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컴퓨터 교과에서 ICT를 활용한 Web 기반 교수-학습시스템의 개발 및 분석

        장성진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학교 컴퓨터 교과의 ICT활용교육에 대한 연구는 각종 멀티미디어나 Web 기반 교수-학습매체들의 개발을 강조하였으나 실질적인 활용방안과 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교육에 필요한 Web 기반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ICT활용교육에 적절한 교수-학습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시행된 ICT활용교육에 대한 중학교 컴퓨터교과의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컨텐츠들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에 필요한 문제해결학습과 Web 기반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컴퓨터 교과에서 나모 웹에디터를 활용하여 홈페이지 제작 단원을 학습할 수 있도록 Web 기반 교수-학습매체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매체를 중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현재 교수-학습방식인 강의법·시범실습 방법의 비교집단과 ICT를 활용한 Web 기반 교수-학습방식의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4차시에 걸쳐 수업에 적용하였을 경우 학습자의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적용·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학생들의 ICT활용교육을 위한 컴퓨터 환경조사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펜티엄급 컴퓨터를 소지하고 있었으며, 컴퓨터 활용능력은 컴퓨터·인터넷에 익숙하고 보통 이상의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Web 기반 교수-학습을 진행하기에 충분한 실력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를 Bloom의 교육목표별 분류학의 인지적 영역에 따라 비교해 보면 지식, 적용 영역에서 비교집단보다 실험집단이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으며 이해 영역의 경우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영역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볼 때, p-값이 0.001로 유의수준 0.05에서 기각되므로 강의법·시범실습방식의 교수-학습방식(비교집단)보다 Web 기반의 교수-학습매체를 활용한 교수-학습방식(실험집단)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ICT활용 Web 기반 교수-학습시스템의 학습효과 및 흥미도 조사에서 컴퓨터 교과의 흥미가 생겼으며 평소 수업에 비해 이해하기 쉬웠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교사는 학생들이 학습의 방법 및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인도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학생들의 사고의 폭을 넓혀 창의적 사고를 도와야 할 것이다. 또한, ICT활용수업을 실현해보려는 교사의 의지와 보다 전문적인 컴퓨터 교육과 기존의 교육컨텐츠들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교사가 직접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이 학생들에게는 더욱 효과적인 학습이 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의 촉진을 위하여 가장 우선적으로 컴퓨터 환경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ICT활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매체를 개발하여 장기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문제점을 수정·보완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Even though the use of ICT, including all sorts of multimedia and the Web, is increasingly being stressed in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few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specific ways of utilizing it or its effect on student learning.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practical and authentic Web-based instructional model and system suitable for ICT-in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which way ICT-based computer education had been offered since its introduction in 2001, to present models for problem-solving learning and Web-based instruction, to construct a Web-based instructional medium, and finally to determine its effect on learner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8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latter group took four lessons of existing style, which relied on lecture method, demonstration and practice, and the former was exposed to four Web-based classes. And then their satisfaction level and achievement were tes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concerning computer-related environment, most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were in possession of pentium computers. They were familiar with computer and the Internet, and their computer literacy was above the average. This indicated that they were fully able to soak up Web-based instructions. Second, when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in cognitive domain, the experimental group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in knowledge and application areas, and no gap existed between them in comprehension. Over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p=0.001), and this fact implied that the Web-based instruction gave a better impact on boosting the achie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existing one di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ing effect of the Web-based instructional system and its influence on learning interest, the experimental group came to have interest in computer class and found it easier to underst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play as role to provide students with a variety of learning methods and experience and enrich their thinking power and creativity. They are required to take advantage of ICT and existing online educational contents in person to offer more professional computer education. To facilitate various typ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t's most urgently necessary to enhance computer education setting, and ICT-in instructional media should be prepared and applied on a long-term basis to remedy current problems with computer education and increase learning effectiveness.

