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감마나이프 수술 환자의 정위적 틀 고정을 위한 침윤 마취 시 통증 완화 중재의 효과
The infiltration anesthesia right before the stereotactic frame fixation for Gamma Knife Surgery causes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ects of three interventions on pa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patients who were about to get Gamma knife surgeries. The three interventions were EMLA cream plus vapocoolant spray (Vasocoolant thereafter, n=26), EMLA cream plus 10% Lidocaine spray (Lidocaine thereafter, n=23), and EMLA cream only (EMLA thereafter, n=25) from a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in J City, South Korea. The study utilized the equivalent control-group posttest design. Pain was assessed in both subjectively (numeric rating scale) and objectively (Galvanic Skin Response tester). Subjective pain was assessed twice -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and after removing the screws - and objective pain was assessed during the infiltration anesthesia.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assess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3 to December 31, 2016 and analyzed with SPSS 18.0 using frequency, percentage, χ²-test, Fisher’s exact test, ANOVA, and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bjective pain scor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from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 (F=14.79, p<.001). 2. The objective pain scores during the infiltration anesthesia from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cores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 (F=15.34, p<.001). 3. The subjective pain scores after removing the screw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of Vapocoolant, Lidocaine, and EMLA (F=2.10, p=.144). 4. The systolic blood pressur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procedure in three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s of systolic blood pressures in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s (F=5.63, p=.005). 5. The diastolic blood pressur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procedure in three groups, too. However, the differences of diastolic blood pressures in three groups were similar (F=3.08, p=.052). 6. The heart rates after the infiltration anesthesia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procedure in three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s of heart rates in Vapocoolant group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from both Lidocaine and EMLA groups (F=6.42, p=.003). In conclusion,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to relieve pain and to lower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changes due to the infiltration anesthesia for stereotactic frame fixation was EMLA cream plus vapocoolant spray. Thu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apply vapocoolant spray in addition to EMLA cream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under Gamma knife surgeries.
장영준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노아의 시대를 살펴 보면, 타락한 인류는 하나님 앞에서 스스로 온전히 설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그들의 타락은 하나님 보시기에 한탄하며 근심하실 정도로 심각한 것이었다. 하나님께서는 그러한 그들을 진노 가운데, 홍수로 심판하신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진노 가운데서도 긍휼을 잃지 않으신다. 창조주 하나님께서는 타락한 인류에게 긍휼을 베푸시고, 구원의 은혜를 더하여 주셔서, 노아와 그의 가족을 통하여 타락의 끝에 있는 멸망과 심판의 상황 가운데서 희망을 이어가시는 것이다. 그리고 노아와 언약을 맺으시며, 하나님께서는 인내와 용서의 긍휼을 인류에게 보여주신다. 그 언약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심판의 진노는 짧으나 하나님의 은혜와 긍휼은 영원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노아 언약이 유다 멸망을 앞에 두고 있는 예레미야에게 전해진다. 그는 조국의 멸망을 목전에 두고, 심판의 하나님을 마주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시야는 심판을 통한 유다의 끝을 향하여 있지 않다. 다윗의 씨로 말미암은 새언약을 통한 새 시대를 향하고 있다.
소 태아 혈청 유래 엑소좀을 활용한 약물 전달 시스템 개발
아스타잔틴 (AST)은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증 특성을 가진 xanthophyll 그룹의 carotenoid이다. 그러나 불안정한 구조로 인해 안정성이 떨어지고 생물학적 가용성이 떨어져 식품 및 의료 산업에 적용이 제한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스타잔틴을 소 태아 혈청 유래 엑소좀 (FBS-Exo)에 loading하여 안정성과 생물학적 효능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우리는 소수성 AST를 엑소좀에 loading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검증된 saponin-assisted incubation 방법을 사용했다. 엑소좀의 인지질 이중층 막이 보호하는 환경을 제공함에 따라 AST-incorporated 엑소좀 (Exo-AST)은 28일 동안 4℃, 25℃, 37℃에서 80%의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Exo-AST는 HaCaT keratinocyte 세포와 RAW 264.7 대식세포에서 각각 free AST (F-AST) 대비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 방식에 관여하는 특이적인 유전자의 발현 또한 세포 분석과 병행하여 분석되었다. 유전자 발현에서의 차이가 Exo-AST의 향상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에 반영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는 엑소좀 기반 약물 전달 시스템의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Astaxanthin (AST) is a carotenoid of the xanthophyll group with potent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However, its poor stability and bioavailability due to its unstable structure limit application in food and medical industry. In this study, we incorporated AST into fetal bovine serum-derived exosome (FBS-Exo) for the enhanced stability and biological efficacy. We used the saponin-assisted incubation method which was verified to be the most efficient for the encapsulation of hydrophobic AST into exosomes. As phospholipid bilayer membrane of exosome provides the protective environment, AST-incorporated exosome (Exo-AST) maintained 80 % stability consistently at 4 ℃, 25 ℃, and 37 ℃ over a 28-day period. Moreover, Exo-AST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HaCaT keratinocyte and RAW 264.7 macrophage cells,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Free-AST (F-AST). The expression of genes specific to the mode of action in anti-oxidation and anti-inflammation was also analyzed in parallel with cellular assays.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of genetic expression reflects on the enhanced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o-AST. The results observ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xosome-based drug delivery system with improved performance.
