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장윤미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건축도면은 인류의 문화유산인 건축물에 대한 정보를 가장 많이 담고 있는 건축 기록물이다. 건축도면은 협업을 통해 생산되는 그룹 기록물의 일부로써 물리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한 규약에 따른 도형 정보요소를 이용하여 주로 표현되고 기술적, 미적 가치의 평가가 가능하다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건축도면 기록물을 보존, 활용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기술(description)이다. 정확한 기술은 탐색자가 기록물로 접근하는 것을 수월하게 해 주며 기록물의 배경정보와 내용정보를 확인하고 설명해 준다.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 건축도면 아카이브스 기술을 위한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 않은데, 국가기록원의 기술방식도 합당한 규칙에 의거하지 않은 채 간단한 정보만을 기록하고 있다. 그 결과 이용자들은 기록물보존기관이 수장하고 있는 건축도면을 검색, 열람하기 어려워졌고, 기록물 관련 업무 담당자들은 기록물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하는 등의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워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도면 아카이브스의 기술요소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건축도면의 정의와 특성을 알아보고 기록물의 기술과 그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가기록원을 대상으로 건축도면 아카이브스의 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건축도면의 기술규칙 적용모델이 될 수 있는 표준 및 지침을 통해 기술요소를 분석하였다. 국가 표준의 경우 특수형태의 기록물을 따로 분리하여 기술요소를 제시하고 있는 캐나다의 기록물 기술 국가 표준인 RAD 2판(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second edition)과 영국의 MAD 3판(Manual of Archival Description, third edition)을 선정하였고, 단체별 지침의 경우는 건축도면자문그룹(The Architectural Drawings Advisory Group, ADAG)과 건축 기록물 재단(Foundation for Documents of Architecture, FDA)의 ‘건축도면의 기술에 대한 지침(A Guide to the Description of Architectural Drawings)’과 국제기록기구회의(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 ICA)의 ‘19세기에서 20세기까지의 건축기록에 대한 기록관리 지침(A Guide to the Archival Care of Architectural Records : 19th-20th)’을 선정하여 ‘국제 보존기록 기술규칙(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ISAD(G))’에서 규정하고 있는 영역, 요소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상에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건축도면 아카이브스의 기술요소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요소는 ISAD(G)에서 규정하고 있는 식별영역, 배경영역, 내용과 구조영역, 열람과 이용조건영역, 연관자료영역, 주기영역, 기술통제영역에 물리적 기술영역과 건축물 기술영역을 추가하여 9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기술요소는 식별영역 5개, 배경영역 4개, 내용과 구조영역 8개, 열람과 이용조건영역 5개, 연관자료영역 3개, 주기영역 1개, 기술통제영역 3개, 물리적 기술영역 5개, 건축물 기술영역 9개로 총 43개를 제안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식별영역은 건축도면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들로 구성되며, 참조코드, 표제, 일자, 기술계층, 기술단위의 규모를 제안하였다. 배경영역의 요소들은 주로 건축도면과 생산자의 이력에 대한 정보들이고, 생산자명, 행정연혁/개인이력, 기록물이력, 수집/이관의 직접적 출처로 구성하였다. 기록물이력에는 보관이력 및 전시내역을 포함시켜 미적, 기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건축도면의 활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내용과 구조영역은 범위와 내용, 평가 ㆍ 폐기 ㆍ 처리일정정보, 추가이관, 정리체계, 규약, 축척, 표현형식, 중요기록사항으로 구성하였다. 이중 규약, 축척, 표현형식, 중요기록사항요소는 건축도면의 특징을 반영한 특성화된 요소라고 볼 수 있는데, 중요기록사항은 건축도면에 나타나 있는 중요한 문구나 동반 자료를 기록하는 요소이다. 열람과 이용조건영역의 요소는 열람조건, 재생산조건, 검색도구, 위치, 전자파일인데, 이들 요소 중 위치는 보존소의 이름과 위치, 청구기호 등을 나타내는 정보로써, 보존하고 있는 위치가 매우 중요한 건축도면 보존 시 주의사항을 반영한 요소이다. 연관자료영역은 컬렉션 명, 사본의 존재와 위치, 관련기술단위로 구성하였는데, 건축도면은 주로 원본을 보존하는 바, 사본의 존재의 위치를 포함시켰으며, 그룹 기록물로써의 성격을 반영하여 관련 기술 단위를 포함시켰다. 주기영역에는 다른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를 기술하는 일반주기를 포함시켰다. 기술통제영역은 건축도면 아카이브스를 기술한 아키비스트에 대한 정보인 아키비스트 주기, 기술규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규칙과 협약, 그리고 기술일자로 구성되었다. 물리적 기술영역은 건축도면 아카이브스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세부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다. 이 영역은 열람과 이용조건영역의 물리적 특성과 기술적 요구사항요소를 분리한 것인데, 건축도면 아카이브스의 크기, 재료, 필기구, 기술(technique), 특성기술요소로 구분하였다. 건축물 기술영역은 크게 두 종류의 기술요소 군으로 구분하였는데, 건축물과 관련된 요소로는 이름, 위치, 시설분류, 일자, 재료, 주기기술이 있고, 건축물과 관련된 사람에 대한 요소로는 이름, 역할, 주기기술이 있다. 이 영역과 해당 요소들은 건축물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건축도면의 성격을 반영한 결과로 생성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이들 요소를 국가기록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일제시기 건축도면에 실제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건축도면 아카이브스의 기술요소는 기록관리 선진국의 국가 표준뿐만 아니라 국제단체의 지침에 근거하였으므로, 국내의 건축도면 기술표준을 선정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건축되고 증축, 개축되는 건축물들이 증가함에 따라 건축도면의 수 또한 증가할 것이므로 건축도면 아카이브스의 적절한 기술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다. 건축도면 아카이브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하여 앞으로 국가기록원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연구와 그에 따른 기술표준 제정 작업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Architectural drawings are the records containing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s, the cultural heritage of humankind. A architectural drawing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is a part of a group record produced by collaboration; it has physical uniqueness; it is mainly expressed with figure information elements according to a certain rule; and its technological and aesthetic values can be assessed. The most important thing required to preserve and utilize such architectural drawings is description. An accurate description helps a user to approach the record conveniently and provides him with the context information, identifying and explaining the content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not yet a standard for the architectural drawing description in Korea. Also,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provides only simple information, not based on any appropriate rules.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s to search or browse the architectural drawings preserved in the archives and for the archivists to provide good service by preparing contents related to the archiv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andardized description elements for the management of architectural drawings. For thi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drawings were studied by a literature survey, in addition to the archives description and its significance. Further, the current status of the architectural drawing management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as investigated and the problems were identified. For the next step, the description elements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that can be used as the description rule application model for architectural drawings.