      • 북한군 군사교리의 형성과 운용에 관한 연구, 1945~1950

        장성진 북한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on the Korean Peoples Army(KPA)'s history and conduct of warfare in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However, the studies on the KPA military doctrine, the key element of architecture and operation of military power, are insufficien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show how the military doctrine was formed and operated in the beginning of the Korean War. For this purpose, ground forces field manual(FM) and major combat training and battles after liberation from Japan were analyzed. The Soviet Union used strong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KPA military doctrine through its military policy, Joseph Stalin's ideas, the Soviet Union's Advisors, weapons system, and so on. The KPA's military organization, weapons system, operations plans and cooperation doctrines were the masterpieces of Soviet Union. On the top of these, anti-Japanese sentiment and military struggle of Kim Il Sung, party-army relations, and Chosun-Manchurian troops also had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doctrine. Based on these historical backgrounds, the KPA military doctrine was constructed based on two main objectives :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superiority’ and ‘the strategic and tactical superiority’. In the beginning, the KPA military doctrine was developed from educating officers. The KPA sought to gain ‘political and ideological superiority’ by carrying out ideology education and ‘strategic and tactical superiority’ by executing combat training. Consequently, their tactical echelons of commanders and soldiers were well-trained. Those education of the officers in the high level, however, were not offered. The absence of education on the strategic level led to the failure on the conduct of war. Accepting the Soviet Union's military doctrine, the KPA tried to achieve ‘strategic and tactical superiority’ through annihilation and mobility warfares. To achieve ‘strategic and tactical superiority’, they pointed out patrol, tempo, concentration, combined arms(CA), and various shaping operations on the infantry and armor doctrine. Taking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consideration, river-crossing operations in the doctrine also contained 'combined-arms' character.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superiority’ pursed mixed combat with patrol and irregular warfare doctrines. By analyzing studies of major battles in the Korean war, we could find the use and the limit of the KPA military doctrine. In the early days of outbreak of war(6.25∼6.29), the KPA military doctrine, established in the period of building military power, was useful on the tactical side. KPA's victories at the battles of Dong-DuCheon, O-san and Dae-Jeon had proved usefulness of the doctrine. The KPA conducted operations with ‘combined arms and cooperation’ and ‘infiltration’. However, the KPA couldn't achieve their first strategic objective, ‘annihilation of the main forces of ROK Army’,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point of view on strategy between Soviets and North Korean, the deficiency of commander's command ability, discordance of ‘Auftragstakit’ and methodical warfare, and disharmony between mobility warfare and annihilation warfare. They devised the new doctrine, ‘depth-mobility warfare’, which was based upon the Soviet Union military doctrine, while not resolving the problems caused from the 1st operations. However, Kim Il Sung's ‘Juche’ tactics and political superiority emphasizing the spiritual strength could not overcome many limitations such as geographical features, organization, insufficient weapons, and combat service support and UN air supremacy. After all, the North Korea could not convert the tactical victory into strategical victory. As for the beginning, the characters of the KPA military doctrine continually had been reflected on military strategies and policies. And no matter how many changes were made throughout the time aftermath, the two main objectives will be pursued continually. 창설기 북한군의 역사와 한국전쟁 초기 북한의 전쟁수행에 대한 다양한 연구과제 중 군사력 건설 및 운용의 핵심인 군사교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창설기 북한군 군사교리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한국전쟁 초기 어떻게 운용되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 한국전쟁 초기 작전의 지상군 군사교리에 대한 교범, 훈련, 전례를 분석하였다. 북한군 군사교리 형성의 핵심 요소는 소련의 군사정책, 스탈린의 영향력, 소련고문단과 무기체계 등 소련의 영향력이었다. 북한의 편제, 장비, 작전계획 및 제병협동교리 등 모두 소련의 작품이었다. 이외에도 한반도 역사의 특징인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당-군관계, 그리고 만주 조선인 입북 부대도 교리 형성에 영향을 끼쳤다. 이와 같은 역사적 배경 속에 형성된 북한군 군사교리의 특징은 ‘정치사상적 우세’와 ‘전략전술적 우세’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군사교리는 간부교육을 시작으로 정치훈련으로는 ‘정치사상적 우세’를, 전투훈련으로는 ‘전략전술적 우세’를 추구하는 군사력을 건설하였다. 그 결과, 전술적 제대 지휘관 및 병사들의 전투수행방법과 사기를 고양시켰지만, 작전술 이상 제대의 간부교육은 미흡하거나 정치화됨에 따라 한국전쟁시 작전술 및 전쟁지도 미숙으로 이어졌다. 소련의 교리를 수용한 북한군은 제병협동에 의한 섬멸전과 기동전으로 ‘전략전술적 우세’를 달성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포병, 전차 등 제병협동의 교리에서는 정찰, 속도, 집중, 협동, 다양한 전투보장대책 등을 강조하였다. 한반도 지형의 특징을 고려한 도하작전 교리 역시 제병협동교리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정치사상적 우세’는 정찰 및 비정규전 교리를 통한 배합전을 추구하였다. 한국전쟁 전례 분석을 통해 군사교리의 유용성과 한계를 살펴볼 수 있었다. 먼저 군사력 건설기에 형성된 북한군 군사교리는 전술적 측면에서의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제병협동 정면공격과 침투기동에 의해 일점양면 전술의 전형을 보여준 동두천, 오산, 대전 전투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작전술 및 교리적 측면에는 소련군과 북한군의 작전적 식견의 격차, 사단급 이상 지휘관의 지휘결함, 복종을 강요하는 정형화된 군사문화와 임무형 전술의 부조화, ‘기동전’과 ‘섬멸전’의 부조화 등으로 제1차 작전 목표인 국군 주력 섬멸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제2차 작전 이후에도 북한군의 제1차 작전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가운데, 소련식 교리에 입각한 종심기동전을 구사하였다. 산악 및 하천으로 구성된 한반도 지형의 특징, 편성상의 한계와 주요 장비의 부족, 유엔군의 제공권 장악, 제한된 전투근무지원 등의 난제는 김일성의 주체적인 독창적 전법과 정신력에 의존한 정치사상적 우세로 극복할 수 없었다. 결국, 북한은 전술적 성과를 작전적 성과로 확대하지 못하고 압록강으로 패퇴하였다. 창설기 북한군 군사교리의 특징은 이후 북한군의 특성, 4대 군사노선, 그리고 군사전략 및 군사정책 등에 지속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났다. 그리고 시대별 특성에 따라 교리적 내용은 변화되었을지라도 북한군 군사교리의 두 축에 대한 추구는 지속될 것이다.

