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힙합 씬 내에서의 드레이크 위상 연구

        장성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thesis analyzes the influence of Drake on the contemporary hip-hop music scene and highlights how his music stands out through deep expression of internal conflict and emotions. Drake's lyrics centralize around various emotions associated with life experiences, relationships, and success, forming a unique hip-hop characteristic in his music. His style particularly explores complex emotions about success, the stress it brings, and the isolation that comes with fame. Drake's flow is a critical element defining his musical success, used to emphasize the emotions carried in his songs. His rap and vocal performances deliver the subtleties and changes in internal feelings through dynamic velocity changes. This control over dynamic velocity is key to Drake's music occupying a unique position at the intersection of hip-hop and R&B. Additionally, Drake has constructed a unique musical identity through the mix of various genres. By creating songs that traverse genres such as hip-hop, pop, dance, and tropical house, he has offered new musical experiences to the audience. His interest in dancehall and Afrobeats has contributed to the global recognition of these genres. Firstly, the thesis explores how Toronto's music scene has evolved on the basis of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revealing how 1960s and 70s rock and folk music, along with 80s and 90s new wave, punk, and R&B, have contributed to shaping Toronto's music scene. As hip-hop grew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80s, Toronto began to establish its own hip-hop identity, notably influenced by various immigrant communities including Caribbean, African, and Asian. Secondly, the research delves into Drake's early life and musical activities. Born in Toronto, he started his career as an actor but his true passion was music. After releasing his first mixtape in 2006, he gained attention with his third mixtape "So Far Gone" in 2009, and "Best I Ever Had" became his iconic hit, reaching number two on the Billboard Hot 100. Thirdly, the thesis analyzes the impact of Drake's success on Toronto's music scene. Through the nickname "The 6," Drake promoted Toronto globally an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ransforming it into a global music city by establishing the "OVO Sound" label, which provided a platform for local and international artists. Fourthly, an analysis of Drake's representative songs sheds light on his musical innovation. Through rhythm and melody, sampling, chord structures, rhythm patterns, and flow analysis in songs like "Hotline Bling," the thesis examines how Drake created his unique musical style. It also analyzes how effectively he expresses recollections about relationships and their transformations. Fifthly, the thesis examines the delicacy of Drake's musical expression and sophistication in emotion delivery through dynamic range analysis in his music. It reveals how artists can express their emotional changes and energy, adjusting the intensity of emotions through accents in rap to control the pace and mood of the song. Sixthly, the thesis analyzes the blend of various musical genres in Drake's work. His music, which spans hip-hop, pop, dance, and tropical house, creates a unique style that blurs genre boundaries, such as layering smooth melodies over traditional hip-hop beats. His interest in dancehall and Afrobeats has helped increase their global recognition, while the combination with tropical house has characterized his music with a lighter atmosphere and refreshing melodies. Through multifaceted analysis, this thesis demonstrates the influence of Drake's music on the hip-hop scene and suggests how his musical footsteps can inspire future artists. Drake's music is expected to continue influencing the hip-hop scene and the global music industry in the future. 본 논문은 드레이크가 현대 힙합 음악 씬에 끼친 영향력을 분석하였으며 그의 음악이 내적 갈등과 감정의 깊은 표현을 통해 어떻게 두드러지는지를 조명했다. 드레이크의 가사는 인생 경험, 관계, 성공과 연관된 다양한 감정을 중심으로 이야기하며, 이는 그의 음악에서 독특한 힙합의 특성을 형성한다. 그의 음악 스타일은 특히 성공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 유명세가 가져오는 고립감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탐구한다. 드레이크의 플로우는 그의 음악적 성공을 정의하는 중요한 요소로, 곡에 실린 감정을 강조하는 데 사용된다. 그의 랩과 보컬 퍼포먼스는 다이나믹 벨로시티의 변화를 통해 내적인 감정의 미묘함과 변화를 전달한다. 이러한 다이나믹 벨로시티의 조절은 드레이크의 음악이 힙합과 R&B의 경계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게 하는 핵심이다. 또한, 드레이크는 다양한 장르와의 혼합을 통해 독특한 음악적 정체성을 구축하였다. 힙합, 팝, 댄스, 트로피컬 하우스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곡을 만들어냄으로써 대중들에게 새로운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였다. 특히 댄스 홀과 아프로비트 장르에 대한 그의 관심은 이 장르들의 세계적인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였다. 세부적인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론토의 음악 씬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탐구했다. 1960년대와 70년대 록 및 포크 음악부터 시작하여 1980년대와 90년대의 뉴 웨이브, 펑크, R&B 등이 토론토의 음악 씬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1980년대 힙합이 미국에서 성장하고 있을 때, 토론토는 자체적인 힙합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캐리비안, 아프리카, 아시아 등의 다양한 이민자 커뮤니티의 영향을 받아 토론토 힙합의 특징을 형성했다. 둘째, 드레이크의 초기 인생과 음악 활동을 조사했다. 