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second edition(RAD2)”, the national archives description standards of Canada, as well as “Manual of Archival Description, third edition(MAD3)” of the United Kingdom, provide separate description elements for special types of records that were selected for the national standards. For the guide for organizations, “A Guide to the Description of Architectural Drawings” of “The Architectural Drawings Advisory Group(ADAG)” and “Foundation for Documents of Architecture(FDA)” and “A Guide to the Archival Care of Architectural Records : 19th-20th” of “International Council on Archives(ICA)” were selected, and their areas and elements were compared with those suggested by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ISAD(G)”. Based on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the description elements required for the architectural drawing management were proposed. The proposed element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nine areas: identity statement area, context area, content and structure area, conditions of access and use area, allied materials area, notes area, and description control area that are suggested by ISAD(G) and two more areas, such as physical description area and building description area. Also, 43 description elements were suggested: five for the identity statement area, four for the context area, eight for the content and structure area, five for the conditions of access and use area, three for the allied materials area, one for the notes area, three for the description control area, five for the physical description area, and nine for the building description area. The details are as follows. The identity statement area consists of the elements that identify the architectural drawings. The reference code, title, date, level of description, Extent and medium of the unit of description were suggested as the elements. The elements of the context area are the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the producer including the name of creator, the administrative/biographical history, the archival history, and immediate source of acquisition or transfer. The storage history and the display information are also included in the archival history, so that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use of the architectural drawings that have aesthetic and technological values is available. The content and structure area is composed of the scope and content, system of arrangement, rules, appraisalㆍdestructionㆍscheduling information, accruals, scale, expression format, and important record information. The rules, scale, expression format, and important record information are the unique elem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drawings. The important record information is the element regarding the important words on the drawings or other data incidental to the drawings. The conditions of access and use area are conditions governing access, conditions governing reproduction, finding aids, location and electronic files. The location element is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name and the location of the archives, as well as the call number. Since it reflects the direc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drawing, the conservation location is very important. The allied materials area consists of elements such as name of collection, the existence and location of copies and the related units of description. Since the original copy of a architectural drawing is usually preserved, the existence and location of copies are also included. The related units of description is includ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drawings as group archives. The notes area includes the general note that does not belong to any other categories. The description control area consists of such elements as the name of the archivist who has described the architectural drawing, the archivist's note, the rules or conventions, and the date of descriptions,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description rules. In the physical description area,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architectural drawing is recorded. This category separates the elements required for the description from the physical properties in the browsing and use condition category. The size of the architectural drawing, material, writing tool, technique and characteristic elements are included in this category. The building description area includes two different kinds of description elements: construction and relevant person. The elemen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are the name, location, building category, date, materials, and description information. The elements related to the relevant person are the name and the role description. This categor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drawing that is in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the constructed building. Finally, these proposed elements were applied to the architectural drawings which are preserved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originate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architectural drawings proposed in this study are based not only on the national standards of advanced archive countries, but also based 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y can be used as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domestic architectural drawing description standards. In this study, the description elements were proposed for the proper description of architectural drawings and their effective management, reflecting their unique features. As the number of buildings being extended and remodeled increases, the number of architectural drawings will also increase. Therefore, greater emphasis should be put on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architectural drawing description.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architectural drawings, an intensive study and the related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s should be carried out with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s the main institution.