      • 한국의 테러환경 분석과 위기관리 전략 연구

        장성진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ach of the political, depending on the economic stance Friend or Foe is often inhibited changing a new terrorism that caused the extensive damage by using high-tech equipment in the international order in advance and effectively respond to terrorist event of the situation in Korea to minimize damage to establish a crisis management strategy for terrorism response. Experts diagnosed the problem as a result of the terrorist environment in Korea through the first, it was the absence of a clear-terrorism policy response. Jumyeo establish the guidelines of all policies(guide-line) and clear criteria, declarative terrorism prevention policies externally expressed a firm Terror Response commitment of Korea government has not been simple analysis that is focused on the post-treatment after an attack. Second, this was the lack of terrorism-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ird, terrorism response as a matter of organizational structure, Korea terrorism response and crisis management activities are very insufficient as there cope with for the diversification and simultaneous attacks occur in the characteristics of terrorist methods of the New Terrorism in the situation that is being distributed operating each departmentIt was analyzed. Fourth, the lack of counter-terrorism experts. Next terrorism factors specific SWOT analysis of the terrorist environment in Korea is first, to internal strengths factor of counter-terrorism environment in Korea is a stable security situation, religious and racial slight conflict factors, management and robust regulation of firearms, major international events as was held in the accumulated counter-terrorism capabilities and know-how. Second, Korea's terrorism frigidity of people look at the internal weakness factor for the counter-terrorism environment, unstable elements of the military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counter-terrorism legal system device absence of internet and terrorism control and the difficulty of management by IT technology developmentIt was the like. Third, Korea's ease of complementary and learning Looking at the external opportunities through terrorism failures of foreign on counter-terrorism environment, heightened terror attacks budgets and support increased facilitate the issue, allies and terrorism response strengthened through military cooperation, etc. It appeared in. Fourth, look at the external threat to South Korea's counter-terrorism environmental refugees and the increase in social discontent lay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inuous influx of foreign workers, in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terrorist attacks targeted from organizations, international terrorism in accordance with the foreign economic activity increased the incidence increases, was to expand the scope of terrorism that targets all over the world due to iS. And, SWOT depth interviews of experts on terrorism environment is the environment of terrorism in South Korea opinions of experts in the diagnosis and SWOT analysis of the status issue and terrorism awareness and legal convergence was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of terrorism in South Korea for the environment appeared to lack of proper anesthesia and response system of the people against terrorism and terrorism experts that there is no terrorism-related primary legislation. Second, terrorism awareness of the counter-terrorism environment in Korea is the lack of experts on terrorism, the lack of systematic terror corresponding manuals, indifferent of the terror insensibility of the people, appeared in Human Rights and Fundamental absence of strong regulation against terrorism in accordance with the highlighted. Third, terrorism, counter-terrorism legislation on the environment of Korea for terrorism and terrorist groups, the US established concept, the US set a range of terrorism, terrorism, the absence of the Basic Law, was a member of a terrorist response manuals based on the law. Fourth, internal strengths factors relating to counter-terrorism policy in Korea is strong gun control, stable peace and order, religious and ethnic conflicts element is not counterterrorism cooperation with foreign countries and to increase the rol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easy to pay a lot of international events while on Terrorism this showed that the capacity of experience and know-how. Fifth, internal weaknesses relating to counter-terrorism policy in Korea is insensitive to the terror of the Korean people, lax regulation of immigration, the development of Internet infrastructure, a