그는 토론토에서 태어나 배우로서의 경력을 시작했으나, 그의 진정한 열정은 음악에 있었다. 2006년 첫 믹스테이프를 발표한 후, 2009년 세 번째 믹스테이프 “So Far Gone”을 통해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Best I Ever Had”가 빌보드 Hot 100에서 2위를 차지하며 그의 대표적인 히트곡이 되었다. 셋째, 드레이크의 성공이 토론토의 음악 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The 6”라는 별칭을 통해 토론토를 세계에 알린 드레이크는 “OVO Sound” 레이블을 설립하여 지역 및 국제 아티스트들에게 플랫폼을 제공하고, 토론토를 글로벌 음악 도시로 변모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넷째, 드레이크의 대표곡 분석을 통해 그의 음악적 혁신을 조명하였다. “Hotline Bling”과 같은 곡에서 사용된 리듬과 멜로디, 샘플링, 화음 구조, 리듬 패턴 그리고 플로우 분석을 통해 드레이크가 어떻게 고유의 음악적 스타일을 창조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사 분석을 통해 드레이크가 자신과 전 연인과의 관계 그리고 그 변화에 대한 회상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표현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섯째, 드레이크의 음악에서 다이나믹 레인지 분석을 통해 그의 음악적 표현의 섬세함과 감정 전달의 정교함을 분석하였다. 다이나믹 레인지를 통해 아티스트는 자신의 감정적 변화와 에너지를 표현할 수 있고, 랩에서 악센트의 변화로 감정의 강도를 조정해 곡의 페이스와 분위기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분석은 드레이크가 자신의 감정을 음악에 어떻게 녹여내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섯째, 드레이크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음악 장르와의 혼합을 분석했다. 힙합, 팝, 댄스, 트로피컬 하우스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그의 음악은 전통적인 힙합 비트에 부드러운 멜로디를 얹는 등 장르의 경계를 허무는 고유한 스타일을 창조해냈다. 특히 댄스 홀과 아프로비트에 대한 그의 관심은 세계적인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트로피컬 하우스와의 결합은 그의 음악이 좀 더 가벼운 분위기와 청량감 있는 멜로디를 특징으로 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다각도의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드레이크의 음악이 힙합 씬에 미친 영향력을 증명하고, 그의 음악적 발자취가 향후 아티스트들에게 어떤 영감을 줄 수 있는지를 제시한다. 드레이크의 음악은 앞으로도 힙합 씬과 전 세계 음악 산업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원예치료의 치매증상 개선 연구 : 노인주간보호센터의 치매노인을 중심으로

        장성윤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Improvement of Dementia Symptoms Through Horticultural Therapy - The senile dementia persons at Senior Citizen Daycare Center- Jang, Sung-Yo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Humanities Korea University As we have been rapidly entering the Aging Society, some diversified approaches of effective alternative treatments to cope with the growing number of dementia seniles are much required. This study aimed at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a Horticultural Therapy on their cognitive functions and problematic behaviors, etc. related to the senile dementia. To start with, ten(10) dementia senile persons were sampled from "D" Senior Citizen Daycare Center to be subject to 16 rounds of a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It consisted of gardening works and dialogues to figure out any notable change in their cognitive function, everyday life leading ability, depression and problematic behavior, which seemed to be resulted from the Therapy. In the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various methods including sowing, seeding, transplantation, hydroponics and vase work are employed. All the subjects were examined as a single group for their condition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which took approximately 4 months from January 7 to April 21 in 2008.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for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Friedman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mentia seniles' cognitive func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by the therapy from the pre-therapy average 16.7 to post-therapy average 17.3 (χ²=6.059, p=0.046*) and the difference was notable statistically. 2. The dementia seniles' ability to lead everyday life on their own was improved from 17.2 to 17.5 by the horticulture therapy (χ²=6.635, p=0.035*) and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3. The depression index wa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horticulture therapy from 49.1 to 44.2 (χ²=8.59, p=0.013*) and the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 The problematic behavior index of dementia seniles was also decreased from the pre-therapy average of 20.4 to post-therapy average of 27.2 (χ²=15.3, p=.001***)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shown above, the horticulture therapy is proven to be effective to increase the dementia seniles'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fe capability and decrease the depression and problematic behaviors. To be more specific, the horticulture is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gnitive functions including the sense of elapsed time and place, concentration, calculation and judgement and also it helps daily activity of bathing, walking and stepping. In conclusion, the horticulture therapy would be one of the appropriate treatments for the senile dementia in improving the patients' cognitive function and problematic behavio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effective horticulture therapy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problematic behavior be provided for to ensure the quality life of demented senile persons.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various methods of horticulture therapy are to be developed through more study and research for the senile dementia at all levels.

