생성된 젖은 퍼 모델은 게임 등에서 동물 캐릭터에 적용되어 실시간으로 동물 캐릭터의 사실적인 활동 모습을 보여주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expression of fur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render animal character in computer graphics. In order to render the fur efficiently in real-time, we propose an unified vertex structure that combines different real-structures, shell and fin. In addition, we design the structure of clump to simulate the movement of wet fur. we suggest a 'technique of clumping based on textures' and a 'technique of clumping based on vertices' for flexibility of implement. The wet fur model is applicable to render and simulate realistic animal characters in a real-time application such as games.

      • 사과 품종 홍로의 과피와 과육에서 발현되는 단백질의 대규모 proteome 분석

        장은실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is known as a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separating proteome expressed in microorganisms, animals and plants by the difference in isoelectric point and molecular weight. The sum of abundance ratios of all protein spots attempted to be identified was 666.01 (± 73.85). The most expressed protein among the spots was spot No. 451, major allergen Mal d 1 (abundance ratio 54.42), corresponded to 8.2% of the total protein spot expression. The second place of expression amount was spot No. 419 unidentified protein (abundance ratio 28.40), third place 455 MLP-like protein (abundance ratio 24.08), fourth place 480 glutathione S-transterferase (abundance ratio 18.61), fifth place 166 glutamine cytosolic isozyme (abundance) ratio 13.26), 6th place 421 L-ascorbate peroxidase (abundance ratio 12.67), 7th place 163 ß–cyanoalanine synthase (abundance ratio 10.81), 8th place unidentified (abundance ratio 10.16), 9th place 452 major allergen Mal d 1 (abundance ratio 8.80) and 165 glutamine cytosolic isozyme (abundance ratio 8.45). Since three of the top ten proteins expressed in the peel were allergic, it was thought that the apple peel contained a large amount of allergic protein. As a result of 2-DE with proteins extracted from apple peel and flesh, 30 proteins were consistently and repeatedly differing in expression levels more than 2 times in the peel and flesh. Coring the 30 protein spots and analyzing them by MALDI-TOF / TOF, 23 proteins were identified, but 7 spots of 4, 36, 211, 212, 388, 470 and 495 were not identified. Among the identified proteins, spot 8 chaperonin 60 subunit alpha 1, chloroplastic and spot 380 NADP-dependent D-sorbitol-6-phosphate dehydrogenase showed 2.1 and 3.1 times higher expression levels in the flesh than those of the peel. Compared to the flesh, the skin peels had a spot No. 21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oxidase homolog 6.5 times, No. 148 acetyl-CoA acetyltransferase, cytosolic 1 4.6 times, 210 oxygen-evolving enhancer protein 1, chloroplastic 19.3 times, 216 times And 219 (+)-neomenthol dehydrogenase-like are 4.2 and 71.0 times, 217 hypothetical protein OsI_18159 is 10.2 times, 221 L-ascorbate peroxidase 2 is 17.5 times,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 oxygenase 273, respectively. Large subunit 10.1 times, 305 formate dehydrogenase, mitochondrial 6.1 times, 316 acetyl-CoA acetyltransferase, cytosolic 1-like 8.1 times, 348 8-hydroxygeraniol dehydrogenase-like 13.8 times, 391 and 392 acidic endochitinase SE2-like and partial were 2.6 and 3.1 times respectively, MLP-like protein 34 was 8.0 times at 406, major allergen Mal d 1 at 451 and 452 was 5.6 and 18.0 times at 451 and 97.3 at major allergen Mal d 1.06A01, respectively. Pear 472 is an uncharacterized protein that is believed to respond to the plant hormone ABA. At5g02240-like expressed 39.0 fold, 483 and 484 glutathione S-transferase-like 5.9 and 5.6 fold, and 489 uncharacterized protein LOC103408523 66.8 fold higher. The expression levels of spot No. 21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oxidase homolog, No. 148 acetyl-CoA acetyltransferase, cytosolic 1, No. 210 oxygen-evolving enhancer protein 1, chloroplastic, No. 216 and 219 (+)-neomenthol dehydrogenase-like, No. 221 L-ascorbate peroxidase 2, No. 273 ribulose-1,5-bisphosphate carboxylase / oxygenase large subunit, No. 305 formate dehydrogenase, mitochondrial, No. 316 acetyl-CoA acetyltransferase, cytosolic 1-like, No. 348 8-hydroxygeraniol dehydrogenase-like, No. 391 and 392 acidic endochitinase SE2-like, partial, No. 406 MLP-like protein 34, No. 451 and 452 major allergen Mal d 1, No. 472 uncharacterized protein At5g02240-like (presumed to respond to plant hormone ABA), No. 483 and 484 glutathione S-transferase-like and No. 489 uncharacterized protein LOC103408523 were 6.5 and 4.6, 19.3, 4.2, 71.0, 10.2, 17.5, 10.1, 6.1, 8.1, 13.8, 2.6, 3.1, 8.0, 5.6, 18.0, 97.3, 39.0, 5.9, 5.6 and 66.8 times higher in the peel than in the flesh,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peel is more exposed to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ly disadvantageous environment than the flesh. Therefore, secondary metabolite metabolism (spots 148, 316, 348), defense and stress response-related proteins (spots 216, 219, 305, 483, and 484), chitinase involved in chitin metabolism spots 391 and 392) and proteins with allergenic properties (spots 406, 451, 452 and 457), which are more expressed in the peel than flesh, will provide the impetus for maintaining and exerting properties including fruit growth and maturation. In particular, the apple peel has a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level of allergic proteins than the flesh, so those who are sensitive to apple allergy need to be very careful when ingesting it.