lone US administration of indigenous terrorism, such as the wolf, North Korea and the ongoing military confrontation, threats, Southeast Asian Islam continuous influx of domestic Country Inn, appeared in IT technology and ease of priests due to the Internet development bombs, neglect, such as for chemical products. Sixth, external opportunities related to counter-terrorism policy in Korea is easily the lessons learned through the counter-terrorism failures of foreign countries, diplomatic and military allies with the over counter-terrorism cooperation framework and capacity building in the easy and continuous confrontation with the DPRK cooperation a paid while acquiring the skills and experience of national security, counter-terrorism know-how, a number of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appeared in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Internet infrastructures. Seventh, Korea's external threats related to counter-terrorism policy factor diplomatic stance expressed that with foreign troops troops and allies of the United States and due to the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refugees and foreign workers and the economic and social discontent layer increases, overseas crisis of the situation deteriorating local travel and overseas expansion and increased economic activity, appeared to increase in the target countries of the world war and indiscriminate terror attacks and aspects of IS. With this comprehensive 본 연구는 각각의 정치·경제적 입장에 따라 적아가 수시로 변화하는 국제질서 속에서 첨단 장비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피해를 유발시키는 뉴테러리즘을 사전에 억제하고, 테러 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테러 대응 위기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전문가 집단을 통한 한국의 테러환경을 진단한 결과 문제점으로 첫째, 명확한 테러대응 정책의 부재가 나타났다. 모든 정책의 가이드라인(guide-line)과 명확한 기준을 확립시켜 주며, 대외적으로 한국 정부의 확고한 테러 대응의지를 표명하는 선언적 테러예방 정책은 없고 단순히 테러 발생 후 사후 처리에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테러 관련 법률 규정의 미흡이 나타났다. 셋째, 테러대응조직 체계의 문제로 한국은 테러대응 및 위기관리 활동이 각 부처별로 분산 운영되고 있는 실정으로 뉴테러리즘의 특성인 다양화된 테러 수법과 동시 다발적인 테러의 대처는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대테러 전문 인력의 부족이다. 다음으로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테러 요인별 SWOT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한국의 테러 환경의 내부적인 강점요인으로는 안정된 치안상황, 종교·인종적 갈등요소의 미약, 총기에 대한 강력한 규제와 관리, 주요 국제행사를 개최하면서 축적한 대테러 역량과 노하우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내부적인 약점요인을 살펴보면 국민의 테러 불감증, 북한과의 군사적 대치상황에 따른 불안요소, 대테러 법제도 장치의 부재, 인터넷과 IT기술 발달에 의한 테러통제와 관리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외부적인 기회요인을 살펴보면 외국의 테러 실패 사례를 통한 보완과 학습의 용이, 높아진 테러 이슈로 테러 예산 및 지원증가 용이, 동맹국가와의 군사적 협력을 통한 테러 대응 강화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외부적인 위협요인은 탈북자와 외국인 노동자의 지속적인 유입에 따른 사회 불만계층의 증가, 미국과의 동맹으로 국제 테러 단체로부터 테러의 목표화, 해외경제 활동 증가에 따른 국제테러 발생 빈도 증가, IS등에 의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테러범위의 확대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가 집단의 테러 환경에 대한 SWOT 심층면담은 한국의 테러 환경에 있어 문제점과 테러인식 및 법제에 대한 현황진단 및 SWOT 분석으로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다음과 같이 수렴하였다. 첫째,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문제점은 테러관련 기본법규가 없다는 것과 테러에 대한 국민들의 무감각 및 적절한 대응체계와 테러 전문가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테러인식은 테러에 대한 전문가의 부족, 체계적인 테러 대응 매뉴얼의 부족, 국민들의 테러 불감증에 따른 무관심, 인권과 기본권 강조에 따른 테러에 대한 강력한 규제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의 테러 환경에 대한 테러 법제는 테러 및 테러단체에 대한 개념 미정립, 테러 범위의 미설정, 테러기본법의 부재, 테러법에 근거한 대응 매뉴얼의 부재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의 테러 환경과 관련한 내부적인 강점요인은 강력한 총기규제, 안정된 치안질서, 종교 및 인종적 갈등요소가 없고 국제사회에서의 역할 증가로 외국과의 대테러 협조가 용이하며 많은 국제행사를 치르면서 대테러 역량과 노하우를 쌓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국의 환경 정책과 관련한 내부적인 약점은 한국인들의 테러에 대한 무감각, 출입국관리의 허술한 규제, 인터넷 인프라의 발달, 외로운 늑대와 같은 자생적 테러의 미관리, 북한과 지속적인 군사적 대치상황 위협, 동남아 이슬람국가인의 지속적인 국내유입, IT기술과 인터넷 발달로 인한 사제폭탄 제조의 용이성, 화학물품에 대한 관리소홀 등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한국의 테러 환경과 관련한 외부적 기회요인은 외국의 대테러 실패사례를 통한 교훈 습득의 용이, 외교 및 군사적 동맹국가와의 협력을 통한 대테러 공조체계와 역량 강화가 쉽고 지속적인 북한과의 대치상황에서 경험한 국가안보 역량 및 다수의 국제행사를 치르면서 습득한 대테러 노하우, IT기술과 인터넷 인프라의 발달 등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한국의 테러 환경과 관련한 외부적 위협요인은 미국과의 동맹으로 인한 해외파병부대 및 우방국인 미국과 함께 하는 외교적 입장표명, 탈북자와 외국인노동자 및 경제상황 악화에 따른 사회적 불만계층 증가, 해외위험지역 여행 및 진출과 해외경제 활동 증가, IS등에 의한 전 세계 국가 대상 테러전쟁 및 무차별적인 테러 양상의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연구한 결과를 종합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테러 대응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테러 기본법령을 제정해야 한다. 둘째, 통합적인 테러대응 기구의 구축이다. 셋째, 테러 대응관련 전문 인력 확보와 양성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연구 의욕이 앞서 특정분야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보다 포괄적인 연구를 하였으며, 연구대상