      • 백제 무령왕릉 벽돌의 고고과학적 특성과 태토 산지 해석

        장성윤 公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s the representative brick chamber tomb constructed during Ungjin period of Baekje and it is the only tomb in which it was identified who was buried among tombs of Tree Kingdoms. This tomb has been known that it was influenced by Liang Dynasty in the architectural features and building materials but there is no reference to brickmaking and construction process. But Jeongdongri, Buyeo was presumed to be the producing area of those bricks because the similarities of shapes and patterns were identified to bricks at the Jeongdongri kiln site, which hereby requires the scientific evidence for provenance and production methods of brick.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with comparision of bricks and soils from neighbouring Songsanri tomb complex and Jeongdongri kiln sites through the physical,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is of brick and soil samples. Also, age determination using luminescence method and weathering of bricks were performed. As a result, most of the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has the magnetic susceptibility below 1(×10-3 SI unit) and they turned out to be mainly composed of quartz, plagioclase, alkali feldspar and same properties were identified from bricks of Songsanri and Jeongdongri. In terms of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ongsanri and Jeongdongri, they have been going through geochemically same evolutionary processes because they have the same aspects of changes in major elements, trace elements and rare earth elements and it is judged that soil from Jeongdongri was used for brickmaking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But according to excavation sites of bricks, changes of elements such as SiO2, P2O5, MgO, Cu, Cr, V and Zn were observed due to the different refinement of brickmaking. Other bricks from Songsanri tomb complex featured heterogeneous structures while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ongsanri tomb No.6 and Jeongdongri, have the homogeneous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clay without macrocrystalline quartz and feldspar which exist in soil. Soils of Jeongdongri has enrichment of iron oxide, organic matter, P and S due to the cultivated layer in flood plain near Geum river. Considering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t is presumed that the clay layer(JD-1, 2) was used for brickmaking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enriched iron oxide which is frequently found in bricks can provide the additional evidence to trace the provenance. It turned out that rectangular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ongsanri tomb No.6 and Jeongdongri kiln site have the size of type Ⅰ(about 30×15㎝) with the same composition. Meanwhile, other bricks from Songsanri tomb complex are type Ⅱa (about 38×20㎝) with different sizes and compositions from type Ⅰ,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bricks of the same size have chemically equal compositions. Al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ome bricks from Songsanri tomb complex were produced with type Ⅰ and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Songsanri tomb complex because they showed the same size and composition to type Ⅰ. It is judged that the cast of separate type made of wood was used and through the observation of X-ray radiography, it is identified first, clay was filled in the pattern of the cast and pressure was put on it. Next, other parts were filled with clay. From the trace of wood grain left on the brick with inscription, 「Geupsa」,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same cast between bricks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Songsanri tomb No.6 and Songsanri tomb complex. Firing temperatures of brick samples were determined on grounds of changes in mineral composition, thermal analysis, microstructure, color and water absorption on the basis of firing experiments of clay pastes. It is interpreted that two bricks excavated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tomb complex are unfired raw bricks. Most of the bricks were produced through reduction firing atmosphere and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were fired at a temperature of 1,000~1,200℃ and other bricks from Songsanri tomb complex were fired at a temperature of 900~1,000℃. Natural glaze formed by wood ashes was found on some of high-fired bricks and the flow texture by the movement of elements such as Fe and Al and changes in oxidation states was created during firing. The measurement of ultrasonic velocity showed that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tomb No.6 have high ultrasonic velocity of 3,000~5,000㎧ and it is judged that they are durable bricks with compact texture and strength according to the standard durability of clay bricks. From the age determination using luminescence method, brick from Jeongdongri kiln site dated back to AD 510±90,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o AD 520±90 and bricks from Songsanri tomb complex to AD 600±80. It turned out bricks