본 연구는 연산군을 주인공으로 하는 역사 허구물을 그 대상으로 하여 서사 구조와 그 재현 방식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는 동시대가 지닌 특수한 조건과 시대적 문화적 상황, 주류 이데올로기 등이 반드시 개입 되게 마련인데 대개 이것은 텍스트 속에서 무의식과 같은 방식으로 내재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처럼 다양한 서사 텍스트가 일종의 증후적 성격을 갖고 있다는 가설을 바탕 이 증후적 양상과 그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연산군은 역사적으로 조선의 국가 이데올로기인 유교의 기강을 통째로 뒤흔들어 놓은 절대 폭군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이러한 평가의 근거로 그가 본질적인 사안과 비본질적인 사안을 혼동하며 국정을 운영하는 등 국가 통치 방식에 있어 중대한 판단착오를 일으켰다는 점을 꼽는다. 그런데 연산군이 본질적인 문제와 비본질적인 사안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다고 증명하는 근거들은 전적으로 역사적 기록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그 해석 방식이 정확하고 객관적인 산물이라고 확신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존재한다. 그 이유는 역사 기록 역시 주관적, 자의적 의식을 가진 개인 즉 주관적 사고를 하는 주체가 쓴 구축물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 논리를 좀더 확장시켜 본다면 비단 공식적인 역사 기록뿐만 아니라 역사의 흔적을 바탕으로 하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생산되는 일련의 역사 허구물 역시 역사를 기록하는 텍스트라는 점에서 나름의 역사적 가치를 부여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주목할 만한 점은 이러한 역사 허구물들은 시대의 욕구 혹은 욕망에 따라 그 서사 구조를 변용해가면서 호명(Interpellation)된다는 점이다. 특히 다른 역사적 인물에 비해 빈번하게 재생산되며 서사 텍스트에 등장하는 특정의 역사적 인물의 경우 단지 역사 재현의 대상으로 머무르지 않고 특정한 시대를 은유하며 호명되는 경우들이 많이 있는데 이때 왜 이 시점에 그 역사적 인물을 ‘호명’하는가에 대한 질문은 중요하면서도 근본적이다. 이러한 문제 제기를 바탕으로 역사를 다루고 있는 서사 허구물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서사의 중심은 대개 역사적 사건의 객관적 지식 전달보다 보편적 인간의 내면 또는 심리에 천착하는데 있으며 서술자는 역사적 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균열의 증후들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강하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그런데 흥미로운 지점은 이러한 증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방식으로 주로 역사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보다 문제적 인물 또는 실패한 인물들이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중 가장 빈번히 호명되는 인물이 바로 연산군이라고 할 수 있다. 실패한 군왕, 실패한 인간이라는 수식어를 갖고 있는 연산군인 만큼 그를 다룬 역사 허구물과 그것에 대한 연구 논의에서 다루어진 연산의 심리는 한 가지 기제로 수렴하기 어려울 만큼 복잡하다. 그러나 이 복잡한 심리 중에서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점 개념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연산군의 심리를 근원적으로 이해하는 결정적이면서도 다중의 의미를 아우를 수 있는 개념이다. 연산의 근원적 욕망은 절대적 권위를 가진 ‘원초적 아버지’(Father of the primitive)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원초적 아버지가 되려면 아버지를 죽여야 하는, 다시 말하면 터부를 범함으로써 스스로 터부가 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연산은 금기를 어기고 자신이 새로운 금기가 됨으로써 왕이 되는 것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그런데 이 원초적 아버지라는 욕망 달성에 실패한 연산이 오히려 이러한 실패로 인해 역설적이게도 역사 허구물을 통해 시대를 초월하며 호명 된다. 동시에 연산군의 욕망이 좌절되는 과정은 곧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한 인간에게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데 국가라는 상상의 거대 공간 안에 놓여 있는 개인 역시 때로는 그것이 만들어 놓은 금기를 지킴으로써 때로는 금기를 어기고 터부를 범함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끊임없이 재확인 하며 자신의 삶을 지속시키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연산군이라는 특정한 역사적 인물이 그 시대마다 가지고 있는 특정한 기제에 의해 호명되고 있다는 것에 문제제기를 하고 1936년에 등장한 소설 금삼의 피, 1960년대에 제작된 「연산군」 시리즈, 1987년에 동시 개봉한 「연산군」과 「연산일기」, 그리고 2005년에 제작되어 연산군 역사 허구물에 새로운 획을 그은 「왕의 남자」, 마지막으로 소설과 영화와는 또다른 방식으로 연산군이라는 개인을 새롭게 해석한 희곡 「문제적 인간 연산」과 「이」를 그 분석 텍스트로 삼아 연산군 역사 허구물의 서사 구조에 대해 알아보는 동시에 무의식처럼 내재되어 있는 연산의 욕망이 시대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되고 있는지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또한 국가 존속에 반드시 필요한 정치적, 사회적 질서들은 대부분 역사적 큰 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불가피하게 혹은 의도적으로 이전의 담론과 결별하고 재건을 통해 재정립되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균열은 드러나게 마련이다. 이 균열은 필연적으로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이것은 사회적 병리로 표현되기도 하고 반대로 봉합되어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담론으로 전환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 과정은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한 인간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산군 역사 허구물은 무의식처럼 내재되어 있는 인간의 욕망과 그것을 억압하는 사회적 기제가 충동하며 발생하는 균열과 그것의 흔적을 은유하고 있다는 것이 본고의 결론이다.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도 검증
장윤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전문가 회의와 델파이 조사, 포커스그룹 회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SNPE 기본동작의 주관적 평가도구 평가자용 53문항과 대상자용 24문항의 내용이 도출되었다. 전문가 회의를 통해 평가도구 초안을 개발하고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일부 항목을 수정, 추가나 삭제하여 2차 델파이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안정도, 중앙값, 사분범위, 최빈값을 EXCEL을 통해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자용과 대상자용 평가도구 모두 중요도와 적합도에서 동작별 모든 항목의 평균과 중앙값이 3.0 이상으로 긍정적인 답변이 확인되었다. 또한 안정도가 모든 문항에서 0.5 이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문가 회의와 포커스그룹 회의를 통하여 전문가의 일치된 의견을 이루는 과정을 거쳐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의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숙련자 집단과 비숙련자 집단으로 나누어 SNPE 기본동작을 측정하였으며, 평가는 6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숙련자와 비숙련자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Mann-Whitney U test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및 통계 처리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α = .05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평가자용과 대상자용 평가도구 모두 동작별과 모든 동작 합계의 변별타당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p ˂ .001). 즉,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개발된 평가도구가 숙련자 집단과 비숙련자 집단을 명확하게 분류하는 것으로 나타나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주관적 평가도구는 SNPE 기본동작의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교육현장에서 유용한 지표로 활용하기에 타당성 있는 평가도구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ubjective SNPE assessment in basic exercise. The content validity has been conducted from the expert meeting, Delphi surveys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Four representative postures associated with the basic SNPE exercise have been employed, and a total of 53 items for experts and 24 items for participants have been developed as part of the subjective SNPE assessment in basic exercise. The draft items are derived from the expert meeting, and subsequent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Based on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the second Delphi questionnaire was reconstructed by modifying, adding, or deleting the draft assessment items.