      • Iterative Calculation 방법을 이용한 UWB 위치측정의 정밀도 향상 기법

        장성진 인하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갖고 있는 기기에 대한 정밀한 위치측정을 필요로 한다. 위치 측정은 송수신기 간에 신호의 전송을 기반으로 한 거리측정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위치측정의 오차는 거리측정의 오차로부터 발생한다. 신호가 전송되는 기기 간에 장애물이 존재하게 되면 LoS(Line of Sight)신호 성분이 줄어들게 되어 NLoS(Non-Line of Sight) 채널이 발생하게 되고 정확한 시점에서 신호를 검출할 수 없게 되어 거리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위치측정 알고리즘은 참조기기(Reference Device)의 거리측정 성능에 관계없이 참조기기와 목표기기(Target Device)간의 거리측정 값을 위치 계산에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거리측정 값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차가 위치 계산에 더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참조기기가 속해 있는 채널특성을 판별하고 NLoS채널로부터 계산된 거리와 LoS채널로부터 계산된 거리를 다른 비율로 적용하여 위치측정의 오차를 줄이는 Iterative Calculation 기법을 제안한다. 참조기기는 수신된 신호의 Kurtosis, Mean, Excess Delay, RMS Delay spread를 통해 NLoS와 LoS 채널을 구분한다. 이를 통해 구분된 채널마다 각기 다른 비율로 랜덤 거리를 계산된 거리에 더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뒤 평균값을 계산하여 확률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목표기기의 위치를 찾아감으로써 NLoS채널로부터 계산된 거리오차가 위치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성능향상을 확인하였다. In Ubiquitous Society, accurate Location Calculation of user's device is required to achieve the need of users. As the location calculation is processed by ranging between transceivers, if some obstacles exist between transceivers, NLoS(Non-line-of-Sight) components of received signal increase along with the reduction of LoS(Line-of-Sight) components. Therefore the location calculation error will increase due to the NLoS effect. The conventional location calculation algorithm has the original ranging error because there is no transformation of ranging information which degrades the ranging accuracy. The Iterative Calculation method which minimizes the location calculation error relys on accurately identifying NLoS or LoS condition of the tested channel. We employ Kurtosis, Mean Excess Delay and RMS Delay spread of the received signal to identify whether the tested channel is LoS or NLoS firstly. Thereafter, to minimize location calculation error, the proposed Iterative Calculation method iteratively select random range and finds the averaged target location which has high probability.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 the enhancement of the proposed method.

      • CLT 목조주택의 열습기 성능 평가

        장성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신 기후변화체제를 대응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세계적으로 건물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하기 위한 정책과 기준이 마련되고 있으며, 2018년 9월에는 국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이 독일의 패시브건축물의 기준과 동일한 수준까지 강화되었다. 그러나 실내 표면과 구조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로 및 곰팡이 등의 수분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채 남아 있으며, 이는 국내 Hygrothermal 환경 및 건축물 외피를 통한 열과 습기의 이동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저급목재 활용을 위해 유럽에서 개발된 CLT는 높은 탄소저장량과 낮은 탄소배출량을 갖는 목재를 적극 활용한 구조용 목재로써, CLT 목조주택은 온실가스 감축, 프리캐스트 및 모듈러 공법을 통한 공기단축, 단열성능과 기밀성능의 향상, 고층 목조주택 실현의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T 목조주택을 국내에 도입하는 현 시점에서, 건물에너지 성능의 확보뿐만 아니라, 1990년대 경골목구조 목조주택의 도입 초기 문제점과 같이 국내 기후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국외 사례를 그대로 도입하여 발생한 수분문제가 재차 발생하지 않도록 국내 Hygrothermal 환경을 고려한 CLT 목조주택의 수분안정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Hygrothermal 환경에서 건물에너지 성능과 장기간 수분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CLT 목조주택의 Hygrothermal 성능을 평가하였다. ISO 10211을 통한 전열해석 결과, CLT 벽체는 구조용 목재가 단열재 사이에 적용되는 경골목구조 벽체보다 열교 발생이 적었으며, 단열의 끊김이 발생하는 내단열 공법은 높은 선형 열교가 발생하고 실내 표면온도를 저감시켰다. 유한한 CLT의 규격으로 인해 발생한 접합부를 연결하는 부속재료는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가 사용되기 때문에 접합부위 별 접합재료 및 접합방법을 고려한 열교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든 접합부위에서 Self-tapping Screw를 이용한 결합방식의 선형 열교가 적게 발생하여 단열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었고, 내부에서 적용된 Self-tapping Screw는 기하학적 열교와 중첩되어 큰 열교를 발생시켰다. 건물에너지 성능 평가를 위한 CLT 목조주택의 평면은 CLT 접합부의 열교 및 국외 CLT 공동주택 사례를 참고하여 제시하였고, 목구조 형식 및 실외 기후조건에 따른 CLT 목조주택의 건물에너지 성능을 분석하였다. 목구조 형식에 따른 건물에너지 성능 비교 분석을 통해 기밀성능이 우수한 CLT 목조주택의 냉·난방에너지 요구량이 경골목구조 목조주택 대비 약 15% 만큼 저감된 것을 확인하였고, 국내 기후조건에 따른 CLT 목조주택의 건물에너지 성능 평가를 통해 현행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판단하였다. 국내 Hygrothermal 환경을 고려한 CLT 목조주택의 Hygrothermal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내 20개 지역을 대상으로 Hygrothermal 환경 지역구분을 도출하였다. CLT 벽체와 지붕에 적용되는 단열재의 두께는 열환경 지역구분에 따라 제시하였고, Hygrothermal 환경 지역구분과 단열재의 종류, 방습층의 종류 및 적용 유무에 따라 장기간 수분안정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CLT와 미네랄 울 단열재는 투습저항성능의 큰 차이로 인해 외부에서 유입된 습기가 내부에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수분문제를 야기하였고, 투습저항성능이 높은 XPS 단열재의 적용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수분문제가 현저히 줄어들었으나, XPS 단열재와 방습지가 동시에 적용된 CLT 지붕의 경우에는 곰팡이 발아 위험을 보였다. 또한 수분함량에 따라 증가되는 열전도율을 고려하여 단열재의 수분함량을 평가하였고, XPS 단열재를 적용하는 것이 높은 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CLT 적용 목조주택을 국내에 도입하는 단계에서 접합부 열교 발생을 고려한 건물에너지 성능 및 장기간 수분에 의한 문제가 없는 CLT 목조주택 외피의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성과물이 국내 기후환경에서 CLT 목조주택 설계를 위한 가이드로 적극 활용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의 일련의 과정이 Hygrothermal 환경을 고려한 건축물 외피의 설계 방법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Policies and standards are being set up to reduc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and reduce building energy use. In 2018, energy-saving design standards for buildings were strengthened. However, moisture problems, such as condensation and mold that occur inside the surface of the room and inside the structure still occur. This is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hygrothermal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movement of heat and moisture through the building envelope. The cross-laminated timber (CLT), developed in Europe for the use of low-grade wood, is an engineered wood product (EWP) with high carbon storage and low carbon emissions. CLT wooden houses have significant advantages,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improvement of insulation performance and airtight performance, and realizing high-rise wooden houses. At the time of introducing CLT wooden house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water stability of CLT wooden houses considering Korean hygrothermal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hygrothermal performance of CLT wooden house was evaluated to ensur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nd long-term water stability in the Korean Hygrotherm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heat transfer analysis through ISO 10211, the linear thermal bridges of the CLT wall were less than light-weight wood frame structure walls in which the structural wood was applied between the insulation. It was more effective to apply the insulation to the outside of the CLT panel. The thermal insulation coefficient was the least when combined externally using self-tapping screws on all connections between CLT. The self-tapping screw applied internally overlaps with the geometric thermal bridges, resulting in large thermal bridges. The plan of the CLT wooden house for the evaluation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is presented by referring to the thermal bridge of the CLT connection and the case of the CLT apartment house. The demand for cooling and heating energy of CLT wooden houses with excellent airtightness was reduced by about 15% compared with the light-weight wooden houses. The results of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CLT wooden houses according to domestic climate conditions indicate that energy-saving design standards of buildings should be modified. The hygrothermal environmental zone was derived for 20 domestic regions to evaluate the hygrothermal performance of the CLT wooden houses. The thicknesses of the insulation applied to the CLT wall and the CLT roof ar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Thermal Environmental Zone. Long-term water stabi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hygrothermal environmental zone, the type of insulation, and applicability of the vapor barrier, vapor retarder, and high-performance vapor retarder. As results, the CLT wall and the CLT roof were evaluated to minimize the moisture problem when applying extruded polystyrene (XPS) insulation with high vapor resistance, and the vapor retarder applied on the roof proved to cause mold germination risk of XPS insulation. In add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insulation was evaluated to considering the increased thermal conductivity depending on the moisture content. The application of XPS insulation was able to ensure high insulation performance. In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of the CLT wall and the CLT roof were obtained for building energy performance considering thermal bridges and long-term moisture stability according to the hygrothermal environmental zone at the time of introducing CLT wooden house. I hope that the final result will be utilized as a guide for the design of Korean CLT wooden houses. In addition, I expect that this series of processes will be extended to the design method of building envelope with hygrothermal environment.