from Songsanri tomb complex were produced the latest but they were produced at the same period with one another because they fell to the period range within error bound and therefore it corresponds to the archaeological period range. Consequently,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tomb complex were produced with soil from Jeongdongri but in the case of bricks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were made of fine-grained clay by removing macrocrystalline larger than 0.5㎜ and fired in the cast of typeⅠ at a temperature of 1,000~1,200℃. But it is also judged that the bricks from Songsanri tomb complex were made of more coarse-grained clay and fired in the cast of typeⅡb at the lower firing temperature in the later times than those from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무령왕릉은 백제 웅진기에 축조된 대표적인 벽돌무덤으로서 피장자가 확인된 유일한 삼국시대 무덤이다. 무령왕릉은 중국 양나라의 영향을 받아 축조되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벽돌 생산이나 무덤 축조과정에 대한 문헌이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부여 정동리 가마터에서 수습된 벽돌의 형태와 문양이 무령왕릉 벽돌과 유사하여 정동리가 벽돌의 생산지로 추정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무령왕릉 벽돌의 물리적,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고 송산리 고분군 및 정동리에서 출토된 벽돌과 비교하였다. 또한 벽돌의 절대연대를 측정하고 물리화학적 풍화 상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무령왕릉 벽돌의 제작기법과 태토 산지를 규명하고 송산리 고분군 벽돌의 생산과 수급 관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무령왕릉 벽돌은 대부분 1(×10-3 SI unit)이하의 전암대자율과 석영, 장석, 사장석, 알칼리 장석 등의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송산리 및 정동리 벽돌도 동일한 특성을 나타낸다. 벽돌은 정동리 토양과 주성분 원소, 미량 원소, 희토류 원소의 동일한 함량과 변화패턴을 보이므로 동일한 지구화학적 진화과정을 거친 것으로 추정되며, 무령왕릉 벽돌의 생산을 위해 부여 정동리 토양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각 고분을 구성하는 벽돌에 따라 태토의 수비과정이 달라져 SiO2, P2O5, MgO, Cu, Cr, V, Zn 원소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무령왕릉, 송산리 6호분, 부여 정동리 벽돌은 토양에 존재하는 거정질 석영과 장석 등을 일정하게 제거하여 균일한 태토의 조성과 조직을 유지한 반면, 다른 송산리 고분군 벽돌은 불균질한 조성과 조직 특성을 나타냈다. 정동리 토양은 금강 범람원의 침수 토양으로 산화철의 농집현상이 나타났고 백제시대 경작층을 포함하므로 유기물, P, S의 농집현상이 관찰되었다.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을 고려할 때, 무령왕릉 벽돌은 이 토양 하부 점토층(JD-1, 2)을 태토로 사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되며 농집된 산화철 덩어리가 벽돌에서도 관찰되므로 산지추정의 부가적인 근거가 된다. 무령왕릉, 송산리 6호분, 정동리 가마터의 장방형 벽돌은 Ⅰ형(약 30×15㎝)의 크기와 동일한 화학조성을 나타내지만, 다른 송산리 고분군 벽돌은 Ⅱb형 (약 38×20㎝)으로 Ⅰ형과는 크기와 화학조성이 다르게 나타나 동일한 크기의 벽돌들이 동일한 화학조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일부 송산리 고분군 벽돌이 무령왕릉 벽돌과 동일한 크기 및 화학조성을 나타내므로 이와 함께 제작되었지만 후에 다른 송산리 고분 축조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벽돌의 성형틀은 나무 재질의 분리형 성형틀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되며 투과 X-선 관찰 결과, 성형틀의 문양부분에 먼저 점토를 넣고 압력을 가한 후 다른 부위에 점토를 채워 제작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急使」명 벽돌에 남아있는 나무결 흔적으로 무령왕릉, 송산리 6호분, 송산리 고분군 벽돌 간의 동범관계를 확인하였다. 벽돌의 소성온도는 광물의 상전이를 비롯하여 열분석, 미세구조, 색과 흡수율 변화를 근거로 결정하였다. 무령왕릉과 송산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폐쇄용 벽돌 2점은 소성하지 않은 날벽돌로 해석되었다. 대부분의 벽돌은 환원소성되었고 무령왕릉, 6호분, 정동리 수습 벽돌은 1,000~1,200℃에서, 그 외 송산리 고분군 벽돌은 900~1,000℃에서 소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고온소성된 일부 벽돌에서는 나무 재에 의한 자연유약이 확인되었고 소성과정에서 Fe과 Al 등 원소의 이동 및 산화상태의 변화로 유상조직이 생성되었다. 초음파 속도 측정 결과, 무령왕릉과 6호분 출토 벽돌은 3,000~5,000㎧의 비교적 높은 초음파 속도를 나타냈고, 점토벽돌의 내구성 판단기준으로 볼 때, 무령왕릉 벽돌은 치밀한 조직과 강도를 가진 내구적 벽돌로 판단된다. 벽돌의 절대연대 측정 결과, 정동리 가마터 벽돌은 AD 510±90년, 무령왕릉 벽돌은 AD 520±90년, 송산리 고분군 벽돌은 AD 600±80년으로 산출되었다. 송산리 고분군 벽돌이 다소 늦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나타났지만 오차범위 내에서 근접한 연대값이므로 동일시기에 조업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고고학적 연대범위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종합하면, 무령왕릉과 송산리 고분군 벽돌은 정동리 토양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지만 무령왕릉 벽돌은 거정질 입자를 제거한 정선된 태토와 Ⅰ형(약 30×15㎝)의 성형틀을 사용하여 1,000~1,200℃에서 소성되었다. 반면 송산리 고분군 벽돌은 비교적 거친 태토와 Ⅱb형(약 38×20㎝)의 성형틀로 비교적 낮은 소성온도에서 무령왕릉 벽돌보다 늦은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 공공기관 웹사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평가에 관한 연구 : 시각디자인 측면을 중심으로

        장성윤 高麗大學校 컴퓨터科學技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간의 지각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 중 게슈탈트(Gestalt) 이론에 근거하여 조형적 표현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행정기관 홈페이지 평가 항목 중에 접근성에 관한 새로운 세부항목의 평가 기준으로 나누어 시각디자인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웹 사이트 평가를 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평가 기준을 가독성, 일관성, 위치성, 구조성, 심미성, 편의성 등의 6가지 기준으로 나누고 평가한 결과, 현재 공공기관 웹 사이트는 심미성, 위치성에 관한 항목들이 매우 잘 만들어져 가고 있는 반면, 기관들의 웹 사이트 가독성과 일관성의 통합 작업이 부족함을 알게 되고 보완의 가이드 라인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특정 개발 플랫폼 위에서 오브젝트 단위로 관리되고 거대한 기업, 기관 시스템과 연동되는 EIP(Enterprise Information Portal)까지 장족의 발전을 거듭해오고 있는 현재 웹 사이트의 개발은 설계의 비중이 더더욱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관리 차원에서 매뉴얼의 중요성이 점점 중요해지기 시작하고 이 점은 단순히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측면 뿐 아니라 웹 사이트의 시각적 측면에서도 마찬가지가 된 것이다. 웹 문서를 사용하는 사람은 정보만을 보진 않는다. 종이 문서 디자인에서 전례가 없던 새로운 방식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시각 UI의 기준점을 마련하는데 이는 도큐멘트 간의 관계에서 그래픽을 완전히 분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컴퓨터 시스템의 시각 UI 디자인은 상호작용하며 옮기고 바꾸는 것과 그래픽 이미지, 스크린 상에서 의미와 기능들을 옮기는 개념을 포함하는데,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상세한 시각적인 특징과 웹 페이지와 하이퍼텍스트의 'look & feel' 적인 특징을 나타내는 관계상의 기능적 결과도 포함한다. 그래픽 디자인과 시각적인 'signature' 그래픽은 단지 'jazz up’적인 개념이 아니라 사용자의 경험상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시각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표준모델의 일부로 활용되어 공공기관 웹 사이트를 이용한 대민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기관 이미지 제고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예비교사 수업시연에서 나타난 Monitoring Strategy 담화분석 연구