      • 의미장(Semantic Field)을 활용한 중학교 영어 어휘 지도 방안 연구

        장은실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어휘 능력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필수적인 능력이며, 어휘 습득은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 학자들은 학습자의 어휘 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의미장 이론을 토대로 하는 어휘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중학교 영어 교육에서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지도 방법이 효과적인 어휘 지도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실험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실험 대상으로 선정하여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지도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적 측면에서는 사전과 사후에 어휘 능력 평가지를 투입하였으며, 정의적 측면에서는 정의적 영역 검사지 및 학습자의 자유 응답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의 사전-사후 인지적 측면 및 정의적 측면의 변화를 전체 실험 집단 및 수준별 집단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인지적 측면에서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수업의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어휘 능력 평가 점수를 전체 실험 집단을 대상으로 분석해 본 결과,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즉,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지도는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어휘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습자들을 수준별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사전-사후의 어휘 평가에 있어 중위 집단과 하위 집단 학습자들의 어휘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이었다. 상위 수준 학습자들의 경우 어휘 평가 점수가 사후에 약간 상승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중위 집단의 경우 사전-사후의 어휘 평가 점수를 비교한 결과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사후 검정 결과 사후 어휘 평가에서 상위와 중위 집단이 동질 집단으로 나타났다. 하위 수준 학습자들의 경우 사후 평가에서 어휘 능력이 현저히 향상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이었다. 정의적 측면에서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실험 집단을 중심으로 사전과 사후의 정의적 영역 검사 점수를 분석한 결과, 흥미도와 자신감 및 두 요소를 종합한 정의적 영역의 평균 점수가 사후 검사에서 다소 증가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둘째, 학습자들을 수준별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상위 및 중위 수준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자신감 부분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하위 학습자의 자신감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 상위 집단의 경우 오히려 사후 검사에서 점수가 약간 하락하였다. 중위 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흥미도와 자신감 및 이를 종합한 평균 점수에서 사후 검사의 평균 점수가 소폭 상승하였으며, 사후 검정 결과 사후 검사의 흥미도 부분에서 중위 집단과 상위 집단이 동질 집단으로 나타났다. 하위 집단의 경우 자신감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흥미도 부분에서 평균 점수가 소폭 상승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지도 방법은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어휘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특히 중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어휘 능력 향상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 지도 방법이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어휘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라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현장 적용 시 학습자들의 수준별로 인지적 특성 및 정의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 학습자들의 특성에 적합한 방법으로 지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