      • 초ㆍ중등 교원의 학부모교육 운영 활성화에 대한 인식과 요구 분석

        장성진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ㆍ중등 교원의 학부모교육 운영 활성화에 대한 인식과 요구 분석 이 연구에서는 현재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부모 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학부모교육을 재조명하고 발전적인 운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부모 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원들의 인식, 학부모 교육의 실시 현황 및 요구를 조사·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학부모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공하였다.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 목적, 참여 방법과 교육내용 등에 대한 논리적 기초를 제시하기 위해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현재 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부모교육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법률과 제도 그리고 교육청의 업무계획과 학부모교육 현황자료, 학부모지원 정책 등을 분석하였다.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부모교육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충청북도교육청 관내 초ㆍ중등학교를 선정하여 전자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초ㆍ중등학교 교원들의 학부모 교육에 대한 요구분석을 통해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단위 학교에서 학부모 교육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학부모 담당 보직교사제 운영을 통하여 학부모 교육을 추진하기 위한 조직이 형성되어야 한다. 수업시수 및 관련 연수 참여 가산점 부여 등의 혜택을 줌으로써 학부모 교육이 학교 내에서 적극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단위 학교에서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더라도 학부모의 참여가 부족하여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는 상황이므로 학부모들의 의견이나 요구를 반영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학부모 교육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으로서는 시․도 단위의 학부모지원센터 정착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학부모지원센터는 교육청과 인근학교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 등 정보공유를 위한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지역교육지원청, 공공도서관, 주민자치센터 등 평생교육을 담당하는 유관기관과 협조하여 각 기관별 특성화된 학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셋째, 학부모 교육의 홍보는 단순히 강좌 개설을 알리는 가정통신문, 홈페이지 홍보에 그치는 소극적인 홍보에서 벗어나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려주는 적극적인 홍보를 함으로써 많은 학부모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가족 형태 및 가정교육의 약화로 학부모 교육에 접근하지 못하는 학부모들을 위해서는 시간, 장소, 공간을 고려한 맞춤형 학부모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맞춤형 교육을 위해 학부모 교육기관은 지역사회기관과 연계하여 사회적 지원망을 형성하고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섯째, 학부모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배치와 단위 학교의 학부모 업무 담당 교원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 빔포밍 시스템을 위한 K-band CMOS 1?channel 모듈의 소형화 및 최적 설계 기법에 관한 연구