        장성윤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a discourse of pre-teachers' mock-teaching. The researcher selected eight students who attend a lecture on mock-teaching in a university in Seoul, and the researcher recorded a video of the pre-teachers' mock-teaching and got transcriptions from them.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IRF, repairs, repetitions and the proficiency of mock-teaching, the researcher divided students into two groups, which are a high-level group and a low-level group based on their mock-teaching scores by the professor. Also, to investigate how they monitor and correct their errors in their mock-teaching, the researcher found their repairs in transcriptions and analyzed the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ir repairs occurred in three ways: (1) other-initiated self-repair (2) self-initiated self-repair with repetition (3) self-initiated self-repair without repeti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four questions to analyze the general tendencies among them. First, how does other-initiated self-repair occur? Second, how does self-initiated self-repair with repetition occur? Third, how does self-initiated self-repair without repetition occur? Fourth, what is characteristic of IRF and repairs in accordance with the proficiency of mock-teaching? For the last question, this study measured the frequency of IRF and repairs in their transcriptions and analyzed them. For the first question, other-initiated self-repair occurred like this. Teacher's initiation, Student's self-repair, Teacher's positive feedback by using student's utterances to enhance their learning. This way is similar with a notion of other-regulation by Vygotsky because a teacher helps students by monitoring their errors. For the second question, self-initiated self-repair with repetition occurred because of lexical errors, stammers, grammatical errors, like omission of the subject, semantic errors, and errors by non-verbal factors like teaching materials. As a result of the third question, self-initiated self-repair without repetition occurred because of pauses, lexical errors, and errors of instructional procedures which the teacher planned. For the last one, total utterances occurred more than about 200 times in the high-level group and about 150 times in the low-level group. Additionally, IRF patterns were observed in all pre-teachers. However, most IRF patterns were used as an IRE pattern which evaluates student's responses. Repetition of student's responses were more observed in the high-level group like total utterances. It shows that high-level students tried harder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by using student's responses. Self-initiated self-repair occurred in the low-level group more than in the high-level group. Therefore,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 proficiency of mock-teaching is related to the tendency of using repair sequences because in both groups, there are differences in total utterances, repetition of student's responses, and self-initiated self-repair. key words: Pre-teacher's Mock-teaching, Repair, Repetition 본 논문은 서울 소재 한 대학의 수업시연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을 촬영하여 대화를 전사하고 분석한 논문이다. 수업시연 대화에서 발생하는 IRF(Initiation - Response - Follow-up) 대화구조와 수정현상, 그리고 반복이 수업시연의 능숙함, 즉 전문성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업시연 평가 결과를 기준으로 예비교사들을 각각 4명씩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나누었다. 또한 어떤 식으로 자신들의 수업시연 대화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모니터링하고 수정해 나아가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화에서 나타나는 수정현상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대화를 전사한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수정현상은 크게 타자개시에 의한 자기수정, 반복을 포함한 자기개시에 의한 자기수정, 그리고 반복을 포함하지 않은 자기개시에 의한 자기수정으로 나타났다. 이어 본 연구는 이러한 것들이 어떻게 사용되어지는지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첫째,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대화에서 타자개시에 의한 자기수정이 어떠한 식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본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대화에서 나타난 반복을 포함한 자기개시에 의한 자기수정의 특징을 알아본다. 셋째, 반복을 포함하지 않은 자기개시에 의한 자기수정의 특징을 분석해본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의 수업시연 전문성에 따라 IRF 대화구조와 수정현상이 유형별로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IRF 대화구조와 수정현상 사용 빈도수를 측정하여 분석한다. 첫 번째 연구 질문의 결과, 타자개시에 의한 자기수정은 교사의 개시, 학생의 자기수정으로 이루어지며 교사가 학생의 발화를 그대로 활용하여 긍정적 피드백을 제공하면서 학생의 지식을 강화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학생의 오류를 모니터링하여 학생에게 도움을 주는 유형으로 Vygotsky의 타율규제 개념과 연관이 있었다. 두 번째 연구 질문이었던 반복을 포함한 자기개시에 의한 자기수정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반복을 포함한 자기개시에 의한 자기수정은 어휘 선택의 오류, 버벅거림 같은 특정 단어의 발화 오류, 주어 생략 등의 문법적 오류, 의미적 오류, 수업 자료 같은 물리적 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언어적 요소에 의한 오류로 인해 발생되었다. 