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median, inter-quartile range, and mode data of the Delphi surveys were extracted by EXCEL. The investigation confirmed that the average and median values of all items for each exercise were 3.0 or higher in importance and suitability categories for both the experts and participants assessments. In addition, the stability, defined a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satisfied the criteria of 0.5 or less in all assessment items. The content validity was further verified through the process of achieving consensus between experts from the following focus group interview. In order to check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developed subjective SNPE assessment in basic exercise has been utilized to measur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an expert group and a non-expert group. For this experiment, the 6 Likert scale was employ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Mann-Whitney U test were calculated using SPSS 21.0, and the statistical type I error(α) was set at .05. The experiment results in both the experts and participants assessmen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SNPE expert and non-expert groups for each exercise and the sum of all exercises(p ˂ .001). Thus, these results provided the evidence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in the subjective SNPE assessment in basic exercise.
남자고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이야기 그림검사(DAS)의 반응특성 연구
장윤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남자고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에 따른 이야기그림검사(Draw-A-Story: DAS) 반응특성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DAS가 남자고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를 평가하는 도구로써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남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DAS와 정서행동문제 척도(K-YRS)를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답변한 자료 11부가 제외되어 분석에 포함된 자료는 총 184부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정서행동문제 수준에 따른 DAS의 반응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척도의 60T(85%tile) 이상을 상위 집단으로, 40T(15%tile) 이하를 하위 집단으로 분류하여 두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DAS와 정서행동문제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진행하였고, DAS의 자극그림 선택에 따른 정서행동문제와 DAS 반응특성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고등학생의 내재화문제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 및 자아상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외현화문제 수준에 따른 DAS의 정서내용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DAS의 정서내용과 자아상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AS와 정서행동문제 척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DAS의 자극그림 선택에 따라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정서내용, 자아상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칼, 뱀, 공룡과 같은 공격적 자극그림을 선택한 집단은 선택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부정적인 상황이나 관계를 더 많이 표현하였고, 뱀을 선택한 집단은 외현화문제와 비행점수가 높았다. 반면, 면사포를 쓴 여인을 선택한 집단은 정서내용과 자아상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적인 아이를 선택한 집단 또한 정서내용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공격성이 낮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DAS가 남자고등학생의 내재화와 외현화 문제를 평가하고자 할 때 그림검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남자고등학생의 정서행동 문제 개입 및 예방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이용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to prove the applicability of Draw-A-Story(DAS) as an evaluation tool for emotional behavior problem of male high school student, by analysing male high school student s'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of DAS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levels of emotional behaviour problem. For data aquisition, DAS and K-YRS a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of 195 male year 10 students. There is an exclusion of 11 unfaithful responses thus, the final responses acquired are 184. The collected data is analysed by compiling statistics with the program SPSS 19.0,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is conducted to two groups sorted out by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rating scale - 60T and above(85%tile) and 40T and below(15%tile), to find differences of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the levels of emotional behavior problem.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is proceede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DAS and emotional behavior problem,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is conduct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emotional behavior problem and DAS response characteristics resulting from selection of DAS stimulus pictur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internalized problem has shown meaningfully negative correlation on both emotional content and self-portrait, while students with different externalization problem level have shown meaningfully negative correlation on emotional content only. Secondly, emotional content and self-portrait has indicated meaningfully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scale between DAS and emotional behavior problem has shown meaningful correlation. Thirdly,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internal contend and self-portrailt have shown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he choice of stimulus picture. The group who picked aggressive stimulus picture such as knife, snake, volcano and dinosaur has expressed negative situation and negative relationship comparatively more than those who did not pick, and the group who picked snake has scored high on externalization problem and misdeed. On the other hand, the group who picked ‘woman wearing veil’ is shown to be more positive on emotional content and self-portrait, and the ones who picked ‘a child with androgynous appeal’ are also shown to be positive on emotional content and low on aggression. The result is relevant reference to identifying the applicability when assessing male high school students’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with picture examinatio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access to this paper as a basic data for male high school student with emotional behavior problem in interventional and preventive terms.