        장성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 miniaturization structure of 1-channel TRx module for Beamforming system in K-band and an optimization design technique for each circuit included in the module. The 1-channel TRx module for the designed K-band Beamforming system was designed using a 65 nm CMOS process and has an operating frequency of 22-23.6 GHz.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TRx module, the number of phase shifters used in the TRx terminal can be reduced by arranging a phase shifter, which is a core block of the Beamforming system, in front of the LPSW. With the additionally proposed circuit structure, the area of the 1-channel TRx module can be greatly reduced by performing the 180° phase shift function in the power amplifier and low noise amplifier. In the K-band TRx module of the proposed structure, the transmitter includes a power amplifier, 4-stage gain amplifier, and a 5-bit attenuator for 30 dB gain and 32 dB variable gain. The receiver includes a low-noise amplifier, 4-stage gain amplifier and 5-bit attenuator for 20 dB gain and 32 dB variable gain. In addition, an input and output switches for TRx mode conversion and a 5-bit phase shifter for phase shift were included. The total chip area is 1.6 mm2. The designed 1-channel TRx module used 2.2 V VDD for PA and 1 V VDD. In TRx mode, the gain of 0°/180° mode was measured as 36.1 dB and 34.3 dB, respectively. The P1dB is 16.4 dBm and saturation power is 18.1 dBm. Power consumption is 287 mW in TRx mode. The RMS gain error and phase error obtained through bit-sweep of the phase shifter is 1.5 dB and 4.3°. In addi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ttenuator bit-sweep obtained an RMS gain error of 1.2 dB and a phase error of 7.1°. The gain of 0°/180° mode in Rx mode was measured as 25.3 dB and 23.6 dB, respectively. NF was measured to be less than 5dB and power consumption was 97 mW. IP1dB was measured at -38.8 dB. The RMS gain error obtained through the bit-sweep of the phase shifter is 1.4 dB, and the RMS phase error is measured as 3°. In additi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attenuator bit-sweep obtained an RMS gain error of 0.5 dB and a phase error of 13.3°. 본 논문은 K-band에서 빔포밍 시스템을 위한 1-channel 송·수신 모듈의 소형화 구조를 제안하고 모듈에 포함되는 각각의 회로들에 대한 최적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설계된 K-band 빔포밍 시스템용 1-channel 송·수신 모듈은 65 n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22-23.6 GHz의 동작 주파수를 갖는다. 송·수신 모듈의 소형화 설계를 위해 빔포밍 시스템의 핵심 블록인 위상 천이기를 LP 스위치 앞단에 배치함으로써 송·수신단에 하나씩 들어가던 위상 천이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추가로 제안하는 회로의 구조로 전력 증폭기와 저잡음 증폭기에서 180° 위상 천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1-channel 송·수신 모듈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제안하는 구조의 K-band 송·수신 모듈은 송신단의 경우 30 dB의 이득과 32 dB의 이득조절을 위한 전력 증폭기와 4단의 이득 증폭기 그리고 5-bit 감쇠기가 포함되어 있다. 수신단의 경우 20 dB의 이득과 32 dB의 이득조절을 위한 저잡음 증폭기와 4단의 이득 증폭기 그리고 5-bit 감쇠기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송·수신 모드 변환을 위한 입력 및 출력단의 스위치와 위상 천이를 위한 5-bit 위상 천이기가 포함되었다. 총면적은 1.6 mm2이다 설계된 1-channel 송·수신 모듈은 2.2 V의 전력 증폭기용 VDD와 1 V의 VDD를 사용하였다. 송신단 모드에서 0°/180° 모드의 이득은 각각 36.1 dB, 34.3 dB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16.4 dBm의 P1dB와 18.1 dBm의 포화 출력전력 결과를 확인하였다. 소모전력은 송신 모드에서 287 mW이다. 위상 천이기의 bit-sweep을 통해 얻은 RMS 이득 오차는 1.5 dB이고 이때 RMS 위상 오차는 4.3°로 측정되었다. 또한, 감쇠기의 bit-sweep을 통해 1.2 dB의 RMS 이득 오차와 7.1°의 위상 오차를 확인 하였다. 수신 모드에서 0°/180° 모드의 이득은 각각 25.3 dB, 23.6 dB로 측정되었다. NF는 5 dB 이하로 측정되었고 소모전력은 97 mW이다. IP1dB는 –38.8 dB로 측정되었다. 위상 천이기의 bit-sweep을 통해 얻은 RMS 이득 오차는 1.4 dB이고 이때 RMS 위상 오차는 3°로 측정되었다. 또한 감쇠기의 bit-sweep을 통해 0.5 dB의 RMS 이득 오차와 13.3°의 위상 오차를 확인하였다.