세 번째 연구 질문의 결과, 반복을 포함하지 않은 자기개시에 의한 자기수정은 발화 중 멈춤이나 버벅거림, 단어나 어휘 선택에서 발생하는 오류, 수업진행에 있어 순서나 절차상의 오류로 인해 단어나 구, 절의 반복 없이 수정현상이 발생하였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연구 질문을 위해 예비교사들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나눈 후, IRF 대화구조와 수정현상 사용 빈도수를 측정하여 수업시연 전문성에 따라 나타나는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발화 수에서 상위집단이 평균 약 200회로 하위집단의 평균 약 150회보다 많았으며, IRF 대화구조는 연구 대상 모두에게서 관찰되었다. 사용된 IRF 대화구조에서는 주로 시작 - 반응 - 평가로 이어지는 IRE(Initiation - Response - Evaluation) 성향의 대화구조가 많았다. 학생의 발화 반복의 횟수는 하위집단보다 상위집단에서 더 많이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는 상위집단의 예비교사들이 학생의 발화를 활용하여 학생의 수업지식을 강화하는 유형을 보이고 있음을 뜻한다. 자기개시에 의한 자기수정은 반대로 하위집단에서 보다 많은 횟수가 측정되었다. 정리해보면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많은 발화를 했고, 학생의 발화를 반복하여 학생의 이해를 도우려 했으며, 발화오류로 인한 자기개시에 의한 자기수정 발생비율이 낮았다는 것이다. 이처럼 수업시연 전문성에 따라 나눈 집단끼리 수정현상 사용에 있어 차이를 보였으므로 수업시연 전문성과 수정현상 사용 경향성이 서로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제어: 예비교사, 수업시연, IRF, 수정현상, 반복

      • 韓國 佛敎의 茶文化에 대한 考察 : 僧家의 茶生活을 中心으로

        장성윤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Buddhist culture has been created and evolved as a unique culture with respect to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religious philosophies and principles. The tea culture has been sustained for a long time as one of the cultural practices of Buddhism. Although it is only a cultural practice, not the core, derived from Buddhism, the tea culture remains as an important part of the ascetic practices. It even give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ublic as well. The tea culture has been evolving as an important part of our culture from the Thee-Kingdom Era until today. We can recognize from the history that the tea culture should be cherished as one of our most precious traditional cultures among many other cultures that came into being and exposed to the people later. Throughout our history, one of the important traditional cultures is the "tea culture in the Buddhist temple," which was an important cultural practice throughout the historic eras. Among a variety of Buddhist ceremonies and rites, tea ceremonies were conducted in varied forms. The Tea Flavor and Zen-Buddhist Meditation (茶香禪味) shows that a tea ceremony was not just a ceremony or rite, but was conducted for a number of different purposes or applications. In the midst of busy modern life, today's Buddhist temples still maintain the traditional tea culture coming down from the past. There are several reasons tea is highly valued in the Buddhist temples. First, the ritual water has been interpreted and used as a media to the Land of Happiness in Buddhism. Second, alcoholic drinks are prohibited by Buddhism as a matter of religious principle. Third, the Buddhist monks can expect health benefits from tea drinking as one of their ascetic life requires vegetarian diet. Fourth, tea is excluded from the principle of fast in the afternoon. The ritual dishes and tea wares have a lot of things in common; During the Buddha's era, the ritual dishes and tea wares were both made of earth, and their shape were similar, and the ritual ceremony using the ritual dishes were similar to tea ceremony. The Buddhist tea ceremony is as varied as its history. When Buddha set out to practice asceticism, he accepted a little milk and rice pudding from a village girl name Sujata. There is a historic record about the ritual water and ritual grail used during the early days of Buddhism. The ritual water is the source of magic, which is asanga paramita. The Avatamska Sutra explains that the magic tea is offered to all spirits of all directions, indicating that tea wa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Buddhism culture and the Buddhist monks incorporated tea ceremonies into votive offerings. Monk Baekjang's Rules of Discipline was formulated to effectively control the life the people in the temples. These Rules consist of front four chapters and back five chapters. The front five chapters are prayers for blessing, gratitude, repayment of gratitude, and modesty, and the back five chapters are preaching, double-prefaces, public, sacrificial rites. It was formulated by Beobwoon (法雲) of Gwangtaek Temple (光宅寺) during the Liang Dynasty, and kept a detailed record of the ceremonies in Zen temples. Tea is an indispensible part of the daily life as well as ceremonies. The Rules of Discipline has been strictly observed from China to Shilla, Goryeo, Chosun and modern days. The tea ceremony described in Upavasatha Book has compiled all the Buddhist ceremonies in Korea. The tea ceremony constitutes a part of Buddhist ceremonies; teas offered to the spiritual sanctuary, teas offered to the old monks' sarira, and tea offered every dawn, and blessings for the six lives and longevity.