설계단계에서 건축설비분야에 대한 건설사업관리자(CMr)의 필요지식체계 및 수준에 관한 연구
장영준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현재 건축물에게 요구되는 기능이 증가됨에 따라 건축물의 기능을 담당하는 건축설비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건설프로젝트를 담당하는 건설사업관리자(이하 CMr)는 건축설비에 관한 필요지식을 갖추어야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는 건축설비기술자와 CMr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건축설비기술자를 대상으로 건설프로젝트에서 CMr에게 요구하는 건축설비의 지식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CMr을 대상으로 현재 인지하고 있는 건축설비분야의 지식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설문의 결과는 건축설비기술자가 요구하는 설비분야 지식수준은 현재 CMr의 갖추고 있는 설비분야 지식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하면 현재 건설프로젝트에서 CMr이 건축설비에 관한 관리 역량이 부족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CMr은 건축설비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설비관련 필요지식을 갖춘다면 보다 효율적인 건설프로젝트의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네트워크 포렌식의 법적 성격에 따른 분류와 전기통신 감청의 적법절차 및 증거능력 확보방안에 대한 연구
네트워크 포렌식은 그 방식이 다양함에도 통상적으로 법적 성격이 감청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포렌식의 구체적 방식에 따라서 그 법적성격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그래야 법적 성격에 따른 적법한 형사 절차가 취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네트워크 포렌식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적법 절차 확보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패킷의 구조와 포렌식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각 분류별로 어느 경우에 그 법적 성격이 감청에 해당하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 학설, 판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각 분류별로 감청에 해당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였다. 또한 각 분류별로 수사기관에서 통신비밀보호법상 통신제한조치를 하여야 하는지, 형사소송법상 압수수색 절차를 취하여야 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분류별로 적법하게 법정에 증거로 현출 될 수 있도록 증거능력을 갖추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집된 패킷의 진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국가기관 감청설비 제작에 암호화 칩을 이용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상용게임기를 이용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 환경 구성 연구
본 논문은 기존의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 환경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자 닌텐도 DS와 같은 상용 게임기를 이용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 환경 구성에 대해 소개한다. 연구에서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실습 환경이 갖추어야 할 여러 가지 요소들을 상용 게임기의 게임팩과 같은 형태로 개발, 설치한 뒤 게임기로의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실행, 원격 디버깅이 가능하게 하는 게임기용 소프트웨어와 개발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프로젝트 관리, 소스 프로그램 편집, 컴파일, 다운로드 및 원격 디버깅을 통합 처리하는 통합 개발 환경을 개발함으로서 기존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 환경보다 좀 더 낮은 비용으로 현실감 있고, 품질이 높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 환경을 제공한다.