      • 학령 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범주 지식에 따른 의미적 단기기억

        장성진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령 전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범주지식에 따른 의미적 단기기억 특성을 일반아동과 비교 분석하였다. 4, 5, 6세 인공와우이식 아동 22명과 일반 아동 3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두 그룹은 언어연령이 모두 4세 이상이고 생활연령과 동작성 지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자는 어휘 친숙도, 범주별 본보기 사용빈도 및 범주 전형성을 고려한 45개 단어로 의미적 단기기억 검사 과제를 제작하였다. 과제는 각 범주 당 5개 단어로 이루어져 있고 슬롯 필러 범주 목록 3개, 분류 범주 3개, 범주와 상관없는 목록 3개, 총 9개의 목록을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아동에게 연속된 5개 단어를 들려주고 순서대로 회상하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순차적 또는 자유회상 한 단어의 수를 의미적 단기기억 점수로 계산하였고, 추가적으로 의미적 단기기억 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범주 지식에 따른 의미적 단기기억력은 일반 아동과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두 집단 아동 모두 슬롯 필러 범주 목록을 가장 많이 회상하였고, 다음으로 분류 범주 목록, 범주와 상관없는 목록 순으로 회상하였다. 그리고 인공와우이식 아동과 일반 아동 모두 의미적 단기기억 시 단어 오류를 많이 보였고, 비단어 오류는 인공와우이식 아동에서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short-term memory according to category knowledge in preschool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using semantic short-term memory task. 55 subject, divided in two group, 33 normal hearing children and 22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children were all between 4 and 6 years old. They matched chronological age and performance intelligence. In the semantic short-term memory task, children recall words under three different category knowledge(slot-filler category, taxanomic category, unrelated with category). The performance of short-term memory according to category knowledge between two groups was analyzed by two-way repeate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semantic short-term memory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hronological age matched normal hearing children, Second, slot-filler category knowledge most often use in semantic short-term memory. Conclusively, findings suggested that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have simmilar semantic short-term memory capacity to that normal children.

      • Kalman 필터를 이용한 구조물의 능동제어

        장성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물의 높이가 상승하면 바람이나 지진과 같은 횡력에 골조가 저항해야 하는 부담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이러한 횡력에 저항하기 위해 건물에 가새나 전단벽등을 의도적으로 적절히 배치하거나 지진의 경우 각종 하부흡진기(Base Isolators)나 상부흡진기(Tuned Mass Dampers)등을 기둥이나 옥상층에 설치하는 등 수동적으로 대응하는 설계를 주로하고 있다. 횡력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방편으로 외부에서 제어력을 가하여 통제하고자 하는 상태변수들을 -이 경우에는 층 변위 및 층 속도 -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면 횡력으로 부터의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구조물을 지진에 대비하여 설계할 때, 종전에는 내진법 및 면진법등 수동적인 방법을 취하여 왔으나 보다 적극적으로 외부 에너지를 제어 장치에 투입하여 제진을 하는 방법이 새로운 기술로 부상되고 있다. 제어법은 기계 및 전자 분야에서는 오래 전부터 체계적으로 발전하여 확고한 학문 분야를 이룩한 영역이나, 이를 건축 구조물의 진동 제어에 적용하려는 시도는 불과 20 여년 정도 밖에는 되지 않는다. 제어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기준입력(reference input)에 따라 시스템이 이를 그대로 따라가도록 제어하는 명령추종 문제와, 외란(disturbance)이 시스템에 침입해도 안정을 유지하도록 이를 제어하는 외란 제거(regulator)문제로 대별된다. 본 연구에서 다루려 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능동제어는 지진에 대비한 구조물의 안정화가 목적이므로 외란 제거 문제라고 보면 된다. 즉 구조물에 가해지는 지진을 시스템에 침입하는 외란이라 보고 제어 문제를 다루기로 한다. 제어는 단일입력 단일출력(Single Input Single Output : SISO)문제와 다입력 다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MIMO)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4층의 구조물을 모델화 하였기 때문에 각 층별 지진 응답 및 제어기 위치에 따른 제어 입력들이 당연히 다르므로 MIMO 문제가 되어 고전 제어이론으로는 다루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제어이론중 하나인 LQR(Linear Quadratic Regulator)과 LQG(Linear Quadratic Gaussian) 기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제진 설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the active structural control with Kalman-filter for controlling building vibration due to a seismic disturbance. The dynamic system is of a realistic four story steel moment resisting frame modeled as a lumped mass system to reduce the degrees of freedom. The feasibility to apply the active control with Kalman-filter is verified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controllability and the observability of the building system. As results, the responses of the controlled system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uncontrolled system. The effects of attaching the limited number of controllers at different locations were investigated. Also, the responses of the full state feedback control(LQ) and the system with Kalman-filter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capability of estimating the unmeasured state variables that the Kalman-filter was supposed to offer.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Kalman-filter has estimated the unmeasured displacements reasonably well since its responses are very closed to ones from the full state feedback(LQ) control. Thus, the Kalman-filter can be a useful mean to reduce the number of measuring sensors resulting in saving both computing time and control expenses. (2) The results show that the best location for the Kalman-filter was right on the 4th floor. Thus, the decision whereto install the Kalman-filter must be carefully made as well as selecting the weighting values in designing the filter. Finally, the experimental verifications are required for the future study although the computer simulations were satisfactory as predi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