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of drinking tea including that of Great Monk Chungdam, Crown Prince Bocheon Hyomyung, Saint Monk Wonhyo, Great Monk Jijang, Great Monk Jijang, Great Monk Soocheol, etc. Korea's tea culture flourished, first evolving around Buddhist temples, aristocrats, and scholars, but soon quickly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in a variety of forms. The tea culture is essentially varied from the manufacturing of tea equipment to cultivation of tea plants. There was a village named Tea Growing Village around Tongdo Temple. As the name of the village indicates, people grew tea around the temples. Many other temples were involved in tea cultivation too. As tea became popular, some temples even built kilns inside the temple premises to make tea wares. Among the most famous tea-masters were Saint Monks Wonhyo (圓曉聖師))and Chungdam (忠談師) during the Shilla Dynasty. There were great tea-masters in Goryeo Dynasty, including Great Monks Jingak and Samjangsoonam. Among the great tea-masters in Chosun Dynasty were Hamhudeuktong (涵虛得通), Kim Siseup (金時習), Great Monk Bowoo(普愚和尙), and Great Monk Seosan (西山大師 ). At the later part of Chosun Dynasty, a great monk called Choi (草衣). In modern times, there were two great tea-masters called Eungsong (應松)and Hyodang (曉堂) who undertook the arduous task of rebuilding the waning tea culture and reintroducing traditional practices. The Venerable Eungsong lived in Daedun Temple in Haenam. He was the first to give ordinary readers an awareness of the significance of the life of Choui (草衣) through a series of articles published in a popular newspaper, and published "The Korean Way of Tea" a work that continues to inspire readers interested in Korean tea culture. The Venerable Hyodang launched the tea-drinking campaigns in Daesol Temple in Sacheon, Gyeonsangnam-do and Jinju. Hyodang is a campaigner and a great thinker. He truly laid the groundwork for today's "Tea Renaissance." Korea's tea culture, among many different cultures, is so closely identified with Buddhism. It best represents and expresses the spirit of Korea. Our distinct tea culture, characterized by a unique philosophy and traditional practices of Buddhism, an Oriental religion, retains a great value, whether visible or invisible. The reinvigorated tea culture will not only have an important and dynamic impact on Koreas' modern-day tea drinking but also on the nation's overall cultural landscape as well as our cultural pride. 佛敎文化의 發生은 修行과 敎理에 대한 理解와 實踐으로 불교와 관계되어 독특한 문화가 생겨나고 발전하였다. 불교의 應用文化인 차문화는 대단한 關係性으로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어 오고 있다. 불교의 본질이 아닌 派生된 응용 문화이면서도 수행 생활의 중요한 영역을 지키고 있다. 나아가 大衆에게까지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茶文化는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비중있는 영역으로 維持·發展되고 있다. 향후 다양한 문화의 발생과 접촉에서 우리의 전통문화가 매우 소중한 것임을 차 문화를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다. 과거와 현대를 통틀어 비중있는 전통문화는 ‘僧家의 茶文化’이다. 승가의 차문화는 각 시대에 걸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불교의 諸般 儀式중에는 각종 다례가 많이 행하여졌다. 『茶香禪味』 曉東院 茶禪會, 前揭書, 1989. 에서는 의식에만 그치지 아니하고 폭넓게 발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급변하는 현대 생활중에도 사찰에서는 전통적으로 과거와 연결된 차와 관계된 내용이 많다. 사찰에서 차가 중요하게 쓰이는 이유가 몇 가지 있다. 그 첫째가 차의 근원으로 확인되는 ‘알가謁伽(공덕수)’는 불교의 이상세계를 실현하는 매개체로 해석하고 사용하였다. 둘째는 불교의 계율이 철저한 불음주(不飮酒)를 실천하기 때문에 그 원인이 있다. 셋째, 채식(菜食)을 하는 수행생활에서 차의 다양한 효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오후불식(午後不食)으로 차는 음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발우(鉢盂)와 다구(茶具)는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부처님 당시에는 발우와 다기의 재질이 흙으로 구운 것이 같으며, 발우와 다완은 모양이 흡사하며, 발우공양법과 다례의 절차 또한 흡사하다. 佛敎의 茶禮는 역사만큼이나 다양하다. 부처님 수행시절 수자타 소녀의 유미죽 공양과 초기불교 시대에 사용된 알가수와 알가배의 역사가 있다. ‘알가’는 묘원(妙原)이며, 묘원은 무착바라밀(無着婆羅密)이다. 『화엄경』에는 妙茶로써 시방국토의 모든 영가들께 공양한다고 하였다. 茶는 불교문화와 함께 수입되어 獻茶供養의 寺院茶로 출발했음을 알 수 있다. 『칙수백장청규(勅修百丈淸規)』는 승가 대중들의 생활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하여 조칙에 의하여 제정된 것이다. 이 청규는 전 4장과 후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 4장은 축리장, 보은장, 보본장, 존조장이다. 후 5장은 주지장, 양서장, 대중장, 절랍장, 법기장이다. 梁나라 光宅寺 法雲에 의해서 만들어졌다. 禪院생활의 樣式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儀禮나 일상생활에서 茶는 빠져서는 안되는 일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중국에서부터 신라, 고려, 조선, 현대에 이르기까지 청규의 기본 원형은 지켜지고 있다. 『梵音集』의 다례는 우리나라 제2의 재의작법집대성(齋儀作法集大成)이다. 齋儀 쪽으로 만들어진 다례이다. 영가전에 올리는 다게, 고승사리운의 다게, 새벽마다 올리는 다게, 육색장 축원의 등이 있다. 다례에는 여러 다례의 유형이 있다. 충담선사, 보천 효명태자, 원효성사, 지장법사, 수철화상 등의 행다법이 있다. 스님들의 차생활은 개인 영역에서부터 국가, 단체, 지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차 생활이 영위되었다. 차 생활은 필연적으로 차 도구 제작과 차나무 재배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다. 통도사에는 다소촌이라는 지명이 말해주듯이 절 밑에 차를 재배하는 마을이 있었다. 다른 여러 사찰들도 차 재배와 연관이 있다. 다기의 제작도 차의 부흥과 더불어 사찰에서 가마를 만들어 제작하였다. 신라시대의 원효성사와 충담사 등의 차인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고려시대에는 의천과 진각국사, 삼장순암 법사 등의 뛰어난 차인들이 많다. 조선시대에는 함허득통과 김시습, 보우화상, 서산대사 등의 훌륭한 차인들이 있다. 후기에는 「茶神傳」과「東茶頌」을 편저한 초의라는 뛰어난 인물로 인해 쇠잔해 가던 차를 부흥 시키는 계기도 있었다. 근세에는 응송과 효당이라는 두 걸출한 茶人이 있어서 차문화가 재차 발전하는 동력이 되었다. 응송 스님은 해남 대둔사 등에 거주하였다. 초의 선사의 유품을 오늘에 전해주어 우리 차의 전통을 알 수 있게 하였고, 다전(茶典)들을 말하게 된 것이다. 효당 스님은 경남 사천 다솔사를 중심으로 진주를 무대로 飮茶의 보급과 차 운동을 전개하였다. 효당은 운동가적이고 사상가적이다. 오늘날 차 문화가 발전된 것은 효당의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평가한다. 많은 문화 중에서 이 차 문화는 불교와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 또한 한국의 정신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동양의 종교인 불교와 훌륭하게 접목된 차 문화는 유형무형의 가치가 대단하다고 본다. 단군조선의 나라인 대한민국 차 문화만은 더욱더 뿌리를 굳건히 하고 자존심을 지키는 대표 문화가 되고, 자랑이 될 것이다.