GC/MS를 이용한 한국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 꽃의 특징적인 향기 성분 분석
장윤미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때죽나무과(Styracaceae) 때죽나무속(Styrax)에 속하는 때죽나무(Styrax japonicus Siebold & Zucc.)는 동아시아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분류군이며, 하버드 대학교 아놀드 수목원의 분기별 저널인 “Arnoldia”는 한국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Styrax japonicus 변종이 120여 종의 Styrax 종 중에서 가장 강인하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이 때죽나무의 꽃은 향취가 우수하고 선호도가 높으나, 때죽나무에 관해서는 국내외 모두 생리 활성 물질 위주로 연구되어 왔고, 휘발성 향기 물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가치가 높은 한국 토종 때죽나무의 꽃 향기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 향기 물질 분석에 적합한 SPME-GC/MS 분석법으로 식물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의 때죽나무 생화(living flower) 향기를 분석하였으며, 생화에서 발향되는 물질로는 검출되지 않더라도 꽃의 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을 향기 성분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하여 헥산(n-hexane)을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통해 때죽나무꽃 앱솔루트(absolute)를 추출한 뒤 앱솔루트에 함유된 휘발성 향기 물질을 SPME-GC/MS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때죽나무 생화의 향기 성분을 SPME fiber에 포집하여 GC/MS 로 분석한 결과, 총 29 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다. 가장 많은 함량이 검출된 monoterpene hydrocarbons는 9종으로 25.62%를 차지하였고, 5종의 alcohols가 14.79%를 구성하여 두 번째로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특히 때죽나무 꽃을 코로 맡았을 때 산뜻하게 느껴지는 향의 가장 중요한 성분은 d-limonene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검출된 29종의 성분 중 가장 많은 함량인 19.4%를 차지한다. 한편, 때죽나무 꽃을 채집하여 용매인 헥산(n-hexane)으로 추출해 얻은 앱솔루트에서 검출된 휘발성 물질은 총 91종 이었다. 가장 많은 함량이 검출된 alcohols는 12종으로 20.07%를 차지하였고, 14종의 esters가 10.81%를 구성하여 두 번째로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생화의 향기 물질과 가장 큰 차이점은 분자량이 큰 sesquiterpene hydrocarbons가 11종(2.72%)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phenyl ethyl alcohol, linalool, geraniol 등의 플로럴 향기 성분이 28.18%를 차지하여 앱솔루트가 생화보다 더욱 풍성한 꽃향기를 나타낸다. 그러나 수율이 낮은 편이므로 때죽나무꽃 앱솔루트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앱솔루트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용매 및 추출 조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추가적으로 선행문헌 중 중국 때죽나무의 경우, 13종의 휘발성 성분만이 검출되었다. 이는 중국 분석의 경우 때죽나무 꽃을 식물에서 분리하여 실험실로 옮겨 왔으므로 그 사이 향기 성분이 휘발되었을 가능성과 SPME Fiber SPEC, 흡착 시간, 온도, 날씨 등 실험 조건이 다른 점을 이유로 들 수 있다. 중국 때죽나무 꽃의 휘발성 성분은 terpenes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분자량이 높은 sesquiterpenes도 검출되었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alpha-pinene, ocimene 함량이 높은 것을 보아 향취적으로 그린, 허브, 파인 우드 뉘앙스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한국 때죽나무 꽃은 나무에서 분리하지 않은 생화를 분석하였고, terpenes를 비롯한 alcohols, aldehydes, esters 등 다양한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분자량이 높은 sesquiterp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시트러스계열 성분의 함량이 중국 꽃에 비해 매우 높은 함량을 차지하여 한국 때죽나무 꽃의 향기가 더욱 산뜻하고 가벼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같은 추출 방법과 동일한 조건을 적용하여 원산지마다 다른 향기의 특징을 정확하게 규명하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원산지별 향취 차이를 더욱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생물학적 가치가 높은 한국 때죽나무 (Styrax japonicus)의 꽃 향기 성분을 동정하여 한국의 자생 식물 향기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자국의 식물 자원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앞으로도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되어 식물 향기 정보에 대한 자산이 더욱 축적되길 기대해 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bullying in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the aspects of bullying.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enhance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bullying in young children.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about the factors of bullying shown up in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2. How about the coping strategies of bullying shown up in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study question for the analysis of picture books,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59 picture books for final analysis through a four-step process. Two co-researchers including myself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both the text and illustration of the picture book were included.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the established bullying-related analysis standards were applied to analyze picture books in the categories of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bullying. The researchers read the entire contents of each picture book and followed the criteria judg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analysis criteria. Regarding the areas where the analysis between the researchers did not agree, discussions were conducted to find an agreement by reading the picture books repeatedly and discussing it together. Finally, th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er. The a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bullying in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and complex facto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ullies’ traits in individual fac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ppeared the most, followed by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finally ‘persona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ctim’s traits in individual factors, ‘appearance characteristics’appeared the most, followed by ‘personality’ and