자연대류 조건에서의 수직튜브 외벽 응축열전달에 대한 실험 및 해석 연구
In the nuclear power industry, the importance of heat transfer by steam condensation has been emphasized more since the Fukushima accident and the earthquake in the Gyeong-ju, recently. Especially, development research of Passive Containment Cooling System (PCCS) that maintains the integrity of containment buildings centering on power generation companies is actively underway. The PCCS consisted of a heat exchanger consisting of a vertical tube bundle and a cooling water tank. A passive containment cooling tank was installed outside of the containment and heat exchangers were installed inside of the containment. The heat source such as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containment is condensed on the heat exchanger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containment. Therefore, PCCS is a passive safety system to remove the energy released to containment by using condensation heat transfer in case of the accident such as Loss of Coolant Accident (LOCA) or Main Steam Line Break (MSLB) and to guarantee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containment.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heat removal performance of PCCS,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outer diameter and heat transfer area of the condenser tube was studied.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 new empirical correlation that could reflect the geometric change of the condensation tube was proposed and verification process was performed. The proposed correlation is applied to MARS-KS and compared with the Colburn-Hougen model. Finally, to evaluate the heat removal performance of the PCCS installed in the containment, the containment, and the PCCS were simulated and analyzed by using MARS-KS with the proposed correlation. There are three main points conducting the experiments. The first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steam-air stratification inside of the test section. For this purpose, the temperature of the gas mixture is measured in the axial and radial direction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s uniform. The second was the control of the condenser tube wall temperature. By circulating the coolant in the tube at high speed, the axial variation of the wall temperature was kept as small as possible. It makes the uniform temperature over the effective heat transfer length, and to minimize measurement errors that results from significant axial variation of wall temperatures. Third, we tried to control the wall subcooling. In the previous experiments, wall subcooling was recognized as a main variable for condensation heat transfer. However, since the influence of this parameter was not well understood, the wall temperature was controlled by using coolant. Based on the results, the trend of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is same as those of previous work.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pressure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air mass fraction. The effect of wall subcooling showed that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tended to decrease as wall subcooling increased. The variation of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using the condenser tube with different outer diameter in similar conditions was also confirmed, but the variation of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independent of air mass fraction. Therefore, further experiments and analyses will be necessary for this part by using another condenser tub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a new empirical correlation that could reflect the effects of pressure, air mass fraction, wall subcooling and outer diameter was derived and verification was performed. In the case of the finned tub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effective heat transfer area by the fin. It was found that this was due to the geometrical effect of the annular pin. The applicability of the PCCS to the annular finned tube was also evaluated. To verify the model of Colburn-Hougen, the condensation experiment facility in Jeju National University(JNU) was simulated by using MARS-KS with the proposed correlation. The JNU nodalization was designed to reflect the natural convection flow which may occur in the test chamber. In the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nalytical results using the proposed correlations are well predicted compared with the existing results. From the results, to evaluate the realistic heat removal performance of PCCS and thermal-hydraulic analysis, the actual containment with the PCCS were simulated and analyzed by using MARS-KS with proposed correlation. The condensation experiment database and the safety analysis of the containment with the PCCS from this study are very useful value. Also, the proposed correlation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pplied positively in various fields because it reflects the various condition of steam-air mixture and the various outer diameter of condenser tub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ntainment could also be applied to the present PCCS research and development.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이용한 BCSN 액정 모드의 메모리 유지 시간 향상에 관한 연구
현재의 액정 디스플레이 (LCD)는 구동방식에 따라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다이나믹 (dynamic) 모드와 쌍안정 특성을 이용한 메모리 (memory)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이나믹 모드는 하나의 안정된 액정 배향 상태에서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 정렬 방향이 바뀌게 되고 인가된 전압이 제거되면 다시 초기의 액정 정렬 상태로 돌아오는 구동 방식이다. 이러한 액정 정렬 상태의 전압에 의한 변화를 이용하여 적합한 광학 설계를 통해 밝음/어둠 상태를 조절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다이나믹 모드 구동은 현재 대부분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방식이며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이 현재의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로 만든 계기라 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안정된 액정 배열 상태를 이용한 메모리 모드는 한번 정보를 표시하면 표시된 정보가 영구적으로 유지되어 소비전력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책 (e-book)이나 개인휴대단말기 (PDA)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저소비전력을 바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그린 테크놀로지를 추구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적용에 유리한 기술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기술로 듀얼 모드 bistable chiral splay nematic (BCSN) 액정 디스플레이가 있다. BCSN 액정 디스플레이는 스플레이 셀을 이용하여 빠른 응답속도 특성을 가지는 디이나믹 모드와 쌍안정 특성을 이용한 모드 저소비전력의 메모리 모드를 동시에 구현 가능한 액정 모드이다. 본 논문에서는 듀얼 (dual) 모드 BCSN 액정 디스플레이의 저 소비전력 특성 극대화를 위한 메모리 유지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BCSN 액정 디스플레이의 메모리 모드 유지 성능은, 셀갭을 고려한 액정의 카이럴 특성, 표면 고정에너지, 액정의 탄성계수 등의 파라미터에 대한 제한을 받는다.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만족시킴으로써 메모리 특성을 향상 시키게 될 경우 다이나믹 모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메모리 모드 유지 성능을 위한 파라미터 제한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다이나믹 모드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해 BCSN 액정에 광중합성 단분자를 혼합하여 액정 시편에 주입한 뒤 180°트위스트 액정 정렬 상태에서 자외선 공정을 진행하여 고분자 네트워크를 형성 하였다. 형성된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에 의해 파라미터의 제한 없이 스플레이 상태로의 상전이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영구적인 메모리 유지 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술은 향후 에너지 절약형 차세대 표시장치로써의 적용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며 신문 등의 종이 매체를 대신할 수 있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