      •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이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내용교과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 6학년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장성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미지도 그리기를 통한 내용교과 읽기 전략이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내용교과 학업성취도와 교과흥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읽기부진학생의 의미지도 활동지를 질적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학급 중 학업성취도 검사와 읽기이해력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2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연구자가 담임을 맡은 학급으로 선정하여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으로 초등 6학년 사회교과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은 일반적인 강의식 교수방법으로 초등 6학년 사회교과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총 13주의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 학습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고, 교과흥미도 검사는 실험집단에만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의 효과 분석을 위한 검사 결과 분석은 JAMOVI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지도 그리기 지도를 통하여 내용교과 읽기 전략을 지도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내용교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실험집단 내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내용교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활용된 내용교과 읽기 방법으로서의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은 교과흥미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교과흥미도 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읽기부진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교과흥미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읽기부진학생의 의미지도 활동지를 질적 분석해 본 결과, 내용교과 읽기 방법으로서의 의미지도 그리기 활동은 교사와 친구들 간의 상호 피드백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회기가 진행될수록 읽기부진학생이 의미지도를 이해하고 그리는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연구 대상의 수가 적고 범위가 좁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으나, 의미지도 그리기를 활용한 내용교과 읽기 전략이 내용교과 학업성취도 향상과 교과흥미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현대 사회에서 유용한 지식과 정보의 대부분이 내용교과와 같은 설명적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내용교과 읽기를 통한 읽기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내용교과 읽기 활동을 통하여 읽기부진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적인 방법으로서 의미지도 그리기 전략의 효과성을 더 검증해보고, 취약한 부분이 있다면 앞으로 더 보완해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전남 및 제주지역 고대 질그릇의 근원지 및 소성온도에 관한 광물학적 연구

        장성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남 영광 군동, 광주 치평동, 순천 월평, 제주 김녕리와 고산리의 질그릇을 대상으로 근원지와 소성온도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질그릇의 근원지 연구를 위해서 광물조성 및 조직에 근거한 광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화학성분결과를 바탕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소성온도를 추정하기 위해 유적지의 주변토양으로 소성실험을 실시하여 온도에 따른 광물상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질그릇의 광물조성에 적용하여 소성온도를 고찰하였다. 질그릇과 주변토양의 광물동정 및 조직관찰 결과, 질그릇들은 지역마다 특유의 광물조성과 조직을 가지고 있었으며 각 유적지의 주변토양으로 제작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주성분과 미량성분에 대한 판별분석에서도 이러한 결과가 뒷받침 되어졌다. 순천과 제주 질그릇들은 각각 하나의 군으로 분류되었으나 영광과 광주 질그릇들은 유사한 지질로 인해 분류되지 못하였고, 분류에 있어서는 Co, Cr, Sc, Lu, La, Yb의 순서로 영향력이 있었다. 고온소성된 영광, 광주, 순천의 일부 질그릇에서 고온상인 뮬라이트와 헤르시나이트가 관찰되었는데 각 지역 바탕흙의 Si와 Fe함량에 따라 두 광물의 조성이 달라지므로 고온소성된 질그릇의 경우에도 광물조성에 따른 근원지추정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소성과정에서 질그릇을 구성하는 광물의 상전이를 통해 소성온도를 추정하였다. 뮬라이트, 헤르시나이트의 생성과 장석과 운모의 소멸이 소성온도를 지시해 주었다. 고온소성된 일부질그릇의 경우 영광 군동의 GDPU2-1이 1,100-1,200℃, 광주와 순천의 CH-16과 WM-1 등이 1,000-1,100℃에서 소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저온소성된 경우에는 질그릇에 따라 700-900℃에서 소성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열적 비평형상태에서 소성된 점을 고려할 때 더 심도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질그릇이 오랜 매장기간동안 토양환경의 영향을 받아 풍화 또는 변질을 겪을 수 있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광주 치평동질그릇의 경우 인이 공극을 중심으로 농집되어 있어 변질받은 것으로 추정되나 화학분석을 기반으로 한 산지분류에 큰 지장을 초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영광, 광주, 순천은 인접한 지역이므로 화학분석에 근거한 근원지 연구만으로는 한계가 있었으며 광물분석, 화학분석, 토양환경의 영향을 고려한 복합적으로 해석이 필요하다. 질그릇의 광물학적 특징은 바탕흙의 근원지를 반영하였고 소성과정의 광물 상전이로 소성온도를 추정하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물학적 연구방법이 질그릇의 근원지 연구와 제작기술 그리고 소성온도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venance and the firing temperature of ancient pottery excavated from Yeonggwang, Gwangju, Suncheon and Jeju. The provenance of pottery was studied through a mineralogical approach based on the mineral constituents and textures, and through a chemical and statistical approach based on the major and trace element compositions. The transformation of mineral phases in in-situ soil with increased temperatures was examined, and the result was applied to the mineral composition of pottery to presume the firing temperature. As a result of mineralogical examinations on pottery and in-situ soils, each pottery had its own mineral constituents and texture,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pottery was made of in-situ soil of each site. The chemical and statistical analyses also supported this estimation. Pottery samples from Suncheon and Jeju were successively separated into each group from the discriminant analysis, but those from Yeonggwang and Gwangju showed the poor discrimination due to their geological similarities. The effective variables for the discrimination were in order of Co, Cr, Sc, Lu, La and Yb. Formation of mullite and hercynite of high temperature phases observed in some pottery samples might be dependan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dicating the possibility to presume the provenance of pottery with a high firing temperature. The phase transition of minerals during firing processes may estimate the firing temperature, and the formation of mullite and hercynite, and disappearance of feldspar and mica in the pottery could indicate firing temperature. The firing temperature of some pottery was estimated as 1,100-1,200 from Yeonggwang, and 1,000-1,100 from Gwangju. and Suncheon, but it requires a detailed study considering non-equilibrium thermal conditions. Chemical composition of pottery may also be influenced by the weathering and alteration during the long-term burial. Pottery from Gwangju showed the abnormal enrichment of phosphorous in the pores, indicating the effects of alteration. Although it may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is provenance study based on chemical analysis, a comprehensive study considering the mineral and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 effects of burial environ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venance of the pottery. Conclusively, as mineral characteristics of pottery may reflect provenance and phase transition during the firing processes, the mineralogical study of ancient pottery can contribute to the investigation of provenance and firing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