finally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ullies’ traits and the surrounding factors in the complex factors, the bullies’ traits and the peer factors were most often found together, followed by the bullies’ trait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Lastly, the bullies’ traits and the teacher factors appeared together, and the bullies’ traits and the family factors were also fou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ctim’s traits and the surrounding factors in the complex factors, the victim’s traits and the peer factor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the victim’s traits an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the victim’s traits and peers factors and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ppeared together. Next, the victim’s traits and peers factors and the teacher factors appeared together. Finally, the victim’s traits and teacher factors appeared together, and the victim’s traits and the family factors appeared together. Second, the coping strategies of bullying shown in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types: the bullies and the victims. The coping strategies used by the bullies to resolve bullying problems on their own were ‘reflection’ and ‘apology and ask for forgiveness’. The coping strategies of victim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solving problems with the help of bystanders’, ‘solving problems alone’, and ‘solving problems with help from bystanders’. First of all, in ‘solving problems by bystanders’, there were two types of bystanders: peers and adults. Both peers and adults bystanders showed the most‘support the victim’, followed by‘opposition to bullies’, 'scolding bullies' appeared. Next, in 'solving problems alone', the most frequently used coping strategies were‘showing one’s own strength’ and ‘face with courage’, along with coping strategies such as ‘getting positive mind’and‘helping bullies or being kind to bullies’. Lastly, in ‘solving problems by bystanders’, the most common way of solving bullying was that both peers and adults bystanders‘support the victims’.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provide basic data for selecting and using picture books as educational media for preventing and coping with bullying through analysis of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bullying in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Also it can be meaningful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publishing a picture book about bullying in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학교폭력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학교폭력의 발생 요인과 학교폭력의 대처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 학교폭력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에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학교폭력 요인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학교폭력 대처방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따른 그림책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4단계의 과정을 거쳐 최종 분석대상 그림책 총 59권을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본 연구자를 포함 한 공동 연구자 2인이 참여하였고 분석 시 분석대상 그림책의 글 텍스트와 그림 텍스트에 나타난 내용 모두를 포함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설정된 학교폭력 관련 분석기준을 적용하여 학교폭력 요인, 대처방식 범주로 그림책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들은 각각 연구대상 그림책의 전체 내용을 읽고 분석 기준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기준에 따랐으며, 연구자들 간 분석이 일치하지 않는 부분에 관해서는 해당되는 작품을 반복하여 읽고 함께 토론함으로써 합의점을 찾기 위해 협의를 진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을 통해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학교폭력 요인은 개인요인과 복합적 요인 두 가지로 구분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개인요인에서 가해유아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행동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외모· 외형 특징’이 마지막으로 가해유아의 ‘성격 특징’이 나타났다. 개인요인에서 피해유아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외모· 외형 특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성격 특징’ 마지막으로 피해유아의 ‘행동 특징’이 나타났다. 복합적 요인에서 가해유아와 주변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해유아의 특징과 또래요인이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해유아의 특징과 사회·문화적 요인이 동반하여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해유아의 특징과 교사요인과 동반하여 나타난 경우와 가해유아의 특징과 가정요인이 동반하여 나타났다. 복합적 요인에서 피해유아와 주변요인을 분석한 결과 피해유아의 특징과 또래요인이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피해유아의 특징과 사회·문화적 요인이 동반하여 나타난 경우와 피해유아의 특징과 또래, 사회·문화적 요인이 동반하여 나타났다. 이어서 피해유아의 특징과 또래, 교사 요인이 동반하여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피해유아의 특징과 교사요인이 동반하여 나타난 경우와 피해유아의 특징과 가정요인이 동반하여 나타났다. 둘째,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학교폭력 대처방식은 가해유아의 대처방식과 피해유아의 대처방식 두 가지로 구분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가해유아가 스스로 학교폭력을 해결하는 데 사용한 대처방식으로는 ‘반성하기’와 ‘사과하고 용서구하기’ 두 가지가 나타났다. 피해유아의 대처방식은 ‘주변인의 조력으로 문제 해결’, ‘스스로 문제 해결’, ‘주변인의 도움으로 문제해결’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우선 ‘주변인의 조력으로 문제 해결’에서 주변인은 또래주변인과 성인주변인 두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또래, 성인주변인 모두 ‘피해유아를 지지해 주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가해유아에게 대항하기’, ‘가해유아를 혼내기’ 등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스스로 문제 해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대처방식은 ‘강점 발휘하기’와 ‘당당하게 대항하기’였으며 이 두 가지 방식과 함께 ‘긍정적인 마음 갖기’, ‘친절 및 도움주기’와 같은 대처방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변인의 도움으로 문제해결’ 에서는 또래, 성인주변인 모두가 ‘피해유아를 지지해 주기’ 대처방식으로 학교폭력을 해결하는 모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를 위한 그림책에 나타난 학교폭력의 요인과 대처방식 분석을 통해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처를 위한 교육매체로서 그림책을 선정하고 활용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유아 학교폭력을 소재로 한 그림책을 기획하고 출판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제공했다는데 의미를 둘 수 있다.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도로사업 우선순위 결정모형 개발
장윤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국내석사
도로 부문의 사업우선순위 선정은 정책적으로 민감한 문제이며, 대규모의 자원을 투자하고 있어 합리적인 방법을 통해 시행되어야 한다. 현제 사업들간의 우선순위 조정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는 보고서로는 「투자심사편람-수송부문」, 「SOC 종합투자 조정계획의 수립」이 있으며, 「SOC 종합투자 조정계획의 수립」보고서를 통하여 보다 자세히 그 선정절차를 알 수 있다. 그러나 표준을 제시하고 있는「SOC 종합투자 조정 계획의 수립」보고서의 경우, 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할 때 미처 고려하지 못하는 부분들이 있다. 첫째, 경제성 분석의 경우 편익을 산정할 때 사업들 간의 순서종속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순서 종속성이란 사업들의 순서에 따라 총 편익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매번 새로운 사업을 실시할 때마다 네트워크의 기하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또한 사업들을 선정할 때 목표기간동안의 계획예산을 먼저 고려하여 예산에 맞는 사업들을 선택해야 한다. 현재는 사업들의 편익을 산정한 이후 예산의 범위 안에서 높은 편익을 제공하는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업우선순위를 선정할 때 효율성평가 항목에서 순서종속성을 고려하고, 예산제약을 포함하도록 하여 보다 정확한 사업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해 집단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의 우선순위를 산정할 때 각 사업들 간의 순서 종속성을 고려하면, 도로시설 이용자들의 행태를 보다 정확히 반영할 수 있다. 4개 사업을 수행하는 가상의 네트워크에서 편익이 큰 사업을 순서대로 수행을 할 때, 병목현상이 발생하도록 하였다. 이때 편익 계산 시 순서 종속성을 고려한 방법에서는 병목현상에서 오는 편익의 감소를 반영하여 또 다른 최적의 사업순서조합을 도출 하였다. 즉, 총 편익 계산 시 단일 사업만의 효과를 측정하지 않고, 다른 사업의 실시로 인한 영향을 고려하도록 하여 네트워크에서의 이용자들의 행태를 편익계산에서 보다 정확히 반영하였다. 둘째, 예산 및 사업기간에 제약조건을 주어 사업순서조합을 선택 하도록 하였을 때 기존 방법과 다른 사업조합이 나왔다. 도로 사업의 편익 산정 및 선택(selection)의 문제에서는 반드시 예산제약을 고려해야 하며, 이 때 예산 및 사업기간의 제약은 사업들 간의 편익을 계산할 때 고려해야 한다. 국가 재정규모를 만족시키는 사업순서를 찾는 방법이 다음연도 사업 계획을 세울 때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셋째, 유전 알고리즘으로 최적 사업순서를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 찾아내었다. 4개의 사업대안의 경우 나올 수 있는 해집합의 개수는 총 64가지로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 시 최적 해는 4세대만에 찾아졌다. 각 모형마다 적절한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적절한 종료시점을 파악하면 유전알고리즘의 수행능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모형에 대하여 여러 번의 실험이 필요하다. Because road part's priority order choice is sensitive problem as political and is investing large-scale resource, it must be conducted through reasonable method. There is 「Investment Examination Handbook」, 「Establishment of SOC Synthesis Investment Control Plan」by report that is presenting standard of priority order control between accommodation ladder businesses, and can know the choice formality more in detail through 「Establishment of SOC Synthesis Investment Control Plan」 report. But, when we choose priority order of business in occasion of 「Establishment of SOC Synthesis Investment Control Plan」 report that is presenting standard, there are segments that do not consider in advance. First, evaluation by economic analysis, do not consider order dependence between businesses Order. Order dependence means that total convenience changes according to order of businesses, and because this alters geometric structure of network whenever execute new business every time, is looked phenomenon. Also, when choosing businesses, we must select achievements that is correct for budget considering first plan budget during target period. At present, we are choosing priority order in order that provide high benefit inside extent of budget after calculate benefit of businesses present. Presented model that can choose exacter business priority order consider order dependence in efficiency estimation article, and does so that include budget restriction. Also, using Genetic algorithm, it is able to find solution more quicklyIs as following if synthesize study finding. First, if we consider order dependence between each businesses when we calculate priority order of business, we can reflect more correctly behavior of road facilities users. In toy network which achieve 4 business, if we make roads according to quantity of benefit sequentially, it is happened to be bottle-neck. When I considered order dependence, I could make another optimum business order because of considering reduction of benefits from bottle-neck. Because I considered effects by other business without measuring effect of only single business, I could reflect more correctly behavior of users in network. Second, when I selected business order collating giving constraint in budget and business period, I could find other business order collating in contrary with existing method. We must consider budget restriction certainly in project evaluation and selection, and should consider it when we calculate benefits of businesses. When we lay plan of operation next year, method that find business order that satisfy country fiscal scale may be more efficient. Third, I found optimal solution quickly using genetic algorithm. In the case of the 4 business alternatives, there is 64 number of sulution set. I could find optimal solution in only 4 generation. It could improve performance efficiency to establish control parameter that is suitable in each model and grasp well-timed end point of time. It needs experiment of several times about each model for this.
한국 성인에서 심야 타액코르티솔치와 대사증후군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배경 : 대사증후군과 쿠싱증후군은 복부비만, 당조절 장애와 인슐린 저항성, 고혈압, 지질이상 등의 공통적인 이상을 가지는데 이런 공통점은 대사증후군의 발병기전에 코르티솔의 증가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심야 타액코르티솔은 측정이 간편하며 혈장e유리 코르티솔치를 잘 반영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심야 타액코르티솔을 사용하여 한국 성인에서 대사증후군과 심야 타액코르티솔치와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방법: 2008년 8월부터 2009년 8월까지 건국대학교 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내원한 총 46명의 대상자가 포함되었으며 연령은 20세에서 67세에 걸쳐 분포하였다. 심야 타액코르티솔과 대사증후군의 각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또 대사증후군이 있는 군과 대사증후군이 없는 군에서 타액코르티솔치의 평균을 비교하고 타액코르티솔치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및 대사증후군 자체의 비교위험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대사증후군이 있는 환자에서 심야 타액코르티솔치는 70 ± 42.4 ng/dL (n=12) 로 대사증후군이 없는 군의 40.4 ± 31.7 ng/dL (n=34)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P<0.05). 심야 타액코르티솔 농도가 높을수록 대사증후군의 비교위험도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심야 타액코르티솔이 100 ng/dL 이상인 군에서 50 ng/dL 이하인 군에서보다 유의한 비교위험도의 증가가 있었다 (odds ratio: 6, confidence interval: 1.8-44.3, P<0.05). 그리고 심야 타액코르티솔치는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중 복부둘레 (r=0.21, P<0.05), 공복혈당 (r=0.21, P<0.05), HOMA-IR (r=0.17, P<0.05)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고코르티솔증이 대사증후군과 연관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심야 타액코르티솔의 측정이 대사증후군 발생예측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가능성 및 고코르티솔증의 조절을 통한 대사증후군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
자기결정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학 학습이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장윤미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athematics learning base on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and self-determination abiliti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pecial class. The study subjects were 3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in a special class of B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Their Intelligence Quotient was below and over 50, their Social Maturity(SQ) was average 60.8 and their counting abilities was the level of 5 year-old children according to the KEDI-Individual Basic Learning skills test results. As an intervention tool,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Wehmeyer et al., 2000) which was restructur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was used. The intervention phases applying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 of Instruction' were goal setting(phase1), task performance(phase2), the review of the goal attainment(phase3) and the maintenance and modification of the goal(phase4) and the questions were simplified in order th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uld easily underst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mathematics achievement', the form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in the phase 3 of every intervention and when the score was more than 70 for 2 consecutive sessions, progress evaluation was performed before the start of the next session. Thus, to verify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collected through 'Mathematics Progress Evaluation' and the intervention of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on 'self-determination abilities', the questionnaire of 'self-determination ability', which Kim(2005) made by modifying Wehmeyer's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 was used. The test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sub-categories of self-determination abilitie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mathematics achievement. The average baseline was 8.75, which was very low. However, the average after intervention was 55.95, which was improved by 47.2 compared to the baseline, and the average maintenance was 68.75, which was improved by 60. Thus the mathematics achievement was improved and the score was maintained comparatively steadily. Secondly,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elf-determination abilities. The 3 students showed quantitative improvement. Consequently, it showed that applying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as well as other programs in the school hou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uld improve achievement and self-determination abilities and make it easier to acc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급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자기결정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학 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기결정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학 학습을 실시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의 B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들의 지능지수(IQ)는 50 전·후, 사회성숙도(SQ)는 평균 60.8이며, 기초학습기능검사 셈하기 영역은 5세 수준이다. 중재 도구로는 Wehmeyer 등(2000)이 제시한 자기결정 학습모형(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을 기초로 이를 연구자가 연구대상에 맞게 재구성, 수정하였다. '자기결정 학습모형'을 적용한 본 연구의 중재단계는 1단계 목표설정, 2단계 과제수행, 3단계 목표 성취 여부 확인, 4단계 목표의 유지 및 수정으로 하였고, 지적장애 학생들이 쉽게 수용할 수 있도록 각 질문을 단순화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가 종속변인인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매 중재 3단계에서 5문항의 형성평가를 실시하였고, 2회기 연속으로 70점 이상일 경우, 다음 회기 중재 시작 전에 진전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처럼 ‘수학 진전도 평가’를 통해 수집된 자료와 ‘자기결정 학습모형’ 중재의 기능적 관계를 증명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가 두 번째 종속변인인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결정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Wehmeyer(1995)의 The Arc's Self-Determination Scale을 김윤경(2005)이 수정한 척도로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에게 사전-사후로 실시하였고, 자기결정능력의 하위 영역별로 기술 통계 처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학 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학생의 기초선 평균은 8.75점으로 매우 낮은 성취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중재 평균은 55.95점으로 47.2점 향상되었고, 유지는 평균 68.75점으로 기초선에 비해 60점을 얻어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고, 비교적 안정적으로 점수를 유지하였다. 둘째, 자기결정 학습모형을 적용한 수학 학습이 자기결정능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학생 모두 양적 향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여타 프로그램 뿐 아니라 자기결정 학습모형을 교과 시간에 융통성 있게 적용하여 교수하는 것은 학업성취와 자기결정능력을 모두 신장시킬 수 있으며,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